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929B1 - 보안 요소를 갖는 문서 및 판독 장치 - Google Patents

보안 요소를 갖는 문서 및 판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929B1
KR101484929B1 KR20097010358A KR20097010358A KR101484929B1 KR 101484929 B1 KR101484929 B1 KR 101484929B1 KR 20097010358 A KR20097010358 A KR 20097010358A KR 20097010358 A KR20097010358 A KR 20097010358A KR 101484929 B1 KR101484929 B1 KR 101484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data
optical element
stat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10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7998A (ko
Inventor
말테 프루고에프트
조외르그 피쉐어
안트레 레오폴트
크리슈티안 쿠나트
Original Assignee
분데스드룩커라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분데스드룩커라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분데스드룩커라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107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06K19/1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9Securities; Bank no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Holo Graphy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Facsimile Head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 요소(102) 및 광학 소자(108)를 구비하는 문서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광학 소자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제1 상태 및 실질적으로 투과성인 제2 상태 사이에서 변환될 수 있으며, 상기 광학 소자는 제1 상태에서 상기 보안 요소에의 광학적 접근이 방해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보안 요소를 갖는 문서 및 판독 장치{DOCUMENT HAVING A SECURITY FEATURE AND READER}
본 발명은 보안 요소를 갖는 문서, 특히 귀중 문서 또는 보안 문서 및 이러한 문서의 판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부터 귀중 문서 및 보안 문서를 위한 다양한 보안 요소가 공지되어 있다. 여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및/또는 광학 센서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검출될 수 있는 광학 보안 요소가 속한다.
예컨대 다음과 같은 것들이 광학 보안 요소에 속한다:
- 기로쉐(Guilloche): 기로쉐는 소위 리니어 프린트의 도움으로 문서 상에 인쇄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상이한 색재 서로 중첩 인쇄된 웨이브 패턴 및 루프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 미세 활자: 이것은 최소 활자로 인쇄된 서명이다. 이 미세 활자는 육안으로는 전혀 인식되지 않는다. 예컨대 유로 은행권 상의 미세 활자는 이미지 요소로서 모티브에 삽입된다. 미세 활자는 루페의 도움으로 판독될 수 있다;
- 메타머 시스템: 메타머 동위색을 기초로, 동일한 색조의 혼합시 빛의 상이한 스펙트럼 조성을 야기할 수 있다;
- 형광, 인광 및/또는 업컨버전 색재를 사용한 프린트;
- 적외선 색재를 이용한 프린트: 이 색은 판독 장치에 대한 적외 방사선 하에서 상응하는 센서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다. 예컨대 유로 은행권은 이러한 광학 보안 요소가 장착된다;
- 바코드, 특히 1차원 또는 2차원 바코드;
- 광학적으로 변색 가능한 색재(OVI - 광학적으로 변색 가능한 잉크): 광학적으로 변색 가능한 색재는 빛이 안료 상에서 끊어지거나 산재되거나 반사되므로 시야각(viewing angle)에 따라 색조가 변화된다;
- 홀로그램 또는 키네그램(투과성 또는 반사성);
- 워터 마크, 특히 기계적으로 판독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워터 마크;
- 패스포트 인쇄: 상이한 문자 또는 기호를 중첩 인쇄하여 소정의 이미지를 형성한다. 위치의 매우 작은 편차, 즉 소위 패스포트 정확성은 육안으로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예컨대 은행권과 같은 문서의 상이한 면에 부분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광학 보안 요소는 투명 패스로서 표시된다;
- 투명 윈도우: 투명한 플라스틱 시트로부터 윈도우를 문서에 삽입한다;
- 혼합 색재: UV광 하에 상이한 색으로 빛나는 색재를 문서의 종이에 첨가한다;
- 보안 스레드;
- 미세 천공.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자체 공지된 광학 보안 요소를 기초로 하는 개선된 문서 및 이러한 문서를 위한 판독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각각 독립항들의 특징에 의하여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종속항들에 주어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광학 보안 요소를 갖는 문서, 예컨대 귀중 문서 또는 보안 문서, 특히 지폐, 칩카드, 신분 증명 문서, 허가증 등이 제안된다. 상기 문서는 페이퍼를 기초로 및/또는 플라스틱을 기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문서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제1 상태 및 실질적으로 투과성인 제2 상태 사이에서 변환될 수 있는 광학 소자를 구비한다. 상기 광학 소자는 제1 상태에서 보안 요소로의 광학적 접근이 방해되도록 문서 상 또는 문서 내에 배치된다.
