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443B1 - Multi-dimensional and object-oriented data management system for bridge based on mobile field inspection, and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ulti-dimensional and object-oriented data management system for bridge based on mobile field inspection, and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443B1
KR101486443B1 KR20120134214A KR20120134214A KR101486443B1 KR 101486443 B1 KR101486443 B1 KR 101486443B1 KR 20120134214 A KR20120134214 A KR 20120134214A KR 20120134214 A KR20120134214 A KR 20120134214A KR 101486443 B1 KR101486443 B1 KR 101486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information
survey
site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342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68297A (en
Inventor
박경훈
송재준
선종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120134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443B1/en
Publication of KR20140068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2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4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10Constructive solid geometry [CSG] using solid primitives, e.g. cylinders, cub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omet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현장에서 다차원의 다양한 정보를 조회 및 입력하는데 있어 관리하고자 하는 교량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부재의 3차원 객체를 활용하여 기존의 텍스트나 2차원 관리 방식에 비해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조회 및 입력 등의 관리 행위를 수행할 수 있고, 유지관리단계에서 얻어지는 다차원적이며 객체지향형 자료의 연계, 통합을 통해 시간적, 금전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교량 네트워크의 정보를 분석, 공유 및 공개함으로써 교량구조물 관리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교량 네트워크 관리 체계의 고도화, 정보화를 통해 보다 안전하게 사회기반시설을 이용하고, 관리주체는 합리적이고 장기적인 관리전략의 수립과 비용효율적인 일관된 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In order to inquire and input various inform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in the field, it utilizes the three-dimensional object of the individual member constituting the bridge structure to be managed, so that the management of inquiry and input such as intuitive and efficient, Improve the management of bridge structures by analyzing, sharing and releasing information of various bridge networks by minimizing temporal and monetary losses through linkage and integration of multi-dimensional and object-oriented data obtained from the maintenance stage. Mobile field survey-based management system that can use social infrastructure more securely through advanced and informationalization of bridge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establishing reasonable and long-term management strategy and cost-effective coherent management system.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ts Rooms The law is provided.

Description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MULTI-DIMENSIONAL AND OBJECT-ORIENTED DATA MANAGEMENT SYSTEM FOR BRIDGE BASED ON MOBILE FIELD INSPECTION, AND METHOD FOR THE SAME}[0001]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0002] MULTI-DIMENSIONAL AND OBJECT-ORIENTED DATA MANAGEMENT SYSTEM FOR BRIDGE BASED ON MOBILE FIELD INSPECTION, AND METHOD FOR THE SAME [

본 발명은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교량구조물을 관리하는 관리주체의 담당자가 전문적인 지식이나 숙달된 경험 없이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기존의 다차원의 정보를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 which a person in charge of managing a plurality of bridge structures inquires existing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using an intuitive user interface without expert knowledge or experti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교량의 정보를 저장, 축적, 활용 및 분석하여 관리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교량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보를 조회하고, 현장조사를 통한 정보를 교량관리 시스템에 입력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예를 들면, 스마트폰)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Generally, in order to input information into a bridge management system by accessing a bridge management system that stores useful information to a manager by storing, accumulating, utilizing, and analyzing the information of the bridge, (E. G., Smart phones). ≪ / RTI >

국내에서도 경제발전과 더불어 수많은 인프라구조물(Infrastructures)이 건설되고 있으나, 공용중인 도로, 교량, 터널, 댐, 항만 등의 인프라구조물의 정보관리의 체계화와 선진화는 미흡한 실정이며, 또한, 인프라구조 네트워크의 현장정보의 입력 방식이 최신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관리자나 사용자 친화적인 환경으로 구현되어 있지 못하며, 이로 인해 수집되는 데이터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Numerous infrastructures have been constructed along with the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However, systematization and advancement of information management of infrastructures such as public roads, bridges, tunnels, dams, and harbors are insufficient. Also, The input method of the field information is not implemented in an administrator or a user friendly environment by utilizing the latest information technology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collected data.

예를 들면, 기존의 시설물관리 시스템은 관리현장의 정보와 관리시스템의 정보가 효율적으로 연계 및 순환되지 않고 있으며, 단지 정보입력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유용한 정보제공 역할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정보입력 방식이 텍스트나 2차원적인 평면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입력의 용이성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For example, existing facilities management systems are not able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because information on management sites and information on management systems are not efficiently linked and circulated, but are merely based on information input. Also, since the information input method utilizes text or a two-dimensional plane, the inputting easiness is very low.

한편, 현재 건설분야에서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방법의 적용을 통해 공공시설물에 대한 입체형 설계와 전 생애주기 동안 발생하는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건설공사의 품질향상을 도모하고자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the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method is appli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onstruction work by integrally managing the stereoscopic design of public facilities and the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entire life cycle.

하지만 대부분의 정보관리는 계획, 설계 시공시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데 치중하고 있다. 계획, 설계, 시공 단계에서 BIM의 사용자 및 활용자는 전문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는 엔지니어에 국한되어 있으며, 최종적으로 준공되어 공용중인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관리주체의 담당자가 이를 활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However, most information management is focused on solving the problems in planning and designing. In the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s, the users and users of BIM are limited to the engineers who have the technical expertise. There is a limit to the use of this by the person in charge of the maintenance of the facility have.

한편, 인프라구조 네트워크의 관리를 위한 생애주기관리(Life-Cycle Management) 기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관리현장(유지보수활동)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관리시스템과 연계하기 위한 보다 효율적인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Meanwhile, a life-cycle management technique for managing an infrastructure network has been applied, and a more efficient method for link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a management site (maintenance activity) to a management system has been developed.

도 1은 교량의 유지보수활동을 관리시스템과 연계시키는 유지관리체계를 예시하는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intenance system that links maintenance activities of a bridge with a management syste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보수활동(10)은 육안점검, 안전진단, 예산상정 및 공사수행 등 실제 교량의 관리 현장에서 수행되는 모든 활동을 포함하며, 다양한 관련 정보들이 발생되게 된다. 유지관리 현장에서 발생되는 정보들은 정보관리 시스템(21)에 입력되며, 입력된 정보를 활용하여 정보분석 시스템(22)은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게 된다. 즉, 관리 시스템(20)은 이러한 정보관리 시스템(21) 및 정보분석 시스템(22)을 포함하며, 이때, 정보분석 시스템(22)은 성능예측, 비용추정 및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정보분석 시스템(22)을 통해 분석된 결과들은 어떠한 유지보수활동(10)을 수행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기초자룔 활용된다. 예를 들면, 유지관리활동 예산을 산정하거나, 어떤 교량에 대해서 안전진단이나 유지보수를 수행할 것인가를 결정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유지보수활동(10)과 상기 관리시스템(20)간에 연계가 이루어지고 정보가 순환되어야 한다.As shown in FIG. 1, the maintenance activity (10) includes all activities performed at the management site of actual bridges such as visual inspection, safety diagnosis, budget estimation and construction work, and various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Information generated at the maintenance site is input 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21, and the information analysis system 22 performs various analyzes using the input information. That is, the management system 20 includes th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21 and the information analysis system 22, wherein the information analysis system 22 is for supporting performance prediction, cost estimation and decision making, The results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system 22 are utilized as a basis for determining which maintenance activities 10 to perform. For example, it will determine the maintenance activity budget, and decide which bridges to carry out safety diagnosis or maintenance. Thus, the maintenance activities (10) and the management system (20) must be linked and the information circulated.

한편, 교량의 구조제원정보, 점검 및 진단 정보 등 유지관리활동(10)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의 신뢰도가 정보분석의 신뢰도를 좌우한다. 그러나 교량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관리주체의 숙련되지 않은 비전문가의 점검결과에 대한 신뢰도는 낮은 상태이다. 따라서 교량 점검 담당자에게 다양한 유사 사례정보와 이력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판단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판단결과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체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the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aintenance activities (10) such as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ridges, the inspection and the diagnosis information, etc., determines the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analysis. However, the reliability of the untrained non - experts of the management body responsible for bridge management is 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judgment by providing various similar case information and history information to the bridge inspection person, and can easily input the judgment result.

또한, 인프라구조 네트워크 내의 구조물들에서 발생되는 정보(Site Information)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기 위한 노력은 주로 정보를 수용하는 DB시스템의 개발에 치중되어왔으나,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한 정보의 입력방식에 대한 연구개발이 최근 진전되고 있다.In addition, the effort to make the database (DB) of th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structures in the infrastructure network has mainly been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DB system accommodating information. However,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method of inputting the information used has recently been advanced.

