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661B1 - 전동 압축기 - Google Patents

전동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661B1
KR101486661B1 KR20130115281A KR20130115281A KR101486661B1 KR 101486661 B1 KR101486661 B1 KR 101486661B1 KR 20130115281 A KR20130115281 A KR 20130115281A KR 20130115281 A KR20130115281 A KR 20130115281A KR 101486661 B1 KR101486661 B1 KR 101486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ster block
stator
coupling member
stator core
coi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5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4268A (ko
Inventor
다쿠 아다니야
미노루 메라
신이치 오쿠야마
다츠야 호리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40044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machines or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Pumping installations
    • F04C11/008Enclosed motor pump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85Prime m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3Electric connectors or cable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5Fastening means, e.g. bo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8Electronic circuits (e.g. inverters) installed inside the mach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6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leads, i.e. conducting wi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전동 압축기는, 전동 모터, 압축 유닛, 리드 와이어, 접속 단자, 클러스터 블록, 하우징, 모터 구동 회로, 도전 단자, 및 커플링 부재를 포함한다. 리드 와이어는 스테이터의 코일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접속 단자는 리드 와이어에 전기 접속된다. 클러스터 블록은 접속 단자를 수용한다. 도전 단자는 접속 단자와 모터 구동 회로를 전기 접속한다. 커플링 부재는 스테이터와 클러스터 블록 사이에 배치된다. 클러스터 블록은 커플링 부재에 의하여 스테이터에 결합된다. 접속 단자가 도전 단자를 대향하도록 커플링 부재는 스테이터에 대한 클러스터 블록의 커플링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동 압축기 {MOTOR-DRIVEN COMPRESSOR}
본 발명은,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전동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해 토출하는 압축 유닛, 압축 유닛의 구동원으로서 역할을 하는 전동 모터, 및 전동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도전 단자는 모터 구동 회로와 전동 모터를 전기 접속하고, 리드 와이어는 전동 모터로부터 연장된다. 하우징 내에 수용된 클러스터 블록 내에 배치된 접속 단자는 도전 단자와 리드 와이어를 전기 접속한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6-42409 호는, 이 클러스터 블록을 전동 모터의 스테이터 코어에 커플링한 예를 기술한다.
전술한 공보의 모터 일체형 압축기 (전동 압축기) 에 있어서, 클러스터 (클러스터 블록) 는 도브테일 돌기를 포함하고, 스테이터 코어는 스테이터 코어의 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브테일 홈을 포함하는 외부면을 갖는다. 도브테일 돌기를 도브테일 홈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도브테일 돌기가 도브테일 홈에 맞물림된다. 이것은 클러스터를 스테이터 코어의 외부면에 커플링시킨다.
클러스터와 커플링되는 스테이터 코어를 모터 하우징의 내부에 커플링하도록 수축 끼워맞춤이 수행된다. 스테이터 코어가 모터 하우징의 내부에 수축 끼워맞춤된 후, 도전 단자와 접속 단자가 클러스터 내에서 접속된다. 전술한 공보에서와 같이, 도브테일 돌기와 도브테일 홈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클러스터가 스테이터 코어의 외부면에 커플링될 때, 도브테일 돌기와 도브테일 홈 사이에 여유공간 (clearance) 이 형성된다. 이 여유공간에 의해, 클러스터의 위치를, 어느 정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스테이터 코어가 모터 하우징의 내부에 수축 끼워맞춤되었을 때, 도전 단자와 접속 단자가 알맞은 접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을 때에도, 도전 단자와 접속 단자는 클러스터 내에서 용이하게 접속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공보에서는, 클러스터를 스테이터 코어에 커플링하기 위해서 스테이터 코어의 외부면에 형성된 도브테일 홈은 스테이터를 통과하는 자속 흐름을 방해한다. 이것은 전동 모터의 토크를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러스터 블록을 스테이터에 커플링시킬 수 있고, 전동 모터의 토크 저하를 최대한 억제하고, 도전 단자와 접속 단자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전동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전동 모터, 압축 유닛, 리드 와이어, 접속 단자, 클러스터 블록, 하우징, 모터 구동 회로, 도전 단자, 및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이다. 상기 전동 모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그 스테이터 코어로부터 돌출한 코일 단부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로터, 상기 로터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 유닛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리드 와이어는 상기 코일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리드 와이어에 전기 접속된다. 상기 클러스터 블록은 상기 접속 단자를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동 모터, 상기 압축 유닛, 및 상기 클러스터 블록을 수용한다. 상기 모터 구동 회로는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시킨다. 상기 도전 단자는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모터 구동 회로를 전기 접속한다.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클러스터 블록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클러스터 블록을 상기 스테이터에 커플링시킨다. 상기 접속 단자가 상기 도전 단자와 대향하도록 상기 스테이터에 대한 상기 클러스터 블록의 커플링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기 커플링 부재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장점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로서 도시한 첨부 도면과 함께 하기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과 더불어,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본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대한 하기 설명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전동 압축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낸 클러스터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2 에 나타낸 커플링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서로 커플링된 도 3 및 도 4 의 클러스터 블록과 커플링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 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서로 커플링된 클러스터 블록과 커플링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b 는 서로 커플링된 도 6a 의 클러스터 블록과 커플링 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 은 추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동 압축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 은 추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동 압축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 는 추가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동 압축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 은 추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동 압축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제, 전동 압축기의 일 실시형태가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동 압축기 (10) 의 하우징 (11) 은 실린더형 모터 하우징 (12) 및 실린더형 토출 하우징 (13) 을 포함한다. 모터 하우징은 폐쇄 단부 및 개방 단부 (121h; 도 1 의 좌측 단부) 를 갖는다. 토출 하우징 (13) 은 모터 하우징 (12) 의 개방 단부 (121h) 에 커플링된다. 모터 하우징 (12) 의 폐쇄 단부는, 폐쇄 단부를 가지는 실린더형 인버터 커버 (41) 에 커플링된 단부 벽 (12a) 을 형성한다. 토출실 (15) 은 모터 하우징 (12) 과 토출 하우징 (13) 사이에 형성된다. 토출 하우징 (13) 의 일 단부 벽에는 토출 포트 (16) 가 형성되어 있고, 토출 포트 (16) 에는 외부 냉매 회로 (미도시) 가 연결되어 있다. 흡입 포트 (미도시) 는 모터 하우징 (12) 의 주연 벽에 형성되어 있고, 외부 냉매 회로가 흡입 포트에 연결된다.