예컨대 광학 소자가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제1 상태에 있는 동안, 보안 요소가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광학 소자는 또한 보안 요소를 커버한다. 보안 요소의 검사를 위하여는, 우선 광학 소자를 실질적으로 투과성인 제2 상태로 하는 것이 또한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 때문에 문서의 광학 보안 요소의 검사가 전제되므로 추가의 보안 요소가 제공되며, 사용자는 예컨대 이에 대한 판독 장치의 도움으로 소정 위치에서 광학 요소를 실질적으로 투과성인 제2 상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광학 소자는 에너지의 연결을 통하여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에너지 연결은 광학 소자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예컨대 광학 소자를 실질적으로 투과성인 제2 상태로 하는 전자기장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너지의 연결은 또한 예컨대 접촉식 인터페이스, 무접촉식 인터페이스 또는 듀얼 모드 인터페이스, 특히 칩카드-인터페이스 또는 RFID-인터페이스와 같은 분리된 연결 소자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 소자는 예컨대 광학 소자를 실질적으로 투과성인 제2 상태로 변환시키는 전압의 유도적 연결을 위한 예컨대 안테나 또는 코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광학 소자는 쌍안정성이다. 즉 광학 소자는 변환되지 않는 동안 각각의 상태로 남아 있다. 이러한 쌍안정성 광학 소자의 경우, 광학 보안 요소의 검사 후 광학 소자를 실질적으로 투과성인 제2 상태로부터 다시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제1 상태로 변환시키는 것이 또한 필요하다. 이것은 문서의 상응하는 회로 및/또는 에너지의 연결, 예컨대 외부 판독장치의 새로운 연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광학 소자는 준쌍안정성이다. 광학 소자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제1 상태로도 남아 있다. 광학 소자는 실질적으로 투과성인 제2 상태로 변환된 후, 소정 시간 동안 이러한 제2 상태로 남아 있다가, 이후 자발적으로 다시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제1 상태로 돌아간다. 이러한 실시양태는 문서의 광학 보안 요소의 검사를 위하여 소정 기간 동안 광학 소자를 실질적으로 투과성인 제2 상태로 전환시키는 데 단 1회의 변환 작업만이 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광학 소자는, 제1 회전 위치에서 광을 흡수하고 제2 회전 위치에서 광투과성인 회전 소자를 구비하는 쌍안정성 회전 소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회전 요소가 그 제1 회전 위치에 있을 경우 문서의 광학 보안 요소가 커버된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광학 소자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전기 변색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광학 소자는 정전 습윤 소자, 즉 소위 전기 습윤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광학 소자는 특히 콜레스테릭 또는 네마틱 액정 물질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광학 소자는 예컨대 Citala (http:// www.citala.com)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가요성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광학 소자는 예컨대 Flixel Ltd (www.flixel.com)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예컨대 마이크로 셔터 어레이와 같은 미세 전기 기계 시스템(MEMS)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광학 소자는 강유전체 물질을 베이스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광학 소자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컨대 매트릭스형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소자는, 각 경우 이들을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제1 상태 또는 실질적으로 투과성인 제2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개별적으로 제어될 필요는 없으며 디스플레이 소자의 집단적 제어로 충분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문서의 광학 보안 요소는 기로쉐, 미세 활자, 메타머 시스템, 형광 색재, 인광 색재 및/또는 업컨버젼 색제를 사용한 프린트, 적외선 색재를 사용한 프린트, 광학적으로 변색 가능한 색재(OVI - 광학적으로 변색 가능한 잉크), 홀로그램 또는 키네그램 (투과성 또는 반사성), 워터 마크, 패스포트 인쇄, 투명 윈도우, 혼합 색재, 보안 스레드 및/또는 미세 천공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보안 요소는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보안 요소는 디지털 워터 마크 또는 1차원 또는 2차원 바코드이다. 워터 마크 또는 바코드는 문서 상에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보안 요소는 광학적 데이터 메모리, 특히 홀로그래픽 데이터 메모리에 의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보안 요소는 예컨대 지문 데이터 및/또는 홍채 인식 데이터와 같은 생물학적 측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컨대 문서는 특히 ICA0(국제 민간 항공 기구) 표준에 따른 기계 판독 가능한 여행 문서(Machine Readable Travel Document - MRTD)이다. 생물학적 특정 데이터는 MRTD의 소지자의 생물학적 측정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문서는 광학 소자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바꾸고 보안 요소로의 광학적 접근이 일어난 후 필요에 따라 광학 소자를 제2 상태로부터 다시 제1 상태로 바꾸기 위하여 광학 소자의 제어를 위한 전자 집적 회로를 포함한다. 전자 집적 회로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거나 또는 인터페이스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전자 집적 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한 그리고 광학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에너지가 무접촉식 또는 접촉식으로 연결된다. 특히 인터페이스는 칩카드-인터페이스 또는 RFID-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판독 장치의 인증을 위한 전자 집적 회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인증된 위치로부터만 보안 요소로의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장되어야 한다. 문서의 전자 집적 회로에 대한 판독 장치의 인증을 위하여 예컨대 대칭키 및/또는 비대칭키를 사용하는 소위 시도-응답(challenge-response) 방법의 도움으로 예컨대 암호 프로토콜이 실행된다.