이때, 발생되는 정보의 처리 방법은 프로그램적인 관점에서 보면 순차적(Procedural), 구조적(Structured), 객체지향(Object-oriented)의 단계로 발전되고 있으며, 이때, 처리도구로는 텍스트 또는 2D 도면/사진 기반의 무선통신기기가 적용되고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ing method of information generated is progressing from procedural, structured, and object-oriented steps in terms of a program, and processing tools include text or 2D drawings / photographs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re being applied.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88288호에는 "캐드 도면에 형성된 객체 식별자를 시설물 식별자로 변환하는 방법과 그 시설물 식별자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688288 discloses an invention entitled " Method for converting object identifiers formed in CAD drawings into facility identifiers and facility management methods using the facility identifiers ".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설물 식별자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방법은 캐드 도면에 형성된 객체 식별자를 전체 시설물에서 식별될 수 있는 시설물 식별자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 변환된 시설물 식별자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설물을 도시한 복수의 캐드 도면 각각에서만 식별되는 객체 식별자를 시설물 식별자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 변환된 시설물 식별자와 시설물 관리정보를 연계하여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A facility management method using a facility identifi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a method of converting an object identifier formed in a CAD diagram into a facility identifier that can be identified in the entire facility and a facili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converted facility identifier, A method for converting an object identifier identified only in each of a plurality of CAD drawings showing a facility into a facility identifier, and a method for managing facilities by linking the converted facility identifier and facility management information.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설물 식별자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방법의 경우, 사용자가 시설물 식별자를 직접 입력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도면이 나타내는 기본정보를 직접 입력할 필요가 없이 시설물 전체에 대한 각 캐드 도면의 객체 식별자를 조합하여 자동으로 시설물 식별자를 형성하여 시설물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facili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facility identifi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t is not necessary for the user to directly input the facility identifier, and the user does not need to directly input the basic information shown in the drawings, The facilities can be managed collectively by forming a facility identifier automatically by combining identifiers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88288호에는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및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국토해양부에서 운영하는 건설 CALS내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은 인벤토리, 점검정보 등을 Web, 2D 기반으로 관리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No. 10-688288 discloses an invention entitled " Facility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nd facility maintenance method ". The facility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in the construction CALS operated by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re managed on the Web and 2D basis.

한편, 기존 공용중인 인프라구조물의 정보관리 체계를 최신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현재보다 더 관리자와 사용자 중심적으로 개선이 필요하며, 현장정보의 신뢰도를 확보하여야 보다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인프라구조 네트워크의 유지관리 체계 수립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existing public infrastructures using the lates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o maintain the credibility of the sit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stablish.

특히, 교량과 같이 다양한 부재들(예를 들면, 교면포장, 바닥판, 주형, 2차부재, 교대/교각, 기초, 난간/연석, 배수시설, 신축이음, 교량받침 등)과 재료들(예를 들면, 강재, 콘크리트, 아스팔트 등)로 이루어져 있고, 통행 교통특성(예를 들면, 교통량, 차량종류 등)과 주변 환경(예를 들면, 하천, 산악, 해안, 홍수, 태풍, 지진 등)에 따라 열화 정도가 달라지는 구조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여타 인프라구조물보다 세심한 관리가 요구된다.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members such as bridges (for example, pavement pavement, bottom plate, mold, secondary member, shift / pier, foundation, railings / curb, drainage facility, expansion joint, (Eg, river, mountain, coast, flood, typhoon, earthquake, etc.) and traffic environment (for example, In order to manage structures with varying degrees of degradation, more careful management is required than other infrastructure structures.

이를 위해서는 기존 방법과 차별화된 인프라구조물의 위치, 도면, 사진, 상태, 비용 등 다차원의 정보 관리와 교량구조물의 주요 구성요소에 기반을 둔 객체지향 정보처리, 교량 네트워크 내 모든 구성요소 정보의 통합관리가 요구된다.To accomplish this, it is necessary to manage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drawing, photograph, status and cost of existing infrastructure and differentiated infrastructure, object-oriented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major components of bridge structure, integrated management of all component information in bridge network Is required.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44252호(출원일: 2010년 9월 14일), 발명의 명칭: "공간모델을 이용한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및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Korean Patent No. 10-1044252 filed on Sep. 14, 2010, entitled "Facility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nd facility maintenance method using spatial model"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88288호(출원일: 2004년 12월 10일), 발명의 명칭: "캐드 도면에 형성된 객체 식별자를 시설물 식별자로 변환하는 방법과 그 시설물 식별자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방법"Korean Patent No. 10-688288 filed on Dec. 10, 2004, entitled "METHOD OF CONVERTING OBJECT IDENTIFIERS INCIDED TO CAD IDENTIFIER TO FACILITIES IDENTIFIER AND METHOD FOR MANAGING FACILITIES USING THE FACILITY IDENTIFIER '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488313호(출원일: 2002년 9월 7일), 발명의 명칭: "교량 기술 축적 제공 시스템 및 방법"Korean Patent No. 10-488313 filed on Sep. 7, 2002, entitl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ridge technology accumul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75213호(출원일: 2008년 4월 8일), 발명의 명칭: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토건정보 패키지 운영 시스템"Korean Patent No. 10-975213 filed on Apr. 8, 2008, entitled "System for operating an information network package based on an online network"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27277호(출원일: 2007년 7월 27일), 발명의 명칭: "아이티 기반 교량 관리 시스템"Korean Patent No. 10-927277 filed on July 27, 2007 Title of invention: "Haiti-based bridge management system"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06861호(출원일: 2004년 7월 16일), 발명의 명칭: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및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Korean Patent No. 10-606861 filed on July 16, 2004, entitled "Facility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nd facility maintenance method"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56257호(출원일: 2010년 11월 30일), 발명의 명칭: "BIM 기반 스마트 BOM의 형상관리에 의한 전수명주기를 고려한 철도 건설사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Korean Patent No. 10-1056257 filed on November 30, 2010, entitled "Railway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onsidering Life Cycle by Configuration Management of BIM-based Smart BOM"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17232호(출원일: 2009년 11월 25일), 발명의 명칭: "속성-기반 BIM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Korean Patent No. 10-1117232 filed on November 25, 2009, entitled " Property-based BI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98383호(출원일: 2009년 12월 16일), 발명의 명칭: "BIM 정보를 이용한 지능형 시설물 관리 장치 및 방법"Korean Patent No. 10-1098383 filed on Dec. 16, 2009, entitled " Intelligent Facility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ing BIM Information "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현장에서 다차원의 다양한 정보를 조회 및 입력하는데 있어 관리하고자 하는 교량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부재의 3차원 객체를 활용하여 기존의 텍스트나 2차원 관리 방식에 비해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조회 및 입력 등의 관리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earching for and inputting various information in a multi-dimensional space on a site by us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of a member constituting a bridge structure to be managed, 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at can perform management operations such as inquiry and input intuitively and efficiently as compared with a two-dimensional management method.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교량 현장조사 프로그램(Mobile Application for Bridge Inspection: MABI)이 실행되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서, 현장에서 교량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부재의 3차원 객체를 활용하여 점검교량의 정보를 조회 또는 입력하는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 및 교량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운영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에게 점검교량에 대한 DB 파일을 제공하고,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가 점검교량의 정보를 조회 또는 입력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실시간 처리하는 교량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는, GIS 기반의 점검교량 위치정보를 내장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프로그램(MABI)을 실행하여 해당 점검교량을 선택하면 해당 점검교량을 구성하는 3D 부재의 조합을 통해 해당 점검교량의 3D 모델을 형성하고, 상기 3D 부재를 매개로 하여 관련정보 조회 및 입력이 수행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는, 현장점검을 통해 점검교량의 실제 위치 및 교량의 제원을 비교하여 수정하고, 상기 점검교량의 전경 및 경간별, 부재별 사진과 도면 관련정보를 조회 및 등록하며, 상기 점검교량의 부재별 상태를 점검하여 현재 상태등급 및 상태설명을 등록하는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은, 현장조사 결과 및 이력을 조회하기 위하여 3차원 객체를 선택하면, 해당 대표부재의 제원, 관련 사진, 도면, 상태등급의 변화 이력 조회가 가능하며, 상기 현장조사 결과는 상태등급, 손상정보 및 사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현장조사 결과가 상기 교량관리 서버에 실시간으로 저장되어 정형화된 현장조사 결과 보고서 형태로 자동으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 portable user terminal for executing a Mobile Application for Bridge Inspection (MABI) , A bridge site survey client that inquires or inputs information of a check bridge us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of an individual member constituting a bridge structure in the field; And a bridge management program for providing a DB file for the bridge to be inspected to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and when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inquires or inputs the information of the bridge to be inspected, Wherein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includes a GIS-based bridge position information and executes a bridge field survey program (MABI) to select a bridge to be inspected, the combination of 3D members constituting the bridge to be inspected A 3D model of the inspection bridge is formed through the 3D member, and related information inquiry and input are performed via the 3D member;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compares and corrects the actual location of the bridge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bridge through site inspection, inquires and register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hotographs and drawings of the bridge according to the foreground and span of the bridge, A mobile field survey module for checking the absence status of the bridge and registering the current status class and the status description; When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s selected to inquire the field survey result and history, the mobile field survey module can inquire change history of the representative member, the related photograph, the drawing, and the status grade. Wherein the site survey result is stored in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and automatically created in the form of a field survey result report.

