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520B1 - 차량용 평판형 스피커 및 이를 갖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평판형 스피커 및 이를 갖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520B1
KR101483520B1 KR1020140028603A KR20140028603A KR101483520B1 KR 101483520 B1 KR101483520 B1 KR 101483520B1 KR 1020140028603 A KR1020140028603 A KR 1020140028603A KR 20140028603 A KR20140028603 A KR 20140028603A KR 101483520 B1 KR101483520 B1 KR 101483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speaker
vehicle
audio sign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완
Original Assignee
레이어드사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어드사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레이어드사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8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520B1/ko
Priority to JP2014054515A priority patent/JP5758021B1/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preventing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4Manufacturing aspects of the magnetic circuit of loudspeaker or microphon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차량용 평판형 스피커로서 프레임, 자석부, 진동부, 코일부, 제1 부착 부재를 포함한다. 자석부는 프레임에 내장되며, 유동 공간을 갖는다. 진동부는 자석부의 유동 공간에 일측이 삽입되어 유동 공간 내에서 유동한다. 코일부는 진동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진동부를 진동시킨다. 제1 부착 부재는 일측은 진동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차량의 필러에 결합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평판형 스피커 및 이를 갖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Distribution Mode Speaker for Vehicle and Vehicle Audio System therewith}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용 평판형 스피커 및 이를 갖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 오디오 시스템은 여러 개의 피스톤형 스피커(메인 피스톤형 스피커와 다수의 보조 피스톤형 스피커들)들을 차량 내부의 전면, 측면, 후면 등에 설치하여, 피스톤형 스피커들의 음량을 조절 또는 조화시키면서 최적의 음향을 만들어내고 있다.
종래의 차량 오디오 시스템은 보조 스피커에 의해 음향의 조화가 만들고 있기는 하지만, 보조 스피커도 피스톤형 스피커이기 때문에 출력되는 음향들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여 음질이 떨어지고,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는 출력이 크게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출력을 높여도 고음질의 음향을 만들어 내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차량 오디오 시스템이 안고 있는 음질 최적화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음질을 높이고, 음향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며, 낮은 출력에도 고음질의 음향을 만들어낼 수 있는 차량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 구성을 충분히 활용하는 차량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용 평판형 스피커는 프레임, 자석부, 진동부, 코일부, 제1 부착 부재를 포함한다.
자석부는 프레임에 내장되며, 그 내부에 상하 방향의 유동 공간을 갖는다.
진동부는 자석부의 유동 공간에 일측이 삽입되어 유동 공간 내에서 유동한다.
코일부는 진동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진동부를 진동시킨다.
제1 부착 부재는 일측이 진동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차량의 필러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평판형 스피커는 결합 보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보강 부재는 일측이 진동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1 부착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며, 그 폭이 진동부의 폭보다 넓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평판형 스피커는 다수의 결합 부재와 각 결합 부재에 결합되는 제2 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는 프레임에서 필러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제2 부착 부재는 일측이 결합 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은 필러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은 제1 증폭부, 제2 증폭부, 피스톤형 스피커, 평판형 스피커를 포함한다.
제1 증폭부는 입력 오디오 신호를 제1 비율로 증폭하여 피스톤형 스피커로 출력한다. 여기서, 피스톤형 스피커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우퍼 스피커일 수 있다.
