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334B1 -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 - Google Patents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334B1
KR101485334B1 KR1020140069200A KR20140069200A KR101485334B1 KR 101485334 B1 KR101485334 B1 KR 101485334B1 KR 1020140069200 A KR1020140069200 A KR 1020140069200A KR 20140069200 A KR20140069200 A KR 20140069200A KR 101485334 B1 KR101485334 B1 KR 101485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dicator
lactic acid
acid bacteria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윤석
Original Assignee
한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윤석 filed Critical 한윤석
Priority to KR1020140069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06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melting, freezing, or softe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12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changes in colour, translucency or 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01N31/221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pH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Biophys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라벨의 상부에 pH 지시약층과 유산균 코팅코아층이 부착되어 있어 외부온도 -10 내지 40℃에서 온도변화 감지용 코팅층이 용해되는 경우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를 할 수 있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label}
본 발명은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라벨의 상부에 pH 지시약층과 유산균 코팅코아층이 부착되어 있어 외부온도 -10 내지 40℃에서 온도변화 감지용 코팅층이 용해되는 경우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를 할 수 있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에 관한 것이다.
식품과 같이 부패하기 쉬운 물질은 냉장상태로 보관되거나 운반된다. 이때, 저장온도가 변하거나 식품이 외부에 노출될 경우 부패가 발생할 수 있다. 식품이 방출 이후 최종 사용되기 전까지 제대로 냉장 보관 상태가 유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면 부패균의 성장에 따른 식중독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식품의 안
전관리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식품 저장시의 외부 공기의 시간에 따른 변화의 이력을 측정 및 표시하는 방법은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가능하며 외부 환경의 온도 변화로서 시간 및 정도를 물리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저장용기 내의 물질로서 액상의 식품의 온도가 어떻게 변했는가를 개별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저장공간의 상태, 보관용기의 열전달 정도의 다양한 인자 때문에 더욱 힘들다.
저장된 식품의 부패 여부를 측정 및 판단하기 위해 저장 온도 및 노출 시간 등을 판단하는 것은 더욱더 어렵다. 물리적인 온도 변화의 측정보다 더욱 어려운 것은 다양한 형태의 온도변화에 의해 궁극적으로 부패균이 성장하였는지를 생물학적으로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부패균 성장에 소요되는 시간 및 온도는 예측할 수 있지만 실제 식품 저장 공간에서의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온도의 상태와 각각 다른 노출시간에 의해 부패균이 실제 성장할지를 물리, 화학적으로 예측할 수는 없다.
동결건조된 유산균 및 배지 분말 및 pH 지시약 및 증류수를 포함하는 식품 저장 용기의 외부에 접착될 수 있는 형태의 라벨을 제작하고 라벨이 온도변화 누적에 따른 저장물질의 부패가능성 판단에 사용될 수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02-86597호에 활성화 가능한 시간 온도 표시기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 제1012125호에 저장 온도변화의 누적에 따른 식품 부패균 성장 판단용 라벨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저장 온도변화의 누적에 따른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라벨의 상부에 pH 지시약층과 유산균 코팅코아층이 부착되어 있어 외부온도 -10 내지 40℃에서 온도변화 감지용 코팅층이 용해되는 경우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를 할 수 있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은 식품 저장 용기의 외부에 접착가능 하며 저장물질과 같은 온도변화를 받은 유산균이 성장하면 색이 변하게 되어 색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저장물질의 부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기능성 라벨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은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pH 지시약층(24)과 상기 pH 지시약층(24)의 상부에 부착된 유산균 코팅코아층(38); 및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유산균 코팅코아층(38)과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층(38)의 상부에 부착된 pH 지시약층(2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2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pH 지시약층(24)은 pH 지시약 분말(20) 및 pH 지시약 액체(2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시약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층(38)은 유산균 코팅코아(36)의 내부에 유산균 액체(32)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유산균 액체층의 외부에 코팅된 한개 또는 다수개의 유산균 코팅코아(3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은 2개의 층 상부에 표면코팅층(40)이 추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은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pH 지시약층(24)과 상기 pH 지시약층(24)의 상부에 부착된 유산균 코팅코아층(38); 및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유산균 코팅코아층(38)과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층(38)의 상부에 부착된 pH 지시약층(2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2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pH 지시약층(24)은 pH 지시약 액체(2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층(38)은 유산균 코팅코아(36)의 내부에 유산균 분말(30)이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유산균 분말층의 외부에 코팅된 한개 또는 다수개의 유산균 코팅코아(3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에 관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은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과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의 상부에 부착된 유산균층(34); 및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유산균층(34)과 상기 유산균층(34)의 상부에 부착된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2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유산균층(34)은 유산균 분말(30) 및 유산균 액체(3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산균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은 pH 지시약 코팅코아(26)의 내부에 pH 지시약 액체(22)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pH 지시약 액체층의 외부에 코팅된 한개 또는 다수개의 pH 지시약 코팅코아(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라벨은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과 유산균층(34)의 2개 층 상부에 표면코팅층(40)이 추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본 발명은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과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의 상부에 부착된 유산균층(34); 및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유산균층(34)과 상기 유산균층(34)의 상부에 부착된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2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유산균층(34)은 유산균 분말(3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은 pH 지시약 