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916B1 -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 - Google Patents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916B1
KR101484916B1 KR1020140123437A KR20140123437A KR101484916B1 KR 101484916 B1 KR101484916 B1 KR 101484916B1 KR 1020140123437 A KR1020140123437 A KR 1020140123437A KR 20140123437 A KR20140123437 A KR 20140123437A KR 101484916 B1 KR101484916 B1 KR 101484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orce
pen
magnetic
force sensor
posi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구
허성환
김홍채
이광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레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레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레이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916B1/ko
Priority to PCT/KR2015/00660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32107A1/ko
Priority to US14/781,087 priority patent/US2017016084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타이저 내부에 복수의 자기력 센서를 설치하여 자기력 펜에 대한 복수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이 중에서 특정한 기준에 따라 선택된 위치정보만을 이용하여 자기력 펜의 위치를 확정하는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자기력 센서에서 측정되는 자기력 펜의 위치정보 중에서 가장 신뢰도가 높은 정보만을 사용할 수 있어서 자기력 펜의 위치 확인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A DIGITIZER IMPROVING THE ACCURACY IN POSITIONING}
본 발명은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타이저 내부에 복수의 자기력 센서를 설치하여 자기력 펜에 대한 복수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이 중에서 특정한 기준에 따라 선택된 위치정보만을 이용하여 자기력 펜의 위치를 확정하는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에 관한 것이다.
디지타이저(Digitizer)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사용되는 입력장치의 한 종류로서 매트릭스 형태의 전극 구조를 가지며, 사용자가 펜이나 커서를 움직이면 매트릭스 상의 X, Y 좌표를 읽어 입력장치의 위치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그에 해당되는 명령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디지타이저는 광의적으로 터치패널 또는 태블릿이라고도 불리며, 위치 검출 방식에 따라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자계 방식 등이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 패널과 구분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나 태블릿 PC 등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크게 커버글래스, 터치패널, 액정패널, 디지타이저를 포함하고 있으며, 최근 디스플레이 산업의 발달로 이들을 통합하거나 이들의 구성을 달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지 디스플레이 기기가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별도의 자기력 센서패널을 설치하여 터치스크린형 디지타이저를 구현하는 경우, 합착해야 할 패널의 수가 많아져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며, 오류가 발생했을 때 수리나 교체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자기력 센서를 디지타이저 내부에 설치하여 자기력 펜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특징이나 변화량을 측정함으로써 자기력 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서도 각각의 자기력 센서가 고유하게 가지는 오차에 의해 위치정보의 오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기술에서는 이러한 원천적인 오류를 개선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KR 100510729 B1 KR 100715200 B1 JP 2010277133 A JP 2006172367 A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타이저의 내부에 복수의 자기력 센서를 배치하고, 자기력 펜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자기력 펜에 대한 복수의 위치정보와 운동정보를 검출하고, 이 중에서 신뢰도가 높은 정보만을 선택하여 자기력 펜의 위치를 확정하도록 하는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력 펜의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자기력 센서가 변화되는 경우, 직전의 자기력 펜의 위치정보와 운동정보를 위치보정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정확한 자기력 펜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복수의 자기력 센서(106)를 설치하여 자기력 펜(110)에 대한 복수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위치정보 중에서 미리 정해진 선택기준에 따라 선택된 위치정보만을 이용하여 상기 자기력 펜(110)의 위치를 확정하는 디지타이저로서, 영상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104)과; 자성체가 3차원 자기장 분포를 발생시키면서 상기 터치스크린(104)의 전면 상부에서 운동하는 자기력 펜(110)과; 케이스(10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기력 펜(110)에서 발생되는 3차원 자기장의 방향과 크기를 측정하는 복수의 자기력 센서(106)와; 상기 복수의 자기력 센서(106)가 수집한 위치정보 중에서 일부 위치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자기력 펜(110)의 위치를 확정하는 제어부(108);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08)가 상기 위치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기준은 자기장 벡터의 크기값이며, 상기 제어부(108)는 복수의 자기력 센서(106)로부터 입력되는 위치정보 중에서 자기장 벡터의 크기값이 가장 큰 한 개 또는 두 개의 위치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자기력 펜(110)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기장 벡터의 크기값이 가장 큰 두 개의 위치정보를 선택하여 계산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8)는 선택된 두 개의 위치정보로부터 얻어진 자기장 벡터에서 