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247B1 - 신규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 면역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 면역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247B1
KR101485247B1 KR20130074009A KR20130074009A KR101485247B1 KR 101485247 B1 KR101485247 B1 KR 101485247B1 KR 20130074009 A KR20130074009 A KR 20130074009A KR 20130074009 A KR20130074009 A KR 20130074009A KR 101485247 B1 KR101485247 B1 KR 101485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xamide
biphenyl
alkyl
propyl
diethylam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4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771A (ko
Inventor
민경훈
황광우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40001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6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3/65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6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carbo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procainamide, procarbazine, metoclopramide, labetalol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 면역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은 대식세포의 탐식작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류마티스 관절염 등과 같은 자가 면역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면역 억제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 면역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Novel biphenyl-3-carboxamide derivatives or salt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autoimmune disease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 면역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면역계의 기본은 외부에서 침입한 병원균이나 내부에서 발생한 이상 세포를 감시, 제거하는 것이다. 면역계가 이런 기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기 항원(self-antigen)에 반응하지 않는 자기 관용(self-tolerance)이 형성되어야 한다. 자기 관용이 형성되지 않거나 형성된 관용이 깨어지면 자기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자가면역, autoimmunity)이 생기고, 이로 인해 자가 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이 발생하게 된다. 자가 면역질환은 동반된 질환이 없으면서 T 세포나 항체에 의해 일어나는 질환을 의미한다. 즉 자기 관용을 상실함으로써 생성된 자가 면역에 의해 자가 면역질환이 유발된다.
자가 면역질환은 자기반응(self-reactive) 림프구가 관용을 피해서 활성화되었을 때 발생하는데, 즉 자가 면역질환이 발생하려면 자기 관용 유지에 영향을 주는 susceptibility gene이 있어야 하고, 이런 유전자를 가진 사람에서 자가 면역질환이 발생하려면 자기 반응 림프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환경적 유발인자가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자가 면역질환은 susceptibility gene과 같은 내적 인자와 환경적 인자와 같은 외적 유발인자의 복합적 작용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러 다양한 기전에 의해 발병하는 자가 면역질환은 통상적으로 표적 장기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있다. 일부 경우에는 장기 전체가 면역계의 모든 세포(대식세포, 림프구, NK세포, 중성구, 수지상세포)들의 공격을 받게 된다. CD8+ T 세포가 중요한 작동세포이기는 하나 한 종류의 세포에 의해서 발병하지는 않는다. 감염시에는 병원체와 처음 반응한 대식세포, NK세포, 중성구, 수지상세포와 같은 자연면역계가 림프구를 동원하고, CD4+ T 세포는 항원을 인지하고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CD8+ T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CD8+ T 세포는 여러 가지 기전에 의해 세포를 죽인다.
한편, 대식세포(macrophage)는 혈액의 단핵세포(백혈구)에서 유래한 것으로 특수한 조직세포의 한 종류이다. 대식세포는 세포 파편을 제거하거나 병원성 미생물을 죽이고 림프구 세포로 모아져서 항원작용을 한다. 따라서 대식세포의 활성은 효과적인 내적 면역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신체가 병원성 자극이나 손상을 받게 되면 대식세포는 다양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인터류킨-1, 인터류킨-2), 세포 사이의 신호 전달을 담당하는 케모카인(chemokines), 염증성 분자(산화질소, 활성산소종 등)를 방출하고, 당단백질(공동자극분자인 CD80 및 CD86, 부착분자)의 표면 수준을 상향 조절한다.
대식세포의 기능이상은 류마티스 관절염을 비롯한 자가 면역질환이나 암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대식세포의 활성조절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대식 세포 기능 이상으로 인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대식세포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07-0085997호에서 PPARγ 유형 수용체를 조정하는 화합물로서 바이페닐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을지라도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과 구조가 전혀 상이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대식세포의 탐식작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화합물을 찾고자 모색하던 중, 신규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를 규명함으로써 자가 면역질환에서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식세포 탐식작용 억제 효과를 갖는 신규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식세포 탐식작용 억제 효과를 갖는 신규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 면역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57467636-pat00001
R1은 수소, 할로겐, (C1-C4)알킬 및 (C1-C4)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R2 내지 R4 중 어느 하나의 치환기는 (C1-C10)알콕시, (C3-C8)사이클로(C1-C4)알콕시 및 트리플루오로(C1-C4)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다른 두 개의 치환기는 각각 수소이고; A는 (C1-C4)알킬, 디메틸아미노(C1-C4)알킬, (피페리딘-1-일)(C1-C4)알킬, 디에틸아미노(C1-C4)알킬, (피롤리딘-1-일)(C1-C4)알킬, (4-메틸피페라진-1-일)(C1-C4)알킬 및 몰폴리노(C1-C4)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 면역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57467636-pat00002
R1은 수소, 할로겐, (C1-C4)알킬 및 (C1-C4)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R2 내지 R4 중 어느 하나의 치환기는 (C1-C10)알콕시, (C3-C8)사이클로(C1-C4)알콕시 및 트리플루오로(C1-C4)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다른 두 개의 치환기는 각각 수소이고; A는 (C1-C4)알킬, 디메틸아미노(C1-C4)알킬, (피페리딘-1-일)(C1-C4)알킬, 디에틸아미노(C1-C4)알킬, (피롤리딘-1-일)(C1-C4)알킬, (4-메틸피페라진-1-일)(C1-C4)알킬 및 몰폴리노(C1-C4)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은 대식세포의 탐식작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자가 면역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면역 억제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들의 대식세포 탐식작용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기재된 용어, 기술 등은 특별한 한정이 없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문헌들은 모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문헌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신규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가 대식세포의 탐식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자가 면역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최초로 규명하였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신규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 자체와, 상기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57467636-pat00003
R1은 수소, 할로겐, (C1-C4)알킬 및 (C1-C4)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R2 내지 R4 중 어느 하나의 치환기는 (C1-C10)알콕시, (C3-C8)사이클로(C1-C4)알콕시 및 트리플루오로(C1-C4)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다른 두 개의 치환기는 각각 수소이고; A는 (C1-C4)알킬, 디메틸아미노(C1-C4)알킬, (피페리딘-1-일)(C1-C4)알킬, 디에틸아미노(C1-C4)알킬, (피롤리딘-1-일)(C1-C4)알킬, (4-메틸피페라진-1-일)(C1-C4)알킬 및 몰폴리노(C1-C4)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R2가 프로폭시이고; R1, R3 및 R4가 각각 수소이고; A가 (C1-C4)알킬, 디메틸아미노(C1-C4)알킬, (피페리딘-1-일)(C1-C4)알킬, 디에틸아미노(C1-C4)알킬, (피롤리딘-1-일)(C1-C4)알킬, (4-메틸피페라진-1-일)(C1-C4)알킬 및 몰폴리노(C1-C4)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4'-프로폭시-N-프로필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b),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c), N-(3-(피페리딘-1-일)프로필)-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d), N-(2-(디에틸아미노)에틸)-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e), 4'-프로폭시-N-(3-(피롤리딘-1-일)프로필)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f), N-(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g), 및 N-(3-몰폴리노프로필)-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은 R2가 메톡시이고; R1, R3 및 R4가 각각 수소이고; A가 (C1-C4)알킬, 디메틸아미노(C1-C4)알킬, (피페리딘-1-일)(C1-C4)알킬, 디에틸아미노(C1-C4)알킬, (피롤리딘-1-일)(C1-C4)알킬, (4-메틸피페라진-1-일)(C1-C4)알킬 및 몰폴리노(C1-C4)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N-(3-(디에틸아미노)프로필)-4'-메톡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i)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은 R1이 수소, 할로겐, (C1-C4)알킬 및 (C1-C4)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R2 내지 R4 중 어느 하나의 치환기가 (C3-C6)알콕시, (C4-C6)사이클로(C1-C4)알콕시 및 트리플루오로(C1-C4)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다른 두 개의 치환기가 각각 수소이고; A가 디에틸아미노프로필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4'-부톡시-N-(3-(디에틸아미노)프로필)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4'-butoxy-N-(3-(diethylamino)propyl)biphenyl-3-carboxamide; 60], N-(3-(디에틸아미노)프로필)-3'-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N-(3-(diethylamino)propyl)-3'-propoxybiphenyl-3-carboxamide; 61], N-(3-(디에틸아미노)프로필)-2'-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N-(3-(diethylamino)propyl)-2'-propoxybiphenyl-3-carboxamide; 62], N-(3-(디에틸아미노)프로필)-4'-(트리플루오로메톡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N-(3-(diethylamino)propyl)-4'-(trifluoromethoxy)biphenyl-3-carboxamide; 63], N-(3-(디에틸아미노)프로필)-4'-(헥실옥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N-(3-(diethylamino)propyl)-4'-(hexyloxy)biphenyl-3-carboxamide; 64], N-(3-(디에틸아미노)프로필)-4'-(펜틸옥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N-(3-(diethylamino)propyl)-4'-(pentyloxy)biphenyl-3-carboxamide; 65], 4'-(사이클로펜틸옥시)-N-(3-(디에틸아미노)프로필)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4'-(cyclopentyloxy)-N-(3-(diethylamino)propyl)biphenyl-3-carboxamide; 66], 4'-부톡시-3'-클로로-N-(3-(디에틸아미노)프로필)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4'-butoxy-3'-chloro-N-(3-(diethylamino)propyl)biphenyl-3-carboxamide; 67], 4'-부톡시-N-(3-(디에틸아미노)프로필)-3'-메틸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4'-butoxy-N-(3-(diethylamino)propyl)-3'-methylbiphenyl-3-carboxamide; 68] 및 4'-부톡시-N-(3-(디에틸아미노)프로필)-3'-메톡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4'-butoxy-N-(3-(diethylamino)propyl)-3'-methoxybiphenyl-3-carboxamide; 69]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다음과 같은 반응식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하기 반응식 1을 참조하면, 1-브로모프로판을 이용한 4-브로모페놀의 O-알킬화에 의해 1-브로모-4-프로폭시벤젠(화합물 1)을 제조하고, 화합물 1과 3-시아노페닐보론산을 이용한 스즈키 커플링 반응을 통해 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보니트릴(화합물 2)을 제조하며, 가수분해에 의해 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실산(화합물 3)을 얻는다. 옥살릴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화합물 3을 산 클로라이드(화합물 4)로 변형시킨다. 상기 화합물 3 또는 화합물 4를 적절한 1차 아민과 반응시켜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5b~5i)를 제조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3057467636-pat00004
하기 반응식 2를 참조하면, 1-브로모-4-메톡시벤젠을 출발물질로 이용하여 화합물 5h를 제조한다. 먼저, 스즈키 커플링 및 가수분해에 의해 화합물 7을 제조한 후, 상기 화합물 7을 옥살릴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산 클로라이드(화합물 8)로 변형시키며, 상기 화합물 8을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과 반응시켜 메톡시 유도체인 화합물 5i를 제조한다.
[반응식 2]
Figure 112013057467636-pat00005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상응하는 염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염은 독성이 없는 수용성의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염으로는 칼륨, 나트륨 등 등과 같은 알칼리 금속의 염; 칼슘, 마그네슘 등과 같은 알칼리토류 금속의 염; 그리고 테트라메틸 암모늄, 트리에틸아민,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시클로펜틸아민, 벤질아민, 페네틸아민, 피페리딘,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민, 라이신, 아르기닌, N-메틸-D-글루카민 등과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아민의 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상응하는 산 부가염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산 부가염은 독성이 없는 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산 부가염으로는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요오드화수소산염, 황산염, 인산염 및 질산염과 같은 무기산염, 또는 아세트산염, 젖산염, 주석산염, 옥살산염, 푸마르산염, 말레인산염, 구연산염, 벤조산염, 메탄술폰산염, 에탄술폰산염, 벤젠술폰산염, 톨루엔술폰산염, 이세티온산염, 글루쿠론산염 및 글루콘산염과 같은 유기산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되는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수화물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복강 대식 세포(CD11b+) 및 RAW264.7 세포를 대상으로 탐식작용의 특이적인 저해제로 알려진 CyD(cytochalasin D) 또는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를 각각 전처리한 뒤 자이모산(zymosan)과 함께 배양 처리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자이모산에 의해 유도된 대식세포 탐식작용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 면역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57467636-pat00006
R1은 수소, 할로겐, (C1-C4)알킬 및 (C1-C4)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R2 내지 R4 중 어느 하나의 치환기는 (C1-C10)알콕시, (C3-C8)사이클로(C1-C4)알콕시 및 트리플루오로(C1-C4)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다른 두 개의 치환기는 각각 수소이고; A는 (C1-C4)알킬, 디메틸아미노(C1-C4)알킬, (피페리딘-1-일)(C1-C4)알킬, 디에틸아미노(C1-C4)알킬, (피롤리딘-1-일)(C1-C4)알킬, (4-메틸피페라진-1-일)(C1-C4)알킬 및 몰폴리노(C1-C4)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은 대식세포의 탐식작용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지며, 상기 자가 면역질환으로는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건선, 크론병(Crohn's disease), 궤양성 대장염, 제I형 당뇨병(diabetes mellitus), 염증성 장질환 및 전신성 루프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모든 정상 개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성 중의 하나는 자기(self)를 구성하고 있는 항원물질에 대해서는 해롭게 반응하지 않는 반면, 비자기(non-self) 항원들에 대해서는 이를 인식하고 반응하여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자기항원에 대한 생체의 무반응을 면역학적 무반응성(immunologic unresponsiveness) 또는 관용(tolerance)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기관용을 유도하거나 계속 유지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생기게 되면 자기항원에 대하여 면역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자신의 조직을 공격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과정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을 "자가 면역질환"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가 면역질환"은 자기항원에 대하여 일으키는 면역반응으로 인해 발생되는 질환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자가 면역질환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MS, multiple sclerosis), 건선, 크론병(Crohn's disease), 궤양성 대장염, 제 I 형 당뇨병(diabetes mellitus), 염증성 장질환 또는 전신성 루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치료"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용어가 적용되는 질환 또는 질병, 또는 상기 질환 또는 질병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역전시키거나, 완화시키거나, 그 진행을 억제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또는 윤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자가 면역질환의 증상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 염은 약학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3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대식세포 탐식억제 효과가 미미하며, 30.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량에 따른 효과의 개선이 미미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0.5 ~ 100 mg/day/체중kg, 바람직하게는 0.5 ~ 5 mg/day/체중kg이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질환 증상의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으며, 제형은 과립제, 산제, 피복정, 정제, 환제, 캡슐제, 좌제, 겔,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특정 제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구, 경피, 피하, 정맥, 근육, 직장, 기관지내 흡입,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고,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자가 면역질환의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 염은 50% 치사량(LC50)이 2 g/kg 이상으로 안전성이 확보된 안전한 화합물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합물 5b 내지 화합물 5i 합성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60(230-400 mesh, Merck)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분취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는 glass-backed 실리카겔 플레이트(1 mm, Merck)에서 수행하였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면서 반응을 모니터링 하였다. 1H NMR 및 13C NMR 분석은 JEOL JNM-LA 300(300MHz), JEOL JNM-GCX(400MHz) 또는 BRUKER AMX-500(500MHz) 분석기를 사용하였다. 질량 분석 및 HRMS는 VG Trio-2 GC-MS와 JEOL JMS-AX로 각각 수행하였다. 각 화합물의 구체적인 합성방법은 다음과 같다.
