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467B1 - 완구 - Google Patents
완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3467B1 KR101483467B1 KR20140044883A KR20140044883A KR101483467B1 KR 101483467 B1 KR101483467 B1 KR 101483467B1 KR 20140044883 A KR20140044883 A KR 20140044883A KR 20140044883 A KR20140044883 A KR 20140044883A KR 101483467 B1 KR101483467 B1 KR 1014834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housing
- projection
- tray
- mo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32—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motion-picture projection
- G03B21/321—Holders for films, e.g. reels, cassettes, spindl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2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opt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원형 경로를 따라 배치되도록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전동공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재질의 필름과; 일 영역에는 투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시공의 하측에는 트레이안내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면에는 필름안착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름이 상기 필름안착면에 탑재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상기 필름의 하측 방향에서 상기 필름에 형성된 이미지의 일부에 빛을 투사할 수 있도록 투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름안착면에는 상기 전동공에 정렬되도록 전동돌부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사홈이 상기 투시공에 정렬되는 투영위치와 상기 필름안착면이 상기 트레이안내슬롯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필름탑재위치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트레이바디부와, 상기 트레이바디부가 상기 투영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하우징에 접촉하여 상기 트레이바디부가 상기 투영위치를 넘어 회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바디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트레이스토퍼를 갖는 트레이와; 상단이 상기 투시공에 연통하고 하단이 상기 트레이안내슬롯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바디부가 상기 투영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필름의 이미지 형성영역이 관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필름안내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투영관과; 종단에 전동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가지고, 상기 전동돌부가 상기 전동돌부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전동공의 내주면과 걸림작용을 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필름회전구동부와; 상기 필름안내슬롯을 통해 상기 투영관의 내부에 진입한 상기 필름의 이미지 형성영역을 향해 하방향으로부터 상기 투시공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발광체를 갖는 발광부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동작과 상기 발광체의 발광동작을 온오프조작하기 위한 온오프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필름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필름을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발광체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이용하여 필름에 형성된 여러 가지 이미지를 벽면과 같은 투영면에 비출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완구에 관한 것이다.
완구는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물건으로서, 이들 완구의 하나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발광체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이용하여 필름에 형성된 여러 가지 이미지를 벽면과 같은 투영면에 비출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완구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23 및 도24는 각각 종래 완구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완구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경로를 따라 배치되도록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는 필름(111)과, 중공(中空)의 하우징(120)과, 하우징(120)에 설치된 발광조작버튼(114), 필름회전조작부(160), 발광체(112), 영상확대렌즈(115) 및 배터리(116)를 갖고 있다.
필름(111)은 중앙영역에 결합공(111a)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공(111a)을 통해 후술하는 회전체(165)에 결합되어 있다.
발광조작버튼(114)은 배터리(116)와 발광체(112)사이에 개재된 도전재질의 탄성편(119)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우징(120)에 설치되어 있다.
발광조작버튼(114)의 가압동작시 탄성편(119)에 의해 배터리(116)와 발광체(112)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필름회전조작부(160)는 판회전조작버튼(161)과, 판회전조작버튼(161)의 누름조작시 지지축(16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하우징(120)의 내부에 설치된 작동바(163)와, 작동바(163)의 종단에 형성된 누름쇠(164)와, 누름쇠(164)의 종단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체(165)와, 누름쇠(164)에 결합된 탄성체(166)를 갖고 있다.
발광체(112)는 발광조작버튼(114)을 통해 배터리(116)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완구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필름(111)은 회전체(165)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발광조작버튼(114)을 가압하여 온상태로 조작한다.
발광조작버튼(114)이 가압조작되면 발광체(112)는 발광한다.
다음에 판회전조작버튼(161)을 누름조작한 후 누름해제시킨다. 판회전조작버튼(161)에 대한 누름조작상태가 해제되면 탄성체(166)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작동바(163)와 판회전조작버튼(161)은 원위치로 복귀한다.
판회전조작버튼(161)이 누름조작된 동안 작동바(163)는 회동한다.
