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804B1 -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 Google Patents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804B1
KR101485804B1 KR20130063147A KR20130063147A KR101485804B1 KR 101485804 B1 KR101485804 B1 KR 101485804B1 KR 20130063147 A KR20130063147 A KR 20130063147A KR 20130063147 A KR20130063147 A KR 20130063147A KR 101485804 B1 KR101485804 B1 KR 101485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splay device
visible light
identification number
user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1394A (ko
Inventor
강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로
Priority to KR2013006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804B1/ko
Publication of KR20140141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1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은, (a) 기판(substrate),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며 각각 적색(R)과 녹색(G)과 청색(B)의 가시광선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OLED 화소 및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며 가시광 신호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광 수신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b)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번호가 저장된 식별번호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식별번호를 가시광선의 형태로 송신하는 광 송신부를 구비하는 광 통신 단말기에서 가시광 신호의 형태로 송신되는 상기 사용자 식별번호를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광 수신 소자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c) 사용자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정보 저장부에 상기 표시장치가 접속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수신한 사용자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Method of User Identification Using Display for Visible Ray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표시장치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한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가시광 통신방법은 기존의 무선통신 방법에 비하여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가시광선은 빛이 도달하는 범위 내에서만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벽이나 문을 통과하여 전달되지 않으므로 전파공해가 적은 장점이 있다. 따라서 통신 장치를 개발하는 과정에서도 별도의 전파 인증을 받을 필요가 없어서 개발 과정이 절차면에서 비교적 수월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가시광 송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실내를 밝히는 조명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표시장치는 화면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표시장치를 이용하는 컴퓨터나 TV의 경우에도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리모트 컨트롤러나 키보드와 같은 별도의 입력장치를 이용해야만 했다.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시장치의 화면을 통해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면서 동시에 그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 스마트 TV 등과 같이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에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면서 동시에 그 명령을 전송한 사용자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은, (a) 기판(substrate),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며 각각 적색(R)과 녹색(G)과 청색(B)의 가시광선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OLED 화소 및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며 가시광 신호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광 수신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b)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번호가 저장된 식별번호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식별번호를 가시광선의 형태로 송신하는 광 송신부를 구비하는 광 통신 단말기에서 가시광 신호의 형태로 송신되는 상기 사용자 식별번호를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광 수신 소자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c) 사용자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정보 저장부에 상기 표시장치가 접속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수신한 사용자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은 다른 입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표시장치의 화면을 통해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면서 동시에 그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 통신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을 실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의 일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 통신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표시장치(100)와 광 통신 단말기(3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기판(130)과 복수의 OLED 화소(110)와 복수의 광 수신 소자(120)와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판(130; substrate)은 반도체 공정에 의해 소자를 형성하는 베이스가 된다. 실리콘이나 사파이어 재질의 기판(130) 위에 증착, 에칭, CVD, 포토 리소그래피 등의 반도체 공정을 실시하여 OLED 화소(110)와 광 수신 소자(120)가 형성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OLED 디스플레이는 기판 위에 다수의 OLED 화소가 형성되고, 각 OLED 화소는 각각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의 가시광선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OLED 디스플레이는 능동형 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인지 또는 수동형 OLED(Pass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인지에 관계 없이 동일하게 적색, 녹색, 청색의 빛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00)는 이와 같이 OLED 화소(110)가 형성되는 기판(130) 위에 광 수신 소자(120; 예컨대, 포토 다이오드)도 함께 형성하여 제작된다. 광 수신 소자(120)는 가시광 신호를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광 수신 소자(120)에서 변환된 가시광 신호는 제어부(150)로 전달된다.
