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437B1 - 광산 갱도용 지보 - Google Patents

광산 갱도용 지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437B1
KR101481437B1 KR1020140054005A KR20140054005A KR101481437B1 KR 101481437 B1 KR101481437 B1 KR 101481437B1 KR 1020140054005 A KR1020140054005 A KR 1020140054005A KR 20140054005 A KR20140054005 A KR 20140054005A KR 101481437 B1 KR101481437 B1 KR 101481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tunnel
support
pair
lower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길
권재기
박삼규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54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18Arch members ; Network made of arch members ; Ring elements; Polygon elements; Polygon elements inside arch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36Linings or supports specially shaped for tunnels or galleries of irregular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5/00Props; Chocks, e.g. made of flexible containers filled with backfilling material
    • E21D15/14Telescopic props
    • E21D15/16Telescopic props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with or without relative sliding movement when the prop is subject to excessive pressure
    • E21D15/24Telescopic props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with or without relative sliding movement when the prop is subject to excessive pressure with axial screw-and-nut, rack-and-worm, or like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5/00Props; Chocks, e.g. made of flexible containers filled with backfilling material
    • E21D15/5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props
    • E21D15/54Details of the ends of p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산 갱도용 지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산 갱도용 지보는, 갱도의 내벽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갱도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보유닛 및 한 쌍의 지보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지보유닛은, 갱도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수직하게 배치되는 하부분절과, 하부분절의 상부에 결합되며 갱도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분절을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광산 갱도용 지보{Timbering for tunnel in the mine}
본 발명은 광산에서 광물을 채광하기 위하여 뚫어 놓은 갱도의 변형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갱도의 내벽을 따라 설치되는 지보에 관한 것이다.
광물을 채광하기 위해서는 광상(ore deposit)이 위치하는 곳까지 진입로를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를 갱도라한다. 광산을 굴착하여 갱도를 형성하면 갱도는 주변의 압력에 의하여 갱도가 변형되거나, 심한 경우 붕괴에 이를 수도 있다. 특히 석탄광의 경우 연약한 암반인 퇴적층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갱도 붕괴의 위험이 상존한다.
이렇게 갱도의 변형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갱도에는 지보를 설치한다.
지보는 갱도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보는 갱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아치형이나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갱도의 내벽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지보는 일체형이 아니라 몇 개의 분절을 연결하는 조립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지보의 역할은 갱도가 지압에 의해 변형 및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작용과, 암반이 갱도로부터 탈락되는 낙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보는 주로 강성이 높은 철재로 제작된다. 이와 더불어, 지보는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해야 하며, 산업적인 측면에서는 경제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지보는 상기한 바와 같은 지보의 요구조건을 충분히 만족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지보 연결구조에서는 갱도에서 하중이 가장 많이 걸리는 상부 지점에서 두 개의 분절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즉, 하중이 가장 많이 걸리는 부분은 강성이 가장 강해야 함에도, 오히려 이 부분에 두 개의 분절의 연결부가 배치됨으로써 갱도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없는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지보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측 연결부를 강화하기 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연결부의 구성이 복잡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보 설치에 많은 시간이 걸리므로 산업적 활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보의 상측부는 가능한한 갱도의 내벽과 접근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기성품으로 제작되는 지보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갱도와 규격이 상호 일치하지 않는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갱도를 안정적으로 지지가능하며,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갱도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제조가능한 광산 갱도용 지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산 갱도용 지보는, 갱도의 내벽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갱도의 내벽면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보유닛; 및 상기 한 쌍의 지보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지보유닛은 갱도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수직하게 배치되는 하부분절과, 상기 하부분절의 상부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갱도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분절을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상부분절의 하면에는 삽입홈부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연결유닛은 판 형상의 보강판으로서, 보강판의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상부분절의 각 삽입홈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갱도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강판의 