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425B1 - 선별플레이트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선별플레이트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425B1
KR101482425B1 KR1020130087764A KR20130087764A KR101482425B1 KR 101482425 B1 KR101482425 B1 KR 101482425B1 KR 1020130087764 A KR1020130087764 A KR 1020130087764A KR 20130087764 A KR20130087764 A KR 20130087764A KR 101482425 B1 KR101482425 B1 KR 101482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 case
mobile phone
photographing
auxiliary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덕수
권지훈
배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남전자
권지훈
배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남전자, 권지훈, 배기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남전자
Priority to KR1020130087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별플레이트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벨트를 타며 이송되는 휴대폰케이스를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와 우선하여 입력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합격품, 불합격품으로 판독하고, 판독 결과에 따라 선별플레이트의 작동으로 선별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케이스를 이송하는 인입이송벨트와, 상기 휴대폰케이스에 각인된 부분을 촬영하여 판독하는 보조촬영부와, 상기 보조촬영부에서 판독 완료된 이미지를 합격품, 불합격품에 대해 선별하는 보조선별플레이트와, 상기 보조촬영부에서 합격된 휴대폰케이스를 촬영하여 판독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판독 완료된 이미지를 합격품, 불합격품에 대해 선별하는 선별플레이트로 구성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어, 판독하려는 휴대폰케이스를 순차적으로 이송하며 판독과 선별이 가능하고, 판독 시 휴대폰케이스에 대한 각인판독과 전체적인 합격품, 불합격품에 대해서도 판독할 수 있으며, 판독 결과에 따라 선별플레이트를 작동시켜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판독하려는 휴대폰케이스에 대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별플레이트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별플레이트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Equipped with a cell phone case screening plate separator}
본 발명은 선별플레이트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벨트를 타며 이송되는 휴대폰케이스를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와 우선하여 입력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합격품, 불합격품으로 판독하고, 판독 결과에 따라 선별플레이트의 작동으로 선별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이캐스팅 또는 사출로 제작되는 휴대폰케이스는 그 두께가 얇고 형상이 복잡하여 다이캐스팅(또는 사출)시에 미성형, 수축공, 가공치수불량, 확공, 축공, 수포, 플로마크(flowmark), 탕주름, 탕경계등과 같은 다양한 불량이 발생되며, 이러한 불량들로 인해 모바일기기 프레임의 외형 사이즈가 규격을 벗어나거나 규격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어 휴대폰케이스의 외형 사이즈에 대한 검사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케이스에 대한 외형 사이즈 검사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휴대폰케이스와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의 안착홈을 갖는 단일체의 지그에 휴대폰케이스를 안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데, 휴대폰케이스가 안착홈에 완전하게 안착이 되면 양품으로 판명하고, 안착홈에 불완전하게 안착이 되면 불량품으로 판명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종래의 휴대폰케이스 검사장치를 살펴보면,
공개특허 10-2009-0073533호는 ‘휴대폰케이스 외형 사이즈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에는 휴대폰케이스를 수용할 수 있는 휴대폰케이스 안착홈이 마련되고, 일단부에는 결합돌기가 마련된 지그체와, 표시부와 측정수단을 가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검사수단과, 상기 지그체가 안착되는 지그체수용부와, 상기 검사수단이 안착되는 검사수단수용부와, 상기 지그체의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지그체결합홈이 마련되고 측정수단이 관통되어 휴대폰케이스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수단관통공을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격벽이 마련된 베이스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케이스 외형 사이즈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케이스 외형 사이즈 검사는 휴대폰케이스가 얇고 복잡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 휴대폰케이스를 안착시키는 지그의 안착홈도 휴대폰케이스와 동일하게 