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300B1 - 위치 검출 오차를 감소시킨 디지타이저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검출 오차를 감소시킨 디지타이저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300B1
KR101650300B1 KR1020150179299A KR20150179299A KR101650300B1 KR 101650300 B1 KR101650300 B1 KR 101650300B1 KR 1020150179299 A KR1020150179299 A KR 1020150179299A KR 20150179299 A KR20150179299 A KR 20150179299A KR 101650300 B1 KR101650300 B1 KR 101650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orce
force sensors
pen
sensors
digit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구
김홍채
이준구
김진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레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레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레이스
Priority to KR102015017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력 펜에서 발생되는 자기력 분포에 대한 자기력 벡터를 감지하는 복수의 자기력 센서; 상기 복수의 자기력 센서들 중에서, 가장 큰 내각이 120˚ 이하인 삼각형을 구성하도록 하는 3개의 자기력 센서를 최종적으로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3개의 자기력 센서로부터 측정된 자기력 벡터를 기초로 삼각측정법을 이용하여 산출된 상기 자기력 펜의 위치를 표시하는 영상패널부를 포함하는, 디지타이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위치 검출 오차를 감소시킨 디지타이저 및 그 방법{DIGITIZER AND METHOD FOR REDUCING DETECTING POSITION ERROR}
본 발명은 위치 검출 오차를 감소시킨 디지타이저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각측정법의 오차 감소를 감소시켜 자기력 펜의 위치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디지타이저(Digitizer)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사용되는 입력장치의 한 종류로서 매트릭스 형태의 전극 구조를 가지며, 사용자가 펜이나 커서를 움직이면 매트릭스 상의 X, Y 좌표를 읽어 입력장치의 위치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그에 해당되는 명령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디지타이저는 광의적으로 터치 패널 또는 태블릿이라고도 불리며, 위치 검출 방식에 따라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자계 방식 등이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 패널과 구분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최근 스타일러스 펜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이를 통한 펜의 필기를 가능하게 하려는 시도가 널리 퍼지고 있다. 펜의 팁 단면적은 매우 좁기 때문에, 터치 패널에 의한 정확한 위치 검출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자기력 센서에 의해 자계 방식으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검출하는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자기력 센서로부터 측정된 자기력 벡터 역시 오차가 발생할 수 밖에 없으므로, 자계 방식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 검출 방법에 있어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타이저에서 자기력 펜의 위치를 측정함에 있어, 오차를 최소화하여 위치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력 펜에서 발생되는 자기력 분포에 대한 자기력 벡터를 감지하는 복수의 자기력 센서; 상기 복수의 자기력 센서들 중에서, 가장 큰 내각이 120˚ 이하인 삼각형을 구성하도록 하는 3개의 자기력 센서를 최종적으로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3개의 자기력 센서로부터 측정된 자기력 벡터를 기초로 삼각측정법을 이용하여 산출된 상기 자기력 펜의 위치를 표시하는 영상패널부를 포함하는, 디지타이저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자기력 센서들 중 4개 이상의 자기력 센서를 1차적으로 선택한 후, 상기 1차적으로 선택된 자기력 센서들 중에서 상기 3개의 자기력 센서를 최종적으로 선택하는, 디지타이저가 제공된다.
