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912B1 -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 Google Patents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912B1
KR101480912B1 KR20120119363A KR20120119363A KR101480912B1 KR 101480912 B1 KR101480912 B1 KR 101480912B1 KR 20120119363 A KR20120119363 A KR 20120119363A KR 20120119363 A KR20120119363 A KR 20120119363A KR 101480912 B1 KR101480912 B1 KR 101480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urrent
burner
flame
upper li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19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3457A (ko
Inventor
주기동
이정민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119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912B1/ko
Publication of KR20140053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점화가 이루어지면 현재 가스 공급량과 공기 공급량에 대한 연소량 제어 값(Qi)에 따른 불꽃의 기준온도(Ti)를 산출하는 단계와; 버너의 불꽃부에 설치한 온도센서를 통해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현재 불꽃온도(Tx)가 기준온도(Ti)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불꽃온도(Tx)가 기준온도(Ti)보다 높으면 제어부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불꽃온도(Tx)가 기준온도(Ti)보다 낮거나 같으면 제어부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거나 또는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으면 가스밸브를 닫고 송풍팬을 정지시켜 버너의 연소를 안전정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보일러의 버너에서 연소가 진행될 때 불꽃의 온도변화를 통해 불완전 연소상태를 빠른 시간 내에 확인하고 그에 대응하는 필요 조치를 빠른 시간내에 취할 수 있어 유해성 가스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Method for preventing incomplete combustion of boiler using temperature sensor}
본 발명은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일러의 버너에 불꽃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연소중 불꽃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연소량에 따른 불꽃의 기준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상,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c),(Td)의 경계 라인을 넘으면 송풍팬 회전수 조절을 통해 공기량을 조절하여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며, 송풍팬의 회전수를 최대 및 최소로 조절하여 공기량을 증가 및 감소 조절 후에도 연소량에 따른 불꽃의 기준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한 결과 상,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c),(Td))의 경계 라인을 넘으면 가스량을 조절하여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고, 송풍팬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공기량을 조절 및 가스량을 조절 후에도 연소량에 따른 불꽃의 기준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보정 상한치 온도(Ta) 및 보정 하한치 온도(Tb)의 경계 라인을 벗어나면 보일러를 안전 정지하며, 송풍팬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공기량 및 가스량을 조절과 관계없이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 및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의 경계 라인을 벗어나면 보일러를 무조건 안전정지(즉, 버너의 연소를 정지)하는 방식을 통해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여, 유해성 가스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Boiler)는, 석유나 석탄 및 가스 등을 연료로 사용하여 이를 연소시키거나 히터에 전기를 공급시켜 발생되는 연소열 및 전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여 각종 난방시설 등에 더운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을 끓이는 시설을 말하며, 주택용 보일러의 경우에는 실내의 바닥 등에 설치된 배관에 더운물을 공급하여 난방을 하거나, 급수관을 통해 온수의 공급 등에 사용되어 지고 있다.
통상 난방/온수 겸용 보일러에서 난방모드가 작동되면 순환펌프가 작동되어 난방수가 이송되고, 난방수는 주열교환기에서 가열되어 3방밸브를 거쳐 다수의 방으로 이루어진 난방부하(즉, 난방배관)로 이송되어 난방이 이루어진다.
또한, 온수의 공급은 3방밸브에서 난방부하 측으로 연결되는 경로를 차단하고 급탕열교환기 측으로 연결되는 경로를 개방시켜 주열교환기에서 데워진 난방수를 급탕열교환기측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급탕열교환기에서 직수와 난방수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져 온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 보일러에서도 공기공급량 대비 가스공급량이 맞지 않는 등의 원인으로 버너에서 발생되는 불완전 연소를 검출하여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다양하게 제시된 바 있다.
즉, 종례에도 송풍팬의 전류를 이용하여 송풍팬의 회전수를 보정하는 방법도 있고, 또 연소생성물을 검출하는 방법 예를 들어, CO센서나 O2센서 등을 이용한 방법 등 다양하게 불완전 연소를 검출하여 안전상 문제가 될 것으로 판단되면 연소를 정지하게 하는 기술 등은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다.
