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321B1 - 식품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321B1
KR101485321B1 KR1020140134096A KR20140134096A KR101485321B1 KR 101485321 B1 KR101485321 B1 KR 101485321B1 KR 1020140134096 A KR1020140134096 A KR 1020140134096A KR 20140134096 A KR20140134096 A KR 20140134096A KR 101485321 B1 KR101485321 B1 KR 101485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rying plate
conveying
coupled
perfor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주원
Original Assignee
강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주원 filed Critical 강주원
Priority to KR1020140134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15Post-treatment of dried fruits 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2Racks for dr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을 설치물에 고정 결합하는 결합부재; 상기 하우징 내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고, 건조하기를 원하는 식품이 위치하는 건조판; 상기 건조판의 테두리 부분과 결합되고, 상기 건조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이송부재; 및 상기 건조판과 결합되고 일단을 당기면 상기 건조판이 상승하고, 내려놓으면 상기 건조판이 하강하도록 구성된 이송로프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건물의 베란다 난간대 또는 샷시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각종 과일이나 야채, 육류, 생선류 등의 식품을 자연 건조할 수 있고,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하여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 최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 건조장치{A FOOD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식품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건물의 베란다 난간대 또는 샷시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각종 과일이나 야채, 육류, 생선류 등의 식품을 자연 건조할 수 있고,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하여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 최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식품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이 마당이 없는 공동주택에서는, 각종 과일이나 야채, 육류, 생선류 등의 식품을 햇빛에 건조시켜 보관할 수 있는 장소가 부족하여, 인스턴트 건식품을 주로 구매해 섭취하고 있다.
즉, 공동주택에 공통적으로 마련된 다용도 공간인 베란다 내에 각종 과일이나 야채, 육류, 생선류 등의 식품을 널어 말리는 작업은 장시간을 요하는 작업으로, 상기와 같은 식품이 건조되는 시간 동안 실내 거주자들은 식품이 건조되는 냄새로 인해 불쾌감을 느끼게 되었고, 또한, 주택 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베란다 이용에 많은 불편을 받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생선이나 곡물 등을 태양빛으로 자연 건조시킬 경우에는 신문지나 시트 등을 준비하여 건조시키고자 하는 식품을 고르게 펼친 상태에서 단시간에 건조시키거나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품의 상부에 얇은 천이나 비닐 등을 덮고, 바람에 날아가지 않도록 가장자리 부분에 돌이나 각목과 같은 고정수단을 얹어 놓아 건조시키고 있다.
또한, 일정 면적의 지면에 소형 비닐하우스 등의 건조공간을 설치하여 비 등의 외부적인 장애를 극복함과 동시에 더욱 단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넓은 수평공간이 필요하여 공간이 좁은 도심지역에서는 자연 건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교적 넓은 공간에서도 고층건물로 인해 햇볕이 내리쪼이는 공간이 협소하게 되어 단시간에 건조하기가 힘들며, 특히 저층 아파트나 연립주택 등에서 건조시에는 실내에 건조 공간이 없는 관계로 1층으로 수시 왕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 국내공개실용 제20-2012-0005919호(2012년 08월 22일 공개) : 국내공개특허 제10-2014-0058326호(2014년 05월 14일 공개) : 국내등록특허 제10-0110563호(1997년 01월 11일 등록)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건물의 베란다 난간대 또는 샷시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각종 과일이나 야채, 육류, 생선류 등의 식품을 자연 건조할 수 있고,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하여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 최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식품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건물의 구조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거치와 철거가 간편하고, 외부적인 충격에 의해서도 탈락하여 추락하는 일 없이 안전하고 견고한 식품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을 설치물에 고정 결합하는 결합부재; 상기 하우징 내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고, 건조하기를 원하는 식품이 위치하는 건조판; 상기 건조판의 테두리 부분과 결합되고, 상기 건조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이송부재; 및 상기 건조판과 결합되고 일단을 당기면 상기 건조판이 상승하고, 내려놓으면 상기 건조판이 하강하도록 구성된 이송로프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 테두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측 및 측면은 밀폐되고 하측은 개방되게 구성되며, 아파트의 설치물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홈; 상기 걸림홈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되고, 걸림홈에 삽입된 설치물 외측에 구비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걸림홈 상에 구비되고 고정볼트 하측에 위치하며 중공된 구멍 형상으로 구비되는 천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일단이 갈고리 형태의 후크로 형성되고, 타측이 연장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천공홀과 결합되는 결합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판은, 테두리 부분을 구성하고, 