작동바(163)가 회동하면 누름쇠(164)에 의해 회전체(165)가 회전한다. 작동바(163)가 회동하는 동안 탄성체(166)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회전체(165)가 회전할 때 필름(111)도 함께 회전한다.
발광조작버튼(114)과 판회전조작버튼(161)이 온상태로 조작되면 필름(111)에 형성된 이미지 중 하나가 영상확대렌즈(115)를 통과하여 벽면과 같은 투영면에 표시된다.
다음에 다시 판회전조작버튼(161)을 누름조작한 후 누름해제시킨다.
판회전조작버튼(161)이 다시 누름조작되면 필름(111)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필름(11)에 형성된 이미지 중 다른 하나가 영상확대렌즈(115)를 통과하여 벽면과 같은 투영면에 표시된다.
이미지 보기가 완료되면 발광조작버튼(114)을 오프조작한다.
발광조작버튼(114)이 오프조작되면 발광체(112)의 발광동작이 중지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완구는 2001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3951호(고안의 명칭 : 필름놀이용 영사기 완구)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완구에 따르면, 하우징(120)이 개방한 후 필름(111)을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필름(111)을 교체할 수 없거나 교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판회전조작버튼(161)을 누름조작하여 필름(111)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필름(111)을 회전시키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필름을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원형 경로를 따라 배치되도록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전동공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재질의 필름과; 일 영역에는 투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시공의 하측에는 트레이안내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면에는 필름안착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름이 상기 필름안착면에 탑재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상기 필름의 하측 방향에서 상기 필름에 형성된 이미지의 일부에 빛을 투사할 수 있도록 투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름안착면에는 상기 전동공에 정렬되도록 전동돌부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사홈이 상기 투시공에 정렬되는 투영위치와 상기 필름안착면이 상기 트레이안내슬롯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필름탑재위치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트레이바디부와, 상기 트레이바디부가 상기 투영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하우징에 접촉하여 상기 트레이바디부가 상기 투영위치를 넘어 회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바디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트레이스토퍼를 갖는 트레이와; 상단이 상기 투시공에 연통하고 하단이 상기 트레이안내슬롯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바디부가 상기 투영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필름의 이미지 형성영역이 관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필름안내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투영관과; 종단에 전동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가지고, 상기 전동돌부가 상기 전동돌부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전동공의 내주면과 걸림작용을 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필름회전구동부와; 상기 필름안내슬롯을 통해 상기 투영관의 내부에 진입한 상기 필름의 이미지 형성영역을 향해 하방향으로부터 상기 투시공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발광체를 갖는 발광부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동작과 상기 발광체의 발광동작을 온오프조작하기 위한 온오프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전동공에 전동돌부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필름이 필름안착면에 탑재되더라도 필름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필름안착면에 탑재되어 있는 필름을 상방향에서 탄성가압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필름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필름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필름가압부는 연결판부와 상기 연결판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종단에는 한 쌍의 휠홈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탄성가압암과 각각 휠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휠공이 상기 휠홈에 진입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가압휠과 상기 휠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탄성가압암에 설치된 지지축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가압휠이 상기 필름안착면에 탑재되어 있는 필름을 상방향에서 탄성가압하도록 상기 연결판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탑재된 필름의 이미지를 투영할 수 있는 투영위치와 필름안착면이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필름탑재위치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트레이를 설치하는 한편, 필름에 형성된 전동공과 구동축에 형성된 전동돌부의 걸림작용을 통해 필름을 회전시킬 때 트레이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동돌부통과공과 필름안착면에 탑재된 필름의 이미지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투사홈을 트레이에 형성하고 투사홈을 통해 필름에 빛을 조사하여 필름에 형성된 이미지를 투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름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필름을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분해사시도,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하우징과 투영관 영역을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필름을 도시한 도면,
도7, 도8,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전방하우징, 트레이 및 필름가압부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트레이의 저면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필름가압부를 도시한 도면,
도13 및 도1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투영관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후방하우징을 도시한 도면,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조작부를 도시한 도면,
도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제어블럭도,
도18, 도19, 도20, 도21 및 도2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23 및 도24는 각각 종래 완구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분해사시도,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하우징과 투영관 영역을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필름을 도시한 도면,
도7, 도8,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전방하우징, 트레이 및 필름가압부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트레이의 저면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필름가압부를 도시한 도면,
도13 및 도1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투영관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후방하우징을 도시한 도면,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조작부를 도시한 도면,
도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제어블럭도,
도18, 도19, 도20, 도21 및 도2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23 및 도24는 각각 종래 완구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하우징과 투영관 영역을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필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7, 도8,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전방하우징, 트레이 및 필름가압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트레이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필름가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3 및 도1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투영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후방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조작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제어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11)과, 중공(中空)의 하우징(20)과, 하우징(20)에 설치된 트레이(40), 투영관(50), 필름회전구동부(60), 발광부(12), 온오프조작부(13), 필름가압부(70), 스피커(71) 및 동작표시부(91)와, 하우징(20)과 투영관(50)에 설치된 렌즈부(15)를 갖고 있다.
