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717B1 - Button sewing machine - Google Patents

Button sew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717B1
KR101482717B1 KR20090013299A KR20090013299A KR101482717B1 KR 101482717 B1 KR101482717 B1 KR 101482717B1 KR 20090013299 A KR20090013299 A KR 20090013299A KR 20090013299 A KR20090013299 A KR 20090013299A KR 101482717 B1 KR101482717 B1 KR 101482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ewing
foot
carrier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132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89804A (en
Inventor
토미오 니이
신이치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25570A external-priority patent/JP5265405B2/en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9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8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7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22Article-, e.g. button-, feed mechanism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14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perforated or press but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효율적으로 단추를 공급할 수 있는 단추달기 재봉틀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tton-sewing machine capable of supplying buttons more efficiently.

단추달기 재봉틀은, 단추를 단추 포착 발((seizing foot)로 유지하며 봉제물에 꿰매어 부착하는 봉제 동작부와, 단추 포착 발에 단추를 공급하는 단추공급수단과, 단추를 꿰매어 부착하는 작업시의 방향에 대응하도록 단추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추구멍 위치조절수단을 구비한다. 단추공급수단은 단추를 아래쪽에서부터 지지하는 단추 캐리어부를 갖고, 단추를 단추 캐리어부 위에 올려놓은 후에 단추 포착 발로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tton sewing machine comprises a sewing operation part for sewing and sewing the sewing material while keeping the button at the seizing foot, a button feeding means for feeding the button to the button sewing foot, The button supply means has a button carrier portion for supporting the button from below,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tton is carried on a button catching foot after the button is placed on the button carrier portion .

Description

단추달기 재봉틀{BUTTON SEWING MACHINE}Button sewing machine {BUTTON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단추공급장치를 구비하는 단추달기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fastening sewing machine provided with a button supply device.

단추달기 재봉틀에서는, 피봉제물의 위쪽에 위치하는 단추 포착 발에 거의 수평으로 유지된 단추의 단추구멍에 대해, 재봉바늘을 유지하는 바늘대가 상하이동함으로써 피봉제물에 단추를 꿰매어 부착한다. 이때, 단추를 꿰매어 부착할 때마다 단추 포착 발에 단추를 공급하는 캐리어 기구를 구비한 단추공급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In a button sewing machine, a needle bar holding a sewing needle is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a button hole of a button which is held almost horizontally on a button catching foot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icking material, thereby attaching a button to the picking material. At this time, there is known a button feeding device having a carrier mechanism for supplying a button to a button capturing foot every time the button is sewn and attach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추 포착 발(101)에는, 단추(B1)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단추(B1)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유지되는 클로(claw)부(101a, 101a)가 마련되어 있다. 종래기술의 캐리어 기구는, 단추 캐리어부(102)를 구비하며, 단추 캐리어부(102)의 선단부에서 단추(B1)가 지지된다. 단추 캐리어부(102)는, 축부(102b)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선단부를 회동시키도록 이동하여, 단추(B1)를 클로부(101a, 101a) 사이에 끼워 결합시킨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추 캐리어부(102)는, 단추(B1)의 단추구멍 위치 및 상기 단추구멍의 간격에 대응한 복수의 핀(102a)을 구비하고 있다. 단추 캐리어부(102)는 단추(B1)의 하면부에 접촉하는 동시에, 단추(B1)의 단추구멍의 아래쪽에서부터 위쪽을 향해 복수의 핀(102a)을 삽입통과시킴으로써 단추(B1)를 지지한다. 핀(102a)의 길이는 단추(B1)의 두께보다 크다. 즉, 핀(102a)의 선단부는 단추구멍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단추(B1)는 단추 캐리어부(102)로부터 빠져 탈락하기 어렵게 되어, 단추(B1)가 보다 확실하게 지지된다.As shown in Fig. 10, the button catching foot 101 is provided with claw portions 101a and 101a to be held in engagement with the button B1 in order to prevent the button B1 from falling off. The prior art carrier mechanism has a button carrier portion 102 and the button B1 is supported at the tip end portion of the button carrier portion 102. [ The button carrier portion 102 is moved to rotate the tip portion with the shaft portion 102b as a rotation axis so that the button B1 is fitted between the claw portions 101a and 101a. As shown in Fig. 11A, the button carrier portion 102 has a plurality of pins 102a corresponding to the button hole positions of the button B1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button holes. The button carrier portion 102 contacts the bottom portion of the button B1 and supports the button B1 by inserting a plurality of pins 102a upward from below the button hole of the button B1. The length of the pin 102a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utton B1. That is, the tip of the pin 102a protrudes from the tip of the buttonhole. Therefore, the button B1 is not easily detached from the button carrier portion 102, and the button B1 is more reliably supported.

또한, 단추 포착 발(101)의 클로부(101a, 101a)에 단추(B1)가 끼워져 결합되면,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추 포착 발(101)은, 단추 캐리어부(102)에 대해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단추(B1)의 단추구멍이 단추 캐리어부(102)의 핀(102a)으로부터 빠진다. 이후, 단추 캐리어부(102)의 선단부는, 단추 포착 발(101)의 클로부(101a, 101a)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한다. 이후, 단추 포착 발(101)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단추(B1)를 피봉제물에 근접시킨다. 이후, 단추(B1)의 단추구멍에 재봉바늘이 낙하하여, 바늘 땀이 형성됨으로써 피봉제물에 대해 단추(B1)가 꿰매어져 부착된다.11 (b), when the button B1 is fitted to the claw portions 101a, 101a of the button catching foot 101, the button catching foot 101 is pressed against the button carrier portion 102). As a result, the button hole of the button B1 is disengaged from the pin 102a of the button carrier portion 102. Thereafter, the tip end portion of the button carrier portion 102 pivots away from the claw portions 101a, 101a of the button catching foot 101. [ Then, the button catching foot 101 moves downward to bring the button B1 close to the picking. Thereafter, the sewing needle falls into the buttonhole of the button B1, and needle sweat is formed, so that the button B1 is stitched to the picked-up article.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H5(1993)-84367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5 (1993) -84367

그러나, 종래기술의 캐리어 기구를 구비한 단추공급장치에서는, 단추(B1)의 단추구멍에 대한 단추 캐리어부(102)의 핀(102a)의 삽입통과를 해소하기 위해, 단추 포착 발(101)이 위쪽으로 이동하고, 단추 캐리어부(102)가 이동한 후에 다시 단추 포착 발(101)이 하강하는 식의 동작이 필요하였다. 이 때문에, 단추 포착 발(101)이 상하이동하는 동작에 드는 시간만큼, 단추(B1)가 꿰매어져 부착되는 데 소요되는 사이클 타임이 쓸데없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button supply apparatus having the carrier mechanism of the prior art, in order to solve the insertion of the pin 102a of the button carrier portion 102 into the button hole of the button B1, the button catching foot 101 It is necessary to move the button carrier part 102 upward and then lower the button catcher foot 101 again.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ycle time required for sewing and attaching the button B1 is unnecessarily long as long as the button catching foot 101 is moved up and down.

또한, 단추(B1)의 단추구멍 위치, 간격 및 단추구멍의 크기에 대응하는 핀(102a)을 구비한 단추 캐리어부(102)를 단추의 종류마다 준비할 필요가 있어, 단추공급장치의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단추의 종류가 달라질 때마다 단추 캐리어부(102)를 교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교환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교환작업에 소비되는 시간이 단추를 다는 전체작업의 효율을 현저히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the button carrier portion 102 provided with the pin 102a corresponding to the button hole position, space and button hole size of the button B1 for each type of button, . Moreover, since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button carrier portion 102 every time the type of the button is changed, the replacement work is very troublesome, and the time spent in the replacement work is significantly reduced .

또한, 두꺼운 단추를 꿰매어 부착하는 경우, 단추의 두께에 대응하여 단추 캐리어부(102)의 핀(102a)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단추 포착 발(101)은 단추의 단추구멍에 대한 단추 캐리어부(102)의 핀(102a)의 삽입통과를 해소하기 위해 보다 크게 위쪽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이때, 단추 포착 발(101)의 위쪽으로의 이동이 너무 크면, 단추 포착 발(101)의 위쪽에 위치하는 재봉바늘과 단추가 접촉하거나 혹은 충돌할 가능성이 생긴다. 이 때문에, 단추 포착 발(101)에 의한 위쪽으로의 이동범위에는 제한을 두고 있다. 즉, 단추의 두께가 일정 이상이 되면, 단추 포착 발(101)은, 단추 캐리어부(102)의 핀(102a)으로부터 단추를 뺄 수가 없다. 즉, 종래기술의 단추공급장치에서는,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단추는 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When the thick button is stitched and attached, the length of the pin 102a of the button carrier portion 102 becomes longer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utton. Therefore, the button catching foot 101 has the button carrier portion It is necessary to move the pin 102a more upwardly in order to eliminate the insertion of the pin 102a. At this time, if the upward movement of the button catching foot 101 is too gre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utton and the sewing needle located above the button catching foot 101 come into contact or collide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the upward movement range of the button catching foot 101. That is, when the thickness of the button becomes equal to or more than a certain level, the button catching foot 101 can not pull the button from the pin 102a of the button carrier portion 102. [ That is, in the conventional button supply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utton having a thickness equal to or more than a certain thickness can not be supplied.

또, 단추 캐리어부(102)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단추(B1)의 단추구멍에 대한 단추 캐리어부(102)의 핀(102a)의 삽입통과를 해소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단추 캐리어부(102)가 아래쪽으로 이동할 경우, 단추 캐리어부(102)와 피봉제물이 부딪치므로, 단추 캐리어부(102)의 아래쪽으로의 이동범위는 제한되어 있다. 이로써, 단추 캐리어부(102)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더라도, 두꺼운 단추를 공급하기는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t is also possible to consider a method of eliminating the insertion of the pin 102a of the button carrier portion 102 into the button hole of the button B1 by moving the button carrier portion 102 downward. However, when the button carrier portion 102 moves downward,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button carrier portion 102 downward is limited because the button carrier portion 102 collides with the picked-up portion. Thereby, even if the button carrier portion 102 is moved downwar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upply the thick butto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단추를 공급할 수 있는 재봉틀의 단추공급장치를 구비한 단추달기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tton sewing machine provided with a button feeding device of a sewing machine which can supply buttons more efficiently.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단추 포착 발을 가지고, 단추를 단추 포착 발로 유지하며 봉제물에 꿰매어 부착하는 봉제 동작부와, 상기 단추 포착 발에 단추를 공급하는 단추공급수단을 구비한 단추달기 재봉틀로서, 단추를 꿰매어 부착하는 작업시의 방향에 대응하도록 단추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추구멍 위치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단추공급수단은 단추를 아래쪽에서부터 지지하는 단추 캐리어부를 갖고, 단추를 단추 캐리어부 위에 올려놓은 후에 상기 단추 포착 발로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tton mounting sewing machine comprising a sewing operation portion having a button catching foot and sewing and attaching the button to the sewing material while holding the button with a button catching foot, and a button feeding means for feeding the button to the button catching foot And a button hole position adjusting means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the button to correspond to a direction at the time of sewing and attaching the button, wherein the button supplying means has a button carrier portion for supporting the button from below, And then carried by the button catching foot.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단추달기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단추공급수단은, 한쪽 끝이 상기 단추 캐리어부를 지지하는 고정 암(arm)부와, 단추에 위쪽에서부터 접촉하며, 상기 단추 캐리어부와 협동하여 단추를 끼워 유지하는 클램프부와, 한쪽 끝이 상기 클램프부를 지지한 채 상하이동하는 상하이동 암부와, 상기 고정 암부와 상기 상하이동 암부를 수평방향을 따라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uttoning sewing machine of the first aspect, the button supplying means includes a fixed arm portion having one end for supporting the button carrier portion, And a driving portion for rotating the fixed arm portion and the up-and-down moving arm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haracterized by having a clamp portion for holding the button in cooperation with the clamp portion, a vertical moving arm portion for vertically moving with one end supporting the clamp portion, .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단추달기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단추공급수단이 상기 단추 포착 발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 암부와 상기 상하이동 암부의 선단부가 상기 단추를 상기 단추 포착 발로 운반할 때의 이동방향을 향하게 상기 고정 암부와 상기 상하이동 암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굴곡 또는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utton fastening sewing machine of the second aspect, the distal end portions of the stationary arm portion and the up and down moving arm portions carry the button with the button catching foot so that the button supplying means does not contact the button catching foot A part or the whole of the fixed arm portion and the up-and-down moving arm portion is bent or curved so as to fac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xed arm portion and the up-and-down moving arm portion.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단추달기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단추 캐리어부는,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부를 구비하며, 상기 흡인부의 흡인력에 의해 단추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utton fastening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second or third aspect, the button carri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ion for sucking air, and the button is hel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portion.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단추달기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단추 캐리어부와 단추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막는 제 1 시일과, 상기 클램프부와 단추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막는 제 2 시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is the sewing machine for button fastening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first seal for blocking a gap between the button carrier portion and the button; and a second seal for blocking a gap between the clamp portion and the button .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추달기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단추구멍 위치조절수단은, 단추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선 둘레의 단추 방향을 검출하는 방향검출수단과, 상기 단추를 회전시키는 각도조절기구와, 상기 방향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단추의 방향에 따라, 단추를 꿰매어 부착하는 작업시에 예정된 방향에 대응하도록 상기 각도조절기구의 구동원을 구동시키는 각도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utton fastening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aspects, the buttonhole position adjusting means includes direc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button direction around an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button, Angle control means for driving the driving source of the angle adjusting mechanism so as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operation of sewing and attaching the buttons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butt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ng means .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추달기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단추구멍 위치조절수단은, 단추를 꿰매어 부착하는 작업시에 예정된 위치로부터 단추의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과, 단추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기구와, 상기 위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단추의 위치 어긋남에 따라, 상기 위치조절기구의 구동원을 구동시키는 위치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tton fastening sewing machine as set forth in any one of the first to sixth aspects, wherein the buttonhole position adjusting means includes a buttonhole posit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buttonhole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at the time of sewing and attaching the button And a position control means for driving the driving source of the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button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ng means.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추달기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단추공급수단은, 단추 캐리어부 아래쪽에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부를 구비하며, 상기 흡인부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단추를 상기 단추 캐리어부 상에 유지한 후, 상기 단추 포착 발로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utton fastening sewing machine of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aspects, the button supply means includes a suction portion for sucking air from below the button carrier portion, The button is held on the button carrier portion, and then the button is carried by the button catching foot.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단추공급수단은 단추를 상하방향으로부터 파지한 후에 단추 포착 발로 운반한다. 또한, 단추는 단추구멍 위치조절수단에 의해 단추를 꿰매어 부착하는 작업시의 방향에 대응하도록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단추의 단추구멍에 삽입통과되는 핀을 단추공급수단에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단추공급수단은 단추 포착 발로 단추를 운반한 다음, 단추의 파지를 해제함으로써 단추는 단추 포착 발로 건네어진다. 이로써, 단추 포착 발이 상하이동할 필요가 없어져, 단추 포착 발이 상하이동하는 동작에 드는 시간만큼, 단추를 꿰매어 부착하는 데 소요되는 사이클 타임이 쓸데없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재봉틀의 생산성이 대폭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1, the button supply means carries the button by catching the button after grasping the button from the up and down directions. Further, the button is positio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rection in the operation of sewing and attaching the button by the button hole position adjusting means. Accordingly,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pin to be inserted into the button hole of the button on the button feeding means, and the button feeding means carries the button with the button catching foot and then releases the gripping of the button so that the button is handed to the button catching foot. As a result, there is no need to move the button foot upward and downward, an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cycle time required for sewing and attaching the buttons is unnecessarily long as long as the button squeezing feet move up and down. .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단추공급수단은 단추를 파지(把持)하여 운반하므로, 단추의 단추구멍 위치나 간격, 혹은 단추구멍의 크기에 좌우되지 않고 단추를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기술에 있어서 단추구멍의 위치, 간격 및 단추구멍의 크기에 대응하는 핀을 구비한 단추 캐리어부를 단추의 종류마다 준비할 필요가 있어, 단추공급장치의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재봉틀의 단추공급장치의 비용이 대폭 내려간다. 게다가, 종래기술에 있어서 단추의 종류가 달라질 때마다 단추 캐리어부를 교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교환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교환작업에 소비되는 시간이 단추를 다는 전체작업의 효율을 현저히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재봉틀의 생산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Furth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utton supplying means grasps and conveys the button,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button without depending on the position or the interval of the buttonhole of the button or the size of the buttonhole. As a result, in the prior art, it is necessary to prepare button carrier units each having a pi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spacing and size of the buttonhole of the buttonhole for each type of button, Thus, the cost of the button feeder of the sewing machine is greatly reduced. In addi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button carrier part every time the type of the button is changed in the prior art, the replacement work is very troublesome, and the time spent in the replacement work is considerably deteriorated The productivity of the sewing machine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단추 포착 발은 상하이동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종래기술과 같이 두꺼운 단추를 단추 캐리어부로부터 빼기 위해 단추 포착 발이 크게 위쪽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단추가 재봉바늘과 접촉하거나 혹은 충돌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가진 단추는 종래기술에 따른 단추공급장치에서는 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로써, 단추의 두께에 좌우되지 않고 단추를 단추 포착 발에 공급할 수 있는 재봉틀의 단추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재봉틀의 가용성 및 신뢰성이 대폭 향상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button capturing foot need not be moved up and down. As a result, since the button may come into contact with or collide with the sewing needle when the button catching foot moves greatly upward to pull the thick button from the button carrier portion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it can not be supplied by the supplying devic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utton feeding device for a sewing machine capable of feeding a button to the button catching foot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thickness of the button,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avail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ewing machine.

