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700B1 - 합성수지관 내경 일체형 파형 강관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내경 일체형 파형 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700B1
KR101481700B1 KR20140137593A KR20140137593A KR101481700B1 KR 101481700 B1 KR101481700 B1 KR 101481700B1 KR 20140137593 A KR20140137593 A KR 20140137593A KR 20140137593 A KR20140137593 A KR 20140137593A KR 101481700 B1 KR101481700 B1 KR 101481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steel pipe
pipe
synthetic resin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7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택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종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종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종화학
Priority to KR20140137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내경 일체형 파형 강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얇은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을 압출하여 성형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철판을 공급하여 락심 결합부의 성형을 통한 파형 강관을 성형한 후,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경으로 파형 강관을 공급하여 파형 강관의 전체면을 한쪽 또는 양쪽으로 당겨 파형 강관이 정상 결합하면서 지름이 축소되어 파형 강관의 내경과 합성수지관의 외경에서 합성수지관과 파형 강관이 일체형으로 결합 하나의 관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합성수지관 내경 일체형 파형 강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산과 골이 형성되어 락심홈과 락심 돌출부로 이루어진 락심 결합부에서 결합되는 파형 강관에 있어서, PE, PP, PVC,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로 성형한 합성수지관(10)과; 철판을 공급하여 산과 골 및 양측이 절곡된 강판이 락심홈(22)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락심 돌출부(23)가 맞물려진 락심 결합부(21)를 성형한 파형 강관(20)과; 상기 합성수지관(10)의 외경으로 상기 파형 강관(20)을 결합하여 파형 강관(20)을 외측 방향으로 당기면서 락심 돌출부(23)가 락심 홈(22)에서 이동 결합하며 지름이 축소되어 합성수지관(10)의 외경에서 파형 강관(20)이 일체형으로 결합하고, 상기 파형 강관(20)의 양쪽으로 합성수지관(10)의 연결 노출부(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내경 일체형 파형 강관 {Resin pipe diameter corrugated steel pipe integrated}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내경 일체형 파형 강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얇은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을 압출하여 성형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철판을 공급하여 락심 결합부의 성형을 통한 파형 강관을 성형한 후,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경으로 파형 강관을 공급하여 파형 강관의 전체면을 한쪽 또는 양쪽으로 당겨 파형 강관이 정상 결합하면서 지름이 축소되어 파형 강관의 내경과 합성수지관의 외경에서 합성수지관과 파형 강관이 일체형으로 결합 하나의 관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합성수지관 내경 일체형 파형 강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 강관(Corrugated Steel Pipe)은, 토목 분야에서 오수/폐수의 배수나 생활 용수 또는 공장폐수나 농축장 하수의 배수라던지 대규모의 공공시설이나 소택지, 골프장, 대규모의 체육시설이나 복합레저타운에는 물론이고, 도로의 배수, 농업 용수 또는 공업 용수의 급수 등에 사용된다.
최근에는 배수관 건설시 증가 되는 인력난과 비용 및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의 증대로 말미암아 기존의 콘크리트 배수관의 대체 자재로서 높은 외압강도와 구조적 안정성, 내구성, 경제성 및 시공성을 제공하는 우수한 배수 구조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파형 강관을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초기에는 평평한 형태를 갖는 강판의 표면에 이물질을 제거하여 아연도금 되어지도록 하고, 이를 조관 즉, 강판을 절곡시키고, 절곡 된 강판을 나선형태로 감는 공정에서 그 양측단부가 서로 압착되어 맞물려지는 락심을 하는 것을 통해 파형 강관이 제조되어졌다.
