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572B1 -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572B1
KR101482572B1 KR20130020413A KR20130020413A KR101482572B1 KR 101482572 B1 KR101482572 B1 KR 101482572B1 KR 20130020413 A KR20130020413 A KR 20130020413A KR 20130020413 A KR20130020413 A KR 20130020413A KR 101482572 B1 KR101482572 B1 KR 101482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ring
ring assembly
blade r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0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6186A (ko
Inventor
한상섭
김형윤
천무환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20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572B1/ko
Publication of KR20140106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01D25/246Fastening of diaphragms or stator-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30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01D9/04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forming ring or sector
    • F01D9/041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forming ring or sector us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gas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20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 F05D2230/21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압축기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 후단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베인이 복수의 단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는 하나의 몰드를 이용해서 주조 방식에 의해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상부 링과 하부 링을 포함하는 스플릿 구조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케이싱의 반경 방향, 축 방향,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FIXING BLADE RING ASSEMBLY FOR COMPRESSOR}
본 발명은 가스터빈에 적용되는 압축기 케이싱에 다수의 블레이드가 설치되는 링 어셈블리를 고정하는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생산을 위한 발전 분야에서는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한 가스터빈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가스터빈 시스템은 압축기와 연소기를 거쳐 발생한 고온 고압의 연소가스를 이용해서 터빈을 구동하는 시스템으로, 증기터빈 시스템에 비해 가동 시간 및 정지 시간이 짧고, 소형 경량이어서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가스터빈 시스템에 적용되는 압축기는 제한된 체적의 연소실에서 가열되어 터빈을 통과하면서 팽창하게 될 공기에 최대한의 압력을 가하기 위해, 터빈에서 공급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공기의 압력에너지로 전환시켜 공기의 위치에너지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압축기에서 공기를 압축할 때, 최소한의 온도상승으로 최대한의 압축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전체 가스터빈 엔진의 성능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가 되기 때문에, 압축기는 가스터빈엔진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 중의 하나이다.
가스터빈에 적용되는 압축기는 원심형 압축기과 축류형 압축기로 구분되는데, 축류형 압축기는 압축기 케이싱 내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베인과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로터에 설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수의 베인으로 이루어진 한 열과 다수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한 열을 압축기 단(stage)이라 하고, 최근에 제작되는 압축기에는 압축비를 높이기 위해 10 내지 20단을 사용한다.
압축기에 베인 어셈블리를 장착하는 기술에 관한 일 예가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일체형 베인 컨트롤 링을 구비하며, 흡입 가이드 베인 어셈블리 케이싱의 일단을 스크롤 케이스와 주조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며, 케이싱의 타단은 흡입부와 클램프 방식으로 결합되는 압축기용 일체형 흡입 가이드 베인 어셈블리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가스터빈 엔진에 일반적인 장착부, 누출, 내구성 및 열로 야기되는 편향 요구치를 만족시키는 후프형 외부 시라우드를 구비한 스테이터 조립체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87889호(2012년 10월 4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06723호(2007년 4월 13일 공고)
한편,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같이 다수의 베인이 설치된 링 어셈블리 형태로 제작하여 압축기의 케이싱에 설치하는 경우, 압축기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이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에 가해진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압축기는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에 가해지는 압축기 케이싱의 반경 방향, 축 방향,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베인 어셈블리의 유동을 완벽하게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케이싱의 반경 방향, 축 방향,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진동에 의한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이동을 방지하여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고장이나 손상을 방지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압축기는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센터링 작업시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와 케이싱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고,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을 설치해야만 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베인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압축기는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조립과 조립된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와 케이싱의 간극을 조절해서 고정하는 작업에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 및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기의 후단측에 설치되는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를 케이싱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센터링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는 압축기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 후단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베인이 복수의 단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는 하나의 몰드를 이용해서 주조 방식에 의해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상부 링과 하부 링을 포함하는 스플릿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링과 하부 링은 서로 결합되어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링과 하부 링의 외주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 