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029B1 - Expansion joints with six direction dof - Google Patents

Expansion joints with six direction d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029B1
KR101481029B1 KR20130074550A KR20130074550A KR101481029B1 KR 101481029 B1 KR101481029 B1 KR 101481029B1 KR 20130074550 A KR20130074550 A KR 20130074550A KR 20130074550 A KR20130074550 A KR 20130074550A KR 101481029 B1 KR101481029 B1 KR 101481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plate
finger
elastic member
support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45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1392A (en
Inventor
김선엽
전중욱
Original Assignee
포인텍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인텍이앤씨(주) filed Critical 포인텍이앤씨(주)
Priority to KR20130074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029B1/en
Publication of KR20150001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3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0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종방향뿐만 아니라 횡방향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횡방향 신축이 가능하며 배수시트의 교체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량의 종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측변부에 서로 교호하게 맞물리는 핑거들을 구비하는 복수의 핑거플레이트와; 교량의 횡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설치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와 그 하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을 교량의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서포트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핑거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레일과의 볼트 결합을 위해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 체결공을 구비하되 상기 볼트 체결공은 핑거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교량의 횡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종방향보다 횡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는 횡방향을 따라 중간 중간 단절되어 이격되도록 한 이격부를 구비하여 횡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noise expansion joint device having a six-degree-of-freedom degree of freedom, and is capable of lateral expansion and contraction so as to accommodate lateral displacement as well as vertical displacement of a bridg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finger plate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s and having fingers interdigitated with each other at opposite side portions facing each other; A plurality of support rail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s and connected to the finger plates at a lower side thereof to support the finger plates; And a support bar for supporting the support rail so as to be slidab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wherein the finger plate has a bolt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a bolt is inserted for bolt connection with the support rail, Wherein the finger plate is formed as a long ho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a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finger plate can be dis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ridge along the support rail and the finger plate is provided with spaced- As shown in Fig.

Description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S WITH SIX DIRECTION D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 noise expansion joint device having six degrees of freedom,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종방향뿐만 아니라 횡방향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횡방향 신축이 가능하며 배수시트의 교체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scopic joint for bridge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scopic telescopic joint capable of transverse expansion and contraction not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bridge but also in a transverse direction, ≪ / RTI >

일반적으로, 교량은 동, 하절기와 같은 온도 변화에 의한 신축, 콘크리트 재량에 따른 건조수축과 크리프, 활하중에 따른 상부구조의 이동을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교량상판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된다.Generally, bridges are continuously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smoothly accommodat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due to temperature changes such as during the winter and summer, the shrinkage due to drying, and the movement of the upper structure due to creep and live load Respectively.

이처럼 간격이 수시로 변화하는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 이음매를 연결하여 차량을 원활하게 통과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된 신축이음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smoothly pass the vehicle through the joint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in which the interval is changed from time to time, a telescopic joint devi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lates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plate is widely used.

이 중, 상기 플레이트는 교량상판의 신축작용에 의해 교량상판 간 이격거리가 수시로 변화할 때 유연하게 대처하면서 연결되도록 교량의 상판 단부에 설치된다. The plate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bridge so as to flexibly cope with each othe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bridge top plates changes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ridge top plat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FIG. 1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expansion joint device, and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expansion joint device.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측변이 파형상을 갖고 맞물릴 수 있도록 교호하게 형성된 복수의 핑거플레이트(10)와, 볼트(20) 체결에 의해 상기 핑거플레이트(10)가 결합되어 그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레일(40)과, 상기 지지레일(40)을 교량의 중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바(30)와, 핑거플레이트(10) 사이로 침투하는 물을 받아 다른 곳으로 안내하는 배수시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졌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ventional expansion joint device comprises a plurality of finger plates 10 formed alternately so that side faces opposite to each other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A supporting bar (30) for supporting the supporting rail (40) so as to be slidabl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bridge, a supporting bar (30) for supporting the supporting rail And a drainage sheet (50) for guiding it to another place.