상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지보유닛이 상호 연결되면, 상기 한 쌍의 지보유닛의 각 상부분절은 서로 대면하여 밀착되며, 상기 상부분절의 하면은 상기 하부분절의 상면과 대면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지보유닛의 상부분절이 하부분절에 고정되도록, 양단부가 각각 상기 상부분절 및 하부분절에 결합되는 고정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대의 양단부 중 일단부는 상기 상부분절과 하부분절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상부분절과 하부분절 중 다른 하나에 고정핀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의 하부분절과 상부분절은 상호 교차하는 복수의 가로철판과 세로철판이 일체로 형성된 격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지보유닛의 각 하부분절은 높낮이가 조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산 갱도용 지보는 철판이 격자형으로 배치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제조가능하면서도 갱도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지보에서 지보의 상부를 연결식으로 제조하여 상부분절의 강성이 보장되지 않거나, 너무 복잡한 보강 구조를 채용하여 설치의 용이성이 저하되는 약점을 극복하여, 상부분절을 연결식으로 제조하면서도 간단한 구성의 보강판을 사용하여 설치의 용이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상부분절과 하부분절이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조립되게 하여 설치 및 해체의 용이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하부분절의 높낮이를 조절가능함으로써, 갱도의 높이에 상관없이 지보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갱도의 지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광산 갱도용 지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산 갱도용 지보가 조립되기 전 상태의 개략적 정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A부분으로서 상부분절을 하부분절 위에 얹어놓은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광산 갱도용 지보가 조립된 상태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5a는 도 3a의 a-a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b-b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산 갱도용 지보가 조립되기 전 상태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광산 갱도용 지보가 조립된 상태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광산 갱도용 지보의 소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광산 갱도용 지보(이하, '지보'라 한다)는 갱도에 설치되어 갱도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보는 갱도의 내벽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벽면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또한 지보는 갱도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지보와 지보 사이에는 강재나 목재 등을 끼워 넣어 갱도의 내벽이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지보가 갱도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식은 지보가 갱도의 내벽면에 완벽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광산을 가행하는 동안에만 지보를 사용하고 채광활동이 끝나면 지보를 철거하기 때문에 지보를 갱도의 내벽에 완전히 고정시키는 것은 현실적으로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보통의 경우에는 지보의 형상을 갱도와 대응되게 형성한 후, 지보와 내벽면 사이에 남는 공간은 강재나 목재 등의 충전재를 이용하여 메꾸는 방식을 채택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지보는 갱도와 최대한 밀착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간단하게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갱도 상부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보를 제공한다. 또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높이의 갱도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산 갱도용 지보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실시예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산 갱도용 지보가 조립되기 전 상태의 개략적 정면도이며, 도 3b는 A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광산 갱도용 지보가 조립된 상태의 개략적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a의 a-a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보(100)는 한 쌍의 지보유닛(50)과 연결유닛(60)을 구비한다.
한 쌍의 지보유닛(50)은 갱도의 양측에 설치되며, 연결유닛(60)을 통해 한 쌍의 지보유닛(50)이 상호 결합되면 갱도의 내벽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지보유닛(50)은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한 쌍의 지보유닛(50)이 상호 결합되면 전체적으로 아치 형상을 이룬다. 그러나 아치형 이외에 직사각 형상이나 마름모 형상 등 갱도와 대응되게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지보유닛(50)은 하부분절(20)과 상부분절(90)로 이루어진다. 하부분절(20)은 갱도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부분절(90)은 하부분절(20)에 결합되고 갱도의 상부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보는 전체적으로 아치형을 이루기 때문에 상부분절(90)은 호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부분절(90)은 연결핀(40)을 이용하여 하부분절(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분절(20)의 상측에 슬릿(21)이 형성되며, 상부분절(90)에 돌출되게 형성된 삽입부(31)가 슬릿(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핀(40)이 상부분절(90)과 하부분절(20)을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서 하부분절(20)과 상부분절(90)이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슬릿(21)이나 삽입부(31)을 형성하지 않고, 상부분절과 하부분절의 모서리부분에 경첩(미도시) 등을 부착하여 회동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보유닛(5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가 되면 지보유닛(50)의 하부분절(20)의 하면과 상부분절(90)의 하면은 상호 대면하여 밀착함으로써 상부분절(90)에 작용하는 하중을 하부분절(20)에 온전하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부분절(90)과 하부분절(20)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고정대(45)를 사용할 수 있다. 고정대(45)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는 하부분절(20)에 고정되며, 상부는 상부분절(9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고정대(45)의 하부는 제1고정핀(46)을 이용하여 하부분절(20)에 고정되며, 제2고정핀(47)은 예컨대 나사 등을 사용하여 상부분절(90)에 체결 및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도3a와 같은 상태에서는 제2고정핀(47)을 분리시켜 놓아 상부분절(90)이 하부분절(2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지만, 도 4와 같은 상태에서는 제2고정핀(47)을 고정대(45) 및 상부분절(90)에 함께 체결하여 회동을 방지한다.
