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275B1 - 미트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트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275B1
KR101484275B1 KR20140062563A KR20140062563A KR101484275B1 KR 101484275 B1 KR101484275 B1 KR 101484275B1 KR 20140062563 A KR20140062563 A KR 20140062563A KR 20140062563 A KR20140062563 A KR 20140062563A KR 101484275 B1 KR101484275 B1 KR 101484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bsorbent
topsheet
absorbent sheet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2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동
Original Assignee
(주) 대일피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59323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8427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일피앤에스 filed Critical (주) 대일피앤에스
Priority to KR20140062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2Applications of coated or impregnat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되어 열풍에 의해 해당 면이 접착성을 갖는 하부시트(100);와, 하부시트 중앙에 부착되는 사각형상의 흡수시트(200);와, 상기 하부시트와 겹쳐지는 내부면은 폴리에틸렌 부직포로 형성되고 외부면은 해당 포장 대상물과 직접접촉 시 색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필름이 코팅된 표면시트(300);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미트패드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Description

미트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 {Pa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itt}
본 발명은 미트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 대상물과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해 해당 미트패드의 색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해당 포장 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침전물을 흡수하여 신선도를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침전물의 흡수, 팽창시에도 흡수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미트패드와 이를 위한 최적의 조합비로 이루어지는 제조방법을 통해 위생성이 향상되는 미트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 생선류, 채소류 및 과일류 등과 같은 포장 대상물은 그 세포가 파괴되면 세포 내부 및 외부의 유액이 밖으로 흘러나와 해당 대상물의 신선도가 저하된다. 상기 포장 대상물의 신선도가 저하되면 수분 보유력이 저하되어 해당 대상물로부터 더 많은 침전물이 흘러나와 해당 대상물의 자가분해, 세균증식 및 변색 등이 더욱 가속화된다.
가장 간단하고 보편적인 흡수패드로는 종이 또는 스펀지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이나 스펀지를 흡수패드로 사용하면, 겉보기로는 식품으로부터 식품유체가 분리된 듯이 보이지만, 실제로는 식품은 항상 종이나 스펀지와의 계면에 존재하는 식품 유체와 접촉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신선도 유지의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다.
따라서, 근래에는 포장 대상물의 신선도를 유지함과 변색 등을 방지하기 위해 침전물을 흡수할 수 있는 시트들을 사용하여 해당 대산물과 유출되는 침전물을 분리하는 방법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10-0751901호에는 다수의 유체투과성 천공부를 갖는 하부시이트; 초강력 흡수 중합체(SAP)를 포함하는 유체흡수층; 합성수지 섬유가 열풍에 의해 서로 융착되어 형성된 에어쓰루 부직포; 다수의 유체투과성 천공부를 갖는 제2 천공필름을 포함하는 적충체의 주연부가 열융착되어 밀봉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식품유체 흡수용 흡수패드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점착층의 하면에 이형지를 더 구비하여 해당 이형지를 제거하고 점착층을 이용해 해당 포장용기에 부착시켜 흡수패드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목적이 있다.
