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665B1 - 변수의 빔을 갖는 mimo 시스템에서의 효율적 cqi 신호발신 - Google Patents

변수의 빔을 갖는 mimo 시스템에서의 효율적 cqi 신호발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665B1
KR101483665B1 KR20097006646A KR20097006646A KR101483665B1 KR 101483665 B1 KR101483665 B1 KR 101483665B1 KR 20097006646 A KR20097006646 A KR 20097006646A KR 20097006646 A KR20097006646 A KR 20097006646A KR 101483665 B1 KR101483665 B1 KR 101483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station
resource information
signaling
c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06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537A (ko
Inventor
매튜 피. 제이. 베이커
티모시 제이. 몰슬레이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90058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6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빔 송신 장치 및 시스템과 관련이 있으며, 다중 빔 송신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과 관련이 있고, 여기서 제 1 송신 자원 정보 및 제 2 송신 자원 정보는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빔 각각에 대해 결정되고, 제 1 송신 파라미터 정보 및 제 2 송신 파라미터 정보는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빔 각각에 대해 결정된다.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자원 정보와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파라미터 정보는 하나의 공동 신호로 공동으로 인코딩 되며, 상기 공동 신호는 제 1 국으로부터 제 2 국으로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빔들을 통해 송신된다.

Description

변수의 빔을 갖는 MIMO 시스템에서의 효율적 CQI 신호발신{EFFICIENT CQI SIGNALING IN MIMO SYSTEMS WITH VARIABLE NUMBERS OF BEAMS}
본 발명은 다중 빔 송신 시스템(multi-beam transmission system), 특히 다중 빔 MIMO(multiple-in/multiple-out, 다중 입력/다중 출력) 시스템에서의 송신 자원의 사용 및 송신 파라미터를 신호발신(signaling)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이한 양의 무선 송신 자원을 이용하며, 변조 체계(modulation scheme)와 같은, 상이한 송신 파라미터(transmission parameter)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각각의 빔 상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블록(data block)들의 크기가 달라지는 다중 빔 송신 시스템, 특히 다중 빔 MIMO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은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에서 응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잠재적 응용성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세계 이동 전신전화 시스템) 릴리즈(release) 7을 위해 현재 표준화되고 있는 MIMO 특징 내에 있다.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에서는 최고 비트율(peak bit rate)을 증가시키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D-TxAA라 불리는 제안이 UMTS를 위해 심의 중에 있다. 상기 제안은 이동 단말기가 두 개의 송신 안테나의 각각으로부터의 신호에 적용되어야 하는 복소 가중치(complex weight)를 네트워크로 신호발신 하는, 현존하는 폐루프 송신 다이버시티 체계(existing closed loop transmit diversity scheme)(TxAA 모드 1)로부터 유도된다. D-TxAA에서, 두 개의 상이한 빔을 만드는 직교 가중치 벡터(orthogonal weight vector)를 이용하여 두 개의 상이한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이 송신되며, 여기서 제 1 빔을 만들기 위한 제 1 가중치 벡터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에 의해 지시되는(indicated) 가중치 벡터에 기초하고, 제 2 빔을 만들기 위한 제 2 가중치 벡터는 제 1 벡터로부터 결정론적으로(deterministically) 유도된다. 상기 빔들 중 하나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가중치 벡터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HS-SCCH: High-Speed Shared Control Channel)로 알려진 신호발신 채널 상에서 운반되는 신호발신에 의해 이동 단말기로 지시된다. HS-SCCH 상에서 가중치 벡터가 신호발신 되는 빔은 이후에 "1차 빔(primary beam)"으로 표시되며 다른 빔은 이후에 "2차 빔(secondary beam)"으로 표시된다.
운송 블록(transport block)으로 알려진, 상이한 데이터 블록들은, 채널화 코드(channelization code)의 수와 같은 아마도 상이한 양(possibly different amount)의 송신 자원 및, 변조 체계와 같은 아마도 상이한 송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각각의 빔 상에서 이동 단말기로 송신된다. 선택된 수의 채널화 코드와 변조 체계를 이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는 물리적 채널 비트의 수(number of physical channel bit)로 각각의 운송 블록의 비트의 수를 맵핑(map)시키기 위해 상이한 코드 레이트(code rate)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가 상기 송신을 수신하고 디코딩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빔에 대한 운송 블록 크기, 채널화 코드의 수 그리고 변조 체계가 HS-SCCH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로 신호발신 된다.