상기 1차적으로 선택된 4개 이상의 자기력 센서는 상기 자기력 펜으로부터의 근거리를 기준으로 선택되는, 디지타이저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삼각형의 가장 큰 내각이 120˚ 이하인 삼각형을 구성하도록 하는 3개의 자기력 센서 조합이 복수개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조합들 중 가장 큰 내각이 최소값을 가지는 3개의 자기력 센서의 조합을 최종적으로 선택하는, 디지타이저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타이저가 자기력 펜의 위치 검출 오차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복수개의 자기력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 벡터의 크기를 토대로 복수개의 자기력 센서 및 자기력 펜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자기력 센서들 중 3개의 자기력 센서를 최종적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c) 상기 최종적으로 선택된 3개의 자기력 센서의 측정 값을 바탕으로 삼각측정법을 통해 상기 자기력 펜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의 위치 검출 오차 감소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b)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개의 자기력 센서들 중, 4개 이상의 자기력 센서들을 1차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1차적으로 선택된 4개 이상의 자기력 센서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상기 3개의 자기력 센서들을 선택하는, 디지타이저의 위치 검출 오차 감소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타이저에서 자기력 펜의 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고, 그 위치를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즉각적인 필기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위치 검출 과정에서 이용되는 삼각측정법의 오차를 최소화하여, 자기력 펜의 터치 지점을 정확하게 검출함으로써, 자기력 펜에 의한 필기 기능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센서가 자기력 펜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자기력 센서로부터 자기력 펜까지의 거리와, 자기력 센서에서 감지되는 자기력 크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삼각측정법을 이용하여 자기력 펜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삼각측정법의 검출 오차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에서 자기력 펜의 위치 검출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자기력 센서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시스템을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는 디스플레이 기기(100) 및 자기력 펜(200)으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기기(100)는 외부 접촉 손상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110), 커버윈도우(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패널부(120), 터치패널부(120) 하부에 배치되어 자기력 펜(200)의 위치를 산출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패널부(130), 디스플레이 기기(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회로기판(140), 회로기판(140)과 함께, 커버윈도우(110), 터치패널부(120), 영상패널부(13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합입되는 내부 케이스(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100)는 자기력 펜(200)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력 분포를 검출하는 복수개의 자기력 센서(160)에 의해 자기력 펜(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력 센서(160)의 자기력 분포 검출 수행, 또는 위치 검출에 필요한 자기력 센서(160)의 선택 등과 같은, 자기력 센서(16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회로기판(140)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복수개의 자기력 센서(160)가 터치패널부(120)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자기력 센서(160)는 커버 윈도우(110) 후면, 터치패널부(120) 전/후면, 영상패널부(130) 전/후면, 회로기판(140) 전/후면, 내부 케이스(150) 내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자기력 센서(160)는 영상패널부(130)의 비활성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력 센서(160)는 홀 효과(hall effect), 서치코일(search coil) 유도효과, 플럭스 게이트 (flux gate) 유도 효과, 자기저항 (Magneto Resistive) 효과를 이용하여 공간 직교좌표 3축 방향의 0.001 내지 10000 Gauss 자기력을 측정한다.
자기력 펜(2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커버윈도우(110) 전면 상부에서 자유운동을 한다. 자기력 펜(200)은 내부에 자석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자기력 펜(20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 분포는 복수개의 자기력 센서(160)에 의해 감지되며, 감지된 신호를 통해 자기력 펜(20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센서(160)가 자기력 펜(200)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기력 센서(160)는 영상패널부의 비활성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의 가장자리에 자기력 센서(160)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대형 화면을 가진 경우에는 영상패널부의 활성 영역(Active area), 즉, 디스플레이 기기의 내부에도 다수의 자기력 센서(16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터치패널부(120)의 외곽 영역에 자기력 센서(160)가 배치된 경우를 예시한다. 자기력 센서(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나, 그보다 적은 수 또는 많은 수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자기력 센서(160)는 자기력 펜(200)으로부터 발생되는 3차원의 자기력 벡터와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복수개의 자기력 센서(160)가 자기력 펜(200)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은, 첫번째로, 2개 이상의 자기력 센서(160)에서 감지되는 자기력 벡터를 이용하여, 이들의 교점을 통해 자기력 펜(200)의 위치를 유추하는 방법이 있고, 두번째로는, 자기력 센서(160)와 자기력 펜(200)의 거리에 따른 자기력의 크기 곡선을 이용하여, 3개 이상의 자기력 센서(160)와 자기력 펜(200) 간의 거리를 파악해내고, 이를 통해 삼각측정법으로 자기력 펜(200)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 도 1 참조)는 복수의 자기력 센서(160)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 벡터들 중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자기력 펜(200)의 위치 검출에 사용하기 위한 값으로서, 일부의 벡터 값들만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 도 1 참조)는 자기력 센서(160)들로부터 측정된 자기력 벡터의 크기가 가장 큰 2 또는 3개의 벡터 값을 선택할 수 있다. 자기장 벡터의 크기가 큰 자기력 벡터일수록, 자기력 센서(160)와 자기력 펜(2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측정되는 자기력 벡터값의 오차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어부(170, 도 1 참조)에 의해 선택된 자기력 벡터로부터 자기력 펜(200)의 위치를 산출하는 방법 중, 먼저, 2개 이상의 자기력 센서(160)에서 감지되는 자기력 벡터를 이용하여 자기력 펜(200)의 위치를 유추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자기력 펜(200)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력 벡터는 자기력 센서(160)에 의해 감지되는데, 자기력 펜(200)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자기력 센서(160)에서 감지되는 자기력 벡터는 실시간으로 변화하게 된다. 복수의 자기력 센서(160)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 벡터 간의 교차점이 자기력 펜(200)의 현재 위치가 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3개 이상의 자기력 센서(160)와 자기력 펜(200)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삼각측정법을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자기력 센서(160)로부터 자기력 펜(200)까지의 거리(r)와, 자기력 센서(160)에서 감지되는 자기력 크기(B)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특정 자기력 센서(160)와 자기력 펜(200) 간의 거리(r)가 멀어질수록, 해당 자기력 센서(160)에서 감지되는 자기력 벡터의 크기(B)는 작아진다. 즉, 특정 자기력 센서(160)와 자기력 펜(200) 간의 거리(r)는 자기력 센서(160)에서 감지되는 자기력 벡터의 크기(B)에 반비례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면, 3개 이상의 자기력 센서(160)로부터 자기력 펜(200)까지의 거리를 산출해낼 수 있다.