1. 1-브로모-4-프로폭시벤젠(1) 합성
4-브로모-페놀(100 mg, 0.58 mmol), 1-브로모프로판(160 μL, 1.73 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과량)를 DMF(1 mL)에 넣은 혼합물을 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고, 여과하였으며, 상기 여과액을 진공 상태에서 농축하였다. 얻어진 산물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산 = 1:40)로 정제하여 화합물 1(123 mg, 0.58 mmol, 99%)을 얻었다.
1H NMR (CDCl3,300MHz) δ 7.36(d,2H,J=8.7Hz), 6.77(d,2H,J=8.7Hz), 3.87(t,3H,J=5.7Hz), 1.73-1.85(m,2H), 1.02(t,3H,J=7.2Hz);
13C NMR (600MHz,CD3OD) δ 158.4, 131.8, 116.0, 112.0, 69.4, 22.2, 9.5;
MS(EI) m/z 214[M]+
2. 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보니트릴(2) 합성
가스제거한 THF(1 mL)에 1-브로모-4-프로폭시벤젠(화합물 1, 61.4 mg, 0.29 mmol), 3-시아노페닐보론산(50.3 mg, 0.34 mmol) 및 2N-포타슘 카르보네이트(0.2 mL, 0.2 mmol)를 넣어 준비한 현탁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3 mg, 0.03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고, 물과 염수로 세정하였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였으며, 상기 여과액을 진공 상태에서 농축하였다. 얻어진 산물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산 = 1:10)로 정제하여 화합물 2(30 mg, 0.13 mmol, 44%)를 얻었다.
1H NMR (CDCl3, 300MHz) δ 7.80-7.86(m,2H), 7.50-7.58(m,4H), 6.95(d,2H,J=8.7Hz), 3.91(t,3H,6.3Hz), 1.70-1.79(m,2H), 1.00(t,3H,J=7.2Hz);
13C NMR (600MHz, CD3OD) δ 159.6, 142.1, 130.8, 130.7, 129.7, 129.5, 127.7, 118.4, 114.7, 112.5, 69.2, 22.2, 9.4;
MS(EI) m/z 237[M]+
3. 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실산(3) 합성
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보니트릴(화합물 2, 30 mg, 0.13 mmol)과 2N-NaOH(1.5 mL, 6 mmol)을 메탄올(3 mL)에 용해시킨 혼합물을 20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고, 물로 추출한 후, 수층을 1N-HCl로 산성화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염수로 세정하였고, 무수 MgSO4로 건조시켰으며, 진공 상태에서 농축하였다. (32 mg, 0.13 mmol, 99%)
1H NMR (acetone-d 6,300MHz): δ 8.26(s,1H), 7.99(d,1H,J=8.4), 7.87(d,1H,J=8.4), 7.65(d,2H,J=8.7Hz), 7.57(t,1H,J=8.4Hz), 7.06(d,2H,J=8.7Hz), 4.02(t,2H,J=5.7Hz), 1.78-1.85(m,2H), 1.05(t,3H,J=7.2Hz)
4. 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보닐 클로라이드(4) 합성
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실산(화합물 3, 15 mg, 0.06 mmol)과 옥살릴 클로라이드(20 μL, 0.24 mmol)를 디클로로메탄(2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촉매로서 한방울의 DMF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켰다. 얻어진 산물은 별도의 정제공정 없이 다음 반응에 이용하였다.
5. 화합물 5b 내지 5g 합성
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보닐 클로라이드(화합물 4), 적량의 1차 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디에틸아민을 THF(무수)에 용해시킨 혼합물을 실온에서 3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고, 물과 염수로 세정하였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였으며, 상기 여과액을 진공 상태에서 농축하였다. 얻어진 산물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2Cl2/MeOH = 10~50:1)로 정제하여 화합물 5b 내지 5g를 각각 얻었다.
1) 4'-프로폭시- N -프로필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b)
1H NMR (acetone-d 6, 300MHz): δ 8.11(s,1H), 7.90(s,1H), 7.83(dd,1H,J=1.8,7.8Hz), 7.74(dd,1H,J=1.8,7.5Hz), 7.63(d,2H,J=9Hz), 7.50(t,1H,J=7.8Hz), 7.04(d,2H,J=9Hz), 4.00(t,2H,J=6.3Hz), 3.412-3.344(m,2H), 1.87-1.75(m,2H), 1.69-1.57(m,2H), 1.04(t,3H,J=7.5Hz), 0.95(t,3H,J=7.5Hz);
13C NMR (600MHz, CD3OH) δ 168.9, 159.1, 141.09, 134.9, 132.4, 129.1, 128.6, 127.7, 124.9, 114.5, 41.4, 22.3, 10.4, 9.4.
