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230B1 - Steel frame connection structure having steel damper of omega type - Google Patents
Steel frame connection structure having steel damper of omega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3230B1 KR101403230B1 KR1020120101693A KR20120101693A KR101403230B1 KR 101403230 B1 KR101403230 B1 KR 101403230B1 KR 1020120101693 A KR1020120101693 A KR 1020120101693A KR 20120101693 A KR20120101693 A KR 20120101693A KR 101403230 B1 KR101403230 B1 KR 1014032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 flange
- curved surface
- surface portion
- colum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4—Structures with steel columns and bea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시 변형능력 및 에너지흡수능력이 우수하고 지진 이후에는 보수보강이 용이하도록 한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철골 기둥과; 철골 기둥에 직각 방향으로 소정의 거동확보용 간격을 두고 단부가 위치되는 철골 보와; 일단이 철골 보의 단부측 상부 플랜지에 일정 구간 겹쳐저 볼트 접합되고 타단이 철골 기둥의 플랜지에 볼트 접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상부연결부재와; 일단이 철골 보의 단부측 하부 플랜지에 일정 구간 겹쳐저 볼트 접합되고 타단이 철골 기둥의 플랜지에 볼트 접합되어 탄소성 변형으로 저항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l joint structure having an omega-shaped steel damper that has excellent deformability and energy absorption capability during an earthquake and is easy to repair and reinforce after an earthquak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el column comprising: a steel column; A steel beam having an end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gap for securing a predetermined mo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eel column; At least one upper connecting member having one end overlapped with the upper flange on the end side of the steel beam for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bolted to the flange of the steel column at the other end; And one or more lower connecting members, one end of which is overlapped with the lower flange at the end portion of the steel beam for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bolted to the flange of the steel column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resiliently elastically de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골 구조물의 접합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진 시 변형능력 및 에너지 흡수 능력이 우수하고 지진 이후에는 보수보강이 용이하도록 한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 structure of a steel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l joint structure having an omega-shaped steel damper excellent in deformation capacity and energy absorption capacity in an earthquake and easy to repair and reinforce after an earthquake.
최근 국내에서도 가까운 미래에 발생가능한 대규모 지진에 대한 대책 마련의 중요성이 고조되고 있으며 세계각지에서의 대규모 지진 발생은 국내 건물의 지진에 대한 대책의 중요성을 보다 크게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어 종래의 국내 내진설계기준을 전면적으로 재평가 정립한 기준을 발표하여 시행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preparing countermeasures against large-scale earthquakes in the near future has been heightened, and the occurrence of large-scale earthquakes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has become a great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untermeasures against earthquakes in domestic buildings. The criteria for re-evaluating the standards have been announced and implemented.
한편, 1994년 미국 노스리지지진과 1995년 일본 고베지진 시에 수많은 철골구조시스템이 접합부에서 큰 손상을 입었고, 그 결과 재산손실 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건물의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 이 후 미국과 일본에서는 각각 큰 연구비를 마련하여 강진 시에도 변형능력이 우수한 철골구조접합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그 상세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개발된 접합부는 변형능력에 있어서는 매우 진보된 기술이지만 지진 후의 보수 및 보강 문제에 있어서는 만족할만한 해결책이 되지 못하였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1994 Northridge earthquake in Japan and the 1995 Kobe earthquake in 1995, numerous steel structure systems were severely damaged at the joints, resulting in property loss as well as functional failures. After that, in the US and Japan, a large research fund was set up to develop a steel structure joining system that has excellent deformability even in the case of a strong earthquake. However, the developed joint is a very advanced technology in deformation capacity, but it is not a satisfactory solution to the problem of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after earthquake.
기존 철골구조시스템에서의 용접접합부 거동을 살펴보면, 미국노스리지지진 후 철골접합부의 변형능력을 증가시키도록 힌지 소성과 강재로 보강된 접합부의 형상이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접합부는 기둥 근처의 보에서 소성힌지로 변형능력을 발휘하는데 반해, 지진 후에 보수보강 측면에서는 보가 용접으로 기둥에 접합되어져 있어 매우 불리한 상황의 접합부가 된다.The behavior of welded joints in existing steel structure systems is presented in the form of hinged joints reinforced with steel to increase the deformation capacity of steel joints after the Northridge earthquake. However, these joints exhibit deforming ability from the beam near the column to the plastic hinge, whereas in the case of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after the earthquake, the beam is welded to the column by welding, which is a very unfavorable joint.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516332호(댐퍼 접합부를 갖는 철골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건축구조물에서 기둥과 보 사이에 댐퍼 접합부가 설치되어, 상기 댐퍼 접합부가 상기 보에 가해지는 횡하중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상기 기둥에는 연결 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부착 고정되며, 상기 보의 일끝단에는 결합 플레이트가 부착 고정된다. 이때 상기 댐퍼 접합부는 그 내부 중심에 위치하는 댐퍼 몸체와; 상기 댐퍼 몸체의 일단에 부착 고정되며, 상기 기둥으로부터 일정거동확보용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 1엔드 플레이트와; 상기 댐퍼 몸체의 타단에 부착 고정되며,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 2엔드 플레이트와; 상기 댐퍼 몸체의 양 측부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부착 고정되며, 상기 횡하중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소성변형하는 한 쌍의 슬릿 플레이트 및; 상기 슬릿 플레이트의 일측부에 각각 부착 고정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기둥에 연결되는 하중전달 플레이트를 포함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16332 (a steel frame structure having a damper joint) is proposed as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ackground art, a damper joint is provided between a column and a beam in a building structure, and a connecting plate is fixedly attached to the column so as to protrude laterally so as to absorb energy of a lateral load applied to the beam, A coupling plate is attached and fixed to one end of the beam. Wherein the damper joint includes a damper body positioned at an inner center of the damper joint; A first end plate fixedly attached to one end of the damper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column at intervals for securing a predetermined behavior; A second end plate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damper body and coupled to the coupling plate; A pair of slit plates fixed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damper body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amper body and plastic deformed to absorb the lateral load energy; And a load transmission plate fixed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lit plate and connected to the column by being fastened to the connection plate.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소성 힌지로 변형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소성 응력값이 높은데 반해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고 원위치로 복귀하는 완충 능력을 발휘하기가 어렵다. 또한 용접으로 기둥에 접합되어져 해체가 용이치 않으므로 지진 후의 보수 보강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the background art exhibits a deforming ability by the plastic hinge, and it is difficult to exhibit the buffering ability of absorbing the seismic energy and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while the plastic stress value is high. In addition, since it is bonded to the column by welding, it is difficult to disassemble it, which makes it difficult to repair and reinforce it after an earthquake.