하지만, 이와 같은 파형 강관의 경우 원주방향으로 나선파형들이 반복되어서 우수 및 오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굴곡져 있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우수 및 오수의 정상적인 흐름을 방해하는 역기능을 가지게 됨으로서, 결과적으로 내부를 따라 흐르는 우수 및 오수가 원활하게 통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렇게 파형 강관의 굴곡면에 이물질 등이 잔류하게 됨에 따라 부패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파형 강관과 파형 강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양단의 재굴곡부분에 가스켓이나 0-링을 연결하고 나서 커플링에 삽입하는 예컨대 애뉼라밴드(Annular band)결합 방식에 의해 필요한 수량(또는 길이)만큼 수밀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였으나, 대체로 파형 강관은 그 크기가 대형이어서 적정한 길이로 제작된 상태에서 설치 현장으로 운반되어 설치 장소의 길이만큼 다수개의 파형강관을 연결하여 설치하는데, 종래의 연결 구조는 두 개의 파형 강관의 각 단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한 상태에서 그 단부를 용접기를 이용하여 용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용접 작업을 하려면 숙련된 용접공이 필요하므로, 숙련공의 작업시에는 인건비가 증가하고 미숙련자의 작업시에는 작업 시간이 증가하는가 하면 작업 불량으로 인해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용접시 발생하는 열 등으로 인해 파형강관의 도금층이 벗겨져 부식이 발생하고 용접봉에 함유된 납성분이라던지 기타 유해 물질이 관내를 유동하는 유체를 오염시켜 환경문제 및 인체에 유해 물질이 흡수되므로 질병의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파형 강관은 철판(아연도 강판)을 나선으로 된 관을 제조하여, 상기 파형 강관으로 콘크리트 흄관을 대체하도록 하고 있는바 이 철판 강관은 부식을 고려하여 아연도금 강판을 사용하고 있으나 강관의 제작, 운반 시 공등을 함에 있어서 표면에 쉽게 흠집이 생겨 빠른 속도로 부식이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파형 강관을 일정길이로 성형한 다음 이 파경 강관 내, 외주면에 폴리에틸렌을 피복 한 강관 또는 폴리에틸렌이 피복된 상태의 철판을 이용하여 성형한 파형 강관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폴리에틸렌 피복 파형 강관은 운반이나 설치 과정에서 피복부분이 터짐 또는 박리, 금이 가는 등 쉽게 손상되어 그 손상부분을 통해 쉽게 부식되어 내구성이 저하되었을 뿐만 아니라 폴리에틸렌은 내열성 및 내화확성이 약하므로 오,폐수 등의 온도가 높거나 화학약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쉽게 피복부분이 손상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0996762호(2010. 11. 19.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0826235호(2008. 04. 23.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0716126호(2007. 05. 02.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1040971호(2011. 06. 07. 등록)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얇은 두께의 합성수지관을 압출하여 성형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철판을 공급하여 선단에 형성한 락심 결합부가 연결되면서 파형 강관을 성형하며,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경으로 파형 강관을 조립하여 파형 강관을 한쪽 또는 양쪽에서 잡아당겨 파형 강관의 락심 결합부가 안정되게 결합되면서 지름이 축소되어 합성수지관의 외경에서 파형 강관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새로운 형태의 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산과 골이 형성되어 락심홈과 락심 돌출부로 이루어진 락심 결합부에서 결합되는 파형 강관에 있어서,
PE, PP, PVC,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로 성형한 합성수지관과;
철판을 공급하여 산과 골 및 양측이 절곡된 강판이 락심홈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락심 돌출부가 맞물려진 락심 결합부를 성형한 파형 강관과;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경으로 상기 파형 강관을 결합하여 파형 강관을 외측 방향으로 당기면서 락심 돌출부가 락심 홈에서 이동 결합하며 지름이 축소되어 합성수지관의 외경에서 파형 강관이 일체형으로 결합하고,
상기 파형 강관의 양쪽으로 합성수지관의 연결 노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파형 강관은 합성수지관의 양쪽 연결 노출부 안쪽에 형성된 틈새에 우레탄을 충진하여 틈새가 없도록 성형하는 것과;