그러나, 하방으로 지속적으로 침수되는 침전물로 인해 상기 점착층의 점착력이 감소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종래의 기존특허들과 차이점이 없어질 수 있다. 또한, 점착성이 떨어지면서 포장용기에 남아있는 점착물질로 인해 미관을 더욱 해침과 더불어 위생적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 등록번호 제10-075190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포장 대상물의 가공 및 포장시 발생되는 침전물을 빠르게 흡수하여 포장내부를 깨끗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포장 대상물의 온도상승을 억제하여 적정시간 동안 고유온도를 유지시키고 채소류 등은 수분부족에 의한 신선도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흡수목적 외 수분유지가 가능한 미트패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침전물이 분산흡수 되도록 하여 흡수시트가 팽창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많은 양의 침전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오랜기간 동안 사용가능한 미트패드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더불어, 미트패드를 사용함에 따른 포장 대상물의 오염을 방지하는 위생성 높은 미트패드를 제공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최적화된 미트패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 과제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미트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되어 열풍에 의해 해당 면이 접착성을 갖는 하부시트(100);와, 하부시트 중앙에 부착되는 사각형상의 흡수시트(200);와, 상기 하부시트의 주연부에 부착되어 접착성이 없는 흡수시트와의 사이 영역이 중공되되, 상부면이 연신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필름 으로 이루어지는 코팅층(310)이 형성되며 침전물을 분산 침수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배출공(320)이 관통 천공되는 표면시트(300);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시트와 흡수시트의 사이 영역이 중공된 공간으로 형성되어 침전물의 흡수로 인한 흡수시트의 팽창시 표면시트와 하부시트가 접착된 주연부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하부시트(100)는 평량 18~27g/sqm의 부직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수시트(200)는 고흡수성 폴리머와 펄프가 혼합되어 침전물을 흡수하는 베이스시트(210);와, 티슈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시트를 감싸며 밀착되어 해당 베이스시트의 유출을 방지하는 덮개시트(22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시트(100)에 접착제를 도포시키지 않고 하부시트(100)와 표면시트(300)의 외주면에 열 접합을 실시하여 하부시트(100)와 흡수시트(200) 사이 영역에 중공된 공간을 더 형성시켜 더 많은 양의 침전물이 흡수되도록 하는 것에
평량 18~27g/sqm의 부직포인 하부시트(100)를 준비하는 하부시트준비단계(S100);와,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코팅층이 16~25㎛ 두께로 형성된 표면시트(300)를 준비하는 표면시트준비단계(S200);와,
파쇄된 펄프 48 중량%와, 고흡수성 폴리머 40 중량%와, 티슈 12 중량%로 흡수시트(200)를 형성하는 흡수시트형성단계(S300);와,
상기 하부시트(100)의 측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 한 후 135~180℃의 열을 가해 접착면을 형성시키는 접착면형성단계(S400);와,
상기 접착면의 중앙에 흡수시트를 부착한 상태에서 해당 접착면 주연부에 표면시트를 부착하여 흡수시트와 표면시트 사이 영역이 접착되지 않도록 하여 중공된 공간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접합단계(S500);와,
기설정된 기준에 따른 치수 및 흡수시트(200)의 흡수량을 검사하는 검사단계(S600);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표면시트준비단계(S200)는 표면시트(300)에 등배열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출공을 관통 천공시키는 천공단계(S210);가 더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인 미트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트패드는 포장 대상물과 직접적인 접촉시 해당 대상물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접촉되는 단면이 필름 코팅되어 해당 미트패드의 색상변형을 방지하여 미관상 청결을 유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필름이 코팅된 부위에 미세한 홈을 천공시켜 침전물의 원활한 침수를 유도한다.
표면시트와 흡수시트 사이 영역이 중공된 공간으로 형성됨으로써 침전물의 분산흡수를 유도함과 아울러 보다 많은 양의 침전물의 흡수를 가능하며 해당 공간이 침전물 흡수에 따른 흡수시트의 팽창 여유공간으로 제공되어 흡수시트가 과도하게 팽창되는 것을 최소화시킴과 더불어 표면시트와 하부시트의 탈락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위생성이 향상되도록 최적의 조합비로 형성된 흡수시트가 침전물을 빠르게 흡수하여 포장 대상물이 수용되거나 안치되는 포장용기 내부를 청결하게 하고 흡수 후 보수력이 뛰어나 가압 시에도 침전물이 흐르거나 배어 나오지 않아 이동 시에도 청결을 유지하고 장시간 동안 포장 대상물의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채소와 같은 포장 대상물에는 흡수목적 외 수분유지를 가능하게 하며, 위생적인 미트패드가 제공됨으로써 해당 미트패드를 사용함에 따른 포장 대상물의 추가적인 오염을 최소화하여 유독물질로 인한 질병에 대한 이용자의 신체를 미연에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미트패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시분해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트패드의 요부인 흡수패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미트패드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트패드 제조방법의 전체 공정도.