도 4는 삼각측정법을 이용하여 자기력 펜(200)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자기력 센서(161), 제2 자기력 센서(162) 및 제3 자기력 센서(163)의 3개의 자기력 센서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3개 이상의 자기력 센서들에 대해서 삼각측정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자기력 센서들(161, 162, 163)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 벡터의 크기(B)를 통해, 자기력 펜(200)과의 거리(r1, r2, r3)를 산출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산출된 제1 자기력 센서(161)로부터 자기력 펜(200)까지의 거리가 r1 에 해당할 경우, 자기력 펜(200)의 위치는 제1 자기력 센서(161)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이 r1 인 원(C1) 위의 어느 한 점이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자기력 센서(162)로부터의 거리가 r2 이며, 제3 자기력 센서(163)로부터의 거리는 r3 이므로, 자기력 펜(200)의 위치는 중심이 제2 자기력 센서(162), 반지름이 r2 에 해당하는 원(C2) 위의 한 점이자, 중심이 제3 자기력 센서(163)이면서, 반지름이 r3 인 원(C3) 위의 한 점에 해당하게 될 것이다.
즉, 자기력 펜(200)의 위치는 원 C1, C2, 및 C3 위의 지점이 되어야 하므로, 세 원의 교점에 해당하게 된다.
그러나, 자기력 벡터에 의해 산출된 자기력 센서 및 자기력 펜 사이의 거리(r1, r2, r3)에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상술한 세 원(C1, C2, C3)은 한 점에서 교차하지 않으며, 이 경우, 정확한 교점의 좌표를 산출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자기력 센서로부터 자기력 펜까지 거리(r1, r2, r3)의 오차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자기력 펜의 위치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삼각측정법의 검출 오차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C1, C2, 및 C3의 반지름의 길이가 모두 r1, r2, 및 r3 로 동일할 뿐만 아니라, C1 및 C3는 동일한 위치에 존재한다. 다만, C2의 위치, 즉, C2의 중점인 제2 자기력 센서(162)의 위치가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원의 중점에 해당하는 자기력 센서들(161, 162, 163)이 이루는 삼각형의 내각이 달라지게 되는데, 원 C2의 중점(제2 자기력 센서(162))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내각을 도 5의 (a)에서는 θa, (b)에서는 θb라 한다.
한편,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력 센서(161, 162, 163)로부터 자기력 펜까지 거리(r1, r2, r3)의 오차에 의해, 원 C1, C2, 및 C3의 교집합, 즉, 공통 부분은 하나의 점의 좌표가 아니라, 일정 면적을 가지는 공통 영역으로 나타난다. 이 경우, 자기력 센서들(161, 162, 163)로부터 산출되는 자기력 펜의 위치는 상기 공통 영역 내의 임의의 지점에 존재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공통 영역의 면적이 작아질수록 확률적인 자기력 펜의 위치 검출 정확도가 향상된다.
도 5 (a)의 경우, 원 C2의 중점(제2 자기력 센서(162))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내각 θa는 180˚에 가까운 둔각 삼각형을 이루며, (b)의 경우, 내각 θb가 90˚보다 작은 예각 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이때, 각각의 경우에 대해 세 원 C1, C2, 및 C3의 공통 영역은 Pa, 및 Pb와 같이 나타난다.