이같은 종래기술의 구성에 따르면 교량상판이 신축 등의 이유로 종방향으로 변위될 때 서로 마주하고 있는 핑거플레이트(10)들이 종방향으로 서로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신축되어 교량의 종방향 변위를 수용할 수 있었다. 이 경우 서포트바(30)를 따라 지지레일(40)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지지레일(40)에 의해 지지된 복수의 핑거플레이트(10)들이 변위되면서 서로의 간격을 필요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ior art, when the bridge top plate is dis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ue to expansion or the like, the finger plates 10 facing each other can be expanded or contracted while adjusting the distance therebetwe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ccommodate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bridge there was. In this case, the support rail 40 is slid along the support bar 30, and the plurality of finger plates 10 supported by the support rail 40 are displace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m.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경우 종방향과 달리 지진 등의 이유로 갑작스럽게 발생될 수 있는 교량상판의 횡방향 변위에 대해서는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expansion join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configuration capable of appropriately coping with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bridge top plate which can be generated suddenly due to seismic or other reasons.

또한, 배수시트(50)를 설치하기 위해 지지레일(40)의 일부를 변형해야 하고, 배수시트(50)가 사용 중 손상되는 경우 교체를 위하여 상기 핑거플레이트(10)를 지지레일(40)로부터 분리하고, 지지레일(40)과 배수시트(50)의 체결을 해제하는 일련의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install the drainage sheet 50, a part of the support rail 40 needs to be deformed. When the drainage sheet 50 is damaged during use, the finger plate 10 is removed from the support rail 40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ries of cumbersome operations are required to separate the support rail 40 and the drainage sheet 50 from each other.

한국공개특허 제2006-0092307호(2006.08.2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6-0092307 (2006.08.2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종방향뿐만 아니라 횡방향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횡방향 신축이 가능하도록 한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idge having a degree of freedom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expand and contrac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accommodate the lateral displacement as well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And to provide a low noise expansion joint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종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측변부에 서로 교호하게 맞물리는 핑거들을 구비하는 복수의 핑거플레이트와; 교량의 횡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설치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와 그 하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을 교량의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서포트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핑거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레일과의 볼트 결합을 위해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 체결공을 구비하되 상기 볼트 체결공은 핑거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교량의 횡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종방향보다 횡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는 횡방향을 따라 중간 중간 단절되어 이격되도록 한 이격부를 구비하여 횡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w-noise expansion joint device having a degree of freedom in a vertical direction, comprising finger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A plurality of finger plates; A plurality of support rail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s and connected to the finger plates at a lower side thereof to support the finger plates; And a support bar for supporting the support rail so as to be slidab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wherein the finger plate has a bolt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a bolt is inserted for bolt connection with the support rail, Wherein the finger plate is formed as a long ho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a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finger plate can be dis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ridge along the support rail and the finger plate is provided with spaced- So that it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여기서,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이격부에는 상기 이격부의 횡방향 폭이 좁혀지면 원상태로 넓혀지도록 상기 핑거플레이트를 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first elastic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nger plate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finger plate is widened when the lateral width of the spacing portion is narrowed.

또한,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횡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핑거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변위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elastic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at both lateral ends of the finger plate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nger plat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finger plate is laterally displaced.

또한,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횡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핑거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변위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elastic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at both lateral ends of the finger plate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nger plat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finger plate is laterally displaced.

또한, 상기 볼트 체결공에는 상기 핑거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교량의 횡방향으로 변위될 때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볼트를 탄성지지하는 제3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bolt fastening hole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lt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finger plate is displaced along the support rail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ridge.

또한, 상기 핑거플레이트에는 볼트 체결공 주변으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핑거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교량의 횡방향으로 변위될 때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볼트를 탄성지지하는 제3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eating groove is formed around the bolt fastening hole on the finger plate, and a third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lt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finger plate is displaced along the support rail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ridge, Is installed.

또한, 핑거플레이트 사이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배수시트가 상기 핑거플레이트와 지지레일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a drainage sheet for guiding the flow of water flowing between the finger plates is supported between the finger plates and the support rails.

또한, 상기 배수시트는 분할되지 않은 하나의 몸체로 신축이음장치 전 영역을 담당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the drainage sheet may be a single body that is not divided so as to cover the entire area of the expansion joint device.

또한, 상기 배수시트는 상기 지지레일을 중심으로 분리된 형태로 복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drainage sheets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round the support rail.