또한, 단추구멍 위치조절수단이 단추를 꿰매어 부착하는 작업시의 방향에 대응하도록 단추의 위치를 결정한다. 즉, 단추구멍 위치조정수단에 의해, 단추를 꿰매어 부착할 때의 재봉바늘의 바늘낙하에 대응하도록 단추의 단추구멍의 방향이 조정된다. 이에 따라, 단추 포착 발에 유지된 단추를 보다 원활하게 꿰매어 부착할 수 있다. 이로써, 재봉틀의 생산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게다가, 단추를 꿰매어 부착할 때에 있어서 바늘 낙하시의 재봉바늘과 단추가 충돌하지 않게 되어, 재봉틀의 신뢰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Further, the position of the button is determined so that the buttonhole position adjusting means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at the time of sewing and attaching the button.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buttonhole of the button is adjusted by the buttonhole position adjusting means so as to correspond to the needle drop of the sewing needle when the button is sewn and attached. Thus, the button retained on the button capturing foot can be sewn more smoothly. As a result, the productivity of the sewing machine is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when the button is sewn and attached, the sewing needle at the time of needle dropping does not collide with the button, and the reliability of the sewing machine is further improved.

또한, 단추구멍 위치조절수단에 의한 단추의 위치결정은, 단추공급수단에 의한 단추 포착 발에 대한 단추의 공급 전후 중 어느 쪽에서 하여도 되는데, 공급 전에 할 경우에는, 단추공급수단에 의한 단추공급에 의해 단추의 방향이 달라지면 이를 고려하여 위치를 결정한다.The positioning of the button by the button hole position adjusting means can be performed either before or after the button is supplied to the button catching foot by the button supplying means. When the direction of the button is changed, the position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is.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하이동 암부가 상하이동함으로써 클램프부를 상하이동시키므로, 단추 캐리어부에 하측으로부터 지지된 단추의 위쪽에서부터 클램프부를 하강시킴으로써 단추를 파지한다. 즉, 단추 캐리어부 및 고정 암부는 상하이동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단추를 파지하기 위한 구동부분을 간략화할 수 있다. 게다가, 단추 캐리어부가 상하이동하지 않으므로 단추 캐리어부에 지지된 단추는 상하이동에 따른 진동이나 경사를 받지 않고 확실히 지지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2, since the clamp arm is moved up and down by moving the up and down arm portions upward and downward, the button is gripped by lowering the clamp arm from the upper side of the button supported from below. That is, the button carrier portion and the fixed arm portion do not need to be moved up and down. Thus, the driving portion for gripping the button can be simplified. In addition, since the button carrier portion does not move up and down, the button supported by the button carrier portion is reliably supported without being subjected to vibration or inclination due to up and down movement.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고정 암부와 상하이동 암부의 선단부가 상기 단추를 상기 단추 포착 발로 운반할 때의 이동방향을 향하도록 고정 암부와 상하이동 암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굴곡 또는 만곡되어 있으므로, 단추공급수단과 단추 포착 발이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구동부에 의한 고정 암부 및 상하이동 암부의 수평방향의 회동에 의해 단추공급수단이 단추 포착 발과 접촉하여 단추의 공급이 저해되는 경우가 없어진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3, since the fixed arm portion and the upper and lower movable arm portions are bent or curved in a part or all of the fixed arm portion and the up and down moving arm portion so as to face the moving direction when the button is carried by the button, The button supply means and the button capture foot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horizontal rotation of the fixed arm portion and the vertical moving arm portion by the driving portion prevents the button supply means from contacting the button catching foot and inhibiting the supply of the buttons.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단추 캐리어부는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부 를 구비하며, 상기 흡인부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단추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단추는 보다 확실히 단추공급수단에 유지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4, the button carrier portion has a suction portion for sucking air, and the button is hel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portion. Thus, the button is held by the button feeding means more reliably.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단추는 흡인부의 흡인력에 의해 유지되므로, 단추의 단추구멍의 위치나 간격, 혹은 단추구멍의 크기에 좌우되지 않고 단추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기술에 있어서 단추구멍의 위치, 간격 및 단추구멍의 크기에 대응하는 핀을 구비한 단추 캐리어부를 단추의 종류마다 준비할 필요가 있어, 단추공급장치의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재봉틀의 단추공급장치의 비용이 대폭 내려간다. 게다가, 종래기술에 있어서 단추의 종류가 달라질 때마다 단추 캐리어부를 교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교환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교환작업에 소비되는 시간이 단추를 다는 전체작업의 효율을 현저히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재봉틀의 생산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Furth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utton is hel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portion, the button can be hel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r the interval of the buttonhole of the button or the size of the buttonhole. As a result, in the prior art, it is necessary to prepare button carrier units each having a pi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spacing and size of the buttonhole of the buttonhole for each type of button, Thus, the cost of the button feeder of the sewing machine is greatly reduced. In addi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button carrier part every time the type of the button is changed in the prior art, the replacement work is very troublesome, and the time spent in the replacement work is considerably deteriorated The productivity of the sewing machine can be further improved.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 1 시일이 단추 캐리어부와 단추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막고, 제 2 시일이 클램프부와 단추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막는다. 이에 따라, 단추를 사이에 두고 단추 캐리어부와 클램프부의 사이가 밀폐되어, 흡인부의 흡인력에 의한 단추의 유지력이 대폭 강해지므로, 단추는 보다 확실히 단추 캐리어부 및 클램프부에 의해 유지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5, the first seal prevents a gap between the button carrier portion and the button, and the second seal prevents a gap between the clamp portion and the button. Accordingly, the button carrier is hermetically sealed between the button carrier portion and the clamp portion with the butto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holding force of the button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portion is greatly strengthened, so that the button is more reliably held by the button carrier portion and the clamp portion.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단추에 대하여 방향검출수단에 의해 중심선 둘레의 방향이 검출되어, 단추를 꿰매어 부착하는 작업시의 예정된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과 검출된 방향이 다른 경우에는, 각도조절기구의 구동원을 구동시켜 단추를 움직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봉제시에 단추 방향의 적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으며, 양호한 단추 봉착을 가능하게 하여, 봉제에서의 신뢰성 및 확실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방향 확인이나 방향 조절 작업의 소요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rection around the center line is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ng means with respect to the button and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direction at the time of sewing and attaching the buttons is different from the detected direction,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button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butt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optimize the button direction at the time of sewing, to enable good button sewing, to improve reliability and reliability in sewing,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orientation confirmation and direction adjustment work, The improvement can be achieved.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단추에 대하여 위치검출수단에 의해 단추를 꿰매어 부착하는 작업시의 예정된 위치에 대한 위치 어긋남이 검출되면, 위치조절기구의 구동원을 구동시켜 단추를 움직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봉제시에 단추 위치의 적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고, 양호한 단추 봉착을 가능하게 하여, 봉제에서의 신뢰성 및 확실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위치 확인이나 위치 조절 작업의 소요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7, when a positional deviation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t the time of work for sewing and attaching the button by the position detecting means to the button is detected, the position of the button can be adjusted by driving the driving source of the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optimize the button position at the time of sewing, to enable good button sewing, to improve reliability and reliability in sewing,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position confirmation and position adjustment work, The improvement can be achieved.

(발명의 전체 구성)(Entir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추달기 재봉틀(1; 이하 재봉틀(1))은, 단추공급장치(2)와, 봉제 동작부(40)와, 재봉틀(1)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도시생략)와, 작업자에 의해 재봉틀(1)의 동작지시가 입력되는 페달(도시생략)과, 재봉틀(1)의 각종 설정을 수행하는 조작패널(도시생략)을 구비하고 있다. 봉제 동작부(4)는, 피봉제물의 위쪽에서 단추(B)를 유지하는 단추 포착 발(41)을 구비하고, 단추 포착 발(41)에 유지된 단추(B)를 피봉제물에 대해 꿰매어 부착한다. 단추공급장치(2)는 단추 포착 발(41)에 단추(B)를 1개씩 공급한다.1, a button sewing machin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wing machine 1) includes a button feeding device 2, a sewing operation portion 40, a control device (not shown) for controlling each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1 A pedal (not shown) to which an operation instruction of the sewing machine 1 is input by an operator, and an operation panel (not shown) for performing various settings of the sewing machine 1. The sewing operation portion 4 is provided with a button catching foot 41 for holding the button B at the upper side of the pick material and the button B held by the button catching foot 41 is stitched do. The button supply device 2 feeds one button B to the button catching foot 41.

단추공급장치(2)는, 단추 공급기(10)와, 단추 공급기(10)로부터 1개씩 보내어진 단추(B)의 단추구멍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하는 단추구멍 위치조절부(20; 단추구멍 위치조절수단)와, 단추구멍 위치조절부(20)에 의해 단추구멍의 위치 및 방향이 조절된 다음의 단추(B)를 봉제 동작부(40)의 단추 포착 발(41)로 운반하는 단추 반송부(30; 단추공급수단)를 구비하고 있다.The button supply device 2 includes a button feeder 10 and a button hole position adjusting part 20 for adjus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button hole of the button B sent one by one from the button feeder 10 And a button conveying unit (not shown) for conveying the next button B whose position and direction has been adjusted by the button hole position adjusting unit 20 to the button catching foot 41 of the sewing operation unit 40 (Button supplying means 30).

