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182B1 -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182B1
KR101484182B1 KR20140096827A KR20140096827A KR101484182B1 KR 101484182 B1 KR101484182 B1 KR 101484182B1 KR 20140096827 A KR20140096827 A KR 20140096827A KR 20140096827 A KR20140096827 A KR 20140096827A KR 101484182 B1 KR101484182 B1 KR 101484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speaker unit
earphone
earti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6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범
정창현
김태연
지영식
안장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니모드
안재범
정창현
김태연
지영식
안장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니모드, 안재범, 정창현, 김태연, 지영식, 안장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니모드
Priority to KR20140096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은, 오디오 출력을 위한 회로 및 출력장치가 내장되는 외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의 끝단에서 연장되며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의 스피커용 유닛; 및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일측 방향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위치가 가변되면 외경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동시에 이어커널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거치되는 거치수단을 구비하는 이어커널착용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어폰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어커널에 따라 이어커널착용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동불량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 EARPHONE FOR EAR CANAL ADAPTATION }
본 발명은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어폰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어커널에 따라 이어커널착용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동불량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휴대용 음향 플레이어 및 MP3와 같은 휴대용 오디오장치에서 제공되는 음악 청취기능이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용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제공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귀 가까이에서 직접적으로 음향을 전달할 수 있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이어폰의 오디오 퀄리티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종래 이어폰의 오디오 퀄리티를 높이기 위한 기술로서 음향을 보다 가까이에서 청취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이어커널 내부에 이어커널착용부를 삽입하여 이어커널 내면과 접촉하며 끼워지게 하는 기술이 있었다.
그러나, 이어커널착용부를 직접적으로 이어커널 내부에 삽입할 경우에 이어커널 내부로 삽입되는 부위가 딱딱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게 되면 장시간 사용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어커널 착용부가 대부분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자마다 다른 이어커널의 크기로 인해 이어커널 내부의 접촉하는 지점에 빈틈이 생겨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을 방지하기 어려워 오디오 퀄리티가 저하되고 도보와 같이 운동을 하는 환경에 처할 경우에 이어폰이 빈번하게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긴 위한 종래기술로서, 공기에 의해 형상이 가변되는 튜브로 착용부를 형성하고 착용부의 후면에서 외력을 받는 펌핑버튼을 이용하여 공기를 압축조절함으로써 변형튜브의 크기를 사용자의 귀의 크기에 따라 조절하는 기술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펌핑버튼으로 공기를 압축조절하여 변형튜브의 크기를 조절하는 기술은, 공기를 이용하여 크기가 조절되기 때문에 착용후 일정 시간이 흐를경우에 변형튜브가 쪼그라들어 이어폰이 쉽게 사용자의 귀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펌핑버튼을 이용하기 때문에 장시간 반복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작동불량이 발생하거나 일정한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파손이 되고 내부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오디오 퀄리티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랜시간 착용하더라도 이어폰이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작동불량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도 활용도가 높은 기술이 절실히 필요하다.
등록특허공보 KR 10-1261625호(공고일 2013.05.06.)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어폰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어커널에 따라 이어커널착용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동불량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은, 오디오 출력을 위한 회로 및 출력장치가 내장되는 외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의 끝단에서 연장되며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의 스피커용 유닛; 및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일측 방향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위치가 가변되면 외경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동시에 이어커널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거치되는 거치수단을 구비하는 이어커널착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커널착용부는,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일측 끝단 둘레를 감싸도록 내측 중심부에 원통형상의 중공부를 구비하며 이어커널의 내측으로 접촉하며 삽입되는 이어팁; 및 상기 이어팁의 중공부 외측에 형성된 수용공간으로 일측 끝단이 삽입되어 상기 이어팁을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경우에 상기 이어팁의 외경크기를 조절하면서 일측 끝단이 이어커널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거치되는 이어커널거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어팁의 중공부 외측에 형성된 수용공간은,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어커널거치부의 일측 끝단이 삽입되는 선단의 단면이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어커널 내측방향으로 갈 수록 외경이 