필름(11)은 원형 경로를 따라 배치되도록 이미지(12b, 실제 이미지는 생략되어 있음)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전동공(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필름(11)은 후술하는 필름안착면(41a)에 설치된다.
하우징(20)은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전방하우징(21) 및 후방하우징(22)과, 전방하우징(21)과 후방하우징(22)의 상단에 결합된 헤드하우징(30)을 갖고 있다.
전방하우징(21)에는 고정기둥(21a), 지지암회동안내판(21b), 정렬벽부(21d) 및 전방지지벽부(21e)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기둥(21a)은 다수 개가 분산 형성되어 있다.
지지암회동안내판(21b)은 상호 나란하게 한 쌍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 고정기둥(21a)에 나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암회동안내판(21b)은 종단에 지지암회동안내홈(21c)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정렬벽부(21d)에는 전방정렬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전방지지벽부(21e)는 종단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하우징(21)은 상단에 반원형의 전방헤드결합공(21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하우징(21)은 후술하는 투시공(34b)의 하측에 트레이안내슬롯(21h)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하우징(22)에는 후방하우징결합홈(22b), 정렬홈(22c) 및 후방정렬리브(22d)가 형성되어 있다.
후방하우징결합홈(22b)은 전방지지벽부(21e)에 하나씩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방정렬리브(22d)는 정렬벽부(21d)에 형성된 전방정렬리브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두고 다수 개가 이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하우징(21)은 상단에 반원형의 후방헤드결합공(22e)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후방하우징(22)은 격벽(17)을 고정기둥(21a)에 결합한 상태에서 전방지지벽부(21e)의 걸림턱이 후방하우징결합홈(22b)에 삽입되고, 후방정렬리브(22d)의 사이공간에 정렬벽부(21d)에 형성된 전방정렬리브가 진입하며, 정렬홈(22c)에 정렬벽부(21d)가 삽입되도록 전방하우징(21)에 결합된다.
헤드하우징(30)은 중앙영역에 연락공(31a)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부(31)와, 하단이 연락공(31a)에 연통하도록 지지판부(31)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관부(32)와, 지지관부(32)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절곡 형성된 하우징플랜지부(33)와, 하우징플랜지부(33)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투영안내관부(34)를 갖고 있다.
헤드하우징(30)은 전방헤드하우징(30')과 후방헤드하우징(30")으로 분할되어 있고, 전방헤드하우징(30')과 후방헤드하우징(30")은 헤드하우징결합돌기(35)와 헤드하우징결합홈(36)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
후방헤드하우징(30")에 속하는 지지판부(31)에는 지지홈(31a)이 형성되어 있다(도13 참조).
후방헤드하우징(30")에 속하는 지지관부(32)에는 3개의 노출공(32a)이 형성되어 있다(도13 참조).