이송부재와 결합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측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바구니 형태의 망 형상으로 구성된 그릴망; 및 상기 프레임 양측면에 구비되고, 이송로프와 결합된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판은 그릴망 상부 양측에 위치하고, 건조판의 상하 상승 높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간격조절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는 일정 단위 간격으로 이격된 회전중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안으로 꺽이며 상승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수용되는 식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로프는 프레임의 결합돌기와 결합되고, 이송로프가 꺽이는 지점의 하우징 상에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천공홀은 걸림홈 양측에 구비된 제1 천공홀 및 제2 천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천공홀은 결합부재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 천공홀은 이송로프의 일단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은 상기 하우징 상단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전체 높이의 1/3 되는 부분에 위치하게 설치하여 건조판을 모두 하강시켰을 때 3 단으로 형성된 건조판이 설치물 아래쪽으로 위치하게 하여 미관과 안전성을 고려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건물의 베란다 난간대 또는 샷시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각종 과일이나 야채, 육류, 생선류 등의 식품을 자연 건조할 수 있고,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하여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 최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건물의 구조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거치와 철거가 간편하고, 외부적인 충격에 의해서도 탈락하여 추락하는 일 없이 안전하고 견고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10)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건물의 베란다 난간대 또는 샷시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각종 과일이나 야채, 육류, 생선류 등의 식품을 자연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10)는 하우징(20), 결합부재(30), 건조판(40), 이송부재(60) 및 이송로프(5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0)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10)의 외형(또는, 틀)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상기 하우징(20) 내측에 식품이 위치하여 자연 건조될 수 있고, 내부에 건조판(40), 이송부재(60) 등이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10)에서 상기 하우징(20)은 육면체의 테두리만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하우징(20) 내측에 건조될 식품 등을 수용하고 바람이 용이하게 통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하우징(20)은 상부에 구비된 덮개(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22)는 상기 하우징(20) 내측에 수용되는 식품 등이 비나 눈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나 눈 등이 쉽게 낙하될 수 있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하우징(20)을 아파트와 같은 공동건물의 베란다 난간대 또는 샷시 등에 고정 결합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하우징(20)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2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20)의 양측 테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0)는 걸림홈(32), 고정볼트(34), 천공홀(38a, 38b) 및 결합후크(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홈(32)은 상기 하우징(20)의 양측 테두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20) 상단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전체 높이의 1/3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0)을 아파트와 같은 공동건물의 베란다 난간대 또는 샷시 등에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32)은 상기 하우징(20)이 난간대 또는 샷시 등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난간대 또는 샷시 등에 용이하게 결합되게 하기 위하여 상측 및 측면은 밀폐되고 하측은 개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32)의 폭은 결합하려는 베란다 설치물(7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홈(32)의 폭은 고정 결합하려는 아파트의 베란다 설치물(70)의 폭에 따라 그 폭을 가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공동주택의 다양한 설치물(7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34)는 상기 걸림홈(32)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되고, 상기 걸림홈(32)에 삽입된 설치물(70)로부터 식품 건조장치(10)가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볼트(34)는 걸림홈(32)에 삽입된 설치물(70)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홈(32) 및 고정볼트(34)가 형성하는 공간 상에 상기 설치물(70)이 삽입되게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10)가 아파트와 같은 공동건물의 설치물(70)에 안전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천공홀(38a, 38b)은 상기 고정볼트(34) 하측에 위치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된 구멍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천공홀(38a, 38b)은 제1 천공홀(38a) 및 제2 천공홀(38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천공홀(38a)은 상기 걸림홈(32) 일측에 위치하고, 하기에서 설명될 결합후크(36)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천공홀(38a)는 중공된 구멍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결합후크(36)의 