UMTS의 이전 버전(version)에서는, 오직 하나의 단일 데이터 스트림이 오직 하나의 신호발신의 집합을 요구하면서 이동 단말기로 송신되었다. 제 2 스트림이 송신될 때, 이에 대응하는 신호발신 정보는 신호발신 오버헤드(signaling overhead)의 증가를 발생시키며, 이는 시스템의 전체 데이터 송신 용량을 떨어뜨린다.
제 2 스트림의 송신과 관련된 신호발신 오버헤드를 절감시키는 일부의 알려진 방법들은, 다른 빔 상에서 송신되는 운송 블록 크기에 비례하여 한 스트림 상에서 송신될 수도 있는 운송 블록 크기들의 집합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는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user application)에 의해 요구되는 레이트로 각각의 스트림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융통성(flexibility)을 감소시킨다. 운송 블록 크기들의 집합의 제한은, 예컨대 두 개의 빔 상에서 사용되는 채널화 코드의 수 사이의 차이를 제한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다.
신호발신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한 알려진 방법은 각각의 빔 상에서 사용되는 제 1 코드의 식별(identity)이 같을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각각의 빔 상에서 사용되는 다른 코드들은, 그러면, 제 1 코드로부터, 예컨대 직교 가변 확산 인수 코드 트리(OVSF code tree: Orthogonal Variable Spreading Factor code tree)로부터, 시작하는 연속된 집합을 형성한다.
만일 1차 및 2차 빔들에 할당된 코드의 수가 동등하도록(equal) 제한된다면{즉 "대칭적 코드 할당(symmetric code allocation)"}, 이는 (UMTS에서, 완전한 융통성을 위해 2차 빔 상에서의 코드의 수를 지시하기 위한 네 개의 비트 및 변조 체계를 지시하기 위한 한 개의 비트를 요구하는 것에 비해) 신호 발신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는 것이 또한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는 또한, 다른 빔에 비례하여, 한 빔 상에서 송신될 수 있는 운송 블록 크기의 범위를 제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 상세하게, 이는, 큰 운송 블록이 1차 빔 상에서 송신될 때 2차 빔 상에서 작은 운송 블록을 송신하는 것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어진 수의 코드를 위해 신호발신 될 수 있는 최대와 최소의 운송 블록 크기 사이에는 약 3의 비율이 존재한다. 이러한 제한은, 예컨대, 1차 빔이 16QAM을 사용할 때 2차 빔 상에서 운반될 보다 작은 운송 블록을 가능하게 하도록 2차 빔에 QPSK가 사용될 수도 있는 것과 같이, 1차 빔에 사용되는 변조 체계에 비해, 보다 낮은 차수의(lower-order) 변조 체계를 2차 빔에 사용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완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표는 다중 빔 송신 시스템에서의 신호발신 오버헤드 감소 및/또는 각각의 빔 상에서 송신될 수도 있는 운송 블록 크기의 제한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2차 빔은, 항상, 1차 빔과 같거나 또는 1차 빔 보다 낮은 데이터 레이트로 송신된다고 가정된다. 다른 말로, HS-SCCH는, 항상, 보다 높은 레이트의 스트림을 운반하는 빔의 사전 코딩 벡터(precoding vector)를 신호발신 한다. 이는 2차 빔 상에서의 변조 차수는 1차 빔 상에서의 변조 차수와 같거나 그 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의 그리고 다른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라서, 다중 빔 송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자원 정보 및 송신 파라미터 정보를 신호발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송신 자원 정보 및 송신 파라미터 정보는 공동으로(jointly) 인코딩 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은 송신 자원 정보 및 송신 파라미터 정보를 공동으로 인코딩 함으로써, 신호발신 오버헤드의 증가 없이, 지시될 수도 있는 운송 블록 크기의 범위가 증가한다는 것의 인식에 기초한다.
