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019B1 -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019B1
KR101484019B1 KR20140049220A KR20140049220A KR101484019B1 KR 101484019 B1 KR101484019 B1 KR 101484019B1 KR 20140049220 A KR20140049220 A KR 20140049220A KR 20140049220 A KR20140049220 A KR 20140049220A KR 101484019 B1 KR101484019 B1 KR 101484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blind
plate
reflection plat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9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석호
Original Assignee
현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석호 filed Critical 현석호
Priority to KR20140049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019B1/ko
Priority to PCT/KR2015/003556 priority patent/WO201516361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60Solar heat collectors integrated in fixed constructions, e.g. in buildings
    • F24S20/61Passive solar heat collectors, e.g. operated without external energy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일측은 태양광을 집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타측은 태양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계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를 가지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창문이나 문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110)와. 고정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복수의 블라이드판(120)을 연동시키면서 접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블라이드판 구동부(130)로 이루어진 블라인드에 있어서, 블라이드판(120)은 반사판(121)과, 반사판(121)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제 1 방열부(122)와, 반사판(121)과 제 1 방열부(122) 사이에 마련되는 제 2 방열부(123)와, 제 1 방열부(122)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집열부(124)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저렴하면서 간단한 설치로 난방시 태양광을 집열시켜 실내의 공기를 따뜻하게 데워줌으로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Blind with solar colleting function}
본 발명은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라인드의 일측은 태양광을 집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타측은 태양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계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를 가지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근래 화석연료에 의한 자원고갈 및 환경오염의 문제로 인해 건물 난방을 위한 대체에너지원으로서 태양에너지가 부각되고 있다. 상기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난방장치를 예로 들면, 태양열 집열판에 흡수된 복사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한 후 상기 가열된 온수를 난방이 필요한 곳에 공급하여 난방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이 있으며 태양열로 공기를 직접 가열한 후 이를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실내로 유입시켜 난방을 하는 방법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58908호(등록일자: 2011.08.17.)는 태양열을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집열기를 통해 태양열을 흡수하여 물을 데운 후 가열된 온수를 난방배관을 통해 순환시켜 난방을 수행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난방시스템에 고온의 열원과 열교환작용을 통해 냉매증기를 발생시키는 흡수식 냉동기를 부가하여 냉방시스템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의 경우 난방을 위해 물을 가열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초기 난방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물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소비가 많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방을 위해 흡수식 냉동기를 부가하기 때문에 냉난방시스템 전체적으로 구조가 복잡하여 시설 및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813754호(등록일자: 2008.03.07.)는 태양열축열 온풍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기술은 건물 내부를 지속적으로 난방하기 위해 축열매체순환장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건물의 지속적인 난방을 위해 축열매체순환장치를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하는 한계가 있고, 태양열 부족시 전기히터를 가동해야 함과 더불어 상기 축열매체순환장치를 항시 가동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기술에 의하면 축열매체순환장치를 가열하기 위해 히터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점에서 구성이 복잡하고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외에, 상기 종래기술들은 기본적으로 건물이 완성된 후에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추가 설비에 따른 건축공사비용 상승의 문제가 있으며, 또한 건물에 부가하여 설치하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건물 자체를 훼손하거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등록 제10-1058908호 (2011.08.17) 특허등록 제10-0813754호 (2008.03.07.)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일측은 태양광을 집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타측은 태양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계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을 집열하는 집열부를 다공형상을 비롯하여 굴곡형상, 사각형상, 벌집형상, 격자형상 중 하나 형상을 가지는 요철구조로 제작하고 아울러 표면 처리를 통해 집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부를 이중으로 형성시키고 그 중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방열부를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는, 창문이나 문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110)와. 