본 발명은 포장 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침전물을 흡수하여 해당 대상물의 신선도를 유지함과 아울러 포장용기의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향균 및 보습을 가능하게 하는 미트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표면시트(300); 흡수시트(200); 하부시트(100);로 구분 구성되고, 상기 표면시트(300)가 침전물의 분산흡수를 유도함과 아울러 보다 많은 양의 침전물의 흡수를 가능하도록 표면시트(300)와 흡수시트(200) 사이 영역이 중공된 공간으로 형성되어 해당 공간이 침전물 흡수에 따른 흡수시트의 팽창 여유공간으로 제공되어 흡수시트가 과도하게 팽창되는 것을 최소화시킴과 더불어 표면시트와 하부시트의 탈락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는 미트패드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도면에 따른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미트패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사시분해도 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트패드의 요부인 흡수패드의 사시도로써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미트패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 후 그의 제조방법에 대해 서술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미트패드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되어 열풍에 의해 해당 면이 접착성을 갖는 하부시트(100);와, 하부시트 중앙에 부착되는 사각형상의 흡수시트(200);와, 상기 하부시트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접착성이 없는 흡수시트와의 사이 영역이 중공 형성되되, 상부면이 연신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필름 으로 이루어지는 코팅층(310)이 형성되며 침전물을 분산 침수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배출공(320)이 관통 천공되는 표면시트(300);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시트와 흡수시트의 사이 영역에 중공된 공간이 형성되어 많은 양의 침전물을 흡수할 수 있고 침전물을 과도하게 흡수됨에 따른 흡수시트의 팽창시 표면시트와 하부시트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하부시트(100)는 평량 18~27g/sqm의 부직포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외곽으로 분산 침수되는 침전물의 흡수하여 해당 침전물이 포장용기의 외곽에 침전물의 고임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포장 용기의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하부시트(100)의 일측면, 즉 흡수시트(200)와 표면시트(300)가 겹쳐지는 상부면에 핫멜트(hot-melt)라는 접착제가 도포되는바, 핫멜트(hot-melt)는 고온에서 액상으로 피착제에 도포, 압착 후 수초 내에 냉각화되면서 접착력을 발휘하는 열 용융 접착제로 접착속도가 빨라 고속생산 및 인건비 절감을 유도하여 사용자의 경제적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시트는 내수성, 방수성이 뛰난 폴리에틸렌 부직포로 형성되어 포장용기 바닥으로 침전물이 배출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시트(100) 상에서 핫멜트가 도포된 상부면 중앙에 흡수시트(200)를 부착하되 해당 흡수시트가 부착된 중앙부위를 제외한 외주면에 표면시트(300)가 부착한다. 다시 말하자면, 흡수시트와 표면시트는 상호 간 부착되지 않아 중공된 공간이 형성되는바, 즉, 중공된 공간이 제공되는 만큼 보다 많은 양의 침전물의 흡수가 가능하며 침전물 흡수에 따른 흡수시트의 팽창시 해당 중공된 공간이 팽창의 여유공간으로 제공됨으로써 팽창에 따른 표면시트와 하부시트의 탈락을 방지한다.
상기 표면시트(300)는 필름층이 형성된 부직포, 즉 합지로 구성된다. 다시 말하자면, 포장 대상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이며 상부면은 연신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코팅층(310)이 형성되고 그에 대향된 면은 폴리에틸렌 부직포로 형성되어 위생적이며 유체불투과성 재질로 되어 미트패드를 사용시 추가적인 오염을 방지함과 더불어 침전물의 분산 흡수를 유도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코팅층(310)은 15~25㎛의 두께로 형성되며 해당 코팅층은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asting polypropylene)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나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필름으로 형성되어 포장 대상물로 인한 표면의 색상변형을 방지한다. 상기 폴리에틸렌 부직포는 내수성과 방수성이 뛰어나 지속적인 사용시에도 침전물로 인한 표면시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음에 외관상 청결함을 더욱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코팅층(310)은 향균처리 되어 위생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해당 코팅층과 대향된 면은 부직포로 형성되어 흡수시트에서 흡수된 침전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다시금 흡수 유도하고. 더불어 흡수시트의 내부유입물 등의 유출을 방지한다.