그런데, 이들의 공동적인 문제점은 불완전 연소를 검출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일정부분은 유해가스가 상당부분 발생된 후, 연소가 정지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8-081138호(1998년 11월 25일)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특0134136호(1995년 12월 29일)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8-041739호(1998년 08월 17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보일러의 버너 주변에 불꽃의 온도를 직접 검출할 수 있는 불꽃온도 검출용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연소중 불꽃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불꽃의 온도와 현재 공급되고 있는 가스 및 공기공급량에 의해 결정되는 연소량에 따른 불꽃의 기준온도를 상호 비교하여 현재 버너의 불꽃 온도가 상,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c),(Td)의 경계 라인을 넘으면 송풍팬 회전수 조절을 통해 공기량을 조절하여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며, 송풍팬의 회전수를 최대 및 최소로 조절하여 공기량을 증가 및 감소 조절 후에도 연소량에 따른 불꽃의 기준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한 결과 상,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c),(Td))의 경계 라인을 넘으면 가스량을 조절하여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고, 송풍팬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공기량을 조절 및 가스량을 조절 후에도 연소량에 따른 불꽃의 기준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보정 상한치 온도(Ta) 및 보정 하한치 온도(Tb)의 경계 라인을 벗어나면 보일러를 안전 정지하며, 송풍팬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공기량 및 가스량을 조절과 관계없이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 및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의 경계 라인을 벗어나면 보일러를 무조건 안전정지시켜 줌으로써 불꽃의 온도변화를 통해 불완전 연소상태를 빠른 시간 내에 확인하고 그에 대응하는 필요 조치를 빠른 시간 내에 취할 수 있어 유해성 가스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어부의 연소지시에 따라 점화가 이루어지면 현재 가스밸브를 통한 가스 공급량과 송풍팬의 회전수 대비 공기 공급량에 대한 연소량 제어 값(Qi)에 따른 불꽃의 기준온도(Ti)를 산출하는 단계와; 버너의 불꽃부에 설치한 온도센서를 통해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현재 불꽃온도(Tx)가 기준온도(Ti)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불꽃온도(Tx)가 기준온도(Ti)보다 높으면 제어부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불꽃온도(Tx)가 기준온도(Ti)보다 낮거나 같으면 제어부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거나 또는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으면 가스밸브를 닫고 송풍팬을 정지시켜 버너의 연소를 안전정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에서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와 현재 불꽃온도(Tx)를 상호 비교한 결과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거나 같으면, 제어부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상한치 보정 개시 온도(Tc)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은지를 판단하여, 만약 상한치 보정 개시 온도(Tc)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거나 같으면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와 현재 불꽃온도(Tx)를 상호 비교한 결과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거나 같으면, 제어부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d)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은지를 판단하여, 만약 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d)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거나 같으면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상한치 보정 개시 온도(Tc)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은지를 판단한 결과 상한치 보정 개시 온도(Tc)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으면, 현재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인지를 판단하여 최대 회전수가 아니면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공기의 공급량이 정해진 값(+β)만큼 증가하도록 송풍팬의 회전수를 증대시키고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이면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최소치인지를 판단하여 최소치가 아니면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의 공급량이 정해진 값(-α)만큼 감소되도록 가스밸브를 제어하고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d)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은지를 판단한 결과 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d)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으면, 현재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인지를 판단하여 최소 회전수가 아니면,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공기의 공급량이 정해진 값(-β)만큼 감소되도록 송풍팬의 회전수를 감소시키고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이면,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최대치인지를 판단하여 최대치가 아니면,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의 공급량이 정해진 값(+α)만큼 증대되도록 가스밸브를 제어하고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에서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대인 상태에서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최소치인지를 판단한 결과 최소치이면, 제어부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보정 상한치 온도(Ta)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은지를 판단하여, 만약 보정 상한치 온도(Ta)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거나 같으면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고, 보정 상한치 온도(Ta)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으면 가스밸브를 닫고 송풍팬을 정지시켜 버너의 연소를 안전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소인 상태에서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최대치인지를 판단한 결과 최대치이면, 제어부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보정 하한치 온도(Tb)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은지를 판단하여, 만약 보정 상한치 온도(Tb)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거나 같으면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고, 보정 상한치 온도(Tb)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으면 가스밸브를 닫고 송풍팬을 정지시켜 버너의 연소를 안전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에서 가스의 공급량을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정해진 값(±α)은 현재 공급되고 있는 가스량 대비 ±5∼10% 범위 내에서 설정하고, 공기의 공급량을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정해진 값(±β)은 현재 공급되고 있는 공기량 대비 ±10∼15% 범위 내에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버너의 주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는 불꽃의 온도를 300℃~700℃ 범위 내에서 측정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한 및 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c)(Td)는 연소성을 