코팅코아(26)의 내부에 pH 지시약 액체(22)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pH 지시약 액체층의 외부에 코팅된 한개 또는 다수개의 pH 지시약 코팅코아(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라벨은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과 유산균층(34)의 2개 층 상부에 표면코팅층(40)이 추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본 발명은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과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의 상부에 부착된 유산균 코팅코아층(38); 및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유산균 코팅코아층(38)과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층(38)의 상부에 부착된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2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은 pH 지시약 코팅코아(26)의 내부에 pH 지시약 분말(20) 및 pH 지시약 액체(2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시약이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pH 지시약층의 외부에 코팅된 한개 또는 다수개의 pH 지시약 코팅코아(26)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층(38)은 유산균 코팅코아(36)의 내부에 유산균 액체(32)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유산균 액체층의 외부에 코팅된 한개 또는 다수개의 유산균 코팅코아(3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라벨은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과 유산균 코팅코아층(38)의 2개 층 상부에 표면코팅층(40)이 추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본 발명은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과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의 상부에 부착된 유산균 코팅코아층(38); 및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유산균 코팅코아층(38)과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층(38)의 상부에 부착된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2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은 pH 지시약 코팅코아(26)의 내부에 pH 지시약 액체(22)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pH 지시약층의 외부에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코팅된 한개 또는 다수개의 pH 지시약 코팅코아(26)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층(38)은 유산균 코팅코아(36)의 내부에 유산균 분말(32)이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유산균 분말층의 외부에 코팅된 한개 또는 다수개의 유산균 코팅코아(3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라벨은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과 유산균 코팅코아층(38)의 2개 층 상부에 표면코팅층(40)이 추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라벨(10)의 상부표면에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과 유산균 코팅코아층(38)의 혼합층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은 pH 지시약 코팅코아(26)의 내부에 pH 지시약 분말(20) 및 pH 지시약 액체(2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시약이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pH 지시약층의 외부에 코팅된 한개 또는 다수개의 pH 지시약 코팅코아(26)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층(38)은 유산균 코팅코아(36)의 내부에 유산균 액체(32)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유산균 액체층의 외부에 코팅된 한개 또는 다수개의 유산균 코팅코아(3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라벨은 혼합층의 상부에 표면코팅층(40)이 추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 내지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은 라벨(10)의 상부표면에 pH 지시약 코팅코아(26)과 유산균 코팅코아(36)의 혼합층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26)는 pH 지시약 코팅코아(26)의 내부에 pH 지시약 분말(20) 및 pH 지시약 액체(2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시약이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pH 지시약층의 외부에 코팅되어 있고,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36)는 유산균 코팅코아(36)의 내부에 유산균 액체(32)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유산균 액체층의 외부에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라벨은 혼합층의 상부에 표면코팅층(40)이 추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 내지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은 라벨(10)의 상부표면에 pH 지시약 코팅코아(26)과 유산균 코팅코아(36)의 혼합층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26)는 pH 지시약 코팅코아(26)의 내부에 pH 지시약 액체(22)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pH 지시약층의 외부에 코팅되어 있고,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36)는 유산균 코팅코아(36)의 내부에 유산균 분말(30)이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유산균 액체층의 외부에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라벨은 상기 혼합층의 상부에 표면코팅층(40)이 추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2와 같이 본 발명은 라벨(10)의 상부표면에 pH 지시약 분말(20)과 유산균 코팅코아(36)의 혼합층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36)는 유산균 코팅코아(36)의 내부에 유산균 액체(32)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유산균 액체층의 외부에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라벨은 상기 혼합층의 상부에 표면코팅층(40)이 추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4와 같이 본 발명은 라벨(10)의 상부표면에 pH 지시약 코팅코아(26)과 유산균 분말(30)의 혼합층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26)은 pH 지시약 코팅코아(26)의 내부에 pH 지시약 액체(22)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pH 지시약층의 외부에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라벨은 상기 혼합층의 상부에 표면코팅층(40)이 추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냉동만두와 같은 냉동식품이 냉동시킨 상태에서 외부온도가 -10 내지 40℃로 상승하는 경우 저장물질의 부패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온도감지 선택적 용해기능성 라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라벨(10)은 부착 전에는 유산균과 pH 지시약이 외부온도 -10 내지 40℃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코팅층(50)으로 분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라벨(10)은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분을 벗기고 라벨(10)을 부착한 상태에서 외부온도가 -10 내지 40℃로 상승하는 경우 외부온도 -10 내지 40℃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코팅층(50)이 부착된 라벨이다.
본 발명은 라벨을 저장물질의 외부 용기에 부착한 후 외부온도가 -10 내지 40℃ 상태로 상승 경우 코팅층(50)이 용해되고, 코팅층(50)이 용해되면 유산균과 pH 지시약이 혼합되며, 유산균과 pH 지시약이 혼합되면 라벨의 색을 관찰하여 산성 색인 경우 부패 가능으로 판단하는 저장물질의 부패가능성 판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라벨은 다양한 온도에 노출한 후 코팅층(50)의 용해에 따른 pH 지시약의 색상을 비교함으로써 저장 물질의 부패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저장 온도변화의 누적에 따른 저장물질의 부패가능성 판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벨은 저장 중 외부온도의 변화의 누적으로 저장물질의 온도가 상승하거나 변화할 경우 저장물질의 외부 용기에 접착되어 있는 라벨 내의 유산균과 pH 지시약은 혼합된다. 본 발명에서 유산균에 의해 pH가 산성이 되면 pH 표지물질이 산성 색을 띠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부패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코팅층(50)은 -10 내지 40℃에서 온도 선택적으로 용해가 가능한 것이며, 외부온도 -10 내지 40℃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온도변화 감지용 연질수지 코팅층이다.