광 수신 소자(120)는 OLED 화소(110)의 수보다 적은 수로 형성되어 일정 개수의 OLED 화소(110) 간격마다 광 수신 소자(120)가 기판(130) 위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 OLED 화소(110)마다 각각 하나의 광 수신 소자(120)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OLED 화소(110)마다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광 수신 소자(120)가 OLED 화소(110)와 동일한 수로 기판(130) 위에 형성되어 각각의 OLED 화소(110)의 영역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어부(150)는 각각의 OLED 화소(110)들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50)는 일반적인 컴퓨터의 모니터나 TV의 화면(101)과 마찬가지로 영상신호를 전달 받아 각각의 OLED 화소(110)들을 제어하여 화면(101)에 영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00)는 제어부(150)가 OLED 화소(110)들을 제어하여 화면(101)에 영상을 표시한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210)에는 사용자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다. 사용자의 계정 정보, 사용자의 인적사항, 사용자의 금융 결제 정보, 사용자의 과금 정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등이 사용자 정보가 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그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저장부(210)에서 조회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210)는 표시장치(100)가 연결된 단말기(예를 들어, 컴퓨터, 셋탑박스 등)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표시장치(100)가 연결된 단말기와 별도로 외부 서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210)가 표시장치(100)가 연결된 단말기와 별도의 외부 서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5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정보 저장부(210)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게 된다.
아이템 저장부(220)에는 아이템(401, 402)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 아이템(401, 402)은 화면(101)에 표시되는 가방, 의상, 신발, 가구 등과 같은 물건이 될 수도 있고, 전자책, 음악 파일, 동영상 등과 같은 컨텐츠가 될 수도 있다. 아이템 저장부(220)에는 아이템(401, 402)에 표시장치(100)의 화면(101)에 표시될 경우 그 아이템(401, 402)이 화면(101)에 표시되는 영역의 위치 정보가 저장된다. 아이템(401, 402)의 가격, 제작자, 식별번호 등의 아이템(401, 402)과 관련된 추가 정보도 아이템 저장부(22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표시장치(100)의 화면(101)에 표시되는 아이템(401, 402)의 위치를 이용하여 아이템(401, 402)과 관련된 정보를 아이템 저장부(220)에서 조회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광 통신 단말기(300)는 광 송신부(310), 단말 통신부(340), 단말 제어부(320), 식별번호 저장부(330)를 포함한다. 광 통신 단말기(300)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을 실기하기 위한 전용 단말기일 수도 있고, 스마트 폰 또는 타블렛과 같은 모바일 기기일 수도 있다. 광 통신 단말기(300)의 식별 번호 저장부에는 그 광 통신 단말기(300) 소유자의 사용자 식별번호가 저장된다. 사용자 식별번호는 사용자의 휴대전화 번호가 될 수도 있고 주민등록 번호가 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사용자 정보 저장부(210)에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들 서로 식별할 수 있는 번호이면 어떤 것이든 사용자 식별번호가 될 수 있다.
단말 제어부(320)는 식별번호 저장부(330)에 저장된 사용자의 식별번호를 조회하여 광 송신부(310)를 통해 외부로 송신한다. 광 송신부(310)는 사용자 식별번호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단말 제어부(320)의 제어에 의해 가시광 신호의 형태로 외부로 송신한다. 광 송신부(310)는 LED와 같은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가시광선을 점멸시키는 방법으로 가시광 신호를 송신한다. 광 송신부(310)는 LD(Laser Diode)에서 발생하는 직진성이 우수한 가시광선을 이용하거나 렌즈를 이용하여 직진성이 향상된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가시광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좋다.
광 송신부(310)에서 송신된 가시광 신호가 표시장치(100)의 화면(101)에 도달하면 앞서 설명한 광 수신 소자(120)가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하게 된다.
광 통신 단말기(300)의 단말 통신부(340)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구성이다.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고, Wi-Fi, 3G 등의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표시장치(100)와 기타 구성들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을 실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표시장치(100)에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화면(101)에 표시한다((a) 단계; S100). 제어부(150)가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OLED 화소(110)들을 제어함으로써 표시장치(100)의 화면(101)에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표시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드라마, 홈쇼핑, 영화, 뉴스, 스포츠, 음악 프로그램 등의 영상이 될 수 있다.
