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183B1 - 오염물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오염물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183B1
KR101483183B1 KR20130113136A KR20130113136A KR101483183B1 KR 101483183 B1 KR101483183 B1 KR 101483183B1 KR 20130113136 A KR20130113136 A KR 20130113136A KR 20130113136 A KR20130113136 A KR 20130113136A KR 101483183 B1 KR101483183 B1 KR 101483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neck
space
housing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3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용
권구상
권기덕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113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85Funnel filter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4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with cartridges made of a piece of unitary material, e.g. filter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장치의 필터지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여과장치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오염물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상측에 개구면이 형성되고 채취한 시료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이 마련되며 하측에 상측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여과공간이 마련된 넥부가 구비된 상부하우징과;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시료가 통과하면서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넥부의 여과공간에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필터지가 안착된 필터플레이트를 포함한 여과수단과; 상기 넥부의 하측에 상기 여과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필터지에 의하여 여과가 완료된 상기 시료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을 구비한 하부하우징을; 포함함으로써, 여과장치의 필터지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여과장치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임과 동시에 채취된 시료에 대한 여과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시간 내에 보다 많은 시료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염물 여과장치{FILTERING DEVICE FOR POLLUTANT}
본 발명은 오염물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과장치의 필터지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채취된 시료에 대한 여과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오염물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여과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여과장치(30)는 여과된 시료를 담는 회수용기(20)의 입구를 막는 고무마개(31)와, 상부에 여과되기 전의 시료가 담긴 시료용기(10)가 결합되고 하부는 고무마개(31)에 구비된 체결홀(32)에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깔때기(33)와, 깔때기(33)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필터(34)와, 필터(34)가 깔때기(33)의 하단 개방부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판(35)과, 회수용기(20)의 상부에 구비된 홀(21)에 삽입되는 진공호스(36)를 매개로 상기 회수용기(20)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37)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여과장치에 있어서는, 필터(34)를 교체하는 경우에 시료용기(10)를 깔때기(33)로부터 분리한 후에 필터(34)를 들어내어 교체해야 하는데, 시료용기(10)에 여과되지 않은 시료가 잔류할 경우에는 필터(34)의 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터(34)의 교체를 위해서 시료용기(10), 회수용기(20) 및 여과장치(30)를 모두 분리한 후에 새로운 필터로 교체하고 다시 시료용기(10), 회수용기(20) 및 여과장치(30)를 다시 재조립해야 하므로 그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결과적으로 신속하게 시료를 여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여과장치의 필터지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여과장치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임과 동시에 채취된 시료에 대한 여과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시간 내에 보다 많은 시료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오염물 여과장치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상측에 개구면이 형성되고 채취한 시료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이 마련되며 하측에 상측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여과공간이 마련된 넥부가 구비된 상부하우징과;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시료가 통과하면서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넥부의 여과공간에 인입출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필터지가 안착된 필터플레이트를 포함한 여과수단과; 상기 넥부의 하측에 상기 여과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필터지에 의하여 여과가 완료된 상기 시료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을 구비한 하부하우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여과장치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넥부의 일측 외면에는 상기 넥부의 직경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면이 구비되고, 상기 필터플레이트는 상기 절개면에 인입출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면의 주연부에는 상기 필터플레이트가 상기 절개면에 인입시 상기 필터플레이트의 주연부와 상기 절개면이 밀착되도록 하는 패킹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수단은 상기 필터플레이트 상측의 상기 넥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에 수용된 시료가 상기 여과공간 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수용공간을 폐쇄시키는 원반형상의 차폐판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폐판의 양측면은 상기 차폐판이 상기 넥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차폐판 스위치가 고정 결합되어 상기 차폐판이 상기 넥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기 개구면에는 개폐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커버에는 복수의 공기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넥부의 일측면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일측면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복수의 공기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넥부의 하측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측 외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넥부와 상기 하부하우징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과장치의 필터지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여과장치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임과 동시에 채취된 시료에 대한 여과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시간 내에 보다 많은 시료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염물 여과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물 여과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오염물 여과장치의 여과지를 교체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물 여과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오염물 여과장치의 여과지를 교체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염물 여과장치는, 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상측에 개구면(110)이 형성되고 채취한 시료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120)이 마련되며 하측에 상측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여과공간(131)이 마련된 넥부(130)가 구비된 상부하우징(100)과, 제1수용공간(120)에 수용된 상기 시료가 통과하면서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넥부(130)의 여과공간(131)에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필터지(211)가 안착된 필터플레이트(210)를 포함한 여과수단(200)과, 넥부(130)의 하측에 여과공간(200)과 연통되어 필터지(211)에 의하여 여과가 완료된 상기 시료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310)을 구비한 하부하우징(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하우징(100)은 그 상측에 개구면(110)이 형성되어 채취한 시료를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채취한 시료를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제1수용공간(120)이 형성되어 있는 부재이다.