제2 증폭부는 입력 오디오 신호를 제2 비율로 증폭하여 평판형 스피커로 출력한다. 여기서, 평판형 스피커는 프레임, 자석부, 진동부, 코일부, 제1 부착 부재를 포함한다. 자석부는 프레임에 내장되며, 유동 공간을 갖는다. 진동부는 자석부의 유동 공간에 일측이 삽입되어 유동 공간 내에서 유동한다. 코일부는 진동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진동부를 진동시킨다. 제1 부착 부재는 일측이 진동부에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차량의 필러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에서, 제1 비율과 제2 비율은 피스톤형 스피커의 출력 음량이 평판형 스피커의 출력 음량보다 높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은 출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출력 제어부는 피스톤형 스피커의 출력 음량이 평판형 스피커의 출력 음량보다 높도록 제1 비율과 제2 비율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에서, 피스톤형 스피커의 출력 음량과 평판형 스피커의 출력 음량의 차이는 1 ~ 10 데시벨(dB)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평판형 스피커에 따르면, 평판형 스피커를 차량의 필러, 예를들어 프런트 필러(front pillar)에 설치하여 필러를 떨림판으로 사용함으로써, 평판형 스피커의 설치가 간단하고 설치비용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를 이용한 차량 오디오 시스템에 따르면, 가청 주파수 범위에서 음질이 크게 개선되어, 낮은 출력에도 고음질의 음향을 느낄 수 있다. 그 결과, 차량 내에 설치된 우퍼 스피커의 수가 적거나 음질이 떨어져도, 평판형 스피커의 동시 사용으로 인해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음질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a~1c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를 차량 필러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a~3d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를 갖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의 제1~4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1b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의 사시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의 단면도이다.
도 1a~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형 스피커는 프레임(10), 자석부(20), 진동부(30), 코일부(35), 결합 보강 부재(50), 제1 부착 부재(55), 결합 부재(60), 제2 부착 부재(65) 등을 포함한다.
프레임(10)은 자석부(20), 진동부(30), 코일부(35) 등의 외부를 둘러싸서, 평판형 스피커의 외형을 구성한다. 재질은 강화 플라스틱, 금속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자석부(20)는 그 내부에 유동 공간을 가지며, 유동 공간은 보통 하방으로 패인 원형 절결홈의 형태로 구성된다. 유동 공간에는 진동부(30)의 일부와 코일부(35)가 삽입된다.
자석부(20)는 영구 자석을 보통 사용하며, 그 재료는 알니코, 페라이트, 네오디뮴(NdFeB)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네오디뮴은 소형으로도 강한 자장을 만들 수 있고 기계적 강도도 높아 잘 깨지지 않는다. 네오디뮴은 자석부(20)의 부피를 줄여 평판형 스피커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차량 내부와 같은 좁은 공간에 평판형 스피커를 탑재할 때 유용하다.
진동부(30)는 자석부(20)의 유동 공간에 그 일부가 유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진동부(30)는 코일부(35)의 움직임과 같은 방향으로 유동하며, 코일부(35)의 진폭만큼 진동부(30)도 상하 운동한다. 진동부(30)는 음을 생성하는 핵심 부분으로서, 경량의 박막 재질로 구성하는데, 종이, 플라스틱, 합금소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종이는 부드럽고 따뜻한 음질을 생성하고, 플라스틱, 금속 등은 경질적이고 차가운 음질을 생성한다.
댐퍼(30)는 진동부(30)의 보호대로서, 일종의 스프링과 같은 역할을 한다. 즉, 댐퍼(30)는 진동부(30)와 코일부(35)가 과도하게 진동하여 이상음을 생성하는 것을 방지한다. 댐퍼(30)는 보통 거미줄 형태로 구성되고, 탄성을 갖는데, 예를들어 주름진 황색 면사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코일부(35)는 음 재생 신호(전기 신호)가 흐르는 부분이다. 코일부(35)는 진동부(30)의 중심부에 접합되어 있고, 그 일부는 자석부(20)에 내장된다. 앰프에서 만들어진 음 재생 신호가 코일부(35)를 통과할 때, 자석부(20)의 자기장에 의해 코일부(35)가 상하로 유동하고, 이때 일측이 코일부(35)에 결합된 진동부(30)도 같은 방향으로 유동한다.
결합 보강 부재(50)는 진동부(30)의 단부를 차량의 필러(80)에 부착할 때, 그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진동부(30)의 단부 단면보다 폭이 넓게 구성된다. 예를들어, 결합 보강 부재(5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형 고리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결합 보강 부재(50)는 진동부(30)의 단부에 접착재 등으로 결합되거나, 진동부(30)와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부착 부재(55)는 일종의 접착재로서, 일측은 결합 보강 부재(50)의 개방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차량의 필러(80)에 결합된다.
제1 부착 부재(55)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 부착 부재(55)의 개방면에는 종이 등의 보호 커버(70)가 부착될 수 있다.