고정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복수의 블라이드판(120)을 연동시키면서 접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블라이드판 구동부(130)로 이루어진 블라인드에 있어서, 블라이드판(120)은 반사판(121)과, 반사판(121)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제 1 방열부(122)와, 반사판(121)과 제 1 방열부(122) 사이에 마련되는 제 2 방열부(123)와, 제 1 방열부(122)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집열부(1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제 2 방열부(123)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제 1 방열부(122) 및 제 2 방열부(123)는 열전달율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제 1 방열부(122) 및 제 2 방열부(123)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또는 금속 또는 비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집열부(124)는 요철 구조를 가지며, 요철 형상은 사각형상 또는 벌집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블라이드판(120)은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는 집열부가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반사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라인드의 일측은 태양광을 집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타측은 태양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계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렴하면서 간단한 설치로 난방시 태양광을 집열시켜 실내의 공기를 따뜻하게 데워줌으로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을 집열하는 집열부를 사각형상, 벌집형상, 격자형상 중 하나 형상을 가지는 요철구조로 제작하여 집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부를 이중으로 형성시키고 그 중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방열부를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방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의 흐름을 블라인드 하부의 찬공기가 방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상부로 흘러가도록 하는 자연 순환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난방시 외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자연대류형으로 저비용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설치 또한 일반 블라이드 설치방식과 동일하므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방열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사각 요철구조를 가지는 집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격자구조를 가지는 집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벌집 요철구조를 가지는 집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방열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사각 요철구조를 가지는 집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격자구조를 가지는 집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벌집 요철구조를 가지는 집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100)는 창문이나 문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110)와. 고정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복수의 블라이드판(120)을 연동시키면서 접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블라이드판 구동부(13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블라이드판 구동부(130)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개폐조절부(도면으로는 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블라이드판(120)을 집열부(124)와 반사부(121)를 각각 1장씩 마련하여 2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아니고 1장의 블라이드판(120)에 일측에는 집열부(124) 및 반사부(121)을 한꺼번에 형성시켜 마련할 수도 있다.
블라이드판(120)은 반사판(121)과, 반사판(121)과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제 1 방열부(122)과, 반사판(121)과 제 1 방열부(122) 사이에 마련되는 제 2 방열부(123)와, 제 1 방열부(122)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집열부(124)로 이루어진다.
제 2 방열부(123)는 제 1 방열부(123)에 의해 방열되는 집열부(124)의 집열이 좀 더 효과적으로 공기 중에 방열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 2 방열부(123)는 집열부(124)에 의해 집열된 열을 외부로 최대한 효과적으로 방열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되므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기둥형상, 벌집기둥형상 등과 같이 지그재그 형상보다 더 효과적인 방열구조가 있을 경우 그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제 1 방열부(122) 및 제 2 방열부(123)는 열전달율이 높은 물질인 구리, 알루미늄 또는 금속 또는 비금속 등으로 이루어진다.
집열부(124)는 요철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요철형상은 다공 형상을 비롯하여 굴곡형상, 사각형상, 벌집형상, 격자형상 중 하나로 이루어진다. 즉 집열부(124)는 태양광으로부터 열을 최대한 많이 집열할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집열부(124)는 흑 크롬도금방식, 흑 니켈도금방식, 흑 아노다이징 방식 등 전기적 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되거나, 또는 금속판의 블랙 옥사이드 처리방식 등 화학적 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되거나, 또는 흑색의 금속코팅, 흑색 수지(페인트)코팅 등 도장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흑색 수지 테이프, 흑색 금속 테이프 등 부착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이와 구성된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름을 제외한 난방이 필요한 계절이 오면 본 발명이 적용된 블라인드(100) 중 집열부(124)가 마련되어 있는 제 1 방열부(122)가 창문 전면, 즉 태양광과 마주하도록 블라인드 고정부(110)를 창문틀 또는 문틀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블라인드(100)를 설치한 후 제 1 방열부(122)이 태양광과 마주하도록 펼쳐지도록 하면, 제 1 방열부(122)의 전면에 마련되어 있는 집열부(124)가 태양광으로부터 열을 집열시키고, 이 집열은 제 1 방열부(122) 및 제 2 방열부(123)를 거쳐 실내로 방열된다.
이에 블라인드(100)의 반사판(121)과 제 1 방열부(1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밑에 있는 찬공기가 올라와서 제 1 방열부(122) 및 제 2 방열부(123)에 의해 방열되는 열에 의해 데워져 더운공기가 위로 올라가게 된다.