특히 예컨대 ICAO에 의하여 표준화된 바와 같은 소위 확장 접근 통제[Extended Access Control(EAC)] 방법에 따른 전자 집적 회로에 대한 판독 장치의 인증이 실행된다. 먼저 전자 집적 회로에 대한 판독 장치의 인증이 성공한 후 판독 장치의 광학적 접근 및/또는 보안 요소에 대한 이용자의 시각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광학 소자는 소정 기간 동안 실질적으로 투과성인 제2 상태로 변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전자 집적 회로는 보호가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된 전자 메모리를 구비한다. 보호가 필요한 데이터는 예컨대 문서 소지자의 개인적 데이터 또는 기밀 데이터, 특히 지문 데이터 및/또는 홍채 인식 데이터와 같은 생물학적 측정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보호가 필요한 데이터를 전자 집적 회로의 전자 메모리로부터 인터페이스를 거쳐 외부 판독 장치로 전송하는 것은 전자 집적 회로에 대한 판독 장치의 선행되는 성공적인 인증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보안 요소는 전자 메모리의 신뢰할만한 데이터와 동일하고 이들에 상응하며 및/또는 이들을 보충하는 데이터의 저장에 사용되는 광학적 데이터 메모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는 소정 변환 규정을 통하여 보안 요소의 광학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로 변환된다. 전자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는 또한 보안 요소의 광학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카피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추가의 데이터가 광학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판독 장치는 보안 문서의 검사를 위하여 전자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 및 보안 요소의 광학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각 데이터가 일치하는지를 검사한다. 이러한 데이터 일치 검사는 데이터의 정체(identity)를 검사하거나 또는 소정 변환 규정을 통하여 데이터가 서로 변환되는지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변환 규정은 예컨대 암호 해독(디코딩) 방법일 수 있다.
추가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를 위한 판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도면을 참조로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의 제1 실시양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의 제2 실시양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의 제3 실시양태와 본 발명에 따른 판독 장치의 일 실시양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양태의 본 발명 문서의 작동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양태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실시양태의 판독 장치의 작동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양태의 흐름도이다.
서로 상응하는 이하의 실시양태들의 소자들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100)의 일 실시양태를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문서(100)는 보안 요소(102)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 요소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임의의 광학 보안 요소일 수 있다. 상기 보안 요소(102)는 상기 문서(100)의 본체(body)에 매립되어, 문서(100)의 뒷면(104)으로부터 보이지 않는다. 또한 뒷면(104)으로부터 보안 요소(102)가 보일 수 있도록 문서의 뒷면(104)을 투명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것은 특히 보안 요소(102)가 투명 패스 또는 투명 윈도우인 경우 유리하다.
광학 소자(108)가 보안 요소(102)를 완전히 커버하도록, 문서의 앞면(106)에서는 보안 요소(102) 위에 광학 소자(108)를 배치한다.
상기 광학 소자(108)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제1 상태를 가진다. 상기 광학 소자(108)는 제1 상태에서 입사광 및/또는 판독 장치의 광학 판독선을 흡수 및/또는 반사하여, 그 아래에 있는 보안 요소(102)에의 광학적 접근이 방해된다.