본 발명에 의한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는, 핑거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의 볼트 체결공과 이격부를 구비한 구성에 의해 횡방향으로 신축되면서 변위 가능하여 지진 등의 이유로 교량의 횡방향으로 급격하게 발생되는 변위를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다. The low noise expansion joint device with six degrees of freed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nger plate has a bolt fastening hole and a spacing portion in which the elongated hole is elong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can be displa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be displaceable, It is possible to smoothly receive the displacement generated suddenly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또한, 본 발명은 핑거플레이트의 이격부와 횡방향 양단부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에 의해 핑거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수축되더라도 곧바로 넓혀지면서 원상태로 회복되고, 횡방향으로 변위되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finger plate is contra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by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provided at the spacing por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both ends of the finger plate, the finger plate is immediately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while being displaced in the lateral direction, .

또한, 본 발명은 안착홈에 간단히 채워져 설치되는 제3탄성부재에 의해 핑거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수축되더라도 곧바로 넓혀지면서 원상태로 회복되는 동시에 핑거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변위되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복합적인 작용을 하게 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finger plate is contra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by the third elastic member which is simply filled in the seating groove, the complex plate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while being expanded, and the composite plate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finger plate is displaced in the lateral direction .

또한, 본 발명은 배수시트가 핑거플레이트와 지지레일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한 구성에 의해 지지레일에 배수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하지 않아도 배수시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핑거플레이트를 지지레일에서 분리한 후 간단히 배수시트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age sheet is supported between the finger plates and the support rails, and the drainage sheet can be stably supported without a separate structure for fixing the drainage sheet to the support rail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rainage sheet can be simply replaced after it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rail.

또한, 본 발명은 제1탄성부재, 제2탄성부재, 제3탄성부재에 의한 진동 및 소음 감쇄 효과에 저소음의 신축이음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low-noise expansion joint device with vibration and sound attenuating effect by the first elastic member, the second elastic member, and the third elastic member.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를 종방향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에서 변형된 배수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
1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plan view of the expansion join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drainage sheet in the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the expansion joi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the expansion joi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the expansion joint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A low noise expansion joint device having six degrees of freedom in accordance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actually shown in a smaller scale than the actual dimens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chematic structure.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so, the terms first and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On the other h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종방향뿐만 아니라 횡방향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횡방향 신축이 가능하며 배수시트의 교체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low noise expansion joint device having the six degrees of freedo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xpand and contrac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as to accommodate not only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also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bridge and also to easily replace the drainage shee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struction of a low-noise expansion joint device having six degrees of freed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를 종방향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에서 변형된 배수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FIG. 3 is a plan view of an expansion joi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pansion join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drainage sheet in the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는 핑거플레이트(110)와, 서포트바(120)와, 지지레일(130)과, 배수시트(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핑거플레이트(110)의 볼트 체결공(112a)이 핑거플레이트(110)가 지지레일(130)을 따라 횡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종방향보다 횡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110)는 횡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횡방향을 따라 중간 중간 단절되어 이격되도록 한 이격부(115)를 구비하는 독창적인 구성을 갖는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xpansion join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nger plate 110, a support bar 120, a support rail 130, and a drainage sheet 140, The bolt fastening hole 112a of the plate 110 is formed as a long hole that is laterally longer tha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finger plate 110 can be laterally displaced along the support rail 130, And a spacing portion 115 spaced apart in the middle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extend and retract in the lateral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는 이같이 독창적인 구성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신축하면서 교량의 횡방향 변위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expansion join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ommodate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bridge while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by the unique structure.

아래에서는 이같은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핑거플레이트(110)는 일반적인 핑거플레이트(110)와 마찬가지로 교량의 종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측변부에는 교호하게 맞물리는 핑거(111)들을 구비한다. 단, 도면을 살펴보면 복수의 핑거플레이트(110) 중 중간 영역에 위치하는 미들플레이트(middle plate)들과 종방향으로 양단부 영역에 각각 위치하는 에지플레이트(edge plate)로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지만 핑거(111)를 길게 형성시킨 한 쌍의 에지플레이트만으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finger plates 11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ngers 111 spac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s and having fingers 111 interlocked with each other. However, although it can be seen that the middle plates are located in the middle region of the plurality of finger plates 110 and the edge plates are located in the both end reg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only a pair of edge plates having a long length may be formed.