연결유닛(60)은 한 쌍의 지보유닛(50)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기본적 기능을 하며, 갱도의 상부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보강 작용을 수행한다. 즉, 지보(100)에서 가장 많은 하중을 받는 부분은 지보(100)의 상측이다. 이에 지보(100)의 상부는 조립식, 연결식이 아니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하중 지지에 있어서 유리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지보유닛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지보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형태를 취하였는 바, 지보의 상부를 보강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요청된다. 종래에는 지보의 상부를 연결식으로 구성하면서 보강을 하지 않아 하중 지지에 안정적이지 않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을 위한 구성이 복잡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매우 간단한 구성을 취하면서도 지보의 상부가 안정적으로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구성을 채택하였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연결유닛(60)은 보강판을 채용한다. 한 쌍의 지보유닛(50)의 각 상부분절(90)의 하면에는 오목하게 삽입홈부(93)가 형성된다. 보강판(6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 단부가 각 상부분절(90)의 삽입홈부(93)에 끼워져 결합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이룬다. 한 쌍의 상부분절(90)들은 보강판(6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보강판(60)을 제거하지 않는 이상 상호 이탈될 수 없다. 보강판(60)은 단순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두 개의 상부분절(90)을 상호 연결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며, 설치가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보강판(60)은 상부가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갱도에서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지보의 상측을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매우 간단한 구성을 통해 보강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부분절과 하부분절은 모두 강재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으로 이루어진 강재를 사용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부분절(90)과 하부분절(20)의 재료는 복수의 가로철판(11)과 복수의 세로철판(12)이 상호 교차하게 배치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격자형으로 분절을 형성하면, 소재를 적게 쓰면서도 동일한 크기의 일반 강재에 비하여 강성이 훨씬 크게 보장되므로 경제적으로 갱도의 하중을 지탱하는데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들이 수직하게 배치된 격자형이 아니더라도, 허니컴(honeycomb) 구조로 분절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보(100)에서는 하부분절(20)의 높낮이를 조절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규모의 갱도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보의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하부분절(20)의 하측을 독특하게 구성하였다. 즉, 갱도의 지면에 놓여지는 바닥판(52)이 설치된다. 그리고 바닥판(52)의 상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봉(53)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분절(20)의 하단부는 중공형의 관부(54)로 형성된다. 중공형의 관부(54)는 나사봉(53)에 끼워지되 나사체결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핸들부(55)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봉(53)에 나사체결되며, 정역방향으로 회전시 나사봉(53)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핸들부(55)는 매개부재(56)를 이용하여 중공형의 관부(5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매개부재(56)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중공형의 관부(54)를 감싸며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내주면을 따라 고리형의 홈부(57)가 형성된다. 그리고 핸들부(55)의 내주면에는 매개부재(56)의 홈부(57)에 끼워져 지지되는 돌출턱부(58)가 마련된다. 핸들부(55)의 돌출턱부(58)가 매개부재(56)의 홈부(57)에 끼워지면 핸들부(55)는 매개부재(56)에 지지되되 매개부재(56)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상기한 구조에서 핸들부(55)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매개부재(56)와 중공형의 관부(54)는 나사봉(53)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구조적으로 중요한 점은 핸들부(55)가 중공형의 관부(54)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면서도 중공형의 관부(54)와 결합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매개부재(56)를 이용하였다. 다만, 돌출턱부(58)나 홈부(57)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핸들부(55)와 중공형의 관부(54) 또는 매개부재(56) 사이에 베어링(미도시)을 설치하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하부분절(50)의 높이가 결정되면, 핸들부(55)가 원치 않는 외력 등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억제핀(61)을 구비한다. 회전억제핀(61)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핸들부(55)와 바닥판(52)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핸들부(55)에는 상면고 하면 사이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62)이 형성되며, 바닥판(52)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끼움공(63)이 설치된다. 회전억제핀(61)은 관통공(62)으로부터 끼움공(63)까지 삽입되어 핸들부(55)의 회전을 억제한다. 핸들부(55)를 회전시키고자 할 때에는 회전억제핀(61)을 제거한 상태로 핸들부(55)를 움직이고, 핸들부(55)를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회전억제핀(61)을 관통공(62)와 끼움공(63)에 삽입시키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들부(55)를 회전시킴으로써 하부분절(2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지보(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지보(100)를 갱도의 높이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제2실시예에 따른 광산 갱도용 지보(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산 갱도용 지보가 조립되기 전 상태의 개략적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광산 갱도용 지보가 조립된 상태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산 갱도용 지보(200)는 상부분절(90)과 하부분절(20)의 전체적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부분절(90)과 하부분절(20)이 상호 결합되는 구조에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서 하부분절(20)의 상부 내측(71)은 외측보다 낮게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상부분절(90)의 양단 하부 외측(72)은 내측에 비하여 높게 단차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분절(90)이 하부분절(20) 위에 얹어지면 단차진 부분들이 서로 포개어진 상태로 상호 맞닿아 대면한다. 