상기 광학 소자(108)는 에너지 연결을 통해 실질적으로 투과성인 제2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상기 광학 소자(108)는 적어도 소정 주파수 영역에서의 입사광에 대하여 및/또는 판독 장치의 판독선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투과성이어서, 상기 광 또는 판독선이 보안 요소(102)에 도달할 수 있어 이것을 사용자(110)가 시각적으로 및/또는 판독 장치(112)에 의하여 기계적 광학적으로 검출하여 검사할 수 있다.
상기 판독 장치(112)는 광학 소자(108)에 에너지를 연결하여 이것을 변환시키는 에너지원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학 소자(108)가 준쌍안정성 광학 소자인 경우, 소정 기간에 대하여 광학 소자(108)를 제2 상태로 전환시키고 이 기간 종료 후 제1 상태로 자발적으로 되돌리는데 하나의 에너지 임펄스로도 충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광학 소자(108)가 쌍안정성 광학 소자인 경우, 광학 소자를 제2 상태에서 다시 제1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추가의 에너지 임펄스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광학 소자(108)는 광학 소자(108)를 제2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에너지의 항시 연결이 필요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에너지의 공급이 중단되면 광학 소자(108)는 즉시 다시 제1 상태로 되돌아간다.
예컨대 광학 소자(108)는 예컨대 WO 03/009059A1호로부터 자체 공지된 바와 같이 쌍안정성 회전 요소-디스플레이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쌍안정성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준쌍안정성 실시양태의 경우 광학 소자(108)는 예컨대 전기 변색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에너지의 항시 공급이 필요한 실시양태의 경우 광학 소자(108)를 제2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광학 소자는 LCD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광학 소자(108)는 전기 또는 자기 부하 회전 요소를 포함한다. 판독 장치에 의한 상응하는 전자기장의 조사에 의하여 회전 요소는 광학 소자(108)가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사이에서 변환될 수 있도록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에너지의 연결은 광학 소자(108)에서 직접적으로도 이루어진다.
도 2는 광학 소자(108)의 제어를 위한 에너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소자(114)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100)의 대안적인 실시양태를 도시한다. 상기 연결 소자(114)는 접촉식 인터페이스, 무접촉식 인터페이스 또는 듀얼 모드 인터페이스로서, 특히 칩카드-인터페이스 또는 RFID-인터페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결 소자(114)는 광학 소자(108)를 제2 상태로 바꾸는 전압을 유도적으로 인가하기 위한 안테나 또는 코일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결 소자(114)는, 광학 소자를 제어하고 필요에 따라 광학 소자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선(116)으로 광학 소자(108)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은 문서(100)로부터 파괴 없이는 분리되지 않으며 또다른 문서 본체에서 사용될 수 없으므로 위조에 대한 특별한 보안의 장점을 제공한다. 이것은 특히 전선(116)이 문서 본체의 내부에서 연장되는 경우에 해당된다. 여기서 문서(100)의 문서 본체는 페이퍼 베이스 및/또는 플라스틱 베이스로, 예컨대 페이퍼 베이스 여행 문서 또는 칩카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문서(100)의 문서 본체에 통합되는 전자 집적 회로(118)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서(100)의 실시양태를 도시한다. 예컨대 이 실시양태에서 문서(100)는 MRDT, 특히 전자 여권이다. 전자 집적 회로(118)의 연결 소자(114)는 예컨대 RFID-인터페이스로서 형성된다. 전자 집적 회로(118)는 보호가 필요한 데이터(122)의 저장을 위한 전자 메모리(120)를 구비한다. 보호가 필요한 데이터(122)는 기밀 데이터 및/또는 개인 데이터, 특히 예컨대 지문 데이터 및/또는 홍채 인식 데이터와 같은 문서(100) 소지자의 생물학적 측정 데이터일 수 있다.
전자 집적 회로(118)은 판독 장치(112)의 인증을 위한 암호 프로토콜의 실행을 위하여 인증 기능(124)을 이용한다. 상기 인증은 데이터(122)의 보호에 이용된다. 즉, 판독 장치(112)에 의한 데이터(122)에의 접근은 전자 집적 회로(118)에 대한 판독 장치(112)의 선행되는 성공적인 인증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인증 기능(124)의 실행을 위하여 전자 집적 회로(118)는 해당 프로그램 지시의 실현에 이용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할 수 있다.