상기 합성수지관은 3∼25mm의 두께와 5∼7m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파형 강관은 합성수지관의 외경보다 지름을 1∼20mm 더 크게 성형하고, 0.5∼5mm의 두께를 갖도록 성형하며, 길이는 10∼50cm 더 짧게 성형하는 것과;
상기 파형 강관은 지름이 축소되어 락심 결합부와 골이 합성수지관의 외경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산과 골이 형성되어 락심홈과 락심 돌출부로 이루어진 락심 결합부에서 결합되는 파형 강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PE, PP, PVC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압출 성형하는 합성수지관 압출 성형단계;
언코일러에 감겨진 강판이 풀려지고 언코일링된 강판의 상, 하부 표면에 블라스팅으로 이물질을 제거하여 압연로울러 사이를 통과시켜 산과 골이 절곡되어져 강판 양측의 가장자리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게 한 후 양측이 절곡된 강판을 나선형태로 감아 절곡된 부분이 맞물려지도록 하며 가압하여 락심 결합부를 형성하는 조관을 통하여 상기 락심 결합부는 락심 홈이 안쪽에 남아 있도록 락심 돌출부를 결합하는 파형 강관 성형단계;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경으로 파형 강관을 결합하여 합성수지관의 외경 중심에서 양쪽으로 연결 노출부가 같은 길이로 돌출되도록 파형 강관을 조립하는 합성수지관 외경에 파형 강관 조립단계;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경으로 파형 강관을 결합하여 파형 강관의 양쪽 선단을 잡고 잡아당겨 파형 강관의 지름이 축소되면서 락심 돌출부가 락심 홈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간격(L)을 갖도록 결합하여 합성수지관의 외경과 파형 강관의 내경에서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파형 강관 양쪽으로 당김단계;
상기 파형 강관의 지름을 축소키면서 합성수지관과 일체형이 되도록 조립한 후에는 파형 강관의 양쪽에서 틈새에 우레탄을 충진시켜 틈새가 없도록 하고, 파형 강관의 양쪽으로 연결 노출부가 같은 간격으로 노출되어 합성수지관 일체형 파형 강관이 성형되도록 하는 파형 강관 양 선단에 우레탄 충진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얇은 두께의 합성수지관을 압출하여 성형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철판을 공급하여 선단에 형성한 락심 결합부가 연결되면서 파형 강관을 성형하며,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경으로 합성수지관 보다 지름은 더 크고 길이가 짧은 파형 강관을 조립하여 파형 강관을 한쪽 또는 양쪽에서 잡아당겨 파형 강관의 락심 결합부가 안정되게 결합되면서 지름이 축소되어 파형 강관의 내경과 합성수지관의 외경에서 파형 강관과 합성수지관이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새로운 형태의 관을 통하여 파형 강관에서 발생하는 도금과 코팅으로 인한 단점을 해결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파형 강관을 제조하는 공정수를 줄여 생산성을 높이면서 제품의 가격을 낮출 수 있도록 하며, 매우 우수한 품질을 갖는 새로운 형태의 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파형 강관의 양쪽 선단에서 합성수지관의 양쪽 선단인 연결 노출부가 노출되어 관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합성수지관에 대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파형 강관에 대한 성형상태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에 파형 강관을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파형 강관을 잡아당겨 지름은 축소한 상태의 결합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과 파형 강관을 결합한 상태의 우레탄 충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합성수지관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폴리에틸렌(PE)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10)이 3∼25mm의 두께를 갖도록 압출하여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합성수지관(10)을 대신하여 PP 재질로 이루어진 관, PVC 재질로 이루어진 관,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이들을 혼합한 재질 및 이들을 여러 층으로 성형한 관도 모두 가능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파형 강관에 대한 성형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언코일러에 감겨진 강판이 일정한 속도로 풀려지면 상판의 상, 하부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블라스팅으로 제거하고 상기 강판의 선단부에 성형하는 락심 홈(22)과 락심 돌출부(23)가 완전하게 결합되지 않도록 락림 결합부(21)를 결합하면서 파형 강관(20)을 조관하는 파형 강관 성형단계를 수행하여 파형 강관(20)을 제조한다.