투영안내관부(34)는 상측을 향해 점점 단면적이 증가하다가 상단 인접영역에서 다시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투영안내관부(34)는 내표면 상단에 투시창홈(34a)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투영안내관부(34)의 상단이 투시공(34b)을 형성하게 된다. 투시창홈(34a)에는 투시창(39)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헤드하우징(30)은 지지판부(31)가 전방헤드결합공(21g)과 후방헤드결합공(22e)의 하측에 배치되고, 지지관부(32)가 전방헤드결합공(21g)과 후방헤드결합공(22e)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트레이(40)는 상면에는 필름안착면(41a)이 형성되어 있는 트레이바디부(41)와, 트레이바디부(41)로부터 연장 형성된 트레이스토퍼(42)과, 트레이바디부(41)에 결합된 회동안내핀(41i)를 갖고 있다.
트레이바디부(41)에는 필름안착면(41a), 투사홈(41b), 전동돌부통과공(41c), 이탈방지턱(41d), 이탈방지판(41e), 파지안내공(41f), 탑재보조홈(41g) 및 지지암(41h)이 형성되어 있다.
필름안착면(41a)은 트레이바디부(41)의 상면으로부터 절취 형성되어 있다.
투사홈(41b)은 필름(11)이 필름안착면(41a)에 탑재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필름(11)의 하측 방향에서 필름(11)에 형성된 이미지(12b)의 일부에 빛을 투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동돌부통과공(41c)은 전동공(11a)에 정렬되도록 필름안착면(41a)에 형성되어 있다.
이탈방지턱(41d)은 필름안착면(41a)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탈방지판(41e)은 필름안착면(41a)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파지안내공(41f)은 필름안착면(41a)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탑재보조홈(41g)은 이탈방지판(41e)의 대향영역에서 절취 형성되어 있다.
지지암(41h)은 투사홈(41b)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종단영역에는 축공(41k)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트레이바디부(41)는 지지암(41h)이 한 쌍의 지지암회동안내판(21b) 사이로 진입하고 회동안내핀(41i)이 지지암회동안내홈(21c)에 안착되도록 설치된다. 회동안내핀(41i)이 지지암회동안내홈(21c)에 안착된 상태는 전방하우징(21)에 고정되는 한 쌍의 나사(41j)에 의해 유지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바디부(41)는 투사홈(41b)이 투시공(34b)에 정렬되는 투영위치와, 필름안착면(41a)이 트레이안내슬롯(21h)을 통해 하우징(20)의 외부로 노출되는 필름탑재위치사이를 회동할 수 있게 된다.
트레이스토퍼(42)는 필름안착면(41a)을 벗어난 영역에서 대략 지지암(41h)에 나란하도록 트레이바디부(4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트레이스토퍼(42)의 연장 형성은 트레이바디부(41)가 투영위치에 도달할 때 전방하우징(21)의 외표면에 접촉하여 트레이바디부(41)가 투영위치를 넘어 회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트레이스토퍼(42)는 파지안내공(41f)의 인접영역에 파지보조돌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안내핀(41i)은 축공(41k)에 설치되어 있다.
투영관(50)은 협경투영관부(51)와, 협경투영관부(51)의 하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확경투영관부(52)와, 확경투영관부(52)의 측면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된 투영관플랜지(53)와, 확경투영관부(52)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형성된 발광체지지판부(54)와, 발광체지지판부(54)의 저면에 형성된 끼움고정돌기(55) 및 끼움고정판(56)을 갖고 있다.
협경투영관부(51)는 하단 인접 영역 내표면에 협경부렌즈홈(51a)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확경투영관부(52)는 중간 영역 내표면에 확경부렌즈홈(52a)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확경부렌즈홈(52a)의 상측영역에는 필름안내슬롯(52b)이 형성되어 있다.