다수의 파라미터를 공동으로 인코딩 하는 것은, 상이한 송신 자원에 대해 상이한 값들을 취하는 단계와, 상이한 송신 자원과 결합된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보다 많은 파라미터의 값을 결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라서, 다중 빔 송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자원 정보 및 송신 파라미터 정보를 신호발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송신 자원 정보는 사용 가능한 값들의 집합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사용 가능한 값들의 집합 내의 각각의 값들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인수(factor) 또는 배수(multiple)만큼의 가장 가까운 다음의 값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은, 각각의 운송 블록 내의 비트의 수를 선택된 수의 채널화 코드와 변조 체계를 이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는 물리적 채널 비트의 수로 맵핑(map)시키기 위해, 코딩과 레이트 정합(matching)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코드 레이트가 주어진 범위(예컨대 1부터 1/3까지) 내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따라서 코드 레이트들의 범위 내의 비율(ratio)만큼 분리되는(separated) 채널화 코드들의 수들의 신호발신을 허용함으로써 모든 가능한 운송 블록 크기의 송신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의 인식에 기초한다. 이는 HS-SCCH 상에서 신호발신 되는 것이 가능해야 할 필요가 있는 상이한 수의 채널화 코드의 수를 감소시키며, 따라서 송신될 수 있는 운송 블록 크기들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면서 신호 발신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제 3 양상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양상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4 양상에 따라서, 제 1 국(station) 및 제 2 국을 포함하는 다중 빔 데이터 송신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는 제 1 국으로부터 제 2 국으로의 송신 자원 정보 및 송신 파라미터 정보의 신호발신을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송신 자원 정보 및 송신 파라미터 정보는 공동으로 인코딩 된다.
본 발명의 제 5 양상에 따라서, 제 1 국 및 제 2 국을 포함하는 다중 빔 데이터 송신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는 제 1 국으로부터 제 2 국으로의 송신자원 정보 및 송신 파라미터 정보의 신호발신을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송신 자원 정보는 사용 가능한 값들의 집합으로부터 선택되며, 사용 가능한 값의 집합 내의 각각의 값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인수 또는 배수만큼의 가장 가까운 다음 값과 관련된다.
송신 자원 정보는, 예컨대, (예컨대 CDMA 시스템에서의) 채널화 코드의 수, (예컨대 OFDM 시스템에서) 부 반송파(sub-carrier)의 수, 또는 타임슬롯(timeslot)의 수 중 하나 이상의 지시를 포함한다.
송신 파라미터 정보는 예컨대 변조 체계 또는 코딩 체계 중 하나 이상의 지시를 포함한다.
다른 이로운 실시예들이 아래에 설명된다.