상기 표면시트(300)에는 침전물을 하방으로 배출하기 위해 해당 표면시트 전체적으로 원형의 배출공(320)이 관통 천공되며, 상기 배출공은 고온으로 천공시키는 열 롤러를 사용하여 등배열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포장 대상물에 따라 배출공의 직경이 상이할 수 있으며 그에 대응되게 열을 조절하는 조절 게이지 및 열 엠보 등의 기기장치를 구비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물을 흡수하는 흡수시트(200)만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흡수시트(200)는 고흡수성 폴리머와 펄프가 혼합되어 침전물을 흡수하는 베이스시트(210);와, 티슈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시트를 감싸며 밀착되어 해당 베이스시트 내부유입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덮개시트(220);로 구성되는바, 상기 베이스시트(210)는 고흡수성 폴리머(SAP)의 순간 흡수력을 통해 포장 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침전물을 빠르게 흡수하고 흡수에 따른 팽창으로 인한 흡수재 등의 외부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시트가 해당 베이스시트를 감싸며 형성된다. 즉, 상기 덮개시트(220)는 티슈로 형성되어 침전물의 흡수로 인해 팽창된 베이스시트(210)의 구성된 고흡수성 폴리머(SAP)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나노향균 등의 물질을 혼입시 식품 등과 같은 포장 대상물의 위생성을 향상시키고 유지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고 일회용으로 제품을 보관하는 냉장실에 사용하여 습기를 흡수함과 동시에 은(Ag)향균 물질을 주입하여 향균기능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채소와 같은 포장 대상물은 침전물 흡수목적 외 수분유지를 위해 해당 흡수시트에 일정한 수분을 가하여 수분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건조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포장 대상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 가능함으로써 효율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중복을 피하기 위해 특징된 부분만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시트(100)에 접착제를 도포시키지 않고 하부시트(100)와 표면시트(300)의 외주면에 열 접합을 실시하여 하부시트(100)와 흡수시트(200) 사이 영역에 중공된 공간을 더 형성시켜 더 많은 침전물이 흡수되도록 한다.
즉, 상기 하부시트(100)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고 하부시트(100); 흡수시트(200); 표면시트(300) 순으로 밀착시키고 외주면에만 열 접합하여 밀봉되도록 한다.
다시 말자하면, 상기 표면시트(300)와 하부시트(100)의 외주면만을 열 접합함에 따라 흡수시트는 어느 한쪽에도 부착되지 않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바, 즉 표면시트와 하부시트의 내부공간이 중공으로 형성되고 해당 공간에 개재되는 흡수시트(200)가 침전물의 흡수로 인해 팽창시 보다 확장된 공간이 제공되기에 어패류 또는 가금류 등과 같이 흡수 요구량이 많은 포장 대상물에 사용되어 해당 대상물의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미리 일정한 수분을 주입시켜 보습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인 미트패드의 제조방법에 대해 서술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미트패드의 제조방법은 평량 18~27g/sqm의 부직포인 하부시트(100)를 준비하는 하부시트준비단계(S100);와,
부직포에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코팅층이 16~25㎛ 두께로 형성된 표면시트(300)를 준비하는 표면시트준비단계(S200);와,
파쇄된 펄프 48 중량%와, 고흡수성 폴리머(Super Absorbent Polymers) 40 중량%와, 종이제 12 중량%로 흡수시트(200)를 형성하는 흡수시트형성단계(S300);와,
상기 하부시트(100)의 측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 한 후 135~180℃의 열을 가해 접착면을 형성시키는 접착면형성단계(S400);와,
상기 접착면의 중앙에 흡수시트를 부착한 상태에서 해당 접착면 주연부에 표면시트를 부착하여 흡수시트와 표면시트 사이 영역이 접착되지 않도록 하여 중공된 공간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접합단계(S500);와,
기설정된 기준에 따른 치수 및 흡수시트(200)의 흡수량을 검사하는 검사단계(S600);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 상기 하부시트준비단계(S100)은 평량 18~27g/sqm의 부직포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흡수시트에 흡수되지 않고 포장용기 외곽으로 고임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폴리에틸렌 부직포로 구성되어 내수성 및 방수성을 향상시켜 침전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표면시트준비단계(S200)는 부직포에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코팅층이 15~25㎛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기 부직포는 폴리에틸렌 부직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또한, 포장 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침전물이 흡수시트가 구성되는 하방으로 침수될 수 있도록 등배열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출공을 관통 천공시키는 천공단계(S210);가 더 실시된다.
