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069B1 - 제습용기 - Google Patents

제습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069B1
KR101483069B1 KR20130073393A KR20130073393A KR101483069B1 KR 101483069 B1 KR101483069 B1 KR 101483069B1 KR 20130073393 A KR20130073393 A KR 20130073393A KR 20130073393 A KR20130073393 A KR 20130073393A KR 101483069 B1 KR101483069 B1 KR 101483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dehumidifying
inner lid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3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959A (ko
Inventor
장강익
Original Assignee
마루와벅스프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와벅스프리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루와벅스프리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3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069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제습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용기는, 내부에 음식물 또는 의약품이 수용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수용용기; 수용용기가 차폐되도록 수용용기 상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삽입공간이 마련되는 외부뚜껑; 외부뚜껑 하측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저장공간과 삽입공간이 연통되도록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내부뚜껑; 및 삽입공간상에 위치하고 내부뚜껑에 의해 지지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습제 하측으로 관통공이 직접 형성됨으로써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의 제습이 우수하게 이루어지고, 내부뚜껑이 회전하는 방식으로 외부뚜껑에 결합되거나 분리됨으로써 제습제의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관통부가 플랜지부 및 손잡이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저장공간의 공기가 제습제 쪽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뿐 아니라 제습제가 음식물 또는 의약품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습용기{Dehumidifying Container}
본 발명은 제습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제습제의 교환이 용이한 제습용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중 수분이 많은 경우 곰팡이와 세균이 번식해 식중독을 일으키거나 음식물 등이 쉽게 부패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의약품 등을 보관하는 보관용기의 경우 제습이 가능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102635호는 "제습 기능을 갖는 마개 및 용기의 결합 구조"를 개시하며, 구체적으로 용기의 내부로 결합되는 결합리브와, 용기의 상단 외주면의 체결부와 결합되는 내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체결부로 이루어진 마개와; 상기 마개의 내주면의 체결부와 결합되는 상단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마개의 결합리브와 밀착하고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밀착돌기로 이루어지는 용기와; 제습제를 담는 저장부재와, 상기 저장부재의 상면에 접착되는 통기성부재가 형성된 제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개의 내주면과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결부는 중심축선에서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돌기가 기울어진 선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의하면 마개 및 용기를 조금만 돌리는 것으로도 잠금과 해제가 완료되고 기밀성이 뛰어나며, 제습제가 누출되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제습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102635호에서 개시되는 용기의 경우, 제습부의 하단이 밀폐되어 있고, 제습을 위하여는 용기의 공기가 통기성부재 위쪽으로 이동하여 제습부 쪽으로 유입되어야 하므로 이동경로가 길어 제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곤란하고, 통기성부재와 함께 제습부가 마개의 내부에 끼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 제습부의 분리가 곤란하므로 제습제의 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000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102635(공개일: 2009.09.30)
본 발명의 목적은, 제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제습제의 교체가 용이하고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 등과 제습제가 접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제습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 음식물 또는 의약품이 수용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수용용기; 상기 수용용기가 차폐되도록 상기 수용용기 상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삽입공간이 마련되는 외부뚜껑; 상기 외부뚜껑 하측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장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이 연통되도록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내부뚜껑; 및 상기 삽입공간상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뚜껑에 의해 지지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뚜껑에는, 상기 삽입공간 하측에 위치하고 중앙에 삽입구멍이 마련되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뚜껑은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외부뚜껑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직경이 D1인 상기 삽입구멍의 테두리 일측에는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뚜껑은, 외경이 D1과 같거나 작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 하단에서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절곡형성되고 