단추 공급기(10)는, 작업자에 의해 단추(B)가 보급될 때의 트레이가 되는 단추 보급 트레이(11)와, 단추 보급 트레이(11)로부터 1개씩 보내어진 단추(B)를 받는 송출부(12)와, 송출부(12)로부터 1개씩 보내어진 단추(B)를 단추구멍 위치조절부(20)에 1개씩 전달하는 회전판(13)을 구비하고 있다.The button feeder 10 is provided with a button replenishing tray 11 serving as a tray when a button B is loaded by an operator and a feeder receiving a button B sent from the button replenishing tray 11 one by one And a rotary plate 13 for transmitting the buttons B sent from the dispensing unit 12 to the button hole position adjusting unit 20 one by on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추 보급 트레이(11)의 내주(內周)부에는 소용돌이 형상의 단추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단추 경로는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 오름 구배(勾配)의 슬로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추 공급기(10)가 동작하면, 단추 보급 트레이(11)는 진동하고, 단추 보급 트레이(11)에 보급된 단추(B)는 그 나선형상의 단추 경로의 바닥부에 의해 바깥쪽으로 유도된다. 또한, 송출부(12)가 설치된 쪽의 단추 보급 트레이(11)의 외주부에는 송출구(11a)가 형성되어 있다. 단추(B)는 외주부로 유도되어 송출구(11a)로부터 송출부(12)의 구멍부(12b)로 보내어진다.As shown in Fig. 2, a spiral-shaped button path is formed in an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button replenishment tray 11. As shown in Fig. The button path is formed so as to be a slope of an upward gradient as it is directed toward the outside. When the button feeder 10 is operated, the button feeding tray 11 vibrates, and the button B, which is supplied to the button feeding tray 11, is guided outward by the bottom of the helical button path. A delivery port 11a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button replenishing tray 11 on the side where the delivery portion 12 is installed. The button B is guided to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and is sent from the delivery port 11a to the hole portion 12b of the delivery portion 12. [

송출부(12)는, 축부(12a)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구멍부(12b) 내의 단추(B)를 이동시키는 회전부(12c)와, 재봉틀(1)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형성되며 구멍부(12b)의 바닥부가 되는 고정부(12d)를 구비하고 있다. 단추 보급 트레이(11)의 송출구(11a)로부터 보내어진 단추(B)는 송출부(12)의 구멍부(12b)로 들어간다. 구멍부(12b)는 회전부(12c)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부(12c)의 하면부와 고정부(12d)의 상면부는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고정부(12d)의 상면부가 회전부(12c)의 구멍부(12b)의 바닥면으로서 기능하여 단추(B)를 지지한다. 또한, 회전부(12c)는 회전하기 때문에, 구멍부(12b)의 측부와 단추(B)가 걸려 결합되고, 회전부(12c)의 회전에 따른 구멍부(12b)의 위치변경과 함께 단추(B)는 이동한다.The dispensing section 12 includes a rotation section 12c that rotates around the shaft section 12a and moves the button B in the hole section 12b and a rotation section 12c fixed to the frame of the sewing machine 1, And a fixing portion 12d which is a bottom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12d. The button B sent from the delivery port 11a of the button replenishing tray 11 enters the hole portion 12b of the delivery portion 12. [ The hole portion 12b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rotation portion 12c.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portion 12c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12d are provided so as to slide.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12d functions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e portion 12b of the rotation portion 12c to support the button B. The button B is engaged with the side portion of the hole portion 12b and the position of the button B is changed along with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hole portion 12b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portion 12c, Lt; / RTI >

또한, 축부(12a)에 대하여 단추 보급 트레이(11)의 송출구(11a)의 반대 측이며, 회전부(12c)의 회전에 따른 구멍부(12b)의 이동경로와 겹치는 위치에는 송출구(12e)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12c)의 회전에 따라 송출구(12e)의 위쪽까지 이동된 단추(B)는 송출구(12e)로부터 아래쪽으로 낙하하고, 회전판(13)의 구멍부(13b)로 보내어진다.A delivery port 12e is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delivery port 11a of the button replenishing tray 11 with respect to the shaft portion 12a and overlapping with the movement path of the hole portion 12b due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portion 12c, Respectively. The button B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delivery port 12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portion 12c drops downward from the delivery port 12e and is sent to the hole portion 13b of the rotary plate 13. [

회전판(13)은, 축부(13a)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구멍부(13b) 내의 단추(B)를 이동시키는 회전부(13c)와, 재봉틀(1)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형성되며 구멍부(13b)의 바닥부가 되는 고정부(13d)를 구비하고 있다. 구멍부(13b)는 회전부(13c)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부(13c)의 하면부와 고정부(13d)의 상면부는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고정부(13d)의 상면부가 회전부(13c)의 구멍부(13b)의 바닥면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회전판(13)은 그 일부가 송출부(12)에 대하여 아래쪽에서부터 겹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회전부(13c)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구멍부(13b)의 이동경로는, 송출부(12)의 송출구(12e)의 아래쪽을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송출부(12)의 송출구(12e)로부터 낙하된 단추(B)는 회전판(13)의 구멍부(13b)로 낙하되고, 회전부(13c)의 회전에 따른 구멍부(13b)의 위치변경에 따라 단추(B)는 이동한다.The rotary plate 13 includes a rotary portion 13c that rotates about a shaft portion 13a and moves a button B in the hole portion 13b, a hole portion 13b that is fixed to the frame of the sewing machine 1, And a fixing portion 13d which is a bottom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13d. The hole portion 13b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rotation portion 13c.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portion 13c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13d are provided so as to slide.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13d functions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e portion 13b of the rotation portion 13c. The rotary plate 13 is provided so that a part of the rotary plate 13 does not overlap with the delivery portion 12 from below. The movement path of the hole portion 13b which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portion 13c is provided so as to pass under the delivery port 12e of the delivery portion 12. [ The button B dropped from the delivery port 12e of the delivery portion 12 falls to the hole portion 13b of the rotary plate 13 and the hole 13b of the hole portion 13b The button B mov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osition.

또한, 축부(13a)에 대하여 송출부(12)의 송출구(12e)의 반대 측이며, 구멍부(13b)의 이동경로와 겹치는 위치에는 송출구(13e)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13c)의 회전에 따라 송출구(13e)의 위쪽까지 이동된 단추(B)는 송출구(13e)로부터 아래쪽으로 낙하하고, 단추구멍 위치조절부(20)로 전달된다. 즉, 「전달 위치」는 송출구(13e)가 형성된 위치가 된다.A delivery port 13e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delivery port 12e of the delivery section 12 with respect to the shaft section 13a an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movement path of the hole section 13b. The button B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delivery port 13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part 13c drops downward from the delivery port 13e and is transmitted to the button hole position adjustment part 20. [ That is, the " delivery position " is the position where the delivery port 13e is formed.

또, 단추 공급기(10)의 동작은 재봉틀(1)의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button feeder 1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of the sewing machine 1.

(단추구멍 위치조절부)(Button hole position adjustment section)

다음에, 도 3 내지 도 5에 따라 단추구멍 위치조절부(20)에 의해 단추(B)의 단추구멍의 위치 및 방향이 조절되는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 단추구멍 위치조절부(20)의 설명에 있어서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후술하는 단추 포착 암(21, 22)에 직진 이동을 부여하는 직동(直動)축(138)의 길이방향을 Y축 방향, 수평방향이며 Y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X축 방향, 연직 상하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buttonhole of the button B is adjusted by the buttonhole position adjusting unit 20 according to Figs. 3 to 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g. In the description of the button-hole position adjusting section 20,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linear motion shaft 138 which is disposed horizontally and which gives rectilinear motion to the button catching arms 21 and 22 to be described later is Y Axis direction, a horizontal directio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Y-axis direction as an X-axis direction, and a vertical vertical direction as a Z-axis direction.

봉제 동작부(40)는 바늘을 진동시켜 단추(B)를 꿰매어 부착한다. 따라서, 단추구멍 위치조절부(20)는 단추(B)가 단추 포착 발(41)로 반송된 시점에서 단추구멍의 배열방향과 바늘 진동 방향이 일치하도록, 단추(B)의 방향을 미리 조절한다. 또, 단추 반송부(30)는 단추구멍 위치조절부(20)로부터 단추 포착 발(41)로 단추(B)를 반송할 때에 단추(B)의 방향을 90도 변경시킨다. 따라서, 단추구멍 위치조절부(20)는 90도의 변경을 고려한 방향으로 단추(B)의 방향을 조절한다.The sewing operation portion 40 vibrates the needle to stitch the button B to attach. The buttonhole position adjusting unit 20 previously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button B so that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buttonhole and the needle vibrating direction coincide when the button B is conveyed to the button catching foot 41 . The button conveying section 30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button B by 90 degrees when the button B is conveyed from the button hole position adjusting section 20 to the button catching foot 41. Therefore, the buttonhole position adjusting section 20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button B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hange of 90 degrees is considered.

단추구멍 위치조절부(20)는, 한 쌍의 단추 포착 암(21, 22)과, 단추(B)의 단추구멍의 위치 및 방향을 확인하는 카메라(23)와, 단추 포착 암(21, 22)을 X-Y 평면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위치조절기구(130)와, 단추의 방향(회전각도)을 조절하는 각도조절기구(110)를 구비하고 있다.The buttonhole position adjusting section 20 includes a pair of button capturing arms 21 and 22 and a camera 23 for confirm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buttonhole of the button B and the button catching arms 21 and 22 A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130 for moving the light source to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XY plane, and an angle adjusting mechanism 110 for adjusting the direction (rotation angle) of the button.

단추 포착 암(21, 22)은 서로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추 포착 암(21, 22)의 각각의 기저단부는, 수직방향으로 향해진 단붙이 나사(28, 29; 도 5 참조)를 축으로 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위치조절기구(130)의 암 부착대(131)에 축 지지되어 있다. 단추 포착 암(21, 22)의 각각의 회동 단부 측에는, 단추(B)의 하면부의 외주부 부근을 수용하는 재치부(21a, 22a)가 형성되어 있다.The button capturing arms 21 and 22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Each of the base end portions of the button capturing arms 21 and 22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13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vertically oriented stepped screws 28 and 29 And is supported by a female mounting base 131 of a female connector. Mounting portions 21a and 22a for accommodating the vicinity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B are formed on the pivotal end sides of the button capturing arms 21 and 22, respectively.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추 포착 암(21, 22)은, 각각이 아래쪽에 보스형상의 돌기부(21b, 22b)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돌기부(21b, 22b)에는, 단추 포착 암(21, 22)의 회동 단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기부(21b, 22b)를 가압하는 핀칭 스프링(25)이 걸쳐져 있다. 이에 따라, 각 단추 포착 암(21, 22)은, 단추를 유지하는 회동 단부 측에서 서로 접근하여 이동하도록 가세되며, 후술하는 단추유지부재(111, 112)를 통해 단추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4, each of the button capturing arms 21, 22 has boss-shaped protruding portions 21b, 22b on the lower side thereof. These projecting portions 21b and 22b are provided with a pinching spring 25 for pressing the projecting portions 21b and 22b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al end portions of the button capturing arms 21 and 22 approach each other. As a result, each of the button capturing arms 21 and 22 is moved toward and away from each other on the side of the pivotal end holding the button, and can hold the button through the button holding members 111 and 112 described later.

또한, 한쪽의 단추 포착 암(22)의 상면에는, 단추의 유지를 해제하기 위한 구동원인 솔레노이드(26)가 설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26)는 다른 쪽의 단추 포착 암(21)을 향해 돌출과 후퇴를 수행하는 플런저를 구비하고 있다. 다른 쪽의 단추 포착 암(21)의 상면에는, 솔레노이드(26)의 플런저가 돌출시에 접촉하는 받이부재(27)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26)를 작동시킴으로써 플런저가 받이부재(27)를 가압하고, 핀칭 스프링(25)에 대항하여 각 단추 포착 암(21, 22)의 회동 단부 측을 눌러 개방하여, 단추의 유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one button capturing arm 22, a solenoid 26 serving as a driving source for releasing the holding of the button is provided. The solenoid 26 is provided with a plunger that protrudes and retracts toward the other button capturing arm 2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button capturing arm 21, there is provided a receiving member 27 to which the plunger of the solenoid 26 comes into contact when projecting. By operating the solenoid 26, the plunger presses the receiving member 27 and presses the pivoting end side of each button capturing arm 21, 22 against the pinching spring 25, So that the state can be released.

각도조절기구(1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단추 포착 암(21, 22)의 회동 단부 상면에 설치된 유지부재(111, 112)와, 단추(B)가 회전하도록 유지부재(111, 112)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인 회전각도 조절모터(113, 114)와, 각 회전각도 조절모터(113, 114)의 출력 축에 부착된 주동 풀리(115)와, 단추 포착 암(21, 22)의 아래쪽에서 각 유지부재(111, 112)와 연동하는 랙부재(116)와, 랙부재(116)와 맞물리는 피니온부(117a)를 구비하는 종동 풀리(117)와, 주동 풀리(115)와 종동 풀리(117)를 연동회전시키는 타이밍 벨트(118)를 구비하고 있다.3, the angle adjusting mechanism 110 includes holding members 111 and 11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rotating ends of the button capturing arms 21 and 22 and a holding member 111 A main pulley 115 attached to an output shaft of each of the rotation angle adjusting motors 113 and 114 and a button pickup arm 21 and 22 A driven pulley 117 having a rack member 116 interlocked with each of the holding members 111 and 112 and a pinion portion 117a engaged with the rack member 116 at the lower side of the main pulley 115, And a timing belt 118 for interlocking rotation of the driven pulley 117 and the driven pulley 117.

또, 유지부재(111) 측에 설치된 주동 풀리, 랙부재, 종동 풀리, 타이밍 벨트는, 모두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데, 이것은 유지부재(112) 측의 주동 풀리(115), 랙부재(116), 종동 풀리(117), 타이밍 벨트(118)와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이다.The main pulley 115, the rack member 116, and the timing belt on the side of the holding member 112 are not shown in the figure, but the main pulley, the rack member, the driven pulley, This is because the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driven pulley 117 and the timing belt 118.

각 유지부재(111, 112)는, 모두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의 만곡된 내측면을 대향시켜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각 면에서 단추(B)의 외주에 접촉시켜 끼워 유지한다.Each of the holding members 111 and 112 is formed in an arc shape when viewed in a plan view and is arranged so as to oppose the curved inner side surfaces of the holding members 111 and 112 and is held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tton B do.