모터 하우징 (12) 에는 회전 샤프트 (23) 가 수용된다. 회전 샤프트 (23) 는 레이디얼 베어링 (23a, 23b) 에 의해 모터 하우징 (12) 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 유닛 (18) 및 압축 유닛 (18) 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 (19) 가 모터 하우징 (12) 내에 수용된다. 또한, 모터 하우징 (12) 의 단부 벽 (12a) 과 인버터 커버 (41) 는 수용 구획부 (41a) 를 규정한다. 수용 구획부 (41a) 에서, 모터 구동 회로 (40; 도 1 에서 2 점 사슬 선으로 나타냄) 는 단부 벽 (12a) 의 외부면에 커플링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 압축 유닛 (18), 전동 모터 (19), 및 모터 구동 회로 (40) 가 순서대로 회전 샤프트 (23) 의 축선 (L) 이 연장되는 방향 (축선 방향) 으로 배치된다.
압축 유닛 (18) 은, 모터 하우징 (12) 에 고정된 고정 스크롤 (20), 및 고정 스크롤 (20) 과 맞물리는 가동 스크롤 (21) 을 포함한다. 가변 용적 (displacement) 을 가지는 압축실 (22) 은 고정 스크롤 (20) 과 가동 스크롤 (21) 사이에 형성된다.
전동 모터 (19) 는, 압축 유닛 (18) 보다 모터 하우징 (12) 의 단부 벽 (12a; 도 1 의 우측)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압축기 (10) 의 부분에 배치된다. 전동 모터 (19) 는, 회전 샤프트 (23) 와 일체로 회전하는 로터 (24), 및 로터 (24) 둘레에서 모터 하우징 (12) 의 내주면에 고정된 스테이터 (25) 를 포함한다.
로터 (24) 는 회전 샤프트 (23) 에 커플링되는 실린더형 로터 코어 (24a) 를 포함한다. 영구자석 (24b) 은 로터 코어 (24a) 에 매립되고 로터 코어 (24a) 의 원주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배치된다. 로터 코어 (24a) 는 복수의 자기 코어 판 (24c; 전자 강판) 을 적층하여 형성된다. 스테이터 (25) 는, 모터 하우징 (12) 의 내주면에 고정된 고리형의 스테이터 코어 (26), 및 스테이터 코어 (26) 에 배치된 코일 (29) 을 포함한다. 스테이터 코어 (26) 는, 복수의 자기 코어 판 (26c; 전자 강판) 을 적층하여 형성된다.
도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치형부 (27) 는 각 코어 판 (26c) 의 내주로부터 회전 샤프트 (23) 의 반경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돌출해 있다. 치형부 (27) 는 스테이터 코어 (26) 의 원주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배치된다. 슬롯 (27c) 은 스테이터 코어 (26) 의 원주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이웃한 치형부 (27) 사이에 배치된다. 관상 절연 시트 (28) 가 치형부 (27) 와 코일 (29) 사이에 배치되면서, 코일 (29) 은 슬롯 (27s) 내에서 치형부 (27) 둘레에 감긴다. 절연 시트 (28) 는 슬롯 (27s) 내에서 회전 샤프트 (23) 의 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스테이터 코어 (26) 의 2 개의 축선 방향 단부 면 (26e, 26f) 으로부터 돌출한 축선 방향 단부를 가진다.
도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절연 시트 (28) 의 2 개의 단부에 커프 (28e; cuff) 가 접혀 형성된다. 각 커프 (28e) 의 접힌 원위 단부 (distal end) 는 스테이터 코어 (26) 의 각 단부 면 (26e, 26f) 에 걸린다. 이것은 슬롯 (27s) 내에서 스테이터 코어 (26) 에 대한 절연 시트 (28) 의 변위를 방지한다. 전동 모터 (19) 의 각 코일 (29) 은 스테이터 코어 (26) 로부터 돌출한 코일 단부 (29e, 29f) 를 포함한다. 코일 단부 (29e) 는, 스테이터 코어 (26) 보다 모터 구동 회로 (40) (회전 샤프트 (23) 의 축선 방향으로 일측)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전동 모터 (19) 의 부분에 위치한다. 코일 단부 (29f) 는, 스테이터 코어 (26) 보다 압축 유닛 (18) (회전 샤프트 (23) 의 축선 방향으로 타측)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전동 모터 (19) 의 부분에 위치한다. 리드 와이어 (30) 는 U 상, V 상, W 상에 제공된다. 리드 와이어 (30; 도 1 에서는 단 하나만 도시됨) 각각은 압축 유닛 (18)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전동 모터 (19) 의 부분에 위치한 코일 단부 (29f) 로부터 인출되는 개시 단부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 (23) 의 축선 방향으로 스테이터 코어 (26) 의 단부 면들 (26e, 26f) (치형부 (27)) 및 대응하는 코일 단부들 (29e, 29f) 사이, 그리고 스테이터 코어 (26) 의 원주 방향으로 이웃한 절연 시트 (28) 의 단부들 사이에 간극들 (29s) 이 형성된다. 각 절연 시트 (28) 의 2 개의 단부들이 스테이터 코어 (26) 의 단부 면들 (26e, 26f) 로부터 돌출될 때 간극들 (29s) 은 코일 단부 (29e, 29f) 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 (voids) 이다. 또한, 간극들 (29s) 은 스테이터 코어 (26) 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간극들 (29s) 의 형성은 스테이터 코어 (26) 의 단부 면들 (26e, 26f) 과 코일 단부들 (29e, 29f) 사이의 절연을 확보한다.
모터 하우징 (12) 의 단부 벽 (12a) 은 관통홀 (12b) 을 포함한다. 관통홀 (12b) 에는 밀봉 단자 (42) 가 배치된다. 밀봉 단자 (42) 는, 3 개의 도전 단자 (43; 도 1 에서는 단 하나만 도시됨) 및 3 개의 가스 절연 부재 (44; 도 1 에서는 단 하나만 도시됨) 를 포함한다. 도전 단자 (43) 는 전동 모터 (19) 와 모터 구동 회로 (40) 를 전기 접속한다. 유리재의 절연 부재 (44) 는, 도전 단자 (43) 를 단부 벽 (12a) 으로부터 절연하면서, 도전 단자 (43) 를 단부 벽 (12a) 에 고정시킨다. 각각의 도전 단자 (43) 는, 케이블 (45) 에 의해 모터 구동 회로 (40) 에 전기 접속된 제 1 단부, 및 모터 하우징 (12) 안으로 연장되는 제 2 단부를 포함한다.