표시장치(100)의 화면(101)에 표시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시청하다가 유료 프로그램을 결제하거나 사용자의 계정을 입력할 필요가 있거나 화면(101)에 표시된 제품을 구매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광 통신 단말기(300)를 조작하여 광 송신부(310)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가시광 신호의 형태로 송신한다. 사용자는 광 송신부(310)에서 발광된 가시광 신호가 표시장치(100)의 화면(101)에 도달할 수 있도록 광 통신 단말기(300)의 방향을 조정하여 가시광 신호를 송신한다.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시광선을 송신 수단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광 송신부(310)에서 송신된 신호가 표시장치(100)의 화면(101)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을 구현하는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장치(100) 화면(101)의 임의의 영역에 가시광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고, 화면(101)에 표시된 영상 중 자신이 원하는 영역을 조준하여 가시광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드라마의 등장인물이 착용하고 있는 의상 중 사용자가 구입을 원하는 제품이 있는 경우에 해당 제품이 표시되는 화면(101)의 영역에 대해 가시광 신호를 조준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광 송신부(310)에서 송신되는 가시광선은 레이저와 같이 직진성이 우수한 가시광선이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101)의 위치에만 가시광선이 도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레이저광이 아니더라도 렌즈를 이용하여 광 송신부(310)에서 송신되는 가시광선의 직진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 통신 단말기(300)의 식별번호 저장부(330)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번호가 광 송신부(310)에서 가시광 신호의 형태로 송신되면, 표시장치(100)가 광 수신 소자(120)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b) 단계; S200).
표시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210)에 접속하여 사용자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여 수신한다((c) 단계; S310).
제어부(150)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결과를 표시장치(100)의 화면(101)에 표시한다((d) 단계; S330). 사용자 식별번호에 의해 정상적으로 사용자 정보가 식별되었는지 여부, 사용자 식별번호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 성명이나 휴대전화 번호와 같은 사용자 정보 중 일부, 사용자의 카드 번호나 계좌 번호와 같은 결제 정보, 사용자의 아이디 등이 화면(101)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결과의 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결과"는 광 통신 단말기(300)에 송신될 수도 있다((e) 단계; S350). 표시장치(100)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광 통신 단말기(300)에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결과"를 송신할 수도 있고, 앞에서 설명한 OLED 화소(110)를 점멸하는 방법으로 가시광 신호의 형태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결과"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때 광 통신 단말은 단말 통신부(340)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광 통신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d) 단계와 (e) 단계는 모두 수행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둘 중 하나의 단계만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 통신 단말기(300)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번호를 가시광 신호의 형태로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다양한 측면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스마트 TV의 형태로 표시장치(100)가 구현된 경우에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사용자는 개인 정보의 노출을 피하면서 손쉽게 사용자 정보를 스마트 TV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사람이 스마트 TV를 시청할 수 있는 공공장소에 설치된 스마트 TV에 대해서도 개인 정보의 노출을 염려할 필요 없이 손 쉽게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여 필요한 제품을 구입하거나 화면(101)에 표시되는 아이템(401, 402)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람의 집에 방문하여 스마트 TV를 시청하는 상황에서도 미리 스마트 TV에 자신의 사용자 정보나 결제 정보가 입력되어 있지 않더라도 손쉽게 스마트 TV에 방송되고 있는 상품을 구입하거나 화면(101)에 표시되는 아이템(401, 402)에 대한 정보를 광 통신 단말기(300)로 전송 받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화면(101)에 표시된 아이템(401, 402)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주문하거나 아이템(401, 402)의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화면(101)에 표시된 아이템(401, 402)을 표시장치(100)가 지정 받는 과정을 설명한다. 화면(101)에 표시된 제품이나 동영상, 음악, 전자책과 같은 컨텐츠 등이 아이템(401, 402)의 예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이템(401, 402)은 드라마, 쇼 프로, 홈 쇼핑 등의 프로그램의 종류에 관계 없이 어떠한 형태로든 화면(101)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는 모두 아이템(401, 402)이 될 수 있다.