본 발명에서 코팅층(50)은 천연연질수지 코팅층 및 합성연질수지 코팅층을 전부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합성연질수지 코팅층은 당으로 이루어진 코팅층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코팅층(50)을 제조할 수 있는 성분은 식품첨가제 당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코팅층(50)은 엿당, 포도당, 과당, 맥아당 및 설탕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코팅층에 사용되는 식품첨가제 당 조성물 중에서 단당류는 탄소수에 따라 2탄당, 3탄당, 4탄당, 5탄당 및 6탄당으로 분류되며, 단당류 중 중요한 단당류는 육탄당이다.
포도당(glucose)은 체내 당 대사의 중심물질로서 생체계의 가장 기본적인 에너지 급원이며 채소나 과일에 많고 특히 포도의 액즙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과당(fructose)은 과일과 꿀속에 존재하며 당 가운데 단맛이 가장 강하고 설탕과 전화당의 구성단위이다. 갈락토우즈(galactose)는 포도당과 결합하여 유당(lactose)이라 불리는 이당류의 형태로 존재하며 포도당보다 단맛은 약하고 물에 녹기 어렵다.
이당류(disacharide)는 설탕(sucrose), 맥아당(maltose), 유당(lactose) 등이 있다. 설탕(sucrose)은 포도당과 과당이 결합한 당이며 사탕수수, 사탕무 중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젖당, 유당, 락토우즈(lactose)는 동물의 젖 속에 많으며 단맛을 적으며 유당은 물에 잘 녹지 않고 소화도 느리다.
올리고당은 다당류이며, 당단백질이나 당지질의 구성성분으로서 세포내에서 주로 생체막에 부착되어 있고, 소포체와 골지체 등의 분비형 단백질과 결합되어 있으며, 갈락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및 프락토올리고당이 있다. 복합탄수화물로 불리우는 다당류는 녹말, 글리코겐, 식이섬유소로 구분된다.
헥소산(hesoxan)은 전분, 녹말(starch)이고, 글리코겐(glycogen)은 동물의 저장용 탄수화물로 근육조직과 간에 저장한다. 섬유소(cellulose)는 다당류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코팅층(50) 성분은 아마씨를 80∼120℃에서 10∼40분 동안 가열하여 아마씨에서 수분을 제거한 후 급속 냉각시키고, 급속 냉각된 아마씨를 착유기에 넣고 착유기의 온도 80∼120℃ 상태에서 착유한 후 200 메쉬에서 여과하여 여과된 아마씨유를 수득하고, 상기 여과된 아마씨유를 10∼20일 자연침전시킨 후 상층부를 회수하는 공정을 거쳐 정제된 아마씨유를 수득하여 제조된 악취 및 시안아이드(-CN) 독성이 제거된 아마씨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코팅층(50) 성분은 녹차추출물, γ-토코페놀 및 로즈마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산화제 5∼10 중량%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코팅층(50) 성분은 상전이 유도 촉매를 1∼5 중량%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전이 유도 촉매는 유채씨유, 카놀라유; 콩단백 레스틴, 계란 레스틴, 트윈, 모노그린, 폴리글리세린 및 에스테르 지방산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용 유화제; 및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glyceryl monooleate),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이트(glyceryl monolinoleate), 글리세릴 모노아라키도네이트(glyceryl monoarachidonate) 및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monoglyceride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코팅층(50)은 당, 전분, 상전이 코팅층 성분 및 상전이 유도 촉매를 혼합하여 3000rpm으로 고속회전하면서 상전이 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외부온도 변화에 따라 선택적 용해가 가능한 코팅층은 당, 전분, 상전이 코팅층 성분 및 상전이 유도 촉매를 적당량 혼합하여 혼합물의 조성성분과 함유량을 조절하고 코팅층의 두께를 조절하여 -10 내지 40℃에서 온도 선택적으로 용해가 가능한 코팅층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 상전이 코팅층 성분인 상전이 수용성 아마씨유의 제조
아마씨를 100℃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여 아마씨에서 수분을 제거한 후 급속 냉각시키고, 급속 냉각된 아마씨를 착유기에 넣고 착유기의 온도 100℃ 상태에서 착유한 후 200 메쉬에서 여과하여 여과된 아마씨유를 수득하고, 상기 여과된 아마씨유를 20일 자연침전시킨 후 상층부를 회수하는 공정을 거쳐 정제된 아마씨유를 수득하여 제조된 악취 및 시안아이드(-CN) 독성이 제거된 아마씨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전이 코팅층 성분인 상전이 수용성 아마씨유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아마씨유 50g과 토코페놀 20g을 물 25g에 혼합한 후 유채씨유 5g을 가하여 3000rpm으로 고속회전하면서 코팅하여 상전이 코팅층 성분인 상전이 수용성 아마씨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전이 코팅층 성분인 상전이 수용성 아마씨유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아마씨유 50g과 토코페놀 20g을 물 25g에 혼합한 후 카놀라유 5g을 가하여 3000rpm으로 고속회전하면서 코팅하여 상전이 코팅층 성분인 상전이 수용성 아마씨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전이 코팅층 성분인 상전이 수용성 아마씨유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아마씨유 50g과 토코페놀 20g을 물 25g에 혼합한 후 글리세릴 모노 올레이트 5g을 가하여 3000rpm으로 고속회전하면서 코팅하여 상전이 코팅층 성분인 상전이 수용성 아마씨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전이 코팅층 성분인 상전이 수용성 아마씨유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아마씨유 50g과 토코페놀 20g을 물 25g에 혼합한 후 유화제(트웬 60 : Tween 60) 5g을 가하여 3000rpm으로 고속회전하면서 코팅하여 상전이 코팅층 성분인 상전이 수용성 아마씨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외부온도 변화에 따라 선택적 용해가 가능한 코팅층의 제조
엿당 5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4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10℃에서 선택적 용해되고, 엿당 50 중량%, 전분 5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40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0℃에서 선택적 용해되며, 엿당 50 중량%, 전분 1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3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5℃에서 선택적 용해되고, 엿당 50 중량%, 전분 2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2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10℃에서 선택적 용해되며, 엿당 40 중량%, 전분 2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3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15℃에서 선택적 용해되고, 엿당 50 중량%, 전분 2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2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20℃에서 선택적 용해되며, 엿당 50 중량%, 전분 25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20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25℃에서 선택적 용해되고, 엿당 50 중량%, 전분 3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2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30℃에서 선택적 용해되고, 엿당 40 중량%, 전분 4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1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35℃에서 선택적 용해되고, 엿당 30 중량%, 전분 5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1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40℃에서 선택적 용해된다.