상기 흡수시트단계(S300)는 미세하게 파쇄된 펄프 48 중량%와, 고흡수성 폴리머(Super Absorbent Polymers) 40 중량%, 종지제 12 중량%로 흡수시트(200)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흡수시트(200)는 베이스시트(210)와 덮개시트(220)로 구분된다. 즉, 흡수시트를 100 중량%의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시트(210)는 펄프 48 중량%와 고흡수성 폴리머(Super Absorbent Polymers) 40 중량%가 혼입되고 해당 베이스시트 내부 유입물의 유출방지 및 원활한 흡수를 유도하게끔 하기 위해 종이제로 이루어진 덮개시트(220)가 12 중량%로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시트에 나노향균 등의 물질을 주입시 향균 기능을 구현시킬 수 있으며, 사전에 수분을 주입시켜 채소 등과 같은 포장 대상물에는 보습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접착면형성단계(S400)는 하부시트에 해당하는 부직포에 핫멜트(Hot-melt) 접착제를 도포한 후 135~180℃의 열풍을 가하여 핫멜트(hot-melt)가 도포된 해당 면을 접착성을 갖도록 한다. 상기 핫멜트(Hot-melt) 접착제는 고온에서 액상으로 피착제에 도포, 압착 후 수초 내에 냉각화되면서 접착력을 발휘하는 열 용융 접착제로 접착속도가 빨라 고속생산 및 인건비 절감을 유도하여 사용자의 경제적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접합단계(S400)는 전술된 단계에서 접착면이 형성된 하부시트 중앙에 흡수시트를 부착한 상태에서 해당 접착면 외주면에 표면시트를 부착하여 흡수시트와 표면시트 사이 영역이 접착되지 않도록 하여 중공된 공간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표면시트와 하부시트 상호 간 부착되도록 함과 더불어 표면시트와 접착성이 없는 흡수시트 간의 공간을 형성시켜 침전물을 흡수에 따른 흡수시트의 팽창시 열 접착을 통한 외주면의 견고함으로 인해 분리 방지 및 해당 표면시트와 흡수시트 사이의 여유공간을 통해 오랜기간 동안 사용하여도 접합 부분의 분리 등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핫멜트를 사용하지 않고 표면시트(300)와 하부시트(100)가 상호 간 겹쳐진 상태에서 주연부만을 열 접합시킴으로써 흡수시트(200)가 위치하는 내부영역에 해당하는 중공된 공간을 확장시켜 흡수량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검사단계(S500)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크기 및 흡수시트(200)의 흡수량을 확인하는 단계로서, 본 발명인 미트패드는 포장 대상물에 따라 그 크기가 변화될 수 있음으로써 용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지 눈으로 식별하거나 흡수시트에 증류수를 주입시켜 흡수량을 검사하는 방법 등을 실시하여 보다 정확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불량률을 감소시켜 이용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미트패드는 식품에 사용되기에 그에 따른 안전성을 위한 유독물질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공전 방법을 실시하였다.