한 통상적 실시예에서, 두 빔의 각각에서의 송신을 위해 최대 15 개의 채널화 코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16QAM 또는 QPSK 변조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는 HS-SCCH 상에서 하나의 신호발신 비트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라 동작하는 종래의 시스템은 동일한 수의 코드가 두 빔 모두에 사용되어야 한다는 제한을 적용할 수도 있으며, 제 1 빔 상에서 QPSK 변조와 1의 코드 레이트를 이용하는 운송 블록의 송신을 위해 15 개의 코드가 사용될 때, (최소 코드 레이트가 1/3이라고 가정하면) 제 2 빔 상에서 송신될 수 있는 가장 작은 운송 블록은 제 1 빔 상의 운송 블록의 1/3의 크기이다. 대안적으로, 종래의 시스템은 1차 빔 운송 블록 크기와 2차 빔 운송 블록 크기 사이의 더욱 큰 차이를 허용하기 위해, 제 2 빔을 위해 사용되는 채널화 코드의 수를 신호발신 하도록 최대 4 개의 추가적인 신호발신 비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예에서, {1차 빔에 대한 MS(Modulation Scheme, 변조 체계)를 신호발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한 개의 비트에 추가적으로} 2차 빔에 대한 변조 체계(MS: Modulation Scheme) 및 채널화 코드 집합(CCS: Channelization Code Set)을 신호발신하기 위해 그저 하나의 비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1차 빔에 대해 사용되는 것 보다 적은 수의 2차 빔에 대한 코드의 수를 지시하기 위해 신호발신 비트의 사용 가능한 조합들 중의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표 1 참조). 2차 빔에 사용되는 변조 체계 및 2차 빔에 사용되는 코드의 수의 선택은 중대한(critical) 파라미터는 아니므로, 코드의 수의 완전한 분석(resolution)은 항상 필요로 하지는 않을 수도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표 1]
2차 빔에 대한 1 비트 MS/CCS로 코드의 수를 신호발신 하기
1차 빔 상의 변조 2차 빔 상의 변조 1차 빔 상의 코드의 수 2차 빔 상의 코드의 수 1차 빔에 대해 신호발신 되는 MS 2차 빔에 대해 신호발신 되는 MS/CCS
16QAM 16QAM X X 1 1
16QAM QPSK X X 1 0
QPSK QPSK X X 0 1
QPSK QPSK X 표 2에 의해 주어짐 0 0
두 빔 모두에 QPSK가 사용되며 2차 빔에 대한 MS/CCS 조합이 "00" 인 경우, 2차 빔에 사용되는 코드의 수는 {Rel-5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된 비트 필드(bit-field)에 의해 신호발신 되는, 1차 빔에 대해 사용된 코드의 수에 의존하여} 표 2에 의해 주어진다. 이러한 의도는, 극값의 코드 레이트(extreme code rate)를 요구하지 않으면서, 지원되는 운송 블록 크기의 범위가 가능한 한 넓어지도록, 2차 빔들 상의 코드의 수는 1차 빔 상의 코드의 수의 약 절반이라는 것이다.
[표 2]
2차 빔에 대한 1 비트 MS/CCS를 위한 1차 및 2차 빔들 상의 코드의 수
1차 빔 상의 코드의 수=X 2차 빔 상의 코드의 수(~X/2)
15 7
14 7
13 7
12 6
11 6
10 5
9 5
8 4
7 4
6 3
5 3
4 2
3 2
2 1
1 1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Figure 112009019432114-pct00001
와 같은 공식에 따라서, 2차 빔에 대해 신호발신 되는 코드의 수 N2가 1차 빔에 대해 사용되는 코드의 수 N1로부터 유도된다.
만일 2차 빔 상의 MS/CCS에 대해 두 개의 비트가 허용된다면, 표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더욱 큰 융통성이 가능하다.
[표 3]
2차 빔에 대한 2 비트 MS/CCS로 코드의 수를 신호발신 하기
1차 빔 상의 변조 2차 빔 상의 변조 1차 빔 상의 코드의 수 2차 빔 상의 코드의 수 1차 빔에 대해 신호발신 되는 MS 값 2차 빔에 대해 신호발신 되는 MS/CCS 값
16QAM 16QAM X X 1 11
16QAM QPSK X X 1 10
16QAM QPSK X 표 2에 의해 주어짐 1 01
16QAM QPSK X 표 4에 의해 주어짐 1 00
QPSK QPSK X X 0 11
QPSK QPSK X 표 2에 의해 주어짐 0 10
QPSK QPSK X 표 4에 의해 주어짐 0 01
QPSK QPSK X 1 0 00
[표 4]
2차 빔에 대한 2 비트 MS/CCS를 위한 1차 및 2차 빔들 상의 코드의 수의 추가적인 표
1차 빔 상의 코드의 수=X 2차 빔 상의 코드의 수(~X/4)
15 3
14 3
13 3
12 3
11 3
10 3
9 3
8 2
7 2
6 2
5 2
4 1
3 1
2 1
1 1
이러한 원리는 2차 빔에 대한 3 비트의 또는 4 비트의 MS/CCS 신호발신으로 확장될 수 있다(이는 1차 빔 상의 모든 수의 코드에 대한 완전한 융통성을 가져다 줄 것이다).