X축, Y축, Z축 방향성분과 기울기의 함수를 계산하여 상기 자기력 펜(110)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기력 펜(110)이 이동하면서 상기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상기 자기력 센서(106)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자기력 센서(106)가 측정한 값과 상기 자기력 펜(110)의 과거정보를 바탕으로 예상한 값을 가중치를 다르게 해서 합산하는 위치보정 알고리즘으로 상기 자기력 펜(110)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보정 알고리즘은 칼만 필터(Kalman Filter)와 파티클 필터(Particle Filter)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자기력 센서에서 측정되는 자기력 펜의 위치정보 중에서 가장 신뢰도가 높은 정보만을 사용할 수 있어서 자기력 펜의 위치 확인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자기력 센서가 자기력 펜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자기력 펜이 자기력 센서의 영역 내부에 있을 때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자기력 펜이 자기력 센서의 영역 외부에 있을 때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자기력 펜을 감지하는 자기력 센서가 교체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자기력 펜의 과거 정보를 바탕으로 예측 이동경로를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이하, '디지타이저'라 함)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자기력 센서가 자기력 펜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디지타이저(100)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면서 자기력 분포를 측정하여 자기력 펜(110)의 위치를 확인하는 기능을 갖는다. 디지타이저(100)는 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102)의 전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104)이 설치된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04)을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자기력 펜(110) 등으로 터치하면서 글을 쓰거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자기력 펜(110)은 내부에 자성체를 포함하고 있어서 3차원 자기력 분포를 발생시킨다.
자기력 펜(110)은 터치스크린(104)의 전면 상부에서 자유운동을 하고, 이때 발생하는 3차원 자기장 분포가 자기력 센서(106)에 의해 검출되어 터치스크린(104)에 운동 궤적이 시각적으로 표현된다.
터치스크린(104)에는 접촉신호를 감지하는 터치패널, 신호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회로기판, 터치패널을 보호하는 커버윈도우 등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종래에 개시된 기술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스(102)의 내부에는 복수의 자기력 센서(106)가 설치된다. 자기력 센서(106)는 커버윈도우나 회로기판, 터치패널의 윗면이나 아랫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력 센서(106)는 터치스크린(104)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주변부(베젤 영역)에 설치될 수 있지만, 자기력 펜(110)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려면 영상이 표시되는 가운데부(베젤의 안쪽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기력 펜(110)이 가운데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며, 복수의 자기력 펜(110)을 꼭지점으로 하는 다각형이 터치스크린(104)을 형성하는 다각형(주로 직사각형) 보다 크기가 작으면서 내부에 들어오는 것으로 설정한다.
자기력 센서(106)는 자기력 펜(1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 또는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여 자기력 펜(110)의 위치와 이동방향, 기울기 등을 계산한다.
자기력 센서(106)는 홀 효과(hall effect), 서치코일(search coil) 유도효과, 플럭스 게이트 (flux gate) 유도효과, 자기저항 (Magneto Resistive) 효과를 이용하여 공간 직교좌표 3축 방향의 자기력을 측정한다.
자기력 펜(110)에서는 벡터인 자기장이 발생하는데, 자기력 센서는 자기력 펜(1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방향성분과 크기값을 측정할 수 있다. 자기장 벡터의 방향성분별 크기를 알면 전체 자기장의 방향과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한 개의 자기력 센서(106)만으로도 자기력 펜(1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방향과 크기를 구할 수 있으므로, 터치스크린(104) 위에서 자기력 펜(110)이 어디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치 확인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복수의 자기력 센서(106)를 사용한다.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이나 모바일 단말기의 모양인 직사각형의 터치스크린(104)이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디지타이저(100)를 구성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104)의 네 군데 모서리 근처에 네 개의 자기력 센서(106)가 설치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자기력 센서(106)는 두 개 이상으로서 복수개로 설치되기만 하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네 개가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로보다 세로가 긴 일반적인 직사각형 형태의 터치스크린(104)을 가정하여 왼쪽 상단의 제1자기력 센서(106a)를 시작으로 시계 방향으로 제2자기력 센서(106b), 제3자기력 센서(106c), 제4자기력 센서(106d)가 내장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자기력 펜(1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각각의 자기력 센서(106)가 감지한다. 제1자기력 센서(106a)가 감지하는 벡터값을
Figure 112014088010196-pat00001
이라 하고, 제2자기력 센서(106b), 제3자기력 센서(106c), 제4자기력 센서(106d)가 감지하는 벡터값을 각각
Figure 112014088010196-pat00002
,
Figure 112014088010196-pat00003
,
Figure 112014088010196-pat00004
라고 한다. 각각의 벡터값은 X축, Y축, Z축 방향성분을 가지며, 세 개의 성분의 크기를 벡터연산하면 절대값(벡터의 크기값)을 구할 수 있다. 세 가지 벡터값의 크기값을 각각
Figure 112014088010196-pat00005
,
Figure 112014088010196-pat00006
,
Figure 112014088010196-pat00007
,
Figure 112014088010196-pat00008
라고 한다.