따라서 본 발명은 지진시 변형능력 및 에너지흡수능력이 우수하고 지진 이후에는 보수보강이 편리하도록 한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l joint structure having an omega-shaped steel damper which is excellent in an earthquake-deformation capability and energy-absorbing capability and is easy to repair and reinforce after an earthquake.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철골 기둥과;A steel column and;
철골 기둥에 직각 방향으로 소정의 거동확보용 간격을 두고 단부가 위치되는 철골 보와;A steel beam having an end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gap for securing a predetermined mo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eel column;
일단이 철골 보의 단부측 상부 플랜지에 일정 구간 겹쳐저 볼트 접합되고 타단이 철골 기둥의 플랜지에 볼트 접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상부연결부재와;At least one upper connecting member having one end overlapped with the upper flange on the end side of the steel beam for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bolted to the flange of the steel column at the other end;
일단이 철골 보의 단부측 하부 플랜지에 일정 구간 겹쳐저 볼트 접합되고 타단이 철골 기둥의 플랜지에 볼트 접합되어 탄소성 변형으로 저항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one or more lower connecting members, one end of which is overlapped with the lower flange at the end portion of the steel beam for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bolted to the flange of the steel column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resiliently elastically deformed.
또한, 상부연결부재는 강재로 제작되어 T자형 구조를 갖는 스플리트 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upper connecting member is made of a steel material and is formed of a split tee having a T-shaped structure.
또한, 하부연결부재는 일정한 폭을 가지고 하나의 동일한 곡률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곡률에 의해 곡면형을 이루는 탄성곡면부와, 탄성곡면부의 양단에 판상으로 연장된 날개판을 갖는 오메가 형태로서, 일측 날개판에는 기둥의 플랜지에 접합되기 위한 수직 접합판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connecting member is an omega shape having an elastic curved surface portion having a constant width and a curved surface shape by one and the same curvature or different curvatures and a blade plate extending in a plate shape at both ends of the elastic curved surface portion, Th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a vertical joint plate for joining to the flange of the column is included.
또한, 상부연결부재는 일정한 폭을 가지고 하나의 동일한 곡률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곡률에 의해 곡면형을 이루는 탄성곡면부와, 탄성곡면부의 양단에 판상으로 연장된 날개판을 갖는 오메가 형태로서, 일측 날개판에는 기둥의 플랜지에 접합되기 위한 수직 접합판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connecting member is an omega form having an elastic curved surface portion having a constant width and a curved surface shape by one and the same curvature or different curvatures and a blade plate extending in a plate shape at both ends of the elastic curved surface portion, Th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a vertical joint plate for joining to the flange of the column is included.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양쪽 플랜지에 브라켓이 설치되어 있는 철골 기둥과;A steel column having brackets on both flanges;
철골 기둥에 직각 방향으로 소정의 거동확보용 간격을 두고 단부가 위치되는 철골 보와;A steel beam having an end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gap for securing a predetermined mo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eel column;
일단이 철골 보의 단부측 상부 플랜지에 일정 구간 겹쳐저 볼트 접합되고 타단이 브라켓의 상부 플랜지를 통하여 볼트 접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상부이음부재와;One or more upper joints each having one end overlapping with the upper flange on the end side of the steel beam for a certain interval and bolted to the other end through the upper flange of the bracket;
일단이 철골 보의 단부측 하부 플랜지에 일정 구간 겹쳐저 볼트 접합되고 타단이 브라켓의 하부 플랜지를 통하여 볼트 접합되어 탄성 변형으로 저항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이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one or more lower joint members which are low-bolted at one end to the lower flange at the end portion of the steel beam and bolt-bonded at the other end to the bolt through the lower flange of the bracket to resist elastic deformation.