<실시예 7> 외부온도 변화에 따라 선택적 용해가 가능한 코팅층의 제조
포도당 5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4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10℃에서 선택적 용해되고, 포도당 50 중량%, 전분 5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40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0℃에서 선택적 용해되며, 포도당 50 중량%, 전분 1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3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5℃에서 선택적 용해되고, 포도당 50 중량%, 전분 2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2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10℃에서 선택적 용해되며, 포도당 40 중량%, 전분 2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3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15℃에서 선택적 용해되고, 포도당 50 중량%, 전분 2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2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20℃에서 선택적 용해되며, 포도당 50 중량%, 전분 25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20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25℃에서 선택적 용해되고, 포도당 50 중량%, 전분 3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2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30℃에서 선택적 용해되고, 포도당 40 중량%, 전분 4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1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35℃에서 선택적 용해되고, 포도당 30 중량%, 전분 5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1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40℃에서 선택적 용해된다.
<실시예 8> 외부온도 변화에 따라 선택적 용해가 가능한 코팅층의 제조
맥아당 5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4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10℃에서 선택적 용해되고, 맥아당 50 중량%, 전분 5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40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0℃에서 선택적 용해되며, 맥아당 50 중량%, 전분 1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3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5℃에서 선택적 용해되고, 맥아당 50 중량%, 전분 2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2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10℃에서 선택적 용해되며, 맥아당 40 중량%, 전분 2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3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15℃에서 선택적 용해되고, 맥아당 50 중량%, 전분 2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2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20℃에서 선택적 용해되며, 맥아당 50 중량%, 전분 25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20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25℃에서 선택적 용해되고, 맥아당 50 중량%, 전분 3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2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30℃에서 선택적 용해되고, 맥아당 40 중량%, 전분 4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1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35℃에서 선택적 용해되고, 맥아당 30 중량%, 전분 5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1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40℃에서 선택적 용해된다.
<실시예 9> 외부온도 변화에 따른 코팅층의 선택적 용해 변화
실시예 8에서 제조된 맥아당 5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4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10℃에서 0 내지 48시간 동안 용해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8에서 제조된 맥아당 50 중량%, 전분 5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40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0℃에서 0 내지 48시간 동안 용해되지 않았다.
실시예 8에서 제조된 맥아당 50 중량%, 전분 1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3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5℃에서 0 내지 48시간 동안 용해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8에서 제조된 맥아당 50 중량%, 전분 2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2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10℃에서 0 내지 48시간 동안 용해되지 않았다.