이와 같이 찬공기와 더운공기의 순환으로 실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한편, 여름에는 블라인드(100)를 위와는 반대방향으로 반사판(121)이 태양광과 마주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태양광을 반사판(121)이 반사시킨다. 이로 인해 태양광으로 인헤 실내온도가 상승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블라인드 110 : 고정부
120 : 블라이드판 121 : 반사부
122 : 제 1 방열부 123 : 제 2 방열부
124 : 집열부 130 : 블라이드판 구동부

Claims (6)

  1. 창문이나 문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110)와. 고정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복수의 블라이드판(120)을 연동시키면서 접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블라이드판 구동부(130)로 이루어진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블라이드판(120)은
    반사판(121)과, 상기 반사판(121)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제 1 방열부(122)와, 상기 반사판(121)과 상기 제 1 방열부(122) 사이에 마련되는 제 2 방열부(123)와, 상기 제 1 방열부(122)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집열부(12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방열부(122) 및 제 2 방열부(123)는 열전달율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방열부(122) 및 제 2 방열부(123)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또는 금속 또는 비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방열부(123)는 격자기둥형상 또는 벌집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열부(124)는 요철 구조를 가지며, 요철 형상은 격자형상 또는 사각형상 또는 벌집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이드판(120)은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는 집열부가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반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KR20140049220A 2014-04-24 2014-04-24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KR101484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9220A KR101484019B1 (ko) 2014-04-24 2014-04-24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PCT/KR2015/003556 WO2015163610A1 (ko) 2014-04-24 2015-04-09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9220A KR101484019B1 (ko) 2014-04-24 2014-04-24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4019B1 true KR101484019B1 (ko) 2015-01-20

Family

ID=52590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9220A KR101484019B1 (ko) 2014-04-24 2014-04-24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84019B1 (ko)
WO (1) WO20151636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783B1 (ko) 2015-04-10 2016-01-20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식 조립형 한식 담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769B1 (ko) * 2005-11-16 2007-04-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블라인드
JP2009128005A (ja) * 2007-11-27 2009-06-11 Kenji Kugemoto 太陽光熱の採光および集排熱装置とその利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1881A (ja) * 1991-12-24 1993-07-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蓄熱ブラインド
KR20100041094A (ko) * 2008-10-13 2010-04-22 황영민 집광수단이 구비된 블라인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769B1 (ko) * 2005-11-16 2007-04-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블라인드
JP2009128005A (ja) * 2007-11-27 2009-06-11 Kenji Kugemoto 太陽光熱の採光および集排熱装置とその利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783B1 (ko) 2015-04-10 2016-01-20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식 조립형 한식 담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3610A1 (ko)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xena et al. A thermodynamic review of solar air heaters
JP5389925B2 (ja) 熱の回収及び太陽光による空気加熱のための透明な有孔板ガラス
US20100186734A1 (en) Solar air heater for heating air flow
CN103790244A (zh) 一种太阳能集热和辐射制冷综合应用的特隆布墙
Long et al.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a Trombe wall combined with collector and reflection layer in hot summer and cold winter zone
US20050199234A1 (en) Heating and cooling system
CN205444602U (zh) 一种多功能幕墙
US20200049355A1 (en) Flat solar chimney for passive reduction of building cooling loads
KR101484019B1 (ko) 태양광 집열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JP5246612B2 (ja) 太陽光熱の採光および集排熱装置とその利用方法
GR20160100647A (el) Νεου τυπου ηλιακο θερμικο συστημα
US20110168227A1 (en) Single face corrugated plastic or aluminum solar collector
AU2020103608A4 (en) Cost effective solar house
EP3022379B1 (en) Thermally insulating curtain
WO2017099615A1 (en) The photovoltaic module with a cooling system
KR20120004945A (ko) 발코니 및 건물외벽을 이용한 태양열 난방시스템
WO2019180470A1 (en) Hot air facade mounted solar panel
JP3544529B2 (ja) 太陽熱集熱パネル
JP2555567Y2 (ja) ソーラーシステムにおける集熱装置
US20110139147A1 (en) System for capturing and converting solar insolation into thermal, kinetic and electrical energy
US8371288B2 (en) Solar collector/heat exchanger
JP2018528385A (ja) 蒸散型太陽光収集器、及び、蒸散型太陽光収集器を製造する方法
Tonui et al. Ventilation benefit accrued from PV module installed in building
Shams Design of a Transpired Air Heating Solar Collector with an Inverted Perforated Absorber and Asymmetric Compound Parabolic Concentrator.
Karwa Energy Efficient Comfortable Buildings: Some Critical Design Iss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