상부하우징(100)의 하부는 점진적으로 그 직경이 감소하도록 상부하우징(100)의 하면은 중앙 영역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 영역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관상의 넥부(130)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하우징(100)의 개구면(110)에는 개구면(110)을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개폐커버(140)가 구비되어 있으며, 개폐커버(140)에는 상부하우징(100)의 제1수용공간(120)에 수용된 시료를 여과시에 시료가 원활하게 여과수단(20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공기공(14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개폐커버(140)의 둘레면에는 개폐커버(140)가 상부하우징(100)의 개구면(11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하우징(100)의 제1수용공간(120) 측으로 이물질이 침투함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패킹이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넥부(130)의 일측 외면에는 필터플레이트(210)가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외면 일부가 넥부(130)의 직경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면(132)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절개면(132)은 필터플레이트(210)의 원활한 인입출을 위하여 넥부(1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절반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개면(132)의 주연부에는 필터플레이트(210)가 절개면(132)에 인입시 필터플레이트(210)의 주연부와 절개면(132)이 밀착되도록 하는 패킹부재(132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넥부(130)의 하측 내면에는 하부하우징(300)을 나사 결합시켜 하부하우징(300)을 넥부(130)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넥부(130) 측면의 복수의 개소에는 상부하우징(100)의 제1수용공간(120)에 수용된 시료가 원활하게 여과공간(131)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기공(13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공(133)에는 공기공(133)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고무마개(133a)가 구비될 수 있다.
여과수단(200)은 제1수용공간(120)에 수용된 시료가 통과하면서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넥부(130)의 여과공간(131)에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필터지(211)가 안착된 필터플레이트(210)로 구성되어 있다.
필터플레이트(210)는 원반 형상의 부재로서 그 상면에는 여과지(211)가 안착될 수 있는 평탄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필터플레이트(210)의 일 측면에는 필터플레이트(210)를 넥부(130)의 절개면(131)에서 인입출시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조작노브(21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필터플레이트(210)는 시료가 여과지(211)에서 여과된 후에 하부하우징(300)의 제2수용공간(31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시료가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여과수단(200)은 필터플레이트(210) 상측의 넥부(130)에 배치되어 상부하우징(100)에 수용된 시료가 여과공간(131) 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제1수용공간(120)을 폐쇄시키는 원반형상의 차폐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판(220)은 채취된 시료를 여과하는 과정에서 필터지(211)의 교환이 필요할 경우에 상부하우징(100)의 제1수용공간(120)에 수용된 시료가 넥부(130)의 여과공간(131)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차폐판(220)은 필터플레이트(210) 상측의 넥부(1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차폐판(220)이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경우에는 시료가 여과공간(131)으로 유입되지 않게 되고, 차폐판(220)이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경우에는 시료가 차폐판(220)의 판면을 따라 여과공간(131) 측으로 흘러내리면서 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차폐판(220)은 넥부(130)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반 형상의 부재로서 차폐판(220)의 양측면은 차폐판(220)이 넥부(130)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차폐판 스위치(221)가 고정 결합되어 차폐판(220)이 넥부(130)에 회동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하우징(300)은 상부하우징(100)과 동일한 외관을 갖도록 형성된 부재로서 그 내부에는 필터지(211)에 의하여 여과가 완료된 시료를 수용할 수 있는 제2수용공간(3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하우징(300)의 상측 둘레면에는 하부하우징(300)을 넥부(130)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넥부(1300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되는 복수의 나사산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300)의 상측 외면에는 여과가 완료된 시료가 원활하게 하부하우징(300)의 제2수용공간(31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공(30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공(301)에는 공기공(30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고무마개(301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물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채취된 시료를 여과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차폐판(220)이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어 상부하우징(100)의 하면에 폐쇄된 상태에서 상부하우징(100)의 개폐커버(140)를 개방하여 채취한 시료를 상부하우징(100)의 제1수용공간(120)에 수용되도록 한다.