모터 하우징 (12) 내에는 클러스터 블록 (51) 이 수용된다. 클러스터 블록 (51) 은, 회전 샤프트 (23) 의 반경 방향으로 코일 단부 (29e) 의 외측에 위치한 부분에서 스테이터 코어 (26) 에 배치된다. 커플링 부재 (61) 는 클러스터 블록 (51) 을 스테이터 (25) 에 커플링한다. 클러스터 블록 (51) 은, 리드 와이어 (30) 에 각각 전기 접속되는 접속 단자들 (51a) 을 수용한다. 3 개의 제 1 삽입홀 (511; 도 1 에서는 단 하나만 도시됨) 은 클러스터 블록 (51) 에서 압축 유닛 (18)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단부 면 (클러스터 블록 (51) 의 제 1 단부 면) 에 형성된다. 각 리드 와이어 (30) 의 개시 단부는, 대응하는 제 1 삽입홀 (511) 을 통하여 접속 단자들 (51a) 중 하나에 전기 접속된다. 또한, 클러스터 블록 (51) 에서 모터 구동 회로 (40)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단부 면 (클러스터 블록 (51) 의 제 2 단부 면) 에 3 개의 관상부 (513; 도 1 에서는 단 하나만 도시됨) 가 형성되어 있다. 클러스터 블록 (51) 은, 대응하는 관상부 (513) 의 내측과 연통하는 제 2 삽입홀 (512) 을 포함한다. 각 도전 단자 (43) 의 제 2 단부는, 대응하는 관상부 (513) 및 대응하는 제 2 삽입홀 (512) 을 통하여 접속 단자들 (51a) 중 하나와 전기 접속된다.
도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러스터 블록 (51) 은 낮은 프로파일을 가지는 정사각형 상자 형상을 갖는다. 클러스터 블록 (51) 은, 하방으로 팽출하고 모터 구동 회로 (40) 와 대향한 클러스터 블록 (51) 의 단부 면과 이어지는 팽출부 (51d) 를 포함하는 하부면 (51c) 을 갖는다. 팽출부 (51d) 는, 압축 유닛 (18)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단부 면 (511d; 팽출부 (51d) 의 제 1 단부 면) 을 포함한다. 단부 면 (511d) 은, 클러스터 블록 (51) 의 하부면 (51c) 에 평행하고 도전 단자 (43) 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 삽입부 (51f) 를 포함한다. 삽입부 (51f) 는, 삽입부 (51f) 의 하부면 (511f) 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후크부 (51g) 를 포함하는 원위 단부를 갖는 하부면 (511f) 을 가지고 있다.
도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 (61) 는 판형 본체 (61a) 를 포함한다. 본체 (61a) 는 돌기 (61b) 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회로 (40)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단부 면 (제 1 단부 면) 을 가지고 있다. 돌기 (61b) 는, 삽입부 (51f) 가 삽입되는 수용부로서 역할을 하는, 삽입홀 (61h) 을 포함한다. 삽입홀 (61h) 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2 개의 삽입 돌기 피스 (62) 는 본체 (61a) 의 하측으로부터 하방으로 (회전 샤프트 (23) 의 반경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돌출해 있다. 또한, 본체 (61a) 는 압축 유닛 (18)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단부 면 (본체 (61a) 의 제 2 단부 면) 으로부터 압축 유닛 (18) 을 향해 돌출한 2 개의 판형 접촉부 (63) 를 포함한다.
삽입홀 (61h) 은 삽입부 (51f) 의 폭 (H2) 보다 큰 길이방향으로 폭 (H1) 을 갖는다. 삽입홀 (61h)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부 (61k; cutout) 는, 돌기 (61b), 및 모터 구동 회로 (40)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본체 (61a) 의 단부 면의 경계선에 형성된다. 절결부 (61k) 는, 삽입부 (51f) 의 폭 (H2) 보다 큰 길이 방향으로의 폭 (H3) 을 가진다. 절결부 (61k) 의 내부는 삽입홀 (61h) 과 연통된다.
각 삽입 돌기 피스 (62) 는, 본체 (61a) 의 하측과 이어지는 기저부 (62a), 및 기저부 (62a) 와 이어지고 기저부 (62a) 보다 더욱 세장형인 원위부 (62b) 를 가진다. 기저부들 (62a) 은 각 슬롯 (27s) 에서 코일 (29) 및 절연 시트 (28) 의 폭에 일치하는 거리만큼 분리된다. 기저부 (62a) 는 스테이터 코어 (26) 의 원주 방향으로 이웃한 절연 시트들 (28) 사이에 삽입 가능한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2 개의 삽입 돌기 피스 (62) 가 대응하는 간극 (29s) 으로 삽입될 수 있다. 기저부 (62a) 로부터 연장되는 2 개의 원위부 (62b) 는 서로를 향하여 또는 서로 이격되게 움직일 수도 있다. 각각의 원위부 (62b) 는 맞물림 섹션 (62f) 을 포함한다. 2 개의 원위부 (62b) 의 맞물림 섹션 (62f) 은 서로를 향해 만곡된다. 각각의 접촉부 (63) 는 스테이터 코어 (26) 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원호상인 하부면 (63a) 을 포함한다.
도 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러스터 블록 (51) 과 커플링 부재 (61) 는, 삽입부 (51f) 를 삽입홀 (61h) 에 삽입함으로써 서로 커플링된다. 클러스터 블록 (51) 과 커플링 부재 (61) 가 커플링되었을 때, 압축 유닛 (18)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팽출부 (51d) 의 단부 면 (511d) 은 모터 구동 회로 (40)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돌기 (61b) 의 단부 면 (611b) 에 대향한다. 게다가, 후크부 (51g) 는, 삽입홀 (61h) 로부터 회전 샤프트 (23) 의 반경 방향으로 절결부 (61k) 안으로 돌출해 있다. 이것은 후크부 (51g) 를 돌기 (61b) (커플링 부재 (61)) 에 걸고, 클러스터 블록 (51) 과 커플링 부재 (61) 를 견고하게 커플링한다. 삽입부 (51f) 는, 삽입홀 (61h) 내에서, 삽입홀 (61h) 의 길이 방향 (도전 단자 (43) 의 연장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 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도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2 개의 삽입 돌기 피스 (62) 가 회전 샤프트 (23) 의 반경 방향으로 코일 단부 (29e) 의 외주측으로부터 대응하는 간극들 (29s) 에 삽입될 때, 맞물림 섹션 (62f) 은 대응하는 절연 시트 (28) 와 접촉하게 된다. 이것은 원위부들 (62b) 을 서로 이격되게 이동시킨다. 삽입 돌기 피스 (62) 를 간극들 (29s) 에 삽입할 때, 원위부들 (62b) 은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작동한다. 즉, 원위부들 (62b) 은 그것의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작동한다. 결과적으로, 대응하는 절연 시트 (28) 및 코일 (29) 은 맞물림 섹션들 (62f) 사이에 유지된다. 이것은 절연 시트 (28) 로 맞물림 섹션들 (62f) 을 유지하고, 커플링 부재 (61) 로 클러스터 블록 (51) 을 스테이터 (25) 에 커플링한다.
