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506B1 -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 - Google Patents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506B1
KR101483506B1 KR20130042448A KR20130042448A KR101483506B1 KR 101483506 B1 KR101483506 B1 KR 101483506B1 KR 20130042448 A KR20130042448 A KR 20130042448A KR 20130042448 A KR20130042448 A KR 20130042448A KR 101483506 B1 KR101483506 B1 KR 101483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piece
teeth
fixing groove
tooth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5007A (ko
Inventor
박균섭
Original Assignee
박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균섭 filed Critical 박균섭
Priority to KR20130042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506B1/ko
Priority to PCT/KR2013/012159 priority patent/WO2014171611A1/ko
Publication of KR20140125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63B23/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치아에 의해 눌려질 수 있도록, 마우스피스의 윗면 및 아랫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돌기부는 마우스피스를 누르는 치아와의 접촉면 상의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개골 봉합부에서의 선택적 운동이 가능해짐으로써 뇌의 특정 부위에서의 물리적 자극이 선택적으로 가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Mouthpiece for Exercising Cranium}
본 발명은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개골 봉합부에서의 선택적 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뇌의 특정 부위에 물리적 자극이 선택적으로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뇌운동이라 하면 일반적으로 치매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머리를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뇌를 감싸고 있는 두개골의 봉합부의 이격 간격을 넓히고 좁힘으로써, 두개골 봉합부를 운동시키고 그에 따라 두개골 내부에 위치한 뇌의 수축 팽창을 통해 뇌자극을 유도하는 운동 방법은 전혀 소개된 바가 없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두개골 봉합부의 운동 및 그에 따른 뇌운동이 가능하다면 뇌의 각 부위에 대응되는 신체 기능의 개선 뿐만 아니라, 뇌 기능 개선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개골 봉합부에서의 선택적 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뇌의 특정 부위에 물리적 자극이 선택적으로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는, 두개골 봉합부의 운동에 사용되는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사용자의 치아에 의해 눌려질 수 있도록, 상기 마우스피스의 윗면(110) 및 아랫면(130)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마우스피스를 누르는 치아와의 접촉면(A) 상의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는, 상기 좌측면 및 상기 우측면 중 어느 한 측면상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윗니(15)가 삽입되는 윗니 고정홈(150), 및 상기 윗니(15)와 맞물리는 아랫니(17)가 삽입되며, 상기 윗니 고정홈(150)의 아래쪽에서 연장 형성되는 아랫니 고정홈(1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윗니 고정홈(150)의 가로 중심선과 상기 아랫니 고정홈(170)의 가로 중심선은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구강 전용 실리콘, ABS 수지, EVA 수지, GOP 수지, 및 엘라스토마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는, 두개골 봉합부의 운동에 사용되는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사용자의 윗니(15)가 삽입되는 윗니 고정홈(150); 및 상기 윗니(15)와 맞물리는 아랫니(17)가 삽입되며, 상기 윗니 고정홈(150)의 아래쪽에서 연장 형성되는 아랫니 고정홈(170)을 포함하며, 상기 윗니 고정홈(150)의 가로 중심선과 상기 아랫니 고정홈(170)의 가로 중심선은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치아에 의해 눌려질 수 있도록, 상기 마우스피스의 윗면(110) 및 아랫면(130)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마우스피스를 누르는 치아와의 접촉면(A) 상의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좌측면 및 상기 우측면 중 어느 한 측면상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구강 전용 실리콘, ABS 수지, EVA 수지, GOP 수지, 및 엘라스토마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개골 봉합부에서의 선택적 운동이 가능해짐으로써 뇌의 특정 부위에서의 물리적 자극이 선택적으로 가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서의 접촉면(A)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서의 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의 다른 제작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6은 도 5에서의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개골 봉합부의 운동용 마우스피스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사람의 두개골은 후두골·접형골·측두골·두정골·전두골·사골(篩骨)·하비갑개(下鼻甲介)·누골·비골·서골(鋤骨) 