축소되게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어커널거치부는,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이동하여 일측이 상기 이어팁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이어팁의 외경을 확대시키는 원통형상의 이어팁삽입부, 및 상기 스피커용 유닛이 관통하는 중심홀을 구비한 채 상기 이어팁삽입부의 타측으로 결합하고, 상기 이어팁삽입부를 스피커용 유닛의 둘레를 따라 회전시키면서 상기 이어팁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무빙데코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이어팁삽입부는 러버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무빙데코부는 일정한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이어팁삽입부가 이어커널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거치되면서도 착용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무빙데코부는, 파지가 가능하도록 공기중에 노출되며 외부하우징의 끝단에 결합되는 스피커용 유닛의 타측 끝단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상의 이어팁삽입부는, 일측면의 직경이 타측면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원통형상의 이어팁삽입부와 무빙데코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회전하며 동시에 이동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합성수지재질의 무빙데코부를 사출금형에 넣고 러버재질의 몰딩물질로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이어팁삽입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길이방향 둘레에 제 1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무빙데코부의 중심홀의 내측으로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 1 나사부에 대응되는 제 2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무빙데코부가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나사결합으로 회전하며 직진 이동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이어팁삽입부와 무빙데코부는, 상호간에 서로 분리되는 분리형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무빙데코부가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둘레에서 제자리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이어팁삽입부가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상대회전하며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어팁삽입부의 타측으로 제 3 나사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무빙데코부의 중심홀의 내측으로 상기 이어팁삽입부의 타측 둘레에 형성되는 제 3 나사부에 대응되는 제 4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어팁삽입부가 상기 무빙데코부와 상호간에 서로 나사결합으로 상대회전하며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은, 스피커용 유닛의 일측 끝단으로 끼움홈이 형성되고, 이어커널착용부의 이어팁 중공부 내측으로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어팁은, 상기 이어커널거치부의 위치가 가변되는 경우에 외경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어폰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어커널 크기에 따라 이어커널 내부로 삽입되는 이어커널착용부의 이어팁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오디오 퀄리티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이어커널에서 이어폰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커널착용부를 구성하며 이어커널 내부로 삽입되는 이어팁의 재질을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러버재질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을 개선시킬 수 있어 장시가 사용하더라도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커널 내부로 삽입되는 이어팁을 내측에서 지지하고 가변되는 위치에 따라 이어팁의 외경 크기를 조절하면서 일측 끝단이 이어커널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거치되는 이어커널거치부를 구비하여 오랜시간 착용하더라도 이어폰이 이어커널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팁에 삽입되어 이어팁의 외경을 확대시키는 이어팁삽입부를 러버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이어팁삽입부의 끝단이 이어커널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지지하는 무빙데코부를 일정한 강도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함으로써 이어팁을 내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강도를 만족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착용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의 외부하우징 끝단에 결합되어 이어커널거치부를 관통하여 지지하면서 동시에 오디오가 출력되게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며 원통형상을 갖는 스피커용 유닛을 구비하여 오디오의 퀄리티를 높이기 위한 일정한 길이의 울림통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이어팁삽입부의 위치를 가변시켜 이어팁의 외경크기를 조절하는 무빙데코부를 나사결합구조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 반복사용하더라도 손쉽게 작동불량이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어팁삽입부와 일체형 구조 또는 분리형 구조로 결합되어 스피커용 유닛의 둘레에 형성되는 무빙데코부를 이어팁삽입부를 직진이동시키는 경우에 파지가 가능하게 공기중에 노출시키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이어폰의 외부 디자인을 다양하게 꾸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이어폰을 구성하는 이어커널착용부와 외부하우징의 내부구성을 간단히 하고 이어팁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기계적 결합관계를 단순화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의 분해조립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의 외경이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의 분해조립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의 외경이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은 사용자의 이어커널이 넓고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이어커널착용부(10,20)의 외경을 넓게 하여 이어커널로부터 이어폰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의 이어커널이 좁고 이어커널로부터 이탈 가능성이 적을 경우에는 이어커널착용부(10,20)의 외경을 작게 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은 이어커널착용부(10,20)의 외경을 넓게 하거나 작게 하는 경우에 이어커널착용부(10,20)의 내측으로 이어커널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거치되는 거치수단을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이어커널착용부(10,20)의 