아이템 저장부(220)에는 화면(101)에 표시되는 아이템(401, 402)과 그 아이템(401, 402)이 표시장치(100)의 화면(101)에 표시되는 영역의 위치가 저장된다. 도 4에는 셔츠(401)와 가방(402)이 아이템(401, 402)의 예로 화면(101)에 표시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아이템 저장부(220)에는 셔츠(401)와 가방(402)의 화면(101)상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다. 아이템 저장부(220)는 표시장치(100)가 연결된 단말기(예를 들어, 컴퓨터, 셋탑박스 등)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표시장치(100)가 연결된 단말기와 별도로 외부에 서버 형태로 설치되고 제어부(150)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광 통신 단말기(300)의 방향을 조절하여 광 송신부(310)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선을 표시장치(100)의 화면(101)에 대해 조준한 후 광 통신 단말기(300)를 조작하여 사용자 식별번호를 송신한다. 도 4의 경우 사용자는 셔츠(401)를 지정하여 광 통신 단말기(300)에 의해 식별번호를 송신하고 있다.
표시장치(100)는 광 통신 단말기(300)에서 송신된 가시광 신호가 수신된 광 수신 소자(120)의 화면(101) 상의 위치를 파악한다((f) 단계; S410). 표시장치(100)의 제어부(150)는 표시장치(100)의 모든 광 수신 소자(120)의 위치를 미리 파악한 상태에서 광 수신 소자(120)들 중 어느 하나에서 가시광 신호가 수신되면 그 광 수신 소자(120)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광 수신 소자(120)의 화면(101) 상의 위치를 파악한다.
표시장치(100)의 제어부(150)는 (f) 단계에서 파악한 광 수신 소자(120)의 위치를 아이템 저장부(220)에 조회하여 그 광 수신 소자(12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화면(101)에 표시되고 있는 아이템(401, 402)이 무엇인지 식별하게 된다((g) 단계; S430).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표시장치(100)는 도 4에서 사용자가 가방(402)과 셔츠(401) 중에 셔츠(401)를 선택하였음을 파악하게 된다.
제어부(150)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101)에서 선택된 지정된 아이템(401, 402)이 식별되면 제어부(150)는 아이템 저장부(220)에서 해당 아이템(401, 402)의 정보를 조회하여 광 통신 단말기(300)에 송신한다((h) 단계; S450). 아이템(401, 402)의 가격, 아이템(401, 402)의 치수, 아이템(401, 402)의 규격, 아이템(401, 402)의 제조사, 아이템(401, 402)의 소재 등이 아이템(401, 402)의 정보가 될 수 있다.
광 통신 단말기(300)는 수신한 아이템(401, 402)의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광 통신 단말기(300)의 표시부에 표시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셔츠(401)에 대한 가격, 제품 특징, 제조 회사 등의 정보를 아이템 정보로서 광 통신 단말기(300)에 전송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표시장치(100)에서 아이템(401, 402)의 정보를 광 통신 단말기(300)로 송신하지 않고 표시장치(100)의 화면(101)에 직접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아이템(401, 402)의 정보를 확인한 후에 아이템(401, 402)의 구매 여부를 결정하고 결제 정보를 표시장치(100)가 파악하도록 하여 제품을 주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가시광 신호를 송신하는 사용자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시장치(100) 자체를 스마트 TV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건을 판매하기 위한 방송이 아닌 드라마, 영화 등의 영상을 화면(101)에 표시하는 동안에도 사용자는 등장인물이 착용하고 있는 의상이나 악세서리를 지정하여 주문할 수 있다. 또한, 화면(101)에 도 4와 같이 2개 이상의 아이템(401, 402)이 표시되는 동안에도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아이템(401, 402)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정보를 조회하거나 주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표시장치(100) 화면(101)의 영상을 2명 이상의 사용자가 시청하면서 사용자가 각자의 광 통신 단말기(300)로 동시에 각자가 원하는 아이템(401, 402)의 정보를 조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표시장치(100)는 광 송신부(310), 단말 통신부(340), 단말 제어부(320), 식별번호 저장부(330)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단말 통신부(340)를 구비하지 않는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을 변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f), (g), (h) 단계를 수행하지 않는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광 통신 단말의 가시광 신호에 대한 표시장치의 응답을 가시광 신호로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표시장치(100)의 OLED 소자를 점멸시키는 방법으로 응답 신호(사용자 식별 정보, 아이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사람이 육안으로 인식할 수 없는 시간 간격으로 빠르게 제어부(150)가 OLED 화소들(110)을 점멸시키면 사용자가 표시장치(100)의 화면(101)에 표시된 영상을 인식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동시에 가시광 신호를 OLED 화소(110)를 통해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광 통신 단말기의 통신부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포토 다이오드와 같은 요소로 구성된다.