그리고 상부분절(90)과 하부분절(20)이 서로 공고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결합핀(73)이 상부분절(90)과 하부분절(20)에 함께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핀(73)은 나사를 채용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분절(90)과 하부분절(20)이 상호 포개져서 결합되면, 그 결합부분에서는 상부분절(90)이 내측에 하부분절(20)이 외측에 배치되는데, 이는 상부분절(90)의 중앙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지탱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포개어진 부분에서 상부분절(90)이 외측에 배치된다면 상부분절(90)의 단차진 부분이 하부분절(20)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으므로 상부분절(90)의 하단부에 많은 힘이 가해져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부분절과 하부분절이 상호 포개져 결합된 부분에서 하부분절이 외측에 배치되면, 도 7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분절의 하단부로 가해지는 힘을 하부분절(20)의 상단부가 함께 지탱하는 형태가 되어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산 갱도용 지보는 철판이 격자형으로 배치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제조가능하면서도 갱도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지보에서 지보의 상부를 연결식으로 제조하여 상부분절의 강성이 보장되지 않거나, 너무 복잡한 보강 구조를 채용하여 설치의 용이성이 저하되는 약점을 극복하여, 상부분절을 연결식으로 제조하면서도 간단한 구성의 보강판을 사용하여 설치의 용이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상부분절과 하부분절이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조립되게 하여 설치 및 해체의 용이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하부분절의 높낮이를 조절가능함으로써, 갱도의 높이에 상관없이 지보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부분절과 하부분절은 상호 회동결합 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상부분절과 하부분절은 회동결합 이외에 착탈식 등 다른 결합형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보강판(60)이 상부분절(90)을 상호 결합하는 주된 역할을 하지만, 보강판(60)을 끼우기 전에 상부분절(90)들을 임시로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200 ... 광산 갱도용 지보
11... 가로철판 12 ... 세로철판
20 ... 하부분절 21 ... 슬릿
52 ... 바닥판 53 ... 나사봉
54 ... 중공형 관부 55 ... 핸들부
56 ... 매개부재 57 ... 홈부
58 ... 돌출턱부 90 ... 상부분절
31 ... 삽입부 93 ... 삽입홈부
40 ... 연결핀 45 ... 고정대
46 ... 제1고정핀 47 ... 제2고정핀
50 ... 지보유닛 60 ... 연결유닛(보강판)
71,72 ... 단차부

Claims (12)

  1. 갱도의 내벽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갱도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보유닛; 및
    상기 한 쌍의 지보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지보유닛은,
    갱도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수직하게 배치되는 하부분절과, 상기 하부분절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갱도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분절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지보유닛의 각 하부분절은 높낮이가 조절가능하며,
    상기 하부분절의 하측은 중공형의 관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분절의 하측에 끼워져 설치되는 나사봉과, 상기 하부분절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봉에 나사체결되는 핸들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핸들부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하부분절이 상하방향으로 위치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산 갱도용 지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분절의 하면에는 삽입홈부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연결유닛은 판 형상으로 상기 연결유닛의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상부분절의 각 삽입홈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보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산 갱도용 지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갱도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강판의 상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산 갱도용 지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보유닛이 상호 연결되면,
    상기 한 쌍의 지보유닛의 각 상부분절은 서로 대면하여 밀착되며,
    상기 상부분절의 하면은 상기 하부분절의 상면과 대면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산 갱도용 지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보유닛의 상부분절이 하부분절에 고정되도록,
    양단부가 각각 상기 상부분절 및 하부분절에 결합되는 고정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산 갱도용 지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양단부 중 일단부는 상기 상부분절과 하부분절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상부분절과 하부분절 중 다른 하나에 고정핀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산 갱도용 지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분절과 상부분절은 상호 교차하는 복수의 가로철판과 세로철판이 일체로 형성된 격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산 갱도용 지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분절은 하부분절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산 갱도용 지보.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분절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하단부 내주면에는 고리형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매개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핸들부의 상측에는 상기 고리형의 홈부에 끼워져 지지되는 돌출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핸들부는 상기 매개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핸들부가 정역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매개부재 및 하부분절은 상기 나사봉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산 갱도용 지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의 하부에는 지면에 지지되는 바닥판이 설치되며,
    상기 핸들부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단은 상기 핸들부에 하단은 상기 바닥판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억제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산 갱도용 지보.