또하, 하나 이상의 상부이음부재는 강재로 제작되어 일정한 두께의 판상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upper joint member is made of a steel material and has a plate-like structur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또한, 하부이음부재는 일정한 폭을 가지고 하나의 동일한 곡률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곡률에 의해 곡면형을 이루는 탄성곡면부와, 탄성곡면부의 양단에 판상으로 연장된 날개판을 갖는 오메가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joint member is formed in an omega shape having an elastic curved surface portion having a constant width and a curved surface shape by one and the same curvature or different curvatures and a blade plate extending in a plate shape at both ends of the elastic curved surface portion .
또한, 상부이음부재는 일정한 폭을 가지고 하나의 동일한 곡률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곡률에 의해 곡면형을 이루는 탄성곡면부와, 탄성곡면부의 양단에 판상으로 연장된 날개판을 갖는 오메가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joint member is constituted by an omega shape having an elastic curved surface portion having a constant width and a curved surface shape by one and the same curvature or a different curvature and a blade plate extending in a plate shape at both ends of the elastic curved surface portion .
또한, 탄성곡면부가 소정의 거동확보용 간격에 대응되게 위치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resilient curved surface portion is positioned so as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motion assuring clearance.
또한, 상기 철골 기둥과 철골 보는 H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teel column and the steel frame have an H-shaped cross section.
본 발명에 따른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 구조는, 오메가 댐퍼(Ω-damper)가 삽입되어 지진 시 탄성 변위와 복원이 반복되어 변형능력 및 에너지흡수능력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모든 접합부가 볼트로 접합되어 있어 볼트와 너트를 해체하고 새로운 댐퍼만 교체하면 되므로 지진 이후에는 보수보강이 편리하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The steel joint structure having the omega-shaped steel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and energy absorption by repeating elastic displacement and restoration during an earthquake by inserting an omega damper (Ω-damper). In addition, all joints are joined with bolts, so that it is necessary to dismantle the bolts and nuts and replace the new damper.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의 분해사시도 및 접합된 정면도.
도 2a 내지 도 2e는 도 1a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지진 시 발생되는 강재 댐퍼의 거동을 살펴본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적용되는 강재 댐퍼의 압축 및 인장 응력에 따른 변위를 나타낸 이력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의 분해사시도 및 접합된 정면도.
도 6a 내지 도 6e는 도 5a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A and FIG. 1B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joined front view of a steel joint having an omega-shaped steel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E are front views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Fig. 1A. Fig.
FIGS. 3A and 3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behavior of a steel damper generated during an earthquake. FIG.
FIG. 4 is a graph showing a hysteresis curve showing displacement of a steel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compression and tensile stress. FIG.
5a and 5b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n assembled front view of a steel joint having an omega-shaped steel dam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A to 6E are front views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Fig. 5A. Fig.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은 철골 기둥에 브라켓(120)을 갖는 방식과 갖지 않는 방식에 따라 2가지 형태의 접합부 구조로 나뉘며, 각 접합부의 형태에 따라 다시 6가지의 실시 예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two types of jo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manner of having the
여기서 브라켓(120)은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철골 기둥(10)에 수직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결된 연결부재를 의미한다. 이 브라켓(120)은 철골 기둥(10)의 제작시 용접으로 접합되어 설치된다.Here, the
<제1 형태의 접합부 구조>≪ The joint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
제1 형태의 접합부 구조는 브라켓이 없는 철골 기둥(10)에 철골 보(20)를 상부연결부재(31)와 하부연결부재(40)를 매개로 접합시킨 것으로 도 1a 내지 도 2e에 다양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The joining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is obtained by joining the
도 1a 내지 도 2e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형태의 접합부 구조는 철골 기둥(10), 철골 보(20), 상부연결부재(31) 및 하부연결부재(4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A to 2E, the first type of joint structure is composed of a
즉, 철골 기둥(10)과, 철골 기둥(10)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단부가 소정의 거동확보용 간격(G)을 두고 위치되는 철골 보(20)와, 일단이 철골 보(20)의 단부측 상부 플랜지(22)에 일정 구간 겹침 접합되고 타단이 철골 기둥(10)의 일측 플랜지에 접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상부연결부재(31)와, 일단이 철골 보(20)의 단부측 하부 플랜지(23)에 일정 구간 겹침 접합되고 타단이 철골 기둥(10)의 일측 플랜지(13)에 접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하부연결부재(40)로 구성된다. 이때 접합은 복수 개의 볼트(51)와 너트(52)에 의해 이루어진다.That is, the
바람직하게 철골 기둥(10)과 철골 보(20)는 동일한 H형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철골 기둥(10)은 웨브(11) 및 좌,우측 플랜지(12)(13)를 가지며, 철골보(20)는 웨브(21) 및 상,하부 플랜지(22,23)를 갖는다.Preferably, the