100: 표시장치 101: 화면
110: OLED 화소 120: 광 수신 소자
130: 기판 210: 사용자 정보 저장부
220: 아이템 저장부 300: 광 통신 단말기
310: 광 송신부 320: 단말 제어부
330: 식별번호 저장부 340: 단말 통신부
401, 402: 아이템 150: 제어부

Claims (9)

  1. (a) 기판(substrate),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며 각각 적색(R)과 녹색(G)과 청색(B)의 가시광선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OLED 화소 및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며 가시광 신호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광 수신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b)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번호가 저장된 식별번호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식별번호를 가시광선의 형태로 송신하는 광 송신부를 구비하는 광 통신 단말기에서 가시광 신호의 형태로 송신되는 상기 사용자 식별번호를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광 수신 소자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c) 사용자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정보 저장부에 상기 표시장치가 접속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수신한 사용자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c) 단계에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결과를 상기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e)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결과를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광 통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표시장치의 상기 OLED 화소를 점멸시키는 방법으로 가시광 신호에 의해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결과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결과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f)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식별 번호를 수신한 상기 광 수신 소자의 상기 화면 상의 위치를 상기 표시장치가 파악하는 단계; 및
    (g)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템과 상기 아이템이 상기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이 각각 저장된 아이템 저장부에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f) 단계에서 파악한 상기 광 수신 소자의 위치를 조회하여 상기 (f) 단계에서 파악한 상기 광 수신 소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템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h) 상기 (g) 단계에서 식별한 아이템의 정보를 상기 광 통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통신 단말기는 가시광 송신기가 설치된 모바일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KR20130063147A 2013-05-31 2013-05-31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KR101485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3147A KR101485804B1 (ko) 2013-05-31 2013-05-31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3147A KR101485804B1 (ko) 2013-05-31 2013-05-31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394A KR20140141394A (ko) 2014-12-10
KR101485804B1 true KR101485804B1 (ko) 2015-01-26

Family

ID=5245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3147A KR101485804B1 (ko) 2013-05-31 2013-05-31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8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4532A (ko) * 2004-11-16 2006-05-22 주식회사 디비테크놀러지 광 포인터가 결합된 적외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모바일기기 및 이를 이용한 금융결제시스템
KR20130013720A (ko) * 2011-07-28 2013-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백라이트유닛을 구비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가시광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4532A (ko) * 2004-11-16 2006-05-22 주식회사 디비테크놀러지 광 포인터가 결합된 적외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모바일기기 및 이를 이용한 금융결제시스템
KR20130013720A (ko) * 2011-07-28 2013-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백라이트유닛을 구비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가시광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394A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8489B1 (en)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KR101716617B1 (ko) 디지털tv에서 방송 중인 디지털데이터방송의 홈쇼핑 상품에 관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스마트단말에 구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5323708A (zh) 移动设备和将移动设备与电子设备配对的方法
US20190354331A1 (en) Mirror-based information interface and exchange
EP2651144A1 (en) Display apparatus, peripheral devices,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848814B2 (en) Set-top box with enhanced conten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2014006473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herefor
KR20160024848A (ko) 이미지를 이용한 리모컨 프로그래밍
KR101485804B1 (ko)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CN109076265B (zh) 提供爬取功能的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US1086299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5607277B1 (ja) 情報通信方法
KR102341646B1 (ko)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KR102137139B1 (ko)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KR20150054656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의 3차원 영상 처리 방법
US11700063B2 (en) Appliance remote control
KR20150044465A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US11653049B2 (en) Set-top box with enhanced conten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20200005043A (ko) 노래방에서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US20230040868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KR102567464B1 (ko) 판매 시스템, 단말 및 그의 색상 비교 방법
KR101664093B1 (ko) 후광영역 형성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1611991B1 (ko) 후광영역 형성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20170113799A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텔레스크린 장치 및 시스템
KR101762621B1 (ko) 광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