복잡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휴대폰케이스가 지그의 안착홈에 원활하게 안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탈착도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작업자로 하여금 지그의 안착홈에 휴대폰케이스를 완전하게 안착 또는 탈착시키기 위해 무리한 힘을 요구하게 되고, 지그의 안착홈에 휴대폰케이스를 완전하게 안착시키기 위해 무리한 힘을 요구하게 되면 휴대폰케이스에 흠집이 생길 우려가 있어 검사과정에서 또 다른 불량을 만들게 되는 문제점까지도 발생되고 있으며, 휴대폰케이스는 다이캐스팅(또는 사출) 상태에 따라 지그에 쉽게 안착되기도 하고 안착이 원활하지 못하기도 하는데, 이는 작업자가 휴대폰케이스를 지그의 안착홈에 안착시키는 시간을 일정하지 못하게 하므로 휴대폰케이스당 검사 속도도 균일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대량생산에 대한 관리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폰케이스 선별장치 중 이송벨트를 타며 이송된 휴대폰케이스를 원형의 형상을 수평 회전하는 플레이트에 안착되어 선별되는데, 이때 상기 플레이트에 휴대폰케이스가 안착된 제대로 된 안착이 되지 않거나 안착된 후 배출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으로 인해 판독 시 불량률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휴대폰케이스를 이송하는 인입이송벨트와, 상기 휴대폰케이스에 각인된 부분을 촬영하여 판독하는 보조촬영부와, 상기 보조촬영부에서 판독 완료된 이미지를 합격품, 불합격품에 대해 선별하는 보조선별플레이트와, 상기 보조촬영부에서 합격된 휴대폰케이스를 촬영하여 판독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판독 완료된 이미지를 합격품, 불합격품에 대해 선별하는 선별플레이트로 구성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하려는 휴대폰케이스를 이송시키는 인입이송벨트가 구성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일 측에 구성되되, 상기 인입이송벨트를 타며 이송된 휴대폰케이스를 이송시키는 촬영이송벨트와, 상기 촬영이송벨트의 일 측에 구성되어 촬영이송벨트를 타며 이송되는 휴대폰케이스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촬영이송벨트의 하부에 구성되어 감지센서의 감지로 인해 빛을 발산하는 조명장치와, 상기 조명장치의 작동으로 촬영이송벨트를 타며 이송되는 휴대폰케이스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 완료된 휴대폰케이스의 이미지와 우선하여 입력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촬영된 휴대폰케이스에 대한 합격품, 불합격품을 판독하는 판독처리장치가 구성된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의 일 측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촬영이송벨트를 타며 이송된 휴대폰케이스를 이송시키는 인출이송벨트가 구성된 인출부와, 상기 촬영부와 인출부 사이에 일정 각도를 가지며 구성되되, 일 측은 인출이송벨트와 연결되어 위치되고, 타 측은 촬영이송벨트의 끝부에 연결되어 위치되며, 상기 촬영이송벨트의 끝부에는 실린더가 구성되어 승, 하강되는 선별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플레이트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플레이트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에 의하면, 판독하려는 휴대폰케이스를 순차적으로 이송하며 판독과 선별이 가능하고, 판독 시 휴대폰케이스에 대한 각인판독과 전체적인 합격품, 불합격품에 대해서도 판독할 수 있으며, 판독 결과에 따라 선별플레이트를 작동시켜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판독하려는 휴대폰케이스에 대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획기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선별플레이트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 중 촬영부의 카메라와 거울이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 중 선별플레이트의 작동을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5는 도 3에 대한 선별플레이트와 보조선별플레이트의 작동을 나타내는 우측면도
이에 본 발명인 카메라를 이용한 선별플레이트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설명하면, 검사하려는 휴대폰케이스(k)를 이송시키는 인입이송벨트(100)가 구성된 인입부(10)와, 상기 인입부(10)의 일 측에 구성되되, 상기 인입이송벨트(100)를 타며 이송된 휴대폰케이스(k)를 이송시키는 촬영이송벨트(200)와, 상기 촬영이송벨트(2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촬영이송벨트(200)를 타며 이송되는 휴대폰케이스(k)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10)와, 상기 촬영이송벨트(200)의 하부에 구성되어 감지센서(210)의 감지로 인해 빛을 발산하는 조명장치(220)와, 상기 조명장치(220)의 작동으로 촬영이송벨트(200)를 타며 이송되는 휴대폰케이스(k)를 촬영하는 카메라(230)와, 상기 카메라(230)에서 촬영 완료된 휴대폰케이스(k)의 이미지와 우선하여 입력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촬영된 휴대폰케이스(k)에 대한 합격품, 불합격품을 판독하는 판독처리장치(240)가 구성된 촬영부(20)와, 상기 촬영부(20)의 일 측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촬영이송벨트(200)를 타며 이송된 휴대폰케이스(k)를 이송시키는 인출이송벨트(300)가 구성된 인출부(30)와, 상기 촬영부(20)와 인출부(30) 사이에 일정 각도를 가지며 구성되되, 일 측은 인출이송벨트(300)와 연결되어 위치되고, 타 측은 촬영이송벨트(200)의 끝부에 연결되어 위치되며, 상기 촬영이송벨트(200)의 끝부에는 실린더(410)가 구성되어 승, 하강되는 선별플레이트(400)로 구성된다.