여기서,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는, 상기 교량관리 서버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모듈; 상기 점검교량을 구성하고 있는 교량부재를 교면포장, 바닥판, 주형, 2차부재, 교대/교각, 기초, 난간/연석, 배수시설, 신축이음, 교량받침으로 구분되는 대표부재별로 객체화하는 3D 모델링 시각정보 모듈; 상기 점검교량의 현재위치를 파악하여 지도상에 표시하고, 현장 점검을 통해 점검교량의 실제 위치를 비교하여 수정하는 GIS/GPS 모듈; 상기 점검교량의 전경 및 경간별, 부재별 사진과 도면 관련정보를 획득하는 사진도면정보 획득모듈; 및 교량점검 매뉴얼 조회를 위한 개방형 전자매뉴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D modeling of the bridge members composing the inspection bridges by object representative members classified into bridge pavement, bottom plate, casting, secondary member, alternation / pier, foundation, rail / curb, drainage facility, expansion joint, Visual information module; A GIS / GPS module for identify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inspection bridge, displaying it on a map, comparing the actual positions of the inspection bridges by a field inspection, and correcting the same; A photograph drawing information acquiring module for acquiring photographs and drawing related information by foreground and span of the inspection bridge, and by members; And an open electronic manual for querying the bridge check manual.

여기서, 상기 점검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는 단면 치수에 따라 자동으로 3D 모델링이 생성되고, 각각의 대표부재의 조합을 통해 개별 점검교량의 경간, 길이 및 폭에 맞는 3D 모델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D modeling is automatically generated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and 3D modeling matching the span, length, and width of the individual check bridges is form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representative members. do.

여기서,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들은 개별 점검교량의 대표상태등급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부재의 상태등급을 5단계로 구분하여 색깔로 표현하고, 원하는 부재만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3차원 축소, 확대 및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representative members constituting the bridge are classified into five grades of state grades of each member so as to grasp the representative state grades of the individual inspection bridges. And is rotatable.

여기서, 상기 개별 점검교량의 대표상태등급은 각 부재의 상태등급에 기초하여 각 부재별 상대적인 중요도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representative state grade of the individual inspection bridges is automatically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member based on the state grade of each member.

여기서, 상기 GIS/GPS 모듈은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교량 점검자의 현재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여 상기 교량 점검자가 점검교량을 확인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IS / GPS module display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bridge inspector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on the map, so that the bridge inspectors confirm the bridge to be inspected.

삭제delete

여기서, 상기 3차원 객체는 교량의 외형에 대해 해당 교량의 부재별로 형성되고, 각 부재들의 조합을 통해 하나의 교량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각각의 부재들이 교량정보의 연계 고리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s formed for each member of the bridge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bridge, forms the overall shape of one bridge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respective members, and each member functions as a linkage of the bridge information .

삭제delete

여기서, 상기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은, 상기 교량의 경간이 다수인 경우, GIS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경간 위치를 파악하고, 점검자가 위치하고 있는 경간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경간의 점검결과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mobile field survey module may determine the current span position using the GIS information when the span of the bridge is plural, automatically recognize the span where the inspector is located, and input the check result of the span .

여기서,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서, 스마트폰, PDA, 노트북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is a portable user terminal, and is selected from a smart phone, a PDA, and a notebook computer.

여기서, 상기 교량관리 서버는, 상기 교량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의 교량정보 조회 및 수정에 대응하여 실시간 처리하는 교량관리 제어부; 및 교량 기본정보 DB, 현장조사결과 DB 및 상태등급/위치정보 DB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DB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정된 교량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DB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may include: a bridge management controller for real-time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bridge information inquiry and correction of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according to the bridge management program; And a bridge server for storing the DB file provided to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and storing the bridge information modified by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including a bridge basic information DB, a field survey result DB, and a status grade / location information DB, DB.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은, a)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교량관리 서버로부터 DB 파일을 다운로드받는 단계; b)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c)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교량을 검색하고, GIS/GPS-기반 교량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교량을 선택하고,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별로 교량 3D 모델링을 조회하는 단계; e)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3D 부재 및 경간을 선택하는 단계; f)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현장조사를 수행하는 단계; g)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각 부재별 상태등급을 평가하고, 관련 사진 및 도면을 검색하는 단계; h)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교량 기본제원, 상세제원, 경간/지점 제원을 수정하는 단계; 및 i)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사진정보를 조회하고, 현장 사진을 촬영하고, 사진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는 현장에서 교량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부재의 3차원 객체를 활용하여 교량정보를 조회 및 입력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는, 현장점검을 통해 점검교량의 실제 위치 및 교량의 제원을 비교하여 수정하고, 상기 점검교량의 전경 및 경간별, 부재별 사진과 도면 관련정보를 조회 및 등록하며, 상기 점검교량의 부재별 상태를 점검하여 현재 상태등급 및 상태설명을 등록하는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은, 현장조사 결과 및 이력을 조회하기 위하여 3차원 객체를 선택하면, 해당 대표부재의 제원, 관련 사진, 도면, 상태등급의 변화 이력 조회가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현장조사 결과는 상태등급, 손상정보 및 사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현장조사 결과가 상기 교량관리 서버에 실시간으로 저장되어 정형화된 현장조사 결과 보고서 형태로 자동으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receiving a DB file from a bridge management server; b)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c)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searching for a bridge and confirming GIS / GPS-based bridge location information; d) selecting the bridge by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and querying the bridge 3D modeling for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bridge; e) selecting the 3D member and span by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f) performing the field survey by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g)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evaluating a state grade for each member and searching for associated photos and drawings; h)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modifying bridge basic specification, detail specification, span / branch specification; And i)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retrieving photo information, photographing the scene photographs, and generating a photo file, wherein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is a three-dimensional Objects are utilized to inquire and input the bridge information;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compares and corrects the actual location of the bridge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bridge through site inspection, inquires and register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hotographs and drawings of the bridge according to the foreground and span of the bridge, And a mobile field survey module for registering a current state grade and a state description by checking the state of each member of the bridge, wherein the mobile field survey module selects a three-dimensional object to inquire the field survey result and history, It is possible to inquire change history of member's specifications, related photographs, drawings, and status grades; The site survey result includes a status grade, damage information, and photo information, and the site survey result is stored in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and automatically created in the form of a regular site survey result report.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은, j) 상기 교량관리 서버의 DB에 상기 교량 위치정보, 상기 교량 기본 제원, 경간/지점 제원, 사진정보 및 사진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j) storing the bridge position information, the bridge basic specification, span / branch specification, photo information and photo file in the DB of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서 다차원의 다양한 정보를 조회 및 입력하는데 있어 관리하고자 하는 교량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부재의 3차원 객체를 활용하여 기존의 텍스트나 2차원 관리 방식에 비해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조회 및 입력 등의 관리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quire and input various inform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in the field, the three-dimensional object of the individual member constituting the bridge structure to be managed is used to intuitively and efficiently search And an input operation can be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관리단계에서 얻어지는 다차원적이며 객체지향형 자료의 연계, 통합을 통해 시간적, 금전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교량 네트워크의 정보를 분석, 공유 및 공개함으로써 교량구조물 관리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ridge structure management level by minimizing temporal and monetary losses by linking and integrating multi-dimensional and object-oriented data obtained in the maintenance stage and analyzing, sharing and disclosing information of various bridge networks have.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 네트워크 관리 체계의 고도화, 정보화를 통해 보다 안전하게 사회기반시설을 이용하고, 관리주체는 합리적이고 장기적인 관리전략의 수립과 비용효율적인 일관된 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social infrastructure more safely through upgrading and informing the bridge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the management entity can establish a reasonable and long-term management strategy and construct a cost-effective consistent management system.

도 1은 교량의 유지보수활동을 관리시스템과 연계시키는 유지관리체계를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이 인프라구조 네트워크의 스마트 관리체계로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의 구체적인 동작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교량을 구성하고 있는 부재별로 객체화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교량 현장조사 시스템이 GIS-기반의 스마트폰 상에 구현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가 단면치수에 따라 자동 모델링을 생성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들은 각 부재의 상태등급을 나타내는 색깔로 표현되어 직관적으로 교량의 상태등급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해당 객체와 연결되어 서버에 저장된 관련 정보를 조회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점검자가 다양한 부재를 점검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현장조사결과 보고서가 자동 작성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intenance system that links maintenance activities of a bridge with a management system.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cept of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smart management system of an infrastructure network.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a mobile site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pecific operation flowchart of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objectized object for a member constituting a bridge in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ridge site survey system implemented in a GIS-based smartphone in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presentative member constituting a bridge in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ing automatic modeling according to sectional dimensions.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mobile site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ystem, representative members constituting a bridge are represented by colors representing state grades of respective members,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quiring 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a server in connection with a corresponding object in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a tester examines various elements in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field survey result report is automatically generated in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cept of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field survey-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directional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크게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 및 교량관리 서버(200)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는 부재별 정보입력 및 부재별 정보조회가 가능하다. 이때, 부재별 정보는 교량관리 시스템인 교량관리 서버(200)의 서버 DB로부터 받아오는 정보를 조회하는 "조회정보"와 현장조사를 수행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흐름은 모두 3D 모델화된 교량 부재(객체)를 통해 이루어진다.2,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idge site survey client 100 and a bridge management server 200 At this time,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100 can input information by member and inquire information by member. At this time, the member-specific information can be divided into "inquiry information" for inquir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DB of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200, which is a bridge management system, and "input information" for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site survey. This flow of information is all done through a 3D modeled bridge member (object).

