KR101486860B1 -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860B1
KR101486860B1 KR20080092192A KR20080092192A KR101486860B1 KR 101486860 B1 KR101486860 B1 KR 101486860B1 KR 20080092192 A KR20080092192 A KR 20080092192A KR 20080092192 A KR20080092192 A KR 20080092192A KR 101486860 B1 KR101486860 B1 KR 101486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ne
dust collecting
collecting apparatus
dust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92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8804A (ko
Inventor
한정균
오장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9/00242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139556A2/en
Publication of KR20090118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먼지를 수거하기 위한 먼지수거챔버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먼지수거챔버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되는 사이클론챔버를 갖는 사이클론부; 및, 상기 케이싱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클론부의 높이가 상기 케이싱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공청소기, 사이클론, 집진장치, 먼지수거용적, 역류방지, 재비산

Description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구체를 통해 유입된 먼지를 공기로부터 분리하여 수거하고,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흡입모터를 사용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이 흡입력을 이용하여 흡입노즐로 피청소면에 있는 먼지나 오물을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흡입된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통과하면서 먼지가 제거되고, 필터링된 공기가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내측에 배치된 먼지수거챔버로 수거된 먼지가 사이클론 집진장치 내부에 형성되는 기류에 의해 재비산됨으로써, 먼지수거챔버의 먼지 수거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지수거챔버의 용적을 늘려야 하는데, 이는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전체부피가 늘어나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콤팩트하게 유지할 수 없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아울러, 종래의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청소기 본체를 세워서 사용하거나 보관할 때, 먼지수거챔버에 수거된 먼지가 중력에 의해 사이클론부 또는 배기관으로 흘러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채용한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에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장착될 때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청소기 본체에 의해 가려지도록 형성되어 있었으며 더욱이,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케이싱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도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청소 중에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이클론 집진장치에 수거된 먼지의 양이나 사이클론챔버를 점검하기 위해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는 사용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먼지수거챔버의 용적률을 최대화할 수 있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먼지수거챔버로 수거된 먼지가 사이클론부 또는 배기관으로 재비산되거나 역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청소 중에 집진장치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측에 먼지를 수거하기 위한 먼지수거챔버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먼지수거챔버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되는 사이클론챔버를 갖는 사이클론부; 및, 상기 케이싱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클론부의 높이가 상기 케이싱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사이클론부에 대응하는 일부가 상기 사이클론부의 반대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 경우, 상기 사이클론부의 높이는 상기 커버를 케이싱에 결합할 때 상기 커버의 비돌출부분 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이클론부의 상단과 상기 커버의 돌출부분의 내측면의 간격은 적어도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는 돌출부분과 비돌출부분의 경계가 곡선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먼지가 사이클론챔버로부터 먼지수거챔버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돌출부분의 내측에 상기 먼지수거챔버 측으로 연장 형성된 역류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직선구간을 갖거나 또는 직선 및 곡선구간을 연속적으로 갖도록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커버는 내측에 상기 사이클론챔버를 따라 선회하는 기류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스테이빌라이징 파이프가 돌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이클론챔버 를 따라 상승 선회하는 기류를 안정화시켜 원심력에 의해 선회하는 먼지를 사이클론챔버의 상부까지 선회속도를 유지토록함으로써 사이클론챔버로부터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청소 중에 별다른 조작 없이 먼지수거챔버 및 사이클론챔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먼지를 비우는 시기 또는 사이클론챔버를 손쉽게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진공원을 구비한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에 먼지를 수거하기 위한 먼지수거챔버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먼지수거챔버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되는 사이클론챔버를 가지며 높이가 상기 케이싱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사이클론부와, 상기 케이싱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결된 흡입구체;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사이클론부에 대응하는 일부가 상기 사이클론부의 반대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돌출부분이 상기 청소기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는 돌출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를 회전시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며, 일측이 개방된 사이클론부; 상기 사이클론부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사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수거되는 먼지통; 및, 상기 사이클론부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사이클론부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먼지통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 또는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먼지통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사이클론부가 경사진 경우, 상기 사이클론부의 경사각도(α)는 상기 커버가 배치된 방향으로 -70°≤α<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는 상기 사이클론부로 일부가 삽입되는 스테이빌라이징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커버는 돌출부분과 비돌출부분의 경계가 되는 절곡부는 라운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청소기 작동 중에 사이클론부 내부를 육안으로 점검할 수 있다.