자성체가 들어있는 자기력 펜(110)의 위치 및 기울기가 변화하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자기력 센서(106)에서 측정되는 자기장이 변한다. 자기력 센서(106)에서 측정되는 값은 그 지점의 자기장의 x, y, z 방향의 벡터이며, 이 자기장은 자기력 펜(110)의 x, y, z 좌표와 기울기의 함수가 된다. 이러한 자기장 세기 변화 함수의 역함수를 취하면 자기장의 5축 좌표(x, y, z, θ, φ)를 환산할 수 있다.
네 개의 자기력 센서(106)를 이용하여 자기력 펜(110)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자기력 펜이 자기력 센서의 영역 내부에 있을 때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는 자기력 펜이 자기력 센서의 영역 외부에 있을 때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과 같이, 자기력 펜(110)은 네 개의 자기력 센서(106)로 이루어지는 가상의 직사각형의 영역 내부에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자기력 센서(106)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이 터치스크린(104)의 직사각형보다 작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자기력 펜(110)이 자기력 센서(106)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자기력 센서(106)는 어느 경우에도 정확한 자기력 펜(1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각각의 자기력 센서(106)는 감지되는 자기장 벡터의 크기값과 방향성분을 계산하고,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계산한다. 네 개의 측정값을 모두 사용함으로써 정확한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그러나 네 개의 자기력 센서(106)가 이론적으로 각각의 오차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해 네 개의 측정값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생긴다. 즉, 도 3이나 4에 도시된 벡터값 화살표(각각의 자기력 센서로부터 자기력 펜을 향하는 직선)가 정확히 한 점에서 교차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자기력 펜(110)의 위치가 일정한 크기의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표시되는 오류가 생긴다. 본 발명에서는 자기력 센서(106)의 오차로부터 발생하는 오류를 제거하기 위해 자기력 센서(106)에서 측정된 값 중의 일부만 실제 위치 확인에 사용하도록 한다.
측정된 자기장 벡터값 중에서 일부만 사용하는 경우, 벡터값의 선택기준은 벡터의 크기(절대값)가 된다. 즉, 네 개의 자기력 센서(106)가 각각 산출한 네 개의 자기장 벡터값 중에서 벡터값의 크기가 큰 순서대로 나열하고, 이중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벡터값을 선택한다. 본 발명에서는 네 개의 벡터값 중에서 크기가 큰 두 개의 벡터값만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벡터값의 크기가 작은 두 개의 벡터값은 제어부(108)에 의해 배제된다.
자기장 벡터의 크기값이 가장 큰 것만 위치 계산에 사용하는 이유는 자기력 센서(106)와 자기력 펜(11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자기장의 크기가 커지고, 측정되는 값의 오차가 작아질 것이라는 개연성이 있기 때문이다. 자기력 펜(110)과 자기력 센서(106)의 거리가 먼 상태에서 측정된 값에는 지자기 또는 다른 전자기기의 자기장 등에 의한 오차가 더 크게 반영될 수 있다. 그러나 둘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서 측정되는 값이 커진다면 외부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 비중이 작아지므로, 신뢰도가 커질 것이라고 인정할 수 있다.
도 3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면, 자기력 펜(110)의 위치는 오른쪽 상단에 치우쳐있다. 이 경우에는 오른쪽 상단에 있는 제2자기력 센서(106b)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크기가 가장 크고, 왼쪽 상단에 있는 제1자기력 센서(106a)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크기가 다음으로 클 것이다. 제어부(108)는 제2자기력 센서(106b)와 제1자기력 센서(106a)에서 측정되는 벡터값을 취하고, 제3자기력 센서(106c)와 제4자기력 센서(106d)에서 측정되는 벡터값은 버린다. 따라서 제2자기력 센서(106b)가 측정한 벡터값(
Figure 112014088010196-pat00009
)과 제1자기력 센서(106a)가 측정한 벡터값(
Figure 112014088010196-pat00010
)을 이용하여 제어부(108)가 자기력 펜(110)의 위치를 확정한다.