외경이 D1보다 크며 상기 격벽 하단에 밀착되는 플랜지부; 상기 원통부 안쪽에서 상기 원통부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는 관통부; 및 상기 원통부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을 통해 상기 삽입공간 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내부뚜껑의 회전시 상기 격벽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걸림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홈은 다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구멍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플랜지부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부 저면 중앙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는 상기 원통부 내측면 양쪽을 서로 잇도록 길게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하단은 상기 플랜지부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가 상기 원통부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부의 상측에 상기 제습제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제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상부층; 상기 상부층에서 하측으로 이격되고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하부층; 및 상기 상부층과 하부층 사이에 고정되는 실리카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용기에서 상기 외부뚜껑은, 상기 수용용기 상단 외측을 둘러싸는 외측테두리부; 상기 외측테두리부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용용기 상단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측테두리부; 및 탄성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테두리부와 내측테두리부 사이에 개재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용기에 밀착되는 실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내측테두리부 외측면에 밀착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용용기 상단이 상기 외측테두리부와 내측테두리부 사이에 삽입시 휘어지면서 상기 수용용기에 밀착되는 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습제 하측으로 관통공이 직접 형성됨으로써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의 제습이 우수하게 이루어지고, 내부뚜껑이 회전하는 방식으로 외부뚜껑에 결합되거나 분리됨으로써 제습제의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관통부가 플랜지부 및 손잡이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저장공간의 공기가 제습제 쪽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뿐 아니라 제습제가 음식물 또는 의약품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습용기에서 외부뚜껑 및 내부뚜껑이 수용용기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용기에서, 외부뚜껑, 내부뚜껑 및 제습제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습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습용기(1)에서 외부뚜껑(20) 및 내부뚜껑(30)이 수용용기(10)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용기(1)에서, 외부뚜껑(20), 내부뚜껑(30) 및 제습제(40)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습용기(1)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용기(1)에 대한 설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용기(10)가 형성된 쪽을 아래쪽, 외부뚜껑(20)이 형성된 쪽을 위쪽으로 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용기(1)는 음식물 또는 의약품 등을 보관하면서 효과적인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크게 수용용기(10), 외부뚜껑(20), 내부뚜껑(30) 및 제습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용용기(10)는 일반적인 용기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에 음식물 또는 의약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저장공간(13)이 구비된다. 수용용기(10)는 상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외부뚜껑(20)과 결합되는 결합부(11)가 형성된다.
결합부(11)는 수용용기(10)의 다른 부분보다 외경이 감소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결합부(11) 아래쪽에 밀착턱(12)이 마련되고, 이러한 결합부(11)가 외부뚜껑(20)과 결합될 때 외부뚜껑(20)의 하단이 밀착턱(12)에 밀착되게 된다.
수용용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가 둥근 사각용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뚜껑(20)은 수용용기(10)가 차폐되도록 수용용기(10) 상단에 결합된다. 외부뚜껑(20)은 대체로 하측으로 개구된 용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삽입공간(28)이 마련된다. 삽입공간(28)에는 제습제(40)가 위치하며, 아울러 내부뚜껑(30)의 일부가 삽입되게 된다.
외부뚜껑(20)은 외측테두리부(24), 내측테두리부(25), 실링부(26) 및 격벽(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측테두리부(24), 내측테두리부(25) 및 실링부(26)는 수용용기(10)와의 안정된 결합을 위한 부분이며, 외부뚜껑(20)의 하측에 형성된다.
외측테두리부(24)는 수용용기(10)의 외형형상과 대응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부뚜껑(20)이 수용용기(10)와 결합시 외측면이 수용용기(10)의 외측면과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외측테두리부(24)는 비교적 얇은 벽 형태로 이루어져 수용용기(10)의 상단(결합부(11)) 외측을 둘러싸게 된다.
외측테두리부(24)의 내경은, 결합부(11)의 외경과 대체로 일치하도록 이루어져, 수용용기(10)와 외부뚜껑(20)의 결합시 외측테두리부(24)의 내측면이 결합부(1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테두리부(25)는 외측테두리부(24)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외측테두리부(24)의 안쪽에 형성된다. 외부뚜껑(20)과 수용용기(10)의 결합시 내측테두리부(25)는 수용용기(10)의 상단(결합부(11)) 내측으로 삽입된다.
내측테두리부(25) 하단에는 외측테두리부(24) 쪽으로 절곡형성된 걸림턱(27)이 마련되며, 이러한 걸림턱(27)은 외측테두리부(24)와 내측테두리부(25) 사이에 삽입되는 실링부(26)의 안정된 고정을 보장한다.