필름안내슬롯(52b)은 슬롯의 일단으로부터 점점 면적이 증가하다가 점점 면적이 작아지다가 마지막에는 대략 일정한 크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필름안내슬롯(52b)은 트레이바디부(41)가 투영위치에 배치될 때 필름(11)의 이미지 형성영역이 확경투영관부(52)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발광체지지판부(54)에는 안내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끼움고정판(56)에는 끼움고정홈(56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투영관(50)은 전방투영관(50')과 후방투영관(50")으로 분할되어 있다.
전방투영관(50')과 후방투영관(50")에는 투영관플랜지(53)와 발광체지지판부(54)가 부분적으로 나누어 형성되고 끼움고정돌기(55)와 끼움고정판(56)이 나누어 형성되어 있다.
전방투영관(50')과 후방투영관(50")은 투영관플랜지(53)에 체결되는 나사와 끼움고정돌기(55)와 끼움고정홈(56a) 사이의 걸림작용을 통해 상호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투영관(50)은 협경투영관부(51)의 상단이 투영안내관부(34)에 억지끼움된 상태에서 투영관플랜지(53)에 체결되는 나사를 통해 고정기둥(21a)에 결합된다.
필름회전구동부(60)는 구동축(61)과, 감속부(62)를 통해 구동축(61)에 연결된 구동모터(63)와, 구동모터(63)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구동모터전압공급부(64)와, 온오프조작부(13)의 조작상태에 따라 구동모터(63)와 구동모터전압공급부(64)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개폐하는 모터구동제어부(65)를 갖고 있다.
구동축(61)은 종단에 전동돌부(61a)가 형성되어 있다. 전동공(11a)와 전동돌부(61a)는 5각형 등 다른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구동모터전압공급부(64)는 피시비(16)에 구현되어 있고,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전원(배터리 또는 상용전원)으로부터 구동모터(63)의 동작전압을 생성한다.
모터구동제어부(65)는 피시비(16)에 구현되어 있고, 후술하는 모터구동조작버튼(13a)이 온상태로 조작되면 모터구동조작버튼(13a)이 오프상태로 조작될 때까지 구동모터전압공급부(64)와 구동모터(63)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반복하여 개폐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필름회전구동부(60)는 전동돌부(61a)가 전동돌부통과공(41c)을 통과하여 전동공(11a)의 내주면과 걸림작용을 하도록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된다.
발광부(12)는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발광체지지판부(54)에 설치된 발광체(12a)와, 발광체(12a)를 둘러싸도록 발광체지지판부(54)에 설치된 발광안내곡면부(12b)와, 발광체(12a)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발광체전압공급부(12c)와, 온오프조작부(13)의 조작상태에 따라 발광체(12a)와 발광체전압공급부(12c)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개폐하는 발광제어부(12d)를 갖고 있다.
발광체(12a)는 필름안내슬롯(52b)을 통해 투영관(50)의 내부에 진입한 필름(11)의 이미지 형성영역을 향해 하방향으로부터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발광체지지판부(54)에 설치된다. 발광체(12a)는 발광다이오드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발광안내곡면부(12b)는 투명재질로 제작되어 있다. 발광안내곡면부(12b)의 주위에는 보호캡(92)이 설치되어 있다.
발광체전압공급부(12c)는 피시비(16)에 구현되어 있고,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전원(배터리 또는 상용전원)으로부터 발광체(12a)의 동작전압을 생성한다.
발광제어부(12d)는 피시비(16)에 구현되어 있고, 후술하는 발광조작버튼(13b)이 온상태로 조작되면 발광조작버튼(13b)이 오프상태로 조작될 때까지 발광체전압공급부(12c)와 발광체(12a)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온오프조작부(13)는 구동모터(63)를 구동조작하기 위한 모터구동조작버튼(13a)과, 발광체(12a)를 발광조작하기 위한 발광조작버튼(13b)을 갖고 있다.
모터구동조작버튼(13a)이 온상태로 조작되면 모터구동제어부(65)의 제어하에 구동모터(63)에 구동전압이 공급된다.
발광조작버튼(13b)이 온상태로 조작되면 발광제어부(12d)의 제어하에 발광체(12a)에 구동전압이 공급된다.