이때, 넥부(130)의 절개면(132)에는 필터지(211)가 안착된 필터플레이트(210)가 삽입된 상태이며 하부하우징(300)은 넥부(130)의 하측에 나사 체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채취한 시료를 상부하우징(100)의 제1수용공간(120)에 수용시킨 후에는 시료 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개폐커버(141)를 이용하여 상부하우징(100)의 상면을 외부로 차폐시키게 된다.
그 후, 넥부(130)의 공기공(133)에는 고무마개(133a)가 삽입되어 공기공(133)이 닫힌 상태가 되고, 하부하우징(300)의 공기공(301)에는 고무마개(301a)가 제거되고 공기공(301)에 진공펌프가 연결되어 하부하우징(300)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든 후에 차폐판 스위치(221)를 이용하여 차폐판(220)을 회전시키면 제1수용공간(120)에 수용된 시료가 차폐판(220)의 판면을 따라 흘러 여과공간(131)으로 유입된다.
여과공간(131)으로 유입된 시료는 필터플레이트(210)에 안착된 필터지(211)에 의하여 여과가 이루어진 후에 하부하우징(300)의 제2수용공간(310)으로 유입되면서 집수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여과가 이루어지다가 필터지(211)의 교체가 필요하게 되면 차폐판(220)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배치시켜 상부하우징(100)의 하면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넥부(130)의 고무마개(133a)를 제거한 후에 차폐판(210)과 필터플레이트(210) 사이의 시료가 모두 여과되거나 제거된 후에 필터플레이트(210)를 절개면(132)에서 인출시켜 사용된 필터지(211)를 빼내고 새로운 필터지(211)를 필터플레이트(210)에 안착시킨 후에 필터플레이트(210)를 절개면(132)에 삽입하게 된다.
필터지(211)의 교체가 완료되면 넥부(130)의 고무마개(133a)를 다시 결합 한 후에 차폐판 스위치(221)를 이용하여 차폐판(220)을 회동시켜 제1수용공간(120)에 수용된 시료가 지속적으로 여과공간(131)으로 유입되어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시료의 여과가 완료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상부하우징 110 : 개구면
120 : 제1수용공간 130 : 넥부
131 : 여과공간 132 : 절개면
132a : 패킹 133 : 공기공
200 : 여과수단 210 : 필터플레이트
211 : 필터지 220 : 차폐판
300 : 하부하우징 301 : 공기공
310 : 제2수용공간

Claims (8)

  1. 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상측에 개구면(110)이 형성되고 채취한 시료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120)이 마련되며 하측에 상측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여과공간(131)이 마련된 넥부(130)가 구비된 상부하우징(100)과;
    상기 제1수용공간(120)에 수용된 상기 시료가 통과하면서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넥부(130)의 여과공간(131)에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필터지(211)가 안착된 필터플레이트(210)를 포함한 여과수단(200)과;
    상기 넥부(130)의 하측에 상기 여과공간(131)과 연통되어 상기 필터지(211)에 의하여 여과가 완료된 상기 시료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310)을 구비한 하부하우징(300)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수단(200)은 상기 필터플레이트(210) 상측의 상기 넥부(130)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00)에 수용된 시료가 상기 여과공간(131) 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수용공간(120)을 폐쇄시키는 원반형상의 차폐판(22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넥부(130)의 일측 외면에는 상기 넥부(130)의 직경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면(132)이 구비되고, 상기 필터플레이트(210)는 상기 절개면(132)에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여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면(132)의 주연부에는 상기 필터플레이트(210)가 상기 절개면(132)에 인입시 상기 필터플레이트(210)의 주연부와 상기 절개면(132)이 밀착되도록 하는 패킹부재((132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여과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220)의 양측면은 상기 차폐판(220)이 상기 넥부(130)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차폐판 스위치(221)가 고정 결합되어 상기 차폐판(220)이 상기 넥부(1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여과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상기 개구면(110)에는 개폐커버(140)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커버(140)에는 복수의 공기공(141)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여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넥부(130)의 일측면과 상기 하부하우징(300)의 일측면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복수의 공기공(133, 301)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여과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넥부(130)의 하측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300)의 상측 외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넥부(130)와 상기 하부하우징(300)은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여과장치.