부직포에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코팅층 16~25㎛의 두께로 형성된 표면시트에 대한 유독물질 검출 여부를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시험항목 단위 기준치 시험결과
용출 납(Pd) mg/L 1 이하 불검출
용출 과망간산칼륨소비량 mg/L 10 이하 1
용출 증발잔류물 4 % 초산 mg/L 30 이하 12
용출 증발잔류물 물 mg/L 30 이하 6
용출 증발잔류물 n-헵탄 mg/L 150 이하 15
용출 증발잔류물 50 % 에탄올 mg/L 30 이하 10
용출 1-헥센 4 % 초산 mg/L 3 이하 불검출
용출 1-헥센 물 mg/L 3 이하 불검출
용출 1-헥센 n헵탄 mg/L 3 이하 불검출
용출 1-헥센 50 % 에탄올 mg/L 3 이하 불검출
용출 1-옥텐 4 % 초산 mg/L 15 이하 불검출
용출 1-옥텐 물 mg/L 15 이하 불검출
용출 1-옥텐 n-헵탄 mg/L 15 이하 불검출
용출 1-옥텐 50 % 에탄올 mg/L 15 이하 불검출
평량 18~27g/sqm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하부시트에 대한 유독물질 검출 여부를 평가한 결과는 표2와 같았다.
시험항목 단위 기준치 시험결과
용출 납(Pd) mg/L 1 이하 불검출
용출 과망간산칼륨소비량 mg/L 10 이하 1
용출 증발잔류물 4 % 초산 mg/L 30 이하 14
용출 증발잔류물 물 mg/L 30 이하 6
용출 증발잔류물 n-헵탄 mg/L 150 이하 17
용출 증발잔류물 50 % 에탄올 mg/L 30 이하 13
용출 1-헥센 4 % 초산 mg/L 3 이하 불검출
용출 1-헥센 물 mg/L 3 이하 불검출
용출 1-헥센 n헵탄 mg/L 3 이하 불검출
용출 1-헥센 50 % 에탄올 mg/L 3 이하 불검출
용출 1-옥텐 4 % 초산 mg/L 15 이하 불검출
용출 1-옥텐 물 mg/L 15 이하 불검출
용출 1-옥텐 n-헵탄 mg/L 15 이하 불검출
용출 1-옥텐 50 % 에탄올 mg/L 15 이하 불검출
베이스시트에 혼입된 펄프에 대한 유독물질 검출 여부를 평가한 결과는 표 3과 같았다.
시험항목 단위 기준치 시험결과
용출 납(Pb) mg/L 1 이하 불검출
용출 비소(As₂O₃로서) mg/L 0.1 이하 불검출
용출 포름알데히드 mg/L 4 이하 불검출
용출 형광증백제 - 불검출 검출안됨
종이제로 이루어지는 덮개시트에 대한 유독물질 검출 여부를 평가한 결과는 표 4와 같았다.
시험항목 단위 시험결과
용출 납(Pb) mg/L 불검출
용출 비소(As₂O₃로서) mg/L 불검출
용출 포름알데히드 mg/L 불검출
용출 형광증백제 - 검출 안됨
상기 표 1의 표면시트에 대한 유독물질 검출결과를 살펴보면, 기준치 10 이하로 검출되어야하는 과망간산칼륨소비량이 1로 검출되었고, 기준치 30 이하로 검출되어야하는 증발잔류물 4 % 초산이 12로 검출되었고, 기준치 30 이하로 검출되어야하는 증발잔류물 물이 6으로 검출되었고, 기준치 150 이하로 검출되어야 하는 증발잔류물 n-헵탄이 15로 검출되었고, 기준치 30 이하로 검출되어야 하는 증발잔류물 50% 에탄올이 10으로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용자의 신체를 위협할 수 있는 유독물질 등이 일정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어 16~25㎛의 두께로 연신 폴리프로필렌 코팅층이 형성되었을 때 유독물질이 검출 수치가 최소화됨으로써 해당 코팅층의 두께가 위생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상기 표 2의 하부시트에 대한 유독물질 검출결과를 살펴보면, 기준치 10 이하로 검출되어야하는 과망간산칼륨소비량이 1로 검출되었고, 기준치 30 이하로 검출되어야하는 증발잔류물 4 % 초산이 14로 검출되었고, 기준치 30 이하로 검출되어야하는 증발잔류물 물이 6으로 검출되었고, 기준치 150 이하로 검출되어야 하는 증발잔류물 n-헵탄이 17로 검출되었고, 기준치 30 이하로 검출되어야 하는 증발잔류물 50% 에탄올이 13으로 검출되어 이용자의 신체를 위협할 수 있는 유독물질 등이 일정 기준치 이하로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평량 18~27g/sqm의 부직포로 이루어졌을 때 유독물질의 검출 수치가 최소화됨으로써 위생성이 향상되고 추가적인 오염의 위험수치가 감소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상기 표 3의 펄프에 대한 유독물질 검출결과를 살펴보면, 검사항목의 모든 유독물질이 불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베이스시트를 제조시 48 중량%로 펄프를 혼합하여야 위생성 높은 흡수시트가 제조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상기 표 4의 종이제에 대한 유독물질 검출결과를 살펴보면, 검사항목의 모든 유독물질이 불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흡수시트를 100 중량%로 제조시 종이제로 이루어진 덮개시트가 12 중량%로 이루어짐으로써 위생성 높은 흡수시트가 제조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미트패드는 보다 위생적이며, 미트패드를 사용함에 따른 포장 대상물의 오염을 방지하여 이용자들의 신체를 보호한다. 