예를 들면, 부재별 정보입력은 해당 교량, 해당 부재의 현장조사결과를 입력할 수 있어야 하고, 손상 상태, 사진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부재별 정보조회는 해당 교량, 해당 부재의 제원, 상태등급, 점검이력 등을 조회할 수 있어야 하고,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네트워크 수준의 정보조회가 가능하며, 예를 들면, 유사 교량들의 상태등급, 손상 현황 등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For example, inputting information by member should be able to input the result of field survey of the bridge, relevant member, and to be able to input damage status, photo inform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information inquiry by member should be able to inquire the bridge, the specification of the member, the status grade, the inspection history,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 Can inquire information at the network level, for example, can inquire information such as the status grade of damaged bridges, damage status, and the like.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 및 교량관리 서버(200)를 포함하고,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서, 무선통신 모듈(110), 3D 모델링 시각정보 모듈(120), GIS/GPS 모듈(130), 사진도면정보 획득모듈(140),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150), 개방형 전자매뉴얼(160) 및 사용자 DB(170)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관리 서버(200)는 교량관리 프로그램(210), 교량관리 제어부(220) 및 서버 DB(230)를 포함한다.3,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idge site survey client 100 and a bridge management server 200, The field survey client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0, a 3D modeling visual information module 120, a GIS / GPS module 130, a photographic drawing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40, a mobile field survey module And a user DB 170.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200 includes a bridge management program 210, a bridge management control unit 220, and a server DB 230.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는 교량관리 서버(200)와 네트워크로 연계되며, 교량 현장조사 프로그램(Mobile Application for Bridge Inspection: MABI)이 실행되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서, 현장에서 교량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부재의 3차원 객체를 활용하여 점검교량의 정보를 조회 또는 입력한다. 이때,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는, GIS 기반의 점검교량 위치정보를 내장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프로그램(MABI)을 실행하여 해당 점검교량을 선택하면 해당 점검교량을 구성하는 3D 부재의 조합을 통해 해당 점검교량의 3D 모델을 형성하고, 상기 3D 부재를 매개로 하여 관련정보 조회 및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서, 스마트폰, PDA, 노트북 중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100 is a portable user terminal that is linked to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200 via a network and executes a Mobile Application for Bridge Inspection (MABI) The information of the inspection bridge is inquired or inputted by utilizing the three-dimensional object of the member. At this time,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100 incorporates GIS-based bridge posi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bridge check site program (MABI) is executed to select the bridge to be checked, a combination of 3D members constituting the bridge A 3D model of the check bridge is formed through the 3D member, and related information inquiry and input can be performed via the 3D member. Here,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100 may be selected from a smart phone, a PDA, and a notebook as a portable user termi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교량관리 서버(200)는 교량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운영되는 교량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에게 점검교량에 대한 DB 파일을 제공하고,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가 점검교량의 정보를 조회 또는 입력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실시간 처리한다.The bridge management server 200 is a bridge management system operated by a bridge management program.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200 provides a DB file for the bridge to be inspected to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100, When the information is inquired or inputted, the information is processed in real time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의 무선통신 모듈(110)은 상기 교량관리 서버(20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무선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무선통신 모듈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0 of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100 may be a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200,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accessing the wireless Internet .

3D 모델링 시각정보 모듈(120)은 상기 점검교량을 구성하고 있는 교량부재를 교면포장, 바닥판, 주형, 2차부재, 교대/교각, 기초, 난간/연석, 배수시설, 신축이음, 교량받침으로 구분되는 대표부재별로 객체화한다. 여기서, 상기 점검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는 단면 치수에 따라 자동으로 3D 모델링이 생성되고, 각각의 대표부재의 조합을 통해 개별 점검교량의 경간, 길이 및 폭에 맞는 3D 모델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들은 점검교량의 상태등급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부재의 상태등급을 매우 좋은 경우부터 매우 안 좋은 경우까지 5단계로 구분하여 색깔로 표현하고, 원하는 부재만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3차원 축소, 확대 및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점검교량의 상태등급은 각 부재의 상태등급에 기초하여 각 부재별 상대적인 중요도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산정될 수 있다.The 3D modeling and visual information module 120 is a module for constructing the inspection bridge by using a bridge member constituting the inspection bridge as a bridge bridge, a bottom plate, a mold, a secondary member, an alternating / piercing bridge, a foundation, a railing / curbstone, a drainage facility, The objects are grouped according to the representative members. 3D modeling is automatically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ctional dimensions of the representative members constituting the inspection bridge, and 3D modeling matching the span, length and width of the individual inspection bridges can be form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respective representative members. The representative members constituting the bridge are classified into five levels from very good to very poor condition grades of each member so as to grasp the status grades of the inspection bridges, It is possible to reduce, enlarge and rotate in three dimensions. In addition, the state class of the inspection bridge can be automatically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member based on the state class of each member.

GIS/GPS 모듈(130)은 상기 점검교량의 현재위치를 파악하여 지도상에 표시하고, 현장 점검을 통해 점검교량의 실제 위치를 비교하여 수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GIS/GPS 모듈(130)은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교량 점검자의 현재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여 상기 교량 점검자가 점검교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The GIS / GPS module 130 can grasp the current position of the inspection bridge, display it on a map, and compare the actual position of the inspection bridge with the on-site inspection. At this time, the GIS / GPS module 130 display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bridge inspector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100 on the map so that the bridge inspectors can check the bridge to be inspected.

사진도면정보 획득모듈(140)은 상기 점검교량의 전경 및 경간별, 부재별 사진과 도면 관련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사진도면정보 획득모듈(140)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hotograph drawing information acquiring module 140 acquires photographs and drawing-related information for each of the foreground and span of the inspection bridge, and the member. The photograph drawing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40 may be a camera built in a smart ph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150)은 현장점검을 통해 점검교량의 실제 위치 및 교량의 제원을 비교하여 수정하고, 상기 점검교량의 전경 및 경간별, 부재별 사진과 도면 관련정보를 조회 및 등록하며, 상기 점검교량의 부재별 상태를 점검하여 현재 상태등급 및 상태설명을 등록한다.The mobile site investigation module 150 compares and corrects the actual location of the inspection bridges and specifications of the bridges through the site inspection, inquires and register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hotographs and drawings of the inspection bridges according to the foreground and span, Check Check the condition of each part of the bridge to register the current status class and status description.

구체적으로, 상기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150)은, 현장조사 결과 및 이력을 조회하기 위하여 3차원 객체를 선택하면, 해당 대표부재의 제원, 관련 사진, 도면, 상태등급의 변화 이력 조회가 가능하다. 여기서, 객체란 일반적으로 말하는 물건을 가리키며, 이러한 물건은 단순한 데이터가 아니고 그 데이터의 조작 방법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고 있어 그것을 대상으로서 다루는 방법이 객체 지향(Object-oriented)이다. 이때, 상기 3차원 객체는 교량의 외형에 대해 해당 교량의 부재별로 형성되고, 각 부재들의 조합을 통해 하나의 교량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각각의 부재들이 교량정보의 연계 고리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현장조사 결과는 상태등급, 손상정보 및 사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관리 서버에 실시간으로 저장되어 정형화된 현장조사 결과 보고서 형태로 자동으로 작성된다.Specifically, when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s selected to inquire the field survey result and history, the mobile field survey module 150 can inquire the change history of the representative member, the related photograph, the drawing, and the status grade. Here, an object refers to a generally speaking object, and this object is not merely data but also includes information on how to manipulate the data, and object-oriented is a method of handling the object as an object. At this time,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s formed for each member of the bridge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bridge, and the overall shape of one bridge is form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members, and each member serves as a linkage of the bridg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field survey result includes a status grade, damage information, and photograph information, and is stored in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and automatically created in the form of a regular field survey result report.

또한, 상기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150)은, 상기 교량의 경간이 다수인 경우, GIS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경간 위치를 파악하고, 점검자가 위치하고 있는 경간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경간의 점검결과를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re are a plurality of spans of the bridges, the mobile site inspection module 150 can grasp the current span position using the GIS information, automatically recognize the span where the inspector is located, Can be input.

개방형 전자매뉴얼(160)은 교량점검 매뉴얼 조회를 위한 전자매뉴얼로서, 이때, 개방형(Open type)이란 네트워크 외부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사람의 출입이 있는 형태를 말하며, 개방형 전자매뉴얼은 다른 기종의 컴퓨터 시스템을 가지고 있거나 상호 독립적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보유하는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데이터 양식, 문법, 통신 프로토콜을 가지는 당사자 간의 자동적인 정보 교환을 지원해준다.The open electronic manual 160 is an electronic manual for inquiring a bridge check manual. In this case, the open type refers to a form in which a person who receives a service from outside the network is present. The open electronic manual refers to a computer system of another type It supports automatic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parties with different data formats, grammars, and communication protocols, as well as parties holding or having independent database systems.

사용자 DB(170)는 상기 교량관리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점검교량에 대한 DB 파일을 저장하거나, 상기 사진도면정보 획득모듈(140)에 의해 획득된 정보, 상기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150)에 의해 조회 또는 입력된 정보 등을 저장한다.The user DB 170 stores the DB file of the inspection bridges downloaded from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200 or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photograph drawing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40, And stores information that is inquired or inputted by the user.