외경 크기에만 의존하던 종래의 펌핑버튼방식 기술에 비해 안정적으로 이어커널 내부에 착용될 수 있으면서 착용감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은, 외부하우징(1), 스피커용 유닛(2), 및 이어커널착용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어커널착용부(10)는 이어폰의 외부하우징(1)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의 일측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어 사용자의 이어커널 크기에 맞게 가변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외부하우징(1)은 오디오 출력을 위한 회로 및 출력장치가 내장될 수 있고,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은 후술하는 도 2에서와 같이,상기 외부하우징(1)의 끝단에서 연장되며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오디오 출력을 위한 울림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커널착용부(10)는,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의 일측 방향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위치가 가변되면 외경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동시에 이어커널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거치되는 거치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의 분해조립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커널착용부(10)는, 이어팁(11) 및 이어커널거치부(10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어팁(11)은, 스피커용 유닛(2)의 일측 끝단 둘레를 감싸도록 내측 중심부에 원통형상의 중공부(12)를 구비하며 이어커널의 내측으로 접촉하며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이어커널거치부(100)의 위치가 가변되는 경우에 외경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용 유닛(2)의 일측 끝단으로 끼움홈(5)이 형성되고, 이어커널착용부(10)의 이어팁 중공부(12) 내측으로 상기 끼움홈(5)에 대응되는 끼움돌기(14)가 형성되어 외부하우징(1)의 끝단에서 연장된 스피커용 유닛(2)과 이어팁(11)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어커널거치부(100)는, 상기 이어팁(11)의 중공부(12) 외측에 형성된 수용공간(13)으로 일측 끝단이 삽입되어 상기 이어팁(11)을 상기 수용공간(13)의 내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어커널거치부(100)가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의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경우에 상기 이어팁(11)의 외경크기를 조절하면서 일측 끝단이 이어커널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어팁(11)의 중공부(12) 외측에 형성된 수용공간(13)은,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어커널거치부(100)의 일측 끝단이 선단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용공간(13) 선단의 단면이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어팁(11)의 수용공간(13)은, 이어커널 내측방향으로 갈 수록 외경이 축소되게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이어커널거치부(100)는, 이어팁삽입부(110)와 무빙데코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이어팁삽입부(110)와 무빙데코부(12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어팁삽입부(110)는,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이동하여 일측이 상기 이어팁(1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이어팁(11)의 외경을 확대시키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형상의 이어팁삽입부(110)는, 일측면의 직경이 타측면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팁(11)과 전체적으로 마주보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빙데코부(120)는,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이 관통하는 중심홀을 구비한 채 상기 이어팁삽입부(110)의 타측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파지가 가능하도록 공기중에 노출되는 부위가 외부하우징(1)의 끝단에 결합되는 스피커용 유닛(2)의 타측 끝단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빙데코부(120)의 공기중에 노출되는 부위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링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제조시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도록 무빙데코부(120)의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무빙데코부(120)는, 상기 이어팁삽입부(110)를 스피커용 유닛(2)의 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이어팁(11)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이어팁삽입부(110)는 러버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무빙데코부(120)는 일정한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이어팁삽입부(110)가 이어커널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거치되면서도 착용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형상의 이어팁삽입부(110)와 무빙데코부(1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회전하며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형상의 이어팁삽입부(110)와 무빙데코부(12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질의 무빙데코부(120)를 사출금형에 넣고 러버재질의 몰딩물질로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이어팁삽입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상의 이어팁삽입부(110)와 무빙데코부(12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의 길이방향 둘레에 제 1 나사부(3)가 형성되고, 상기 무빙데코부(120)의 중심홀의 내측으로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 1 나사부(3)에 대응되는 제 2 나사부(4)가 형성되어, 상기 무빙데코부(120)가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나사결합으로 회전하며 직진 이동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의 외경이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은, 무빙데코부(120)를 스피커용 유닛(2)의 둘레를 따라 이어커널 측 길이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이어팁삽입부(110)가 이어팁(11)의 수용공간(13) 내측을 지지하면서 이어커널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어팁(11)의 외경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은, 무빙데코부(120)를 스피커용 유닛(2)의 둘레를 따라 이어커널의 반대측 길이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이어팁삽입부(110)가 