또한, 많은 침전물을 흡수할 수 있어 오랜기간 동안 사용가능하여 포장 대상물을 장시간 동안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최적의 조합비로 이루어지는 제조방법을 통해 위생성이 향상되는 높은 질의 미트패드를 제조하여 이용자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만족감 또한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임을 주지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하부시트 200 : 흡수시트
210 : 베이스시트 220 : 덮개시트
300 : 표면시트 310 : 코팅층
320 : 배출공 S100 : 하부시트단계
S200 : 표면시트단계 S210 : 천공단계
S300 : 흡수시트형성단계 S400 : 접착면형성단계
S500 : 접합단계 S600 : 검사단계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되어 열풍에 의해 해당 면이 접착성을 갖는 하부시트(100);와, 하부시트 중앙에 부착되는 사각형상의 흡수시트(200);와, 상기 하부시트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접착성이 없는 흡수시트와의 사이 영역이 중공 형성되되, 상부면이 연신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코팅층(310)이 형성되며 침전물을 분산 침수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배출공(320)이 관통 천공되는 표면시트(300);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시트(300)와 흡수시트(200)의 사이 영역에 중공된 공간이 형성되어 침전물을 흡수할 수 있고 침전물을 과도하게 흡수함에 따른 표면시트와 하부시트의 탈락을 방지하는 미트패드에 있어서,
    상기 흡수시트(200)는 고흡수성 폴리머(Super Absorbent Polymers)와 펄프가 혼합되어 침전물을 흡수하는 베이스시트(210);와, 종이제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시트를 감싸며 밀착되어 해당 베이스시트 내부물질의 유출을 방지하는 덮개시트(220);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미트패드.
  4. 삭제
  5. 삭제
  6. 평량 18~27g/sqm의 부직포인 하부시트(100)를 준비하는 하부시트준비단계(S100);와,
    부직포에 연신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필름 코팅층이 16~25㎛ 두께로 형성된 표면시트(300)를 준비하는 표면시트준비단계(S200);와,
    파쇄된 펄프 48 중량%와, 고흡수성 폴리머(Super Absorbent Polymers) 40 중량%와, 종이제 12 중량%로 흡수시트(200)를 형성하는 흡수시트형성단계(S300);와,
    상기 하부시트(100)의 측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 한 후 135~180℃의 열을 가해 접착면을 형성시키는 접착면형성단계(S400);와,
    상기 접착면의 중앙에 흡수시트를 부착한 상태에서 해당 접착면 주연부에 표면시트를 부착하여 흡수시트와 표면시트 사이 영역이 접착되지 않도록 하여 중공된 공간을 형성하는 접합단계(S500);와,
    기설정된 기준에 따른 치수 및 흡수시트(200)의 흡수량을 검사하는 검사단계(S600);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미트패드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시트준비단계(S200)는 표면시트(300)에 등배열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출공(310)을 관통 천공시키는 천공단계(S210);가 더 포함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미트패드 제조방법.