상부연결부재(31)는 강재로 제작되어 T자형 구조를 갖는 스플리트 티로 구성된 것이고, 하부연결부재(40)는 일정한 폭(W1)을 가지고 하나의 동일한 곡률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곡률에 의해 곡면형을 이루는 탄성곡면부(41)와, 탄성곡면부(41)의 양단에 판상으로 연장된 날개판(42,43)을 갖는 오메가(Ω) 형태로서, 일측 날개판(42)에는 기둥(10)의 플랜지(12,13)에 접합되기 위한 수직 접합판(44)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곡면부(41)는 반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형태가 될 수 있다. The upper connecting
여기서 볼트(51)는 각 부재에 관통된 체결구멍(10a,20a,31a,40a)을 통하여 삽입된 후 너트(52)와 체결되어 조립이 이루어진다.Here, the
제1 형태의 접합부 구조는 상부연결부재(31)의 대체 수단, 하부연결부재(40)의 설치 위치 및 조합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실시된다.The joint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is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alternative means of the upper connecting
도 1a 및 도 1b는 제1 형태의 접합부 구조 중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부연결부재(31)는 스플리트 티로 구성되며, 하부연결부재(40)는 보(20)의 하부 플랜지(23) 하면에 접합시킨 것이다.1A and 1B illustrate a first embodiment of the joint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upper connecting
제1 형태의 접합부 구조를 간단히 나타내면 도 3a와 같이 상부연결부재(31)는 회전 중심으로 도시할 수 있으며, 하부연결부재(40)는 탄성곡면부(41)에 의해 스프링 형태로 도시할 수 있다.3A, the upper connecting
따라서 도 3b(가)와 같이 지진에 따른 철골 구조물(100)에 거동이 발생되면 (나)와 같이 상부연결부재(31)는 회전 중심으로 작용하고, 하부연결부재(40)는 작용 방향에 따라 인장과 압축으로 탄소성 변형하면서 수평 하중을 흡수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behavior of the
또한 지진 이후에는 상부연결부재(31)와 하부연결부재(40)가 소성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기둥(10)과 보(20)가 손상을 받지 않기 때문에, 볼트(51)와 너트(52)를 해체시켜 새로운 상부연결부재(31)와 하부연결부재(40)를 교체함으로서 보수 보강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In addition, after the earthquake, the
이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오메가 형태의 하부연결부재(40)가 지진에너지를 탄소성 변형 에너지로 전환시켜 흡수 소산시키게 되는데, 도 4와 같이 이력곡선이 나타내는 전체의 변위영역이 증가되어 철골 구조물의 접합부 손상을 억제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mega-shaped lower connecting
도 2a 내지 도 2e는 도 1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제1 형태의 접합부 구조 중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b에 설치된 하부연결부재(40)의 위치를 변경시킨 것이다. 즉, 하부연결부재(40)를 철골보(20)의 하부 플랜지(23) 하면에서 도 2a와 같이 철골 보(20)의 하부 플랜지(23) 상면에 고정 위치시켜 볼트(51)로 접합시킨 것이다. 이때 하부연결부재(40)는 웨브(21)에 대칭적으로 2개가 설치된다. 또한 하부연결부재(40)는 탄성곡면부(41)가 상향으로 볼록하도록 위치된다.Figs. 2A to 2E show various modifications of Fig. Fig. 2A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joint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which is a modification of the position of the lower connecting
도 2b는 제1 형태의 접합부 구조 중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3 실시예는 도 1b 및 도 2a의 접합 구조를 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2B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joint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third embodiment is a combination of the bonding structures of Figs. 1B and 2A.
즉, 제3 실시예는 도 2b와 같이 상부연결부재(31)의 설치 구조는 변함이 없는데 반해 철골 보(20)의 하부 플랜지(23)의 상면과 하면에 각기 하부연결부재(40)(40) 위치시켜서 볼트(51)로 접합시켜 놓은 것이다. 즉, 마주하는 복수 개의 하부연결부재(40)(40)를 철골 보(20)의 하부 플랜지(23)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위치시켜 볼트로 접합시켜 놓은 것이다. 이때 서로 마주하는 하부연결부재(40)(40) 중 상부측에 위치하는 하부연결부재는 웨브(21)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2개로 설치된다.In other words, in the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 2B,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upper connecting
도 2c는 제1형태의 접합부 구조 중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4 실시예는 도 2c와 같이 도 1b의 접합 구조에서 상부연결부재(31)를 하부연결부재(40)와 동일한 구성으로 대체한 것이다. 따라서 철골 보(20)는 상부 플랜지(22)와 하부 플랜지(23)가 각기 하부연결부재(40)(40)를 매개로 철골 기둥(10)에 볼트(51) 접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측에 위치한 하부연결부재(40)는 철골 보(20)의 상부 플랜지(22) 상면에 위치되고, 하측에 위치한 하부연결부재(40)는 철골 보(20)의 하부 플랜지(22) 하면에 위치되어 각기 볼트(51)로 접합된 것이다.2C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joint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four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2C, the upper connecting
도 2d는 제1 형태의 접합부 구조 중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d는 도 2c에 설치된 하부연결부재(40)(40)의 위치를 변경시켜 상부 플랜지(22)의 하면과 하부 플랜지(23)의 상면에 각기 볼트(51)로 접합시켜서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하부측 하부연결부재(40,40)는 웨브(21)에 대칭적으로 각기 2개로 구성된다. 따라서 철골 보(20)의 단부에는 모두 4개의 하부연결부재가 볼트(51)로 접합된다.Fig. 2D shows a fifth embodiment of the joint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2D is form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lower connecting
도 2e는 제1 형태의 접합부 구조 중 제6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6 실시예는 도 2e와 같이 도 2c와 도 2d를 조합하여 철골 보(20)의 상부 플랜지(22)와 하부 플랜지(23)를 각기 한 쌍의 하부연결부재(40,40)(40,40)를 매개로 철골 기둥(10)에 볼트(51)로 접합시켜서 구성한 것이다. 이때 철골 보(20)의 상부 플랜지(22)와 하부 플랜지(23)의 사이에 배치된 하부연결부재는 2개로서 웨브(21)에 대칭적으로 설치된다.Fig. 2E shows a sixth embodiment of the joint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ixth embodiment differs from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the
여기서 제4 내지 제6 실시예를 도시한 도 2c 내지 도 2e에서 철골 보(20)의 상부 플랜지(22) 또는 하부 플랜지(23)에 접합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연결부재(40) 중 어느 한쪽 즉,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설치된 하부연결부재(40)가 구조물의 지진에 따른 거동시 회전 중심으로 작용한다.2C to 2E showing the fourth to sixth embodiments, at least one of the lower connecting
미설명 부호 '14'는 '스티프너'이다.The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14' is a 'stiffener'.