일단을 상기 제1 천공홀(38a)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천공홀(38b)은 상기 걸림홈(32) 타측에 위치하고, 하기에서 설명될 이송로프(50)를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천공홀(38b)은 제1 천공홀(38a)과 동일하게 중공된 구멍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하기에서 설명될 고정로프(50)를 일측 방향으로 당긴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로프(50)의 일단을 상기 제2 천공홀(38b) 상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10)에서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10)를 설치하거나 제거할 때, 부주의로 인한 낙하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후크(3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후크(36)는 일단이 갈고리 형태의 후크로 형성되고, 타측이 연장선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후크(36)는 식품 건조장치(10)를 설치하기 전에 샷시 일부분에 고정할 수 있고, 상기 결합후크(36)의 타측에 형성된 연장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천공홀(38a) 상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 1 및 도 3에서는 상기 결합후크(36)가 걸림홈(32) 일측에 형성된 제1 천공홀(38a)을 통하여 고정된 것을 일 예로 하여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하우징(20)의 프레임 상에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한 결합후크(36)의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10)를 아파트의 설치물(70)에 고정할 때, 부주의에 의한 식품 건조장치(1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건조판(40)은 상기 하우징(20) 내측에 위치하고, 내측에 식품을 건조할 수 있도록 바구니 형태로 구성되며, 건조하기를 원하는 식품의 양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20) 내측에 3 개의 건조판(40)이 적층된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조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수의 건조판(40)이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판(40)은 각종 과일이나 야채, 육류, 생선류 등의 식품이 위치하여 자연 건조되는 부분으로, 프레임(42), 그릴망(44) 및 결합돌기(46)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42)은 상기 건조판(40)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사각의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2)은 하기에서 설명될 이송부재(60) 및 이송로프(50)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로프(50)를 일측 방향으로 당기거나 또는 타측 방향으로 내려 놓음으로써 상기 이송부재(60)와 함께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다.
상기 그릴망(44)은 상기 프레임(42) 내측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바구니 형태의 망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구성에 의해 상기 그릴망(44) 상에 위치하는 야채, 육류, 생선류 등의 식품이 빠르게 자연 건조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46)는 상기 프레임(42)의 양 측면 부분에 구비되고, 하기에서 설명될 이송로프(50)와 일정 간격단위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이송로프(50)의 일단을 잡아당기면 상기 이송로프(50)에 결합되어 있는 프레임(42)이 상부로 힘을 받게 되고, 상기 프레임(42)과 결합되어 있는 이송부재(60)가 회전중심축(62)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동하면서 안으로 꺽이며 상승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조판(40)은 상기 건조판(40)들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간격조절판(48)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간격조절판(48)은 상기 그릴망(44) 상부에 위치하고, 다수개가 적층되어 있는 건조판(40)의 상하 높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판(48)은 상부로 이동되는 건조판(40)의 상부 높이를 제한함으로써 내측에 수용되는 식품이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무리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건조판(4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송로프(50)는 상기 프레임(42)의 결합돌기(46)와 결합되고, 일정한 길이 간격 단위로 프레임(42)의 결합돌기(46)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 상에는 상기 이송로프(50)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롤러(52)가 구비되고,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52)는 상기 이송로프(50)가 꺽이는 부분에 위치함으로써 이송로프(50)의 이동에 따른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로프(50)는 상기 제2 천공홀(38b)에 고정 결합되는데, 당겨진 이송로프(50)를 상기 제2 천공홀(38b)에 끼워 상기 이송로프(50) 안쪽으로 두 번 이상 감으면 당겨진 이송로프(50)가 안으로 감긴 이송로프(50)를 가압해주기 때문에 상기 이송로프(50)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10)에서는 상기 하우징(20) 상에 롤러(52)를 구비하여 이송로프(50)를 고정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라면 상기 롤러(52) 대신에 스토퍼(미도시)를 이용하여 이송로프(50)를 고정할 수도 있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10)에서는 제2 천공홀(38b)을 구비하여 상기 이송로프(50)의 일단을 고정 결합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이송로프(50)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상기 이송로프(50)의 일단을 잡아당기면 상기 이송로프(50)에 결합되어 있는 건조판(40)이 상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10)가 아파트의 베란다 외부에 고정 결합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식품 등을 수용시켜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60)는 상기 건조판(40)의 프레임(42)과 결합되고, 건조판(40)의 안정적인 상승 및 하강을 위하여 테두리의 사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60)는 