KR20140062563A 2014-05-23 2014-05-23 미트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84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2563A KR101484275B1 (ko) 2014-05-23 2014-05-23 미트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2563A KR101484275B1 (ko) 2014-05-23 2014-05-23 미트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4275B1 true KR101484275B1 (ko) 2015-02-12

Family

ID=52593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62563A KR101484275B1 (ko) 2014-05-23 2014-05-23 미트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2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767B1 (ko) 2019-12-10 2020-07-20 허광진 생분해성 식품용 흡수 패드
CN111452466A (zh) * 2020-04-15 2020-07-28 内蒙古农业大学 一种用于肉品保鲜的单向输水抑菌垫及其制备方法
KR20230070748A (ko) 2021-11-15 2023-05-23 주식회사 천지건업 육류, 생선류 또는 채소류의 핏물 또는 물기 흡수 및 신선도 유지를 위한 항균흡수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4653A (ja) * 2006-08-18 2008-02-28 Kinsei Seishi Kk 食品用複合吸水マット
KR20120005606U (ko) * 2011-01-27 2012-08-06 이연수 미트패드가 부착된 트레이형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4653A (ja) * 2006-08-18 2008-02-28 Kinsei Seishi Kk 食品用複合吸水マット
KR20120005606U (ko) * 2011-01-27 2012-08-06 이연수 미트패드가 부착된 트레이형 포장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767B1 (ko) 2019-12-10 2020-07-20 허광진 생분해성 식품용 흡수 패드
CN111452466A (zh) * 2020-04-15 2020-07-28 内蒙古农业大学 一种用于肉品保鲜的单向输水抑菌垫及其制备方法
KR20230070748A (ko) 2021-11-15 2023-05-23 주식회사 천지건업 육류, 생선류 또는 채소류의 핏물 또는 물기 흡수 및 신선도 유지를 위한 항균흡수포 및 그 제조방법
KR102616643B1 (ko) 2021-11-15 2023-12-21 주식회사 천지건업 육류, 생선류 또는 채소류의 핏물 또는 물기 흡수 및 신선도 유지를 위한 항균흡수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6591B2 (ja) 傷用包帯、その製造方法および活用方法
US4994053A (en) Composite article having discrete particulate areas formed therein
US4715918A (en) Method for forming discrete particulate areas in a composite article
CA2614283C (en) Absorbent insert for foodstuff packaging
AU761699B2 (en) Process for making a breathable absorbent article
TW583089B (en) Processing substrate and/or support surfa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RU2597557C1 (ru) Одноразовое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элементом с покрытием и относящиеся к нему способы
DE60222970T2 (de) Verpackung mit absorbierendem Polster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KR101484275B1 (ko) 미트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
US7026034B2 (en) Processing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020030279A (ko) 흡수성 및 내절단성 다목적 시트재
US7022395B2 (en) Disposable cutting sheet
US6991844B2 (en) Disposable cutting sheet
US20030064194A1 (en) Multi-purpose absorbent and cut-resistant sheet materials
AU2002313661A1 (en) Multi-purpose absorbent and cut-resistant sheet materials
EP2732697A1 (en) Absorbent sheet
US7063880B2 (en) Sheet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7056569B2 (en) Disposable cutting sheet
US20040154729A1 (en) Method of producing a processing substrate
US6979485B2 (en) Processing substrate and/or support surface
EP1946734A1 (en) Topsheet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7063879B2 (en) Disposable cutting sheet
JPH07314613A (ja) 吸水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水性シートを用いた鮮度保持方法
KR100751901B1 (ko) 식품유체 흡수용 흡수패드
US20170056255A1 (en) Absorbent article with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