<제2 형태의 접합부 구조>≪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
제2 형태의 접합부 구조가 도 5a 내지 도 6e에 도시되어 있다. A second type of junction structure is shown in Figures 5A-6E.
제2 형태의 접합부 구조 중 제1 실시예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접합부 구조의 분해사시도 및 정면도이다.A first embodiment of the junction structure of the second type is shown in Figs. 5A and 5B. 5A and 5B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joint structure.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0)의 좌,우 플랜지(12,13)에 각각 브라켓(120)(120)이 설치되어 있는 철골 기둥(10)과, 철골 기둥(10)에 직각 방향으로 소정의 거동확보용 간격(G')을 두고 단부가 위치되는 철골 보(20)와, 일단이 철골 보(20)의 단부측 상부 플랜지(22)에 일정 구간 겹쳐저 접합되고 타단이 브라켓(120)(120)의 상부 플랜지를 통하여 접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상부이음부재(32)와, 일단이 철골 보(20)의 단부측 하부 플랜지(23)에 일정 구간 겹쳐저 접합되고 타단이 브라켓(120)(120)의 하부 플랜지를 통하여 접합되어 탄소성 변형으로 저항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이음부재(140)로 구성된다. 이때 접합 수단은 제1 형태의 접합부 구조와 동일하게 복수 개의 볼트(51)와 너트(52)로 이루어진다.A
이때 브라켓(120)(120)과 철골 보(20)의 사이의 거동확보용 간격(G')은 나란하거나 하방으로 벌어진 형태가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상부이음부재(32)는 강재로 제작되어 일정한 두께의 판상형 구조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gap G 'for securing the behavior between the brackets 120 (120) and the
여기서 상부이음부재(32)는 브라켓(120)의 상부 플랜지를 기준으로 상면과 하면에 위치된다. 브라켓(120)의 상부 플랜지 하면측에 위치되는 상부이음부재(32)는 2개로서 웨브를 사이에 두고 설치된다. 따라서 철골 보(12)는 복수 개의 상부이음부재(32)를 매개로 브라켓(120)에 접합되어 접합강도가 증가된다.Here, the upper
하부이음부재(140)는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일정한 폭(W2)을 가지고 소정의 곡률에 의해 곡면형을 이루는 탄성곡면부(141)와, 탄성곡면부(141)의 양단에 판상으로 연장된 날개판(142,143)을 갖는 오메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이음부재(140)의 폭(W2)은 브라켓(120)의 플랜지 폭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하부이음부재(140)는 탄성곡면부(141)가 소정의 거동확보용 간격(G')에 위치되어져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5A and 5B, the lower
제1 접합부 구조에서 하부이음부재(140)는 그의 일단이 브라켓(120)의 하부 플랜지 하면에 접합되고 그의 타단이 철골 보(20)의 하부 플랜지(23)에 하면에 접합되어 있다. In the first joint structure, one end of the lower
따라서 제2 형태의 접합부 구조에서 제1 실시예는 도 3(가)(나)와 같이 제1형태의 접합부 구조와 동일한 거동이 일어난다. 즉, 지진 시 상부이음부재(32)가 회전 중심이 되고 하부이음부재(140)의 탄성곡면부(141)가 압축 및 인장으로 작용하여 지진 에너지를 흡수한다.Therefore, in the junction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behavior as that of the junction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ccurs 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A) and (B). That is, when the earthquake occurs, the upper
제2 실시예가 도 6a에 도시되어 있다. 도 6a와 같이 하부이음부재(140)는 그의 일단이 브라켓(120)의 하부 플랜지 상면에 볼트 접합되고 그의 타단이 철골 보(20)의 하부 플랜지(23) 상면에 볼트로 접합시켜 구성한 것이다. 즉, 이때 하부이음부재(140)는 2개로서 웨브(21)에 대하여 대칭으로 설치된다.A second embodiment is shown in Figure 6a. 6A, one end of the lower
제3 실시예가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도 6b는 제1 및 제2 실시 예를 조합시킨 것이다. 도 6b와 같이 복수 개의 하부이음부재(140,140)가 플랜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브라켓(120)과 철골 보(20)를 각기 볼트(51)로 접합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A third embodiment is shown in Figure 6b. 6B is a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6B, the
제4 실시예가 도 6c에 도시되어 있다. 제4 실시예는 도 5b의 상부이음부재(32)(32)에 대체하여 도 6c와 같이 하나의 하부이음부재(140)를 접합시켜서 구성한 것이다. 이때 하부연결부재(140)는 그의 일단이 브라켓(120)의 상부 플랜지 상면에 볼트(51)로 접합되고 그의 타단이 철골 보(2)의 상부 플랜지 상면에 볼트(51)로 접합된다. 이때, 브라켓(120)(120)과 철골 보(20)의 사이의 거동확보용 간격(G')은 철골 보(20) 전체 높이에 걸쳐 일정하다.A fourth embodiment is shown in Figure 6c. The fourth embodiment is constructed by joining one lower
제5 실시예가 도 6d에 도시되어 있다. 제5 실시예는 도 6c에 도시된 상하부측 하부이음부재(140)(140)의 위치를 변경시켜 도 6d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부측 하부이음부재(140)를 철골 보(20)와 브라켓(120)의 각기 상부 플랜지 하면에 볼트(51)로 접합시키고, 하부측 하부이음부재(140)를 철골 보(20)와 브라켓(120)의 각기 하부 플랜지 상면에 볼트(51)로 접합시킨 것이다.A fifth embodiment is shown in Figure 6d. The fifth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6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lower