MS(EI) m/z 297[M]+
2) N -(3-(디메틸아미노)프로필)-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c)
1H NMR (acetone-d 6, 300MHz): δ 8.68(s,1H), 8.21(s,1H), 7.88(dd,1H,J=1.8,7.8Hz), 7.76(dd,2H,J=1.8,7.8Hz), 7.69(d,2H,J=9Hz), 7.50(t,1H,J=7.8Hz), 7.04(d,2H,J=9Hz), 4.00(t,2H,J=6.3Hz), 3.51(q,2H,J=6,12Hz), 2.82(t,2H,J=6.9Hz), 2.53(s,6H), 2.00-1.92(m,2H), 1.86-1.75(m,2H), 1.04(t,3H,J=7.5Hz);
13C NMR (600MHz, CD3OH) δ 169.0, 159.2, 141.2, 134.5, 132.3, 129.3, 128.6, 127.7, 124.9, 114.6, 69.2, 56.3, 43.3, 37.3, 26.0, 22.3, 9.4.
MS(EI) m/z 340[M]+
3) N -(3-(피페리딘-1-일)프로필)-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d)
1H NMR (acetone-d 6, 300MHz): δ 8.69(s,1H), 8.21(s,1H), 7.89(dd,1H,J=2.4,7.5Hz), 7.76(dd,1H,J=1.8,7.8Hz), 7.69(d,2H,J=8.7Hz), 7.51(t,1H,J=7.8Hz), 7.04(d,2H,J=8.7Hz), 4.01(t,2H,J=6.3Hz), 3.51(q,2H,J=10.5Hz), 2.73(s,6H), 1.98-1.92(m,2H), 1.87-1.70(m,4H), 1.52-1.46(m,2H), 1.04(t,3H,J=7.5Hz);
13C NMR (600MHz, CD3OH) δ 169.3, 159.2, 141.2, 134.3, 132.3, 129.4, 128.7, 127.7, 125.0, 124.9, 114.6, 69.2, 55.2, 53.3, 37.0, 24.7, 23.7, 22.3, 22.2, 9.4.
MS(EI) m/z 380[M]+
4) N -(2-(디에틸아미노)에틸)-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e)
1H NMR (acetone-d 6, 300MHz): δ 8.17(s,1H), 7.85(dd,1H,J=1.5,7.5Hz), 7.76(dd,1H,J=1.8,7.5Hz), 7.67(d,2H,J=9Hz), 7.51(t,1H,J=7.8Hz), 7.03(d,2H,J=9Hz), 4.00(t,2H,J=6.6Hz), 3.55(q,2H,J=6.3,5.7Hz), 2.84-2.68(m,6H), 1.87-1.75(m,2H), 1.10(t,3H,J=7.2Hz), 1.04(t,3H,J=7.2Hz);
13C NMR (600MHz, CD3OH) δ 169.1, 159.2, 141.19, 134.4, 132.3, 129.3, 128.7, 127.7, 124.9, 114.6, 69.2, 51.3, 47.0, 36.5, 22.3, 9.6, 9.4.
MS(EI) m/z 352[M]+
5) 4'-프로폭시- N -(3-(피롤리딘-1-일)프로필)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f)
1H NMR (CDCl3, 300MHz): δ 8.48(s,1H), 8.17(s,1H), 7.87(d,1H,J=7.5Hz), 7.68(d,1H,J=7.5Hz), 7.61(d,2H,J=8.7Hz), 7.47(t,1H,J=7.2Hz), 6.74(d,2H,J=8.7Hz), 3.96(t,2H,J=6.6Hz), 3.66(q,2H,J=11.7Hz), 3.13-3.05(m,6H), 2.14-2.06(m,8H), 1.89-1.77(m,2H), 1.05(t,3H,J=7.5Hz);
13C NMR (600MHz, CD3OH) δ 169.4, 159.2, 141.25, 139.3, 134.2, 132.2, 129.5, 128.7, 127.7, 124.9, 114.6, 69.2, 53.8, 52.8, 36.6, 26.5, 22.6, 22.3, 9.4.
MS(EI) m/z 366[M]+
6) N -(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g)
1H NMR (acetone-d 6, 300MHz): δ 8.26(s,1H), 8.09(s,1H), 7.82(d,2H,J=7.8Hz), 7.75(dd,1H,J=2.1,7.8Hz), 7.64(d,2H,J=9Hz), 7.51(t,1H,J=7.8Hz), 7.04(d,2H,J=9Hz), 3.48(q,2H,J=12Hz), 2.48(t,2H,J=6.6Hz), 2.35(s,8H), 2.11(s,3H), 1.87-1.75(m,2H), 1.04(t,3H,J=7.2Hz);
13C NMR (600MHz, CD3OH) δ 168.8, 159.2, 141.2, 134.8, 132.4, 129.2, 128.6, 127.7, 124.9, 114.6, 69.2, 55.9, 54.1, 52.1, 44.3, 38.3, 25.7, 22.3, 9.4.
MS(EI) m/z 395[M]+
6. N -(3-몰폴리노프로필)-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h) 합성
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시산(화합물 3, 16 mg, 0.06 mmol), 3-몰폴리노프로필아민(18.2 μL, 0.13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60 mg, 0.31 mmol)을 디클로로메탄(2 mL)에 용해시킨 혼합물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를 실온에서 첨가하였으며,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였고, 물과 염수로 세정하였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였으며, 상기 여과액을 진공 상태에서 농축하였다. 얻어진 산물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2Cl2/MeOH = 20:1)로 정제하여 화합물 5h(8.5 mg, 0.02 mmol, 35.6%)를 얻었다.
1H NMR (acetone-d 6, 300MHz): δ 8.01(m,2H), 7.82(d,1H,J=7.8), 7.75(d,1H,J=7.8), 7.64(d,2H,J=8.7Hz), 7.52(t,1H,J=7.8Hz), 7.04(d,2H,J=8.7Hz), 4.01(t,2H,J=6.3Hz), 3.60(t,2H,J=4.5Hz), 3.45-3.58(m,2H), 2.40-2.50(m,6H), 1.75-1.85(m,4H), 1.05(t,3H,J=7.2Hz);
13C NMR (600MHz, CD3OH) δ 168.8, 159.2, 141.2, 134.8, 132.3, 129.2, 128.6, 127.7, 124.9, 114.6, 69.2, 66.2, 56.4, 53.3, 38.1, 25.5, 22.3, 9.4.
MS(EI) m/z 382[M]+
7. 4'-메톡시바이페닐-3-카르보니트릴(6) 합성
화합물 6은 화합물 2와 유사한 방법으로 1-브로모-4-메톡시벤젠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얻어진 산물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산 = 1:10)로 정제하여 화합물 6(411.4 mg, 1.97 mmol, 73%)을 얻었다.
1H NMR (CD3OD, 300MHz): δ 7.92(s,1H), 7.88(d,1H,J=7.5Hz), 7.65-7.55(m,4H), 7.03(d,2H,J=8.7Hz), 3.84(s,3H)
8. 4'-메톡시바이페닐-3-카르복실산(7) 합성
4'-메톡시바이페닐-3-카르보니트릴(화합물 6, 411 mg, 1.97 mmol), 3N-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2 mL, 6 mmol)를 에탄올(5 mL)에 넣은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1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진공 상태에서 에탄올을 제거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고, 1N-KOH로 염기성화 하였으며, 물로 추출하였다. 수층을 1N-HCl로 산성화 하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MgSO4로 건조한 후, 진공상태에서 농축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산물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산=1:2~5)로 정제하여 화합물 7(379 mg, 1.66 mmol, 84.5%)을 얻었다.