실링부(26)는 실리콘, 고무와 같이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외측테두리부(24)와 내측테두리부(25) 사이에 안정되게 개재되어, 일부가 수용용기(10)에 밀착되면서 수용용기(10) 내부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실링부(26)는 밴드부(26a) 및 돌기부(26b)로 구분되어 이루어진다.
밴드부(26a)는 원형의 고무 띠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측테두리부(25)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내측테두리부(25)를 둘러싸게 된다. 탄성변형 이전의 상태(실링부(26)가 외측테두리부(24)와 내측테두리부(25) 사이에 끼워지기 이전의 상태)에서 밴드부(26a)의 내경은 내측테두리부(25)의 외경보다 다소 작게 이루어지는 것을 바람직하며, 이에 의하여 실링부(26)가 내측테두리부(25)에 안정되게 밀착(인장된 상태)되고, 아울러 외측테두리부(24)와 내측테두리부(25) 사이의 공간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밴드부(26a)의 하단은 걸림턱(27)에 걸려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돌기부(26b)는 밴드부(26a)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결합부(11)가 외측테두리부(24)와 내측테두리부(25) 사이에 삽입시 휘어지면서 결합부(11)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외부뚜껑(20)과 수용용기(10)의 결합시 돌기부(26b)는 위쪽으로 휘어지고 외부뚜껑(20)과 수용용기(10)의 분리시 돌기부(26b)는 아래쪽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처럼, 돌기부(26b)가 휘어지면서 결합부(11)와 접촉하게 되어 접촉면적이 증가함으로써 수용용기(10)와 외부뚜껑(20)의 결합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보다 우수한 기밀유지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돌기부(26b)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서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격벽(21)은, 외측테두리부(24) 및 내측테두리부(25)의 형성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대체로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 삽입구멍(22)이 구비된다.(도 3에서 삽입구멍(22)은 격벽(21) 중앙의 개구된 부분임) 격벽(21)은 외부뚜껑(20)의 안쪽에 위치하고, 격벽(21)의 위쪽이 삽입공간(28)이 된다.(도 3에서 삽입공간(28)은 격벽(21)의 위쪽 공간으로서, 삽입구멍(22)의 위쪽에 위치함)
격벽(21)은 외측테두리부(24) 및 내측테두리부(25)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격벽(21)의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구멍(22)은, 대체로 원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때 그 직경이 D1이 된다. 다만, 삽입구멍(22)은 완전한 원형은 아니며, 삽입구멍(22)의 테두리에는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체결홈(23)이 형성된다. 즉, 체결홈(23)까지의 직경은 D1보다 크게 된다. 이러한 체결홈(23)은, 내부뚜껑(30)과의 착탈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체결홈(23)은 다수 개로 이루어져 삽입구멍(2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내부뚜껑(30)은 외부뚜껑(20) 하측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원통부(31), 플랜지부(32), 관통부(33) 및 걸림돌부(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원통부(31)는 외경이 D1과 같거나 작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삽입구멍(22)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외부뚜껑(20)과 내부뚜껑(30)의 안정된 결합을 위하여 원통부(31)의 외경은 D1과 동일(물리적으로 완전히 동일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원통부(31)가 삽입구멍(22)에 삽입시 원통부(31)의 이격이 없을 정도를 의미하는 것임)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부(32)는 원통부(31) 하단에서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외경이 D1보다 크며 삽입구멍(22) 주변의 격벽(21) 하단에 밀착되게 된다.
걸림돌부(35)는 원통부(31) 외측에 형성되고, 체결홈(23)을 통해 삽입공간(28) 쪽으로 삽입되어 내부뚜껑(30)의 회전시 격벽(21)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걸림돌부(35)는 대체로┏━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며 수평부(35a)와 수직부(35b)로 구분되고, 원통부(31) 외측면에서 원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수평부(35a)는 플랜지부(32)와 이격되며, 수평부(35a)와 플랜지부(32)의 간격은 격벽(21)의 두께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돌부(35), 구체적으로 수평부(35a)가 체결홈(23)에 삽입되는 위치에서, 원통부(31)가 삽입구멍(22)에 삽입되면 플랜지부(32)의 상측면이 격벽(21)의 하측면에 닿을 때까지 내부뚜껑(30)이 외부뚜껑(20)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원통부(31)의 상단은 외부뚜껑(20)은 상부 저면에 닿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내부뚜껑(30)을 회전시키면 걸림돌부(35)의 수평부(35a)가 격벽(21)의 위쪽에 놓이게 되고 걸림돌부(35)의 수직부(35b)가 체결홈(23)의 한쪽 끝에 위치할 때까지 회전하여 내부뚜껑(30)과 외부뚜껑(2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내부뚜껑(30)의 결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내부뚜껑(30)을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걸림돌부(35) 또한 다수 개로 이루어져 원통부(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관통부(33)는 원통부(31) 안쪽에서 원통부(31)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된다. 관통부(33)에는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34)이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공(34)을 통하여 저장공간(13)과 삽입공간(28)이 서로 연통되게 되며, 저장공간(13)의 공기가 삽입공간(28) 쪽으로 유입되어 제습이 이루어진다.