상기 인입부(10)와 촬영부(20) 사이에는 인입이송벨트(100)타며 이송된 휴대폰케이스(k)를 이송시키는 보조촬영이송벨트(500)와, 상기 보조촬영이송벨트(500)의 상측에는 보조촬영이송벨트(500)타며 이송되는 휴대폰케이스(k)의 각인을 촬영하는 보조카메라(510)와, 상기 보조카메라(510)에서 촬영 완료된 각인의 이미지와 우선하여 입력된 각인 이미지를 비교하여 촬영된 휴대폰케이스(k)에 대한 합격품, 불합격품을 판독하는 각인판독처리장치(520)가 구성된 각인촬영부(50)가 구성된다.
상기 촬영부(20)와 각인촬영부(50) 사이에 일정 각도를 가지며 구성되되, 일 측은 촬영이송벨트(200)에 위치되어 연결되고, 타 측은 보조촬영이송벨트(500)의 끝부에 위치되어 연결되며, 상기 보조촬영이송벨트(500)의 끝부에는 실린더(610)가 구성되어 승, 하강되는 보조선별플레이트(600)가 구성된다.
상기 촬영부(20) 또는 각인촬영부(50)에는 촬영이송벨트(200)와 보조촬영이송벨트(500)를 타며 이송되는 휴대폰케이스(k)를 카메라(230)와 보조카메라(510)로 반사시키는 거울(250)이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인 선별플레이트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인입부(1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인입부(10)는 검사하려는 휴대폰케이스(k)를 이송시키는 인입이송벨트(100)가 구성되며, 상기한 인입이송벨트(100)의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컨베이어벨트의 구동과 같이 모터의 작동으로 회전하며 작동한다.
촬영부(2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촬영부(20)는 상기 인입부(10)의 일 측에 구성되며, 그 구성으로는 촬영이송벨트(200), 감지센서(210), 조명장치(220), 카메라(230), 판독처리장치(240)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 중 촬영이송벨트(200)는 상기 인입부(10)의 인입이송벨트(100)를 타며 이송된 휴대폰케이스(k)를 이송시키는 것이다.
상기 촬영이송벨트(200)의 일 측에는 상기 인입이송벨트(100)를 타며 이송된 휴대폰케이스(k)가 촬영이송벨트(200)를 타며 이송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10)가 구성된다. 상기 감지센서(210)의 감지로 인해 휴대폰케이스(k)에 대한 촬영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촬영이송벨트(200)의 내부에는 상기 감지센서(210)의 감지로 인해 빛을 발산하는 조명장치(220)가 구성된다.
상기한 조명장치(220)는 촬영이송벨트(200)를 타며 이송되는 휴대폰케이스(k)에 대해 촬영하기 위해 빛을 발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촬영이송벨트(200)의 상부에는 카메라(230)가 구성되는데, 상기 카메라(230)는 촬영이송벨트(200)의 내부에 구성된 조명장치(220)의 작동으로 촬영이송벨트(200)를 타며 이송되는 휴대폰케이스(k)를 촬영한다.