또한, 전술된 것처럼 상기 핑거플레이트(110)는 볼트 체결공(112a)이 종방향보다 횡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고, 횡방향을 따라 중간 중간 단절되어 이격되도록 한 이격부(115)를 구비하는 독특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이격부(115)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핑거플레이트(110)를 종방향으로 완전히 가로지른 형태로 형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일차적으로 상기 핑거플레이트(110)가 볼트(113)에 의해 지지레일(130)과 결합된 상태에서도 장공으로 형성된 볼트 체결공(112a)에 의해 지지레일(130)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변위되는 것이 허용된다. 그리고 이차적으로, 상기와 같이 핑거플레이트(110)가 변위될 때 이격부(115)에 의해 중간 중간에 변위를 수용하는 완충공간이 확보되어 전체적으로 보면 횡방향의 신장 및 축소가 가능해진다. Also, as described above, the finger plate 110 has the bolt fastening hole 112a formed as a long hole that is laterally longer tha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the spacing portion 115 that is spaced apart and spaced apart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nd has a unique configuration. 3, the spacing portion 115 is formed to completely cross the finger plate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finger plate 110 is first coupled to the support rail 130 by the bolts 113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support rail 130 by the bolt fastening holes 112a formed in the elongated holes Sliding displacement is allowed. Secondly, when the finger plate 110 is displaced as described above, the buffer space for accommodating the displacement in the middle is ensured by the spacing portion 115, so that it is possible to elongate and contrac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s a whole.

이같은 구성에서 주목할 점은 상기 핑거플레이트(110)의 변위 및 신축 작용이 상기 핑거플레이트(110)의 종방향 신축작용과는 달리 기존 지지레일(130)이나 서포트바(120)의 지원 없이도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경우 교량의 종방향으로 신축되도록 한 구성에 어떠한 간섭 없이 횡방향으로도 신축 및 변위 가능하도록 하는 복합적인 구성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isplacement an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finger plate 110 can be performed without supporting the existing support rail 130 or the support bar 120 unlike the longitudinal stretching action of the finger plate 110 .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expansion join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complex construction in which the bridge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out any interference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핑거플레이트(110)에는 볼트 체결공 주변으로 안착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12)은 볼트(113) 머리보다 넓게 형성되어 볼트(113) 머리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 외에 제3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In addition, a seating groove 112 is formed in the finger plate 110 around the bolt fastening hole. The seating groove 112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head of the bolt 113 to prevent the head of the bolt 113 from being projected, so that the third elastic member can be install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상기 서포트바(120)는, 상기 지지레일(13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교량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단이 교량의 이음매를 중심으로 하여 걸쳐져 지지된다. The support bar 120 supports the support rail 130 in a slidable manner. The support bar 120 is form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and both ends are supported on the joints of the bridge.

상기 지지레일(130)은 상기 서포트바(120)에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또는 슬립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핑거플레이트(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레일(130)은 교량의 횡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길게 설치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110)와 그 하측에서 볼트(113) 결합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1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핑거플레이트(110)와 지지레일(130) 간 볼트(113) 결합은 압박하여 조이는 것이 아니라 상측으로 들뜨지 않을 정도로만 느슨하게 체결하여 상기 핑거플레이트(110)가 지지레일(130)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변위 가능하도록 한다. The support rail 130 supports the finger plate 110 while slidably or slidably supporting the support bar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this, the support rail 130 is install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and the finger plate 110 is coupled with the bolt 113 at the lower side thereof to support the finger plate 110. Here, the bolt 113 between the finger plate 110 and the support rail 130 is loosely fastened only to the upper side rather than being tightened by pressing, so that the finger plate 11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support rail 130 Thereby enabling sliding displacement.