상기 파형 강관(20)은 합성수지관(10)의 외경보다 지름을 1∼20mm 더 크게 성형하고, 0.5∼5mm의 두께를 갖도록 성형하며, 길이는 10∼50cm 더 짧게 성형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에 파형 강관을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파형 강관을 잡아당겨 지름은 축소한 상태의 결합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합성수지관(10)과 파형 강관(20)을 결합하여 파형 강관(20)의 내경으로 합성수지관(10)이 결합되도록 하고, 파형 강관(20)을 한쪽으로 잡아당기거나 양쪽 선단을 동시에 잡아당겨 락심 결합부(21)의 락심 홈(22)이 없이 안정된 결합상태로 결합 간격(L)이 형성되면서 파형 강관(20)의 지름이 축소되어 합성수지관(10)의 외경에서 파형 강관(20)이 일체형이 되어 합성수지관 일체형 파형 강관(30)을 성형하도록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파형 강관(20)은 선단을 잡아당길 때 회전하면서 잡아당기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과 파형 강관을 결합한 상태의 우레탄 충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관(10)과 파형 강관(20)을 일체형으로 성형한 합성수지관 일체형 파형 강관(30)은 양쪽 선단으로 파형 강관(20)이 합성수지관(10)의 외경에서 틈새가 있으므로 양쪽 선단에서 우레탄(40)을 공급하여 틈새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PE)과 PP, PVC,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성형한 합성수지관(10)을 제공한다.
상기 합성수지관(10)은 3∼25mm의 두께로 비교적 얇게 성형하는 것이며, 3mm 이하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관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어 원형을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25mm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성형하는 경우에는 지름에 비하여 원가가 너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5mm 두께로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합성수지관(10)은 한가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여러 가지의 재질을 혼합하거나 재활용 재질 또는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것도 가능하며, 길이는 5∼7m, 지름은 50∼1800mm가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관(10)은 압출에 의해 성형하되, 압출에 의해 성형한 후 관의 형태가 자연적으로 무너지는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정도면 바람직하며, 압출한 합성수지관(10)이 냉각되기 이전에 파형 강관(20)을 공급하여 합성수지관 일체형 파형 강관(30)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형 강관(10)은 언코일러에 감겨진 강판이 일정한 속도로 풀려져 언코일링되며 공급하고, 언코일링된 강판의 상, 하부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블라스팅으로 제거하며, 이물질이 제거된 강판이 압연로울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산과 골이 절곡되어 지고 강판 양쪽의 가장자리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락심 홈(22)과 락심 돌출부(23)를 성형한 후 산과 골 및 양측이 절곡되어진 강판을 나선형태로 감아 상기 절곡된 부분이 말물려져 가압되어 락심 결합부(21)를 결합하되; 상기 락심 결합부(21)에서 락심 돌출부(23)의 안쪽에서 락심 홈(22)이 남아 있도록 결합하는 조관단계를 통하여 파형 강관(20)을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파형 강관(20)은 합성수지관(10)의 외경보다 지름을 1∼20mm 더 크게 성형하여 합성수지관(10)의 외경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며, 1mm 이하의 크기로 성형하는 경우 합성수지관(10)에 삽입되지 않는 단점이 있으며, 20mm 이상 크게 성형하는 경우 파형 강관(20)을 잡아당겨 지름이 축소되더라도 일체형으로 성형되지 않는 단점이 있으므로 합성수지관(10)의 지름에 따라 다르지만 5mm 더 지름을 크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파형 강관(20)은 0.5∼5mm의 두께를 갖도록 성형하며, 0.5mm 이하의 두께로 성형하는 경우 파형 강관(20)의 성형이 어렵고 강도를 제공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5mm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성형하는 경우 철판이 너무 두꺼워 조관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파형 강관(20)의 지름에 따라 그 두께가 다르지만 1mm의 두께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형 강관(20)의 길이는 합성수지관(10)의 길이에 비하여 10∼50cm 더 짧게 성형하는 것이며, 길이를 10cm 짧게 성형하는 경우 연결 노출부(31)의 폭이 너무 좁게 남아 연결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고, 50cm 이상 짧게 성형하는 경우 연결 노출부(31)의 폭이 너무 많이 남아 합성수지관(10)의 연결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25cm 더 짧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관(10)의 외경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형 강관(20)을 결합하여 합성수지관(10)의 중앙에 파경 강관(20)이 위치하도록 한 후에는 파형 강관(20)의 양쪽을 원주 방향에서 고정하여 한쪽 또는 양쪽으로 잡아당겨 락심 돌출부(23)가 락심 홈(22) 방향으로 이동하는 락심 결합부(21)의 운동으로 결합간격(L)이 형성되면서 파형 강관(20)의 내경이 축소되어 합성수지관(10)의 외경과 파형 강관(20)의 락심 결합부(21) 및 내경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파형 강관(20)을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파형 강관(20)을 회전시키면서 잡아 당기는 것도 가능하며, 결합간격(L)이 형성되면서 더 이상 잡아 당겨지지 않도록 락심 결합부(21)에서 락심 홈(22)과 락심 돌출부(23)가 안정되게 결합하는 것이다.