KR1020140054005A 2014-05-07 2014-05-07 광산 갱도용 지보 KR101481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005A KR101481437B1 (ko) 2014-05-07 2014-05-07 광산 갱도용 지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005A KR101481437B1 (ko) 2014-05-07 2014-05-07 광산 갱도용 지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437B1 true KR101481437B1 (ko) 2015-01-13

Family

ID=52588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005A KR101481437B1 (ko) 2014-05-07 2014-05-07 광산 갱도용 지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43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997A (ko) * 2016-09-01 2018-03-12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스크루 잭 및 계측센서부재를 갖는 조립식 다족형 강지보 시스템 및 그 시공법
KR101979368B1 (ko) 2018-09-20 2019-05-17 주식회사 파이프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
KR20220160245A (ko) * 2021-05-27 2022-12-0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터널지보모듈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CN116557007A (zh) * 2023-07-06 2023-08-08 中建铁路投资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隧道拱架安装装置
KR20230167568A (ko) * 2022-06-02 2023-12-11 유광산 터널굴착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0831A (en) * 1978-11-22 1979-07-18 Kubota Ltd Structure for joining timbers
KR970004232Y1 (ko) * 1994-04-30 1997-05-07 천원공업 주식회사 터널 및 아취골조 에이취빔(H-Beam)의 체결구조
KR200461108Y1 (ko) * 2012-04-04 2012-06-29 김종호 수직지지대 하단부에 고정되는 받침대를 구비한 서포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0831A (en) * 1978-11-22 1979-07-18 Kubota Ltd Structure for joining timbers
KR970004232Y1 (ko) * 1994-04-30 1997-05-07 천원공업 주식회사 터널 및 아취골조 에이취빔(H-Beam)의 체결구조
KR200461108Y1 (ko) * 2012-04-04 2012-06-29 김종호 수직지지대 하단부에 고정되는 받침대를 구비한 서포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997A (ko) * 2016-09-01 2018-03-12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스크루 잭 및 계측센서부재를 갖는 조립식 다족형 강지보 시스템 및 그 시공법
KR101998925B1 (ko) * 2016-09-01 2019-07-11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스크루 잭 및 계측센서부재를 갖는 조립식 다족형 강지보 시스템
KR101979368B1 (ko) 2018-09-20 2019-05-17 주식회사 파이프퀸 갱도용 지주 간 연결부재
KR20220160245A (ko) * 2021-05-27 2022-12-0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터널지보모듈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KR102523187B1 (ko) * 2021-05-27 2023-04-1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터널지보모듈을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KR20230167568A (ko) * 2022-06-02 2023-12-11 유광산 터널굴착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
KR102615514B1 (ko) * 2022-06-02 2023-12-19 유광산 터널굴착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
CN116557007A (zh) * 2023-07-06 2023-08-08 中建铁路投资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隧道拱架安装装置
CN116557007B (zh) * 2023-07-06 2023-09-05 中建铁路投资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隧道拱架安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437B1 (ko) 광산 갱도용 지보
KR200471055Y1 (ko)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
CN108603350A (zh) 钻孔机
CN103470279A (zh) 可主动控制围岩变形的u型钢支架
KR102425060B1 (ko) 지지면 보정기능을 가진 흙막이벽 띠장용 선행하중잭
RU2436959C2 (ru) Тюбинговое кольц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вертикальных стволов горных выработок
KR101481438B1 (ko) 광산 갱도용 지보
KR101306055B1 (ko) 내력 및 내진 성능 향상을 위한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구조 및 우각부 보강방법
CN204253079U (zh) 一种矿用锚杆托盘
KR101242205B1 (ko) 터널 붕락 방지구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KR101653890B1 (ko) 터널 안정화를 위한 터널 각부보강 연결보의 시공 방법
KR101212732B1 (ko) 기하학적 반력을 이용한 아치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275450B1 (ko) 강관 버팀보 연결구의 커버 밴드 및 이를 갖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
CN204626454U (zh) 一种沉管节段接头装配式剪力键模板
KR20160025179A (ko) 선단보강 마이크로파일
JP5843938B2 (ja) 止水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206329B1 (ko) 갱도 유지용 강재 지주의 연결 구조
KR101188590B1 (ko) 후방 돌출 경사판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JP5243916B2 (ja) 建て替え方法
KR101164185B1 (ko) 다중 고정식 앵커블록
KR20150117347A (ko) 선박 블록 받침용 지그 조립체
KR20130102751A (ko) 격자지보재 연결장치
CN116378677B (zh) 一种全跨充填型溶洞段的隧道修建方法及隧道结构
CN210564556U (zh) 隧道软弱围岩支护装置
JP2012241477A (ja) 斜梁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