환형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환형돌부가 삽입되는 환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링과 하부 링의 양측단에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제1 및 제2 플랜지부와 제3 및 제4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링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제1 플랜지부에는 제1 돌출블록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링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에는 상기 제1 환형돌부의 측단에서 돌출되어 제2 돌출블록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링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랜지부와 결합되는 제3 플랜지부에는 상기 제2 환형돌부의 측단에서 돌출되어 제3 돌출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제4 플랜지부에는 제4 돌출블록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4 돌출블록은 상기 제1 및 제2 환형돌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은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각각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의 양측단에는 각각 수평 방향을 따라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플랜지의 내측에는 상기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제1 내지 제4 돌출블록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돌출블록은 상기 슬롯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기계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의 상단과 하단에는 고정핀이 결합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관통공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환형돌부의 상단 및 제2 환형돌부의 하단에는 각각 상기 고정핀의 선단이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고정돌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방법은 (a) 상부 링과 하부 링을 결합하여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단계, (b) 압축기의 케이싱 양측단 내측에 형성된 각 슬롯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측정된 각 슬롯의 크기에 따라 상기 상부 링 및 하부 링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블록을 가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가공 작업이 완료된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를 하부 케이싱에 설치하고, 상부 케이싱을 상기 하부 케이싱에 결합하여 압축기의 케이싱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링 및 하부 링은 하나의 몰드를 이용해서 주조 방식에 의해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상부 링 및 하부 링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 환형돌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에 형성된 환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e) 상기 상부 케이싱 및 하부 케이싱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고정핀을 결합해서 상기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상단 및 하단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에 의하면,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상부 링 및 하부 링을 하나의 몰드를 이용해서 동일하게 제작해서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에 의하면, 케이싱의 반경 방향, 축 방향,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에 의하면, 케이싱에 형성된 슬롯의 크기에 따라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에 형성된 돌출블록을 기계 가공해서 케이싱과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센터링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센터링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구성품을 제거하여 조립 및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은 압축기의 운전 여부에 따른 고온 상태 및 저온 상태로의 반복적인 온도 변화 발생시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내부와 외부의 열팽창량 차이를 보상할 수도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가 적용된 압축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축기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A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의 고정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가 적용된 압축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축기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10) 및 케이싱(10) 후단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베인이 복수의 단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케이싱(10)의 후단에 설치되는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의 구성만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케이싱(10)의 중앙부에도 다수의 베인이 복수의 단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가 마련되는 것은 물론이다.
케이싱(10)은 대략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을 결합하여 하나의 원통을 이루도록 제작될 수 있다.
케이싱(10)의 내부에는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 및 로터 어셈블리(도면 미도시)가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케이싱(10)은 후단과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를 고정하는 고정부(13)를 포함한다.
고정부(13)는 아래에서 설명할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의 제1 및 제2 환형돌부(31,41)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13)의 내주면에는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의 제1 및 제2 환형돌부(31,41)가 삽입되는 환형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환형홈(14)은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10)의 제1 및 제2 환형돌부(31,41)를 고정해서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의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13)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케이싱(10)의 외측에서 고정핀(17)이 결합되도록 관통공(16)이 형성되는 관통공부(15)가 마련될 수 있다.
관통공부(15)는 각각 고정부(13)의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고정핀(17)은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의 수평 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부분으로, 관통공(16)을 관통해서 결합되고, 고정핀(17)의 상부는 복수의 체결볼트를 이용해서 관통공부(15)에 고정된다.
고정부(13)의 양측단에는 각각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플랜지(18)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의 양측단에는 각각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플랜지(18)가 형성되고, 각 플랜지(18)는 고정볼트를 이용해서 고정된다.
플랜지(18)의 내측에는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의 제1 내지 제4 돌출블록(34,35,44,45)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슬롯(19)이 형성될 수 있다.