결합 부재(60)는 다수의 돌출부 또는 일체로 구성된 하나의 돌출부로 구성할 수 있다. 결합 부재(60)는 진동부(30)의 측방 및 프레임(10)의 전방, 즉 필러(80)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결합 부재(60)는 그 높이를 진동부(30)의 돌출 높이, 또는 진동부(30)에 결합 보강 부재(50)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진동부(30)와 결합 보강 부재(50)의 돌출 높이에 대응되게 그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결합 부재(60)는 프레임(10)에 별도로 결합되는 형태일 수도 있고, 프레임(10)과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2 부착 부재(65)는 결합 부재(60)의 개방면에 결합되며, 그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제1 부착 부재(55)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위의 제1 부착 부재(55)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를 차량 필러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필러(80)는 차량의 지붕을 받쳐 주면서 차의 강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차량 부품으로, 대략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다. 필러(80)는 차량의 종류나 사양에 따라 그 형태가 다양하다. 필러(80)는 3개로 구분될 수 있는데, 앞 유리와 옆 유리 사이에 장착되는 프런트 필러(front pillar), 앞문과 뒷문 사이에 장착되는 센터 필러(center pillar), 그리고 뒷 유리와 옆 유리 사이에 장착되는 리어 필러(rear pillar)가 그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는 프런트 필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부착 부재(55)는 프런트 필러(80)에 부착되는데, 상세하게는 프런트 필러의 철 구조물(기둥) 보다는 철 구조물을 둘러싸는 필러 마감재에 부착된다. 여기서, 필러 마감재는 보통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다.
필러(80)는 제1 부착 부재(55) 또는 제1 부착 부재(55)와 보강 결합 부재(60)를 경유하여 진동부(30)에 결합되어, 진동부(30)의 진동에 의해 같이 진동하면서 음을 생성하는 떨림판으로 기능한다.
도 3a~3d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를 갖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의 제1~4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a는 개별 앰퍼를 이용하여 각 스피커의 출력 레벨을 조절하는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오디오 시스템은 피스톤용 앰퍼(110), 피스톤형 스피커(112), 평판용 앰퍼(120), 평판형 스피커(122), 출력 레벨 비교부(130), 앰퍼 제어부(140) 등을 포함한다.
피스톤용 앰퍼(110)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증폭 또는 감폭한다. 피스톤용 앰퍼(110)는 증폭 또는 감폭의 비율을 결정하는 제어신호를 앰퍼 제어부(140)로부터 수신한다.
피스톤형 스피커(112)는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피스톤형 스피커(112)는 우퍼가 앞뒤로 피스톤 운동을 하여 소리를 방사하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 차량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우퍼 스피커들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평판용 앰퍼(120)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증폭 또는 감폭한다. 평판용 앰퍼(120)의 증폭 또는 감폭의 비율을 결정하는 제어신호를 앰퍼 제어부(140)로부터 수신한다.
평판형 스피커(122)는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평판형 스피커(122)는 위에서 설명한 도 1a,1b,2a,2b의 평판형 스피커를 사용한다. 평판형 스피커(122)는 필러(80)의 무작위 진동에 의해 음을 생성하며, 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피스톤형 스피커(112)의 음향을 보완하여 전체 음질을 개선시킨다.
출력 레벨 비교부(130)는 피스톤형 스피커(11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과 평판형 스피커(12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각각 추출하고, 2개의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비교한 후 그 결과를 앰퍼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출력 레벨 비교부(130)가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비교한 후 그 결과를 앰퍼 제어부(14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검출된 각 오디오 신호의 레벨 값을 그대로 앰퍼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고, 이 경우 앰퍼 제어부(140)가 2개의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비교하고, 그에 따라 제어신호를 피스톤용 앰퍼(110) 또는 평판용 앰퍼(120)로 전송할 수 있다.