등의 1O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뼈들이 서로 맞닿아 결합되는 결합선인 두개골 봉합부는 복수개가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치아(10)에 가해지는 힘은 힘이 가해진 치아(10)의 위치에 따라 복수개의 봉합부 중 특정 위치의 봉합부에 힘을 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 1에서와 같은 치아(10)의 상면의 어느 부위에 힘이 가해지는지에 따라 해당 치아(10)와 대응되는 봉합부에 전달되는 힘의 방향이 달라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치아(10)의 상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가해지는 힘은, 뇌의 시상면(sagittal) 방향으로의 힘이 해당 봉합부에 가해지게 하며, 치아(10)의 상면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가해지는 힘은, 뇌의 수평면(horizontal) 방향으로의 힘이 해당 봉합부에 가해지게 하고, 치아(10)의 앞방향(입술 방향) 또는 뒷방향(목젓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뇌의 관상면(coronal) 방향으로의 힘이 해당 봉합부에 가해지게 한다.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치아(10)의 상면을 4분면으로 나눈 경우에 각 분면에 가해지는 힘은 시상면(sagittal) 방향과 수평면(horizontal) 방향의 벡터의 합의 방향으로의 힘이 해당 봉합부에 가해지게 한다.
즉, 힘을 가해지는 치아(10)를 선택함으로써 연관된 힘이 가해지는 봉합부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해당 봉합부의 봉합선이 놓인 방향에 따라서, 해당 치아(10)의 어느 부위에 힘을 가할지를 결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해당 봉합부가 미세하게 열렸다 닫히는 방식의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두개골 내부의 뇌의 수축 및 팽창이 반복됨으로써 뇌운동을 통해 뇌자극 개선 및 뇌기능 개선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100)는 사용자의 윗니(15)에 의해 눌려지는 윗면(110) 중 특정 치아(10)에 의해 눌려지는 부위인 접촉면(A)에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마우스피스(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치아(10)에 힘을 가하는 경우에 해당 치아(10)에 대응되는 두개골 봉합부가 운동되도록 한다.
한편, 돌기가 구비된 접촉면(A)은 마우스피스(100)의 윗면(110)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아랫니(17)가 접촉되는 마우스피스(100)의 아랫면(130)에도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접촉면(A)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100)는 접촉면(A)의 우측(a)에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착용시 해당 치아면의 우측면에 힘이 가해지게 되고, 접촉면(A)의 좌측(b)에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착용시 해당 치아면의 좌측면에 힘이 가해지게 되며, 접촉면(A)의 2사분면(c)에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착용시 해당 치아면의 우측면에 힘이 가해지게 되고, 접촉면(A)의 2사분면 및 4사분면(d)에 돌기가 함께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착용시 해당 치아면의 2사분면 및 4사분면에 함께 힘이 가해지게 된다.
그 외에도, 접촉면(A)의 상부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착용시 해당 치아의 상면의 상부면에 힘이 가해지게 되고, 접촉면(A)의 하부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착용시 해당 치아의 상면의 하부면에 힘이 가해지게 될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의 마우스피스(100)는 힘이 가해져야 하는 치아(10)의 특정 위치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모든 치아(10)를 통한 봉합부의 운동을 유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이지만, 잇몸 및 치열 전체를 에워싸는 도 1에서의 마우스피스(100)는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불편감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 증상에 따라, 운동이 필요한 두개골 봉합부 및 그에 따른 치아(10)가 특정되었다면, 해당 치아(10)에만 적용되는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100-1,100-2,100-3,100-4,100-5,100-6)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즉, 두개골 봉합부의 운동을 위해서는 도 2에서와 같이 부분적으로 제작된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100-1,100-2,100-3,100-4,100-5,100-6)가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100)는 치아(10)의 상면의 좌측면, 우측면,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선택적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뇌의 시상면(sagittal) 방향과 수평면(horizontal) 방향으로의 힘이 해당 봉합부에 가해지게 할 수는 있지만, 뇌의 관상면(coronal) 방향으로의 힘이 해당 봉합부에 가해지게 하는 치아(10)의 앞방향(입술 방향) 또는 뒷방향(목젓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유도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5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100)의 구조가 제안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100)는 맞물리는 한 쌍의 윗니(15)와 아랫니(17)가 삽입되도록 제작되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윗니(15)가 삽입되는 윗니 고정홈(150)과, 윗니(15)와 맞물리는 아랫니(17)가 삽입되며 윗니 고정홈(150)의 아래쪽에서 연장 형성되는 아랫니 고정홈(170)을 포함한다.