KR20130113136A 2013-09-24 2013-09-24 오염물 여과장치 KR101483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136A KR101483183B1 (ko) 2013-09-24 2013-09-24 오염물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136A KR101483183B1 (ko) 2013-09-24 2013-09-24 오염물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183B1 true KR101483183B1 (ko) 2015-01-16

Family

ID=52590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3136A KR101483183B1 (ko) 2013-09-24 2013-09-24 오염물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1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9648A (zh) * 2017-08-25 2017-11-17 广东省生物工程研究所(广州甘蔗糖业研究所) 一种用于糖液色值检测的专用滤膜过滤器
CN108310827A (zh) * 2018-04-09 2018-07-24 安徽索维机电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的真空抽滤结构
KR20220005903A (ko) * 2020-07-07 2022-01-14 주식회사 움틀 보틀탑 타입 필터장치
KR102463982B1 (ko) * 2022-04-01 2022-11-07 주식회사 지오그린21 필터지 교체 기능을 갖는 물시료 필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060B1 (ko) * 1986-06-17 1992-03-10 낼즈 컴패니 플래스틱 필터웨어
WO1994005395A1 (en) * 1992-08-27 1994-03-17 Gelman Sciences Inc. Microporous filtration funnel assembly
JP2008119608A (ja) 2006-11-13 2008-05-29 Jfe Engineering Kk 回転円盤フィルタおよび濾過装置
KR20110009482U (ko) * 2010-03-31 2011-10-06 장대현 카트리지 교체가 편리한 필터 하우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060B1 (ko) * 1986-06-17 1992-03-10 낼즈 컴패니 플래스틱 필터웨어
WO1994005395A1 (en) * 1992-08-27 1994-03-17 Gelman Sciences Inc. Microporous filtration funnel assembly
JP2008119608A (ja) 2006-11-13 2008-05-29 Jfe Engineering Kk 回転円盤フィルタおよび濾過装置
KR20110009482U (ko) * 2010-03-31 2011-10-06 장대현 카트리지 교체가 편리한 필터 하우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9648A (zh) * 2017-08-25 2017-11-17 广东省生物工程研究所(广州甘蔗糖业研究所) 一种用于糖液色值检测的专用滤膜过滤器
CN108310827A (zh) * 2018-04-09 2018-07-24 安徽索维机电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的真空抽滤结构
KR20220005903A (ko) * 2020-07-07 2022-01-14 주식회사 움틀 보틀탑 타입 필터장치
KR102460607B1 (ko) 2020-07-07 2022-10-28 주식회사 움틀 보틀탑 타입 필터장치
KR102463982B1 (ko) * 2022-04-01 2022-11-07 주식회사 지오그린21 필터지 교체 기능을 갖는 물시료 필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183B1 (ko) 오염물 여과장치
KR101035427B1 (ko) 솔루션 용기
US20070044577A1 (en) Modular particulate sampler
JP2008102048A5 (ko)
KR101483602B1 (ko) 다중 미세먼지 포집을 위한 정보저장형 필터 홀더 모듈 장치
KR20160052735A (ko) 자석 여과 장치
US20220362700A1 (en) Device for collecting particulate matter
KR20130001446A (ko) 다공관을 갖는 미세먼지 포집장치
EP3006098A1 (en) Gas separation cartridge
KR101641257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JPH0611424A (ja) 固液抽出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AU2021104934A4 (en) Sampling apparatus for collecting dustfall from ambient air
US2785767A (en) Recovery and filter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9513435A5 (ko)
US10190951B2 (en) Assembly for picking and transporting nanoobjects contained in aerosols, with a cassette the opening of which is secured during the picking
US7132048B2 (en) Filter element-removing jig
JP6973486B2 (ja) 送液装置及び液体クロマトグラフ
KR20130088544A (ko) 세포 검사 도말을 위한 검체 처리 용기
RU195122U1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6110116B2 (ja) 気体成分吸着管、気体成分採取装置及び気体成分採取方法。
CN107576544A (zh) 一种微孔滤膜洗脱装置及洗脱方法
KR102066590B1 (ko) 미소입자 처리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KR101137435B1 (ko) 필름층을 구비하는 테이프부가 장착된 흄후드
EP3752019B1 (en) Improved device for collecting particulate matter
JP2005265413A (ja) 分析用試験液を濾過するためのフィルター自動送り機能付き濾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