또한, 이 단계(stage)의 규격(specification)에 만일 64QAM에 대한 잠재적 지원이 더해질 것이라면 동일한 접근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1차 빔 MS 및 2차 빔 MS/CCS 모두를 신호발신 하기 위해 총 4 비트로, 64QAM의 가능성을 포함하여, 표 5에 나타난 변조 체계 및 코드의 수의 조합이 신호발신 될 수 있다:
[표 5]
2차 빔에 대한 2 비트 MS/CCS로 코드의 수의 신호발신 하기
1차 빔 상의 변조 2차 빔 상의 변조 1차 빔 상의 코드의 수 2차 빔 상의 코드의 수 1차 빔 MS 및 2차 빔 MS/CCS에 대해 신호발신 되는 값
64QAM 64QAM X X 1111
64QAM 16QAM X X 1110
64QAM QPSK X X 1101
64QAM QPSK X 표 2에 의해 주어짐 1100
64QAM QPSK X 표 4에 의해 주어짐 1011
64QAM QPSK X 1 1010
16QAM 16QAM X X 1001
16QAM QPSK X X 1000
16QAM QPSK X 표 2에 의해 주어짐 0111
16QAM QPSK X 표 4에 의해 주어짐 0110
16QAM QPSK X 1 0101
QPSK QPSK X X 0100
QPSK QPSK X 표 2에 의해 주어짐 0011
QPSK QPSK X 표 4에 의해 주어짐 0010
QPSK QPSK X 1 0001
이는, 64QAM을 허용하는 변조 체계를 신호발신하기 위해 제안된, 빔 당(per beam) 2 비트 보다 많은 신호발신 비트의 요구 없이, 운송 블록 크기의 완전한 범위가 두 빔 모두에서 송신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MS/CCS에 대한 비트의 수는 융통성과 HS-SCCH 오버헤드 사이의 교환(trade-off)을 기초로 하여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송신 자원 정보가 빔들 중 하나에 대해 0(zero)의 값을 취할 수도 있도록 더욱 확장될 수도 있다. 이는 공동으로 코딩된(jointly-coded) 신호가, 송신되는 빔들의 수를 지시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만일 2차 빔 상의 MS/CCS을 위해 두 개의 비트가 허용된다면, 표 3에 나타난 실시예는 표 6에 나타난 대로 수정될 수도 있다.
[표 6]
제 2 빔이 송신되지 않는다는 것(즉, 코드의 수=0)을 신호발신 할 가능성을 포함하여, 2차 빔에 대한 2 비트 MS/CCS로 코드의 수를 신호발신 하기
1차 빔 상의 변조 2차 빔 상의 변조 1차 빔 상의 코드의 수 2차 빔 상의 코드의 수 1차 빔에 대해 신호발신 되는 MS 값 2차 빔에 대해 신호발신 되는 MS/CCS 값
16QAM 16QAM X X 1 11
16QAM QPSK X X 1 10
16QAM QPSK X 표 2에 의해 주어짐 1 01
16QAM QPSK X 0 1 00
QPSK QPSK X X 0 11
QPSK QPSK X 표 2에 의해 주어짐 0 10
QPSK QPSK X 표 4에 의해 주어짐 0 01
QPSK QPSK X 0 0 00
유사하게, 1차 빔 MS 및 2차 빔 MS/CCS를 모두 신호발신하기 위해 총 4 비트를 이용하여, 표 5에 나타난 실시예는 표 7에 나타난 대로 수정될 수도 있다.
[표 7]
제 2 빔이 송신되지 않는다는 것(즉, 코드의 수=0)을 신호발신 할 가능성을 포함하여, 총 4 비트로 코드의 수를 신호발신 하기
1차 빔 상의 변조 2차 빔 상의 변조 1차 빔 상의 코드의 수 2차 빔 상의 코드의 수 1차 빔 MS 및 2차 빔 MS/CCS에 대해 신호발신 되는 값
64QAM 64QAM X X 1111
64QAM 16QAM X X 1110
64QAM QPSK X X 1101
64QAM QPSK X 표 2에 의해 주어짐 1100
64QAM QPSK X 표 4에 의해 주어짐 1011
64QAM QPSK X 0 1010
16QAM 16QAM X X 1001
16QAM QPSK X X 1000
16QAM QPSK X 표 2에 의해 주어짐 0111
16QAM QPSK X 표 4에 의해 주어짐 0110
16QAM QPSK X 0 0101
QPSK QPSK X X 0100
QPSK QPSK X 표 2에 의해 주어짐 0011
QPSK QPSK X 표 2에 의해 주어짐 0010
QPSK QPSK X 0 0001
이러한 확장은, 2차 빔이 송신되는지 아닌지를 지시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트의 필요를 피함으로써, 신호발신 오버헤드의 추가 감소를 허용한다.