무엇보다도, 윗니(15)가 접촉하는 윗면(110)과 아랫니(17)가 접촉하는 아랫면(130)을 도 5에서와 같이 세로 방향(X)으로 이격되게 제작함으로써, 윗니(15)와 아랫니(17)에는 세로 방향(X)의 힘(치아의 앞방향(입술 방향) 또는 뒷방향(목젓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가해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윗니 고정홈(150)의 가로 방향(Y)의 중심선과 아랫니 고정홈(170)의 가로 방향(Y)의 중심선은 세로 방향(X)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도 6에서와 같이 마우스피스(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치아에 치아의 앞방향(입술 방향) 또는 뒷방향(목젓 방향)으로의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서의 마우스피스(100)의 윗면(110)과 아랫면(130)의 이격 방향을 반대로 바꾸어 제작함으로써, 윗니(15)와 아랫니(17)에 각각 가해지는 세로 방향(X)으로의 힘의 방향이 각각 전환되게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도 5에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100)는 도 5에서와 같이 한 쌍의 치아(10)에만 결합되도록 분리 제작할 수도 있지만, 도 2에서와 같이 일체로서 형성된 마우스피스(100)에서 특정한 한 쌍의 치아(10)가 삽입되는 위치만 선택적으로 윗면(110)과 아랫면(130)이 세로 방향(X)으로 이격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일체로서 형성된 마우스피스(100)에 도 2에와 같이 윗면(110) 또는 아랫면(130)에 돌기가 형성된 구조와 도 5에서와 같이 윗면(110)과 아랫면(130)이 세로 방향(X)으로 이격되는 구조가 각각 하나 이상씩 함께 적용된 마우스피스(100)를 제작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100) 및 돌기부는, 열 가소성 재료인 구강 전용 실리콘, ABS 수지, EVA 수지, GOP 수지, 및 엘라스토마 수지 등으로 일체로서 제작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치아, 15: 윗니,
17: 아랫니, 100: 마우스피스,
110: 윗면, 130: 아랫면,
150: 윗니 고정홈, 170: 아랫니 고정홈.

Claims (9)

  1. 두개골 봉합부의 운동에 사용되는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사용자의 치아에 의해 눌려질 수 있도록, 상기 마우스피스의 윗면(110) 및 아랫면(130)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돌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마우스피스를 누르는 치아와의 접촉면(A) 상의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윗니(15)가 삽입되는 윗니 고정홈(150), 및 상기 윗니(15)와 맞물리는 아랫니(17)가 삽입되며, 상기 윗니 고정홈(150)의 아래쪽에서 연장 형성되는 아랫니 고정홈(1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윗니 고정홈(150)의 가로 중심선과 상기 아랫니 고정홈(170)의 가로 중심선은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좌측면 및 상기 우측면 중 어느 한 측면상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것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구강 전용 실리콘, ABS 수지, EVA 수지, GOP 수지, 및 엘라스토마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
  5. 두개골 봉합부의 운동에 사용되는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사용자의 윗니(15)가 삽입되는 윗니 고정홈(150); 및
    상기 윗니(15)와 맞물리는 아랫니(17)가 삽입되며, 상기 윗니 고정홈(150)의 아래쪽에서 연장 형성되는 아랫니 고정홈(170)
    을 포함하며,
    상기 윗니 고정홈(150)의 가로 중심선과 상기 아랫니 고정홈(170)의 가로 중심선은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치아에 의해 눌려질 수 있도록, 상기 마우스피스의 윗면(110) 및 아랫면(130)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마우스피스를 누르는 치아와의 접촉면(A) 상의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것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좌측면 및 상기 우측면 중 어느 한 측면상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것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구강 전용 실리콘, ABS 수지, EVA 수지, GOP 수지, 및 엘라스토마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