전자 집적 회로(118)는 광학 소자(108)를 위한 제어 장치(126)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제어 장치(126)는 광학 소자(108)의 제어에 이용되며, 필요에 따라 인터페이스(114)에 의하여 인가된 에너지의 일부를 광학 소자(108)에 전송하여 광학 소자를 제2 상태로 하고 이 제2 상태로 유지하고 및/또는 광학 소자를 제2 상태로부터 다시 제1 상태로 되돌리는 데에 이용된다.
보안 요소(102)는 이 실시양태에서 광학 메모리로서 형성된다. 광학 메모리는 인쇄에 의하여, 예컨대 바코드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홀로그래픽 메모리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보안 요소(102)의 광학 메모리는 데이터(108)의 저장에 이용된다. 예컨대 데이터(128)는 데이터(122)의 카피이다. 광학 메모리가 높은 정보 밀도의 메모리인 경우, 또다른 광역 데이터도 또한 여기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122) 및/또는 데이터(128)은 우선 암호 해독 후에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암호화될 수 있다.
판독 장치(112)는 보안 요소(102)의 검사 및 데이터(122 및/또는 128)의 판독에 이용된다. 보안 요소는 인터페이스(114)에 상응하는 인터페이스(130), 예컨대 RFID-인터페이스 및 판독 장치(112)와 관련된 암호 프로토콜 단계의 실행을 위한 인증 기능(124)에 상응하는 인증 기능(132)를 구비한다.
판독 장치(112)는 또한 문서(100)로부터 판독 가능한 데이터(122 및 128)의 저장을 위한 전자 메모리(134)를 구비한다. 판독 장치(112)의 비교 기능(136)의 도움으로 상기 메모리(134)에 저장된 데이터(122 및 128)는 일치 여부에 대하여 검사될 수 있으며, 실시양태에 따르면 데이터(122 및/또는 128)의 선행적 변환, 예컨대 대칭키 또는 비대칭키의 도움에 의한 암호 해독이 필요할 수 있다.
비교 기능(136)이 데이터(122 및 128)가 일치한다는 결과를 도출하는 경우, 이들 데이터는 판독 장치(11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38)에 의하여 출력되거나 및/또는 재처리를 위하여 방출된다.
광학 메모리가 예컨대 홀로그래픽 메모리일 경우, 판독 장치(112)는 광학 메모리(102)로부터의 데이터(128)를 판독하기 위하여 광학 센서(140) 및 (광학 메모리의 구성에 따라) 필요에 따라 판독선의 생성을 위한 방사선 공급원, 특히 레이저를 이용한다.
보안 요소(102)의 판독 접근 및 검사를 위하여 판독 장치(112)는 우선 문서(100) 및/또는 이의 전자 집적 회로(118)에 대하여 인증되어야 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130 및 114)를 통하여 예컨대 RFID-방법에 의한 통신 연결부가 제작된다. 이러한 통신 연결부를 통하여 판독 장치(112) 및 전자 집적 회로(118) 사이에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며 상기 전자 집적 회로(118)의 도움으로 인증 기능(132 및/또는 124)의 사용 하에 암호 프로토콜이 처리된다. 전자 집적 회로(118)에 대한 판독 장치(112)의 인증이 종료된 후 이의 제어가 활성화되어 광학 소자(108)는 전선(116)을 통하여 임시로 제2 상태로 변환된다. 또한, 판독 장치(112)는 이의 인터페이스(130)에 의하여 성공적인 인증 후 데이터(122)를 메모리(120)로부터 판독하고 그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광학 소자(108)가 제2 상태에 있게 되면, 판독 장치(112)는 광학 센서(140)로 광학 메모리(102)에 판독 접근하여 광학 메모리(102)로부터 데이터(128)를 판독하고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34)에 저장된 데이터(122 및 128)는 비교 장치(136)에 의하여 일치 여부에 대하여 검사된다. 데이터(122 및 128)가 일치되면, 이들 데이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8)에 출력되고 및/또는 재처리를 위해 방출된다.
보안 요소(102)의 광학 메모리는 또한 재기록 가능한 메모리, 특히 재기록 가능한 홀로그래픽 메모리일 수 있다. 광학 소자(108)는 이 경우 지속적인 입사광 때문에 일어날 수 있는 데이터 손실 전에 광학 메모리를 보호한다는 추가의 장점을 가진다.