앰퍼 제어부(140)는 피스톤형 스피커(11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과 평판형 스피커(12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 비교 결과를 출력 레벨 비교부(130)로부터 수신한다. 비교 결과에서, 피스톤형 스피커(11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이 평판형 스피커(12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과 같거나 아래로 떨어지면, 피스톤용 앰퍼(110)로 증폭 제어신호를 전송하거나 평판용 앰퍼(120)로 감폭 제어신호를 전송하여,피스톤형 스피커(11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이 평판형 스피커(12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피스톤형 스피커(112)와 평판형 스피커(122)에 의해 합성되는 음향은 피스톤형 스피커(11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이 평판형 스피커(12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보다 1 ~ 10 데시벨(dB) 만큼 높을 때, 바람직하게는 2 ~ 8 데시벨(dB) 만큼 높을 때 최적의 음향이 만들어진다.
앰퍼 제어부(140)는 출력 레벨 비교부(130)로부터 수신한 비교 결과를 일정 비율로 가감하여 레벨 차이를 보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로 들어가는 출력신호의 레벨이 높으면, 스피커를 통하여 나오는 음량도 커진다. 그런데, 같은 피스톤형 스피커들도 스피커의 종류, 크기, 임피던스 등에 따라 실제 음량 레벨이 달라질수 있다. 특히, 평판형 스피커는 피스톤형 스피커와 비교하여 같은 크기의 출력신호가 들어가도 효율면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원하는 음량을 얻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앰퍼 제어부(140)는 출력 레벨 비교부(130)로부터 수신한 비교 결과를 그대로 이용하지 않고, 피스톤형 스피커(112)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레벨을 일정 비율만큼 더 낮게, 또는 평판형 스피커(12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일정 비율만큼 더 높여, 피스톤형 스피커(112)와 평판형 스피커(122)의 음향을 들을 때 실제 느끼는 음량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는 메인 앰퍼에서 피스톤형 스피커로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분기하여 평판형 스피커로 전송하는 보조 앰퍼를 구비한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b에 도시한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은, 메인 앰퍼(420)에서 출력되어 피스톤형 스피커(11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분기하여 평판형 스피커(122)로 입력시키는 구성을 가지며, 여기에 평판형 스피커(122)의 음량 레벨을 조절하는 보조 앰퍼(430)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도 3b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은 프리 앰퍼(410), 메인 앰퍼(420), 피스톤형 스피커(112), 평판용 보조 앰퍼(430), 평판형 스피커(122) 등을 포함한다.
프리 앰퍼(410)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일정 비율로 증폭한다.
메인 앰퍼(420)는 프리 앰퍼(4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일정 비율로 증폭하여 피스톤형 스피커(112)로 전송한다. 프리 앰퍼(4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이 일반적으로 낮고, 또한 피스톤형 스피커(112)의 용량이나 청취자의 취향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을 다시 조절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메인 앰퍼(420)는 피스톤형 스피커(112)의 출력 음량을 최종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평판용 보조 앰퍼(430)는 메인 앰퍼(420)에서 출력되어 피스톤형 스피커(11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서 분기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분기되어 평판용 보조 앰퍼(430)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메인 앰퍼(420)에서 피스톤형 스피커(11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특성을 갖는 동일 오디오 신호이다. 이와 같이, 메인 앰퍼(420)에서 피스톤형 스피커(112)로 입력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평판용 스피커(122)의 입력 오디오 신호로 사용하는 것은, 이상적인 조건에서 피스톤형 스피커(11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평판형 스피커(12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동일한 주파수 특성을 가질 때, 피스톤형 스피커(112)와 평판형 스피커(122) 사이에서 최적의 음향 조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이 피스톤형 스피커(112)로 입력되는 신호를 분기한 오디오 신호를 평판용 스피커(122)의 입력 오디오 신호로 사용할 경우에는, 평판용 보조 앰퍼(430)의 레벨이 일정하게 세팅되어 있으면 메인 앰퍼(420)의 레벨 조정에 따라 평판형 스피커(122)의 출력 레벨도 자동으로 연동되어 변하므로, 평판형 보조 앰퍼(430)에서 레벨 조정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어질 수도 있다. 물론, 메인 앰퍼(420)의 레벨이 조정되는 과정에서 피스톤형 스피커(112)의 출력 음량과 평판형 스피커(122)의 출력 음량이 비례하여 조정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평판용 보조 앰퍼(430)의 레벨을 별도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도 3c는 도 3b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에 평판용 이퀄라이저가 추가 구비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용 이퀄라이저(440)는 메인 앰퍼(420)에서 분기되어 평판형 스피커(12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색(tone)을 조절한다. 