유지부재(112) 측에 설치된 랙부재(116)는, 단추 포착 암(22)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평면에서 보았을 때 유지부재(112)와 거의 동일한 형상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랙부재(116)의 상면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호형상을 이루는 레일형상의 기다란 볼록부(116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단추 포착 암(22)의 회동 단부에는, 재치(載置)부(22a)에 인접하여 단추 포착 암(22)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원호형상의 가이드구멍(22c)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22c)에는, 아래쪽에서부터 랙부재(116)의 기다란 볼록부(116a)가 삽입된다. 그리고, 가이드 구멍(22c)에는 삽입된 기다란 볼록부(116a)의 상단 면이 유지부재(112)의 하면과 밀접한 상태에서, 랙부재(116)와 유지부재(112)가 방향을 정렬하여 고정 나사에 의해 연결된다. 기다란 볼록부(116a)는, 랙부재(116)의 본체부(기다란 볼록부(116a) 이외의 부분) 및 유지부재(112) 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22c)은, 기다란 볼록부(116a)와 동일한 원호형상이며 기다란 볼록부(116a)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다란 볼록부(116a)는, 랙부재(116)의 본체부 및 유지부재(112)에 의해 상하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구멍(22c)의 내부에 유지되면서, 가이드 구멍(22c)을 따라 원호의 궤적을 그리며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유지부재(22)는 그 내측 면이 원호를 따라 이동한다.The rack member 116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lding member 112 is disposed below the button capturing arm 22 and is formed into an arc shape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holding member 112 when viewed from the pla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ck member 116, there is formed a long convex portion 116a of a rail shape having an arc shape when viewed in plan view. On the other hand, an arc-shaped guide hole 22c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tton catching arm 22 is formed adjacent to the placement section 22a at the rotation end of the button capture arm 22. [ An elongated convex portion 116a of the rack member 116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22c from below. The rack member 116 and the holding member 112 are alig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elongated convex portion 116a inserted in the guide hole 22c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ing member 112, Lt; / RTI > The elongated convex portion 116a is formed to be narrower in width than the main body portion (a portion other than the long convex portion 116a) of the rack member 116 and the holding member 112. [ The guide hole 22c is formed in the same arc shape as the elongated convex portion 116a and longer than the elongated convex portion 116a. The elongated convex portion 116a is retained in the guide hole 22c so as not to be vertically separated by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rack member 116 and the retaining member 112 while being guided along the guide hole 22c So that it can move while drawing the trajectory of the arc. With this structure,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ing member 22 moves along the arc.

또한, 랙부재(116)의 원호의 외측이 되는 면에는 랙 기어(116b)가 형성되어 있다. 랙 기어(116b)는, 종동 풀리(117)의 피니온부(117a)와 맞물린다.A rack gear 116b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rack member 116 which is outside the arc. The rack gear 116b is engaged with the pinion portion 117a of the driven pulley 117.

종동 풀리(117)는, 상하방향으로 향해진 지지 축(117b)에 의해 단추 포착 암(22)의 하면에 축 지지되어 있다. 종동 풀리(117)의 상반부분은 피니온부(117a)로 되어 있으며, 하반부분은 타이밍 벨트(118)가 걸쳐지는 풀리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피니온부(117a)와 풀리부는 동심이며, 그 중심을 지지 축(117b)이 축 지지하고 있다.The driven pulley 117 is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capturing arm 22 by a support shaft 117b directed upward and downward. The upper half portion of the driven pulley 117 is a pinion portion 117a, and the lower half portion is a pulley portion on which the timing belt 118 extends. The pinion portion 117a and the pulley portion are concentric, and the center of the pinion portion 117a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117b.

주동 풀리(115)의 외주면과 종동 풀리(117)의 풀리부의 외주면에는, 모두 기어 형상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주동 풀리(115)와 종동 풀리(117)의 풀리부에는 타이밍 벨트(118)가 걸쳐져 있다. 타이밍 벨트(118)의 내측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타이밍 벨트(118)의 톱니와, 주동 풀리(115) 및 종동 풀리(117)의 톱니가 맞물려 있다.Gear teeth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en pulley 115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ulley portion of the driven pulley 117. [ A timing belt 118 is provided on the pulley portion of the driven pulley 115 and the driven pulley 117. Teams ar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timing belt 118 so that the teeth of the timing belt 118 and the teeth of the main pulley 115 and the driven pulley 117 are engaged.

각도조절기구(110)에 의한 단추(B)의 각도조절에 대해 설명한다. 단추 포착 암(21, 22)의 각 유지부재(111, 112)는, 각각의 원호의 내측이 되는 면에서, 단추(B) 외주에서의 지름 양단 위치에 접촉한 상태로 단추(B)를 끼워 유지한다. 그리고, 각 회전각도 조절모터(113, 114)가 구동함으로써 각 유지부재(111, 112)가 원호를 따라 이동한다. 이때, 각 회전각도 조절모터(113, 114)는, 서로 같은 동작량이면서 서로 동일한 방향의 회전구동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한쪽의 유지부재(111)가 원호를 따라 전방(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고, 다른 쪽의 유지부재(112)가 원호를 따라 후방(또는 전방)으로 이동하면, 단추(B)는 그 중심부를 상하로 통과하는 중심선을 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단추(B)의 각도조절(방향조절)이 이루어진다. 각 유지부재(111, 112)의 내측면의 원호는, 모두 동일한 반지름으로 설정되어 있고, 또한 각 내측면의 원호의 중심위치가, 각 단추 포착 암(21, 22)의 회동 단부에서의 접이(接離) 이동방향과 거의 평행이 되는 직선 상에 위치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부재(111, 112)의 원호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단추(B)의 중심위치를 유지한 채 단추(B)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angle adjustment of the button B by the angle adjusting mechanism 110 will be described. Each of the holding members 111 and 112 of the button capturing arms 21 and 22 is provided with a button B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tton B . Each of the holding members 111 and 112 moves along the arc by driving each of the rotation angle adjusting motors 113 and 114. [ At this time, each of the rotation angle adjusting motors 113 and 114 performs rotational driving in the same direction with the same amount of operation. Thus, when one holding member 111 moves forward (or backward) along an arc and the other holding member 112 moves rearward (or forward) along an arc, Clockwise (or clockwise) with the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vertically as an axis. Thus, the angle adjustment (direction adjustment) of the button B is performed. The circular arc of the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holding members 111 and 112 is set to have the same radius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circular arc of each inner surface is set to be the same as that of the fold And is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that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ntact. Therefore, the angle of the button B can be adjusted while the center position of the button B is maintained by the movement of the holding members 111 and 112 along the circular arc direction.

위치조절기구(130)는, 각 단추 포착 암(21, 22)의 기저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암 부착대(131)와, 암 부착대(131)를 유지하는 상하 유지 프레임(132, 133)과, 상하 유지 프레임(132, 133)을 탑재하여 단추 포착 암(21, 22)을 X-Y 평면의 임의의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이송대(134)와, 이송대(134)를 올려놓고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설치된 받침대(135)와, 단추 포착 암(21, 22)의 Y축 방향에 대한 이동 구동원이 되는 Y축 모터(136)와, Y축 모터(136)의 출력 축에 설치된 피니온(137)과, 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동시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피니온(137)에 맞물리는 랙 기어가 형성된 직동 축(138)과, 직동 축(138)을 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가이드(139, 139)와, 직동 축(138)의 한쪽 끝에 고정되는 축 홀더(140)와, 축 홀더(140)에 대해 Z축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이송대(134)를 연결하는 단붙이 나사(141)와, 축 홀더(140)에 고정 장비된 검출 편(142)의 통과선 상에 설치되는 동시에 검출 편(142)의 유무에 따라 Y축 모터(136)의 원점 위치를 검출하는 원점 센서(143)와, 축 홀더(140)에 대한 이송대(134)의 Z축 둘레의 회동동작의 구동원이 되는 X축 모터(144)와, X축 모터(144)의 출력 축에 설치된 피니온(145)과, 지지 축(146)에 의해 Z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동시에 지지 축 위치로부터 2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암부의 한쪽에 피니온(145)과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된 이송 암(147)과, 이송 암(147)의 다른 쪽의 암부에 지지 축(148)에 의해 축 지지되는 동시에 이송대(134)에 형성된 긴 구멍(134a)에 끼워져 결합되는 사각끼움목(149)와, 이송 암(147)의 한쪽의 암부에 고정 장비된 검출 편(檢出片)(150)의 통과선 상에 설치되는 동시에 검출 편(150)의 유무에 따라 X축 모터(144)의 원점위치를 검출하는 원점센서(151)를 구비하고 있다.The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130 includes an arm attachment base 131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base ends of the respective button capturing arms 21 and 22 and upper and lower holding frames 132 and 133 for holding the arm attachment base 131 A conveying table 134 that supports the upper and lower retaining frames 132 and 133 so as to move the button capturing arms 21 and 22 in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XY plane so as to be movable and a conveying table 134 A Y-axis motor 136 serving as a movement driving source for the Y-axis direction of the button capturing arms 21 and 22 and a Y-axis motor 136 serving as a movement driving source for the Y- A pinion 137 disposed on the output shaft, a linear shaft 138 disposed along the Y axis direction and having a rack gear engaged with the pinion 137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A shaft holder 140 fixed to one end of the linear shaft 138 and a pair of slide guides 139 and 139 for movably supporting the shaft holder 140 in the Z Is provided on the passing line of the detecting piece 142 fixedly attached to the shaft holder 140 and is provided on the passing line of the detecting piece 142 An origin sensor 143 for detecting the origin position of the Y-axis motor 136 in accordance with the X-axis motor 136 and an X-axis motor 144 serving as a driving source for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conveying table 134 about the Z- A pinion 145 provided on the output shaft of the X-axis motor 144, two arm portions 151 that are pivotally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146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the Z axis, A transfer arm 147 having teeth formed to engage with the pinion 145 on one side of the transfer arm 147 and a transfer arm 147 which is supported on the other arm portion of the transfer arm 147 by a support shaft 148, A square fitting neck 149 which is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 134a and which is engaged with the elongated hole 134a of the transfer arm 147, At the same tim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tection piece 150 and a home position sensor 151 for detecting the home position of the X-axis motor 144.

위치조절기구(130)는, Y축 모터(136)의 구동에 의해 단추 포착 암(21, 22)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X축 모터(144)의 구동에 의해 이송대(134)를 축 지지하는 단붙이 나사(141)를 중심으로 단추 포착 암(21, 22)을 Z축 둘레로 회동시킨다. 즉, Y축 모터(136)와 X축 모터(144)의 협동에 의해, X-Y 평면의 임의의 위치에 단추 포착 암(21, 22)의 회동 단부 측을 이동시켜 위치 결정할 수 있다.The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130 moves the button capturing arms 21 and 22 in the Y axis direction by driving the Y axis motor 136 and drives the feed belt 134 by the X axis motor 144 And rotates the button capturing arms 21 and 22 about the Z axis around the stepped screw 141 as a center. Namely, by cooperating with the Y-axis motor 136 and the X-axis motor 144, the rotational end side of the button capture arm 21, 22 can be moved to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X-Y plane for positioning.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23)는, 위치가 달라지지 않도록 지지 프레임에 의해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광축(光軸)은 Z축 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지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amera 23 is fixedly provided by a support frame so that its position is not changed, and its optical axis (optical axis) is support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Z-axis direction.

단추구멍 위치 조절부(20)는, 단추 공급시에 있어서 재봉틀(1)의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진다. 즉, 단추 공급시에 있어서, 솔레노이드(26)가 플런저 돌출 상태로 제어되고, 각 단추 포착 암(21, 22)이 떨어진 상태(단추 해방상태)에서 재치부(21a, 22a)가 단추 공급기(10)의 회전판(13)의 송출구(13e)의 아래쪽이 되는 위치에 대기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송출구(13e)로부터 낙하된 단추(B)를 재치부(21a, 22a)에서 수용하면, 솔레노이드(26)가 플런저 후퇴상태로 제어되어, 각 유지부재(111, 112)에 의해 단추(B)가 끼워 유지된다.The button hole position adjusting section 2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of the sewing machine 1 at the time of supplying the button. That is, when the button is supplied, the solenoid 26 is controlled to be in the plunger protruding state, and when the button capturing arms 21 and 2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ton release state) At a position below the delivery port 13e of the rotary plate 13 of the rotary drum 13. When the button B dropped from the delivery port 13e is accommodated in the placement portions 21a and 22a, the solenoid 26 is controlled to be in the plunger retreat state, B are held together.

그리고, 카메라(23)에 의해 위쪽에서부터 단추(B)의 촬영이 이루어져, 이치화(二値化) 등 주지의 화상처리에 의해 각 단추구멍의 위치 혹은 단추의 외부 가장자리의 위치로부터 단추(B)의 중심 위치가 구해진다. 그리고, 검출중심위치와 단추 반송부(30)로의 전달에 적합한 위치를 비교하여, 위치 어긋남이 산출된다. 단추 반송부(30)는, 단추(B)가 건네진 위치를 유지하며 회동반송동작에 의해 방향만 바꾸면서 단추 포착 발(41)에 단추(B)를 건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 때문에, 「단추 반송부(30)로의 전달에 적합한 위치」란, 단추(B)가 단추 포착 발(41)에 도달한 상태에서 단추를 꿰매어 부착하는 작업시에 예정된 위치가 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즉, 카메라(23)와 위치 어긋남을 산출하는 재봉틀의 제어장치가 「위치검출수단」으로서 기능한다.The photographing of the button B is carried out from above by the camera 23 and the position of the button B is detected from the position of each buttonhole or the position of the outer edge of the button by known image processing such as binarization The center position is obtained. Then, the detection center position is compared with a position suitable for delivery to the button return section 30, and the positional deviation is calculated. The button carrying section 30 carries out the operation of passing the button B to the button catching foot 41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only by the turning and carrying operation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 where the button B is passed. Therefore, the " position suitable for delivery to the button conveying section 30 " indicates the position at which the button B is positioned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for sewing the button while the button B reaches the button catching foot 41. [ That is, the control device of the sewing machine for calculating the positional deviation from the camera 23 functions as " position detection means ".

마찬가지로, 각 단추 포착 암(21, 22)에 유지된 단추(B)의 촬영화상으로부터 각 단추구멍의 위치를 검출하여, 단추(B)의 중심에 대한 방향(각도)이 구해진다. 그리고, 검출각도와 단추 반송부(30)로의 전달에 적합한 방향(각도)을 비교하여, 각도 어긋남이 산출된다. 여기서, 「단추 반송부(30)로의 전달에 적합한 방향」이란, 단추 반송부(30)에 의한 반송 후의 단추(B)의 방향이 단추 포착 발(41)에 있어서 꿰매어 부착하는 작업시에 예정된 방향이 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즉, 카메라(23)와 각도 어긋남을 산출하는 재봉틀의 제어장치가 「방향검출수단」으로서 기능한다.Similarly, the position of each buttonhole is detected from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button B held by the respective button capturing arms 21, 22, and the direc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utton B is obtained. Then, the detection angle is compared with a direction (angle) suitable for transmission to the button conveyance section 30, and the angle deviation is calculated. Here, the "direction suitable for transmission to the button conveying section 30" is a direction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button B after conveyance by the button conveying section 30 is directed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 That is, the control device of the sewing machine for calculating the angular deviation from the camera 23 functions as the " direction detecting means ".