KR20130042448A 2013-04-17 2013-04-17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 KR101483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2448A KR101483506B1 (ko) 2013-04-17 2013-04-17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
PCT/KR2013/012159 WO2014171611A1 (ko) 2013-04-17 2013-12-26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2448A KR101483506B1 (ko) 2013-04-17 2013-04-17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007A KR20140125007A (ko) 2014-10-28
KR101483506B1 true KR101483506B1 (ko) 2015-01-16

Family

ID=5173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2448A KR101483506B1 (ko) 2013-04-17 2013-04-17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83506B1 (ko)
WO (1) WO201417161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541A (ko) * 1999-03-26 2002-02-16 마사카즈 우에니시 마우스 피스
JP2005319254A (ja) 2004-05-08 2005-11-17 Junichiro Marutani 口腔清掃用マウスピース上下に同時に効果的な振動を与える装置
JP2005334104A (ja) 2004-05-25 2005-12-08 Satoshi Oshima マウスピース状のブラシ台の湾曲度を可変とする噛む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7179A (ja) * 1996-12-17 1998-06-23 J Morita Tokyo Mfg Corp 水中呼吸装置用マウスピース
WO2011014965A1 (en) * 2009-08-07 2011-02-10 Makkar Athletics Group Inc. Methods of preparing customized, neuromuscular mouthpieces for enhancing athletic performa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541A (ko) * 1999-03-26 2002-02-16 마사카즈 우에니시 마우스 피스
JP2005319254A (ja) 2004-05-08 2005-11-17 Junichiro Marutani 口腔清掃用マウスピース上下に同時に効果的な振動を与える装置
JP2005334104A (ja) 2004-05-25 2005-12-08 Satoshi Oshima マウスピース状のブラシ台の湾曲度を可変とする噛む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007A (ko) 2014-10-28
WO2014171611A1 (ko)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78749B (zh) 游泳面罩
TW201603758A (zh) 用以誘導腦脊液蛋白循環的枕頭
US20120231932A1 (en) Oral appliance for improving strength and balance
US10206760B2 (en) Orthodontics and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WO2017028682A1 (zh) 一种鼻假体及其制造方法
KR101121540B1 (ko)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US11007420B2 (en) Concussion retarding orthotic and method of producing the orthotic
US20130213412A1 (en) Mouthpiece for Athletic Performance Enhancement
JP2016067921A (ja) フルフェイスマスク用のマスククッション
KR101483506B1 (ko) 두개골 봉합부 운동용 마우스피스
KR102643742B1 (ko) 턱관절 안정장치
EP2896393A1 (en) Head relaxing pillow
ES2624240T3 (es) Método y aparato para fabricar un dispositivo ortésico, y dispositivo ortésico
KR101754716B1 (ko) 치아통증 방지기능을 구비한 스프린트
KR101616087B1 (ko)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FR2852978B1 (fr) Rail a semelle dissymetrique et application a la constitution d'une voie ferree
KR20130000070U (ko) 키높이와 휜다리 교정기능이 있는 신발깔창
Staudt et al. Extensive peri-lesional connectivity in congenital hemiparesis
KR200462551Y1 (ko) 땀 배출 모자
CN203208171U (zh) 脊椎矫正辅助装置
JP3032821B1 (ja) 可撤式床矯正装置における床拡張器
CN102845922B (zh) 防静电保健鞋
KR200407773Y1 (ko) 안면 근육 운동기구
RU8163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положения позвоночника
JP3229090U (ja) 舌のトレーニング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