또한 도 4와 같이 자기력 펜(110)이 제2자기력 센서(106b)와 제3자기력 센서(106c)를 잇는 직선의 오른쪽 바깥에 있을 수도 있다. 이때에는 제2자기력 센서(106b)와 제3자기력 센서(106c)에서 감지되는 자기장 벡터의 크기값이 가장 클 것이다. 제어부(108)는 이런 경우에 두 개의 센서(제2자기력 센서, 제3자기력 센서)에서 측정되는 값을 이용하여 자기력 펜(110)의 위치를 확인한다.
자기력 펜(110)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104) 위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위치에 따라서는 측정의 대상이 되는 자기력 센서(106)가 변경될 수 있다. 그런데 자기력 센서(106)가 변경되는 순간, 즉 자기력 펜(110)이 각각의 자기력 센서(106)가 담당하는 영역의 경계선을 넘어가는 순간에는 자기력 센서(106)의 내재적인 오차로 인해 위치의 정확한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자기력 센서(106)가 변경되는 순간의 오차를 보완하기 위해 위치보정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도 5는 자기력 펜을 감지하는 자기력 센서가 교체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자기력 펜의 과거 정보를 바탕으로 예측 이동경로를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 처음에 자기력 펜(110)의 위치는 제1자기력 센서(106a)와 제4자기력 센서(106d)에 상대적으로 더 근접해 있기 때문에 제1자기력 센서(106a)와 제4자기력 센서(106d)의 측정값에서 구해진다.((a) 참조)
이 상태에서 자기력 펜(110)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제2자기력 센서(106b)와 제3자기력 센서에 더 근접한 영역에 도달하게 되면 감지대상이 제2자기력 센서(106b)와 제3자기력 센서(106c)로 변경된다.((b) 참조)
이러한 변경 순간에 발생되는 자기장의 측정 오차를 고려하지 않으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오차(측정된 경로)가 발생한다. 즉, 실제로 자기력 펜(110)이 이동한 위치와 다른 곳에 자기력 펜(110)이 있었던 것으로 제어부(108)가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서 자기력 펜(110)이 A에서 B로 이동한 경로를 예측하여 실제로 측정된 값과 결합하는 과정을 거친다. 즉, 자기력 센서(106)가 측정한 값(자기력 펜의 측정 위치)과 자기력 펜(110)의 과거정보를 바탕으로 예상한 값(자기력 펜의 예측 위치)을 가중치를 다르게 해서 합산한다.
이동하는 대상의 과거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미래의 움직임 또는 위치를 예측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위치보정 알고리즘이 사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칼만 필터(Kalman Filter)와 파티클 필터(Particle Filter) 중의 하나를 사용한다.
센서를 이용해 움직이는 물체의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데, 이 측정값에 노이즈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측정 대상이 되는 자기력 센서(106)가 변경되는 순간에는 노이즈가 더 커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자기력 센서(106)에서 감지되는 급격한 위치변화량을 어느 정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대표적인 위치보정 알고리즘인 칼만 필터는 특정 시점에서의 위치는 이전 시점의 위치와 선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여 이전 시점들의 위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시점의 위치를 추정한다. 제어부(108)는 이와 같이 추정된 현재 시점의 위치를 고려하여 실제 측정된 위치의 정보를 보정한다. 위치의 보정을 위해서는 실제 측정된 정보(경로)와 예측된 정보(경로)가 모두 사용되는데, 적절한 방법으로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더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파티클 필터는 물체의 위치를 확률적으로 계산하여 보정하는 알고리즘이다. 즉 현재 물체의 위치를 확률 분포로 표현하고, 실제 측정값이 축적되면 확률 분포가 변화하게 되므로 가장 높은 확률을 갖는 지점에 물체가 있다고 추정한다.