데이터(122)를 전자 메모리(120)에 그리고 데이터(128)를 보안 요소(102)의 전자 메모리에 기록하기 위하여, 예컨대 이들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판독 장치(112)는 기록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122 및 128)의 일부로서 저장되는 해당 어드레스 데이터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활성화는 예컨대 문서(100) 소지자의 삭제 및 이에 동반되는 어드레스 변경을 근거로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122 및/또는 128)에 대한 이러한 기록 접근을 위하여 선행적 인증이 필요하다. 판독 장치(112)의 방사선 공급원, 특히 레이저는 이 경우 활성화된 데이터를 광학 메모리에 기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4는 도 3의 실시양태의 문서(100)에서의 흐름에 관한 흐름도이다. 단계(200)에서는 문서에 대한 판독 장치의 인증이 이루어진다.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후, 판독 장치는 문서의 전자 메모리로부터 보호된 데이터를 판독(단계 202)하고 판독 장치에 전송(단계 204)할 수 있다. 또한, 판독 장치의 인증 후 문서의 광학 소자는 이것이 일시적으로 실질적으로 투과성인 제2 상태로 되어(단계 206) 이의 보안 요소로의 광학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제어된다.
도 5는 도 3의 실시양태에서 판독 장치의 해당 작동을 도시한다. 단계(300)에서 판독 장치는 문서에 대하여 인증된다. 성공적인 인증 후 판독 장치는 문서의 전자 메모리에 들어있는 보호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들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또는 (판독 장치의 해당 인가가 전제되는 경우) 이들 데이터를 변경하여 예컨대 이들 데이터를 활성화할 수 있다.
성공적인 인증을 근거로 문서의 광학 소자가 일시적으로 제2 상태로 되기 때문에 단계(304)에서 판독 장치는 인증 후 보안 요소의 광학 메모리에 대한 판독 접근 및/또는 기록 접근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단계(302 및 304)가 또한 동시에 실행되거나 또는 단계(304)이 단계(302) 전에 실행될 수 있다.
단계(306)에서 판독 장치는 판독된 데이터를 일치 여부에 대하여 검사한다.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거나 충분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단계(308)에서는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에러 메세지가 출력된다.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단 계(310)에서 데이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되며 및/또는 재처리를 위해 방출된다.
참조부호 리스트
-----------------------------------------------------------------------
100 : 문서
102 : 보안 요소
104 : 뒷면
106 : 앞면
108 : 광학 소자
110 : 사용자
112 : 판독 장치
114 : 연결 소자
116 : 전선
118 : 전자 직접 회로
120 : 전자 메모리
122 : 데이터
124 : 인증 기능
126 : 제어 장치
128 : 데이터
130 : 인터페이스
132 : 인증 기능
134 : 전자 메모리
136 : 비교 기능
138 : 사용자 인터페이스
140 : 광학 센서

Claims (24)

  1. 보안 요소(102) 및 광학 소자(108)를 포함하는 문서로서, 상기 광학 소자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제1 상태 및 실질적으로 투과성인 제2 상태 사이에서 변환될 수 있으며, 상기 광학 소자는 제1 상태에서 상기 보안 요소로의 광학적 접근이 방해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문서는 광학 소자의 변환을 위하여 전자 집적 회로(118, 126)를 구비하되, 상기 전자 집적 회로는 외부 판독 장치(112)의 인증을 위한 수단(124)을 가지며, 상기 전자 집적 회로는 상기 판독 장치의 보안 요소에 대한 광학적 접근을 허락하기 위하여 인증이 이루어진 후 광학 소자를 제2 상태로 변환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 집적 회로는 제1 데이터(122)의 저장을 위한 전자 메모리(120)를 구비하고 상기 보안 요소는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제2 데이터(128)를 포함하며, 상기 판독 장치는 제1 데이터를 판독하고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검사하여 일치가 확인된 후 이들을 출력 또는 재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자는 에너지 연결에 의하여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자는 전기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4. 제2항에 있어서, 에너지 연결을 위한 연결 소자(114)를 구비하며 상기 광학 소자는 상기 연결 소자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5. 제2항에 있어서, 에너지 연결을 위하여 접촉식 인터페이스, 칩카드-인터페이스 또는 RFID-인터페이스로 구현된 무접촉식 인터페이스, 또는 듀얼 모드 인터페이스(1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자는 쌍안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자는 준쌍안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자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전기 변색 디스플레이 장치, 정전기 디스플레이 장치, 회전 요소 디스플레이 장치,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 강유전체 디스플레이 장치, 콜레스테릭 액정 물질 또는 네마틱 액정 물질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마이크로 셔터 어레이를 포함하는 미세 전기 기계 시스템(MEMS)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경우 광학 소자의 일부 영역을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변환시키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소자를 전체적으로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가 집단적으로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요소는 기로쉐, 미세 활자, 메타머 시스템, 형광 색재, 인광 색재 또는 업컨버젼 색재를 이용하는 프린트, 적외선 색재를 이용하는 프린트, 광학적으로 변색 가능한 색재(OVI-광학적으로 변색 가능한 잉크), 홀로그램 또는 키네그램(투과성 또는 반사성), 워터 마크, 패스포트 인쇄, 투명 윈도우, 혼합 색재, 보안 스레드 또는 미세 천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11. 