상기 배수시트(140)는 핑거플레이트(110) 사이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핑거플레이트(110)와 지지레일(130)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수시트(140)는 상기 배수시트(140)는 핑거플레이트(110)와 지지레일(130)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부(141)와 상기 지지레일(130)들 사이에 절곡된 V자 또는 U자 형태로 위치하여 유입된 물을 다른 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142)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배수시트(140)가 지지레일(130)에 결합되었던 종래기술과 달리 간단히 핑거플레이트(110)와 지지레일(130) 사이에 끼워져서 지지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지지레일(130)과 배수시트(140)에 서로 간의 결합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을 하지 않아도 된다. The drainage sheet 140 serves to guide the flow of water flowing between the finger plates 11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age sheet 140 is installed between the finger plates 110 and the support rails 130 so as to be supported. The drainage sheet 140 may include a fitting portion 141 to be fitted between the finger plate 110 and the support rail 130 and a V- Or a U-shaped guide portion 142 for guiding the introduced water to the other side. Since the drainage sheet 140 is fitted and supported between the finger plate 110 and the support rail 130 unlike the conventional art in which the drainage sheet 140 is coupled to the support rail 130,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dditional structure for coupling each other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배수시트(140)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분할되지 않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신축이음장치 전 영역을 담당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지지레일(130)을 중심으로 분리된 복수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와 같이 상기 배수시트(140)가 신축이음장치 전 영역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배수시트(140)를 지지레일(130)과 지지레일(130) 사이사이에 일일이 여러 번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시공과정 없이 지지레일(130) 위에 핑거플레이트(110)를 설치하기 전에 넓은 배수시트(140) 하나만을 간단히 덧대어 주고 그 위에 핑거플레이트(110)를 설치하기만 하면 된다. 한편, 도 5와 같이 배수시트(140)가 지지레일(130)을 중심으로 분리된 복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최초 설치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변형 전 구성에 비해 시공과정이 다소 복잡해질 수 있지만 보수를 위한 교체시에는 손상된 부위의 배수시트(140)를 지지하고 있는 핑거플레이트(110) 하나를 분리한 다음 간단히 배수시트(140)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drainage sheet 140 may be formed as a single body that is not divided as shown in FIG. 4, and may cover the entire area of the expansion joint device. And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shapes separated from each other. 2, when the drainage sheet 140 is formed of a single body so as to cover the entire area of the expansion joint device, the drainage sheet 140 is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rail 130 and the support rail 130 several times It is sufficient to simply attach only one wide drainage sheet 140 and install the finger plate 110 thereon before installing the finger plate 110 on the support rail 130 without a troublesome installation process. 5, when the drainage sheet 140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hapes separated from the support rail 130, the construction process may be somewhat complicated as compared with the pre-deformation structure shown in FIG. 4 at the time of initial installa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when replacing for maintenance, one of the finger plates 110 supporting the drainage sheet 140 at the damaged part can be removed and then the drainage sheet 140 can be simply replaced.

계속해서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expansion joint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이다. 6 is a plan view of an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a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는, 핑거플레이트(110)의 이격부(115)와 횡방향 양단부에 각각 제1탄성부재(150)와 제2탄성부재(1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xpansion joi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astic member 150 and a second elastic member 160 (not shown) at a spacing portion 115 and a transverse direction end portion of a finger plate 110, Is installed.

상기 제1탄성부재(150)는 폴리우레탄이나 고무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구비되며, 상기 핑거플레이트(110)의 이격부(115)를 채우면서 교량의 횡방향 변위 발생시 이격부(115)의 횡방향 폭이 좁혀지면 원상태로 넓혀지도록 상기 핑거플레이트(110)를 횡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The first elastic member 15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such as polyurethane or rubber. When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bridge occurs while filling the spacing part 115 of the finger plate 110, When the transverse width is narrowed, the finger plate 110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lateral direction so as to be widened.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160) 역시 폴리우레탄이나 고무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구비되며, 상기 핑거플레이트(110)의 횡방향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110)가 횡방향으로 변위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지지한다.
The second elastic member 160 is also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polyurethane or rubber. When the finger plate 110 is laterally displaced by being installed at both lateral ends of the finger plate 110,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to return to the home position.

이처럼 제1탄성부재(150) 및 제2탄성부재(160)가 구비되면 전술된 것처럼 수축 및 변위된 핑거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원상으로 복구될 수 있도록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나아가 차량의 통과시 상기 핑거플레이트(110)에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elastic member 150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60 are provided, the finger plate 110 is elastically supported so as to be restored to the original shape as described above. And also absorbs vibrations and noise generated in the finger plate 110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vehicle.

도 7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이다. 7 is a plan view of an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는, 핑거플레이트(110)의 횡방향 양단부에만 각각 제2탄성부재(1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xpansion joi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elastic member 160 is provided only at both lateral ends of the finger plate 110.

이같은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제1변형실시예로부터 제1탄성부재(150)가 배제되고 제2탄성부재(160)만 남아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설치된 제2탄성부재(160)에 의해 핑거플레이트(110)가 횡방향으로 변위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지지된다. 6 shows that the first elastic member 150 may be omitted and only the second elastic member 160 may be left. In this case, the second elastic member 160, When the finger plate 110 is dis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is elastically supporte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변형실시예와는 반대로 도 6에 도시된 제1변형실시예로부터 제2탄성부재(160)가 배제되고 제1탄성부재(150)만 남아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contrary to the second modified embodiment, the second elastic member 160 may be excluded from the first modified embodiment shown in FIG. 6 and configured to remain only the first elastic member 150 Of course.