실시예 8에서 제조된 포도당 40 중량%, 전분 2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3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15℃에서 0 내지 48시간 동안 용해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8에서 제조된 맥아당 50 중량%, 전분 2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2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20℃에서 0 내지 48시간 동안 용해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8에서 제조된 맥아당 50 중량%, 전분 30 중량%, 상전이 코팅층 성분 25 중량%, 및 유화제 5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30℃에서 0 내지 48시간 동안 용해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 유산균 액체(32)는 증류수가 함유된 순수한 유산균 액체뿐만 아니라 증류수가 함유된 유산균 액체에 배지 분말 또는 배지 액체가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유산균 분말(30) 또는 유산균 액체(32)는 배지와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유산균은 부패 식중독균과 성장패턴이 유사하고 성장시 유기산을 형성하여 pH를 떨어뜨리고, 인체 및 환경에 해가 없는 미생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부패 식중독균은 대장균 O-157 또는 살모넬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저장물질의 부패 체크용 유산균은 유산균뿐만 아니라 효모, 곰팡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배지는 유산균의 성장과 동시에 발생하는 유기산에 의해서 배지의 pH가 낮아지는 조성인 것이 바람직하며, MRS, MRS 배지가 25%로 희석된 배지, 최소배지 및 포도당 100 g/ℓ를 포함하는 최소배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MRS 배지가 25%로 희석된 배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유산균 분말은 유산균 분말 및 배지 분말의 혼합분말이 바람직하며, 동결건조된 유산균 및 배지 분말을 0.01 ~ 0.1 : 99.99 ~ 99.9의 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결건조된 유산균 및 배지 분말을 0.05 ~ 0.1 : 99.95 ~ 99.9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결건조된 유산균 및 배지 분말을 0.1:99.9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가로 곰팡이 성장 저해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곰팡이 성장 저해제는 항진균성 폴리엔(polyene antifungals), 니스타틴 (nystatin), 암포테리신 B(amphotericin B), 피마리신(pimaric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여러 배지에서 0 내지 21일간 배양한 결과, 성장과 동시에 젖산 등의 생성으로 pH가 낮아졌으며, 한번 낮아진 pH는 3주까지도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고, 유산균을 pH 지시약, 금속비누 입자 및 pH 민감성 고분자입자 등의 pH 표지물질과 함께 배양한 결과, 유산균의 성장으로 pH가 떨어짐과 동시에 배지의 색이 변하여 산성임을 나타내었다. 이때, 금속비누 입자나 pH 민감성 고분자 입자의 경우 배지를 중성으로 조정하여도, 산성의 색을 유지하였다. 본 발명의 라벨을 냉동 보존할 경우 라벨이 효과적으로 사용되려면 냉동온도(예; -20℃)에서도 균이 살아 있다가 온도가 오를 경우 성장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라벨을 저장공간에서 사용하는 중 온도가 빙점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라벨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빙점 이하에서도 균이 생존해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장기간 저온상태에서 저장하는 경우 유산균이 성장은 하지 않더라도 생존해 있어야 한다. 유산균이 냉동저장 후 배양하여도 냉동저장 없이 배양한 균 또는 냉장저장 후 배양한 균과 마찬가지로 배양이 가능하며 배양과 동시에 배양액의 pH를 떨어뜨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유산균을 동결건조한 후 접종농도를 달리하여 배양함으로써, 동결건조된 유산균은 0.1%(W/V) 이하를 사용하여야 다른 물질에 의한 탁도 등으로 색의 판단에 영향이 없고, CFU는 10,000 CFU/㎖ 이상이 되어야 균의 성장이 1-2일 내에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동결건조된 유산균과 pH 지시약을 포함하도록 제조된 라벨을 다양한 온도에 노출한 후 미생물의 배양상태에 따른 pH 지시약의 색상을 비교함으로써 저장 물질의 부패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벨은 저장 온도변화의 누적에 따른 저장물질의 부패가능성 판단용 라벨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산균은 대표적인 부패 식중독균인 대장균 O-157, 살모넬라와 성장패턴이 유사하고 성장시 유기산을 형성하여 pH를 떨어뜨리고 인체 및 환경에 해가 없는 미생물은 무엇이든 사용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유산균, 효모, 곰팡이균 등이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배지는 유산균의 성장과 동시에 발생하는 유기산에 의해서 배지의 pH가 낮아지도록 배지 조성을 결정하고, 바람직하게는 MRS, MRS 배지가 25%로 희석된 배지, 최소배지 및 포도당 100 g/ℓ를 포함하는 최소배지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MRS 배지가 25%로 희석된 배지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산균이 성장하지 않는 경우의 배지 pH는 중성이 되도록 하며 배지 내에 아미노산 성분이 많을 경우 유산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암모니아로 pH가 오르기 때문에 이를 하향 조절한다. 유산균이 성장 정도와 비례하여 유기산을 생성하게 되고, 유기산은 배지의 pH를 떨어뜨려 산성이 된다. pH가 낮아지면 색이 변화되는 지시약을 배지에 첨가해 놓으면 저장물질과 같은 온도변화를 받은 유산균이 성장하면서 색이 변하게 되고 이것은 저장물질 내에 부패균이 있다면 성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산균 혼합분말은 동결건조된 유산균 및 배지 분말을 0.01 ~ 0.1 : 99.9 ~ 99.99의 비율, 바람직하게는 0.05 ~ 0.1 : 99.9 ~ 99.95의 비율, 가장 바람직하게는 0.1:99.9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라벨 제조시 무균상황을 유지할 필요를 없게 하기 위해서 유산균은 동결건조된 분말형태로, 배지 분말과 같이 미리 혼합하고 물과는 분리된 상태로 제작한다. 이 경우 잡균의 배양을 억제할 수 있으나 무균상황이 아니어서 곰팡이가 혼입되어 유산균 배양시 곰팡이가 성장하면서 유기산을 분해하고, pH가 증가하여