또한, 상기 교량관리 서버(200)의 교량관리 제어부(220)는 상기 교량관리 프로그램(210)에 따라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의 교량정보 조회 및 수정에 대응하여 실시간 처리한다.In addition, the bridge management control unit 220 of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200 real-time processes the bridge site inquiry client 100 according to the bridge management program 210 in response to the bridge information inquiry and correction.

상기 교량관리 서버(200)의 서버 DB(230)는 교량 기본정보 DB(231), 현장조사결과 DB(232) 및 상태등급/위치정보 DB(233)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에게 제공되는 DB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수정된 교량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 DB(230)는, 교량 기본정보 DB(231), 현장조사결과 DB(232) 및 상태등급/위치정보 DB(233)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erver DB 230 of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200 includes a bridge basic information DB 231, a field investigation result DB 232 and a status grade / position information DB 233, ), And stores the modified bridge information by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100. [0050] FIG. Here, the server DB 23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bridge basic information DB 231, a field survey result DB 232, and a status grade / location information DB 233.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현장에서 다차원의 다양한 정보를 조회 및 입력하는데 있어 관리하고자 하는 교량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부재의 3차원 객체를 활용하여 기존의 텍스트나 2차원 관리 방식에 비해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조회 및 입력 등의 관리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유지관리단계에서 얻어지는 다차원적이며 객체지향형 자료의 연계, 통합을 통해 시간적, 금전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교량 네트워크의 정보를 분석, 공유 및 공개함으로써 교량구조물 관리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교량 네트워크 관리 체계의 고도화, 정보화를 통해 보다 안전하게 사회기반시설을 이용하고, 관리주체는 합리적이고 장기적인 관리전략의 수립과 비용효율적인 일관된 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Therefore, the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three-dimensional object It is possible to perform management actions such as inquiry and input intuitively and efficiently as compared with existing text or two-dimensional management metho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ridge structure management level by minimizing temporal and monetary losses by linking and integrating multi-dimensional and object-oriented data obtained from the maintenance stage and analyzing, sharing and disclosing information of various bridge network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social infrastructures more safely through the upgrading and informationization of bridge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the management can establish a reasonable and long-term management strategy and construct a cost-effective and consistent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Multi-dimensional and Object-oriented Data Management System; MODMS)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Table 1 below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a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data management system (MODMS) based on the mobile field survey based 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2012097184613-pat00001
Figure 112012097184613-pat00001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이 인프라구조 네트워크의 스마트 관리체계로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Meanwhile,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smart management system of an infrastructure networ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교량위치 조회 및 수정, 즉, 모바일기기인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를 통해 나타나는 점검교량의 위치와 현장점검을 통해 점검교량의 실제위치를 비교하여 수정할 수 있다. 또한, 교량제원 조회 및 수정, 즉, 기존에 입력되어 있는 교량의 제원을 조회하여 현장점검을 통해 점검교량의 제원과 비교하여 수정할 수 있다. 또한, 교량상태 점검, 즉, 점검교량 부재의 상태를 점검하여 현재 상태등급 및 상태설명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교량 사진/도면 등 관련정보 조회 및 등록, 즉, 점검교량의 전경 및 경간별, 부재별 사진/도면 등의 관련정보를 조회 및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점검 매뉴얼 조회, 즉, 현장점검시 교량정보에 대한 기입방법을 조회할 수 있다.The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idge position inquiry and modification, that is, a bridge check The actual position of the inspection bridge can be compared and correc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eck and modify the bridge specification, that is, to inquire the specification of the existing bridge, and to modify it by comparing with the specification of the bridge to be inspected through field inspection. In addition, the bridge status check, that is, the status of the check bridge member can be checked to register the current status class and the status descrip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quire and register related information such as bridge photographs / drawings, that is, 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foreground and span of the bridge to be inspected, photographs / drawings of each member, and the lik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quire how to fill out the inspection manual, that is, how to fill in the bridge information at the time of field inspe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에서 점검된 현장정보가 교량관리 서버(200)의 서버 DB(230)와 연계됨으로써 통합 DB를 구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프라구조 네트워크의 스마트 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eld information checked in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100 is transmitted to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200, The integrated DB can be constructed by linking with the server DB 230 of the infrastructure network, and thus, a smart management system of the infrastructure network can be constructed.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의 동작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의 구체적인 동작흐름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a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based on a mobile field surve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 Fig. 2 is a specific operation flowchart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은, 먼저,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교량관리 서버로부터 DB 파일을 다운로드받는다(S110).5 and 6, in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downloads a DB file from a bridge management server (S110) .

다음으로,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120).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버전의 애플리케이션 및 DB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S121), 이때, 소정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이 없고, D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낮은 버전이고 DB가 없는지 확인하여(S122), DB가 없는 경우, DB를 생성하고(S123), 낮은 버전인 경우, 다운로드 사이트에 접속하여(S124), 애플리케이션을 다시 설치한다(S125). 이때, 소정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이 있고, DB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을 거치며(S126),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된다. 이후,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에 따라 자료갱신 여부를 판단하여(S127), 자료갱신이 필요한 경우 자료갱신을 수행하며(S128), 이때, 교량관리 서버(200)로부터 세부적인 해당 교량 관련 추가자료를 다운로드받거나, 상기 초기에 다운로드받은 DB만으로 다음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Next,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executes an application for processing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S120).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it is determined whether a predetermined version of the application and the DB exists (S121). If there is no application of a predetermined version and there is no DB at this time, (S122). If the DB does not exist, the DB is created (S123). If the DB is low, the download site is accessed (S124) and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again (S125). At this time, if there is a predetermined version of the application and the DB exists, the user is authenticated (S126). If the user authentication is not performed,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If the user is authenticated, the user determines whether the data is updated according to the user (S127). If the data update is necessary, the data update is performed (S128). At this time, You can download the data, or you can proceed to the next step only with the DB that you downloaded earlier.

다음으로,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100)가 교량 검색 및 GIS/GPS 기반 위치 확인을 수행한다(S130). 구체적으로,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100)가 교량을 검색하며(S131), 이때 교량의 검색은 교량목록 검색(S132)이나 지도 검색(S133)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GIS/GPS-기반 교량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교량 위치 보기 및 내위치 보기를 수행하여(S134), 해당 교량을 선택하여 교량 위치를 수정할 수 있다(S135).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위치의 수정(S133)이 이루어지면 교량관리 서버DB에 수정사항이 저장된다.Next,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100 performs bridge search and GIS / GPS-based location confirmation (S130). Specifically,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100 searches for a bridge (S131). At this time, the search for a bridge can be performed through a search for a list of bridges (S132) or a search for a map (S133). Then, the GIS / GPS-based bridg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of the user are checked to view the bridge position and view the position of the user (S134), and the bridge position can be modified by selecting the corresponding bridge (S135).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when the bridge position is modified (S133), the modification is stored in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DB.

다음으로,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교량을 선택하고,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별로 교량 3D 모델링을 조회한다(S140). 즉,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는 현장에서 교량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부재의 3차원 객체를 활용하여 교량정보를 조회 및 입력할 수 있다.Next,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selects a bridge, and inquires the bridge 3D modeling for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bridge (S140). That is,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can inquire and input the bridge information using the three-dimensional object of the individual member constituting the bridge structure in the field.

다음으로,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3D 경간 및 부재를 선택한다.(S150).Next,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selects 3D span and member (S150).

다음으로,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100)가 현장조사 수행(S160), 제원 조회 및 수정(S180), 사진 조회 및 촬영(S190) 등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100 can perform a field survey (S160), a specification inquiry and modification (S180), a photo inquiry and a photograph (S190).

구체적으로, 현장조사 수행 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재별 상태등급 평가 및 관련 사진과 도면 검색이 수행된다(S170). 구체적으로,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각 부재별 상태등급을 평가하고(S171), 관련 사진 및 도면을 검색할 수 있다(S172).Specifically, at the time of conducting the field survey, the state grade evaluation and related photographs and drawings are searched for as shown in FIG. 6 (S170). Specifically,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may evaluate the state class of each member (S171) and search related photographs and drawings (S172).

또한,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100)가 해당 경간의 부재별로 기본 제원, 상세 제원, 경간별 제원, 지점별 제원을 조회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S180).In addition,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100 can inquire or modify the basic specification, detailed specification, span specification, and branch specification for each member of the span S180.

또한,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100)가 사용자 DB에 있는 현장 사진을 조회하거나 촬영하고, 사진정보 및 사진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S190).In addition,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100 may inquire or photograph a scene photograph in the user DB, and may generate the photograph information and the photograph file (S190).

이때, 상기 단계(S160~S190)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자매뉴얼 보기(S151)를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electronic manual viewing (S151) may be perform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steps S160 to S190.