삭제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요소는 광학적 데이터 메모리로서, 홀로그래픽 데이터 메모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생물학적 측정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위한 수단은 암호 프로토콜의 실행을 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18. 제1항 내지 제5항,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자가 소정 기간 동안 제2 상태에 있은 후, 상기 전자 회로는 상기 광학 소자의 변환을 위하여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19. 제1항 내지 제5항,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귀중 문서 또는 보안 문서로서 기계 판독 가능한 여행 문서 또는 신원 증명 문서, 칩카드 또는 허가증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20. 제1항 내지 제5항,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집적 회로는 확장 접근 통제(Extended Access Control)의 실행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21. 문서의 보안 요소로의 광학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의 상기 광학 소자(108)의 변환을 개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제13항,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문서(100)로서;
    상기 보안 요소의 자동 검출을 위한 광학 센서(140)를 구비하며;
    상기 문서의 전자 집적 회로(118)에 대한 인증을 위한 수단(132), 인증 후 집적 회로의 보호된 저장 영역으로부터 유래하는 제1 데이터(122)의 판독을 위한 수단(130), 문서의 보안 요소로부터 유래하는 제2 데이터(128)의 판독을 위한 상기 광학 센서, 제1 및 제2 데이터의 일치를 검사하기 위한 수단(136)을 구비하며, 제1 및 제2 데이터의 일치가 확인된 후 이들을 출력 또는 재처리 하도록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장치.
  22. 삭제
  23. 삭제
  24. 제21항에 있어서, 귀중 문서 또는 보안 문서로서 기계 판독 가능한 여행 문서, 신분 증명 문서, 칩카드 또는 허가증을 위한 판독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장치.
KR20097010358A 2006-12-15 2007-12-07 보안 요소를 갖는 문서 및 판독 장치 KR101484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59865.2A DE102006059865B4 (de) 2006-12-15 2006-12-15 Dokument mit einem Sicherheitsmerkmal
DE102006059865.2 2006-12-15
PCT/EP2007/063517 WO2008071634A1 (de) 2006-12-15 2007-12-07 Dokument mit einem sicherheitsmerkmal und leseger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998A KR20090107998A (ko) 2009-10-14
KR101484929B1 true KR101484929B1 (ko) 2015-01-21

Family

ID=3910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7010358A KR101484929B1 (ko) 2006-12-15 2007-12-07 보안 요소를 갖는 문서 및 판독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102016B1 (ko)
KR (1) KR101484929B1 (ko)
CN (1) CN101563236B (ko)
AT (1) ATE512806T1 (ko)
DE (1) DE102006059865B4 (ko)
RU (1) RU2446956C2 (ko)
WO (1) WO20080716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4979B2 (en) * 2007-01-23 2011-01-04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dispersed miniature security marks
DE102007015934B4 (de) * 2007-04-02 2021-04-01 Bundesdruckerei Gmbh Dokument mit einem Sicherheitsmerkmal, Lesegerät und Verfahren zum Lesen eines Sicherheitsmerkmals
DE102009026488A1 (de) 2009-05-26 2010-12-02 Bundesdruckerei Gmbh Mikrosystem zur Erkennung vorbestimmter Merkmale von Wertpapieren, Sicherheitsdokumenten oder sonstigen Produkten
US9073675B2 (en) 2009-10-26 2015-07-07 Lg Innotek Co., Ltd. Chipless RFID structure, cap, can and packaging material, stacked film for preventing forgery,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RFID tag, RFI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ertificate for chipless RFID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the same