본 발명이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단말기로의 송신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또한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송신, 그리고 동등한 노드(peer node) 사이의 송신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 및 청구항의 단수 요소 표현은 복수의 그러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나아가, "포함하는"이라는 말은 제시된 것 이외의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을 읽음으로 인해, 당업자에게 다른 수정(modification)들이 명확해 질 것이다. 그러한 수정들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이미 알려진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이미 설명된 특징을 대신하여 또는 그에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다른 특징들을 수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변수의 빔을 갖는 MIMO 시스템에서의 효율적 CQI 신호발신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28)

  1. 다중 빔 송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빔들 각각에 대한 제 1 송신 자원 정보 및 제 2 송신 자원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빔들 각각에 대한 제 1 송신 파라미터 정보 및 제 2 송신 파라미터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자원 정보와 상기 제 1 그리고 제2 송신 파라미터 정보를 하나의 공동 신호로 공동으로 인코딩 하는 단계; 그리고
    제 1 국으로부터 제 2 국으로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빔들을 통해 상기 공동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빔 송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자원 정보는 사용 가능한 값들의 집합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사용 가능한 값들의 집합 내의 각각의 값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인수 또는 배수만큼의 가장 가까운 다음 값과 관련되는, 다중 빔 송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자원 정보는 채널화 코드의 수, 부 반송파(sub-carrier)의 수, 타임슬롯의 수 중 하나 이상의 지시를 포함하는, 다중 빔 송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운송 블록 내의 비트의 수를 상기 채널화 코드의 수 및/또는 변조 체계로 맵핑시키기 위한 코딩 및 레이트 정합은 코드 레이트들의 주어진 범위 내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는, 다중 빔 송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융통성과 신호발신 채널 오버헤드 사이의 교환(trade-off)을 기초로 하여, 상기 공동 신호의 한 개 내지 네 개의 신호발신 비트가 상기 제 2 송신 빔에 대한 상기 변조 체계 및 채널화 코드 집합을 신호발신 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중 빔 송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신 비트들의 사용 가능한 조합 중의 하나는 상기 제 1 송신 빔에 대해 사용된 것 보다 적은 수의 상기 제 2 송신 빔에 대한 코드의 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중 빔 송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변조 체계 또는 코딩 체계 중 하나 이상의 지시를 포함하는, 다중 빔 송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파라미터들을 공동으로 인코딩 하는 단계는 상이한 송신 자원에 대해 상이한 값들을 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상이한 송신 자원들과 결합된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보다 많은 수의 파라미터의 값을 결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빔 송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
  9. 다중 빔 송신 장치로서,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빔들 각각에 대한 제 1 송신 자원 정보 및 제 2 송신 자원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빔들 각각에 대한 제 1 송신 파라미터 정보 및 제 2 송신 파라미터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자원 정보와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파라미터 정보를 하나의 공동 신호로 공동으로 인코딩 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제 1 국으로부터 제 2 국으로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빔들을 통해 상기 공동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다중 빔 송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자원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사용 가능한 값들의 집합으로부터 한 값을 선택하도록 적응되며, 여기서 상기 사용 가능한 값들의 집합 내의 각각의 값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인수 또는 배수만큼의 가장 가까운 다음 값과 관련되는, 다중 빔 송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자원 정보가 채널화 코드의 수, 부 반송파의 수 또는 타임슬롯의 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중 빔 송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송신 블록 내의 비트의 수를 상기 채널화 코드의 수로 맵핑시키기 위한 코딩 및 레이트 정합 수단 및/또는 코드 레이트들의 주어진 범위 내에서 동작하도록 변조 체계를 설계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중 빔 송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빔에 대한 상기 변조 체계 및 채널화 코드 집합을 신호발신하기 위해, 융통성과 신호발신 채널 오버헤드 사이의 교환을 기초로 하여, 상기 공동 신호의 한 개 내지 네 개의 신호발신 비트를 사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중 빔 송신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빔에 대해 사용되는 것 보다 적은 수의 상기 제 2 송신 빔에 대한 코드의 수를 지시하기 위해 신호발신 비트들의 사용 가능한 조합 중의 하나를 사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중 빔 송신 장치.
  15.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파라미터 정보가 상기 변조 체계 또는 코딩 체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중 빔 송신 장치.