슬롯(19)은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의 반경 방향 및 수직 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9)은 상부 케이싱(11)의 우측단과 하부 케이싱(12)의 좌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A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는 상부 링(30)과 하부 링(40)을 포함하는 스플릿(split)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상부 링(30)과 하부 링(40)은 하나의 몰드(mold)를 이용해서 주조 방식에 의해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부 링(30)과 하부 링(40)이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됨에 따라, 이하에서는 상부 링(30)의 구성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하부 링(40)도 상부 링(30)과 동일하게 형성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부 링(30)과 하부 링(40)은 서로 결합되어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대략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링(30) 및 하부 링(40)의 외주면에는 케이싱(10)의 환형홈(14)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환형돌부(31,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링(30)과 하부 링(40)의 양측단에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케이싱(10)의 플랜지(18) 내측에 위치되는 제1 및 제2 플랜지부(32,33)와 제3 및 제4 플랜지부(42,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링(30)의 제1 및 제2 플랜지부(32,33)과 하부 링(40)의 제3 및 제4 플랜지부(42,43)는 체결볼트를 이용해서 서로 고정된다.
도 3에서 보았을 때, 상부 링(30)의 우측단에 형성되는 제1 플랜지부(32)에는 제1 돌출블록(34)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블록(34)은 제1 환형돌부(31)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링(30)의 좌측단에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33)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환형돌부(31)의 좌측단에서 돌출되어 제2 돌출블록(35)이 형성된다.
하부 링(40)의 우측단에 형성되는 제3 플랜지부(42)에는 제2 환형돌부(41)의 우측단에서 돌출되어 제4 돌출블록(44)이 형성된다.
하부 링(40)의 좌측단에 형성되는 제4 플랜지부(43)에는 제4 돌출블록(45)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4 돌출블록(45)은 제2 환형돌부(41)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 링과 하부 링의 양측단에 각각 제1 내지 제4 돌출블록을 형성하고, 케이싱의 슬롯 크기에 따라 슬롯의 상하면과 접촉되는 제1 및 제2 돌출블록의 상면과 제3 및 제4 돌출블록의 하면을 가공해서 케이싱과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클리어런스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주조된 상부 링과 하부 링의 각 플랜지부를 고정하고, 케이싱의 슬롯 크기에 따라 돌출블록의 상면 또는 하면을 기계 가공하여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를 케이싱에 조립함으로써,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센터링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부 링(30)의 상단과 하부 링(40)의 하단에는 각각 상방 및 하방을 향해 제1 및 제2 고정돌부(36,46)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 고정돌부(36,46)에는 고정핀(17)의 선단이 결합되는 결합홈(37,4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고정핀(17)은 각각 상부 링(30) 및 하부 링(40)의 결합홈(37,47)에 결합되어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의 수평 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의 고정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의 고정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먼저, 주조 방식으로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된 상부 링(30)과 하부 링(40)을 결합해서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를 조립한다(S10).
이때,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의 내측에는 로터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상부 링(30) 및 하부 링(40)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베인이 복수의 단을 설치된 상태이다.
상부 링(30)의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플랜지부(32,33)는 각각 하부 링(40)의 양측에 형성된 제3 및 제4 플랜지부(42,43)와 서로 대응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체결볼트를 이용해서 고정된다.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의 조립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케이싱(10)에 형성된 각 슬롯(18)의 크기를 측정하고(S11), 측정된 슬롯 크기에 따라 상부 링(30)의 제1 및 제2 돌출블록(34,35) 상면과 하부 링(40)의 제3 및 제4 돌출블록(44,45) 하면을 가공한다(S12).
이때, 작업자는 기계 가공(maching) 작업에 의해 제1 내지 제4 돌출블록(34,35,44,45)을 간단하게 가공하여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를 케이싱(10)에 설치함으로써,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의 센터링 작업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케이싱(10)의 하부 케이싱(12)에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를 설치한 후(S13), 상부 케이싱(11)을 결합해서 케이싱(10)의 조립을 완료한다(S14).