일정 단위 간격으로 회전중심축(62)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재(60)는 상기 회전중심축(62)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안으로 꺽여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이송로프(50)를 일측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상기 건조판(40)을 상부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건조판(40)의 테두리와 결합되어 있는 이송부재(60)가 상부로 힘을 받게 되고, 상기 이송부재(60)가 상기 회전중심축(62)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안으로 꺽이며 상승됨으로써, 상기 건조판(40)이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10)에서 상기 건조판(40) 및 이송부재(60)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건조판(40) 및 이송부재(60)의 변형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형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변형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하고,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1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10)의 변형예는 이송부재(60) 및 레일홈(9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60)는 전체적으로 "X"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건조판(4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레일홈(95)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부재(60)의 일단은 상기 레일홈(95)과 결합되고, 상기 이송부재(60)의 일단이 상기 레일홈(95)을 따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이송로프(50)를 잡아당기면 이송로프(50)와 결합되어 있는 건조판(40)에 힘이 전달되고, 상기 "X"자 형상으로 구성된 이송부재(60)의 양단이 레일홈(95)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건조판(40)이 상부로 상승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이송로프(50)를 놓으면 상기 건조판(40)의 무게에 따른 자연 중력에 의해 하강하려는 힘을 받게 되고, 상기 "X"자 형상으로 구성된 이송부재(60)의 양단이 레일홈(95)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건조판(40)이 하부로 하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 및 일 변형예에 따른 식품 건조장치에서는 하우징(20) 내부에 건조판(40)을 설치하여 상기 건조판(40) 상에서 식품이 건조되게 구성하였는데, 식품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날파리 등과 같은 해충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건조판(40) 상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왕복 운동하는 회전바나 바람개비를 가로로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바의 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식품 건조장치 20; 하우징
22; 덮개 30; 결합부재
32; 걸림홈 34; 고정볼트
36; 결합후크 38a, 38b; 천공홀
40; 건조판 42; 프레임
44; 그릴망 46; 결합돌기
48; 간격조절판 50; 이송로프
52; 롤러 60; 이송부재
62; 회전중심축 70; 설치물
80; 실린더 85; 제어부
90; 리모콘 95; 레일홈

Claims (1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을 설치물에 고정 결합하는 결합부재;
    상기 하우징 내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고, 건조하기를 원하는 식품이 위치하는 건조판;
    상기 건조판의 테두리 부분과 결합되고, 상기 건조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이송부재; 및
    상기 건조판과 결합되고 일단을 당기면 상기 건조판이 상승하고, 내려놓으면 상기 건조판이 하강하도록 구성된 이송로프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재는 일정 단위 간격으로 이격된 회전중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안으로 꺽이며 상승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 테두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측 및 측면은 밀폐되고 하측은 개방되게 구성되며, 아파트의 설치물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홈;
    상기 걸림홈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되고, 걸림홈에 삽입된 설치물 외측에 구비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걸림홈 상에 구비되고 고정볼트 하측에 위치하며 중공된 구멍 형상으로 구비되는 천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일단이 갈고리 형태의 후크로 형성되고, 타측이 연장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천공홀과 결합되는 결합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판은,
    테두리 부분을 구성하고, 이송부재와 결합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측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바구니 형태의 망 형상으로 구성된 그릴망; 및
    상기 프레임 양측면에 구비되고, 이송로프와 결합된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판은 그릴망 상부 양측에 위치하고, 건조판의 상하 상승 높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간격조절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장치.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수용되는 식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프는 프레임의 결합돌기와 결합되고, 이송로프가 꺽이는 지점의 하우징 상에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홀은 걸림홈 양측에 구비된 제1 천공홀 및 제2 천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천공홀은 결합부재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 천공홀은 이송로프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미관과 안전성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 상단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전체 높이의 1/3 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장치.