이후, 상기 현장조사, 제원수정, 사진촬영, 위치수정 된 내용들은 교량관리 서버의 DB에 저장한다(S200).Then, the field survey, the modification of the specification, the photographing, and the modified contents are stored in the DB of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S200).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교량을 구성하고 있는 부재별로 객체화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Meanwhile,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objects that are objectized according to members constituting a bridge in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도 7의 a) 내지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을 구성하고 있는 부재별로 객체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교량부재를 교면포장, 바닥판, 주형, 2차부재, 교대/교각, 기초, 난간/연석, 배수시설, 신축이음, 교량받침의 "대표부재"로 구분되고, 이러한 각 구성부재를 객체화하여 정보연계의 고리로 활용할 수 있다.The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jectized for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bridge, as shown in Figs. 7A to 7H, The bridge members are classified into "representative members" of bridge pavements, bottom plates, molds, secondary members, alternation / piers, foundation, railings / curb, drainage facilities, expansion joints and bridge supports. And can be utilized as a link of information linkage.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교량 현장조사 시스템이 GIS-기반의 스마트폰 상에 구현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Meanwhile,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ridge site survey system implemented in a GIS-based smartphone in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교량 현장조사 프로그램(Mobile Application for Bridge Inspection: MABI)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 상에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축될 수 있다.In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Application for Bridge Inspection (MABI) Can be built as an application on the survey client (100).

이러한 교량 현장조사 프로그램이 실행된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GIS 기반의 스마트폰은 점검교량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스마트폰을 소지한 상태에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MABI)을 실행한 점검자의 현재 위치(내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함으로써, 점검자가 점검교량을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After the execution of the bridge site survey program, the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GIS- Since the bridge has location information, the current location (my location) of the inspector who carried out the mobile application (MABI) with this smartphone is displayed on the map so that the inspector can easily find the bridge to be checked .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가 단면치수에 따라 자동 모델링을 생성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Meanwhile,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that a representative member constituting a bridge in the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utomatic modeling according to sectional dimens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GIS 기반의 교량 위치정보가 내장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점검 대상 교량에 근접하여 MABI를 실행하면 해당 교량을 구성하는 3D 부재의 조합을 통해 교량의 3D 모델이 형성된다.The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managing a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a smart phone having GIS-based bridge position information, The 3D model of the bridge is form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3D members constituting the bridge.

이때, 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는 단면치수에 따라 자동 모델링 생성, 각 대표부재의 조합을 통해 개별 교량의 기본적인 구성(경간, 길이, 폭 등)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presentative members constituting the bridge can be formed according to the basic configuration (span, length, width, etc.) of the individual bridges through the automatic modeling generation according to the sectional dimensions and the combination of the representative members.

또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들은 개별 점검교량의 대표상태등급을 매우 좋은 경우부터 매우 안 좋은 경우까지 5단계로 구분하여 색깔로 표현함으로써, 직관적으로 교량의 상태등급을 파악할 수 있으며, 원하는 부재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3차원 축소, 확대, 회전 등이 가능하다. 9 (b)), the representative members constituting the inspection bridges are classified into five levels ranging from very good to very poor, and the colors are expressed intuitively It is possible to grasp the status grades of bridges, to activate only the desired members, and to reduce, enlarge and rotate in three dimensions.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들은 각 부재의 상태등급을 나타내는 색깔로 표현되어 직관적으로 교량의 상태등급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mobile site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ystem, representative members constituting a bridge are represented by colors representing state grades of respective members,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도 10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들은 각 부재의 상태등급을 나타내는 색깔로 표현되어 직관적으로 교량의 상태등급을 파악할 수 있으며, 원하는 부재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3차원 축소, 확대, 회전 등이 가능하다.In the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0A) to 10C,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grasp the state class of the bridge, to activate only the desired member, and to reduce, enlarge and rotate in three dimensions.

이에 따라 이전 현장조사의 결과, 이력 등을 조회하기 위하여 3차원 객체를 선택하면, 해당 대표부재의 제원, 관련 사진, 도면, 상태등급 변화 이력 등의 조회가 가능하고, 이전 조사에서 문제가 있었거나 주의가 필요한 부재에는 태그가 붙어 있어 현장 조사시 주의 깊게 조사하게 된다.Accordingly, if a three-dimensional object is selected in order to inquire the result of the previous field survey, history, etc., it is possible to inquire the specification of the representative member, the related photograph, the drawing, the change history of the status grade, Items that require attention are tagged so that they are carefully examined during field investigations.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해당 객체와 연결되어 서버에 저장된 관련 정보를 조회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Meanwhile,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inquiry of 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a server in connection with a corresponding object in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교량 관리자가 현장에서의 정보조회와 조사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교량의 설계나 BIM과 같이 상세한 정보(철근배근, 철근간격, 상세부재의 정확한 치수 등)는 요구되지 않으며,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객체와 연결되어 서버에 저장된 관련 정보(도면정보 등)를 조회하는 것은 가능하다. 즉, 개별 객체는 외부 형상에 있어서 해당 점검교량의 부재별로 형성되고, 부재들의 조합을 통해 하나의 점검교량의 전체적인 형상을 만들게 되며, 각 부재는 정보의 연계 고리 역할을 하게 된다.The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nputting information inquiry and survey information in the field in a bridge manager, and it is used for designing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a bridge design or BIM , The precise dimensions of the detailed members, etc.) are not required. As shown in FIG. 11A, it is possible to inquire related information (drawing information, etc.) stored in the server in connection with the object. In other words, the individual objects are formed by the members of the inspection bridges in the external shape, and the overall shape of one inspection bridge is form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members, and each member serves as a linkage of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조사를 수행하면서 점검과 관련된 기준(상태등급 판단 기준 등)의 조회가 가능하며, 손상이 관찰되었을 때 유사 손상 사례 및 그때의 판정 결과 등의 조회가 가능하여 고도의 전문지식을 보유하지 않은 점검자도 손쉽게 판단이 가능하다.The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field survey as shown in FIG. 11 b) It is possible to inquire about cases of similar damage and the result of judgment at the time when damage is observed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judge the inspectors who do not have highly specialized knowledge.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점검자가 다양한 부재를 점검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Meanwhile,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a tester examines various members in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점검교량을 구성하고 있는 교량부재를 교면포장, 바닥판, 주형, 2차부재, 교대/교각, 기초, 난간/연석, 배수시설, 신축이음, 교량받침으로 구분되는 대표부재별로 객체화한다.In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idge member constituting a check bridge is divided into a bridge bridge, a bottom plate, a mold, a secondary member, / Objects shall be made by representative members classified into curbstone, drainage facilities, expansion joints, and bridge supports.

이때,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은 연장이 길고, 교각으로 인해 경간이 여러 개로 구분되어 있어 실제 현장조사를 하다보면 현재의 경간 정보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GIS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파악하므로 점검자가 위치한 경간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경간의 점검결과를 입력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다양한 부재를 점검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2 (a), since the bridge has a long extension and the spa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ns due to the bridge pier, it is often difficult to judge the current span information when performing an actual field survey. Therefore, the GIS information is used to grasp the current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automatically recognize the span where the inspector is located and can input the inspection result of the span, thereby checking various members more easily.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재별 점검결과는 해당 부재를 3D로 표현하고 있는 객체를 선택하여 해당 상태등급을 입력할 수 있고, 해당부재를 선택하면 선택할 수 있는 상태등급의 경우와 손상 케이스 등이 사전에 모두 시각적으로 제시되어 있어 단순 터치에 의해 선택하기만 하면 된다.As shown in FIG. 12B, the inspection result for each member can be input by selecting an object representing the member in 3D, and if the member is selected, the selected state class And damage cases are all presented visually in advance, so you can simply select them by simple touch.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객체를 일일이 선택하여 해당 부재의 상태등급을 입력하는 것은 구성부재가 많을 경우 매우 어려운 일이므로, 기본적으로 바로 이전의 점검에 의한 상태등급이 디폴트(Default)로 정의되어 있고, 이번 점검에서는 지난번 점검과 다른 등급을 적용하거나, 문제가 있는 부재만을 선택하면 된다.As shown in FIG. 12C, it is very difficult to select a 3D object and to input a state class of the corresponding member. Therefore, when the state class of the previous inspection is basically default (Default ). In this check, you can apply a different grade from the previous check, or you can select only the problematic member.

이때, 전체적인 결과는 경간별로 대표부재의 상태등급을 2D로 표현하여 보여주며, 개별 교량의 대표 상태등급은 부재 상태등급에 기초하여 부재별 상대적인 중요도를 고려하여 자동 산정하여 보여줄 수 있다.At this time, the overall result shows the state grade of the representative member in 2D by span, and the representative state grade of the individual bridge can be automatically calculat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member based on the member state grade.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현장조사결과 보고서가 자동 작성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Meanwhile,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that a field survey result report is automatically generated in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등급, 손상정보, 사진정보 등의 현장조사 결과가 실시간으로 교량관리 서버(200)에 저장되고, 이때, 정형화된 보고서 형태로 자동 작성되어, 현장 점검자는 현장조사만을 수행하면 별도의 내업 없이 조사 결과가 정리된 보고서를 사무실로 돌아와 출력하기만 하면 된다.The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managing a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 which a field survey result such as a status grade, 200). At this time, the form is automatically created in the form of a formal report, and the field inspectors only need to perform a field survey, and return the report with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to the office without any separate internal affairs.