색이 변하는 것을 방지키 위해서 본 발명의 혼합분말에 곰팡이 성장 저해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고, 곰팡이 성장 저해제로는 항진균성 폴리엔 (polyene antifungals), 니스타틴(nystatin), 암포테리신 B(amphotericin B), 피마리신(pimarici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pH 지시약은 중성과 산성에서 색의 변화가 뚜렷한 지시약은 모두 사용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레드, 메틸블루, 브로모크레솔 그린-메틸 레드(Bromocresol Green-Methyl Red), 브로모크레솔 그린(Bromocresol Green), 브레모페놀 블루(Bromophenol Blue) 등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유산균 성장으로 발생한 유기산으로 배양액의 pH가 낮아졌더라도 다른 오염균의 성장 등의 이유로 pH가 다시 상승하는 경우 pH가 중성으로 될 수 있으므로 pH가 오를 경우에도 색이 변해서는 안 된다. 한 번 낮은 pH에 의해 색이 변하면 그 색이 유지되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pH 지시약 액체(22)는 증류수가 함유된 pH 지시약 액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pH 표지물질로서 pH 지시약은 일반적인 pH 지시약뿐만 아니라 금속비누 입자 및 pH 민감성 고분자입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일반적인 pH 지시약은 중성과 산성에서 색의 변화가 뚜렷한 것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틸레드 및 메틸블루의 혼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pH 지시약은 중성과 산성에서 색의 변화가 뚜렷한 지시약은 모두 사용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레드, 메틸블루, 브로모크레솔 그린-메틸레드 (Bromocresol Green-Methyl Red), 브로모크레솔 그린(Bromocresol Green), 브레모페놀 블루(Bromophenol Blue) 등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pH 지시약 액체(22)는 증류수가 함유된 pH 지시약 액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pH 지시약은 메틸레드(methyl red) 0.1g, 메틸렌블루 (methylene blue) 0.1 g을 에탄올 190 ㎖에 용해하고 물을 채워 200㎖로 만든다. 중성에서 산성으로 변할 경우 색이 변하는 지시약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pH 지시약은 금속비누 입자 또는 pH 민감성 고분자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비누 입자는 안료와 올레인산을 2가 이온과 비누화 반응을 시켜서 금속비누 알갱이 형태로 만든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금속비누 입자는 안료와 올레인산 등을 칼슘 등의 2가 이온과 비누화 반응을 시켜서 금속비누 알갱이 형태를 만든 것으로 유기산으로 pH가 낮아지면 금속비누는 다시 분해되어 함유되어 있던 염료가 분산되면서 라벨이 전체적으로 안료의 색을 띠게 된다. 이 반응은 pH가 라벨 내의 성분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pH가 중성으로 변해도 자발적으로 염료가 다시 금속비누의 알갱이가 되지 않으므로 라벨 내의 색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금속비누는 안료 및 올레인산을 칼슘 2가 이온과 비누화 반응을 시켜서 금속비누 알갱이 형태를 제조한다. D&C Red No.6 Barium-lake 10㎎, 올레인산 15g, Ca(OH)2 2.204g, H2O 5.67g 및 리파아제 0.0375g을 60℃에서 480 rpm으로 2.5 시간 동안 반응한 후 잘게 분쇄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pH 지시약은 pH 민감성 고분자가 바람직하며, 키토산, 폴리라이신(polylysine),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PEI), 디에틸아미노에틸-덱스트란(diethylaminoethyl-dextran; DEAE-dextran) 및 폴리(아마이도아민) 덴드리머[poly(amidoamine) (PAMAM) dendrimer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pH 민감성 고분자 입자는 안료를 낮은 pH에서 고분자가 팽창되는 염기성 고분자로 포집하고 있는 형태로 제조되고, 유기산으로 pH가 낮아지면 고분자입자 안에 포집된 안료가 배지로 방출되어 안료의 색을 띠게 하고 다시 중성이 되도 안료가 수축된 고분자입자 내로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안료의 색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염기성 고분자에는 키토산, 폴리라이신(polylysine), 폴리에틸렌이민 (polyethyleneimine; PEI), 디에틸아미노에틸-덱스트란(diethylaminoethyl-dextran; DEAE-dextran), 폴리(아마이도아민) 덴드리머 [poly(amidoamine) (PAMAM) dendrimer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료는 D&C Red No.6 Barium-lake, 붉은 색 유기염료, 무기염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pH 민감성 고분자는 많은 종류가 있고 낮은 pH에서 팽창하는 염기성 고분자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0.5g의 키토산을 0.1%(V/V)의 초산 50㎖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키토산의 3-80%(Wt%)까지 EDTA를 추가하여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에 안료(D&C Red No.6 Barium-lake; Warner-Jenkinson, USA)를 1-5㎎ 첨가하고 5M NaOH로 pH를 중화한다. 여기에 EDAC [1-Ethyl-3-(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 hydrochloride; Sigma, USA]를 10-100mM 되도록 첨가한다. 상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증류수로 2회 세척 0.5 M NaCl, 0.025M NaOH로 2회 세척 및 0.05M NaOH로 2회 세척 후 증류수로 1회 세척하여 냉장보관한다.
본 발명에서 라벨을 저장공간에서 사용하는 중 온도가 빙점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라벨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빙점 이하에서도 저장물질의 부패균이 생존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동결건조된 유기산과 pH 지시약을 포함하도록 제조된 라벨을 다양한 온도에 노출한 후 pH 지시약의 색상을 비교함으로써 저장 물질의 부패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벨은 저장 온도변화의 누적에 따른 저장물질의 부패가능성 판단용 라벨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pH가 다시 상승하는 경우 pH가 중성으로 될 수 있으므로 pH가 오를 경우에도 색이 변해서는 안 된다. 한 번 낮은 pH에 의해 색이 변하면 그 색이 유지되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금속비누 입자와 pH 민감성 고분자 입자가 더욱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벨은 식품 저장 용기의 외부에 접착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온도에 의해 부패하는 저장물질의 외부 용기에 직접 붙이는 라벨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저장, 수송 중 저장 공간의 온도가 아닌 저장물질의 실제 온도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산균에 따른 pH 변화 및 pH 표지물질의 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산균을 pH 지시약, 금속비누 입자 및 pH 민감성 고분자 입자를 각각 0.0001%, 1% 및 1%의 농도로 30℃에서 pH 변화 및 pH 표지물질의 색 변화를 확인한다. 마지막에 pH를 중성으로 보정하고 색 변화를 확인한다. pH 지시약의 경우 처음 녹색이던 지시약은 자주색 및 적색으로 변하여 색깔이 유지되며 금속비누 입자나 pH 민감성 고분자 입자의 경우 중성으로 유지해도 색은 붉은 색을 유지한다.