이어팁(11)의 수용공간(13) 내측을 지지하면서 이어커널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어팁(11)의 외경을 축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은, 무빙데코부(120)와 이어폰삽입부(110)를 포함하는 이어폰거치부(100)를 이용하여 이어팁(11)의 외경 크기를 조절하면서 안정적으로 이어커널 내부에 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이어커널 내부에서 이이커널착용부(10)가 손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디오의 퀄리티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은, 외부하우징(1), 스피커용 유닛(2), 및 이어커널착용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어커널착용부(20)는 이어폰의 외부하우징(1)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의 일측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어 사용자의 이어커널 크기에 맞게 가변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하우징(1) 및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은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여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후술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커널착용부(20)는,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의 일측 방향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위치가 가변되면 외경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동시에 이어커널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거치되는 거치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의 분해조립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커널착용부(20)는, 이어팁(21) 및 이어커널거치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어팁(21)은, 스피커용 유닛(2)의 일측 끝단 둘레를 감싸도록 내측 중심부에 원통형상의 중공부(22)를 구비하며 이어커널의 내측으로 접촉하며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이어커널거치부(200)의 위치가 가변되는 경우에 외경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용 유닛(2)의 일측 끝단으로 끼움홈(5)이 형성되고, 이어커널착용부(20)의 이어팁 중공부(22) 내측으로 상기 끼움홈(5)에 대응되는 끼움돌기(24)가 형성되어 외부하우징(1)의 끝단에서 연장된 스피커용 유닛(2)과 이어팁(21)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어커널거치부(200)는, 상기 이어팁(21)의 중공부(22) 외측에 형성된 수용공간(23)으로 일측 끝단이 삽입되어 상기 이어팁(21)을 상기 수용공간(13)의 내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어커널거치부(200)가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의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경우에 상기 이어팁(21)의 외경크기를 조절하면서 일측 끝단이 이어커널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어팁(21)의 중공부(22) 외측에 형성된 수용공간(23)은,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어커널거치부(200)의 일측 끝단이 선단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용공간(23) 선단의 단면이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어팁(21)의 수용공간(23)은, 이어커널 내측방향으로 갈 수록 외경이 축소되게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이어커널거치부(200)는, 이어팁삽입부(210)와 무빙데코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이어팁삽입부(210)와 무빙데코부(22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어팁삽입부(210)는,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이동하여 일측이 상기 이어팁(2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이어팁(21)의 외경을 확대시키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형상의 이어팁삽입부(210)는, 일측면의 직경이 타측면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팁(21)과 전체적으로 마주보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빙데코부(220)는,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이 관통하는 중심홀을 구비한 채 상기 이어팁삽입부(210)의 타측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파지가 가능하도록 공기중에 노출되는 부위가 외부하우징(1)의 끝단에 결합되는 스피커용 유닛(2)의 타측 끝단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빙데코부(220)의 공기중에 노출되는 부위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링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제조시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도록 무빙데코부(220)의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무빙데코부(220)는, 상기 이어팁삽입부(210)를 스피커용 유닛(2)의 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이어팁(21)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이어팁삽입부(210)는 러버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무빙데코부(220)는 일정한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이어팁삽입부(210)가 이어커널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거치되면서도 착용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형상의 이어팁삽입부(210)와 무빙데코부(220)는, 상호간에 서로 분리되는 분리형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무빙데코부(220)가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의 둘레에서 제자리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이어팁삽입부(210)가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상대회전하며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상의 이어팁삽입부(210)와 무빙데코부(220)를 분리형 구조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팁삽입부(210)의 타측으로 제 3 나사부(211)가 상기 이어팁삽입부(210)의 일측면에 비해 단차구조를 가지며 연장형성되고, 상기 무빙데코부(220)의 중심홀의 내측으로 상기 이어팁삽입부(210)의 타측 둘레에 형성되는 제 3 나사부(211)에 대응되는 제 4 나사부(221)가 단차구조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차구조로 각각 형성되는 제 3 나사부(211) 및 제 4 나사부(221)에 의하여 상기 이어팁삽입부(210)가 상기 무빙데코부(220)와 상호간에 서로 나사결합으로 상대회전하며 상기 스피커용 유닛(2)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의 