상기 먼지통은 상기 사이클론부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이클론부의 높이를 케이싱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함으로써, 먼지수거챔버로 수거된 먼지가 사이클론부 또는 배기관으로 재비산되거나 역류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반면 먼지수거챔버의 용적률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를 통해 사용자가 청소 중에도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내부를 육안으로 직접 점검할 수 있는 사용 상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진공청소기(1)는 청소기 본체(10), 흡입구체(30) 및 사이클론 집진장치(100)를 포함한다.
청소기 본체(10)는 내부에 진공원 예를 들면, 흡입모터(미도시)가 설치되고, 전방에는 사이클론 집진장치(1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가 형성된다. 또한 청소기 본체(10)는 전방 하단에 호스(20)가 결합되는 결합부(13)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13) 내측에는 호스(20)를 통해 유입되는 먼지 및 공기를 사이클론 집진장치(100)의 하부로 안내하기 위한 연결통로(15)가 구비된다. 더욱이 청소기 본체(10)는 양측에 휠(17)이 각각 설치되며, 후방에는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그릴(19)이 설치된다.
흡입구체(30)는 피청소면의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하도록 저면에 흡입구(미도시)를 구비하며, 일측이 연장관(40) 일단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연장관(40)은 타단에 흡입구체(30)를 피청소면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손잡 이(50)를 구비한다. 조작손잡이(50)는 연장관(40)에 연통됨과 동시에 호스(20)와도 연통됨에 따라. 호스(20) 및 연장관(40)을 상호 연통시킨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이클론 집진장치(100)는 케이싱(110), 사이클론부(130) 및 커버(150)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내측에 사이클론부(130)로부터 배출되는 먼지를 수거하기 위한 먼지수거챔버(111)를 형성하고, 외측에는 운반손잡이(113)와 가이드리브(117)를 각각 구비한다.
운반손잡이(113)는 케이싱(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주로 사이클론 집진장치(100)를 청소기 본체(10)의 수용부(11)로부터 인출하거나, 사이클론 집진장치(110)를 운반할 때 사용된다. 운반손잡이(113)는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록킹해제버튼(115)이 설치되며, 상기 록킹해제버튼(115)은 수용부(11)에 장착 고정된 상태의 케이싱(110)을 수용부(11)로부터 분리시킬 때 사용한다. 아울러 이와 같은 사이클론 집진장치(100)를 청소기 본체(10)에 록킹/언록킹 시키는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된 통상의 록킹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리브(117)는 케이싱(110)을 수용부(11)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케이싱(110) 외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수용부(11) 내측에는 가이드리브(117)에 대응하는 소정의 안내슬롯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이클론부(130)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하단이 케이싱(110)의 바닥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단(130a)이 커 버(150)의 돌출부분(151) 내로 삽입되며, 내측에는 사이클론챔버(131)가 형성된다. 사이클론부(130)는 케이싱(110)을 수용부(11)에 장착 시, 사이클론부(130)의 하부가 연결관(15, 도 2 참고)과 상호 연통된다. 이에 따라 청소 시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연결관(15)을 통해 사이클론챔버(131)로 유입된다.
더욱이 사이클론부(130)는 그 높이(H1)가 케이싱(110)의 높이(H2) 보다 높게 형성됨에 따라, 사이클론부(130)의 상단(130a)이 케이싱(110)의 상단(110a)보다 더 높이 돌출된다.
또한 사이클론부(130)는 배기관(133), 그릴부(135) 및 나선형 가이드(137)를 포함한다. 배기관(133)은 사이클론부(130) 내측 중앙에 배치되며, 상단이 사이클론부(130)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 경우 배기관(133)의 상단에는 배기관(133)으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먼지 또는 머리카락 등을 필터링하기 위한 그릴부(135)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그릴부(135)는 배기관(131)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나선형 가이드(137)는 사이클론부(130) 내주면과 배기관(133)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나선형 가이드(137)는 사이클론챔버(131)의 하부로부터 소정 속도로 유입되는 먼지 및 공기에 원심력을 부가하토록 안내함에 따라, 사이클론챔버(131) 내에서 공기와 먼지의 분리가 촉진된다.