또한, 판독처리장치(240)가 구성되는데, 상기 판독처리장치(240)의 경우 상기 카메라(230)에서 촬영 완료된 휴대폰케이스(k)의 이미지와 우선하여 판독처리장치(240)에 입력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촬영된 휴대폰케이스(k)에 대한 합격품, 불합격품을 판독한다.
인출부(3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인출부(30)에는 인출이송벨트(300)가 구성되는데, 상기 인출이송벨트(300)는 상기 촬영부(20)의 촬영이송벨트(200)의 일 측 하부에 구성된다.
상기한 인출이송벨트(300)는 상기 촬영이송벨트(200)를 타며 이송되어지는 휴대폰케이스(k)를 합격품, 불합격품에 따라 이송시키는 것이다.
선별플레이트(40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선별플레이트(400)는 상기 촬영부(20)의 촬영이송벨트(200)와 인출부(30)의 인출이송벨트(300) 사이에 일정 각도를 가지며 구성된다.
상기 선별플레이트(400)의 구성 시 일 측은 인출이송벨트(300)와 연결되어 끝부가 상기 인출이송벨트(300)의 상부에 위치되고, 타 측은 촬영이송벨트(200)의 끝부에 위치된다.
상기 선별플레이트(400)의 경우 상기 촬영이송벨트(200)의 끝부에 위치되는 타 측에는 실린더(410)가 구성되는데, 상기 실린더(410)의 승, 하강 작동으로 촬영이송벨트(200)를 타며 인출이송벨트(300)로 이송되는 휴대폰케이스(k)에 대한 합격품, 불합격품을 선별할 수 있다.
상기한 선별의 경우 상기 촬영부(20)의 판독처리장치(240)에서 판독되는 결과에 따라 실린더(410)가 승강, 하강하도록 작동되어 휴대폰케이스(k)에 대한 합격품, 불합격품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인촬영부(5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인입부(10)와 촬영부(20) 사이에 보조촬영이송벨트(500)와, 보조카메라(510)와, 각인판독처리장치(520)가 구성된다.
상기 보조촬영이송벨트(500)는 인입부(10)의 인입이송벨트(100)와 촬영부(20)의 촬영이송벨트(200)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인입이송벨트(100)를 타며 이송된 휴대폰케이스(k)를 이송시킨다.
상기 보조카메라(510)는 상기 보조촬영이송벨트(500)를 타며 이송되는 휴대폰케이스(k)에 대해 촬영하는 것이며, 이때, 보조촬영이송벨트(500)에는 조명장치와, 감지센서가 사용에 따라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각인판독처리장치(520)는 상기 보조카메라(510)에서 촬영이 완료된 휴대폰케이스(k)의 각인에 대한 이미지와 상기 각인판독처리장치(520)에 우선하여 입력된 각인의 이미지와 비교하여 촬영된 휴대폰케이스(k)에 대한 합격품, 불합격품을 판독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한 촬영부(20)와 각인촬영부(50)에 구성되는 조명장치와 감지센서의 경우 사용에 따라 구성될 수도 있거나 또는 동일 기능의 별도의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한 구성에 대한 설명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촬영부(20)와 각인촬영부(50) 사이에 일정 각도를 가지는 보조선별플레이트(600)가 구성되는데, 상기 보조선별플레이트(600)의 일 측은 촬영이송벨트(200)에 위치되어 연결되고, 타 측은 보조촬영이송벨트(500)의 끝부에 위치되어 연결되며, 상기 보조촬영이송벨트(500)의 끝부에는 보조실린더(610)가 구성되어 승, 하강되는 보조선별플레이트(600)가 구성된다.
이는 촬영부(20)의 선별플레이트(600)와 동일하게 작동하며, 상기한 보조촬영이송벨트(500)에서 이송되는 휴대폰케이스(k)가 각인판독처리장치(520)에 의해 판독되는 합격품, 불합격품에 따라 작동하여 선별하게 된다.