1H NMR (CD3OD, 300MHz): δ 8.21(s,1H), 7.94(d,1H,J=7.5Hz), 7.80(d,1H,J=7.5Hz), 7.58(d,2H,J=9Hz), 7.51(t,1H,J=7.5Hz), 7.02(d,2H,J=9Hz), 3.84(s,3H);
13C NMR (600MHz, CD3OD) δ 168.5, 159.7, 141.0, 132.4, 131.0, 130.6, 128.5, 127.6, 127.4, 127.2, 114.0, 54.3;
MS(EI) m/z 228[M]+
9. 4'-메톡시바이페닐-3-카르보닐 클로라이드(8) 합성
4'-메톡시바이페닐-3-카르복실산(화합물 7, 100 mg, 0.44 mmol) 및 옥살릴 클로라이드(187 μL, 2.19 mmol)를 디클로로메탄(5 mL)에 용해시켰다. 이때, 촉매로서 디메틸포름아마이드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매와 옥살릴 클로라이드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였다. 얻어진 산물을 별도의 정제없이 이후 공정에서 사용하였다.
10. N -(3-(디에틸아미노)프로필)-4'-메톡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i) 합성
4'-메톡시바이페닐-3-카르보닐 클로라이드(화합물 8, 108 mg, 0.44 mmol)을 무수 THF(10 mL)에 넣은 용액에 N1,N1-디에틸프로판-1,3-디아민(103.2 μL, 0.66 mmol)을 실온에서 몇 방울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고, 1N-KOH, 물 및 염수로 세정하였으며, 무수 MgSO4로 건조한 후, 진공상태에서 농축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산물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2Cl2/MeOH/Et3N = 30:2:0.1)로 정제하여 화합물 5i(54 mg, 0.16 mmol, 36.4 %)를 얻었다.
1H NMR (CDCl3, 300MHz): δ 8.75(s,1H), 8.08(s,1H), 7.79(d,1H,J=6.6Hz), 7.66(d,1H,J=7.8Hz), 7.59(d,2H,J=9Hz), 7.46(t,1H,J=7.5Hz), 6.98(d,2H,J=9Hz), 3.86(s,3H), 3.62(q,2H,J=11.4Hz), 2.77(s,6H), 1.14(s,6H);
13C NMR (600MHz, CD3OH) δ 168.9, 159.7, 141.1, 134.6, 132.4, 129.3, 128.7, 127.7, 125.0, 124.9, 114.0, 54.4, 49.8, 46.5, 37.7, 25.0, 9.2.
MS(EI) m/z 340[M]+
<실시예 2> 화합물 60 내지 화합물 69 합성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60(230-400 mesh, Merck)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분취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는 glass-backed 실리카겔 플레이트(1 mm, Merck)에서 수행하였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면서 반응을 모니터링 하였다. 1H NMR 및 13C NMR 분석은 JEOL JNM-LA 300(300MHz), JEOL JNM-GCX(400MHz) 또는 BRUKER AMX-500(500MHz) 분석기를 사용하였다. 질량 분석 및 HRMS는 VG Trio-2 GC-MS와 JEOL JMS-AX로 각각 수행하였다. 각 화합물의 구체적인 합성방법은 다음과 같다.
1. 4'-부톡시-N-(3-(디에틸아미노)프로필)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4'-butoxy-N-(3-(diethylamino)propyl)biphenyl-3-carboxamide; 60] 합성
4-브로모페놀(100 mg, 0.58 mmol), 브로모부탄(160 μL, 1.73 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과량)를 DMF(1 mL)에 넣은 혼합물을 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화합물 1을 합성하였고, 가스제거한 THF(1 mL)에 화합물 1(61.4 mg, 0.29 mmol), 3-시아노페닐보론산(50.3 mg, 0.34 mmol) 및 2N-포타슘 카르보네이트(0.2 mL, 0.2 mmol)를 넣어 준비한 현탁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3 mg, 0.03 mmol)을 첨가하여 반응시켜 화합물 2를 합성하였다.
상기 화합물 2(30 mg, 0.13 mmol)와 2N-NaOH(1.5 mL, 6 mmol)을 메탄올(3 mL)에 용해시킨 혼합물을 20시간 동안 환류시켜 화합물 3을 합성하였고, 상기 화합물 3(15 mg, 0.06 mmol)과 옥살릴 클로라이드(20 μL, 0.24 mmol)를 디클로로메탄(2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촉매로서 한방울의 DMF를 첨가하여 화합물 4를 합성하였으며, 상기 화합물 4, 적량의 1차 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디에틸아민을 THF(무수)에 용해시킨 혼합물을 실온에서 3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고, 물과 염수로 세정하였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였으며, 상기 여과액을 진공 상태에서 농축하였다. 얻어진 산물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2Cl2/MeOH = 10~50:1)로 정제하여 화합물 60을 합성하였다.