커버(150)는 케이싱(110)의 상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150)는 케이싱(110)에 결합 시, 케이싱(110)의 상단(110a)보다 더 돌출된 사이클론부(130)의 상단(130a)과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사이클론부(130)에 대응하는 커버(150)의 소정 위치에 사이클론부(130)의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부 분(151)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분(151)은 그 내측의 최하단(151a)이 사이클론부(130)의 상단(130a)과 소정 갭(G)을 갖는다. 이러한 갭(G)은 사이클론부(130)로부터 배출되는 먼지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5mm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분(151)의 내주와 사이클론부(130)의 상단(130a) 외주 사이에는 먼지가 통과하는 먼지배출통로(P)가 형성된다. 이러한 먼지배출통로(P)는 종래의 사이클론 집진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됨에 따라, 먼지가 사이클론챔버(131)로부터 먼지수거챔버(111)로 원활하게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도 2와 같이, 청소기 본체(10)를 세워서 청소하거나 보관할 때 먼지수거챔버(111)에 수거된 먼지(D)가 사이클론챔버(131)로 역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150)의 돌출부분(151)과 비돌출부분(152)의 경계가 되는 절곡부(153)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함에 따라 먼지의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커버(150)는 비돌출부분(152)의 하단(150a)이 사이클론부(130)의 높이(H1) 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사이클론부(130)의 사이클론챔버(131)에서 선회하는 기류의 영향이 먼지수거챔버(111)에 거의 미치지 않게 되므로, 먼지수거챔버(111) 내의 유동이 최소화되므로 먼지수거챔버(111)에 수거된 먼지(D)가 재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재비산되는 머리카락 등에 의해 그릴부(135)가 막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더욱이 커버(150)는 전체 또는 커버(150)의 돌출부분(151)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청소기 본체(10)의 외관을 이루는 커버(150)를 통해 사용자는 청소 중에 별다른 조작 없이 먼지수거챔버(111) 및 사이클론챔버(131)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먼지를 비우는 시기 또는 사이클론챔버(131)를 손쉽게 점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동작을 도 1 및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 본체(10)의 전원을 온(on)시키면 흡입모터(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흡입구체(30)로 피청소면의 먼지와 이를 포함한 공기가 함께 흡입된다. 흡입구체(30)를 통해 흡입된 먼지 및 공기는 연장관(40), 조작손잡이(50) 및 호스(20)를 순차적으로 거쳐 청소기 본체(10)로 이송된다.
청소기 본체(10)로 이송된 먼지 및 공기는 연결관(15, 도 2 참고)을 통해 사이클론 집진장치(100)의 사이클론부(130)로 유입된다. 사이클론부(130) 하부를 통해 사이클론챔버(131)로 유입된 먼지 및 공기는 나선형 가이드(137)에 안내되어 원심력이 부가된 상태로 사이클론챔버(131)의 상부로 선회하면서 이동한다.
먼지는 사이클론챔버(131)에서 원심력에 의해 공기와 분리되어 사이클론부(130)의 상단을 통해 배출된 후, 먼지배출통로(P)를 통해 먼지수거챔버(111)로 투입된다.
이때 먼지수거챔버(111)는 기류의 유동이 거의 없기 때문에 먼지수거챔버(111)로 수거된 먼지가 먼지수거챔버(111)의 어느 한편으로 치우쳐서 쌓이지 않고 균일하게 쌓이고, 아울러 먼지의 재비산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사이클론챔 버(131)로 역류된 머리카락 등에 의해 그릴부(135)가 막히는 현상이 최소화된다. 이에 따라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100)는 동일한 먼지수거챔버(111)의 용적을 갖는 종래의 사이클론 집진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먼지를 수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점을 고려해 볼 때,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100)는 종래의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먼지수거챔버보다 더 컴팩트한 먼지수거챔버를 갖더라도 먼지수거율이 종래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먼지수거율과 비슷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그릴부(135)를 통해서 배기관(133)으로 유입된 후 배기관(133)의 하측을 통과하여 사이클론 집진장치(100)로부터 배출되고, 배출된 공기는 흡입모터(미도시)를 통과하여 청소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200)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5는 제2 실시예의 사이클론 집진장치(200)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1 실시예의 사이클론 집진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서 사용한 부재번호들을 동일하게 기재하였다. 아울러, 제1 실시예의 사이클론 집진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이클론 집진장치(200)는 커버(150)의 돌출부분(151)의 내측면에 배기관(133)과 대략 동축으로 배치되는 스테이빌라이징 파이프(stabilizing pipe)(201)가 배기관(133)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스테이빌라이징 파이프(201)는 사이클론챔버(131)를 따라 상승 선회하는 기류를 안정화시 켜 원심력에 의해 선회하는 먼지를 사이클론챔버(131)의 상부까지 선회속도를 유지토록함으로써 사이클론챔버(131)로부터 원활하게 배출시킨다.