KR1020140134096A 2014-10-06 2014-10-06 식품 건조장치 KR101485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096A KR101485321B1 (ko) 2014-10-06 2014-10-06 식품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096A KR101485321B1 (ko) 2014-10-06 2014-10-06 식품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321B1 true KR101485321B1 (ko) 2015-01-22

Family

ID=5259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096A KR101485321B1 (ko) 2014-10-06 2014-10-06 식품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3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2076Y1 (ko) * 1979-10-04 1980-12-22 류인일 생선 건조대
JPH0838268A (ja) * 1994-07-28 1996-02-13 Taniguchi Kogyo Kk 棚板昇降装置
KR200283337Y1 (ko) * 2002-04-22 2002-07-26 박원준 농수산물 자연 건조장치
KR20120002472U (ko) * 2010-09-30 2012-04-09 김은선 베란다용 고추 건조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2076Y1 (ko) * 1979-10-04 1980-12-22 류인일 생선 건조대
JPH0838268A (ja) * 1994-07-28 1996-02-13 Taniguchi Kogyo Kk 棚板昇降装置
KR200283337Y1 (ko) * 2002-04-22 2002-07-26 박원준 농수산물 자연 건조장치
KR20120002472U (ko) * 2010-09-30 2012-04-09 김은선 베란다용 고추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091B1 (ko) 친환경 기능성 창호
AU2012203213B2 (en) Roll blind having noiseless bidirectional clutch
US20090223641A1 (en) Cordless Roller Shade
US20160135593A1 (en) Retractable vented attic storage system
KR102054460B1 (ko) 운반이 용이한 버티칼블라인드용 레일장치
EP3101196A1 (en) Window sunlight-shielding device
KR101485321B1 (ko) 식품 건조장치
KR101531675B1 (ko) 접이식 차양
US10907405B2 (en) Retractable gate system
KR100894610B1 (ko) 창호와 연동 개폐되는 방충망 장치
KR200446420Y1 (ko) 베니션블라인드의 고정장치
US10876759B2 (en) Dry open window (DOW) apparatus
KR101278588B1 (ko) 탈착식 옥외용 건조대
CN1436912A (zh) 一种升降式多功能阳台防护栏
KR20040092401A (ko) 창문용 블라인드
KR20200019808A (ko) 베란다 난간 거치형 접이식 건조대
US20060254157A1 (en) Outdoor decorated and ventilated shoe box
RU223254U1 (ru) Устройство оконное для выгула животных и птиц
JP3171473U (ja) 屋外用カーテン
KR100823581B1 (ko) 일체형 다기능 창호
KR101573864B1 (ko) 전동식 리프트 장치를 갖는 빨래 건조대
AU2013354910A1 (en) Roller blind
KR102100584B1 (ko) 추락 방지 기능을 갖는 방충망
KR101468461B1 (ko) 갤러리용 전동식 창호
JP2014100446A (ja) ロールスクリーン内蔵物干し竿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