[반응식 3]
Figure 112013057467636-pat00007
1H NMR (Acetone d 6 , 300MHz) :δ 8.90 (brs, 1H), 8.32 (t, 1H, J = 1.5 Hz), 7.94-7.97 (m, 1H), 7.79-7.83 (m, 1H), 7.70-7.77 (m, 3H), 7.49 (t, 1H, J = 7.8 Hz), 7.02 (d, 2H, J = 9.0 Hz), 4.04 (t, 2H, J = 6.3 Hz), 3.54 (q, 2H, J = 6.0 Hz), 3.09 (q, 6H, J = 7.2 Hz), 2.06-2.15 (m, 2H), 1.72-1.82 (m, 2H), 1.45-1.58 (m, 2H), 1.30 (t, 6H, J = 7.2 Hz), 0.98 (t, 3H, J = 7.2 Hz)
2. N-(3-(디에틸아미노)프로필)-3'-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N-(3-(diethylamino)propyl)-3'-propoxybiphenyl-3-carboxamide; 61] 합성
4-브로모페놀 대신 3-브로모페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60의 합성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반응식 4]
Figure 112013057467636-pat00008
1H NMR (Acetone d 6 , 300MHz) :δ 8.89 (brs, 1H), 8.32 (t, 1H, J = 1.8 Hz), 7.97-8.00 (m, 1H), 7.79-7.83 (m, 1H), 7.53 (t, 1H, J = 7.8 Hz), 7.30-7.40 (m, 3H), 6.92-6.96 (m, 1H), 4.08 (t, 2H, J = 6.3 Hz), 3.53 (q, 2H, J = 6.0 Hz), 3.03 (q, 6H, J = 7.2 Hz), 1.75-1.87 (m, 2H), 1.26 (t, 6H, J = 7.2 Hz), 1.05 (t, 3H, J = 7.2 Hz)
3. N-(3-(디에틸아미노)프로필)-2'-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N-(3-(diethylamino)propyl)-2'-propoxybiphenyl-3-carboxamide; 62] 합성
4-브로모페놀 대신 2-브로모페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60의 합성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반응식 5]
Figure 112013057467636-pat00009
1H NMR (Acetone d 6 , 300MHz) :δ 8.65 (brs, 1H), 8.13 (t, 1H, J = 1.5 Hz), 7.93-7.97 (m, 1H), 7.70-7.74 (m, 1H), 7.47 (t, 1H, J = 7.8 Hz), 7.41 (dd, 1H, J = 7.5, 1.8 Hz), 7.30-7.37 (m, 1H), 7.09 (d, 1H, J = 8.4 Hz), 7.03 (dt, 1H, J = 7.5, 1.2 Hz), 3.98 (t, 2H, J = 6.3 Hz), 3.53 (q, 2H, J = 5.7 Hz), 3.02 (q, 6H, J = 7.2 Hz), 1.66-1.78 (m, 2H), 1.26 (t, 6H, J = 7.2 Hz), 0.97 (t, 3H, J = 7.2 Hz)
4. N-(3-(디에틸아미노)프로필)-4'-(트리플루오로메톡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N-(3-(diethylamino)propyl)-4'-(trifluoromethoxy)biphenyl-3-carboxamide; 63] 합성
4-브로모페놀 대신 1-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60의 합성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반응식 6]
Figure 112013057467636-pat00010
1H NMR (Acetone d 6 , 300MHz) :δ 8.66 (brs, 1H), 8.25 (s, 1H), 7.96 (d, 1H, J = 7.8 Hz), 7.87 (d, 2H, J = 9.0), 7.82 (d, 1H, J = 7.8 Hz), 7.56 (t, 1H, J = 7.8 Hz), 7.44 (d, 2H, J = 9.0 Hz), 3.51 (q, 2H, J = 6.0 Hz), 2.67-2.76 (m, 6H), 1.84-1.92 (m, 2H), 1.09 (t, 6H, J = 7.2 Hz)
5. N-(3-(디에틸아미노)프로필)-4'-(헥실옥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N-(3-(diethylamino)propyl)-4'-(hexyloxy)biphenyl-3-carboxamide; 64] 합성
브로모부탄 대신 헥산-1-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60의 합성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반응식 7]
Figure 112013057467636-pat00011
1H NMR (Acetone d 6 , 300MHz) :δ 8.43 (brs, 1H), 8.11 (t, 1H, J = 1.5 Hz), 7.80-7.83 (m, 1H), 7.72-7.76 (m, 1H), 7.64 (d, 2H, J = 9.0 Hz), 7.50 (t, 1H, J = 7.8 Hz), 7.04 (d, 2H, J = 9.0 Hz), 4.05 (t, 2H, J = 6.3 Hz), 3.49 (q, 2H, J = 6.0 Hz), 2.60 (p, 6H, J = 6.9 Hz), 1.80 (p, 4H, J = 6.9 Hz), 1.50 (t, 2H, J = 7.8 Hz), 1.28-1.39 (m, 4H), 1.03 (t, 6H, J = 7.2 Hz), 0.91 (t, 3H, J = 7.2 Hz)
6. N-(3-(디에틸아미노)프로필)-4'-(펜틸옥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N-(3-(diethylamino)propyl)-4'-(pentyloxy)biphenyl-3-carboxamide; 65] 합성
브로모부탄 대신 펜탄-1-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60의 합성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반응식 8]
Figure 112013057467636-pat00012
1H NMR (Acetone d 6 , 300MHz) :δ 8.41 (brs, 1H), 8.10 (t, 1H, J = 1.5 Hz), 7.79-7.83 (m, 1H), 7.73-7.76 (m, 1H), 7.63 (d, 2H, J = 9.0 Hz), 7.51 (t, 1H, J = 7.8 Hz), 7.04 (d, 2H, J = 9.0 Hz), 4.05 (t, 2H, J = 6.3 Hz), 3.49 (q, 2H, J = 6.0 Hz), 2.59 (p, 6H, J = 6.9 Hz), 1.76-1.83 (m, 4H), 1.35-1.53 (m, H, J = 7.8 Hz), 1.28-1.39 (m, 4H), 1.03 (t, 6H, J = 7.2 Hz), 0.94 (t, 3H, J = 7.2 Hz)
7. 4'-(사이클로펜틸옥시)-N-(3-(디에틸아미노)프로필)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4'-(cyclopentyloxy)-N-(3-(diethylamino)propyl)biphenyl-3-carboxamide; 66] 합성
브로모부탄 대신 브로모사이클로펜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60의 합성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반응식 9]
Figure 112013057467636-pat00013
1H NMR (Acetone_ d 6,300MHz) :δ 8.42 (brs, 1H), 8.10 (s, 1H), 7.81 (d, 1H, J = 7.8 Hz), 7.76-7.72 (m, 1H), 7.62 (d, 2H, J = 9.0 Hz), 7.50 (t, 1H, J = 7.8 Hz), 7.01 (d, 2H, J = 9.0 Hz), 4.92-4.87 (m, 1H), 3.49 (q, 2H, J = 6.2 Hz), 2.60 (p, 6H, J = 6.6 Hz), 2.02-1.62 (m, 10H), 1.03 (t, 6H, J = 7.2 Hz)
8. 4'-부톡시-3'-클로로-N-(3-(디에틸아미노)프로필)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4'-butoxy-3'-chloro-N-(3-(diethylamino)propyl)biphenyl-3-carboxamide; 67] 합성
4-브로모페놀 대신 2-클로로-4-브로모페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60의 합성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반응식 10]
Figure 112013057467636-pat00014
1H NMR (Acetone_ d 6,300MHz) :δ 8.47 (brs, 1H), 8.09 (s, 1H), 7.85 (d, 1H, J = 7.8 Hz), 7.76 (d, 1H, J = 7.8 Hz), 7.72 (d, 1H, J = 2.4 Hz), 7.60 (dd, 1H, J = 8.4, 2.4 Hz), 7.52 (t, 1H, J = 7.8 Hz), 7.19 (d, 1H, J = 8.4 Hz), 4.13 (t, 2H, J = 6.6 Hz), 3.49 (q, 2H, J = 6.2 Hz), 2.55 (p, 6H, J = 6.6 Hz), 1.86-1.72 (m, 4H), 1.62-1.49 (m, 2H), 1.00 (t, 6H, J = 7.2 Hz), 0.98 (t, 3H, J = 7.5 Hz)
9. 4'-부톡시-N-(3-(디에틸아미노)프로필)-3'-메틸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4'-butoxy-N-(3-(diethylamino)propyl)-3'-methylbiphenyl-3-carboxamide; 68] 합성
4-브로모페놀 대신 2-메틸-4-브로모페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60의 합성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반응식 11]
Figure 112013057467636-pat00015