마지막으로, 상부 및 하부 케이싱(11,12)에 형성된 관통공(16)을 통해 고정핀(17)을 설치해서 고정핀(17)의 선단을 상부 링(30)과 하부 링(40)의 제1 및 제2 고정돌부(36,46)에 형성된 결합홈(37,47)에 삽입하여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20)를 고정한다(S15).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를 압축기의 케이싱 내부에 설치하고, 도 3에서 보았을 때, 케이싱의 반경 방향(R), 축 방향(Z), 수직 방향(Y) 및 수평 방향(X)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기의 운전 여부에 따른 고온 상태 및 저온 상태로의 반복적인 온도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내부 및 외부의 열팽창량을 보상할 수도 있다.
즉,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제1 및 제2 돌출블록과 제3 및 제4 돌출블록은 각각 케이싱의 상부 케이싱 및 하부 케이싱에 형성된 각 슬롯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 돌출블록은 케이싱의 슬롯에 고정되어 블레이드 링의 반경 방향 및 수직 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환형돌부는 케이싱의 환형 홈에 삽입되어 블레이드 링의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고정핀은 케이싱을 관통해서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어셈블리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수평 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링 및 하부링의 일측에는 한 쌍의 돌출블록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하나의 돌출블록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상부 링 및 하부 링에 형성되는 돌출블록의 수를 다양하게 변경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싱의 반경 방향, 축 방향,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압축기의 케이싱 내부에 설치된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해서 유동을 방지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10: 케이싱 11: 상부 케이싱
12: 하부 케이싱 13: 고정부
14: 환형홈 15: 관통공부
16: 관통공 17: 고정핀
18: 플랜지 19: 슬롯
20: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30: 상부 링 31: 제1 환형돌부
32: 제1 플랜지부 33: 제2 플랜지부
34: 제1 돌출블록 35: 제2 돌출블록
36: 제1 고정돌부 37: 결합홈
40: 하부 링 41: 제2 환형돌부
42: 제3 플랜지부 43: 제4 플랜지부
44: 제3 돌출블록 45: 제4 돌출블록
46: 제2 고정돌부 47: 결합홈

Claims (12)

  1. 압축기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 후단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베인이 복수의 단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는 하나의 몰드를 이용해서 주조 방식에 의해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상부 링과 하부 링을 포함하는 스플릿(split)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링 및 상기 하부 링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양단에는 돌출 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주에는 상기 돌출 블록이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과 하부 링은 서로 결합되어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링과 하부 링의 외주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 환형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환형돌부가 삽입되는 환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과 하부 링의 양측단에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제1 및 제2 플랜지부와 제3 및 제4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블록은 상기 상부 링의 일측단에 형성된 상기 제1 플랜지부에 형성된 제1 돌출블록과,
    상기 상부 링의 타측단에 형성된 상기 제2 플랜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환형돌부의 측단에서 돌출된 제2 돌출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블록은 상기 하부 링의 일측단에 형성된 상기 제1 플랜지부와 결합되는 상기 제3 플랜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환형돌부의 측단에서 돌출되는 제3 돌출블록과,
    상기 제4 플랜지부에 형성된 제4 돌출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4 돌출블록은 상기 제1 및 제2 환형돌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각각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의 양측단에는 각각 수평 방향을 따라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각 플랜지의 내측에 상기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상기 제1 내지 제4 돌출블록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돌출블록은 상기 슬롯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기계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8.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단과 하단에는 고정핀이 결합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관통공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환형돌부의 상단 및 제2 환형돌부의 하단에는 각각 상기 고정핀의 선단이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고정돌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9. (a) 상부 링과 하부 링을 결합하여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단계,
    (b) 압축기의 케이싱 양측단 내측에 형성된 각 슬롯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측정된 각 슬롯의 크기에 따라 상기 상부 링 및 하부 링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블록을 가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가공 작업이 완료된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를 하부 케이싱에 설치하고, 상부 케이싱을 상기 하부 케이싱에 결합하여 압축기의 케이싱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 및 하부 링은 하나의 몰드를 이용해서 주조 방식에 의해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상부 링 및 하부 링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 환형돌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에 형성된 환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e) 상기 상부 케이싱 및 하부 케이싱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고정핀을 결합해서 상기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의 상단 및 하단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방법.