도 8은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이다. 8 is a plan view of an expansion joint device according to a third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는, 핑거플레이트(110)의 볼트 체결공(112a) 주변에 요입된 형태로 형성된 안착홈(112)에 제3탄성부재(17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rd elastic member 170 (not shown) formed in the seating groove 112 formed in a shape recessed around the bolt fastening hole 112a of the finger plate 110, Is installed.

여기서 상기 제3탄성부재(170)는 폴리우레탄이나 고무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구비되며 상기 안착홈(1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져서 핑거플레이트(110)가 지지레일(130)을 따라 교량의 횡방향으로 변위될 때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볼트(113)를 탄성지지하게 된다. The third elastic member 17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polyurethane or rubber and is at least partly filled in the seating groove 112 so that the finger plate 11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ail 130 along the support rail 130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bolt 113 so as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it is displaced in the lateral direction.

이같은 제3변형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안착홈(112)에 간단히 설치된 제3탄성부재(170)가 전술된 제1변형실시예에서 제1탄성부재(150)와 제2탄성부재(160)가 하는 역할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modified embodiment, the third elastic member 170, which is simply installed in the mounting groove 112, is forme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150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60 in the first modified embodiment The role can be performed in a complex manner.

한편, 상기 제3탄성부재(170)가 제1탄성부재(150) 및 제2탄성부재(160)의 설치영역과 중복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1탄성부재(150) 및 제2탄성부재(160)와 함께 복합적으로 설치하는 구성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 경우 이들 제1탄성부재(150), 제2탄성부재(160), 제3탄성부재(170)에 의한 탄성지지력은 더욱 강해져서 교량의 횡방향 변위 발생시 이를 수용하기 위해 변위 및 수축되거나 신장되는 핑거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원래의 상태로 신속하게 복구시켜준다. 그리고 소음 및 진동 감쇄효과는 더욱 증대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The first elastic member 150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60 are not overlapped with the first elastic member 150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60,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elastic supporting force by the first elastic member 150, the second elastic member 160, and the third elastic member 170 is further strengthened, so that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bridge is displaced and contracted or elongated Thereby quickly restoring the finger plate 110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noise and vibration damping effect can be expected to be further increas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110 : 핑거플레이트 111 : 핑거
112 : 안착홈 112a : 볼트 체결공
113 : 볼트 115 : 이격부
120: 서포트바 130 : 지지레일
140 : 배수시트 141 : 끼움부
142 : 가이드부 150 : 제1탄성부재
160 : 제2탄성부재 170 : 제3탄성부재
110: finger plate 111: finger
112: seat groove 112a: bolt fastening hole
113: bolt 115:
120: support bar 130: support rail
140: drainage sheet 141:
142: guide part 150: first elastic member
160: second elastic member 170: third elastic member

Claims (9)

교량상판 이음매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교량의 종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측변부에 서로 교호하게 맞물리는 핑거들을 구비하는 복수의 핑거플레이트와;
교량의 횡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설치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와 그 하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을 교량의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서포트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핑거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레일과의 볼트 결합을 위해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 체결공을 구비하되 상기 볼트 체결공은 핑거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교량의 횡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종방향보다 횡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는 횡방향을 따라 중간 중간 단절되어 이격되도록 한 이격부를 구비하여 횡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In a telescoping joint installed on a bridge top joint,
A plurality of finger plate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s and having fingers interdigitated with each other at side portions facing each other;
A plurality of support rail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s and connected to the finger plates at a lower side thereof to support the finger plates;
And a support bar for supporting the support rail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Wherein the finger plate has bolt fastening holes through which bolts are inserted for bolt connection with the support rail, wherein the bolt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finger plates can be displac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ridge along the support rails Is formed into a long slot,
Wherein the finger plate is provided with spaced apart portions spaced apart in the middle direction along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finger plates can be stretched in the later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이격부에는 상기 이격부의 횡방향 폭이 좁혀지면 원상태로 넓혀지도록 상기 핑거플레이트를 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astic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rst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nger plate in the lateral direction so as to be widened when the lateral width of the spacing portion is narrowed at the spacing portion of the finger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횡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핑거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변위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econd elastic member is provided at both lateral ends of the finger plate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nger plate so as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finger plate is laterally displac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횡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핑거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변위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elastic member is provided at both lateral ends of the finger plate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nger plate so as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finger plate is laterally displaced.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플레이트에는 볼트 체결공 주변으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핑거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교량의 횡방향으로 변위될 때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볼트를 탄성지지하는 제3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 seat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nger plate around the bolt fastening hole and a third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lt is provided in the seating groove so as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finger plate is displaced along the support rail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ridge Wherein said elastic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체결공에는 상기 핑거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교량의 횡방향으로 변위될 때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볼트를 탄성지지하는 제3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lt fastening hole is provided with a third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lt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finger plate is displaced along the support rail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ridge.
제1항에 있어서,
핑거플레이트 사이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배수시트가 상기 핑거플레이트와 지지레일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rainage sheet for guiding the flow of water flowing between the finger plates is supported between the finger plates and the support rail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시트는 분할되지 않은 하나의 몸체로 신축이음장치 전 영역을 담당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rainage sheet is a single body that is not divided so as to cover the entire area of the expansion joint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시트는 상기 지지레일을 중심으로 분리된 형태로 복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plurality of the drainage shee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round the support rail.
KR20130074550A 2013-06-27 2013-06-27 Expansion joints with six direction dof KR1014810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550A KR101481029B1 (en) 2013-06-27 2013-06-27 Expansion joints with six direction d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550A KR101481029B1 (en) 2013-06-27 2013-06-27 Expansion joints with six direction d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392A KR20150001392A (en) 2015-01-06
KR101481029B1 true KR101481029B1 (en) 2015-01-14