그리고, 재봉틀의 제어장치는 산출된 위치 어긋남에 따라 X축 모터(144) 및 Y축 모터(136)를 구동하여, 위치 어긋남이 해소되도록 단추(B)의 위치를 바로잡는 위치보정제어를 실행한다. 즉, 재봉틀의 제어장치는 「위치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한다.Then, the controller of the sewing machine drives the X-axis motor 144 and the Y-axis motor 136 in accordance with the calculated positional deviation, and performs position correction control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button B so that the positional deviation is eliminated . That is, the control device of the sewing machine functions as a " position control means ".

또한, 재봉틀의 제어장치는, 산출된 각도 어긋남에 따라 각 회전각도 조절모터(113, 114)를 같은 방향 회전으로 동등한 동작량에 의해 구동하여, 산출된 각도 어긋남이 해소되도록 단추(B)의 방향(각도)을 바로잡는 방향보정제어를 실행한다. 즉, 재봉틀의 제어장치는 「각도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한다.Further, the control device of the sewing machine drives the rotation angle adjusting motors 113 and 114 in the same direction and with the same operation amount in accordance with the calculated angle deviation,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button B (Angle) is corrected. That is, the control device of the sewing machine functions as "angle control means".

이러한 보정 제어 후에 재봉틀의 제어장치는, 단추 반송부(30)로 단추(B)를 건네는 동시에 솔레노이드(26)를 플런저 돌출 상태로 제어하여 단추(B)를 해방하고, 단추구멍 위치조절부(20)에 대한 동작제어를 종료한다.After this correction control, the controller of the sewing machine controls the solenoid 26 to release the button B by controlling the solenoid 26 to the plunger protruding state while passing the button B to the button conveying section 30, ) Is completed.

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부재(111, 112)에 의해 단추(B)가 유지되어 있을 때의 단추(B)의 하면부는, 재치부(21a, 22a)에 의해 단추(B)의 외주부 부근의 일부가 지지되어 있는 상태이며, 단추 중심 부근의 하면부는 노출되어 있다. 이로써, 단추구멍 위치조절부(20)에 의해 단추구멍의 위치 및 방향이 조절된 후의 단추(B)의 하면부에 대하여, 단추 캐리어부(31)가 아래쪽에서부터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3,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B when the button B is held by the holding members 111 and 112 is pressed by the placing portions 21a and 22a to the button B,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near the center of the button is exposed. Thus,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B after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button hole is adjusted by the button hole position adjusting portion 20 from below.

(단추 반송부)(Button return section)

다음으로, 도 6에서 단추 반송부(30)에 의해 단추(B)가 단추 포착 발(41)로 운반되는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in which the button B is carried to the button catching foot 41 by the button return section 30 in Fig. 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단추 반송부(30)는, 단추(B)의 하면부에 접촉하며 단추(B)를 올려놓고 지지하는 트레이형상의 단추 캐리어부(31)와, 단추(B)에 대하여 단추 캐리어부(31)의 반대 측 즉 단추(B)의 상면부에 접촉하며 단추 캐리어부(31)에 의해 단추(B)를 끼워넣도록 동작하는 접시형의 클램프부(32)와, 일단이 단추 캐리어부(31)를 지지하며, 다른 쪽 끝이 프레임부(36)에 고정된 고정 암부(33)와, 일단이 클램프부(32)를 지지하며, 다른 쪽 끝이 프레임부(3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됨으로써 클램프부(32)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하이동 암부(34)와, 고정 암부(33)와 상하이동 암부(34)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하이동 암부(34)의 다른 쪽 끝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구동하는 액추에이터(35; 예컨대 솔레노이드 등)와, 고정 암부(33)와 상하이동 암부(34)를 지지하는 프레임부(36)와, 거의 연직으로 연이어 설치되어 프레임부(36)에 고정된 회전축(37)과, 회전축(37)을 회전구동하는 구동부(38)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암부(33) 및 상하이동 암부(34)의 한쪽 끝은 만곡되어 있으며, 고정 암부(33) 및 상하이동 암부(34)의 선단부는, 구동부(38)에 의한 고정 암부(33) 및 상하이동 암부(34)의 위치(P)로부터 위치(Q)에 대한 회동동작방향 즉, 단추(B)를 운반할 때의 이동방향을 향하고 있다.The button conveying section 30 includes a tray-shaped button carrier section 31 which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B and supports the button B mounted thereon and a button carrier section 31, Shaped clamp part 3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pposite side of the button carrier B, that is, the upper face part of the button B and which is operated to insert the button B by the button carrier part 31, And one end of which supports the clamp portion 32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frame portion 36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frame portion 36, A vertical arm 34 for vertically movably supporting the clamping portion 32 so as to connect the fixed arm 33 and the vertical arm 34 to each other, An actuator 35 (for example, a solenoid or the like) that is driven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rame (not shown) that supports the fixed arm 33 and the up and down moving arm 34 A rotary shaft 37 fixed to the frame portion 36 and a driving portion 38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rotary shaft 37 are provided. 6, one end of each of the fixed arm 33 and the up and down moving arm 34 is curved and the distal ends of the fixed arm 33 and the up and down moving arm 34 ar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38, To the position Q from the position P of the fixed arm 33 and the up and down moving arm 34 due to the movement of the button B.

액추에이터(35)는 상하방향으로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자(35a)와, 가동자(35a)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는 고정자(35b)를 가진다. 액추에이터(35)는, 고정자(35b)의 하단부가 고정 암부(33)와 연결되고, 가동자(35a)의 상단부가 상하이동 암부(34)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35)의 고정자(35b)에 의한 가동자(35a)의 동작은, 재봉틀(1)의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된다.The actuator 35 has a mover 35a provided so as to be oper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tator 35b which drives the mover 35a to move the mover 35a up and down. The lower end of the stator 35b of the actuator 35 is connected to the fixed arm portion 33 and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element 35a is connected to the up and down moving arm portion 34. [ The operation of the mover 35a by the stator 35b of the actuator 35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of the sewing machine 1. [

액추에이터(35)의 가동자(35a)가 아래쪽으로 수축하도록 동작한 경우, 상하이동 암부(34)의 다른 쪽 끝이 아래쪽으로 회동한다. 즉, 클램프부(32)가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단추 캐리어부(31) 상에 단추(B)가 있을 경우, 클램프부(32)는 단추(B)의 상면부에 접촉하여, 단추 캐리어부(31)의 방향으로 단추(B)를 가압한다. 즉, 클램프부(32)와 단추 캐리어부(31)에 의해 단추(B)가 끼워 넣어져 유지된다.When the mover 35a of the actuator 35 is operated to contract downward,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moving arm 34 rotates downward. That is, the clamp portion 32 moves downward. At this time, when the button B is on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 the clamp portion 3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utton B and presses the button B in the direction of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 do. That is, the button B is held by the clamp portion 32 and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 and held.

한편, 액추에이터(35)의 가동자(35a)가 위쪽으로 신장하도록 동작한 경우, 상하이동 암부(34)의 다른 쪽 끝이 위쪽으로 회동한다. 즉, 클램프부(32)가 위쪽으로 이동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부(32)와 단추 캐리어부(31)에 의해 단추(B)가 끼워 넣어져 유지된 상태로부터 클램프부(32)가 위쪽으로 이동함으로써 단추(B)에 대한 유지가 해소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ver 35a of the actuator 35 is operated to extend upward,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moving arm 34 rotates upward. That is, the clamp portion 32 moves upward. That i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lamp portion 32 is moved upward from the state in which the button B is held by the clamp portion 32 and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 It is resolved.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부(32)는 단추(B)의 유지와 해제가 가능하면 되므로, 액추에이터(35)의 동작량 및 상하이동 암부(34)의 회동동작 각도는 단추(B)의 유지와 해제에 요하는 최소한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ration amount of the actuator 35 and the turning operation angle of the up and down moving arm portion 34 are set such that the button B can be held and released by the clamping portion 32, And to be set to a minimum range required for disengagement.

또한, 구동부(38)는 회전축(37)을 회전구동함으로써 고정 암부(33) 및 상하이동 암부(34)를 회동시키는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이다. 즉, 단추 캐리어부(31) 및 클램프부(32)를 그 회동에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단추(B)를 이동시킨다. 이때, 구동부(38)에 의한 고정 암부(33) 및 상하이동 암부(34)의 회동 범위는, 도 2의 상하이동 암부(34)의 위치(P)와 위치(Q)에 의해 형성되는 내각(內角) 중 작은 쪽(θ쪽)의 각도 범위(예컨대 90도)이다. 또, 구동부(38)의 구동제어는 재봉틀(1)의 제어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driving unit 38 is an actuator such as a motor that rotates the fixed arm 33 and the up and down moving arm 34 by rotationally driving the rotating shaft 37. [ That is,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 and the clamp portion 32 are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thereof, thereby moving the button B. At this time, the range of rotation of the fixed arm 33 and the up and down moving arm 34 by the driving unit 38 is determined by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of the upper and lower movable arms 34, (E.g., 90 degrees) of the smaller one of the inner angles? The drive of the driving unit 38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sewing machine 1. [

즉, 위치(P)에 있어서, 단추구멍 위치조절부(20)에 유지된 단추(B)의 아래쪽에 단추 캐리어부(31)가 위치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35)의 가동자(35a)가 아래쪽으로 수축하도록 동작하고, 클램프부(32)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단추(B)는 클램프부(32)와 단추 캐리어부(31)에 의해 끼워 넣어져 유지된다. 이후, 구동부(38)가 구동하여 고정 암부(33) 및 상하이동 암부(34)를 위치(Q)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단추(B)는 단추 포착 발(41)의 클로(41a, 41b)의 선단부에 설치된 오목부(41c, 41d)의 사이로 운반된다.That is, when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 is located below the button B held by the button hole position adjusting portion 20 at the position P, the movable member 35a of the actuator 35 is moved downward And the clamping portion 32 is moved downward and the button B is held by the clamping portion 32 and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 to be held. Thereafter, the driving portion 38 is driven to rotate the fixed arm portion 33 and the up and down moving arm portion 34 to the position Q. The button B is carried between the concave portions 41c and 41d provided at the distal ends of the claws 41a and 41b of the button catching foot 41. [

(봉제 동작부)(Sewing operation part)

다음으로, 봉제 동작부(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sewing operation section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봉제 동작부(40)는, 봉제시에 있어서 피봉제물의 위쪽에서 단추(B)를 유지하는 단추 포착 발(41)과, 재봉바늘을 지지하며 상하이동하는 동시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바늘대(42)와, 단추(B)를 꿰매어 부착하는 작업이 종료된 후에 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기구(도시생략)와, 봉제 동작부(40)의 각 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봉제 동작부(40)를 동작시키는 각종 기구(주축, 재봉틀 모터 및 바늘대(42)의 요동기구 등)를 그 내부에 가지고 있는 재봉틀 프레임(43)을 구비하고 있다.The sewing operation portion 40 includes a button catching foot 41 for holding the button B at the upper side of the object to be sewn and a needle bar 42 for supporting the sewing needle and moving up and down, (Not shown) that cuts the thread after the sewing operation of the button B is finished, and a sewing operation unit 40 that supports the respective portions of the sewing operation unit 40 and operates the sewing operation unit 40 And a sewing machine frame 43 having therein various mechanisms (such as a main shaft, a sewing machine motor, and a swing mechanism of the needle bar 42).

또, 바늘대(42)가 재봉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하이동 및 요동함으로써 피봉제물에 바늘 땀이 형성되는 구조, 및 실 절단기구에 의한 실 절단의 구조에 대해서는 주지된 재봉틀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봉제 동작부(40)의 각종 동작제어는, 재봉틀(1)의 제어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needle bar 42 is moved up and down by the driving of the sewing machine motor to swing the needle bar stitches and the structure of thread cutting by the thread cutting mechanism is the same as the well known sewing machine, Is omitted. In addition, various operations of the sewing operation portion 40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of the sewing machine 1. [

또, 봉제 동작부(40)에 있어서는, 바늘대를 요동시키지 않고 단추 포착 발(41) 쪽을 이동시켜 각 단추구멍을 바늘낙하위치로 위치결정시키는 단추이동기구를 설치해도 되고, 바늘을 진동시키면서 단추 포착 발 쪽도 이동을 수행하여 서로 위치결정을 수행해도 된다.In the sewing operation section 40, a button moving mechanism may be provided for moving the button catching foot 41 side without rocking the needle bar to position each buttonhole at the needle drop position. Alternatively, The position of the picked-up foot may also be moved to perform positioning with respect to each other.

단추 봉제 동작부(40)의 단추 포착 발(41)은, 도 7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추(B)를 피봉제물의 위쪽에서 유지하는 클로(41a, 41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클로(41a)의 선단부의 클로(41b) 쪽(클로(41a)의 내측)의 측면부에는 오목부(41c)가, 클로(41b)의 선단부의 클로(41a) 쪽(클로(41b)의 내측)의 측면부에는 오목부(41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추 포착 발(41)은 클로(41a, 41b)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가세하는 스프링 등의 탄성 기구(도시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목부(41c)와 오목부(41d)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단추(B))은 클로(41a)와 클로(41b)에 끼워 넣어져 유지된다. 더욱이, 단추 포착 발(41)은, 클로(41a, 41b)의 선단부를 회동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부(도시생략)를 구비하고 있고, 클로(41a)와 클로(41b)를 서로 멀리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단추(B)에 대한 끼워 넣기를 해소하도록 동작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The button catching feet 41 of the button sewing operation portion 40 are provided with the claws 41a and 41b for holding the button B from above the picked up item as shown in Figures 7A and 7B, . A concave portion 41c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law 41b of the claw 41a on the side of the claw 41b (inside of the claw 41a) And a concave portion 41d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inner side. The button catching foot 41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chanism (not shown) such as a spring for urging the claws 41a and 41b to move inward. Thus, the button (B) located between the concave portion 41c and the concave portion 41d is held by the claw 41a and the claw 41b. The button catching foot 41 is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not shown) for driving the distal ends of the claws 41a and 41b to rotate, and rotates the claw 41a and the claw 41b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So that it is possible to operate so as to eliminate the fitting to the button B.