필름가압부(70)는 연결판부(71)와, 연결판부(71)로부터 연장 형성된 탄성가압암(72)과, 탄성가압암(72)에 설치된 한 쌍의 가압휠(73) 및 하나의 지지축(74)을 갖고 있다.
탄성가압암(72)은 종단에 한 쌍의 휠홈(72a)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각 휠홈(72a)의 양 측에는 축통과공(72b)이 형성되어 있다.
각 가압휠(73)은 휠공(73a)이 형성되어 있고, 휠공(73a)이 휠홈(72a)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지지축(74)은 일단에 널링(74a)가 형성되어 있고, 축통과공(72b)과 휠공(73a)을 통과하도록 탄성가압암(72)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필름가압부(70)는 연결판부(71)를 통해 전방하우징(21)의 내표면에 돌출형성된 고정기둥(21a)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필름가압부(70)의 결합은 한 쌍의 가압휠(73)이 필름안착면(41a)에 근접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필름가압부(70)는 필름안착면(41a)에 탑재되어 있는 필름(11)을 상방향에서 탄성가압하게 된다.
동작표시부(91)는 수신모듈(91b)과, 수신모듈(91b)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발광다이오드(91a)로 구성되어 있다.
동작표시부(91)는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모듈(91b)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전원공급상태와 리모콘 동작상태를 표시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동작표시부(91)는 지지관부(32)에 형성된 3개의 노출공(32a)을 통해 적외선수신모듈(91b)과 한 쌍의 발광다이오드(91a)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렌즈부(15)는 확경부렌즈홈(52a)과 협경부렌즈홈(51a)에 각각 설치된 평볼록렌즈(15a, 15b)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렌즈부(15)에 의해 필름(11)의 이미지 형성영역을 통과한 빛이 확산되어 투시공(34b)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동작을 도18 내지 도2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트레이(40)는 투사홈(41b)이 투시공(34b)에 정렬되는 투영위치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파지보조돌부(42a)를 잡고 트레이바디부(41)를 앞으로 잡아당겨 필름안착면(41a)이 하우징(20)의 외부로 노출되는 필름탑재위치로 트레이(40)를 회동시킨다(도18 참조).
다음에 필름(11)을 이탈방지턱(41d)과 이탈방지판(41e)의 하측을 통과하도록 필름(11)을 필름안착면(41a)에 탑재한다(도18 및 도19 참조). 필름안착면(41a)에 탑재된 필름(11)은 필름가압부(70)에 의해 상방향으로부터 탄성가압된다.
다음에 트레이바디부(41)를 전방하우징(21)을 향해 가압하여 투영위치로 트레이(40)를 회동시킨다. 여기서 투영위치로 이동한 트레이(40)에 탑재된 필름(11)의 전동공(11a)에 전동돌부(61a)가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도20 참조).
다음에 모터구동조작버튼(13a)을 온상태로 조작한다.
모터구동조작버튼(13a)을 온상태로 조작하면 전동돌부(61a)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전동공(11a)에 전동돌부(61a)가 삽입된다(도21 참조). 전동공(11a)에 전동돌부(61a)가 삽입되면, 구동축(61)과 함께 필름(11)도 회전할 수 있다.
다음에 발광조작버튼(13b)을 온상태로 조작한다.
발광조작버튼(13b)이 온상태로 조작되면 필름(11)에 형성된 여러 가지 이미지(12b)가 렌즈부(15)와 투시창(39)를 통과하여 순차적으로 벽면과 같은 투영면에 표시된다.
이미지 보기가 완료되면 발광조작버튼(13b)과 모터구동조작버튼(13a)을 오프조작한다.
발광조작버튼(13b)과 모터구동조작버튼(13a)이 오프조작되면 구동축(61)의 회전동작과 발광체(12a)의 발광동작이 중지된다.