파형 강관(20)을 잡아당겨 지름의 축소를 통한 합성수지관(10)과 일체형으로 결합한 후에는 파형 강관(20)의 양쪽 선단에서 틈새가 발생되므로, 상기 틈새가 없도록 우레탄(40)을 공급하여 틈새를 메우는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합성수지관 일체형 파형 강관(30)을 성형하고, 양쪽으로 연결 노출부(31)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합성수지관 일체형 파형 강관(30)은 연결 노출부(31)가 맞대기 되어 외경에서 별도의 연결구를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지중에 매설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10)과 파형 강관(20)을 독립되게 제조한 후 합성수지관(10)과 파형 강관(20)을 결합하여 파형 강관(20)을 잡아당기는 작업으로 지름이 축소되면서 합성수지관(10)과 파형 강관(20)이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형태의 합성수지관 일체형 파형 강관(30)을 제조하는 과정으로 작업공정을 대폭 축소하므로 매우 경제적이며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합성수지관(10)이 옮기거나 매설하는 작업 및 보관 과정에서 손상되어 파형 강관(20)을 부식시키는 원인을 제공하지 않는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과 도 6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가. 합성수지관 압출 성형단계
PE, PP, PVC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5mm의 두께를 갖도록 6m의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관(10)을 압출 성형하는 것이다.
나. 파형 강관 성형단계
언코일러에 감겨진 1mm 두께의 강판이 풀려지고 언코일링된 강판의 상, 하부 표면에 블라스팅으로 이물질을 제거하여 압연로울러 사이를 통과시켜 산과 골이 절곡되어져 강판 양측의 가장자리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게 한 후 양측이 절곡된 강판을 나선형태로 감아 절고된 부분이 맞물려지도록 하며 가압하여 락심 결합부(21)를 형성하는 조관을 통하여 합성수지관(10)에 비하여 지름이 5mm 더 크게 성형하고, 길이는 25cm 더 짧게 파형 강관(20)을 성형하는 파형 강관 성형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락심 결합부(21)는 락심 홈(22)이 안쪽에 남아 있도록 락심 돌출부(23)를 결합한 상태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 합성수지관 외경에 파형 강관 조립단계
합성수지관(10)의 외경으로 파형 강관(20)을 결합하여 합성수지관(10)의 외경 중심에서 양쪽으로 연결 노출부(31)가 같은 길이로 돌출되도록 파형 강관(20)을 조립하는 것이다.
라. 파형 강관 양쪽으로 당김단계
합성수지관(10)의 외경으로 파형 강관(20)을 결합하여 파형 강관(20)의 양쪽 선단을 잡고 잡아당겨 파형 강관(20)의 지름이 축소되면서 락심 돌출부(23)가 락심 홈(22)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간격(L)을 갖도록 결합하여 합성수지관(10)의 외경과 파형 강관(20)의 내경에서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조립하는 것이다.