Family

ID=52475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4550A KR101481029B1 (en) 2013-06-27 2013-06-27 Expansion joints with six direction d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0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106B (en) * 2018-09-28 2024-03-15 中铁磁浮交通投资建设有限公司 Longitudinal beam sliding device of medium-low speed magnetic levitation bridge large-displacement telescopic device
CN109024105B (en) * 2018-09-28 2024-03-15 中铁磁浮交通投资建设有限公司 Hinged transverse moving device of middle-low speed magnetic levitation bridge large-displacement telescopic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3404A (en) 2001-04-24 2003-01-15 Yokohama Rubber Co Ltd:The Shock absorber for expansion joint for road and bridge
JP2004183379A (en) 2002-12-05 2004-07-02 Kawaguchi Metal Industries Co Ltd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expansion device for bridge
KR20070093806A (en) * 2006-03-15 2007-09-19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3404A (en) 2001-04-24 2003-01-15 Yokohama Rubber Co Ltd:The Shock absorber for expansion joint for road and bridge
JP2004183379A (en) 2002-12-05 2004-07-02 Kawaguchi Metal Industries Co Ltd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expansion device for bridge
KR20070093806A (en) * 2006-03-15 2007-09-19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392A (en)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959B1 (en) Absorbing earthquake joint for bridge structure
KR100991868B1 (en) Guardrail
KR101595507B1 (en) 3dimension-seismic isolator with horizontal vibration reduction function
KR101403230B1 (en) Steel frame connection structure having steel damper of omega type
JP2004019361A (en) Brace damper
KR101368377B1 (en) Expansion jointing apparatus for a bridge unify jointing process of anchor and drainage sheet
KR102068824B1 (en) Dust cover of support beam for bridge extension joint
KR101920698B1 (en) Elastic bearing for easy maintenance
KR101481029B1 (en) Expansion joints with six direction dof
KR102051614B1 (en) Finger joint device for bridges
KR20070000478U (en) Flexible connecting device for bridge
KR101371339B1 (en) Brace friction damper using the viscoelastic substance
KR101975259B1 (en) Expansion Joint Constructing Non-Supporting Point of Bridge
KR101744909B1 (en) Spacing unit for expansion joint apparatus of bridge
KR20180127838A (en) Negative reaction control and displacement absorb device for noise barrier of bridges, girder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50065012A (en) Bridge expansion joint with shear type bolt
KR101839135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expansion joint for bridge
KR200439167Y1 (en) Space sustenance unit of flexible connecting device for bridge
KR20070044424A (en) Flexible connecting device for bridge
JP6181393B2 (en) Movement restriction device
CN211420854U (en) Anchoring device for bridge expansion joint
KR101986949B1 (en) Expansion joint device
KR200411537Y1 (en) Expansion joint for bridge
KR101774438B1 (en) a finger joint with a guide finger for seismic isolation control
KR100977088B1 (en) Earthquake-resistant expansion joi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