상기 촬영부(20)와 각인촬영부(50)에는 거울(250)과 보조거울이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거울(250)과 보조거울은 촬영이송벨트(200)와 보조촬영이송벨트(500)를 타며 이송되는 휴대폰케이스(k)를 카메라(230)와 보조카메라(510)로 반사시키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촬영부(20)와 각인촬영부(50)에 구성되는 카메라(230)와 보조카메라(510)의 위치에 따라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한 거울(250)과 보조거울 및 카메라(230)와 보조카메라(510)의 위치 및 구성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본 발명인 선별플레이트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의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설명하면,
우선, 합격품, 불합격품으로 선별하려는 휴대폰케이스(k)를 구비한 후 상기 휴대폰케이스(k)를 인입이송벨트(100)를 통해 이송시킨다.
상기에서 인입이송벨트(100)를 타며 이송되는 휴대폰케이스(k)는 촬영부(20)의 촬영이송벨트(200)에 도달하게 되고, 상기 촬영이송벨트(200)를 타며 이송되는 휴대폰케이스(k)는 감지센서(210)의 감지와 동시에 상기 촬영이송벨트(200)의 하부에 구성된 조명장치(220)에서 빛을 발산하게 된다.
상기 조명장치(220)의 빛 발산으로 인해 카메라(230)가 휴대폰케이스(k)를 촬영하게 되고, 촬영 완료된 휴대폰케이스(k)의 이미지는 판독처리장치(240)에 우선하여 입력된 이미지와 비교한 후 상기 판독처리장치(240)에서 촬영된 휴대폰케이스(k)에 대한 합격품, 불합격품을 판독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230)가 구성되는 위치에 따라 거울(250)이 구성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거울(250)에 반사되는 휴대폰케이스(k)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판독처리장치(240)에서 판독이 완료되면, 판독된 결과에 따라 상기 촬영부(20)와 인출부(30) 사이에 구성된 선별플레이트(400)가 실린더(410)의 승, 하강 작동으로 휴대폰케이스(k)를 선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케이스(k)가 합격품 일 때 상기 실린더(410)가 하강하여 휴대폰케이스(k)가 선별플레이트(400)를 타며 인출이송벨트(300)를 타며 이송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불합격품 일 때에는 상기 실린더(410)가 승강하게 되어 휴대폰케이스(k)가 선별플레이트(400) 하부에 별도로 구비된 플레이트를 타며 불합격품을 별도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을 이용하여 휴대폰케이스(k)의 합격품, 불합격품을 선별하기 전 각각의 휴대폰케이스(k)에는 각각의 제품에 대한 각인이 표시 되는데, 상기한 각인 표시에 관해서도 불량이 발생되어 이에 대한 합격품과 불합격품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우선, 상기와 같이 선별하려는 휴대폰케이스(k)가 인입이송벨트(100)를 타며 이송되고, 인입이송벨트(100)를 타며 이송된 휴대폰케이스(k)는 각인촬영부(50)의 보조촬영이송벨트(500)를 타며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인촬영부(50)에 구성된 보조카메라(510)의 작동으로 상기 휴대폰케이스(k)의 각인 이미지를 촬영하게 되고, 촬영 완료된 이미지는 각인판독처리장치(520)에서 우선하여 입력된 이미지와 비교하여 휴대폰케이스(k)의 각인에 대한 합격품, 불합격품을 판독한다.