다음에 파지보조돌부(42a)를 잡고 트레이바디부(41)를 앞으로 잡아당겨 필름안착면(41a)이 하우징(20)의 외부로 노출되는 필름탑재위치로 트레이(40)를 회동시킨다(도22 참조).
다음에 파지안내공(41f)을 이용하여 필름(11)을 트레이(40)로부터 꺼집어낸다.
다음에 새로운 필름(11)을 필름안착면(41a)에 탑재시킨 후, 전술한 과정을 거쳐 새로운 필름에 형성된 이미지(12b)를 벽면과 같은 투영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탑재된 필름(11)의 이미지를 투영할 수 있는 투영위치와 필름안착면(41a)이 하우징(20)의 외부로 노출되는 필름탑재위치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20)의 내부에 트레이(40)를 설치하는 한편, 필름(11)에 형성된 전동공(11a)과 구동축(61)에 형성된 전동돌부(61a)의 걸림작용을 통해 필름(11)을 회전시킬 때 트레이(40)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동돌부통과공(41c)과 필름안착면(41a)에 탑재된 필름(11)의 이미지(12b)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투사홈(41b)을 트레이(40)에 형성하고 투사홈(41b)을 통해 필름(11)에 빛을 조사하여 필름(11)에 형성된 이미지(12b)를 투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름(11)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필름(11)을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필름안착면(41a)에 탑재되어 있는 필름(11)을 상방향에서 탄성가압하는 필름가압부(70)를 추가함으로써, 전동공(11a)에 전동돌부(61a)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필름(11)이 필름안착면(41a)에 탑재되더라도 필름(11)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축(74)에 대하여 회전하는 가압휠(73)을 통해 필름안착면(41a)에 탑재되어 있는 필름(11)을 상방향에서 탄성가압함으로써, 필름(11)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1, 111 : 필름 12 : 발광부
13 : 온오프조작부 15 : 렌즈부
20, 120 : 하우징 21 : 전방하우징
22 : 후방하우징 30 : 헤드하우징
40 : 트레이 41 : 트레이바디부
42 : 트레이스토퍼 50: 투영관
51 : 협경투영관부 52 : 확경투영관부
60 : 필름회전구동부 70 : 필름가압부
160 : 필름회전조작부 161 : 판회전조작버튼
162 : 지지축 163 : 작동바
164 : 누름쇠 165 : 회전체
166 : 탄성체
13 : 온오프조작부 15 : 렌즈부
20, 120 : 하우징 21 : 전방하우징
22 : 후방하우징 30 : 헤드하우징
40 : 트레이 41 : 트레이바디부
42 : 트레이스토퍼 50: 투영관
51 : 협경투영관부 52 : 확경투영관부
60 : 필름회전구동부 70 : 필름가압부
160 : 필름회전조작부 161 : 판회전조작버튼
162 : 지지축 163 : 작동바
164 : 누름쇠 165 : 회전체
166 : 탄성체
Claims (3)
- 원형 경로를 따라 배치되도록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전동공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재질의 필름과;
일 영역에는 투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시공의 하측에는 트레이안내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면에는 필름안착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름이 상기 필름안착면에 탑재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상기 필름의 하측 방향에서 상기 필름에 형성된 이미지의 일부에 빛을 투사할 수 있도록 투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름안착면에는 상기 전동공에 정렬되도록 전동돌부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사홈이 상기 투시공에 정렬되는 투영위치와 상기 필름안착면이 상기 트레이안내슬롯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필름탑재위치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트레이바디부와, 상기 트레이바디부가 상기 투영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하우징에 접촉하여 상기 트레이바디부가 상기 투영위치를 넘어 회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바디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트레이스토퍼를 갖는 트레이와;
상단이 상기 투시공에 연통하고 하단이 상기 트레이안내슬롯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바디부가 상기 투영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필름의 이미지 형성영역이 관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필름안내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투영관과;
종단에 전동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가지고, 상기 전동돌부가 상기 전동돌부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전동공의 내주면과 걸림작용을 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필름회전구동부와;