맞물림 섹션 (62f) 과 절연 시트 (28) 의 맞물림에 의해, 2 개의 삽입 돌기 피스들 (62) 이 코일 단부 (29e) 로부터 외주측 (반경 방향 외측) 을 향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2 개의 삽입 돌기 피스 (62) 와 스테이터 코어 (26) 의 단부 면 (26e) 의 접촉, 커플링 부재 (61) 의 본체 (61a) 와 스테이터 코어 (26) 의 단부 면 (26e) 의 접촉, 및 2 개의 삽입 돌기 피스 (62) 와 코일 단부 (29e) 의 접촉에 의해, 회전 샤프트 (23) 의 축선 방향으로 스테이터 (25) 에 대한 커플링 부재 (61) 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이웃한 절연 시트 (28) 에서 기저부 (62a) 의 접촉에 의해, 스테이터 코어 (26) 의 원주 방향으로 스테이터 (25) 에 대한 커플링 부재 (61) 의 이동이 제한된다.
클러스터 블록 (51) 이 커플링 부재 (61) 에 의해 스테이터 (25) 에 커플링될 때, 각 접촉부 (63) 의 하부면 (63a) 은, 스테이터 코어 (26) 의 외주면과 접촉한다. 각 접촉부 (63) 의 하부면 (63a) 과 스테이터 코어 (26) 의 외주면과의 접촉에 의해, 스테이터 (25) 에 대한 클러스터 블록 (51) 의 위치를 유지한다. 이런 식으로, 본 실시형태에서, 각 접촉부 (63) 는, 스테이터 (25) 에 대한 클러스터 블록 (51) 의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부로서 역할을 한다.
이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커플링 부재 (61) 의 2 개의 삽입 돌기 피스들 (62) 은, 모터 구동 회로 (40)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스테이터 코어 (26) 의 단부 면 (26e) 과 회전 샤프트 (23) 의 반경 방향으로 코일 단부 (29e) 의 외주측에서의 코일 단부 (29e) 사이의 간극 (29s) 에 삽입된다. 클러스터 블록 (51) 은, 회전 샤프트 (23) 의 반경 방향으로 코일 단부 (29e) 의 외주측에서 스테이터 (25) 부분에 커플링된다. 스테이터 코어 (26) 의 외주면은, 종래 기술과 같이, 클러스터 블록 (51) 을 스테이터 코어 (26) 에 커플링하는 도브테일 홈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클러스터 블록 (51) 의 커플링은, 스테이터 코어 (26) 를 통하여 흐르는 자속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클러스터 블록 (51) 이 커플링 부재 (61) 에 의해 스테이터 (25) 에 커플링될 때, 스테이터 코어 (26) 는 수축 끼워맞춤에 의해 모터 하우징 (12) 의 내부에 커플링된다. 스테이터 코어 (26) 가 모터 하우징 (12) 의 내부에 수축 끼워맞춤된 후, 도전 단자 (43) 와 접속 단자 (51a) 가 접속된다. 이 경우에, 삽입홀 (61h) 내에서 삽입부 (51f) 를 이동시킴으로써, 스테이터 (25) 에 대한 클러스터 블록 (51) 의 커플링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전 단자 (43) 와 접속 단자 (51a) 의 접속 위치가 어긋나 (displaced) 있을 때에도, 접속 단자 (51a) 가 도전 단자 (43) 와 정렬되도록 클러스터 블록 (51) 의 커플링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것은 도전 단자 (43) 와 접속 단자 (51a) 의 접속을 용이하게 한다.
압축 유닛 (18)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팽출부 (51d) 의 단부 면 (511d) 은, 모터 구동 회로 (40)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돌기 (61b) 의 단부 면 (611b) 과 대향한다. 따라서, 도전 단자 (43) 와 접속 단자 (51a) 를 접속할 때 클러스터 블록 (51) 에 인가되는 하중은, 팽출부 (51d) 의 단부 면 (511d) 과 돌기 (61b) 의 단부 면 (611b) 의 접촉에 의해 수용된다. 도전 단자 (43) 와 접속 단자 (51a) 를 접속할 때, 이것은 스테이터 (25) 에 대한 압축 유닛 (18) 을 향한 클러스터 블록 (51) 의 이동을 억제한다.
모터 구동 회로 (40) 에 의해 제어된 전력은, 케이블 (45), 도전 단자 (43), 접속 단자 (51a), 및 리드 와이어 (30) 를 통하여 전동 모터 (19) 에 공급된다. 이것은 제어된 회전 속도로 로터 (24) 와 함께 회전 샤프트 (23) 를 회전시키고, 압축 유닛 (18) 을 구동한다. 구동된 압축 유닛 (18) 은, 외부 냉매 회로로부터 흡입 포트를 통하여 모터 하우징 (12) 으로 냉매를 흡입하고, 모터 하우징 (12) 내에 흡입된 냉매를 압축 유닛 (18) 으로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를 토출 포트 (16) 로부터 외부 냉매 회로로 토출한다.
상기 실시형태는 하기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1) 스테이터 (25) 에 대한 클러스터 블록 (51) 의 커플링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커플링 부재 (61) 에 의해 클러스터 블록 (51) 이 스테이터 (25) 에 커플링된다. 접속 단자 (51a) 가 도전 단자 (43) 와 정렬되도록 클러스터 블록 (51) 의 커플링 위치가 조정된다. 따라서, 스테이터 코어 (26) 가 모터 하우징 (12) 의 내부에 수축 끼워맞춤되었을 때, 도전 단자 (43) 와 접속 단자 (51a) 의 접속 위치가 어긋날 때에도, 도전 단자 (43) 를 접속 단자 (51a) 에 접속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같이, 스테이터 코어 (26) 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자속의 흐름을 방해하는 도브테일 홈을 이용해, 클러스터 블록 (51) 의 커플링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클러스터 블록 (51) 이 스테이터 (25) 에 커플링되고, 전동 모터 (19) 의 토크 저하를 최대한 억제하고, 도전 단자 (43) 와 접속 단자 (51a) 의 접속이 용이하게 된다.