상술한 단추 반송부(30)에 의해 오목부(41c, 41d)의 사이로 단추(B)가 이동해 온 경우, 클로(41a)의 내측의 측면부 및 클로(41b)의 내측의 측면부는 단추(B)와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각각 바깥쪽으로 눌려 넓혀진다. 이후, 오목부(41c, 41d)의 사이로 단추(B)가 수용된 시점에서 클로(41a, 41b)는 탄성 기구에 의해 내측으로 가세되어, 단추(B)를 끼워 넣는다. 이와 같이 하여, 단추(B)는 클로(41a, 41b)의 오목부(41c, 41d)에 끼워져 결합되어 유지된다. 이때,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암부(33) 및 상하이동 암부(34)의 왜곡에 의해, 단추 반송부(30)와 단추 포착 발(41)은 접촉하지 않는다.The button side B of the claw 41a and the sid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claw 41b are pressed by the button B when the button B moves between the recesses 41c and 41d by the above- As shown in Fig. The claws 41a and 41b are urged inward by the elastic mechanism to insert the button B when the button B is accommodated between the recesses 41c and 41d. In this way, the button B is fitted and held in the concave portions 41c and 41d of the claws 41a and 41b. 7 (a), the button carrier 30 and the button catching foot 41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due to the distortion of the fixed arm 33 and the vertically moving arm 34.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이후, 액추에이터(35)의 가동자(35a)가 위쪽으로 신장하도록 동작함으로써 클램프부(32)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클램프부(32)와 단추 캐리어부(31)에 의한 단추(B)의 끼워 넣기가 해소된다. 이후, 구동부(38)는 위치(P)까지 고정 암부(33) 및 상하이동 암부(34)를 회동시킨다.Thereafter, the mover 35a of the actuator 35 is operated to extend upward so that the clamping portion 32 is moved upward, and the clamping portion 32 and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 press the button B The insertion is eliminated. Then, the driving unit 38 rotates the fixed arm 33 and the up and down moving arm 34 until the position P is reached.

또,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로(41a, 41b)는 선단부를 향해 비스듬히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고정 암부(33), 상하이동 암부(34)는 클로(41a, 41b)를 회피하도록 그 선단부 측이 만곡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암부(33), 상하이동 암부(34)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회동하는 경우라도, 클로(41a, 41b)와 단추 반송부(30)의 고정 암부(33), 상하이동 암부(34)가 충돌하지 않고 단추 반송부(30)에 의한 단추 포착 발(41)로 단추(B)가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b), the claws 41a and 41b are inclined obliquely toward the distal end portion. On the other hand, the fixed arm portion 33 and the up and down moving arm portion 34 are curved at their distal end sides so as to avoid the claws 41a and 41b. Thus, even when the fixed arm portion 33 and the up and down moving arm portion 34 pivot forward from the rear, the claws 41a and 41b and the fixed arm portion 33 and the up and down moving arm portions The button B can be supplied to the button catching foot 41 of the button returning section 30 without colliding with the button 34. [

(재봉틀의 동작)(Operation of sewing machine)

다음으로, 재봉틀(1)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sewing machin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작업자에 의해 조작 패널이 조작되어, 단추(B)의 단추구멍의 수 및 간격에 따른 바늘 땀의 설정이 이루어진다. 이후, 작업자에 의해 단추(B)가 단추 공급기(10)의 단추 보급 트레이(11)에 공급된다. 이후, 피봉제물이 봉제 동작부(40)에 세팅되어, 작업자에 의해 페달이 한번 밟히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단추 공급기(10)로부터 단추구멍 위치조절부(20)로 단추(B)가 1개씩 보내어져, 단추구멍 위치조절부(20)에 의해 단추(B)의 단추구멍의 위치 및 방향이 조절되고, 단추 반송부(30)에 의해 봉제 동작부(40)의 단추 포착 발(41)에 단추(B)가 공급된다. 이후, 작업자에 의해 다시 페달이 밟히면, 봉제 동작부(40)의 바늘대(42)가 상하이동 및 요동함으로써 단추(B)가 피봉제물에 꿰매어져 부착되고, 그 꿰매어져 부착되는 작업이 종료하면 봉제 동작부(40)의 실 절단기구가 동작하여 실을 절단한다. 또한, 실 절단 종료 후에 단추 포착 발(41)의 클로(41a, 41b)가 바깥쪽으로 개방되도록 동작하여, 꿰매어 부착하는 작업이 종료한 단추(B)에 대한 끼워넣기가 해소된다. 이후, 작업자에 의해 단추(B)를 꿰매어 부착하는 작업이 종료된 피봉제물이 분리된다.First, the operation panel is operated by the operator to set the needle sweat according to the number and the interval of the button holes of the button (B). Thereafter, the button B is supplied to the button replenishing tray 11 of the button feeder 10 by the operator. Thereafter, when the pedal is set on the sewing operation portion 40 and the pedal is depressed once by the operator, the button B is moved from the button feeder 10 to the button hole position adjusting portion 20 one by one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buttonhole of the button B are adjusted by the buttonhole position adjusting unit 20 and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buttonhole are adjusted by the button returning unit 30 to the button catching foot 41 of the sewing operation unit 40 Button B is supplied. Thereafter, when the pedal is depressed again by the operator, the needle bar 42 of the sewing operation portion 40 is moved up and down and swings, so that the button B is stitched on the picked product, and when the operation of stitching and attaching the button B is finished The thread cutting mechanism of the sewing operation section 40 operates to cut the thread. Further, after the end of thread cutting, the claws 41a and 41b of the button catching foot 41 are operated to open outward, and the fitting of the button B to which sewing work has been completed is eliminated. Thereafter, the workpiece on which the work for sewing and attaching the button B is completed is separated by the operator.

이후, 계속해서 단추를 꿰매어 부착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에 의해 다음의 피봉제물이 세팅되고, 상술한 바와 동일한 조작이 이루어진다.Thereafter, when the button is stitched to continue, the operator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 and the sam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의 단추공급장치의 작용 효과)(Function and effect of the button feeding device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추 캐리어부(31)는 단추 포착 발(41)에 단추(B)를 운반한 후, 클램프부(32)와 단추 캐리어부(31)에 의한 단추의 끼워넣기를 해제함으로써, 단추 포착 발(41)이 상하이동하지 않아도 단추는 단추 포착 발(41)로 건네진다. 이로써, 단추 포착 발(41)이 상하이동할 필요가 없어지고, 단추 포착 발(41)이 상하이동 동작시간만큼, 단추(B)가 꿰매어져 부착되는 데 소요되는 사이클 타임이 쓸데없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어 재봉틀의 생산성이 대폭 향상된다.The button carrier portion 31 releases the pushing of the button by the clamp portion 32 and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 after carrying the button B to the button catching foot 41. [ So that the button is passed to the button catching foot 41 even if the button catching foot 41 does not move up and down.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the button catching foot 41 to move up and down and the cycle time required for the button catching foot 41 to stitch and attach the button B by the up and down movement operation time is unnecessarily long The productivity of the sewing machine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단추(B)는 클램프부(32)와 단추 캐리어부(31)에 의해 끼워져 지지되기 때문에, 단추(B)의 단추구멍의 위치나 간격, 혹은 단추구멍의 크기에 좌우되지 않고 단추(B)를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기술에서 단추구멍의 위치, 간격 및 단추구멍의 크기에 대응하는 핀을 구비한 단추 캐리어부를 단추의 종류마다 준비할 필요가 있어, 단추공급장치의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재봉틀의 단추공급장치의 비용이 대폭 내려간다. 게다가, 종래기술에 있어서 단추의 종류가 달라질 때마다 단추 캐리어부를 교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교환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교환작업에 소비되는 시간이 단추를 다는 전체작업의 효율을 현저히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재봉틀의 생산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utton B is held by the clamp portion 32 and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 the position of the button hole of the button B, or the size of the button hole, So that the button B can be supported. As a result, in the prior art, it is necessary to prepare button carrier units each having a pi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spacing and size of the buttonhole of the buttonhole for each type of button, , The cost of the button feeder of the sewing machine is greatly reduced. In addi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button carrier part every time the type of the button is changed in the prior art, the replacement work is very troublesome, and the time spent in the replacement work is considerably deteriorated The productivity of the sewing machine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단추 포착 발(41)은 상하로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단추 캐리어부(31)는 상하로 이동하지 않고, 클램프부(32)도 단추(B)의 유지와 해제가 가능한 최소한의 범위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면 충분하다. 이로써, 종래기술과 같이 두꺼운 단추를 단추 캐리어부로부터 빼기 위해 단추 포착 발이 크게 위쪽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단추가 재봉바늘과 접촉하거나, 혹은 충돌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단추는 종래기술에 따른 단추공급장치에서는 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로써, 단추의 두께에 좌우되지 않고 단추를 단추 포착 발에 공급할 수 있는 재봉틀의 단추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어, 재봉틀의 가용성 및 신뢰성이 대폭 향상한다.Further, as described above, the button catching foot 41 does not move up and down. It is sufficient that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 does not move up and down and the clamp portion 32 is also moved up and down in the minimum range in which the button B can be held and released. As a result, since the button is likely to come into contact with or collide with the sewing needle when the button catching foot moves greatly upward in order to pull the thick button from the button carrier portion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it can not be supplied from the button supply devic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utton feeding device for a sewing machine that can supply a button to the button catching foot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thickness of the button,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avail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ewing machine.

또한, 상하이동 암부(34)가 상하이동함으로써 클램프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므로, 단추(B)의 파지에 있어서 단추 캐리어부(31) 및 고정 암부(33)는 상하이동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단추(B)를 파지하기 위한 구동부분을 간략화할 수 있다. 게다가, 단추 캐리어부(31)가 상하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단추 캐리어부(31)에 지지된 단추(B)는 상하이동에 따른 진동이나 경사를 받지 않고 확실히 지지된다.The button carrier portion 31 and the fixed arm portion 33 do not need to be moved up and down in order to grasp the button B because the up and down moving arm portion 34 moves up and down by moving the clamp portion upward and downward. Thus, the driving portion for gripping the button B can be simplified. In addition, since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 does not move up and down, the button B supported by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 is reliably supported without being subjected to vibration or inclination due to up and down movement.

또한, 고정 암부(33)와 상하이동 암부(34)의 선단부가 단추를 단추 포착 발(40)로 운반할 때의 이동방향을 향하도록 고정 암부(33)와 상하이동 암부(34)의 한쪽 끝이 만곡되어 있으므로, 단추공급수단(30)과 단추 포착 발(41)이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구동부(38)에 의한 고정 암부(33) 및 상하이동 암부(34)의 수평방향의 회동에 의해 단추공급수단(30)이 단추 포착 발(41)과 접촉하여 단추(B)의 공급이 저해되는 경우가 없어진다.The distal end portions of the fixed arm portion 33 and the vertically movable arm portion 34 are fixed to one end of the fixed arm portion 33 and the up and down moving arm portion 34 so as to face the moving direction when the button is carried to the button catching foot 40. [ The button supply means 30 and the button catching foot 41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button supply means 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utton catching foot 41 by the rotation of the fixed arm 33 and the up and down moving arm 34 by the driving unit 38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ase where it is inhibited is eliminated.

또한, 단추공급장치(2)에서는, 단추의 중심선 둘레의 방향이 카메라(23)에 의해 검출되고, 단추를 꿰매어 부착하는 작업시의 예정된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과 검출된 방향이 다른 경우에는, 각도조절기구(110)의 각 회전각도 조절모터(113, 114)가 구동되어 단추(B)를 돌려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봉제시에 단추(B)의 방향의 적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으며, 양호한 단추 봉착(縫着)을 가능하게 하여, 봉제에서의 신뢰성 및 확실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방향 확인이나 방향 조절 작업의 소요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In the button supply device 2, when the direction around the center line of the button is detected by the camera 23 and the detected direction differs from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direction at the time of sewing and attaching the button, The rotation angle adjusting motors 113 and 114 of the adjustment mechanism 110 are driven to rotate the button B to adjust the dir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optimize the direction of the button B at the time of sewing, to enable good button sewing (sewing),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reliability in sewing,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to improve the working efficiency.