마. 파형 강관 양 선단에 우레탄 충진단계
파형 강관(20)의 지름을 축소시키면서 합성수지관(10)과 일체형이 되도록 조립한 후에는 파형 강관(20)의 양쪽에서 틈새에 우레탄(40)을 충진시켜 틈새가 없도록 하고, 파형 강관(20)의 양쪽으로 연결 노출부(31)가 같은 간격으로 노출되어 합성수지관 일체형 파형 강관(30)이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과 파형 강관을 각각 성형한 후 합성수지관의 외경으로 파형 강관을 결합하여 파형 강관의 양쪽을 외측으로 잡아당겨 파형 강관의 외경이 축소되면서 합성수지관과 파형 강관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합성수지관 일체형 파형 강관을 빠른 작업으로 간편하게 성형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 : 합성수지관 20 : 파형 강관
21 : 락심 결합부 22 : 락심 홈
23 : 락심 돌출부 30 : 합성수지관 일체형 파형 강관
31 : 연결 노출부 40 : 우레탄

Claims (8)

  1. 산과 골이 형성되어 락심홈과 락심 돌출부로 이루어진 락심 결합부에서 결합되는 파형 강관에 있어서,
    PE, PP, PVC,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로 성형한 합성수지관(10)과;
    철판을 공급하여 산과 골 및 양측이 절곡된 강판이 락심홈(22)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락심 돌출부(23)가 맞물려진 락심 결합부(21)를 성형한 파형 강관(20)과;
    상기 합성수지관(10)의 외경으로 상기 파형 강관(20)을 결합하여 파형 강관(20)을 외측 방향으로 당기면서 락심 돌출부(23)가 락심 홈(22)에서 이동 결합하며 지름이 축소되어 합성수지관(10)의 외경에서 파형 강관(20)이 일체형으로 결합하고,
    상기 파형 강관(20)의 양쪽으로 합성수지관(10)의 연결 노출부(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내경 일체형 파형 강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강관(20)은 합성수지관(10)의 양쪽 연결 노출부(31) 안쪽에 형성된 틈새에 우레탄(40)을 충진하여 틈새가 없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내경 일체형 파형 강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10)은 3∼25mm의 두께와 5∼7m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내경 일체형 파형 강관 .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강관(20)은 합성수지관(10)의 외경보다 지름을 1∼20mm 더 크게 성형하고, 0.5∼5mm의 두께를 갖도록 성형하며, 길이는 10∼50cm 더 짧게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내경 일체형 파형 강관 .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강관(20)은 지름이 축소되어 락심 결합부(21)와 골이 합성수지관(10)의 외경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내경 일체형 파형 강관.
  6. 산과 골이 형성되어 락심홈과 락심 돌출부로 이루어진 락심 결합부에서 결합되는 파형 강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PE, PP, PVC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합성수지관(10)을 압출 성형하는 합성수지관 압출 성형단계;
    언코일러에 감겨진 강판이 풀려지고 언코일링된 강판의 상, 하부 표면에 블라스팅으로 이물질을 제거하여 압연로울러 사이를 통과시켜 산과 골이 절곡되어져 강판 양측의 가장자리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게 한 후 양측이 절곡된 강판을 나선형태로 감아 절곡된 부분이 맞물려지도록 하며 가압하여 락심 결합부(21)를 형성하는 조관을 통하여 상기 락심 결합부(21)는 락심 홈(22)이 안쪽에 남아 있도록 락심 돌출부(23)를 결합하는 파형 강관 성형단계;
    상기 합성수지관(10)의 외경으로 파형 강관(20)을 결합하여 합성수지관(10)의 외경 중심에서 양쪽으로 연결 노출부(31)가 같은 길이로 돌출되도록 파형 강관(20)을 조립하는 합성수지관 외경에 파형 강관 조립단계;
    상기 합성수지관(10)의 외경으로 파형 강관(20)을 결합하여 파형 강관(20)의 양쪽 선단을 잡고 잡아당겨 파형 강관(20)의 지름이 축소되면서 락심 돌출부(23)가 락심 홈(22)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간격(L)을 갖도록 결합하여 합성수지관(10)의 외경과 파형 강관(20)의 내경에서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파형 강관 양쪽으로 당김단계;
    상기 파형 강관(20)의 지름을 축소키면서 합성수지관(10)과 일체형이 되도록 조립한 후에는 파형 강관(20)의 양쪽에서 틈새에 우레탄(40)을 충진시켜 틈새가 없도록 하고, 파형 강관(20)의 양쪽으로 연결 노출부(31)가 같은 간격으로 노출되어 합성수지관 일체형 파형 강관(30)이 성형되도록 하는 파형 강관 양 선단에 우레탄 충진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내경 일체형 파형 강관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 압출 성형단계의 합성수지관(10)은 3∼25mm의 두께와 5∼7m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내경 일체형 파형 강관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강관 성형단계의 파형 강관(20)은 합성수지관(10)의 외경보다 지름을 1∼20mm 더 크게 성형하고, 0.5∼5mm의 두께를 갖도록 성형하며, 길이는 10∼50cm 더 짧게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내경 일체형 파형 강관의 제조방법.