본 발명은 라벨을 저장물질의 외부 용기에 부착하고, 저장기간이 경과되면서 외부온도가 -10 내지 40℃로 상승하여 저장물질이 부패되는 경우 용해되는 코팅층 외부온도 -10 내지 40℃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코팅층(50)이 용해되면서 pH 지시약의 색깔이 변색되고, 변색된 라벨의 색을 관찰하여 산성 색인 경우, 저장물질의 부패 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장온도 변화에 따른 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한 라벨을 -10℃, 0℃, 4℃, 5℃, 10℃, 15℃, 20℃, 25℃, 30℃, 35℃, 37℃ 및 40℃의 다양한 온도에 정해진 시간만큼 노출한 후 각 구간에서 색 변화를 관찰한다. 지시약의 색 변화가 나타나면 색 변화를 바탕으로 부패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라벨의 표면코팅층(40)은 접착시 가하는 압력에 대해서 내부 물질을 보호할 수 있도록 PE(poly ethylene), PP(poly propylene), PS(Poly styrene), PET(Poly Ethylene Telephthalate) 등의 재질을 필름형태로 만들어 사용하며 접착 하단면은 저장물질의 색과 혼돈되지 않도록 불투명 백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pH 지시약 분말 22: pH 지시약 액체
24: pH 지시약층 26: pH 지시약 코팅코아
28: pH 지시약 코팅코아층
30: 유산균 분말 32: 유산균 액체
34: 유산균층 36: 유산균 코팅코아
38: 유산균 코팅코아층
40: 표면코팅층 50: 온도변화 감지용 코팅층

Claims (12)

  1.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pH 지시약층(24)과 상기 pH 지시약층(24)의 상부에 부착된 유산균 코팅코아층(38); 및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유산균 코팅코아층(38)과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층(38)의 상부에 부착된 pH 지시약층(2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2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pH 지시약층(24)은 pH 지시약 분말(20) 및 pH 지시약 액체(2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시약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층(38)은 유산균 코팅코아(36)의 내부에 유산균 액체(32)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유산균 액체층의 외부에 코팅된 한개 또는 다수개의 유산균 코팅코아(3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당, 전분, 상전이 코팅제 및 유화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전이 코팅제는 아마씨를 100℃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여 아마씨에서 수분을 제거한 후 급속 냉각시키고, 급속 냉각된 아마씨를 착유기에 넣고 착유기의 온도 100℃ 상태에서 착유한 후 200 메쉬에서 여과하여 여과된 아마씨유를 수득하고, 상기 여과된 아마씨유를 20일 자연침전시킨 후 상층부를 회수하는 공정을 거쳐 정제된 아마씨유를 수득하여 제조된 악취 및 시안아이드(-CN) 독성이 제거된 아마씨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
  3. 삭제
  4.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pH 지시약층(24)과 상기 pH 지시약층(24)의 상부에 부착된 유산균 코팅코아층(38); 및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유산균 코팅코아층(38)과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층(38)의 상부에 부착된 pH 지시약층(2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2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pH 지시약층(24)은 pH 지시약 액체(2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층(38)은 유산균 코팅코아(36)의 내부에 유산균 분말(30)이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유산균 분말층의 외부에 코팅된 한개 또는 다수개의 유산균 코팅코아(3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
  5.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과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의 상부에 부착된 유산균층(34); 및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유산균층(34)과 상기 유산균층(34)의 상부에 부착된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2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유산균층(34)은 유산균 분말(30) 및 유산균 액체(3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산균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은 pH 지시약 코팅코아(26)의 내부에 pH 지시약 액체(22)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pH 지시약 액체층의 외부에 코팅된 한개 또는 다수개의 pH 지시약 코팅코아(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
  6.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과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의 상부에 부착된 유산균층(34); 및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유산균층(34)과 상기 유산균층(34)의 상부에 부착된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2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유산균층(34)은 유산균 분말(3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은 pH 지시약 코팅코아(26)의 내부에 pH 지시약 액체(22)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pH 지시약 액체층의 외부에 코팅된 한개 또는 다수개의 pH 지시약 코팅코아(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
  7.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과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의 상부에 부착된 유산균 코팅코아층(38); 및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유산균 코팅코아층(38)과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층(38)의 상부에 부착된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2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은 pH 지시약 코팅코아(26)의 내부에 pH 지시약 분말(20) 및 pH 지시약 액체(2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시약이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pH 지시약층의 외부에 코팅된 한개 또는 다수개의 pH 지시약 코팅코아(26)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층(38)은 유산균 코팅코아(36)의 내부에 유산균 액체(32)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유산균 액체층의 외부에 코팅된 한개 또는 다수개의 유산균 코팅코아(3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
  8.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과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의 상부에 부착된 유산균 코팅코아층(38); 및
    라벨(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유산균 코팅코아층(38)과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층(38)의 상부에 부착된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2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층(28)은 pH 지시약 코팅코아(26)의 내부에 pH 지시약 액체(22)이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pH 지시약층의 외부에 코팅된 한개 또는 다수개의 pH 지시약 코팅코아(26)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층(38)은 유산균 코팅코아(36)의 내부에 유산균 분말(32)이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유산균 분말층의 외부에 코팅된 한개 또는 다수개의 유산균 코팅코아(3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