평판용 이퀄라이저(440)는 평판용 보조 앰퍼(430)와 별개로 구비되거나, 평판형 보조 앰퍼(443)와 일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평판형 스피커(122)를 위한 이퀄라이저(440)를 별도로 구비하는 이유는 필러(80)의 내부면을 평판형 스피커의 일부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필러(80) 부분의 소재는 차종 별로 다르며, 이로 인해 사운드 익사이터에 동일한 주파수 특성의 오디오 신호를 인가하더라도, 필러 소재의 차이로 인해 재생 주파수의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사운드 익사이터로 보내지는 오디오 신호의 음색을 조절할 평판용 이퀄라이저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도 3c에서 평판용 이퀄라이저(4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도 3b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도 3b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3d는 도 3c에 도시한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에서 분기부가 구비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분기부(450)는 메인 앰퍼(420)에서 피스톤형 스피커(11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분기하여 평판용 보조 앰퍼(430)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분기부(450)는 메인 앰퍼(420)에 잭(jack)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오디오 신호를 분기하는 오디오 링크를 별도로 구비하여 메인 앰퍼(420)와 피스톤형 스피커(112)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분기부(450)에서 분기되어 보조 앰퍼(430)로 보내지는 오디오 신호는 메인 앰퍼(420)에서 피스톤형 스피커(11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동일하다는 점이다.
도 3d에서 분기부(45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도 3c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도 3c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3b~3d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에서, 평판용 보조 앰퍼(430)와 평판용 이퀄라이저(440)를 차량 종류, 주변소음 정도 등에 맞추어 조절해 놓으면, 프리 앰퍼(410)와 메인 앰퍼(420)의 증폭율을 조절할 때, 평판용 보조 앰퍼(430)와 평판용 이퀄라이저(440)의 조절을 따로 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프리 앰퍼(410)와 메인 앰퍼(420)의 증폭율이 조절될 때, 프리 앰퍼(410), 메인 앰퍼(420), 피스톤형 스피커(112)의 구성들과 차량 환경으로 인해 평판용 보조 앰퍼(430)나 평판용 이퀄라이저(440)가 비례적으로 연동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평판용 보조 앰퍼(430)나 평판용 이퀄라이저(440)를 별도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
도 3a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에서, 출력 레벨 비교부가 출력 오디오 신호, 즉 전기적 신호를 가지고 피스톤형 스피커와 평판형 스피커의 실제 음량 크기를 추정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피스톤형 스피커와 평판형 스피커의 실제 음량을 감지하는 음량 감지 장치를 구비하고, 그 음량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각 스피커의 실제 음량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앰퍼 제어부가 피스톤형 앰퍼 또는 평판용 앰퍼의 증폭율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b~3d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에서, 평판형 스피커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제어할 때, 보조 앰퍼는 피스톤형 스피커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감폭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그러나, 분기하는 과정이나 전송 과정에서 오디오 신호의 레벨이 감소할 수 있고, 특히 평판형 스피커는 피스톤형 스피커와 비교하여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음량으로 충분히 재생하지 못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평판용 보조 앰퍼는 분기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한 후 평판형 스피커로 전송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여러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당업자라면, 이러한 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다른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므로, 그러한 변형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 : 프레임 20 : 자석부
30 : 진동부 31 : 댐퍼
35 : 코일부 50 : 결합 보강 부재
55 : 제1 부착 부재 60 : 결합 부재
65 : 제2 부착 부재 70, 75 : 보호 커버
80 : 필러 122 : 평판형 스피커

Claims (5)

  1. 차량용 평판형 스피커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내장되며, 유동 공간을 갖는 자석부;
    상기 자석부의 유동 공간에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유동 공간 내에서 유동하는 진동부;
    상기 진동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부를 진동시키는 코일부;
    일측은 상기 진동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차량의 필러에 결합되는 제1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평판형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진동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 부착 부재의 상기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진동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결합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평판형 스피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필러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 부재;
    일측은 상기 결합 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필러에 결합되는 제2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평판형 스피커.