이후 판독 결과에 따라 상기 각인촬영부(50)와 촬영부(20) 사이에 구성된 보조선별플레이트(600)가 보조실린더(610)에 의해 승, 하강하도록 하여 상기 휴대폰케이스(k)에 대해 선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판독하려는 휴대폰케이스(k)를 순차적으로 이송하며 판독과 선별이 가능하고, 판독 시 휴대폰케이스(k)에 대한 각인판독과 전체적인 합격품, 불합격품에 대해서도 판독할 수 있으며, 판독 결과에 따라 선별플레이트(400, 600)를 작동시켜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판독하려는 휴대폰케이스(k)에 대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획기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10 : 인입부 20 : 촬영부 30 : 인출부 50 : 각인촬영부
100 : 인입이송벨트
200 : 촬영이송벨트 210 : 감지센서 220 : 조명장치
230 : 카메라 240 : 판독처리장치 250 : 거울
300 : 인출이송벨트
400 : 선별플레이트 410 : 실린더
500 : 보조촬영이송벨트
510 : 보조카메라 520 : 각인판독처리장치
600 : 보조선별플레이트 610 : 보조실린더
k : 휴대폰케이스

Claims (4)

  1. 검사하려는 휴대폰케이스(k)를 이송시키는 인입이송벨트(100)가 구성된 인입부(10);와,
    상기 인입부(10)의 일 측에 구성되되 상기 인입이송벨트(100)를 타며 이송된 휴대폰케이스(k)를 이송시키는 촬영이송벨트(200)와, 상기 촬영이송벨트(2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촬영이송벨트(200)를 타며 이송되는 휴대폰케이스(k)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10)와, 상기 촬영이송벨트(200)의 하부에 구성되어 감지센서(210)의 감지로 인해 빛을 발산하는 조명장치(220)와, 상기 조명장치(220)의 작동으로 촬영이송벨트(200)를 타며 이송되는 휴대폰케이스(k)를 촬영하는 카메라(230)와, 상기 카메라(230)에서 촬영 완료된 휴대폰케이스(k)의 이미지와 우선하여 입력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촬영된 휴대폰케이스(k)에 대한 합격품, 불합격품을 판독하는 판독처리장치(240)가 구성된 촬영부(20)와,
    상기 촬영부(20)의 일 측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촬영이송벨트(200)를 타며 이송된 휴대폰케이스(k)를 이송시키는 인출이송벨트(300)가 구성된 인출부(30)와,
    상기 촬영부(20)와 인출부(30) 사이에 일정 각도를 가지며 구성되되 일 측은 인출이송벨트(300)와 연결되어 위치되고, 타 측은 촬영이송벨트(200)의 끝부에 연결되어 위치되며, 상기 촬영이송벨트(200)의 끝부에는 실린더(410)가 구성되어 승, 하강되는 선별플레이트(400)로 구성되되,
    상기 인입부(10)와 촬영부(20) 사이에는 인입이송벨트(100)타며 이송된 휴대폰케이스(k)를 이송시키는 보조촬영이송벨트(500)와, 상기 보조촬영이송벨트(500)의 상측에는 보조촬영이송벨트(500)타며 이송되는 휴대폰케이스(k)의 각인을 촬영하는 보조카메라(510)와, 상기 보조카메라(510)에서 촬영 완료된 각인의 이미지와 우선하여 입력된 각인 이미지를 비교하여 촬영된 휴대폰케이스(k)에 대한 합격품, 불합격품을 판독하는 각인판독처리장치(520)가 구성된 각인촬영부(50)가 구성되고,
    상기 촬영부(20)와 각인촬영부(50) 사이에 일정 각도를 가지며 구성되되, 일 측은 촬영이송벨트(200)에 위치되어 연결되고, 타 측은 보조촬영이송벨트(500)의 끝부에 위치되어 연결되며, 상기 보조촬영이송벨트(500)의 끝부에는 보조실린더(610)가 구성되어 승, 하강되는 보조선별플레이트(6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플레이트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20) 또는 각인촬영부(50)에는 촬영이송벨트(200)와 보조촬영이송벨트(500)를 타며 이송되는 휴대폰케이스(k)를 카메라(230) 또는 보조카메라(510)로 반사시키는 거울(25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플레이트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
KR1020130087764A 2013-07-25 2013-07-25 선별플레이트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 KR101482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764A KR101482425B1 (ko) 2013-07-25 2013-07-25 선별플레이트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764A KR101482425B1 (ko) 2013-07-25 2013-07-25 선별플레이트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425B1 true KR101482425B1 (ko) 2015-01-15

Family