제6 실시예가 도 6e에 도시되어 있다. 제6 실시예는 도 6c와 도 6d의 접합 구조를 조합시킨 것이다. 즉. 도 6e와 같이 철골 보(20)의 상부 플랜지(22)와 하부 플랜지(23)에 각기 마주하는 복수 개의 하부이음부재(140,140)(140,140)를 매개로 브라켓(10)에 볼트(51)로 접합시켜서 구성한 것이다.A sixth embodiment is shown in Figure 6E. The sixth embodiment is a combination of the bonding structures of Figs. 6C and 6D. In other words. The
따라서 상기한 다양한 실시예를 갖는 제2 형태의 접합부 구조는 제1 형태의 접합부 구조와 동일한 작용이 일어난다. 즉 지진에 따른 구조물의 거동시 상부이음부재(32)가 회전 중심으로 작용하고, 하부이음부재(140)는 작용 방향에 따라 인장과 압축으로 탄소성 변형하면서 수평 하중을 흡수한다. 상부이음부재(32)가 하부이음부재(14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경우 회전 중심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탄소성 변형을 병행하면서 수평 하중을 흡수한다.Therefore, the joint structure of the second type having the above-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has the same action as the joint structure of the first form. That is, the upper
또한 지진 이후에 상부이음부재(32)와 하부이음부재(140)에 소성 변형이 일어나게 되면, 볼트(51)와 너트(52)를 해체시켜 새로운 상부이음부재와 하부이음부재로 교체함으로서 보수 보강이 편리해진다.When plastic deformation occurs in the upper
이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오메가 형태의 하부연결부재(40) 또는 하부이음부재(140)가 지진에너지를 탄소성 변형 에너지로 전환시켜 흡수 소산시킴으로써 철골 구조물의 접합부 손상을 억제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볼트와 너트의 해체로 보수 보강이 용이한 철골 접합부 구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mega-shaped lower connecting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 철골 기둥
120: 브라켓
20: 철골 보
31: 상부연결부재
32: 상부이음부재
40: 하부연결부재
41: 탄성곡면부
42,43: 날개판
44: 수직 접합판
140: 하부이음부재
141: 탄성곡면부
142,143: 날개판
51: 볼트
52: 너트10: Steel column
120: Bracket
20: steel beam
31: upper connecting member
32: upper joint member
40: lower connecting member
41: elastic curved portion
42, 43:
44: Vertical joint plate
140: lower coupling member
141: elastic curved portion
142, 143:
51: Bolt
52: Nut
Claims (10)
철골 기둥(10)에 직각 방향으로 소정의 거동확보용 간격(G)을 두고 단부가 위치되는 철골 보(20)와;
일단이 철골 보(20)의 단부측 상부 플랜지에 일정 구간 겹쳐저 볼트 접합되고 타단이 철골 기둥(10)의 플랜지에 볼트 접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상부연결부재(31)와;
일단이 철골 보(20)의 단부측 하부 플랜지에 일정 구간 겹쳐저 볼트 접합되고 타단이 철골 기둥(10)의 플랜지에 볼트 접합되어 탄소성 변형으로 저항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연결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연결부재(40)는,
일정한 폭(W1)을 가지고 하나의 동일한 곡률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곡률에 의해 곡면형을 이루는 탄성곡면부(41)와, 탄성곡면부(41)의 양단에 판상으로 연장된 날개판(42,43)을 갖는 오메가 형태로서, 일측 날개판(42)에는 기둥(10)의 플랜지에 접합되기 위한 수직 접합판(44)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 구조.A steel column 10;
A steel beam beam (20) having an end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gap (G) for securing a predetermined mo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eel column (10);
At least one upper connecting member (31), one end of which is overlapped with the upper flange of the end portion of the steel beam (20) at a certain interval and bolted to the flange of the steel column (10), and the other end is bolted to the flange of the steel column (10);
And one or more lower connecting members (40) one end of which is low-bolted to an end-side lower flange of the steel beam (20) at a certain interval and bolted to the flange of the steel column (10) ,
The lower connecting member (40)
An elastic curved surface portion 41 having a curved surface shape having a constant width W1 and different curvatures at one and the same curvature or more and a wing plate 42 and 43 extending in a plate shape at both ends of the elastic curved surface portion 41 , Wherein one wing plate (42) includes a vertical joint plate (44) for joining to the flange of the column (10).