  16. 다중 빔 송신 시스템으로서,
    제 1 국 및 제 2 국; 그리고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빔들 각각에 대한 제 1 송신 자원 정보 및 제 2 송신 자원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빔들 각각에 대한 제 1 송신 파라미터 정보 및 제 2 송신 파라미터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자원 정보와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파라미터 정보를 하나의 공동 신호로 공동으로 인코딩 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상기 제 1 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국으로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빔들을 통해 상기 공동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다중 빔 송신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자원 정보는 사용 가능한 값들의 집합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사용 가능한 값들의 집합 내의 각각의 값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인수 및 배수만큼의 가장 가까운 다음 값과 관련되는, 다중 빔 송신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자원 정보는 채널화 코드의 수, 부 반송파의 수 또는 타임슬롯의 수 중 하나 이상의 지시를 포함하는, 다중 빔 송신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각각의 운송 블록 내의 비트의 수를 상기 채널화 코드의 수 및/또는 변조 체계로 맵핑시키기 위한 코딩 및 레이트 정합은 코드 레이트들의 주어진 범위 내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는, 다중 빔 송신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융통성과 신호발신 채널 오버헤드 사이의 교환을 기초로 하여, 상기 공동 신호의 한 개 내지 네 개의 신호발신 비트가 상기 제 2 송신 빔에 대한 상기 변조 체계 및 채널화 코드 집합을 신호발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중 빔 송신 시스템.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신 비트들의 사용 가능한 조합 중의 하나가 상기 제 1 송신 빔에 대해서 사용된 것 보다 적은 수의 상기 제 2 송신 빔에 대한 코드의 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중 빔 송신 시스템.
  22.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송신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변조 체계 또는 코딩 체계 중 하나 이상의 지시를 포함하는, 다중 빔 송신 시스템.
  23.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국은 기지국이며 상기 제 2 국은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제 1 국은 이동단말기이고 상기 제 2 국은 기지국인, 다중 빔 송신 시스템.
  24.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국은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들인, 다중 빔 송신 시스템.
  25.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이한 유형의 또는 동등한 유형의 국(station)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들이 수반되는, 다중 빔 송신 시스템.
  26. 이동국(mobile station)으로서,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중 빔 송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이동국.
  27. 기지국으로서,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중 빔 송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기지국.
  28. 삭제
KR20097006646A 2006-10-02 2007-09-28 변수의 빔을 갖는 mimo 시스템에서의 효율적 cqi 신호발신 KR101483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21624.8 2006-10-02
EP06121624 2006-10-02
EP06123322 2006-11-01
EP06123322.7 2006-11-01
PCT/IB2007/053954 WO2008041166A1 (en) 2006-10-02 2007-09-28 Efficient cqi signaling in mimo systems with variable numbers of bea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537A KR20090058537A (ko) 2009-06-09
KR101483665B1 true KR101483665B1 (ko) 2015-01-16

Family

ID=3905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7006646A KR101483665B1 (ko) 2006-10-02 2007-09-28 변수의 빔을 갖는 mimo 시스템에서의 효율적 cqi 신호발신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331878B2 (ko)
EP (1) EP2074708B1 (ko)
JP (1) JP5068820B2 (ko)
KR (1) KR101483665B1 (ko)
CN (1) CN101523756B (ko)
AT (1) ATE506764T1 (ko)
DE (1) DE602007014085D1 (ko)
TW (1) TWI436608B (ko)
WO (1) WO20080411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4314A1 (en) * 2008-08-11 2010-02-11 Motorola Inc Antenna Configuration and Transmission Mode Signa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938786B (zh) * 2009-07-01 2013-03-20 华为技术有限公司 调度授权的分配方法与通信设备
CN101834629B (zh) 2010-04-06 2014-10-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指示传输参数的方法及系统
EP2640366A2 (en) 2010-11-15 2013-09-25 Exelixis, Inc. Benzoxazepines as inhibitors of pi3k/mtor and methods of their use and manufacture
CN102025463B (zh) * 2010-12-20 2012-11-28 东南大学 一种应用于下行链路的mimo无线通信系统的反馈方法
WO2012152214A1 (zh) * 2011-05-09 2012-11-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传输参数指示/传输参数确定方法、装置
AU2016431911B2 (en) * 2016-12-08 2022-02-1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0951285B2 (en) 2017-01-06 2021-03-16 Futurewei Technologies, Inc. Hybrid mobility and radio resource management mechanisms