(2) 클러스터 블록 (51) 은 커플링 부재 (61) 와 분리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클러스터 블록 (51) 과 커플링 부재 (61) 가 탄성을 갖는 부분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된 경우와 비교해, 클러스터 블록 (51) 의 커플링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한다.
(3) 클러스터 블록 (51) 은 삽입부 (51f) 를 포함하고, 커플링 부재 (61) 는, 삽입부 (51f) 가 삽입되는 삽입홀 (61h) 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삽입부 (51f) 를 삽입홀 (61h) 에 단순히 삽입하는 것만으로, 클러스터 블록 (51) 과 커플링 부재 (61) 는 커플링된다.
(4) 삽입부 (51f) 는 후크부 (51g) 를 포함한다. 후크부 (51g) 를 돌기 (61b) 에 걸어주면, 클러스터 블록 (51) 과 커플링 부재 (61) 의 커플링을 보강한다.
(5) 각 접촉부 (63) 의 하부면 (63a) 과 스테이터 코어 (26) 의 외주면의 접촉에 의해, 스테이터 (25) 에 대한 클러스터 블록 (51) 의 위치를 유지한다. 이것에 의하면, 도전 단자 (43) 와 접속 단자 (51a) 의 접속을 한층 더 용이하게 한다.
(6) 커플링 부재 (61) 는 2 개의 삽입 돌기 피스 (62) 를 포함한다. 따라서, 2 개의 삽입 돌기 피스 (62) 를 간극들 (29s) 에 단순히 삽입하는 것만으로, 클러스터 블록 (51) 이 스테이터 (25)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따라서, 스테이터 코어 (26) 에 클러스터 블록 (51) 을 커플링하는 기계가공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스테이터 코어 (26) 를 흐르는 자속에 대한 간섭이 감소된다.
(7) 삽입 돌기 피스 (62) 는 맞물림 섹션 (62f) 을 포함한다. 절연 시트 (28) 와 맞물림 섹션 (62f) 의 맞물림은, 삽입 돌기 피스 (62) 가 간극 (29s) 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8) 커플링 부재 (61) 는, 커플링 부재 (61) 로 클러스터 블록 (51) 을 스테이터 (25) 에 커플링하도록 대응하는 간극들 (29s) 에 삽입되는 2 개의 삽입 돌기 피스 (62) 를 포함한다. 이것은, 커플링 부재 (61) 로 클러스터 블록 (51) 을 스테이터 (25) 에 커플링하도록 간극 (29s) 에 삽입되는 단 하나의 삽입 돌기 피스를 커플링 부재 (61) 가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해, 스테이터 (25) 에 대한 클러스터 블록 (51) 의 커플링을 보강한다.
(9) 도전 단자 (43) 는, 모터 하우징 (12) 의 단부 벽 (12a) 에 고정된다. 이것은 도전 단자 (43) 의 위치를 설정한다. 따라서, 클러스터 블록 (51) 의 커플링 위치를 조정하는 것은, 도전 단자 (43) 와 접속 단자 (51a) 의 용이한 접속을 허용한다.
(10) 본 실시형태의 전동 압축기 (10) 는, 회전 샤프트 (23) 의 축선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된 압축 유닛 (18), 전동 모터 (19), 및 모터 구동 회로 (40) 를 포함한다. 리드 와이어 (30) 는, 압축 유닛 (18)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전동 모터 (19) 의 부분으로부터 연장된다. 그 때문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동 모터 (19) 와 모터 구동 회로 (40) 는 스테이터 코어 (26) 의 단부 면 (26e) 과 모터 하우징 (12) 의 단부 벽 (12a) 사이의 좁은 공간 내에서 와이어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될 필요가 없다. 즉, 압축 유닛 (18), 전동 모터 (19), 및 모터 구동 회로 (40) 를 순서대로 직렬 배치한 전동 압축기 (10) 에서는, 클러스터 블록 (51) 내의 접속 단자 (51a) 에 도전 단자 (43) 를 접속함으로써 와이어가 간단히 접속된다. 이것은, 전동 압축기 (10) 를 조립할 때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클러스터 블록 (51) 이 스테이터 (25) 에 커플링될 때, 관통홀 (12b) 에 밀봉 단자 (42) 가 배치되어서 도전 단자 (43) 와 접속 단자 (51a) 를 전기 접속한다. 따라서, 도전 단자 (43) 가 접속 단자 (51a) 에 커플링됨과 동시에 밀봉 단자 (42) 는 관통홀 (12b) 에 커플링된다.
(11) 삽입 돌기 피스 (62) 는, 회전 샤프트 (23) 의 축선 방향으로, 모터 구동 회로 (40)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스테이터 코어 (26) 의 단부 면 (26e) 과 코일 단부 (29e)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들 (29s) 에 삽입된다. 이 간극 (29s) 은 스테이터 코어 (26) 의 단부 면 (26e) 과 코일 단부 (29e) 사이의 절연을 확보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코일 단부 (29e) 에 삽입 돌기 피스 (62) 를 삽입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스테이터 코어 (26) 의 모터 구동 회로 (40)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단부 면 (26e) 과 코일 단부 (29e) 사이의 종래 기존의 간극 (29s) 에 삽입 돌기 피스 (62) 를 삽입함으로써 커플링 부재 (61) 는 클러스터 블록 (51) 을 스테이터 (25) 에 커플링한다.