상부연결부재(31)는 강재로 제작되어 T자형 구조를 갖는 스플리트 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 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joint member (31) is made of a steel material and is made of a split tee having a T-shaped structure.
상부연결부재(31)는,
일정한 폭(W1)을 가지고 하나의 동일한 곡률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곡률에 의해 곡면형을 이루는 탄성곡면부(41)와, 탄성곡면부(41)의 양단에 판상으로 연장된 날개판(42,43)을 갖는 오메가 형태로서, 일측 날개판(42)에는 기둥(10)의 플랜지에 접합되기 위한 수직 접합판(44)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 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connecting member (31)
An elastic curved surface portion 41 having a curved surface shape having a constant width W1 and different curvatures at one and the same curvature or more and a wing plate 42 and 43 extending in a plate shape at both ends of the elastic curved surface portion 41 , Wherein one wing plate (42) includes a vertical joint plate (44) for joining to the flange of the column (10).
철골 기둥(10)에 직각 방향으로 소정의 거동확보용 간격(G')을 두고 단부가 위치되는 철골 보(20)와;
일단이 철골 보(20)의 단부측 상부 플랜지에 일정 구간 겹쳐저 볼트 접합되고 타단이 브라켓(120)(120)의 상부 플랜지를 통하여 볼트 접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상부이음부재(32)와;
일단이 철골 보(20)의 단부측 하부 플랜지에 일정 구간 겹쳐저 볼트 접합되고 타단이 브라켓(120)(120)의 하부 플랜지를 통하여 볼트 접합되어 탄소성 변형으로 저항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이음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 구조.A steel column 10 on which brackets 120 and 120 are installed on both flanges;
A steel beam beam (20) having an end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gap (G ')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eel column (10);
One or more upper joints (32) one end of which is low-bolted to an upper end flange of an end portion of the steel beam (20) and the other end is bolted to an upper flange of the brackets (120)
One or more lower joint members 140 (one of which is low-bolt-joined at one end to the end-side lower flange of the steel beam 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bolted to the other end at the lower flange of the brackets 120 The steel joint structure has an omega-shaped steel damper.
하나 이상의 상부이음부재(32)는 강재로 제작되어 일정한 두께의 판상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 구조.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t least one upper joint member (32) is made of a steel material and has a plate-like structure with a constant thickness.
하부이음부재(140)는,
일정한 폭(W2)을 가지고 하나의 동일한 곡률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곡률에 의해 곡면형을 이루는 탄성곡면부(141)와, 탄성곡면부(141)의 양단에 판상으로 연장된 날개판(142,143)을 갖는 오메가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 구조.The method of claim 5,
The lower coupling member 140,
An elastic curved surface portion 141 having a curved surface shape having a constant width W2 and a different curvature at the same curvature or more and blade plates 142 and 143 extending in a plate shape at both ends of the elastic curved surface portion 141 Wherein the omega-shaped steel damper is formed in an omega-shaped structure.
상부이음부재(32)는,
일정한 폭(W2)을 가지고 하나의 동일한 곡률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곡률에 의해 곡면형을 이루는 탄성곡면부(141)와, 탄성곡면부(141)의 양단에 판상으로 연장된 날개판(142,143)을 갖는 오메가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 구조. The method of claim 7,
The upper joint member (32)
An elastic curved surface portion 141 having a curved surface shape having a constant width W2 and a different curvature at the same curvature or more and blade plates 142 and 143 extending in a plate shape at both ends of the elastic curved surface portion 141 Wherein the omega-shaped steel damper is formed in an omega-shaped structure.
탄성곡면부(141)가 거동확보용 간격(G')에 대응되게 위치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 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And the resilient curved surface portion (141) is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gap (G ') for ensuring the behavior.