마찬가지로, 단추(B)에 대하여 카메라(23)에 의해 단추를 꿰매어 부착하는 작업시의 예정된 위치에 대한 위치 어긋남이 검출되고, 위치조절기구(130)의 X축 및 Y축 모터(144, 136)가 구동되어 단추(B)를 움직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봉제시에 단추(B)의 위치의 적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으며, 양호한 단추 봉착을 가능하게 하여, 봉제에서의 신뢰성 및 확실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위치 확인이나 위치 조절 작업의 소요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Similarly,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button B with respect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is detected during the operation of sewing the button by the camera 23, and the X-axis and Y-axis motors 144 and 136 of the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13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utton B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button B.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optimize the position of the button B at the time of sewing, to enable good button sealing, to improve reliability and reliability in sewing, and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position confirmation and position adjustment So that the work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제 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상술한 실시형태와는 다른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단추 공급기(10), 단추구멍 위치조절부(20) 및 봉제 동작부(40)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다.Next, the second embodimen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button feeder 10, the buttonhole position adjusting unit 20 and the sewing operation unit 40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단추 반송부(30A)는, 상면부의 거의 중앙부에 흡기구(吸氣口)(51)가 형성되며, 상면부에 있어서 흡기구(51)를 둘러싸는 원형상의 제 1 시일(52)이 설치된 트레이형상의 단추 캐리어부(31A)와, 하면부에 제 2 시일(53)이 설치된 접시형의 클램프부(32A)와, 내측에 흡기구(51)와 통하는 통기도(通氣道)(33Aa)가 설치된 고정 암부(33A)와, 클램프부(32A)를 지지하며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상하이동 암부(34A)와, 고정 암부(33A)와 상하이동 암부(34A)를 연결하여 상하이동 암부(3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35)와, 고정 암부(33A)를 고정 지지하는 동시에 상하이동 암부(34A)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부(36)와, 회전축(37)과, 구동부(38)를 구비하고 있다. 액추에이터(35), 프레임부(36), 회전축(37) 및 구동부(38)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8 and 9, the button conveyance section 30A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n intake port 51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an upper surface portion thereof and an intake port 51 at an upper surface portion thereof. Shaped button carrier portion 31A provided with a circular first seal 52 surrounding the second seal 53 and a dish-shaped clamp portion 32A provided with a second seal 53 on the bottom portion, and a suction port 51 A vertical arm portion 34A capable of pivo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supporting the clamp portion 32A and a fixed arm portion 33A having a ventilation path 33Aa communicating with the fixed arm portion 33A and the vertical movement arm portion 33A, An actuator 35 for vertically moving the upper and lower moving arm portions 34A b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moving arm portions 34A and 34A and a frame portion 36 A rotary shaft 37, and a drive unit 38. [0031] The actuator 35, the frame portion 36, the rotating shaft 37, and the driving portion 38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단추 캐리어부(31A)에는 흡기구(51)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 암부(33A)에 설치된 통기도(33Aa), 흡기 파이프(54)를 통해 펌프 등의 흡인력 발생부(도시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즉, 흡인력 발생부가 동작함으로써 공기를 빨아 들이면, 흡기구(51)로부터 공기가 빨아 들여져, 흡인력이 발생하고, 단추(B)가 끌어 당겨져 유지된다. 또한, 단추 캐리어부(31A)의 상면부에는 흡기구(51)를 둘러싸도록 제 1 시일(52)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시일(52)은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추(B)의 상면부와 접촉하였을 때, 제 1 시일(52)과 단추(B)의 사이로부터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착시킨다. 또한, 제 1 시일(52)과 단추 캐리어부(31A)의 사이로부터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제 1 시일(52)과 단추 캐리어부(31A)는 밀착되어 있다.The button carrier portion 31A is formed with an air intake port 51 and is connected to a ventilation path 33Aa provided in the fixed arm portion 33A and a suction force generating portion (not shown) such as a pump through the intake pipe 54. [ That is, when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section operates to suck the air, air is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51, suction force is generated, and the button B is pulled and held. A first seal 5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A so as to surround the air inlet 51. The first seal 52 is made of an elastic member such as rubber or the like so that when the first seal 52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utton B as shown in Fig. So as not to leak. The first seal 52 and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A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vent air from leaking between the first seal 52 and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A.

또한, 클램프부(32A)의 하면부에는 제 1 시일(52)과 거의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원형상의 제 2 시일(53)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시일(53)은 제 1 시일(52)과 마찬가지로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추(B)의 상면부와 접촉하였을 때, 제 2 시일(53)과 단추(B)의 사이로부터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착시킨다. 또한, 제 2 시일(53)과 클램프부(32A)의 사이로부터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제 2 시일(53)과 클램프부(32A)는 밀착되어 있다. 또, 액추에이터(35)의 가동자(35a)의 아래쪽에 대한 신축에 의해 고정 암부(33A)가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클램프부(32A)가 상하이동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의 단추 반송부(30)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액추에이터(35)의 동작에 의해 클램프부(32A)는 단추(B)에 대하여 단추 캐리어부(31A)의 반대 측으로부터 단추(B)를 단추 캐리어부(31A)의 흡기구(51)에 눌러 붙이도록 동작한다. 또, 액추에이터(35)의 구동에 의해 클램프부(32A)가 수행하는 단추(B)에 대한 단추 캐리어부(31A)로의 가압은, 그 가압력에 의해 단추(B)를 클램프부(32A)와 단추 캐리어부(31A)로 파지할 만큼 강할 필요는 없고, 제 2 시일(53)이 단추(B)의 상면부에 밀착되면서, 제 1 시일부(52)가 단추(B)의 하면부에 밀착되는 정도이면 된다. 또한, 액추에이터(35)의 구동에 의한 클램프부(32A)의 상승에 대해서도, 제 2 시일부(53)가 단추(B)의 상면부에 대한 밀착을 해소하는 정도이면 된다. 즉, 액추에이터(35)의 구동도 상술한 클램프부(32A)에 의한 단추(B)에 대한 가압력에 대응하여 구동제어된다.A circular second seal 53 having a diameter substantially equal to that of the first seal 52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lamp portion 32A. The second seal 53 is made of an elastic member such as rubber as in the case of the first seal 52. When the second seal 53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utton B as shown in Fig. So that air does not leak from between the buttons (B). The second seal 53 and the clamping portion 32A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no air leaks from between the second seal 53 and the clamping portion 32A.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xed arm portion 33A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actuator 35 under the mover 35a and the clamp portion 32A is moved up and down, Since the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carry section 30,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That is,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35, the clamping portion 32A presses the button B against the button B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A to the inlet port 51 of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A . The pressing of the button B to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A by the clamping portion 32A by the driving of the actuator 35 causes the button B to be pushed by the clamping portion 32A, The first seal portion 5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of the button B while the second seal 5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utton B without being strong enough to grip with the carrier portion 31A . The lifting of the clamping portion 32A by the driving of the actuator 35 may be carried out only to the extent that the second seal portion 53 can relieve th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utton B. That is, the driving of the actuator 35 is also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pressing force of the above-described clamping portion 32A against the button B.

이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추 캐리어부(31A)와 클램프부(32A)에 의해 단추(B)가 끼워 넣어진 위치관계가 된 경우, 단추 캐리어부(31A), 제 1 시일(52), 클램프부(32A) 및 제 2 시일(53)에 의해, 단추(B)의 단추구멍을 사이에 둔 밀폐공간이 생긴다. 이때 상기 밀폐공간에 있어서 흡인구(51)만 공기가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밀폐공간이 생긴 상태에서 흡인력 발생부가 동작하면, 흡인구(51)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짐으로써 흡인력이 생긴다. 이때, 제 1 시일(52) 및 제 2 시일(53)에 의해 공기 누설이 방지되기 때문에, 단추(B)의 상면측으로부터 단추구멍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것에 의한 흡인력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단추(B) 및 클램프부(32A)에 대하여 매우 강한 흡인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단추 반송부(30A)는 보다 강한 유지력으로 단추(B)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단추구멍의 간격이 기존의 경우에는, 제 1 시일(52) 및 제 2 시일(53)은, 전체 단추구멍을 둘러쌀 수 있는 내부 지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추 반송부(30A)는, 이와 같이 단추(B)를 유지하며 단추 포착 발(41)로 단추(B)를 운반한다. 이로써, 흡인구(51)는 「흡인부」로서 기능한다. 또, 구동부(38)가 회전축(37)을 통해 고정 암부(33A), 상하이동 암부(34A)를 회동시켜 단추(B)를 단추 포착 발(41)로 운반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의 단추 반송부(30)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9, when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A and the clamp portion 32A mak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in which the button B is sandwiched,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A, the first seal 52 ), The clamping portion 32A and the second seal 53 create a sealed space with the buttonhole of the button B interposed therebetween. At this time, only the suction port 51 can enter and exit the air in the closed space. That is, when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section operates in a state where the closed space is formed, suction force is generated by sucking air from the suction port 51. At this time, air leakage is prevented by the first seal 52 and the second seal 53, so that the decrease of the suction force due to the inflow of air through the button hole from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button B is effectively prevented, A very strong suction force acts on the button B and the clamping portion 32A. Thus, the button carrying section 30A can hold the button B with a stronger holding forc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eal 52 and the second seal 53 are set to an inner diameter that can surround the entire buttonhole when the interval of the buttonhole is conventional. The button conveying section 30A carries the button B with the button catching foot 41 while holding the button B in this way. Thus, the suction port 51 functions as a "suction por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driving section 38 rotates the fixed arm section 33A and the up and down moving arm section 34A through the rotary shaft 37 and conveys the button B to the button catching foot 41 is described in the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utton transporting unit 30 will be omitted.

또, 흡인구(51)로부터의 흡인력이 충분히 발생할 경우에는, 클램프부(32A)와 제 2 시일(53)을 설치하지 않고, 제 1 시일(52)이 설치된 단추 캐리어부(31A)의 흡기구(51)가 흡인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단추(B)를 끌어당겨서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때, 단추 캐리어부(31A)가 단추(B)에 대한 유지력을 해제할 때에는, 흡인력 발생부가 동작을 정지함에 따라 흡기구(51)로부터의 흡인력의 발생을 정지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경우, 클램프부(32A)가 상하이동하는 동작이 불필요해지므로, 클램프부(32A)의 상하이동에 요하는 시간만큼만 단추 공급에 소요되는 사이클 타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다.When the suction force from the suction port 51 is sufficiently generated, the clamp portion 32A and the second seal 53 are not provided and the suction port of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A provided with the first seal 52 51 may cause the button B to be pulled and held by generating suction force. At this time, when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A releases the retain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button B,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portion is stopped by stopping the generation of the suction force from the suction port 51 as the operation is stopped. In this case, since the operation of moving the clamping portion 32A up and down becomes unnecessary, the cycle time required for supplying the button can be further shortened only by the time required for the clamping portion 32A to move up and down.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틀의 단추공급장치의 작용 효과)(Function and effect of the button feeding device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의 효과에 덧붙여, 단추 캐리어부(31A)는 흡인부(51)의 흡인력에 의해 단추(B)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단추(B)는 보다 확실히 단추공급수단(30A)에 유지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A holds the button B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portion 51. [ Thus, the button B is held by the button feeding means 30A more reliably.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단추(B)는 흡인부(51)의 흡인력에 의해 유지되므로, 단추(B)의 단추구멍의 위치나 간격, 혹은 단추구멍의 크기에 좌우되지 않고 단추(B)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기술에 있어서 단추구멍의 위치, 간격 및 단추구멍의 크기에 대응하는 핀을 구비한 단추 캐리어부를 단추의 종류마다 준비할 필요가 있어, 단추공급장치의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재봉틀의 단추공급장치의 비용이 대폭 내려간다. 게다가, 종래기술에 있어서 단추의 종류가 달라질 때마다 단추 캐리어부를 교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교환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교환작업에 소비되는 시간이 단추를 다는 전체작업의 효율을 현저히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재봉틀의 생산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utton B is hel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portion 51, the position of the button B can be changed without depending on the position or the interval of the buttonhole of the button B or the size of the buttonhole. . As a result, in the prior art, it is necessary to prepare button carrier units each having a pi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spacing and size of the buttonhole of the buttonhole for each type of button, Thus, the cost of the button feeder of the sewing machine is greatly reduced. In addi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button carrier part every time the type of the button is changed in the prior art, the replacement work is very troublesome, and the time spent in the replacement work is considerably deteriorated The productivity of the sewing machine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제 1 시일(52)이 단추 캐리어부(31A)와 단추(B)의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막고, 제 2 시일(53)이 클램프부(32A)와 단추(B)의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막는다. 이에 따라, 단추(B)를 사이에 두고 단추 캐리어부(31A)와 클램프부(32A)의 사이가 밀폐되고, 흡인부(51)의 흡인력에 의한 단추(B)의 유지력이 대폭 강해져, 단추(B)는 보다 확실히 단추 캐리어부 및 클램프부에 의해 유지된다.The first seal 52 prevents a gap between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A and the button B and the second seal 53 prevents a gap between the clamp portion 32A and the button B Lt; / RTI > As a result, the space between the button carrier portion 31A and the clamp portion 32A is sealed with the button B therebetween, and the holding force of the button B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portion 51 is greatly increased, B are more reliably held by the button carrier portion and the clamp portion.

(기타)(Etc)

또, 상술한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추 캐리어부(31, 31A)는 고정 암부(33, 33A)에 고정되어 유지되어 있는데, 단추(B)에 대해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해도 된다.Although the button carrier portions 31 and 31A are fixedly held by the fixed arm portions 33 and 33A in the foregoing embodiments and the second embodiment, the button carrier portions 31 and 31A may be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utton B .

또한, 단추 공급기(10)에 의한 단추구멍 위치조절부(20)로의 단추(B)의 공급에 대해서는, 다른 방법으로 해도 된다. 예컨대, 수동으로 단추구멍 위치조절부(20)의 단추 포착 암(21, 22)으로 단추를 공급해도 된다.Further, another method may be used for supplying the button B to the button hole position adjusting section 20 by the button feeder 10. [ For example, the button may be manually supplied to the button capturing arms 21 and 22 of the buttonhole position adjusting unit 20. [

또한, 고정 암부 및 상하이동 암부의 만곡은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한쪽 끝의 만곡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추공급수단이 단추 포착 발에 접촉하지 않도록, 고정 암부와 상하이동 암부의 선단부가 상기 단추를 단추 포착 발로 운반할 때의 이동방향을 향하게 고정 암부와 상하이동 암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굴곡 또는 만곡되어 있으면 된다.In addition, the curvature of the fixed arm portion and the vertically movable arm portion is not limited to the curvature at one end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fixed arm portion and the vertically movable arm portion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utton A part or all of the fixed arm portion and the up and down moving arm portion may be bent or curved so as to face the moving direction when carrying the button.