또한, 관리자 입장에서는 현장 점검자가 실제 현장에서 충실히 조사를 수행하였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점검업무를 외주 발주하여 관리하는데 매우 효율적이다.In addition, since the administrator can grasp in real time whether the field inspector has faithfully carried out the inspection in the actual field, it is very efficient to order and manage the inspection wor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교량관리 시스템 등 각종 시설물정보 관리시스템과 연계된 정보처리(현장 입력 및 조회)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고, 또한, 교량, 터널 등 각종 인프라구조 네트워크 관리주체의 관리데이터 정보관리 도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전국 규모 인프라구조 네트워크 정보관리체계 구축의 기본 모형으로 활용할 수 있다.The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n information processing (field input and inquiry) system linked with various facili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such as a bridge management system It can also be used as a management data information management tool for various infrastructure network management subjects such as bridges and tunnels, and can be used as a basic model for building a nationwide infrastructure netwo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프라구조 네트워크 관리정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일관성 및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현장조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현장정보 수집의 시간적, 공간적, 질적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교량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교량 네트워크의 관리수준을 향상시키며,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교량을 관리하는 단위 관리주체별 별도의 DB 구축 없이 중앙 DB를 활용함으로써, 국가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bility of infrastructure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can be improved, and consistency and sustainability can be ensured. It also improves the efficiency of field surveys and improves the temporal, spatial and quality credibility of site information collection. In addition, it can improve the safety of bridge structures, improve the management level of bridge networks, and reduce management costs. In addition, the national budget can be saved by using the central DB without building a separate DB for each unit managing the bridg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휴대용 사용자 단말)
200: 교량관리 서버(교량관리 시스템)
110: 무선통신 모듈
120: 3D 모델링 시각정보 모듈
130: GIS/GPS 모듈
140: 사진도면정보 획득모듈
150: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
160: 개방형 전자매뉴얼
170: 사용자 DB
210: 교량관리 프로그램
220: 교량관리 제어부
230: 서버 DB
231: 교량 기본정보 DB
232: 현장조사결과 DB
233: 상태등급/위치정보 DB
100: Bridge site survey client (portable user terminal)
200: Bridge management server (bridge management system)
11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3D modeling visual information module
130: GIS / GPS module
140: Photo drawing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50: Mobile field survey module
160: Open Electronic Manual
170: User DB
210: Bridge management program
220: Bridge management control unit
230: Server DB
231: Bridge Basic Information DB
232: Field survey results DB
233: Status Grade / Location Information DB

Claims (19)

교량 현장조사 프로그램(Mobile Application for Bridge Inspection: MABI)이 실행되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서, 현장에서 교량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부재의 3차원 객체를 활용하여 점검교량의 정보를 조회 또는 입력하는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 및
교량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운영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에게 점검교량에 대한 DB 파일을 제공하고,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가 점검교량의 정보를 조회 또는 입력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실시간 처리하는 교량관리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는, GIS 기반의 점검교량 위치정보를 내장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프로그램(MABI)을 실행하여 해당 점검교량을 선택하면 해당 점검교량을 구성하는 3D 부재의 조합을 통해 해당 점검교량의 3D 모델을 형성하고, 상기 3D 부재를 매개로 하여 관련정보 조회 및 입력이 수행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는, 현장점검을 통해 점검교량의 실제 위치 및 교량의 제원을 비교하여 수정하고, 상기 점검교량의 전경 및 경간별, 부재별 사진과 도면 관련정보를 조회 및 등록하며, 상기 점검교량의 부재별 상태를 점검하여 현재 상태등급 및 상태설명을 등록하는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은, 현장조사 결과 및 이력을 조회하기 위하여 3차원 객체를 선택하면, 해당 대표부재의 제원, 관련 사진, 도면, 상태등급의 변화 이력 조회가 가능하며, 상기 현장조사 결과는 상태등급, 손상정보 및 사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현장조사 결과가 상기 교량관리 서버에 실시간으로 저장되어 정형화된 현장조사 결과 보고서 형태로 자동으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A portable user terminal that executes a Mobile Application for Bridge Inspection (MABI), which uses a three-dimensional object of an individual member constituting a bridge structure in the field, Client; And
A bridge management program, which is operated by a bridge management program, provides a DB file of an inspection bridge to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and when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inquires or inputs information of the bridge to be inspected,
/ RTI >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includes a GIS-based bridge posi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bridge check program (MABI) is executed to select the bridge to be inspected, a corresponding inspection bridge And a related information inquiry and input is performed via the 3D member;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compares and corrects the actual location of the bridge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bridge through site inspection, inquires and register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hotographs and drawings of the bridge according to the foreground and span of the bridge, A mobile field survey module for checking the absence status of the bridge and registering the current status class and the status description; And
The mobile field investigation module can search the change history of the specification, the related photograph, the drawing, and the status grade of the representative member when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s selected to inquire the field survey result and history, Dimensional object-oriented based on the mobile field survey, wherein the field survey result is stored in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and is automatically created in the form of a formalized field survey result report.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는,
상기 교량관리 서버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모듈;
상기 점검교량을 구성하고 있는 교량부재를 교면포장, 바닥판, 주형, 2차부재, 교대/교각, 기초, 난간/연석, 배수시설, 신축이음, 교량받침으로 구분되는 대표부재별로 객체화하는 3D 모델링 시각정보 모듈;
상기 점검교량의 현재위치를 파악하여 지도상에 표시하고, 현장 점검을 통해 점검교량의 실제 위치를 비교하여 수정하는 GIS/GPS 모듈;
상기 점검교량의 전경 및 경간별, 부재별 사진과 도면 관련정보를 획득하는 사진도면정보 획득모듈; 및
교량점검 매뉴얼 조회를 위한 개방형 전자매뉴얼
을 추가로 포함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according to claim 1,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D modeling of the bridge members composing the inspection bridges by object representative members classified into bridge pavement, bottom plate, casting, secondary member, alternation / pier, foundation, rail / curb, drainage facility, expansion joint, Visual information module;
A GIS / GPS module for identify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inspection bridge, displaying it on a map, comparing the actual positions of the inspection bridges by a field inspection, and correcting the same;
A photograph drawing information acquiring module for acquiring photographs and drawing related information by foreground and span of the inspection bridge, and by members; And
Open electronic manual for inquiry of bridge inspection manual
Based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는 단면 치수에 따라 자동으로 3D 모델링이 생성되고, 각각의 대표부재의 조합을 통해 개별 점검교량의 경간, 길이 및 폭에 맞는 3D 모델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presentative member constituting the inspection bridge automatically generates 3D modeling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and 3D modeling corresponding to the span, length and width of the individual inspection bridges is form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respective representative members. Field survey - based multidimensional object - 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들은 개별 점검교량의 대표상태등급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부재의 상태등급을 5단계로 구분하여 색깔로 표현하고, 원하는 부재만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3차원 축소, 확대 및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presentative members constituting the bridge are classified into five grades of state grades of each member so as to grasp the representative state grades of the individual inspection bridges, and three-dimensional reduction, enlargement and rotation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점검교량의 대표상태등급은 각 부재의 상태등급에 기초하여 각 부재별 상대적인 중요도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presentative state grade of the individual inspection bridges is automatically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member based on the state grade of each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GIS/GPS 모듈은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교량 점검자의 현재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여 상기 교량 점검자가 점검교량을 확인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IS / GPS module displays on the map the current location of the bridge inspector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so that the bridge inspectors identify the bridge to be inspect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객체는 교량의 외형에 대해 해당 교량의 부재별로 형성되고, 각 부재들의 조합을 통해 하나의 교량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각각의 부재들이 교량정보의 연계 고리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s formed for each member of the bridge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bridge, forms the overall shape of one bridge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members, and each member serves as a linkage of the bridge information Mobile field survey - based multidimensional object - 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은, 상기 교량의 경간이 복수인 경우, GIS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경간 위치를 파악하고, 점검자가 위치하고 있는 경간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경간의 점검결과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bile site survey module grasps the current span position using the GIS information when the span of the bridge is plural,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span where the inspector is located, and inputs the check result of the span A mobile field survey - based multidimensional object - 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서, 스마트폰, PDA, 노트북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is a portable user terminal selected from a smart phone, a PDA, a notebook, and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관리 서버는,
상기 교량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의 교량정보 조회 및 수정에 대응하여 실시간 처리하는 교량관리 제어부; 및
교량 기본정보 DB, 현장조사결과 DB 및 상태등급/위치정보 DB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DB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정된 교량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DB
를 포함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The bridg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 bridge management controller for real-time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bridge information inquiry and correction of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according to the bridge management program; And
A server DB including a bridge basic information DB, a field survey result DB, and a status grade / location information DB, storing a DB file provided to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and storing bridge information modified by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교량관리 서버로부터 DB 파일을 다운로드받는 단계;
b)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c)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교량을 검색하고, GIS/GPS-기반 교량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교량을 선택하고,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별로 교량 3D 모델링을 조회하는 단계;
e)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3D 부재 및 경간을 선택하는 단계;
f)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현장조사를 수행하는 단계;
g)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각 부재별 상태등급을 평가하고, 관련 사진 및 도면을 검색하는 단계;
h)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교량 기본제원, 상세제원, 경간/지점 제원을 수정하는 단계; 및
i)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사진정보를 조회하고, 현장 사진을 촬영하고, 사진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는 현장에서 교량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부재의 3차원 객체를 활용하여 교량정보를 조회 및 입력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는, 현장점검을 통해 점검교량의 실제 위치 및 교량의 제원을 비교하여 수정하고, 상기 점검교량의 전경 및 경간별, 부재별 사진과 도면 관련정보를 조회 및 등록하며, 상기 점검교량의 부재별 상태를 점검하여 현재 상태등급 및 상태설명을 등록하는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은, 현장조사 결과 및 이력을 조회하기 위하여 3차원 객체를 선택하면, 해당 대표부재의 제원, 관련 사진, 도면, 상태등급의 변화 이력 조회가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현장조사 결과는 상태등급, 손상정보 및 사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현장조사 결과가 상기 교량관리 서버에 실시간으로 저장되어 정형화된 현장조사 결과 보고서 형태로 자동으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
a) a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downloading a DB file from a bridge management server;
b)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c)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searching for a bridge and confirming GIS / GPS-based bridge location information;
d) selecting the bridge by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and querying the bridge 3D modeling for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bridge;
e) selecting the 3D member and span by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f) performing the field survey by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g)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evaluating a state grade for each member and searching for associated photos and drawings;
h)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modifying bridge basic specification, detail specification, span / branch specification; And
i)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inquiring photo information, taking a scene picture, and generating a picture file
, ≪ / RTI &
The bridge site management client inquires and inputs the bridge information using the three-dimensional objects of the individual members constituting the bridge structure in the field;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compares and corrects the actual location of the bridge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bridge through site inspection, inquires and register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hotographs and drawings of the bridge according to the foreground and span of the bridge, And a mobile field survey module for registering a current state grade and a state description by checking the state of each member of the bridge, wherein the mobile field survey module selects a three-dimensional object to inquire the field survey result and history, It is possible to inquire change history of member's specifications, related photographs, drawings, and status grades; And
Wherein the field survey result includes a status grade, damage information, and photograph information, and the site survey results are automatically stored in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in the form of a regular field survey result report - based multidimensional object - 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제13항에 있어서,
j) 상기 교량관리 서버의 DB에 상기 교량 위치정보, 상기 교량 기본 제원, 경간/지점 제원, 사진정보 및 사진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j) storing the bridge location information, the bridge default specification, span / point specification, photo information, and photo file in a database of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the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Wa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는, 점검교량을 구성하고 있는 교량부재를 교면포장, 바닥판, 주형, 2차부재, 교대/교각, 기초, 난간/연석, 배수시설, 신축이음, 교량받침으로 구분되는 대표부재별로 객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is a representative of bridge members constituting the inspection bridge divided into a bridge bridge, a bottom plate, a mold, a secondary member, an alternating / piercing bridge, a foundation, a railing / curbstone drainage facility, A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haracterized by object-by-memb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는, GIS 기반의 점검교량 위치정보를 내장하며, 교량 현장조사 프로그램(MABI)을 실행하여 해당 점검교량을 선택하면 해당 점검교량을 구성하는 3D 부재의 조합을 통해 해당 점검교량의 3D 모델을 형성하고, 상기 3D 부재를 매개로 하여 관련정보 조회 및 입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bridge site survey client has built-in GIS-based bridge location information and executes a bridge field survey program (MABI) to select a corresponding bridge, and then, through a combination of 3D members constituting the bridge, Dimensional model, and related information inquiry and input is performed via the 3D member. The mobile field survey-based multi-dimensional object-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는 단면 치수에 따라 자동으로 3D 모델링이 생성되고, 각각의 대표부재의 조합을 통해 개별 점검교량의 경간, 길이 및 폭에 맞는 3D 모델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representative member constituting the inspection bridge automatically generates 3D modeling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and 3D modeling corresponding to the span, length and width of the individual inspection bridges is form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respective representative members. Field survey - based multidimensional object - 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들은 점검교량의 상태등급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부재의 상태등급을 5단계로 구분하여 색깔로 표현하고, 원하는 부재만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3차원 축소, 확대 및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representative members constituting the bridge can classify the state grades of the members into five grades so as to grasp the state grades of the inspection bridges, express them in color, enable three-dimensional reduction, enlargement and rotation A mobile field survey - based multidimensional object - oriented bridg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haracterize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교량의 상태등급은 각 부재의 상태등급에 기초하여 각 부재별 상대적인 중요도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state grade of the inspection bridge is automatically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member based on the state grade of each member.
KR20120134214A 2012-11-26 2012-11-26 Multi-dimensional and object-oriented data management system for bridge based on mobile field inspection,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4864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4214A KR101486443B1 (en) 2012-11-26 2012-11-26 Multi-dimensional and object-oriented data management system for bridge based on mobile field inspection, and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4214A KR101486443B1 (en) 2012-11-26 2012-11-26 Multi-dimensional and object-oriented data management system for bridge based on mobile field inspection, and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297A KR20140068297A (en) 2014-06-09
KR101486443B1 true KR101486443B1 (en) 2015-01-26