칼만 필터와 파티클 필터는 이동하는 물체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하나로서,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공개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측정법이 상이한 기존의 디지타이저 입력 방식(정전용량형, 감압형, 광학인식형, 초음파 반사형, 전자기 유도 공명형 이외)을 조합된 센서 패널 및 디지타이저 펜을 사용하면 무의식적인 또는 기능적 요소의 외부 입력에 대한 선택과 제한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의도의 디지타이저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지타이저 102 : 케이스
104 : 터치스크린 106 : 자기력 센서
108 : 제어부 110 : 자기력 펜

Claims (4)

  1. 복수의 자기력 센서(106)를 설치하여 자기력 펜(110)에 대한 복수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위치정보 중에서 미리 정해진 선택기준에 따라 선택된 위치정보만을 이용하여 상기 자기력 펜(110)의 위치를 확정하는 디지타이저로서,
    영상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104)과;
    자성체가 3차원 자기장 분포를 발생시키면서 상기 터치스크린(104)의 전면 상부에서 운동하는 자기력 펜(110)과;
    케이스(10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기력 펜(110)에서 발생되는 3차원 자기장의 방향과 크기를 측정하는 복수의 자기력 센서(106)와;
    상기 복수의 자기력 센서(106)가 수집한 위치정보 중에서 일부 위치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자기력 펜(110)의 위치를 확정하는 제어부(108);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08)가 상기 위치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기준은 자기장 벡터의 크기값이며, 상기 제어부(108)는 복수의 자기력 센서(106)로부터 입력되는 위치정보 중에서 자기장 벡터의 크기값이 가장 큰 한 개 또는 두 개의 위치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자기력 펜(110)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벡터의 크기값이 가장 큰 두 개의 위치정보를 선택하여 계산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8)는 선택된 두 개의 위치정보로부터 얻어진 자기장 벡터에서 X축, Y축, Z축 방향성분과 기울기의 함수를 계산하여 상기 자기력 펜(110)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 펜(110)이 이동하면서 상기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상기 자기력 센서(106)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자기력 센서(106)가 측정한 값과 상기 자기력 펜(110)의 과거정보를 바탕으로 예상한 값을 가중치를 다르게 해서 합산하는 위치보정 알고리즘으로 상기 자기력 펜(110)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정 알고리즘은 칼만 필터(Kalman Filter)와 파티클 필터(Particle Filter)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
KR1020140123437A 2014-08-25 2014-09-17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 KR101484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6608 WO2016032107A1 (ko) 2014-08-25 2015-06-29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
US14/781,087 US20170160840A1 (en) 2014-08-25 2015-06-29 Digitizer with high accuracy of identifying 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0791 2014-08-25
KR1020140110791 2014-08-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4916B1 true KR101484916B1 (ko) 2015-01-22

Family

ID=5259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437A KR101484916B1 (ko) 2014-08-25 2014-09-17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160840A1 (ko)
KR (1) KR101484916B1 (ko)
WO (1) WO2016032107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807B1 (ko) * 2015-12-18 2016-03-02 주식회사 트레이스 펜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방법 및 그 디지타이저
KR101618035B1 (ko) * 2015-01-29 2016-05-04 주식회사 트레이스 스타일러스 펜의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는 디지타이저 장치
KR20160089717A (ko) * 2015-01-20 2016-07-28 주식회사 트레이스 펜의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3d 호버링 인식이 가능한 디지타이저 시스템
KR101650300B1 (ko) * 2015-12-15 2016-09-05 주식회사 트레이스 위치 검출 오차를 감소시킨 디지타이저 및 그 방법
KR20170068204A (ko) * 2015-12-09 201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서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KR20200138572A (ko) * 2019-05-31 2020-12-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필기 및 메모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8116B2 (en) 2019-07-24 2021-07-20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Touch detection and position reconstruction
FR3114413B1 (fr) * 2020-09-21 2023-06-09 Advanced Magnetic Interaction Ami Procédé et dispositif de suivi d’une extrémite d’un ustensile comportant une recalibration d’une distance entre l’extrémité et un objet magnétique solidaire de l’ustensi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233A (ko) * 2002-05-29 2005-01-12 서크 코퍼레이션 영구 자석을 이용한 스타일러스 입력 장치
JP2010266911A (ja) * 2009-05-12 2010-11-25 Nissha Printing Co Ltd 位置検知入力装置および位置検知算出方法
KR20110030639A (ko) * 2008-06-27 2011-03-23 모베아 에스.아 데이터 융합을 이용하는 모션 캡처 포인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0962A1 (en) * 2003-01-21 2004-07-22 Microsoft Corporation Inertial sensors integration