또한, 커버(150)는 돌출부분(151)의 내주 측벽(151b)에 먼지수거챔버(111) 측으로 연장 형성된 역류방지부재(203)를 구비한다. 이러한 역류방지부재(203)는 제1 실시예보다 먼지배출통로(P)를 더 길게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먼지수거챔버(111)에 수거된 먼지(D)가 먼지배출통로(P)를 따라 역류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역류방지부재(203)는 직선구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직선 및 곡선구간을 연속적으로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설명한다. 제3 내지 제5 실시예의 사이클론 집진장치(300a,300b,300c)는 커버(350)가 사이클론부(31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점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먼지를 수거하기 위한 먼지통(370)이 사이클론부(310) 하부에 배치된 점이 상이하다.
먼저 도 6을 참고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300a)는 사이클론부(310), 커버(350) 및 먼지통(370)을 포함한다.
사이클론부(310)는 먼지통(37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에 개방부(310a)를 구비한다. 또한 사이클론부(310)는 내측에 사이클론 챔버(330a)가 형성되는 원통부(330)을 구비하며, 원통부(330) 내측에는 개방부(310a)의 타측으로부터 개방부(310a)를 향해 연장 형성된 배기관(331)과 배기관(331)의 입구에 설치된 그릴부(333)를 구비한다. 이 경우 배기관(331)은 원통부(33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커버(350)는 사이클론부(310)의 개방부(310a)를 개폐하도록 사이클론부(3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커버(350)는 적어도 일부분이 사이클론부(31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커버(350)는 사이클론부(310)에 결합 시, 사이클론부(310)에 대응하는 커버(350)의 소정 위치에 사이클론부(310)의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부분(351)이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분(351)과 비돌출부분(352)의 경계가 되는 절곡부(353)는 사이클론챔버(330a)로부터 배출된 먼지가 먼지배출통로(P)를 통해 먼지통(370)으로 원활하게 배출하도록 라운딩 형성된다.
또한 커버(350)는 돌출부분(351)의 내측면에 배기관(331)과 대략 동축으로 배치되는 스테이빌라이징 파이프(stabilizing pipe)(355)가 배기관(331)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스테이빌라이징 파이프(355)는 사이클론챔버(330a)를 따라 상승 선회하는 기류를 안정화시켜 원심력에 의해 선회하는 먼지를 사이클론챔버(330a)의 상부까지 선회속도를 유지토록함으로써 사이클론챔버(330a)로부터 원활하게 배출시킨다.
더욱이 커버(350)는 돌출부분(351)의 외측면에 사이클론부(310)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돌출손잡이(357)가 형성된다. 아울러 커버(35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청소기 작동 중에 사이클론부 내부를 육안으로 점검할 수 있다.