(12) 압축 유닛 (18)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팽출부 (51d) 의 단부 면 (511d) 은, 모터 구동 회로 (40)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돌기 (61b) 의 단부 면 (611b) 에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도전 단자 (43) 와 접속 단자 (51a) 를 접속할 때 클러스터 블록 (51) 에 인가되는 하중은, 팽출부 (51d) 의 단부 면 (511d) 과 돌기 (61b) 의 단부 면 (611b) 의 접촉에 의해 수용된다. 이것은, 도전 단자 (43) 와 접속 단자 (51a) 를 접속할 때, 클러스터 블록 (51) 이 스테이터 (25) 에 대해 압축 유닛 (18) 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많은 다른 특정한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음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분명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을 하기의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6a 및 도 6b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러스터 블록 (51) 은, 클러스터 블록 (51) 의 하부면 (51c) 으로부터 돌출한 T 형 삽입부 (71f) 를 포함한다. 또한, 커플링 부재 (61) 의 돌기 (61b) 는, 도전 단자 (43) 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삽입부 (71f) 를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역할을 하는 삽입 홈 (71h) 을 포함한다. 도전 단자 (43) 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삽입부 (71f) 를 삽입 홈 (71h) 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커플링 부재 (61) 가 클러스터 블록 (51)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삽입부 (71f) 는, 삽입 홈 (71h) 내에서 도전 단자 (43) 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삽입 홈 (71h) 내에서 삽입부 (71f) 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스테이터 (25) 에 대한 클러스터 블록 (51) 의 커플링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삽입 돌기 피스들 (62) 중 적어도 하나가, 스테이터 코어 (26) 보다 모터 구동 회로 (40) 에 가까운 전동 모터 (19) 의 부분에 위치하는 코일 단부 (29e; 제 1 코일 단부) 에 의해 형성된 간극 (29s) 에 삽입될 수도 있고, 삽입 돌기 피스들 (62) 중 적어도 하나가, 스테이터 코어 (26) 보다 압축 유닛 (18) 에 가까운 전동 모터 (19) 의 부분에 위치하는 코일 단부 (29f; 제 2 코일 단부) 에 의해 형성된 간극 (29s) 에 삽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 (61) 에는 연장부 (81) 가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 (81) 는, 회전 샤프트 (23) 의 축선 방향을 따라 코일 단부 (29e) 와 코일 단부 (29f) 사이에 연장된다. 연장부 (81) 에서 모터 구동 회로 (40)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분에는, 모터 구동 회로 (40)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전동 모터 (19) 의 부분에 위치하는 코일 단부 (29e) 에 의해 형성된 간극 (29s) 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 피스 (62) 가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 (81) 에서 압축 유닛 (18)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분에는, 압축 유닛 (18)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전동 모터 (19) 의 부분에 위치하는 코일 단부 (29f) 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 (29s) 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 피스 (62) 가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삽입 돌기 피스 (62) 가 대응하는 간극들 (29s) 에 삽입될 때, 클러스터 블록 (51) 은 커플링 부재 (61) 에 의해 스테이터 (25) 에 커플링된다. 이것은, 회전 샤프트 (23) 의 축선 방향으로 클러스터 블록 (51) 의 변위를 쉽게 억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삽입 돌기 피스 (62) 에서 맞물림 섹션 (62f) 이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 (61a) 의 하측에서 원위 단부를 향해 2 개의 삽입 돌기 피스 (82) 는 각각 테이퍼링될 수도 있다. 2 개의 삽입 돌기 피스 (82) 를 간극들 (29s) 에 삽입함으로써, 클러스터 블록 (51) 은 커플링 부재 (61) 로 스테이터 (25)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 (61) 는 2 개의 돌기부 (64) 를 포함할 수도 있고, 스테이터 코어 (26) 의 단부 면 (26e) 은 돌기부 (64) 를 수용하는 오목부 (26h: recesses)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돌기부 (64) 를 대응하는 오목부 (26h) 에 삽입함으로써, 커플링 부재 (61) 는 클러스터 블록 (51) 을 스테이터 코어 (26) 에 커플링한다. 각 돌기부 (64) 는 막대 형상이고, 커플링 부재 (61) 의 본체 (61a) 에서 압축 유닛 (18)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단부 면 (본체 (61a) 의 제 2 단부 면) 으로부터 직선으로 돌출해 있다. 각 오목부 (26h) 는 위에서 보았을 때 원형 홀의 형상을 가지고, 치형부 (27) 중 하나의 폭방향 중심선 (L1) 을 따라 놓여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각 오목부 (26h) 는, 치형부 (27) (스테이터 코어 (26)) 내에서 발생하는 자계가 스테이터 코어 (26) 의 외주측에서 둘로 나누어져 자속이 스테이터 코어 (26) 에서 포화되기 어려운 (낮은 자속 밀도) 위치에 형성된다. 이것은 자속 흐름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한다. 그러므로, 돌기부 (64) 를 대응하는 오목부 (26h) 에 단순히 삽입하는 것만으로, 클러스터 블록 (51) 은 커플링 부재 (61) 로 스테이터 코어 (26)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스테이터 코어 (26) 의 외주면에 도브테일 홈을 형성할 때와 비교해, 스테이터 코어 (26) 를 통과하는 자속의 흐름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2 개의 돌기부가 스테이터 코어 (26) 의 단부 면 (26e) 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돌기부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커플링 부재 (61) 에 형성될 수도 있다. 2 개의 돌기부를 대응하는 오목부에 삽입함으로써, 커플링 부재 (61) 로 클러스터 블록 (51) 이 스테이터 코어 (26) 에 커플링된다.
도 1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앙 돌기 피스 (83) 및 2 개의 외측 돌기 피스 (84, 85) 를 커플링 부재 (61) 의 본체 (61a) 의 하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중앙 돌기 피스 (83) 는 간극 (29s) 에 삽입되어 끼워맞춤된다. 2 개의 외측 돌기 피스 (84, 85) 는, 중앙 돌기 피스 (83) 의 2 개의 양측에 배치된다. 2 개의 외측 돌기 피스 (84, 85) 는, 중앙 돌기 피스 (83) 가 삽입되는 간극 (29s) 의 양측에 위치하는 2 개의 간극 (29s) 에 삽입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중앙 돌기 피스 (83) 및 2 개의 외측 돌기 피스 (84, 85) 가 삽입 돌기 피스로서 기능한다. 중앙 돌기 피스 (83) 는 본체 (61a) 의 하측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중앙 돌기 피스 (83) 및 외측 돌기 피스 (84) 는, 서로 대향하고 기저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를 향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대향면 (83a, 84a) 을 포함한다. 대향면 (83b, 85a) 은 중앙 돌기 피스 (83) 에서 서로 대향하고 외측 돌기 피스 (85) 는 기저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를 향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각 대향면 (83a, 83b, 84a, 85a) 은, 본체 (61a) 의 하측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외측 돌기 피스 (84, 85) 의 각각에 있어서 중앙 돌기 피스 (83) 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외측면 (84b, 85b) 은, 기저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중앙 돌기 피스 (83) 를 향하여 연장된다. 따라서, 외측 돌기 피스 (84, 85) 의 각각은, 기저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를 향해 중앙 돌기 피스 (83) 를 향하여 경사진 테이퍼링된 형상을 갖는다. 중앙 돌기 피스 (83) 의 두께는 외측 돌기 피스 (84, 85) 각각의 두께보다 크다. 중앙 돌기 피스 (83) 가 간극 (29s) 내에서 이웃하는 절연 시트 (28) 사이에 압입 끼워맞춤되어 고정될 수 있는 두께를 중앙 돌기 피스 (83) 가 가지도록 설정된다.