1H NMR (Acetone_ d 6,300MHz) :δ 8.44 (brs, 1H), 8.08 (s, 1H), 7.80 (d, 1H, J = 7.8 Hz), 7.73 (d, 1H, J = 8.4 Hz), 7.51-7.45 (m, 3H), 6.99 (d, 1H, J = 8.1 Hz), 4.05 (t, 2H, J = 6.3 Hz), 3.48 (q, 2H, J = 6.1 Hz), 2.55 (p, 6H, J = 7.2 Hz), 2.26 (s, 3H), 1.86-1.71 (m, 4H), 1.61-1.48 (m, 2H), 1.03-0.96 (m, 9H)
10. 4'-부톡시-N-(3-(디에틸아미노)프로필)-3'-메톡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4'-butoxy-N-(3-(diethylamino)propyl)-3'-methoxybiphenyl-3-carboxamide; 69] 합성
4-브로모페놀 대신 2-메톡시-4-브로모페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60의 합성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반응식 12]
Figure 112013057467636-pat00016
1H NMR (Acetone_ d 6,300MHz) :δ 8.41 (brs, 1H), 8.11 (s, 1H), 7.81 (d, 1H, J = 7.8 Hz), 7.75 (d, 1H, J = 7.8 Hz), 7.49 (t, 1H, J = 7.8 Hz), 7.28 (d, 1H, J = 2.1 Hz), 7.20 (dd, 1H, J = 8.4, 2.1 Hz), 7.03 (d, 1H, J = 8.4 Hz), 4.03 (t, 2H, J = 6.6 Hz), 3.90 (s, 3H), 3.48 (q, 2H, J = 6.1 Hz), 2.54 (p, 6H, J = 7.2 Hz), 1.86-1.70 (m, 4H), 1.58-1.46 (m, 2H), 1.00 (t, 6H, J = 7.2 Hz), 0.98 (t, 3H, J = 7.5 Hz)
<실험예 1> 대식세포 탐식작용 억제 효과 검토
1. 세포배양
RAW264.7 대식세포주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Manassas, USA)으로부터 구입하였으며, 10% 불활성 FBS, 2 mM L-글루타민, 100 U/mL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 CO2 배양기에서 37℃로 배양하여 준비하였다. 치오글리콜레이트-유도 복강 세포는 멸균 4% 브루어 치오글리콜레이트(Sigma Aldrich, B2551) 1 mL로 복강 주사한지 96시간 후 C57BL/6 수컷 마우스로부터 복강 세척을 통해 모았다. 적혈구는 ACK 완충액에 의해 제거되었고, 세포들은 세정되었고, 10% 불활성 FBS, 10 mM HEPES, 2 mM 글루타민 및 100 U/mL 페니실린-100 mg/mL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RPMI 1640 배지에서 재현탁되었다. 이때, MACS 완충액은 PBS에 0.5% 소혈청알부민(BSA), 2 mM EDTA 및 100 U/mL 페니실린-100 mg/mL 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2. 탐식작용 분석
앞서 준비한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CD11b+)와 RAW264.7 세포를 24-웰 플레이트 상에 각각 4x106 세포/well 및 2x106 세포/well로 분주하여 2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그후, 세포를 CyD 또는 실시예에서 준비한 화합물들로 30분 동안 전처리 하였다. 전처리 후, 세포를 긁어내고 세정한 후, FITC-conjugated 자이모산(5 입자/세포)을 함유한 배지에서 한 시간 동안 37℃에서 배양 처리하였다. 한 시간 후 탐식되지 않은 자이모산은 세척하고, PBS 완충액에 세포들을 재현탁 다음 FACS Calibur 장비와 Cellquest Pro 소프트웨어(BD biosciences, San Jose)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도 2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들은 대식세포 탐식작용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화합물 5c가 뛰어난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독성 실험
웅성 Balb/c 마우스에 화합물 5c를 0.5% 메틸셀룰로즈 용액에 각각 현탁하여 0.5g/kg, 1g/kg 및 2g/kg의 용량으로 1회 단회 경구투여하고 7일간 마우스의 생존율 및 체중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마우스에서 2g/㎏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따라서, 경구 투여 중간치사량(LD50)은 2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5c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화합물 5c 5 mg, 유당 100 mg 및 탈크 10 m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화합물 5c 5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화합물 5c 5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화합물 5c 2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및 pH 조절제 적량을 혼합한 후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
    [화학식 1]
    Figure 112013057467636-pat00017

    R1은 수소, 할로겐, (C1-C4)알킬 및 (C1-C4)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R2 내지 R4 중 어느 하나의 치환기는 (C1-C10)알콕시, (C3-C8)사이클로(C1-C4)알콕시 및 트리플루오로(C1-C4)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다른 두 개의 치환기는 각각 수소이고;
    A는 (C1-C4)알킬, 디메틸아미노(C1-C4)알킬, (피페리딘-1-일)(C1-C4)알킬, 디에틸아미노(C1-C4)알킬, (피롤리딘-1-일)(C1-C4)알킬, (4-메틸피페라진-1-일)(C1-C4)알킬 및 몰폴리노(C1-C4)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은 R2가 프로폭시이고; R1, R3 및 R4가 각각 수소이고; A가 (C1-C4)알킬, 디메틸아미노(C1-C4)알킬, (피페리딘-1-일)(C1-C4)알킬, 디에틸아미노(C1-C4)알킬, (피롤리딘-1-일)(C1-C4)알킬, (4-메틸피페라진-1-일)(C1-C4)알킬 및 몰폴리노(C1-C4)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4'-프로폭시-N-프로필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b),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c), N-(3-(피페리딘-1-일)프로필)-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d), N-(2-(디에틸아미노)에틸)-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e), 4'-프로폭시-N-(3-(피롤리딘-1-일)프로필)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f), N-(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g), 및 N-(3-몰폴리노프로필)-4'-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은 R2가 메톡시이고; R1, R3 및 R4가 각각 수소이고; A가 (C1-C4)알킬, 디메틸아미노(C1-C4)알킬, (피페리딘-1-일)(C1-C4)알킬, 디에틸아미노(C1-C4)알킬, (피롤리딘-1-일)(C1-C4)알킬, (4-메틸피페라진-1-일)(C1-C4)알킬 및 몰폴리노(C1-C4)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N-(3-(디에틸아미노)프로필)-4'-메톡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5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은 R1이 수소, 할로겐, (C1-C4)알킬 및 (C1-C4)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R2 내지 R4 중 어느 하나의 치환기가 (C3-C6)알콕시, (C4-C6)사이클로(C1-C4)알콕시 및 트리플루오로(C1-C4)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다른 두 개의 치환기가 각각 수소이고; A가 디에틸아미노프로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4'-부톡시-N-(3-(디에틸아미노)프로필)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4'-butoxy-N-(3-(diethylamino)propyl)biphenyl-3-carboxamide; 60], N-(3-(디에틸아미노)프로필)-3'-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N-(3-(diethylamino)propyl)-3'-propoxybiphenyl-3-carboxamide; 61], N-(3-(디에틸아미노)프로필)-2'-프로폭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N-(3-(diethylamino)propyl)-2'-propoxybiphenyl-3-carboxamide; 62], N-(3-(디에틸아미노)프로필)-4'-(트리플루오로메톡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N-(3-(diethylamino)propyl)-4'-(trifluoromethoxy)biphenyl-3-carboxamide; 