먼지통(370)은 사이클론부(310)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이클론 부(310)의 먼지배출구(310b)에서 분리된 먼지를 수거한다. 이 경우 먼지통(370)은 청소기 본체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371)를 일측에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300a)는 사이클론부(310)가 먼지통(370)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먼지통(370)이 수직으로 배치될 경우 횡방향으로 누운 상태로 사이클론챔버(330a)로 유입된 먼지를 공기로부터 분리한다. 아울러 사이클론챔버(330a)로부터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그릴필터(333)를 거쳐 배기관(3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사이클론부(310)는 제1 실시예와 같이 먼지통(370)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제4 실시예와 같이 사이클론부(310)는 커버(350)가 배치된 방향으로 소정 각도(α)로 경사 배치되거나(도 7 참고), 제5 실시예와 같이 커버(350)가 사이클론챔버(330a) 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소정 각도(α) 경사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이클론부(310)는 그 설치 각도를 대략 90°(제1 실시예)부터 -70°(제5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클론부(310)의 설치각도가 90°를 초과하는 경우 커버(350)를 설치하기 어렵고, -70° 미만인 경우 사이클론챔버(330a)에서부터 먼지배출통로(P) 측으로 먼지를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진 공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진공청소기를 세워서 사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일부절결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청소기 본체 11: 수용부
100,200,300a,300b,300c: 사이클론 집진장치
110: 케이싱 111: 먼지수거챔버
130,310: 사이클론부 131,330a: 사이클론챔버
133,331: 배기관 135,333: 그릴부
150,350: 커버 151,351: 돌출부분
152,352: 비돌출부분 153,353: 절곡부
201,355: 스테이빌라이징 파이프 203: 역류방지부재

Claims (19)

  1. 내측에 먼지를 수거하기 위한 먼지수거챔버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먼지수거챔버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되는 사이클론챔버를 갖는 사이클론부; 및,
    상기 케이싱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클론부의 높이가 상기 케이싱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사이클론부에 대응하는 일부가 상기 사이클론부의 반대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부의 높이는 상기 커버를 케이싱에 결합할 때 상기 커버의 비돌출부분 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부의 상단과 상기 커버의 돌출부분의 내측면의 간격은 적어도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돌출부분과 비돌출부분의 경계가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돌출부분의 내주면에 상기 먼지수거챔버 측으로 연장 형성된 역류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직선구간을 갖거나 또는 직선 및 곡선구간을 연속적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사이클론부로 일부가 삽입되는 스테이빌라이징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10. 진공원을 구비한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에 먼지를 수거하기 위한 먼지수거챔버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먼지수거챔버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되는 사이클론챔버를 가지며 높이가 상기 케이싱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사이클론부와, 상기 케이싱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을 개폐하기 위 한 커버를 포함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결된 흡입구체;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사이클론부에 대응하는 일부가 상기 사이클론부의 반대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돌출부분이 상기 청소기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돌출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20080092192A 2008-05-14 2008-09-19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1486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2424 WO2009139556A2 (en) 2008-05-14 2009-05-08 A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577 2008-05-14
KR20080044577 2008-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804A KR20090118804A (ko) 2009-11-18
KR101486860B1 true KR101486860B1 (ko) 2015-01-30

Family

ID=41602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92192A KR101486860B1 (ko) 2008-05-14 2008-09-19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8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911A1 (en) * 2016-12-13 2018-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054B1 (ko) 2012-08-31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1414656B1 (ko) 2012-08-31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124B1 (ko) 2006-05-25 2007-11-2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20080038863A (ko) * 2006-10-31 2008-05-0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124B1 (ko) 2006-05-25 2007-11-2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20080038863A (ko) * 2006-10-31 2008-05-0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집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911A1 (en) * 2016-12-13 2018-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20180068204A (ko) * 2016-12-13 2018-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US10537220B2 (en) 2016-12-13 2020-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2665028B1 (ko) * 2016-12-13 202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804A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5952A (ko) 집진 유니트
CA2822255C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1248722B1 (ko) 집진장치 및 이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US8869346B2 (en) Vacuum cleaner having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KR101130033B1 (ko) 집진 유니트
US7410535B2 (en) Cyclone separating apparatus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20180051478A (ko) 청소기
KR101854681B1 (ko)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 청소기
KR20150122755A (ko) 표면 클리닝 장치
EP1842597A2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JP2006110321A (ja) 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20140009338A (ko) 진공 청소기
JP2011098150A (ja) 電気掃除機
EP3009059B1 (en) Cleaner
KR101486860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JP2010035954A (ja) 電気掃除機
KR100546625B1 (ko) 청소기의 집진장치
KR20060125955A (ko) 집진 유니트
KR100546623B1 (ko) 청소기의 집진장치
JP4528641B2 (ja) 電気掃除機
KR20060125956A (ko) 집진 유니트
KR100577275B1 (ko) 진공청소기
KR101136860B1 (ko) 진공청소기의 브러시조립체
KR100628083B1 (ko) 진공청소기
KR101196029B1 (ko) 집진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