ID=52588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764A KR101482425B1 (ko) 2013-07-25 2013-07-25 선별플레이트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4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7229A (zh) * 2015-08-24 2015-11-18 东莞劲胜精密组件股份有限公司 一种喷涂表面缺陷检测机
KR20200006854A (ko) 2018-07-11 2020-01-21 (주) 장원테크 비전검사장치
CN111112150A (zh) * 2019-12-28 2020-05-08 西安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自动测试设备
KR20210085519A (ko) * 2019-12-30 2021-07-08 (주)현태금형 배터리 커버와 이의 제조불량선별 자동화장치
CN113182220A (zh) * 2021-03-30 2021-07-30 深圳市磐锋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手机显示屏状态检测装置及检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386A (ko) * 2003-04-21 2004-10-28 용인송담대학 불량품 검출 및 취출 시스템
KR101248141B1 (ko) * 2013-01-04 2013-03-27 김병석 휴대폰 부품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386A (ko) * 2003-04-21 2004-10-28 용인송담대학 불량품 검출 및 취출 시스템
KR101248141B1 (ko) * 2013-01-04 2013-03-27 김병석 휴대폰 부품 검사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7229A (zh) * 2015-08-24 2015-11-18 东莞劲胜精密组件股份有限公司 一种喷涂表面缺陷检测机
CN105057229B (zh) * 2015-08-24 2017-08-01 东莞劲胜精密组件股份有限公司 一种喷涂表面缺陷检测机
KR20200006854A (ko) 2018-07-11 2020-01-21 (주) 장원테크 비전검사장치
CN111112150A (zh) * 2019-12-28 2020-05-08 西安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自动测试设备
KR20210085519A (ko) * 2019-12-30 2021-07-08 (주)현태금형 배터리 커버와 이의 제조불량선별 자동화장치
KR102341619B1 (ko) * 2019-12-30 2021-12-22 (주)현태금형 배터리 커버와 이의 제조불량선별 자동화장치
CN113182220A (zh) * 2021-03-30 2021-07-30 深圳市磐锋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手机显示屏状态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3182220B (zh) * 2021-03-30 2022-09-27 深圳市磐锋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手机显示屏状态检测装置及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425B1 (ko) 선별플레이트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선별장치
CN106670127B (zh) 一种屏幕缺陷全自动视觉检测系统
ES2965966T3 (es) Método de inspección, método de inspección y notificación, método de fabricación que incluye el método de inspección, aparato de inspección y aparato de fabricación
KR101718144B1 (ko) 콘택트렌즈 비젼 검사장치
TWI583941B (zh) Grain defect detection method and device
JP2008203237A (ja) 物品検査装置
KR102000906B1 (ko) 페라이트 외관 비전 검사시스템
US20130113917A1 (en) Cigarette inspection apparatus
KR101432435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슬라이드방식의 휴대폰케이스 선별장치
JP4304690B2 (ja) テープ部材の検査装置
JPH0886757A (ja) 粉末圧縮成型品の外観観察装置
CN102713580A (zh) 外观检查装置
CN219320458U (zh) 锂离子单体电池的极片表面劣化程度检测装置
JP2009236760A (ja) 画像検出装置および検査装置
JP2006284465A (ja) テーパーベアリングの鍛造リング素形品の形状不良及び疵の検査方法及びその検査装置
JP4753019B2 (ja) ネックリング検査装置及びネックリング検査方法
JP2004191074A (ja) タブレットの密度推定方法及び検査装置
CN209935295U (zh) 一种音量键外观aoi检测设备
KR100957130B1 (ko) 케이스의 표면 검사장치와, 이를 이용한 케이스의 표면검사방법
CN212409647U (zh) 内螺纹孔检测装置
KR100948795B1 (ko) 주화검사장치
CN208689632U (zh) 一种新型质量检测机
KR102094314B1 (ko) 머신 비전 기반한 작물 선별 장치
TWI373686B (en)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lens module
CN219830871U (zh) 一种电池极柱自动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