KR102543491B1 (ko) * 2017-02-06 2023-06-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탐색 및 운용 방법 및 장치
CN108631918B (zh) * 2017-03-24 2021-02-26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KR102420252B1 (ko) * 2017-12-19 2022-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구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864234B2 (en) * 2019-08-08 2024-01-02 Qualcomm Incorporated Beam-based channel access procedur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8712A2 (en) * 2004-11-04 2006-05-11 Nokia Corporation Closed-loop signalling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transmit beams and correspondingly adapted transceiver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3242B1 (en) * 2000-09-14 2004-07-13 The Directv Group, Inc. Resource assignment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same
DE60031896T2 (de) * 2000-12-06 2007-04-05 Nokia Corp. Verfahren zum regeln der gewichte eines datensignals in mindestens zwei antennenelementen einer funkverbindungseinheit, moduls und kommunikationssystems
US7480278B2 (en) * 2001-05-04 2009-01-20 Nokia Corporation Admission control with directional antenna
US7321576B2 (en) 2001-11-15 2008-01-22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compact representation of multi-code signaling in communication systems
AU2002368163A1 (en) * 2002-08-05 2004-02-25 Nokia Corporation Transmission diversity with two cross-polarised antennas arrays
US7277730B2 (en) * 2002-12-26 2007-10-02 Nokia Corporation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s in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976489B1 (ko) 2003-10-01 2010-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의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 적용되는데이터의 변조 및 코딩 방식 제어 방법
CN100581075C (zh) * 2004-04-07 2010-01-13 Lg电子株式会社 Mimo系统中下行链路控制信号的发送方法
US8457152B2 (en) 2004-07-16 2013-06-0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modulation schemes in single rate layer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649959B2 (en) 2004-09-27 2010-01-19 Nokia Corporation Transmission format indication and feedback in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06055719A2 (en) * 2004-11-16 2006-05-26 The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Precoding system and method for multi-user transmission in multiple antenna wireless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8712A2 (en) * 2004-11-04 2006-05-11 Nokia Corporation Closed-loop signalling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transmit beams and correspondingly adapted transceiver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06764T1 (de) 2011-05-15
US20100035565A1 (en) 2010-02-11
CN101523756A (zh) 2009-09-02
CN101523756B (zh) 2014-02-26
JP2010506448A (ja) 2010-02-25
EP2074708B1 (en) 2011-04-20
JP5068820B2 (ja) 2012-11-07
EP2074708A1 (en) 2009-07-01
US8331878B2 (en) 2012-12-11
DE602007014085D1 (de) 2011-06-01
TW200830763A (en) 2008-07-16
WO2008041166A1 (en) 2008-04-10
KR20090058537A (ko) 2009-06-09
TWI436608B (zh) 201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665B1 (ko) 변수의 빔을 갖는 mimo 시스템에서의 효율적 cqi 신호발신
US7688979B2 (en) MIMO air interface utilizing dirty paper coding
US8588116B2 (en) Efficient CQI signaling in multi-beam MIMO systems
CN101789849B (zh) 信道状态信息的反馈传输方法及用户终端
CN102474383B (zh) 无线通信装置和无线通信方法
RU2560806C2 (ru) Устройство терминальной станции, устройство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US20170237522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2122979B (zh) 信号发送方法、设备及系统
CN102291218A (zh) 信道状态信息反馈资源分配方法和信道状态信息反馈方法
WO2005050886A2 (en) Flexible rate split method for mimo transmission
TWI446740B (zh) 在多重輸出入背景中的通信方法
CN101232478A (zh) 选择配对数据流及对应预编码向量的方法及设备
TWI458281B (zh) 於多重輸出入背景中的通信方法
US75961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te compatible dirty paper coding
KR101448639B1 (ko) 다중 셀 환경에서 다수의 기지국이 협력하여 데이터를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WO2010032968A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identifying transmit power value in multi-user mimo
CN101512930B (zh) 带有可变数量波束的mimo系统中的高效cqi信令
KR101630460B1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레이어 쉬프팅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3096475B (zh) 一种联合发射中资源分配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