도 5를 참고하면, θab 일 때, 세 원의 공통 영역의 면적은 Pa>Pb가 됨을 알 수 있다. 즉, 삼각형의 내각 중 가장 큰 값을 갖는 내각(이하, 각 θ라 하기로 한다)의 크기가 커질수록, 세 원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공통 영역의 면적 또한 넓어지므로, 자기력 펜의 위치 검출 정확도는 낮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력 펜의 위치 검출을 수행하는 3개의 자기력 센서(161, 162, 163)가 이루는 삼각형의 내각 중 가장 큰 내각(θ)의 크기를 작게 할수록, 삼각측정법을 통한 자기력 펜의 위치 검출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각 θ가 60˚ 내지 130˚ 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자기력 펜의 위치 검출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 θ의 상한의 임계범위를 115˚ 내지 125˚의 사이 값(예를 들면, 120˚)으로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에서 자기력 펜(200)의 위치 검출 오차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8개의 자기력 센서(161 내지 168)는 자기력 펜(200)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력 분포에 대한 자기력 벡터를 측정할 수 있는데, 제어부(170, 도 1 참조)는 8개의 자기력 벡터 중 자기력 펜(200)의 위치 검출에 필요한 일부 자기력 벡터만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 도 1 참조)는 먼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4개 이상의 자기력 벡터들을 1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고하면, 제어부(170, 도 1 참조)는 미리 설정된 기준으로서, 자기력 펜(200)으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4개의 자기력 센서들(161, 162, 163, 및 164)을 자기력 펜(200)의 위치 검출에 사용하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다.
4개 이상의 자기력 센서들을 선택한 후, 제어부(170, 도 1 참조)는 삼각측정법에 사용될 3개의 자기력 센서들을 최종적으로 선택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 도 1 참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검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3개의 자기력 센서들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내각 중 가장 큰 내각(θ)의 상한 임계범위가 115˚ 내지 125˚의 사이 값을 갖도록 하는 3개의 자기력 센서들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선택된 4개의 자기력 센서들(161, 162, 163, 및 164)로 구성할 수 있는 삼각형의 내각 중 가장 큰 내각(θ)은 다음과 같다.
제1 자기력 센서(161), 제2 자기력 센서(162), 및 제3 자기력 센서(163)로 이루어 지는 가장 큰 내각(θ)은 θ1 이며, 제1 자기력 센서(161), 제3 자기력 센서(163), 및 제4 자기력 센서(164)의 가장 큰 내각(θ)은 θ2, 그리고 제2 자기력 센서(162), 제3 자기력 센서(163), 및 제4 자기력 센서(164)의 가장 큰 내각(θ)은 θ3가 된다.
이 경우, 도 6의 θ2 및 θ3의 경우는 125˚이상의 둔각이며, θ1은 115˚이하의 값을 가지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 도 1 참조)는 각 θ가 θ1 값을 갖도록 하는 제1 자기력 센서(161), 제2 자기력 센서(162), 및 제3 자기력 센서(163)를 최종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는 제어부(170, 도 1 참조)에 의해 최종적으로 선택된 3개의 자기력 센서의 자기력 벡터 값으로부터 자기력 펜(200)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위치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기기
110: 커버 윈도우
120: 터치패널부
130: 영상패널부
140: 회로기판
150: 내부 케이스
160: 자기력 센서
170: 제어부
200: 자기력 펜

Claims (6)

  1. 삼각측정법을 통한 위치 검출의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지타이저에 있어서,
    자기력 펜에서 발생되는 자기력 분포에 대한 자기력 벡터를 감지하는 복수의 자기력 센서;
    상기 복수의 자기력 센서들 중에서 3개의 자기력 센서의 조합을 최종적으로 선택하되, 가장 큰 내각이 120˚ 이하인 삼각형을 구성하도록 하는 3개의 자기력 센서의 조합이 복수개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조합들 중 가장 큰 내각이 최소값을 가지는 3개의 자기력 센서의 조합을 최종적으로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3개의 자기력 센서로부터 측정된 자기력 벡터들을 기초로 삼각측정법을 이용하여 산출된 상기 자기력 펜의 위치를 표시하는 영상패널부를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자기력 센서들 중 4개 이상의 자기력 센서를 1차적으로 선택한 후, 상기 1차적으로 선택된 자기력 센서들 중에서 상기 3개의 자기력 센서를 최종적으로 선택하는, 디지타이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적으로 선택된 4개 이상의 자기력 센서는 상기 자기력 펜으로부터의 근거리를 기준으로 선택되는, 디지타이저.