EP2576234B1 (en) * 2010-06-04 2015-08-26 Polyvalor, Limited Partnership Metameric security devices using an active material
DE102014004348A1 (de) * 2014-03-27 2015-10-15 Friedrich Kisters Sicherheitsverfahren
JP6549692B2 (ja) 2014-07-29 2019-07-24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認証マークの送信
KR102416559B1 (ko) * 2017-07-07 2022-07-04 한국조폐공사 비가시 보안코드와 무접점 전력공급을 이용한 보안문서 및 이의 인증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2914A (ko) * 1997-08-14 2001-03-26 분데스드룩커라이 게엠베하 발광 소자를 가진 유가 및 보안 물품
KR20020069000A (ko) * 2000-01-10 2002-08-28 시크파 홀딩 에스.에이. 코팅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보안용 인쇄 잉크, 코팅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유리 세라믹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41889A1 (en) * 1998-12-18 2001-10-10 E Ink Corporation Electronic ink display media for security and authentication
DE19961841A1 (de) * 1999-12-21 2001-06-28 Joergen Brosow Fälschungssicheres Informationsträgermaterial, daraus hergestellter Informationsträger und Vorrichtung zu dessen Prüfung
DE10032128A1 (de) * 2000-07-05 2002-01-17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papier und daraus hergestelltes Wertdokument
US20020158574A1 (en) * 2001-04-27 2002-10-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ganic displays and devices containing oriented electronically active layers
TW552485B (en) * 2001-07-17 2003-09-11 Sipix Imaging Inc An improved electrophoretic display with in-plane switching
GB0202646D0 (en) * 2002-02-05 2002-03-20 Optaglio Ltd Secure hidden data protection optically variable label
DE10217632A1 (de) * 2002-04-19 2003-11-06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dokument
DE102004005690A1 (de) * 2004-02-05 2005-09-01 Giesecke & Devrient Gmbh Wertdokument mit einer Anzeigevorrichtung
DE102005052070A1 (de) * 2005-10-28 2007-05-03 Bundesdruckerei Gmbh Anzeigevorrich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2914A (ko) * 1997-08-14 2001-03-26 분데스드룩커라이 게엠베하 발광 소자를 가진 유가 및 보안 물품
KR20020069000A (ko) * 2000-01-10 2002-08-28 시크파 홀딩 에스.에이. 코팅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보안용 인쇄 잉크, 코팅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유리 세라믹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59865A1 (de) 2008-06-19
CN101563236B (zh) 2012-05-30
EP2102016B1 (de) 2011-06-15
RU2009127107A (ru) 2011-01-20
WO2008071634A1 (de) 2008-06-19
EP2102016A1 (de) 2009-09-23
RU2446956C2 (ru) 2012-04-10
DE102006059865B4 (de) 2021-01-07
ATE512806T1 (de) 2011-07-15
KR20090107998A (ko) 2009-10-14
CN101563236A (zh)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929B1 (ko) 보안 요소를 갖는 문서 및 판독 장치
KR101539563B1 (ko) 보안 요소를 갖는 문서, 보안 요소의 판독을 위한 방법 및 판독 장치
CA2655401C (en) Security or valuable document with at least two display devices
KR1014499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보안 문서
KR101730158B1 (ko) 통합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문서 및 그 제조 방법
EP2659413B1 (en) System providing an improved skimming resistance for an electronic identity document
JP6331100B2 (ja) ドキュメント
US7309017B2 (en) Secure physical document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publishing and reading them
JP2010515985A (ja) 光送信器を備える文書
US20140224879A1 (en) Security Barcode
WO2007072794A1 (ja) ホログラムチップにより真贋判別可能なカード
KR101626283B1 (ko) 내장형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문서
KR101589014B1 (ko) 통합형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는 문서
US20200019740A1 (en) An owner-controlled carrier of value, a payment infrastructure and method for operating this infrastructure
Liersch ID cards and passports
CN111619263A (zh) 用于授权操作的安全装置、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