63], N-(3-(디에틸아미노)프로필)-4'-(헥실옥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N-(3-(diethylamino)propyl)-4'-(hexyloxy)biphenyl-3-carboxamide; 64], N-(3-(디에틸아미노)프로필)-4'-(펜틸옥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N-(3-(diethylamino)propyl)-4'-(pentyloxy)biphenyl-3-carboxamide; 65], 4'-(사이클로펜틸옥시)-N-(3-(디에틸아미노)프로필)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4'-(cyclopentyloxy)-N-(3-(diethylamino)propyl)biphenyl-3-carboxamide; 66], 4'-부톡시-3'-클로로-N-(3-(디에틸아미노)프로필)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4'-butoxy-3'-chloro-N-(3-(diethylamino)propyl)biphenyl-3-carboxamide; 67], 4'-부톡시-N-(3-(디에틸아미노)프로필)-3'-메틸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4'-butoxy-N-(3-(diethylamino)propyl)-3'-methylbiphenyl-3-carboxamide; 68] 및 4'-부톡시-N-(3-(디에틸아미노)프로필)-3'-메톡시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4'-butoxy-N-(3-(diethylamino)propyl)-3'-methoxybiphenyl-3-carboxamide; 69]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
  8.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 면역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3057467636-pat00018

    R1은 수소, 할로겐, (C1-C4)알킬 및 (C1-C4)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R2 내지 R4 중 어느 하나의 치환기는 (C1-C10)알콕시, (C3-C8)사이클로(C1-C4)알콕시 및 트리플루오로(C1-C4)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다른 두 개의 치환기는 각각 수소이고;
    A는 (C1-C4)알킬, 디메틸아미노(C1-C4)알킬, (피페리딘-1-일)(C1-C4)알킬, 디에틸아미노(C1-C4)알킬, (피롤리딘-1-일)(C1-C4)알킬, (4-메틸피페라진-1-일)(C1-C4)알킬 및 몰폴리노(C1-C4)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은 대식세포의 탐식작용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면역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자가 면역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건선, 크론병(Crohn's disease), 궤양성 대장염, 제I형 당뇨병(diabetes mellitus), 염증성 장질환 및 전신성 루프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면역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20130074009A 2012-06-26 2013-06-26 신규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 면역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14852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8626 2012-06-26
KR1020120068626 2012-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71A KR20140001771A (ko) 2014-01-07
KR101485247B1 true KR101485247B1 (ko) 2015-01-22

Family

ID=50139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4009A KR101485247B1 (ko) 2012-06-26 2013-06-26 신규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 면역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2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2677A (zh) * 2017-12-26 2018-04-10 山东诚汇双达药业有限公司 一种盐酸普莫卡因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611A (ko) * 2000-08-08 2003-06-25 갈데르마 리써어치 앤드 디벨로프먼트,에스.엔.씨. 비페닐 유도체, 및 ppar-감마 수용체 활성화제로서의그의 용도
US7384963B2 (en) 2001-10-17 2008-06-10 Glaxo Group Limited 2′-Methyl-5-(1,3,4-oxadiazol-2-yl)1, 1′-biphenyl-4-carboxaid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38 kinase
KR20100028630A (ko) * 2007-06-07 2010-03-12 아이알엠 엘엘씨 헷지호그 경로 조절제로서의 바이페닐카르복스아미드 유도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611A (ko) * 2000-08-08 2003-06-25 갈데르마 리써어치 앤드 디벨로프먼트,에스.엔.씨. 비페닐 유도체, 및 ppar-감마 수용체 활성화제로서의그의 용도
US7384963B2 (en) 2001-10-17 2008-06-10 Glaxo Group Limited 2′-Methyl-5-(1,3,4-oxadiazol-2-yl)1, 1′-biphenyl-4-carboxaid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38 kinase
KR20100028630A (ko) * 2007-06-07 2010-03-12 아이알엠 엘엘씨 헷지호그 경로 조절제로서의 바이페닐카르복스아미드 유도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71A (ko)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4184B2 (ja) ヒストンデメチラーゼlsd1及び/又はlsd2の阻害剤としてのトラニルシプロミン誘導体
JP5670338B2 (ja) ミトコンドリアの膜透過性遷移の阻害剤として有用なアクリルアミド誘導体
KR20150038363A (ko) 지방산 아미드 가수분해효소 억제제로서 보론산 및 에스테르
JPH07509459A (ja) 金属タンパク質加水分解酵素阻害剤である天然アミノ酸誘導体
CA3011254A1 (en) Quinazolinone derivativ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applications
KR101485247B1 (ko) 신규 바이페닐―3―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 면역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CA2702874C (en) Indazole drug active in neuropathic pain
JP2010507568A (ja) Faah阻害物質の合成、多形体及び医薬製剤
EP1781636A1 (fr) Derives de pyrrole,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en therapeutique
JP5870111B2 (ja) mGluR2/3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の4−置換−3−ベンジルオキシ−ビシクロ[3.1.0]ヘキサン化合物
JP5769348B2 (ja) 1−(2−フェノキシメチルヘテロアリール)ピペリジン化合物および1−(2−フェノキシメチルヘテロアリール)ピペラジン化合物
KR20060010315A (ko) 이토프라이드·염산염 중간체인4-[2-(디메틸아미노)에톡시]벤질아민의 새로운 제조방법
JPH04211647A (ja) アミノベンゼン化合物
JPH07215959A (ja) クロマン誘導体
US20120093875A1 (en) Aminocyclitol compounds, process for obtaining them and uses
JP2008533122A (ja) 新規なチロシン誘導体
CA3180417A1 (en) Synthesis of (2s,5r)-5-(2-chlorophenyl)-1-(2&#39;-methoxy-[1,1&#39;-biphenyl]-4-carbonyl)pyrrolidine-2-carboxylic acid
MX2011006413A (es) Nuevos derivados de retinoides dotados de propiedades citotoxicas y/o antiangiogenicas.
US8802155B1 (en) Iminosugar in crystalline form
US5658923A (en) Azepin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EP3448861B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pyrazolo[1,5-a]pyrazin-2-ylpyrido[1,2-a]pyrimidin-4-one
EP3411366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omalidomide
CN108456179B (zh) 具有神经保护作用的化合物tva-x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2032530A1 (en) Pyrrolidine compounds as renin inhibitors
AU2020343737A1 (en) MAGL inhibitor,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