철골 기둥(10)과 철골 보(20)는 H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 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the steel column (10) and the steel beam (20) have an H-shaped cross s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1693A KR101403230B1 (en) | 2012-09-13 | 2012-09-13 | Steel frame connection structure having steel damper of omega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1693A KR101403230B1 (en) | 2012-09-13 | 2012-09-13 | Steel frame connection structure having steel damper of omega ty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5166A KR20140035166A (en) | 2014-03-21 |
KR101403230B1 true KR101403230B1 (en) | 2014-06-02 |
Family
ID=50645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1693A Expired - Fee Related KR101403230B1 (en) | 2012-09-13 | 2012-09-13 | Steel frame connection structure having steel damper of omega ty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323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1048B1 (en) | 2023-06-12 | 2023-12-07 | 주식회사 에이블빌더스 | Seismic Reinforcement Member Joint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672519A (en) * | 2016-03-25 | 2016-06-15 |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 Replaceable shearing type corrugated web energy dissipation connection beam |
CN106567457B (en) * | 2016-11-10 | 2018-01-02 | 同济大学 | A kind of energy-dissipation beam column node for construction steel structure |
CN107675802B (en) * | 2017-08-29 | 2019-05-24 | 山东金宇杭萧装配建筑有限公司 | Assembled architecture steel structure earthquake-resistant nod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1877942B1 (en) * | 2017-11-29 | 2018-07-12 | 김진영 | Beam-column connection |
CN107842242A (en) * | 2017-12-01 | 2018-03-27 | 贵州精正检测有限公司 | Steel structure earthquake-resistant frame structure and steel construction assembled anti-knock building |
CN108316471B (en) * | 2017-12-29 | 2019-10-11 | 国核电力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 A kind of beam-column hinged connecting node |
CN109469337A (en) * | 2018-12-19 | 2019-03-15 | 北京首钢建设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frame roof girder steel utilizes the installation method of flange plate end fission |
CN110565807A (en) * | 2019-09-19 | 2019-12-13 | 福州大学 | Adopt node structure of buckled plate increase structure anti ability of collapsing |
CN114991551B (en) * | 2022-05-25 | 2023-06-06 | 陕西建工第九建设集团有限公司 | A prefabricated multi-stage energy-dissipating self-resetting beam-column joint |
CN114922326B (en) * | 2022-06-20 | 2023-05-12 | 燕山大学 | Movable self-resetting floor system structure system suitable for beam end self-resetting node |
CN114941381B (en) * | 2022-06-22 | 2023-07-28 | 方圆建设集团有限公司 | Assembled bracing energy dissipation beam column connecting device |
CN115262779B (en) * | 2022-09-01 | 2023-10-03 | 江苏华木空间结构有限公司 | Fabricated steel structure connecting piece, connecting node and connecting node construction method |
CN116254962A (en) * | 2022-09-08 | 2023-06-13 | 同济大学 | A corrugated steel plate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frame structures against earthquakes and progressive collapse |
CN115637781B (en) * | 2022-11-15 | 2023-07-18 | 四川省建筑科学研究院有限公司 | Energy dissipation recoverable steel structure beam column joint and assembly method thereof |
CN116201232A (en) * | 2023-04-06 | 2023-06-02 | 青岛理工大学 | A new type of prefabricated staged energy consumption combined nod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78108A (en) * | 2010-12-31 | 2012-07-10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A device for coupling beam on column |
-
2012
- 2012-09-13 KR KR1020120101693A patent/KR10140323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78108A (en) * | 2010-12-31 | 2012-07-10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A device for coupling beam on colum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1048B1 (en) | 2023-06-12 | 2023-12-07 | 주식회사 에이블빌더스 | Seismic Reinforcement Member Joint Device |
KR102703652B1 (en) | 2023-06-12 | 2024-09-05 | 주식회사 에이블빌더스 | Seismic Reinforcement Member Joint Device To Minimize Strain Transf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5166A (en) | 2014-03-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3230B1 (en) | Steel frame connection structure having steel damper of omega type | |
JP4861067B2 (en) | Steel frame | |
KR101305882B1 (en) | Parallel shear walls of buildings | |
CN102859097B (en) | Vibration damping metal sheet and building construction | |
CN106401021B (en) | Prefabricated concrete slotted shear wall | |
KR20130139627A (en) | Steel plate shear wall structure using block assembly | |
JP5787534B2 (en) | Seismic structure | |
KR102085478B1 (en) | Buckling-Restrained Braces of higher deformation mode type | |
KR101439744B1 (en) | Coupling structure for beam to column connection | |
KR100995937B1 (en) | A seismic retrofit system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 |
KR101406485B1 (en) | Coupling structure and method for beam to column connection | |
KR101372087B1 (en) | Strengthen method for steel frame structure using seismic control device | |
KR101344813B1 (en) | Coupling structure and method for beam to column connection | |
KR101329420B1 (en) | Energy dissipation system of vertical slit shear wall | |
KR101844645B1 (en) | Panel assembly for absorption of lateral load | |
JP5132503B2 (en) | Seismic structure and building | |
JP5967438B2 (en) | Brac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 |
KR101612106B1 (en) | Safety soundproof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JP7228344B2 (en) | Joint structure of reinforced concrete frame and brace and precast member | |
KR101487134B1 (en) | Cantilever Type Vibration Control Device Using Bearings | |
JP3931944B2 (en) | Damping damper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 |
KR101299574B1 (en) | Moment connection structure using panel zone of rectangular shape | |
KR101209367B1 (en) | Post reinforcing structure for buckling of braces in the steel moment connection frame | |
KR101259247B1 (en) | Damping type structure | |
KR20200065414A (en) | Joint damper structure and joint structure for beam to column conn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