상기 필름안내슬롯을 통해 상기 투영관의 내부에 진입한 상기 필름의 이미지 형성영역을 향해 하방향으로부터 상기 투시공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발광체를 갖는 발광부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동작과 상기 발광체의 발광동작을 온오프조작하기 위한 온오프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안착면에 탑재되어 있는 필름을 상방향에서 탄성가압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필름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가압부는 연결판부와 상기 연결판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종단에는 한 쌍의 휠홈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탄성가압암과 각각 휠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휠공이 상기 휠홈에 진입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가압휠과 상기 휠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탄성가압암에 설치된 지지축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가압휠이 상기 필름안착면에 탑재되어 있는 필름을 상방향에서 탄성가압하도록 상기 연결판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44883A KR101483467B1 (ko) | 2014-04-15 | 2014-04-15 | 완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44883A KR101483467B1 (ko) | 2014-04-15 | 2014-04-15 | 완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3467B1 true KR101483467B1 (ko) | 2015-01-16 |
Family
ID=5259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44883A KR101483467B1 (ko) | 2014-04-15 | 2014-04-15 | 완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346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392568A (zh) * | 2017-05-31 | 2022-04-26 | 株式会社万代 | 演出输出玩具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3006Y1 (ko) | 2001-05-14 | 2001-10-15 | 허성현 | 필름놀이용 영사기 완구 |
KR200428205Y1 (ko) | 2006-07-24 | 2006-10-09 | 이관호 | 별자리 투영장치가 설치된 지구본 |
WO2007052093A1 (en) | 2005-11-04 | 2007-05-10 | Produzioni Editoriali Aprile S.P.A. | Luminous toy |
-
2014
- 2014-04-15 KR KR20140044883A patent/KR1014834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3006Y1 (ko) | 2001-05-14 | 2001-10-15 | 허성현 | 필름놀이용 영사기 완구 |
WO2007052093A1 (en) | 2005-11-04 | 2007-05-10 | Produzioni Editoriali Aprile S.P.A. | Luminous toy |
KR200428205Y1 (ko) | 2006-07-24 | 2006-10-09 | 이관호 | 별자리 투영장치가 설치된 지구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392568A (zh) * | 2017-05-31 | 2022-04-26 | 株式会社万代 | 演出输出玩具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5145B1 (ko) | 버블 생성 조립체 | |
KR20200033115A (ko) | 드라이기 | |
JPH0316543A (ja) | 真空掃除機 | |
WO2014110526A1 (en) | Cradle for rechargeable lighting devices | |
CN107228337A (zh) | 一种智能音箱灯光结构 | |
KR101483467B1 (ko) | 완구 | |
US8077054B1 (en) | Garage door opener and parking guide combination | |
US7594349B2 (en) | Edge animation multiple image display device | |
CN113655684A (zh) | 可自动切换投影图像的投影装置及切换图像的方法 | |
FR2886453B1 (fr) | Appareillage electrique a fonction lumineuse | |
JP2021500207A (ja) | フィルムプロジェクタを備えた照光構成玩具 | |
TWM547946U (zh) | 乙狀結腸鏡手持照明裝置 | |
CN114334508A (zh) | 控制盒组件、灯具组件及可拼接灯具 | |
CN211203858U (zh) | 星空投影灯 | |
KR102095903B1 (ko) | 휴대용 선풍기 | |
CN209570788U (zh) | 一种微型投影播放器 | |
CN203773165U (zh) | 万花筒投影装置 | |
CN218914720U (zh) | 一种自动切换图案的投影灯 | |
KR20170003321U (ko) | 화장용 어플리케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용기 | |
KR101193214B1 (ko) | 촛점 조절 가능한 후레쉬 | |
JP3088343U (ja) | 照明玩具装置 | |
CN207687836U (zh) | 一种双色投影灯 | |
JP5577693B2 (ja) | 遊技機 | |
CN221328277U (zh) | 一种电力轨道及电力分配装置 | |
CN206079474U (zh) | 一种电动指甲打磨抛光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