관통부(33)는 원통부(31)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관통부(33)의 상측에 제습제(40)가 안착되는 안착부(37)가 마련된다. 안착부(37)의 높이는, 대체로 제습제(40)의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부(33)는 플랜지부(32)보다 높게 형성되어, 관통부(33)의 아래쪽에서 원통부(31) 안쪽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 내부에 손잡이(36)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손잡이(36)는 관통부(33) 저면 중앙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원통부(31) 내측면 양쪽을 서로 잇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손잡이(36)의 하단은 플랜지부(32)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부(33) 저면 하측으로 돌출된 손잡이(36)를 파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외부뚜껑(20)과 내부뚜껑(3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외부뚜껑(20)과 내부뚜껑(30) 사이에 고정되는 제습제(40)의 용이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관통부(33)가 플랜지부(32) 및 손잡이(36)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관통부(33) 아래쪽의 공간이 확보되어 저장공간(13)의 공기가 제습제(40) 쪽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고, 플랜지부(32) 및 손잡이(36)부가 아래쪽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제습제(40)가 음식물 또는 의약품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습제(40)는 제습을 위한 직접적인 수단이며, 대체로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부층(42), 실리카겔(43) 및 상부층(41)이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부층(42)과 상부층(41)은 서로 동일한 형태 및 재질로 이루어지며,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의 섬유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리카겔(43)(silica gel)은 하부층(42)과 상부층(41) 사이에 개재되며, 별도의 접착수단에 의하여 하부층(42)과 상부층(41)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층(42)과 상부층(41)에 의하여 실리카겔(43)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원활한 공기 소통에 의하여 우수한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습제(40)는 원통부(31)의 상단 안쪽인 안착부(37)에 수용된 후, 내부뚜껑(30)이 외부뚜껑(20)에 결합됨으로써 삽입공간(28) 상에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제습용기(1)에 의하면, 제습제(40) 하측으로 관통공(34)이 직접 형성됨으로써 저장공간(13) 내부의 공기의 제습이 우수하게 이루어지고, 내부뚜껑(30)이 회전하는 방식으로 외부뚜껑(20)에 결합되거나 분리됨으로써 제습제(40)의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관통부(33)가 플랜지부(32) 및 손잡이(36)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저장공간(13)의 공기가 제습제(40) 쪽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뿐 아니라 제습제(40)가 음식물 또는 의약품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제습용기 10 : 수용용기
11 : 결합부 12 : 밀착턱
13 : 저장공간
20 : 외부뚜껑 21 : 격벽
22 : 삽입구멍 23 : 체결홈
24 : 외측테두리부 25 : 내측테두리부
26 : 실링부 26a : 밴드부
26b : 돌기부 27 : 걸림턱
28 : 삽입공간
30 : 내부뚜껑 31 : 원통부
32 : 플랜지부 33 : 관통부
34 : 관통공 35 : 걸림돌부
35a : 수평부 35b : 수직부
36 : 손잡이 37 : 안착부
40 : 제습제 41 : 상부층
42 : 하부층 43 : 실리카겔

Claims (11)

  1. 내부에 음식물 또는 의약품이 수용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수용용기;
    상기 수용용기가 차폐되도록 상기 수용용기 상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삽입공간이 마련되는 외부뚜껑;
    상기 외부뚜껑 하측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장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이 연통되도록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내부뚜껑; 및
    상기 삽입공간상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뚜껑에 의해 지지되는 제습제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뚜껑에는, 상기 삽입공간 하측에 위치하고 중앙에 삽입구멍이 마련되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뚜껑은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외부뚜껑에 결합되되,