  4. 삭제
  5. 디지타이저가 삼각측정법을 통한 자기력 펜 위치 검출 오차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복수개의 자기력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 벡터의 크기를 토대로 복수개의 자기력 센서 및 자기력 펜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자기력 센서들 중 3개의 자기력 센서의 조합을 최종적으로 선택하되, 삼각형의 가장 큰 내각이 120˚ 이하인 삼각형을 구성하도록 하는 3개의 자기력 센서 조합이 복수개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조합들 중 가장 큰 내각이 최소값을 가지는 3개의 자기력 센서의 조합을 최종적으로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최종적으로 선택된 3개의 자기력 센서의 측정 값들을 바탕으로 삼각측정법을 통해 상기 자기력 펜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의 위치 검출 오차 감소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개의 자기력 센서들 중, 4개 이상의 자기력 센서들을 1차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1차적으로 선택된 4개 이상의 자기력 센서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상기 3개의 자기력 센서들을 선택하는, 디지타이저의 위치 검출 오차 감소 방법.
KR1020150179299A 2015-12-15 2015-12-15 위치 검출 오차를 감소시킨 디지타이저 및 그 방법 KR101650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299A KR101650300B1 (ko) 2015-12-15 2015-12-15 위치 검출 오차를 감소시킨 디지타이저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299A KR101650300B1 (ko) 2015-12-15 2015-12-15 위치 검출 오차를 감소시킨 디지타이저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300B1 true KR101650300B1 (ko) 2016-09-05

Family

ID=5693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299A KR101650300B1 (ko) 2015-12-15 2015-12-15 위치 검출 오차를 감소시킨 디지타이저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52823A (zh) * 2022-11-24 2023-03-07 吉林大学 具有定位功能的非阵列仿生柔性触觉传感器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336B1 (ko) * 2014-02-21 2014-11-13 주식회사 트레이스 3축 자기력 센서와 자기력 펜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융합 디지타이저
KR101477968B1 (ko) * 2014-02-21 2014-12-31 주식회사 트레이스 3차원 자기력 센서와 자기력 펜을 이용한 멀티스케일 디지타이저
KR101484916B1 (ko) * 2014-08-25 2015-01-22 주식회사 트레이스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
KR20150125215A (ko)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트레이스 터치 디지타이저용 자기장 가변형 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336B1 (ko) * 2014-02-21 2014-11-13 주식회사 트레이스 3축 자기력 센서와 자기력 펜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융합 디지타이저
KR101477968B1 (ko) * 2014-02-21 2014-12-31 주식회사 트레이스 3차원 자기력 센서와 자기력 펜을 이용한 멀티스케일 디지타이저
KR20150125215A (ko)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트레이스 터치 디지타이저용 자기장 가변형 펜
KR101484916B1 (ko) * 2014-08-25 2015-01-22 주식회사 트레이스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52823A (zh) * 2022-11-24 2023-03-07 吉林大学 具有定位功能的非阵列仿生柔性触觉传感器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66391B (zh) 力敏触摸传感器补偿
KR101484916B1 (ko) 위치 확인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타이저
US8625882B2 (en) User interface with three dimensional user input
CN100483319C (zh) 在触摸屏上使用两手指输入
US20110018811A1 (en) Gradual proximity touch screen
US20090187375A1 (en) Touch sensor,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ouch sensor
US20160054835A1 (en) Touch screen integrated digitizer using three dimensional magnetism sensor and magnetic pen
US11054982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finger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TW201140392A (en) Method for determining touch points on touch panel and system thereof
KR101416235B1 (ko) 3차원 위치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10021219A (ko)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의 접촉 위치 검출 방법
EP2818828A1 (en) Offset estimation device, offset estimation method, offset estimation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05320275A (zh) 可穿戴设备和操作可穿戴设备的方法
US9436342B2 (en) Screen with magnetic object locating
JP2015064724A (ja) 情報処理装置
KR20150084639A (ko) 투사형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의 주변부 좌표 정확도개선방법 및 장치
JP6082394B2 (ja) 高分解能なゴースト除去ジェスチャ
KR101650300B1 (ko) 위치 검출 오차를 감소시킨 디지타이저 및 그 방법
CN103940375A (zh) 一种测量角度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598807B1 (ko) 펜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방법 및 그 디지타이저
KR101672731B1 (ko) 펜의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3d 호버링 인식이 가능한 디지타이저 시스템
US20160224203A1 (en) Using a perpendicular bisector of a multi-finger gesture to control motion of objects shown in a multi-dimensional environment on a display
EP4390467A1 (en) Passive accessories
TWI698793B (zh) 電磁三維定位系統及方法
KR20170069616A (k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디지타이저 및 이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