  9. 라벨(10)의 상부표면에 pH 지시약 코팅코아(26)과 유산균 코팅코아(36)의 혼합층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26)는 pH 지시약 코팅코아(26)의 내부에 pH 지시약 분말(20) 및 pH 지시약 액체(2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시약이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pH 지시약층의 외부에 코팅되어 있고,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36)는 유산균 코팅코아(36)의 내부에 유산균 액체(32)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유산균 액체층의 외부에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
  10. 라벨(10)의 상부표면에 pH 지시약 코팅코아(26)과 유산균 코팅코아(36)의 혼합층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26)는 pH 지시약 코팅코아(26)의 내부에 pH 지시약 액체(22)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pH 지시약층의 외부에 코팅되어 있고,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36)는 유산균 코팅코아(36)의 내부에 유산균 분말(30)이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유산균 액체층의 외부에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
  11. 라벨(10)의 상부표면에 pH 지시약 분말(20)과 유산균 코팅코아(36)의 혼합층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유산균 코팅코아(36)는 유산균 코팅코아(36)의 내부에 유산균 액체(32)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유산균 액체층의 외부에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
  12. 라벨(10)의 상부표면에 pH 지시약 코팅코아(26)과 유산균 분말(30)의 혼합층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pH 지시약 코팅코아(26)은 pH 지시약 코팅코아(26)의 내부에 pH 지시약 액체(22)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온도 -10 내지 40도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외부온도감지용 코팅층(50)으로 상기 pH 지시약층의 외부에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




KR1020140069200A 2014-06-09 2014-06-09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 KR101485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200A KR101485334B1 (ko) 2014-06-09 2014-06-09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200A KR101485334B1 (ko) 2014-06-09 2014-06-09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334B1 true KR101485334B1 (ko) 2015-01-26

Family

ID=52592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200A KR101485334B1 (ko) 2014-06-09 2014-06-09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3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125B1 (ko) * 2008-07-24 2011-02-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장 온도변화의 누적에 따른 식품 부패균 성장 판단용라벨
WO2013032308A2 (ko) * 2011-09-02 2013-03-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라카아제를 이용한 새로운 효소형 시간-온도 이력지시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125B1 (ko) * 2008-07-24 2011-02-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장 온도변화의 누적에 따른 식품 부패균 성장 판단용라벨
WO2013032308A2 (ko) * 2011-09-02 2013-03-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라카아제를 이용한 새로운 효소형 시간-온도 이력지시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irsa et al. Nano-biocomposite based color sensors: Investigation of structure, function, and applications in intelligent food packaging
KR101012125B1 (ko) 저장 온도변화의 누적에 따른 식품 부패균 성장 판단용라벨
Tripathi et al. Probiotic functional foods: Survival of probiotic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Albadran et al. Stability of probiotic Lactobacillus plantarum in dry microcapsules under accelerated storage conditions
Corrales et al. Antimicrobial properties of grape seed extracts and their effectiveness after incorporation into pea starch films
EP2586319B1 (en) Composition comprising flavouring substance and organic acid and use thereof
RU2598270C2 (ru) Новая молочнокислая бактерия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 ее помощью силоса или ферментированного корма
RU2401619C2 (ru) Синергетическая антимикробная система
Léonard et al. Preservation of viability and anti-Listeria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Lactococcus lactis and Lactobacillus paracasei, entrapped in gelling matrices of alginate or alginate/caseinate
Ayama et al. Effect of encapsulation of selected probiotic cell on survival in simulated gastrointestinal tract condition.
Costa et al. Synbiotic Amazonian palm berry (açai, Euterpe oleracea Mart.) ice cream improved Lactobacillus rhamnosus GG survival to simulated gastrointestinal stress
Cruz et al. New food packaging systems
Mohammadi et al. Potential application of postbiotics metabolites from bioprotective culture to fabricate bacterial nanocellulose based antimicrobial packaging material
Zhang et al. Storage stability and in vitro digestion of microencapsulated powder containing fermented noni juice and probiotics
Bagheripoor et al. Application of active edible coatings to improve the shelf-life of cheese
Rad et al. Physicochemical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kefiran/waterborne polyurethane film incorporated with essential oils on refrigerated ostrich meat
WO2017086451A1 (ja) 菌本来の生残能を誘導発現させた乳酸菌固体発酵物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より製造した乳酸菌固体発酵物
KR101463095B1 (ko)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충격감지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
KR101477030B1 (ko)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분리막 기능성 라벨
KR101485334B1 (ko)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코팅 기능성 라벨
Liu et al. Properties of soy protein isolate antimicrobial films and its application in preservation of meat
KR101485333B1 (ko)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산균 캡슐 기능성 라벨
Settier-Ramírez et al. Effect of casein hydrolysates on the survival of protective cultures of Lactococcus lactis and Lactobacillus sakei in PVOH films
KR101477031B1 (ko)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상부물질 코팅 기능성 라벨
KR101490136B1 (ko) 저장물질의 신선도 체크용 외부온도감지 선택적 용해 유기산 코팅 기능성 라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