  4.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오디오 신호를 제1 비율로 증폭하여 피스톤형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1 증폭부;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제2 비율로 증폭하여 평판형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2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율과 상기 제2 비율은 상기 피스톤형 스피커의 출력 음량이 상기 평판형 스피커의 출력 음량보다 크고,
    상기 평판형 스피커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내장되며, 유동 공간을 갖는 자석부;
    상기 자석부의 유동 공간에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유동 공간 내에서 유동하는 진동부;
    상기 진동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부를 진동시키는 코일부;
    일측은 상기 진동부에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차량의 필러에 결합되는 제1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율과 제2 비율을 조절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KR1020140028603A 2014-03-11 2014-03-11 차량용 평판형 스피커 및 이를 갖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KR101483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603A KR101483520B1 (ko) 2014-03-11 2014-03-11 차량용 평판형 스피커 및 이를 갖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JP2014054515A JP5758021B1 (ja) 2014-03-11 2014-03-18 車両用平板型スピーカ及びそれを有する車両用オーディオ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603A KR101483520B1 (ko) 2014-03-11 2014-03-11 차량용 평판형 스피커 및 이를 갖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520B1 true KR101483520B1 (ko) 2015-01-16

Family

ID=52590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603A KR101483520B1 (ko) 2014-03-11 2014-03-11 차량용 평판형 스피커 및 이를 갖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758021B1 (ko)
KR (1) KR1014835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616U (ko) * 1996-12-18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용 오디오(Audio) 스피커(Speaker)의 구조
KR200394800Y1 (ko) * 2005-05-23 2005-09-07 주식회사 한양카오디오 위성 반전용 스피커의 이동 부착기
KR20110002078U (ko) * 2009-08-24 2011-03-03 동관 에버빅토리 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카오디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4793A (ja) * 2003-06-26 2005-01-20 Daiwa Kasei Ind Co Ltd 車両用スピーカ装置
JP2007306205A (ja) * 2006-05-10 2007-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グループ通話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616U (ko) * 1996-12-18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용 오디오(Audio) 스피커(Speaker)의 구조
KR200394800Y1 (ko) * 2005-05-23 2005-09-07 주식회사 한양카오디오 위성 반전용 스피커의 이동 부착기
KR20110002078U (ko) * 2009-08-24 2011-03-03 동관 에버빅토리 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카오디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73427A (ja) 2015-10-01
JP5758021B1 (ja)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0440B2 (en) Chair equipped with a speaker
KR101340704B1 (ko)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를 위한 스피커 시스템
US6031919A (en) Loudspeaker system an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JPWO2013114864A1 (ja) イヤホン
JP2009159120A (ja) 自動車用スピーカー
CN101534462A (zh) 用于声频信号到达同步的偏移障板
US20160173972A1 (en) Sealed Speaker System Having a Pressure Vent
EP1263263A3 (en) Audio apparatus
JP4627973B2 (ja) スピーカ装置
KR101483520B1 (ko) 차량용 평판형 스피커 및 이를 갖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JP5588752B2 (ja) 透明音響壁体
CN102047690A (zh) 扬声器
JP3926833B1 (ja) スピーカ装置
WO2018189713A3 (en) Vehicular acoustic environmental system
JP2004015566A (ja) 車載用スピーカ
US9351079B2 (en) Flat subwoofer
WO2020080311A1 (ja) 音響出力装置
JP2014075617A (ja) 低音再生装置、及び、低音再生方法
CN101483796B (zh) 头戴式受话器
JP6597986B1 (ja) 低音域で熱損失を変えず駆動電力を大きくでき、かつ再生特性を改善するスピーカーシステム
JP2002078052A (ja) 車載スピーカー装置
KR101153933B1 (ko)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의 스피커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4214868B2 (ja) 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5311908A (ja) スピーカ装置
CN219421019U (zh) 可补偿的气动式单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