KR20130020413A 2013-02-26 2013-02-26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KR101482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0413A KR101482572B1 (ko) 2013-02-26 2013-02-26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0413A KR101482572B1 (ko) 2013-02-26 2013-02-26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186A KR20140106186A (ko) 2014-09-03
KR101482572B1 true KR101482572B1 (ko) 2015-01-14

Family

ID=5175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0413A KR101482572B1 (ko) 2013-02-26 2013-02-26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5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594B1 (ko) * 2018-05-11 2020-01-0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베인 캐리어,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및 가스 터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986B1 (ko) * 2021-08-25 2023-08-09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진동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102565987B1 (ko) * 2021-08-25 2023-08-09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진동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102565988B1 (ko) * 2021-08-25 2023-08-09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배기 디퓨저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102565985B1 (ko) * 2021-08-25 2023-08-09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배기 디퓨저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8602B1 (ko) * 1990-10-18 1999-09-01 드폴 루이스 에이 저압 증기 터어빈
US6174129B1 (en) 1999-01-07 2001-01-16 Siemens Westinghouse Power Corporation Turbine vane clocking mechanism and method of assembling a turbine having such a mechanism
US20050053457A1 (en) 2003-09-04 2005-03-10 Siemens Westinghouse Power Corporation Turbine blade ring assembly and clocking method
KR20100092976A (ko) * 2008-08-28 2010-08-23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변 용량 배기 가스 터빈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8602B1 (ko) * 1990-10-18 1999-09-01 드폴 루이스 에이 저압 증기 터어빈
US6174129B1 (en) 1999-01-07 2001-01-16 Siemens Westinghouse Power Corporation Turbine vane clocking mechanism and method of assembling a turbine having such a mechanism
US20050053457A1 (en) 2003-09-04 2005-03-10 Siemens Westinghouse Power Corporation Turbine blade ring assembly and clocking method
KR20100092976A (ko) * 2008-08-28 2010-08-23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변 용량 배기 가스 터빈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594B1 (ko) * 2018-05-11 2020-01-0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베인 캐리어,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및 가스 터빈
US10927690B2 (en) 2018-05-11 2021-02-23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Vane carrier, compressor, and gas turbin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186A (ko)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572B1 (ko) 압축기용 블레이드 링 어셈블리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EP3339576B1 (en) Gas turbine
CN102132011B (zh) 涡轮发动机的轻质固定翼片组件和包括至少一个这种固定翼片组件的涡轮发动机
EP2905475B1 (en) Stator blade assembly and gas turbine
US9328926B2 (en) Segmented combustion chamber head
US7618234B2 (en) Hook ring segment for a compressor vane
JP2008128251A (ja) ステータシム溶接
JP6451000B2 (ja) バケットの軸方向固定装置とバケット組立体およびこれを含むガスタービン
KR20150079537A (ko) 노즐 링
JP2013139810A (ja) 先端シュラウドを一列に並べる装置及び方法
RU2619914C2 (ru) Сектор лопаток статора, статор осевой турбомашины, осевая турбомашина
RU2631585C2 (ru) Направляющий аппарат компрессора для турбомашины
JP2005226638A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を組み立て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6174129B1 (en) Turbine vane clocking mechanism and method of assembling a turbine having such a mechanism
CN105121789A (zh) 涡轮发动机停机温度控制系统
EP3388634B1 (en) Gas turbine blade assembly having retainer assembling structure, and gas turbine having same
JP2006514213A (ja) 機械のステータ並びに組立及び分解方法
US8087871B2 (en) Turbomachine compressor wheel member
US20220003124A1 (en) Gas turbine stator vane, gas turbine provided with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as turbine stator vane
JP6162956B2 (ja) タービン・ノズル組み立て方法
US10844750B2 (en) Method of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gas turbine and gas turbine assembled thereby
KR102400013B1 (ko) 터빈 블레이드의 씰 조립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및 터빈 블레이드의 씰 조립방법
US10808609B2 (en) Method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gas turbine and gas turbine assembled thereby
JP2015081607A (ja) ターボ機械
JP7194826B2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中間フレーム部と、関連してロータの半径方向隙間を調整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