KR20140137593A 2014-10-13 2014-10-13 합성수지관 내경 일체형 파형 강관 KR101481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7593A KR101481700B1 (ko) 2014-10-13 2014-10-13 합성수지관 내경 일체형 파형 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7593A KR101481700B1 (ko) 2014-10-13 2014-10-13 합성수지관 내경 일체형 파형 강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700B1 true KR101481700B1 (ko) 2015-01-13

Family

ID=52588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7593A KR101481700B1 (ko) 2014-10-13 2014-10-13 합성수지관 내경 일체형 파형 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7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7920A (zh) * 2019-01-10 2019-05-03 新疆强州玻璃钢管业有限公司 一种钢丝增强玻璃纤维复合管道及其制备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948A (ko) * 2002-12-05 2004-06-14 김복순 이중구조를 가지는 매설관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30153078A1 (en) 2011-12-14 2013-06-20 Jordan Twist Corrugated metal pipe
KR20140048069A (ko) * 2011-08-16 2014-04-23 보아 발크- 운트 콤펜자토렌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나선형 호스, 특히 스트립-와운드 호스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나선형 호스, 나선형 호스를 구비하는 유연한 안내 부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948A (ko) * 2002-12-05 2004-06-14 김복순 이중구조를 가지는 매설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48069A (ko) * 2011-08-16 2014-04-23 보아 발크- 운트 콤펜자토렌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나선형 호스, 특히 스트립-와운드 호스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나선형 호스, 나선형 호스를 구비하는 유연한 안내 부재
US20130153078A1 (en) 2011-12-14 2013-06-20 Jordan Twist Corrugated metal pi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7920A (zh) * 2019-01-10 2019-05-03 新疆强州玻璃钢管业有限公司 一种钢丝增强玻璃纤维复合管道及其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2499B2 (ja) 波形合成樹脂管の接続構造および該接続構造に用いる波形合成樹脂管
CN101718375B (zh) 用于螺旋波纹形塑钢缠绕管的钢带增强复合带材
JP4956407B2 (ja) 既設管湾曲部の更生補助装置および更生工法
US20220082196A1 (en) Expandable pipe including a liner for restoring a conduit
KR101481700B1 (ko) 합성수지관 내경 일체형 파형 강관
JP2009023296A (ja) 帯状体の補強部材の製造方法、長尺状の帯状体および既設管の更生工法
KR101317915B1 (ko) 파형 강관 및 그 제조방법
CA2472781A1 (en) Interlocked strip structure
JP2012250414A (ja) 製管用部材の製造方法
CN1928414B (zh) 加强筋型钢塑复合缠绕管的制造方法
KR101032096B1 (ko) 고무링과 스토퍼를 이용한 상하수도관의 연결구조
US11193622B2 (en) Irrigation pipe liner
KR100879033B1 (ko) 스테인리스 금속에 의한 이종재질의 이중파형강관
KR101532663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KR101267031B1 (ko) 플랜지 일체형 파형 강관과 그 성형장치
JP2012250415A (ja) 製管用部材
RU126086U1 (ru) Труба биметаллическая
KR101267032B1 (ko) 플랜지 일체형 파형 강관과 그 성형장치
RU2383810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пиральновитых труб из термопласта с полой стенкой замкнутого профиля
JP2010112510A5 (ko)
KR20140116768A (ko) 파이프형 플랜지
CN201041270Y (zh) 具有竖直加强肋的钢塑复合管连接结构
JP2008303970A (ja) 地中埋設用耐圧合成樹脂管及びそれを用いた管更生工法
CN207364464U (zh) 一种钢塑复合波纹管
CN202674587U (zh) 一种增强型塑料加肋缠绕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