그러므로, 1 개 또는 2 개의 삽입 돌기 피스가 커플링 부재 (61) 의 본체 (61a) 에 배치되고 간극들 (29s) 에 삽입되어 커플링 부재 (61) 로 클러스터 블록 (51) 을 스테이터 (25) 에 커플링시킬 때와 비교해, 스테이터 (25) 에 대해 클러스터 블록 (51) 의 커플링이 보강된다. 또한, 중앙 돌기 피스 (83) 에서 대향면 (83a, 83b, 84a, 85a) 은 서로 대향하고, 기저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를 향하여 외측 돌기 피스 (84, 85) 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각각의 외측 돌기 피스 (84, 85) 에서 중앙 돌기 피스 (83) 의 양측에 위치하는 외측면 (84b, 85b) 은, 기저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를 향해 중앙 돌기 피스 (83) 를 향하여 연장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중앙 돌기 피스 (83) 및 외측 돌기 피스 (84, 85) 는, 스테이터 코어 (26) 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간극들 (29s) 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스테이터 (25) 에 대한 스테이터 코어 (26) 의 원주 방향을 따라 커플링 부재 (61) 의 운동은, 외측 돌기 피스 (84, 85) 를 대응하는 간극들 (29s) 에 삽입함으로써 규제될 수 있다. 중앙 돌기 피스 (83) 의 두께는 외측 돌기 피스 (84, 85) 각각의 두께보다 크다. 도전 단자 (43) 와 접속 단자 (51a) 를 접속할 때 클러스터 블록 (51) 에 인가되는 하중은, 중앙 돌기 피스 (83) 의 두께가 외측 돌기 피스 (84, 85) 각각의 두께보다 얇을 때와 비교해, 쉽게 수용될 수도 있다. 중앙 돌기 피스 (83) 는, 간극 (29s) 내에서 이웃하는 절연 시트 (28) 사이에 압입 끼워맞춤되어 고정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도록 설정된다. 이것은, 간극 (29s) 으로부터 중앙 돌기 피스 (83) 의 분리, 및 스테이터 (25) 로부터 커플링 부재 (61) 의 분리를 방지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삽입부가 커플링 부재 (61) 에 배치될 수도 있고, 삽입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클러스터 블록 (51) 에 배치될 수도 있다. 게다가, 후크부가 삽입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후크부가 클러스터 블록 (51) 에 걸릴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삽입부 (51f) 로부터 후크부 (51g) 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접촉부 (63) 를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삽입 돌기 피스 (62) 가 삽입되는 간극은 코일 단부 (29e) 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삽입 돌기 피스 (62) 가 삽입될 때 커플링 부재 (61) 에 의해 클러스터 블록 (51) 이 스테이터 (25) 에 커플링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공간이라면, 어떠한 공간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삽입 돌기 피스 (62) 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스테이터 (25) 에 맞물림 섹션 (62f) 이 유지되기만 하면, 맞물림 섹션 (62f) 은 코일 (29) 에 유지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클러스터 블록 (51) 과 커플링 부재 (61) 는 탄성을 갖는 부분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탄성을 갖는 부분이 탄성 변형될 때, 스테이터 (25) 에 대한 클러스터 블록 (51) 의 커플링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클러스터 블록 (51) 과 커플링 부재 (61) 는 단일 금형 (die) 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클러스터 블록 (51) 과 커플링 부재 (61) 가 분리되었을 때와 비교해, 클러스터 블록 (51) 및 커플링 부재 (61) 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전 샤프트 (23) 의 반경 방향으로 코일 단부 (29e) 의 내주측으로부터 각 간극 (29s) 에 한 쌍의 삽입 돌기 피스 (62) 를 삽입함으로써, 클러스터 블록 (51) 은, 회전 샤프트 (23) 의 반경 방향으로 코일 단부 (29e) 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스테이터 (25)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축 유닛 (18), 전동 모터 (19) 및 모터 구동 회로 (40) 가 순서대로 회전 샤프트 (23) 의 축선 방향으로 배치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인버터 커버 (41) 가 모터 하우징 (12) 의 주연 벽에 고정될 수도 있고, 모터 하우징 (12) 의 주연 벽과 인버터 커버 (41) 에 의해 규정되는 수용 구획부에 모터 구동 회로 (40) 가 수용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축 유닛 (18) 은, 예를 들어, 피스톤 타입, 베인 타입 등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실시형태들은 예시로서 고려되어야 하고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은 본원에 주어진 세부사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의 등가물 및 범위 내에서 수정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전동 압축기로서,
    스테이터 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로부터 돌출한 코일 단부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로터, 및 상기 로터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는 전동 모터;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유닛;
    상기 코일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리드 와이어;
    상기 리드 와이어에 전기 접속되는 접속 단자;
    상기 접속 단자를 수용하는 클러스터 블록;
    상기 전동 모터, 상기 압축 유닛, 및 상기 클러스터 블록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 회로;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모터 구동 회로를 전기 접속하는 도전 단자; 및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클러스터 블록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클러스터 블록을 상기 스테이터에 커플링시키는,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접속 단자가 상기 도전 단자와 대향하도록, 상기 스테이터에 대한 상기 클러스터 블록의 커플링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되는, 전동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블록은 상기 커플링 부재와 분리되어 있는, 전동 압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블록과 상기 커플링 부재 중 하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스터 블록과 상기 커플링 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를 상기 수용부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클러스터 블록과 상기 커플링 부재가 함께 커플링되는, 전동 압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블록과 상기 커플링 부재 중 하나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클러스터 블록과 상기 커플링 부재 중 다른 하나에 걸리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스테이터와 접촉하고 상기 클러스터 블록을 동일한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부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삽입 돌기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단부에 의해 형성된 간극에 상기 삽입 돌기 피스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클러스터 블록이 상기 스테이터에 커플링되는, 전동 압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돌기 피스는, 상기 스테이터와 맞물림 가능한 맞물림 섹션을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돌기 피스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간극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삽입 돌기 피스들은 상기 간극들에 각각 삽입되는, 전동 압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단부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축선 방향으로 제 1 단부에 위치하는 제 1 코일 단부, 및 상기 축선 방향으로 제 2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코일 단부 중 하나이고,
    상기 삽입 돌기 피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코일 단부에 의해 형성된 간극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 돌기 피스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상기 제 2 코일 단부에 의해 형성된 간극에 삽입되는, 전동 압축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들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삽입 돌기 피스들은 적어도 중앙 돌기 피스와 2 개의 외측 돌기 피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돌기 피스는 상기 간극들 중 하나에 삽입되어 끼워맞춤되고;
    상기 2 개의 외측 돌기 피스들은 상기 중앙 돌기 피스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중앙 돌기 피스가 삽입되는 상기 간극의 양측에 배치된 간극들로 삽입되고;
    상기 중앙 돌기 피스 및 상기 2 개의 외측 돌기 피스들은, 서로 대향하고 기저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를 향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대향 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2 개의 외측 돌기 피스들 각각은, 상기 중앙 돌기 피스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은 상기 기저 단부로부터 상기 원위 단부를 향해 상기 중앙 돌기 피스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중앙 돌기 피스는, 상기 2 개의 외측 돌기 피스들 각각보다 두꺼운, 전동 압축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축선 방향으로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단부 면과 상기 코일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전동 압축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및 상기 커플링 부재 중 하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및 상기 커플링 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오목부 (recess) 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를 상기 오목부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클러스터 블록은 상기 스테이터에 커플링되는, 전동 압축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단자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전동 압축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유닛, 상기 전동 모터, 및 상기 모터 구동 회로는 순서대로 상기 회전 샤프트의 축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리드 와이어는, 상기 압축 유닛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상기 전동 모터의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동 압축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블록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코일 단부의 외주측에 위치한 스테이터의 부분에 배치되는, 전동 압축기.