외경이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은, 무빙데코부(220)를 스피커용 유닛(2)의 둘레를 따라 이어커널 측 길이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이어팁삽입부(210)가 이어팁(21)의 수용공간(23) 내측을 지지하면서 이어커널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어팁(21)의 외경을 확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빙데코부(220)의 중심홀 내측에 형성된 제 4 나사부(221)와 상기 이어팁삽입부(210)의 타측에 연장형성된 제 3 나사부(211)가 서로 나사결합하며 상대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무빙데코부(220)는 제자리 회전을 하고 상기 이어팁삽입부(210)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은, 이어커널거치부(200)가 분리형 구조로 형성되어,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일정한 강도를 갖는 무빙데코부(220)가 제자리 회전을 하고 러버재질로 형성되는 이어팁삽입부(210)만 이어커널 내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어커널거치부(2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구조에 비하여 무빙데코부(220)가 이어커널과 접촉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착용감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은, 무빙데코부(120)를 스피커용 유닛(2)의 둘레를 따라 이어커널의 반대측 길이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이어팁삽입부(210)가 이어팁(21)의 수용공간(23) 내측을 지지하면서 이어커널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어팁(21)의 외경을 축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은, 무빙데코부(220)와 이어폰삽입부(210)를 분리형 구조로 결합하여 포함하는 이어폰거치부(200)를 이용하여 이어팁(21)의 외경 크기를 조절하면서 안정적으로 이어커널 내부에 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이어커널 내부에서 이이커널착용부(20)가 손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디오의 퀄리티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이어폰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어커널 크기에 따라 이어커널 내부로 삽입되는 이어커널착용부의 이어팁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오디오 퀄리티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이어커널에서 이어폰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커널착용부를 구성하며 이어커널 내부로 삽입되는 이어팁의 재질을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러버재질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을 개선시킬 수 있어 장시가 사용하더라도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커널 내부로 삽입되는 이어팁을 내측에서 지지하고 가변되는 위치에 따라 이어팁의 외경 크기를 조절하면서 일측 끝단이 이어커널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거치되는 이어커널거치부를 구비하여 오랜시간 착용하더라도 이어폰이 이어커널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팁에 삽입되어 이어팁의 외경을 확대시키는 이어팁삽입부를 러버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이어팁삽입부의 끝단이 이어커널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지지하는 무빙데코부를 일정한 강도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함으로써 이어팁을 내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강도를 만족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착용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의 외부하우징 끝단에 결합되어 이어커널거치부를 관통하여 지지하면서 동시에 오디오가 출력되게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며 원통형상을 갖는 스피커용 유닛을 구비하여 오디오의 퀄리티를 높이기 위한 일정한 길이의 울림통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이어팁삽입부의 위치를 가변시켜 이어팁의 외경크기를 조절하는 무빙데코부를 나사결합구조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 반복사용하더라도 손쉽게 작동불량이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어팁삽입부와 일체형 구조 또는 분리형 구조로 결합되어 스피커용 유닛의 둘레에 형성되는 무빙데코부를 이어팁삽입부를 직진이동시키는 경우에 파지가 가능하게 공기중에 노출시키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이어폰의 외부 디자인을 다양하게 꾸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이어폰을 구성하는 이어커널착용부와 외부하우징의 내부구성을 간단히 하고 이어팁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기계적 결합관계를 단순화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외부하우징 2 : 스피커용 유닛
3 : 제 1 나사부 4 : 제 2 나사부
5 : 끼움홈 10 ,20 : 이어커널착용부
11 ,21 : 이어팁 12 ,22 : 중공부
13 ,23 : 수용공간 14 : 끼움돌기
100,200: 이어커널거치부 110,210: 이어팁삽입부
211 : 제 3 나사부 120,220 : 무빙데코부
221 : 제 4 나사부

Claims (14)

  1. 오디오 출력을 위한 회로 및 출력장치가 내장되는 외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의 끝단에서 연장되며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의 스피커용 유닛; 및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일측 방향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위치가 가변되면 외경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동시에 이어커널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거치되는 거치수단을 구비하는 이어커널착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어커널착용부는,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일측 끝단 둘레를 감싸도록 내측 중심부에 원통형상의 중공부를 구비하며 이어커널의 내측으로 접촉하며 삽입되는 이어팁; 및 상기 이어팁의 중공부 외측에 형성된 수용공간으로 일측 끝단이 삽입되어 상기 이어팁을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경우에 상기 이어팁의 외경크기를 조절하면서 일측 끝단이 이어커널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거치되는 이어커널거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어커널거치부는,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이동하여 일측이 상기 이어팁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이어팁의 외경을 확대시키는 원통형상의 이어팁삽입부, 및 상기 스피커용 유닛이 관통하는 중심홀을 구비한 채 상기 이어팁삽입부의 타측으로 결합하고, 상기 이어팁삽입부를 스피커용 유닛의 둘레를 따라 회전시키면서 상기 이어팁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무빙데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팁의 중공부 외측에 형성된 수용공간은,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어커널거치부의 일측 끝단이 삽입되는 선단의 단면이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어커널 내측방향으로 갈 수록 외경이 축소되게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팁삽입부는 러버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무빙데코부는 일정한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이어팁삽입부가 이어커널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거치되면서도 착용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데코부는,