Family

ID=51124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34214A KR101486443B1 (en) 2012-11-26 2012-11-26 Multi-dimensional and object-oriented data management system for bridge based on mobile field inspection, and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44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332A (en) 2018-05-08 2019-11-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 method for collecting and visualizing map-based spatial state information
KR20220151263A (en) 2021-05-06 2022-11-1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SAFETY INSPECTION SYSTEM FOR STRUCTURE USING SMART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669058B1 (en) * 2021-05-06 2024-05-24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SAFETY INSPECTION SYSTEM FOR STRUCTURE USING SMART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658B1 (en) * 2016-01-04 2017-08-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of mobile field inspection
KR101836686B1 (en) * 2016-08-31 2018-03-0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An apparatus for 3-d modeling of nuclear power plant component based on quality class
KR101887095B1 (en) * 2017-11-22 2018-08-09 정현호 Method for providing safty inspection service for real estate with handheld based device
KR102204016B1 (en) * 2020-07-23 2021-01-18 (주)에이톰엔지니어링 System and method for 3d based facilities safety management
KR102270224B1 (en) * 2020-07-31 2021-06-29 주식회사 차후 System and Method for Inquiring Facilities Information
KR102625537B1 (en) * 2021-01-25 2024-01-16 주식회사 코매퍼 Platform for safety diagnosis through 3d model and method thereof
KR102536822B1 (en) * 2021-03-08 2023-05-26 (주)지엔아이티 3D digital twin dam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3D model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392A (en) * 2001-11-12 2003-05-22 주식회사 쓰리지소프트 Construction/building offer method and the administration system that is manufactured by real time 3D through internet
KR20090008681A (en) * 2007-07-18 2009-01-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evelopment of bridge scour field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common communications networks and wireless terminal un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392A (en) * 2001-11-12 2003-05-22 주식회사 쓰리지소프트 Construction/building offer method and the administration system that is manufactured by real time 3D through internet
KR20090008681A (en) * 2007-07-18 2009-01-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evelopment of bridge scour field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common communications networks and wireless terminal unit
KR100919230B1 (en) 2007-07-18 2009-09-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evelopment of bridge scour field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common communications networks and wireless terminal uni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문성우 외 2인. 3D 그래픽 모델을 활용한 교량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011년 3월, 제12권, 제2호, pp.64-71 (2011.03.) *
문성우 외 2인. 3D 그래픽 모델을 활용한 교량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011년 3월, 제12권, 제2호, pp.64-71 (2011.03.)*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332A (en) 2018-05-08 2019-11-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 method for collecting and visualizing map-based spatial state information
KR20220151263A (en) 2021-05-06 2022-11-1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SAFETY INSPECTION SYSTEM FOR STRUCTURE USING SMART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669058B1 (en) * 2021-05-06 2024-05-24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SAFETY INSPECTION SYSTEM FOR STRUCTURE USING SMART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297A (en) 201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443B1 (en) Multi-dimensional and object-oriented data management system for bridge based on mobile field inspection, and method for the same
Ma et al. Construction quality management based on a collaborative system using BIM and indoor positioning
US110307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reating and assigning assembly labor activities (ALAs) to a bill of materials (BOM)
Turkan et al. Toward automated earned value tracking using 3D imaging tools
Coleman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in spatial data infrastructure: an early look at opportunities and constraints
KR1008668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iver using 3d based moving picture
Bae et al. Image-based localization and content authoring in structure-from-motion point cloud models for real-time field reporting applications
KR101766658B1 (en) System and method of mobile field inspection
US201403246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relevant, location-specific gis information to a mobile device
US11543080B2 (en) Automated pipeline construction modelling
Xu et al. Web-based geospatial platform for the analysis and forecasting of sedimentation at culverts
Lafioune et al. Towards the creation of a searchable 3D smart city model
Akinci Situational awareness in construction and facility management
CN106022634A (en) Foundation pit risk management method based on big data analysis and foundation pit risk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CN114329727A (en) Construction supervis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based on BIM modeling
Sabri et al. A multi-dimensional analytics platform to support planning and design for liveable and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
KR20180082648A (en) Integrated underground water data management system
Liu et al. Integr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and sensor technology: a review of current developments and future outlooks
Knezevic et al. Managing urban digital twins with an extended catalog service
CN115100231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region boundary
CN114090147A (en) Data processing method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platform
Li et al. Geospatial sensor web resource management system for smart city: Design and implementation
Liu et al. Semi-automated processing and routing within indoor structures for emergency response applications
Williams et al. Understanding social behaviors in the indoor environment: A complex network approach
Zander et al. Environmental data management with the river basin inform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