    직경이 D1인 상기 삽입구멍의 테두리 일측에는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뚜껑은, 외경이 D1과 같거나 작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 하단에서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절곡형성되고 외경이 D1보다 크며 상기 격벽 하단에 밀착되는 플랜지부; 상기 원통부 안쪽에서 상기 원통부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는 관통부; 및 상기 원통부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을 통해 상기 삽입공간 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내부뚜껑의 회전시 상기 격벽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걸림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 저면 중앙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원통부 내측면 양쪽을 서로 잇도록 길게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하단은 상기 플랜지부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가 상기 원통부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부의 상측에 상기 제습제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상부층;
    상기 상부층에서 하측으로 이격되고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하부층; 및
    상기 상부층과 하부층 사이에 고정되는 실리카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뚜껑은,
    상기 수용용기 상단 외측을 둘러싸는 외측테두리부;
    상기 외측테두리부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용용기 상단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측테두리부; 및
    탄성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테두리부와 내측테두리부 사이에 개재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용기에 밀착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내측테두리부 외측면에 밀착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용용기 상단이 상기 외측테두리부와 내측테두리부 사이에 삽입시 휘어지면서 상기 수용용기에 밀착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용기.
KR20130073393A 2013-06-26 2013-06-26 제습용기 KR101483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3393A KR101483069B1 (ko) 2013-06-26 2013-06-26 제습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3393A KR101483069B1 (ko) 2013-06-26 2013-06-26 제습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959A KR20150000959A (ko) 2015-01-06
KR101483069B1 true KR101483069B1 (ko) 2015-01-16

Family

ID=52474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3393A KR101483069B1 (ko) 2013-06-26 2013-06-26 제습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0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3361B (zh) * 2019-06-06 2020-09-15 江苏师范大学 一种干燥剂可替换的茶叶罐
KR102232590B1 (ko) 2020-10-19 2021-03-26 대한켐텍 주식회사 제습제 포함 알루미늄 보관용기
CN114655581B (zh) * 2022-02-23 2024-02-06 宁夏昊王米业集团有限公司 一种大米储存用防虫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1526A (ja) * 2003-07-22 2005-02-17 Shinko Chemical Co Ltd 乾燥容器の内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1526A (ja) * 2003-07-22 2005-02-17 Shinko Chemical Co Ltd 乾燥容器の内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959A (ko)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289B1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JP6118539B2 (ja) 蓋付き容器
KR101483069B1 (ko) 제습용기
RU2017139881A (ru) Способ закрытия карпул, оп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поддержки закрывающих элементов карпул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ый или упаков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JP6509044B2 (ja) 二重容器
JP2014518671A (ja) 一体化係止装置を有する外科用留め具容器
WO2006110027A1 (en) Cap element for a beverage can
TW201515946A (zh) 點眼液容器
KR101601666B1 (ko) 일회용 모유 팩을 지지하고 수유할 수 있는 지지컵
KR101395317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KR101506325B1 (ko)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진 보존력이 향상된 저장성 음식 용기
KR20170067010A (ko) 뚜껑 거치가 용이한 감염성 폐기물용 밀폐용기
JP5649339B2 (ja) 機能性付与容器
KR200490711Y1 (ko) 제습제 보관 용기
JP7407958B2 (ja) カップ蓋
KR102241982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JP4769496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容器
KR20110010052U (ko) 건조제용 용기 마개
KR200485378Y1 (ko) 음식물 저장용기
KR20090002904U (ko) 방습제가 내재된 밀폐부재를 갖는 마개
KR102096424B1 (ko) 밀폐력이 증대된 포장용기
WO2013187538A1 (ko) 오토밴팅이 가능한 전자 렌지용 밀폐형 용기 뚜껑
KR200413424Y1 (ko) 제습 장치
KR101964035B1 (ko) 식음료 용기 보관 팩
KR20100008515A (ko)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