또한, 구동부(38)에 의한 고정 암부(33(33A)), 상하이동 암부(34(34A))의 회동 범위는, 각도(θ)의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각도(θ)의 대각(對角)이 되는, 위치(P)와 위치(Q)의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 범위가 큰 쪽으로 해도 된다. 이때, 고정 암부(33(33A)), 상하이동 암부(34(34A))는, 단추 포착 발(41)의 클로(41a, 41b)를 회피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형상에 대해서 반드시 굴곡 혹은 만곡 형성할 필요는 없다.The rotating range of the fixed arm 33 (33A) and the up and down moving arm 34 (34A) by the driving unit 38 is not limited to the range of the angle?. For example, the angular range formed between the position P and the position Q, which is a diagonal angle of the angle?, May be larger. At this time, since the claws 41a and 41b of the button catching foot 41 do not need to be avoided, the fixed arm 33 (33A) and the up and down moving arm 34 (34A) It is not necessary to form curves.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단추의 각도조절기구(110)와 위치조절기구(130)를 단추 반송부(30)의 바로 앞에 배치하고 있고, 각도조절에 관해서는 최종적으로 단추를 꿰매어 부착하는 작업시의 단추 방향의 적정화에도 충분히 공헌하지만, 위치조절에 대해서는 조절 후에 단추 포착 발(41)에 유지될 때에 위치조절된 단추(B)에 대하여 새롭게 위치변동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 위치조절의 실행이 감쇄될 가능성이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button adjusting mechanism 110 and the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130 are disposed directly in front of the button conveying portion 30. In regard to the angle adjustment, when the button is sewn and finally attached But the position adjustment may be newly caused with respect to the positionally adjusted button B when the button is held on the button catching foot 41 after the adjustment, There is a possibility.

따라서, 각도조절기구(110)와 위치조절기구(130)를, 단추 반송부(30)의 전달 후의 공정에서 실행되는 위치, 예컨대 단추 포착 발(41)에 탑재해도 된다.Therefore, the angle adjusting mechanism 110 and the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130 may be mounted on the position, for example, the button catching foot 41, which is executed in the process after the transfer of the button returning section 30.

구체적으로는, 단추 포착 발(41)의 선단부의 2갈래 연장부의 각각에 각도조절기구의 유지부재, 회전각도 조절모터, 각 회전각도 조절모터, 주동 풀리, 랙부재, 종동 풀리, 타이밍 벨트를 설치하고, 단추 포착 발(41)의 각 유지부재에 유지된 단추(B)를 회전 가능하게 해도 된다.More specifically, a holding member of an angle adjusting mechanism, a rotation angle adjusting motor, an angle of rotation adjusting motor, a moving pulley, a rack member, a follower pulley, and a timing belt are provided on each of the bifurcated extended portions of the tip end portion of the button catching foot 41 And the button B held by each holding member of the button catching foot 41 may be rotatable.

또한, 단추 포착 암(41)을, 위치조절기구의 이송대에 부착하고, 이송대에 직동(直動) 동작을 부여하는 Y축 모터, 피니온, 직동 축, 축 홀더 등의 구성과, Z축 둘레의 회동동작을 부여하는 X축 모터, 피니온, 이송 암, 사각끼움목 등의 구성에 의해 단추 포착 발(41)의 단추 유지위치를 수평면 상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 결정 가능하게 해도 된다.A structure of a Y-axis motor, a pinion, a linear shaft, a shaft holder, and the like for attaching the button capturing arm 41 to the conveying table of the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and imparting a linear motion to the conveying table, The button holding position of the button catching foot 41 may be positionable at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horizontal plane by a configuration such as an X-axis motor, a pinion, a transfer arm, a square fitting neck or the like.

또한, 이러한 각도조절기구 및 위치조절기구에 대해서는, 전술한 카메라(23)의 배치에서 촬영된 화상에 기초하여 보정제어를 수행해도 되는데, 단추 포착 발(41)의 단추 유지위치에 카메라를 배치하고, 여기에서의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정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바늘대와 동일 축 상으로부터 촬영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바늘대와의 간섭을 일으키므로, 이를 회피하면서 바늘대의 동일 축 상에 가능한 한 근접시켜, 광축이 가능한 한 연직 상하방향이 되는 위치에 카메라를 배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and the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may be subjected to correction control based on the image captured in the arrangement of the camera 23 described above. The camera is disposed at the button holding position of the button capture leg 41 , It is more preferable to perform the correction control based on the shooting data her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photographing from the same axis as the needle bar. However, interference with the needle bar is caused, so that the needle bar is as close as possible to the same axis of the needle bar while avoiding this, It is more preferable to dispose the camera.

이에 따라, 봉제시의 단추(B) 방향의 적정화 및 단추(B) 위치의 적정화를 한층 더 도모하여, 보다 양호한 단추 봉착을 가능하게 하고, 봉제에서의 신뢰성 및 확실성을 더욱 향상시켜, 위치 또는 각도의 확인이나 조절작업의 소요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효율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urther optimize the direction of the button B at the time of sewing and to optimize the position of the button B,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achieve better button sewing and further improve the reliability and reliability in sewing,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confirmation and adjustment of the workpiece,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추공급장치를 구비한 재봉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wing machine provided with a button fee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단추 공급기의 각 부와, 단추구멍 위치조절부의 단추 포착 암과, 단추 반송부와, 단추 포착 발과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Fig. 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each part of the button feeder, the button catching arm of the button-hole position adjusting part, the button returning part, and the button catching foot.

도 3은 단추구멍 위치조절부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tton hole position adjusting portion.

도 4는 단추구멍 위치조절부의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of the button hole position adjusting portion.

도 5는 단추구멍 위치조절부의 위치조절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of the button hole position adjusting portion.

도 6은 단추 반송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utton return section. Fig.

도 7은 단추 포착 발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로서, (a)는 단추 포착 발의 상면도, (b)는 단추 반송부가 설치된 쪽으로부터 단추 포착 발을 바라본 경우의 측면도이다.Fig. 7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utton catching foot, wherein (a) is a top view of the button catching foot, and (b) is a side view when the button catching foot is viewed from the side where the button conveying unit is installed.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단추 반송부의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utton carrying se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단추 반송부의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utton carrying se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캐리어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Fig. 10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arrier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1은 종래기술에 따른 캐리어 기구를 도 10과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설명도로서, (a)는 단추 캐리어부의 핀이 단추의 단추구멍을 삽입통과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b)는 단추 캐리어부에 대해 단추 포착 발이 위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1 is an explanatory view of a conventional carrier mechanism viewed from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Fig. 10, wherein Fig. 11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n of a button carrier portion passes through a button hole of a button,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tton catching foot is mov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button carrier por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2 : 단추공급장치2: Button Feeder

10 : 단추 공급기10: Button Feeder

13 : 회전판13:

20 : 단추구멍 위치조절부20: button hole position adjusting section

21, 22 : 단추 포착 암21, 22: Button catch arm

23 : 카메라(위치검출수단, 방향검출수단)23: camera (position detecting means, direction detecting means)

30 : 단추 반송부30: Button return section

31 : 단추 캐리어부31: Button carrier portion

32 : 클램프부32: clamp part

33 : 고정 암부33: Fixed arm portion

34 : 상하이동 암부34: Up and down moving arm portion

35 : 액추에이터35: Actuator

37 : 회전축37:

38 : 구동부38:

41 : 단추 포착 발(foot)41: Button capture Foot

110 : 각도조절기구110: Angle adjusting mechanism

113, 114 : 회전각도 조절모터(구동원)113, 114: rotation angle adjusting motor (driving source)

130 : 위치조절기구130: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136 : Y축 모터(구동원)136: Y-axis motor (driving source)

144 : X축 모터(구동원)144: X-axis motor (driving source)

Claims (8)

단추 포착 발(seizing foot)을 갖고, 단추를 단추 포착 발로 유지하며 봉제물에 꿰매어 부착하는 봉제 동작부와, 상기 단추 포착 발에 단추를 공급하는 단추공급수단을 구비한 단추달기 재봉틀로서,1. A button mounting sewing machine having a sewing operation portion having a button seizing foot and sewing and attaching the button to the sewing material while holding the button with a button catching foot and a button feeding means for feeding the button to the button capturing foot, 단추를 꿰매어 부착하는 작업시의 방향에 대응하도록 단추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추구멍 위치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며,Further comprising button hole position adjusting mean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button to correspond to the direction at the time of sewing and attaching the button, 상기 단추공급수단은 단추를 아래쪽에서부터 지지하는 단추 캐리어부를 갖고, 단추를 상기 단추 캐리어부 위에 올려놓은 후에 상기 단추 포착 발로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달기 재봉틀.Characterized in that the button supply means has a button carrier portion for supporting the button from below and carries it with the button catching foot after putting the button on the button carrier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단추공급수단은, Wherein the button supply means 한쪽 끝이 상기 단추 캐리어부를 지지하는 고정 암(arm)부와, A stationary arm portion having one end for supporting the button carrier portion, 단추에 위쪽에서부터 접촉하며, 상기 단추 캐리어부와 협동하여 단추를 끼워 유지하는 클램프부와,A clamp part which contacts the button from above and holds the button in cooperation with the button carrier part, 한쪽 끝이 상기 클램프부를 지지한 채 상하이동하는 상하이동 암부와, A vertical moving arm portion having one end vertically moving while supporting the clamp portion; 상기 고정 암부와 상기 상하이동 암부를 수평방향을 따라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달기 재봉틀.And a driving portion for rotating the fixed arm portion and the up-and-down moving arm portion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단추공급수단이 상기 단추 포착 발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 암부와 상기 상하이동 암부의 선단부가 단추를 상기 단추 포착 발로 운반할 때의 이동방향을 향하게 상기 고정 암부와 상기 상하이동 암부의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달기 재봉틀.The distal end portions of the fixed arm portion and the up and down moving arm portion are moved toward the moving direction when the button is carried by the button catching foot so that the button supply means does not contact the button catching foot, Wherein the button-sewing machine is bent.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단추 캐리어부는,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부를 구비하며, 상기 흡인부의 흡인력에 의해 단추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달기 재봉틀.Characterized in that the button carrier portion has a suction portion for sucking air and the button is hel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portion. 제 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단추 캐리어부와 단추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막는 제 1 시일(seal)과, A first seal for blocking a gap between the button carrier portion and the button, 상기 클램프부와 단추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막는 제 2 시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달기 재봉틀.And a second seal for blocking a clearance between the clamp portion and the button.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단추구멍 위치조절수단은, Wherein the button hole position adjusting means comprises: 단추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선 둘레의 단추 방향을 검출하는 방향검출수단과, Direc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button direction around an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button, 상기 단추를 회전시키는 각도조절기구와, An angle adjusting mechanism for rotating the button, 상기 방향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단추의 방향에 따라, 단추를 꿰매어 부착하는 작업시에 예정된 방향에 대응하도록 상기 각도조절기구의 구동원을 구동시키는 각도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달기 재봉틀.And an angle control means for driving a drive source of the angle adjusting mechanism so as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n operation of sewing and attaching the buttons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butt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ng means,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단추구멍 위치조절수단은, Wherein the button hole position adjusting means comprises: 단추를 꿰매어 부착하는 작업시에 예정된 위치로부터 단추의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과, Posi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positional deviation of the button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at the time of sewing and attaching the button, 단추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기구와, A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button, 상기 위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단추의 위치 어긋남에 따라, 상기 위치조절기구의 구동원을 구동시키는 위치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달기 재봉틀.And a position control means for driving the driving source of the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button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ng means.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단추공급수단은, 단추 캐리어부 아래쪽에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부를 구비하며, 상기 흡인부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단추를 상기 단추 캐리어부 상에 유지한 후에 상기 단추 포착 발로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달기 재봉틀.Characterized in that the button supplying means has a suction portion for sucking air from below the button carrier portion and carries the button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portion after holding the button on the button carrier portion, The sewing machine.
KR20090013299A 2008-02-19 2009-02-18 Button sewing machine KR10148271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37392 2008-02-19
JP2008037392 2008-02-19
JPJP-P-2009-025570 2009-02-06
JP2009025570A JP5265405B2 (en) 2008-02-19 2009-02-06 sew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804A KR20090089804A (en) 2009-08-24
KR101482717B1 true KR101482717B1 (en) 2015-01-14

Family

ID=4120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3299A KR101482717B1 (en) 2008-02-19 2009-02-18 Button sew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7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6467A (en) * 2020-09-11 2020-11-13 台州市钮王缝纫机有限公司 Automatic send button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4311A (en) 1964-07-02 1970-02-10 Mckee Button Co Inc Apparatus for selecting and positioning buttons for sewing on a sewing machine
JPH0426442A (en) * 1990-05-22 1992-01-29 Juki Corp button supply device
DE4210561A1 (en) * 1992-03-31 1993-10-07 Eickmeier Gerhard Dr Jur Sewing machine button feed - has a feed groove and push feed to give friction rotation on variety of button sizes and shap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4311A (en) 1964-07-02 1970-02-10 Mckee Button Co Inc Apparatus for selecting and positioning buttons for sewing on a sewing machine
JPH0426442A (en) * 1990-05-22 1992-01-29 Juki Corp button supply device
DE4210561A1 (en) * 1992-03-31 1993-10-07 Eickmeier Gerhard Dr Jur Sewing machine button feed - has a feed groove and push feed to give friction rotation on variety of button sizes and shap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804A (en) 2009-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2191B (en) Sewing sewing machine
JP5014083B2 (en) Side image acquisition device for suction nozzle and parts to be sucked
JP6373984B2 (en) Bulk parts supply device, bulk parts supply method
CN104514099B (en) sewing system
JP6728834B2 (en) Cloth gripping device
CN104514102B (en) Sewing system, supplying device and sewing machine
CN107227564B (en) Conveying device and conveying system
CN103298326B (en) Electronic component supply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installation apparatus
CN105283063B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KR101482717B1 (en) Button sewing machine
JP2017169759A (en) Transport system
JP2014041859A (en) Tape feeder and mounting method of carrier tape onto the tape feeder
CN212221539U (en) Vertical button identification transfer mechanism of vertical button sewing machine
JP2020181868A (en)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automatic pitch detection method
JP2017103342A (en) Bulk component supply apparatus and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CN204174396U (en) Sewing system and holder
JP5476607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CN116724673A (en) Bulk feeder and component mounting machine
CN111891693A (en) Vertical buckle identification transfer mechanism and vertical buckle identification transfer method of vertical buckle nailing machine
JP6931771B2 (en)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JP2017169761A (en) Sew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esser foot and a presser foot
JP2017169762A (en) Cloth presser device and sewing machine including cloth presser device
CN113046931B (en) Zigzag sewing machine
JP2018170513A (en) Bulk component supply device,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bulk component supply method
WO2024024807A1 (en) Electronic component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2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