    파지가 가능하도록 공기중에 노출되는 부위가 외부하우징의 끝단에 결합되는 스피커용 유닛의 타측 끝단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의 이어팁삽입부는,
    일측면의 직경이 타측면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의 이어팁삽입부와 무빙데코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회전하며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9. 제 8항에 있어서,
    합성수지재질의 무빙데코부를 사출금형에 넣고 러버재질의 몰딩물질로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이어팁삽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길이방향 둘레에 제 1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무빙데코부의 중심홀의 내측으로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 1 나사부에 대응되는 제 2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무빙데코부가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나사결합으로 회전하며 직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팁삽입부와 무빙데코부는,
    상호간에 서로 분리되는 분리형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무빙데코부가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둘레에서 제자리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이어팁삽입부가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상대회전하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팁삽입부의 타측으로 제 3 나사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무빙데코부의 중심홀의 내측으로 상기 이어팁삽입부의 타측 둘레에 형성되는 제 3 나사부에 대응되는 제 4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어팁삽입부가 상기 무빙데코부와 상호간에 서로 나사결합으로 상대회전하며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용 유닛의 일측 끝단으로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어커널착용부의 이어팁 중공부 내측으로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팁은,
    상기 이어커널거치부의 위치가 가변되는 경우에 외경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KR20140096827A 2014-07-29 2014-07-29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KR101484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6827A KR101484182B1 (ko) 2014-07-29 2014-07-29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6827A KR101484182B1 (ko) 2014-07-29 2014-07-29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4182B1 true KR101484182B1 (ko) 2015-01-20

Family

ID=52590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96827A KR101484182B1 (ko) 2014-07-29 2014-07-29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1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299A1 (ko) * 2022-01-28 2023-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회전 가능한 이어팁을 포함하는 이어폰
WO2023243830A1 (ko) * 2022-06-15 2023-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714B2 (ko) * 1984-10-03 1993-05-13 Toyota Motor Co Ltd
JPH0898290A (ja) * 1994-09-27 1996-04-12 Aiwa Co Ltd インナーイヤー型ヘッドホン
KR101102431B1 (ko) 2010-11-18 2012-01-09 차순범 이어폰
JP5031714B2 (ja) * 2008-11-25 2012-09-26 賢太 田中 イヤホン装置
KR101411380B1 (ko) * 2013-09-26 2014-06-25 김태연 이어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714B2 (ko) * 1984-10-03 1993-05-13 Toyota Motor Co Ltd
JPH0898290A (ja) * 1994-09-27 1996-04-12 Aiwa Co Ltd インナーイヤー型ヘッドホン
JP5031714B2 (ja) * 2008-11-25 2012-09-26 賢太 田中 イヤホン装置
KR101102431B1 (ko) 2010-11-18 2012-01-09 차순범 이어폰
KR101411380B1 (ko) * 2013-09-26 2014-06-25 김태연 이어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299A1 (ko) * 2022-01-28 2023-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회전 가능한 이어팁을 포함하는 이어폰
WO2023243830A1 (ko) * 2022-06-15 2023-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8099B2 (en) Ear tip with stabilizer
EP3082347B1 (en) In-ear headphones with retention members
KR101762142B1 (ko) 이어윙
KR101473474B1 (ko) 크기조절이 가능한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KR100955033B1 (ko)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EP3522560B1 (en) Earphone
US8270648B2 (en) Earpiece a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7889881B2 (en) Ear canal speaker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20130177193A1 (en) Earbud or in-ear headphone clip
US8059845B2 (en) In ear communications device and stabilizer
KR100878597B1 (ko) 이어폰
CN114830683A (zh) 带有耳挂和附加耳塞的听筒
JP6754075B2 (ja) イヤホン
KR101503327B1 (ko) 이어커널 적응형 가변 이어폰
KR101484182B1 (ko) 이어커널 적응형 이어폰
KR101535916B1 (ko) 음향필터가 설치된 이어피스 및 이어폰
JP6544671B1 (ja) イヤホン
CN210431786U (zh) 耳撑及耳机
KR102020330B1 (ko) 이어폰 어셈블리
WO2019234940A1 (ja) イヤホン
JP6863687B2 (ja) イヤホン
CN212231716U (zh) 一种耳机
US11234083B2 (en) Flexible adaptive hearing aid
JP2010273136A (ja) イヤホン
KR20060034000A (ko)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