KR101265265B1 (ko) * 2007-02-08 201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장을 이용한 다중 포인팅 방법 및 그 장치
EP2256521A1 (de) * 2009-05-25 2010-12-0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und Anordnung zur magnetischen Positionsbestimmung
US8738094B2 (en) * 2010-12-09 2014-05-27 T-Mobile Usa, Inc. Automatically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US9298281B2 (en) * 2012-12-27 2016-03-29 Correlated Magnetics Research, Llc. Magnetic vector sensor position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KR101406451B1 (ko) * 2013-01-24 2014-06-13 한국과학기술원 자기장을 이용한 오브젝트 센싱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233A (ko) * 2002-05-29 2005-01-12 서크 코퍼레이션 영구 자석을 이용한 스타일러스 입력 장치
KR20110030639A (ko) * 2008-06-27 2011-03-23 모베아 에스.아 데이터 융합을 이용하는 모션 캡처 포인터
JP2010266911A (ja) * 2009-05-12 2010-11-25 Nissha Printing Co Ltd 位置検知入力装置および位置検知算出方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717A (ko) * 2015-01-20 2016-07-28 주식회사 트레이스 펜의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3d 호버링 인식이 가능한 디지타이저 시스템
WO2016117789A1 (ko) * 2015-01-20 2016-07-28 주식회사 트레이스 펜의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3d 호버링 인식이 가능한 디지타이저 시스템
KR101672731B1 (ko) * 2015-01-20 2016-11-04 주식회사 트레이스 펜의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3d 호버링 인식이 가능한 디지타이저 시스템
KR101618035B1 (ko) * 2015-01-29 2016-05-04 주식회사 트레이스 스타일러스 펜의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는 디지타이저 장치
WO2016122074A1 (ko) * 2015-01-29 2016-08-04 주식회사 트레이스 스타일러스 펜의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는 디지타이저 장치
KR20170068204A (ko) * 2015-12-09 201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서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KR102374292B1 (ko) * 2015-12-09 2022-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서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KR101650300B1 (ko) * 2015-12-15 2016-09-05 주식회사 트레이스 위치 검출 오차를 감소시킨 디지타이저 및 그 방법
KR101598807B1 (ko) * 2015-12-18 2016-03-02 주식회사 트레이스 펜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방법 및 그 디지타이저
KR20200138572A (ko) * 2019-05-31 2020-12-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필기 및 메모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펜 시스템
KR102242154B1 (ko) * 2019-05-31 2021-04-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필기 및 메모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60840A1 (en) 2017-06-08
WO2016032107A1 (ko)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916B1 (ko)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
KR102281883B1 (ko) 가상 현실/증강 현실 핸드헬드 제어기 감지
US9239645B2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loads on multiple points using the input device
CN107466391B (zh) 力敏触摸传感器补偿
JP5814930B2 (ja) 複数オブジェクト検知において個々の力を計測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3154866B (zh) 对于触摸和悬停感测的并行信号检测
US20120188181A1 (en) Touch screen apparatus detecting touch pressur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60299606A1 (en) User input processing device using limited number of magnetic field sensors
US20090187375A1 (en) Touch sensor,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ouch sensor
US20160054835A1 (en) Touch screen integrated digitizer using three dimensional magnetism sensor and magnetic pen
US20150185857A1 (en)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spatial location recognition
JP5802247B2 (ja) 情報処理装置
TW200941314A (en) Touch sensor device and pointing coordinate determination method thereof
WO2019150468A1 (ja) タッチパネル装置
CN105320275A (zh) 可穿戴设备和操作可穿戴设备的方法
WO2014112132A1 (ja) 情報機器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0191778A (ja) 座標入力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装置
US20210089133A1 (en) Gesture detection system
KR20140077000A (ko) 터치 패널 및 이에 대한 디지타이저 펜의 위치 감지 방법
US20210089182A1 (en) User interface provided based on touch input sensors
KR101598807B1 (ko) 펜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방법 및 그 디지타이저
EP2977862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672731B1 (ko) 펜의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3d 호버링 인식이 가능한 디지타이저 시스템
US20120194454A1 (en) Finger tilt detection in touch surface-based input devices
JP5538596B1 (ja) タッチ入力装置、タッチ入力装置入力検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