KR20130115281A 2012-10-02 2013-09-27 전동 압축기 KR101486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20502 2012-10-02
JP2012220502 2012-10-02
JP2013152559A JP6127797B2 (ja) 2012-10-02 2013-07-23 電動圧縮機
JPJP-P-2013-152559 2013-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268A KR20140044268A (ko) 2014-04-14
KR101486661B1 true KR101486661B1 (ko) 2015-01-26

Family

ID=49293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5281A KR101486661B1 (ko) 2012-10-02 2013-09-27 전동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74560B2 (ko)
EP (1) EP2716913B1 (ko)
JP (1) JP6127797B2 (ko)
KR (1) KR101486661B1 (ko)
CN (1) CN1037116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3539A1 (ja) * 2016-03-23 2017-09-28 株式会社 豊田自動織機 電動式流体機械
KR102583934B1 (ko) * 2016-09-08 2023-10-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
JP6607148B2 (ja) * 2016-06-27 2019-11-20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
JP6766666B2 (ja) 2017-01-27 2020-10-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6756292B2 (ja) * 2017-03-30 2020-09-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US11355994B2 (en) * 2017-09-15 2022-06-07 Nidec Corporation Mot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WO2019111443A1 (ja) * 2017-12-04 2019-06-13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6943197B2 (ja) * 2018-02-07 2021-09-2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2019152193A (ja) * 2018-03-06 2019-09-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2019152194A (ja) * 2018-03-06 2019-09-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EP3936722A1 (en) * 2020-07-06 2022-01-12 Schott AG Housing part, especially housing part in particular for an electronic housing, preferably e-compressor terminal
DE102022124843A1 (de) 2022-09-27 2024-03-28 Audi Aktiengesellschaft Verbindungsvorrichtung und sie umfassende elektrische Mas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2409A (ja) 2004-07-22 2006-02-09 Denso Corp モータ一体型コンプレッサ
KR20100027958A (ko) * 2008-09-02 2010-03-11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전동 컴프레서
KR20110036958A (ko) * 2008-09-01 2011-04-12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전동 컴프레서
KR20120030929A (ko) * 2010-09-20 2012-03-2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1454A (en) * 1989-06-20 1990-05-01 Amp Incorporated Cluster block assembly
JPH06299967A (ja) * 1993-04-15 1994-10-25 Hitachi Ltd 密閉形電動圧縮機
JP4265310B2 (ja) 2003-06-30 2009-05-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小型直流モータ
TWI320452B (en) 2006-08-11 2010-02-11 Foxconn Tech Co Ltd Pump
JP4983714B2 (ja) 2008-04-23 2012-07-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5120153B2 (ja) * 2008-05-23 2013-01-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コンプレッサ
JP4998377B2 (ja) 2008-06-09 2012-08-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4998527B2 (ja) 2009-09-08 2012-08-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5669586B2 (ja) * 2011-01-07 2015-02-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圧縮機用モ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動圧縮機
JP2012172543A (ja) * 2011-02-18 2012-09-10 Toyota Industries Corp 電動圧縮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2409A (ja) 2004-07-22 2006-02-09 Denso Corp モータ一体型コンプレッサ
KR20110036958A (ko) * 2008-09-01 2011-04-12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전동 컴프레서
KR20100027958A (ko) * 2008-09-02 2010-03-11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전동 컴프레서
KR20120030929A (ko) * 2010-09-20 2012-03-2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93408A1 (en) 2014-04-03
JP6127797B2 (ja) 2017-05-17
CN103711673A (zh) 2014-04-09
KR20140044268A (ko) 2014-04-14
JP2014088871A (ja) 2014-05-15
CN103711673B (zh) 2016-06-22
EP2716913A2 (en) 2014-04-09
US9574560B2 (en) 2017-02-21
EP2716913A3 (en) 2017-06-28
EP2716913B1 (en)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661B1 (ko) 전동 압축기
EP2696076B1 (en) Motor-driven compressor
EP2216885B1 (en) Interior permanent magnet type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EP3525323B1 (en) Compressor driven by an electric motor
EP3154175B1 (en) Electric motor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MX2011010282A (es) Motor de iman permanente sin escobillas de arranque en linea con devanado de aluminio.
KR101631788B1 (ko) 회전 전기 기계용의 상간 절연 시트, 회전 전기 기계 및 차량용 전동 압축기
US9194394B2 (en) Motor-driven compres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536492B2 (en) Electric compressor with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JP2019152194A (ja) 電動圧縮機
US20230107796A1 (en) Motor-driven compres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tor-driven compressor
WO2017163539A1 (ja) 電動式流体機械
KR101760748B1 (ko)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JP2019152195A (ja) 電動圧縮機
JP2019152193A (ja) 電動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