판단하여 CO농도가 500ppm 이하가 되는 곳으로, 상기 보정 상한치 온도(Ta)와 보정 하한치 온도(Tb)는 연소성을 판단하여 CO농도가 1,000ppm 이하가 되는 곳으로, 상기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 및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는 연소성을 판단하여 CO농도가 1,500ppm 이하가 되는 곳으로 시험을 통해 산정하여 세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에 의하면, 보일러의 버너 주변에 불꽃의 온도를 직접 검출할 수 있는 불꽃온도 검출용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연소중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불꽃의 온도를 계속 측정하고,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불꽃의 온도와 현재 공급되고 있는 가스 및 공기공급량에 의해 결정되는 연소량에 따른 불꽃의 기준온도를 상호 비교하여 현재 버너의 불꽃 온도가 상,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c),(Td)의 경계 라인을 넘으면 송풍팬 회전수 조절을 통해 공기량을 조절하여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며, 송풍팬의 회전수를 최대 및 최소로 조절하여 공기량을 증가 및 감소 조절 후에도 연소량에 따른 불꽃의 기준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한 결과 상,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c),(Td))의 경계 라인을 넘으면 가스량을 조절하여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고, 송풍팬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공기량을 조절 및 가스량을 조절 후에도 연소량에 따른 불꽃의 기준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보정 상한치 온도(Ta) 및 보정 하한치 온도(Tb)의 경계 라인을 벗어나면 보일러를 안전 정지하며, 송풍팬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공기량 및 가스량을 조절과 관계없이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 및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의 경계 라인을 벗어나면 보일러를 무조건 안전정지시켜 줌으로써 불꽃의 온도변화를 통해 불완전 연소상태를 빠른 시간 내에 확인하고 그에 대응하는 필요 조치를 빠른 시간 내에 취할 수 있어 유해성 가스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개략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 방법에서 적용한 연소량 별 불꽃의 기준온도 대비 임의로 설정한 각종 온도 관계를 비교한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개략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방법에서 적용한 연소량 별 불꽃의 기준온도 대비 임의로 설정한 각종 온도 관계를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방법은,
보일러 내 제어부(1)의 연소지시에 따라 점화가 이루어지면 현재 가스밸브(2)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 공급량과 송풍팬(3)의 회전수에 대응하여 공급되는 공기 공급량에 대한 연소량 제어 값(Qi)에 따른 불꽃의 기준온도(Ti)를 산출하는 단계(S1)와;
버너의 불꽃부에 설치한 온도센서(4)를 통해 버너의 불꽃온도(Tx)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단계(S2)와;
상기에서 검출한 현재 불꽃온도(Tx)가 기준온도(Ti)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3)와;
현재 불꽃온도(Tx)가 기준온도(Ti)보다 높으면(S3에서 Yes) 제어부(1)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4)와;
현재 불꽃온도(Tx)가 기준온도(Ti)보다 낮거나 같으면(S3에서 No) 제어부(1)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5)와;
상기에서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거나(S4에서 Yes) 또는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으면(S5에서 Yes) 가스밸브(2)를 닫고 송풍팬(3)의 구동을 정지시켜 버너의 연소를 안전정지시키는 단계(S1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 단계(S4)에서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와 현재 불꽃온도(Tx)를 상호 비교한 결과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거나 같으면(S4에서 No), 제어부(1)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상한치 보정 개시 온도(Tc)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은지를 판단(S6)하여, 만약 상한치 보정 개시 온도(Tc)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거나 같으면(S6에서 No)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단계(S5)에서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와 현재 불꽃온도(Tx)를 상호 비교한 결과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거나 같으면(S5에서 No), 제어부(1)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d)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은지를 판단(S7)하여, 만약 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d)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거나 같으면(S7에서 No)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S6)에서 상한치 보정 개시 온도(Tc)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은지를 판단한 결과 상한치 보정 개시 온도(Tc)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으면(S6서 Yes), 현재 송풍팬(3)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인지를 판단(S8)하여 최대 회전수가 아니면(S8에서 No)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공기의 공급량이 정해진 값(+β)만큼 증가하도록 송풍팬(3)의 회전수를 증대시키고(S9)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가는 단계와;
상기 단계(S8)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S8에서 Yes)이면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최소치인지를 판단(S10)하여 최소치가 아니면(S10에서 No)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의 공급량이 정해진 값(-α)만큼 감소되도록 가스밸브(2)를 제어하고(S11)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단계(S7)에서 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d)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은지를 판단한 결과 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d)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으면(S7에서 Yes), 현재 송풍팬(3)의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인지를 판단(S12)하여 최소 회전수가 아니면(S12에서 No),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공기의 공급량이 정해진 값(-β)만큼 감소되도록 송풍팬(3)의 회전수를 감소시키고(S13)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가는 단계와;
상기 단계(S12)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이면(S12에서 Yes),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최대치인지를 판단(S14)하여 최대치가 아니면(S14에서 No),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의 공급량이 정해진 값(+α)만큼 증대되도록 가스밸브(2)를 제어하고(S15)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에서 송풍팬(3)의 회전수가 최대인 상태에서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최소치인지를 판단한 결과 최소치이면(S10에서 Yes), 제어부(1)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보정 상한치 온도(Ta)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은지를 판단(S16)하여, 만약 보정 상한치 온도(Ta)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거나 같으면(S16에서 No)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가고, 보정 상한치 온도(Ta)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으면(S16에서 Yes) 가스밸브(2)를 닫고 송풍팬(3)의 구동을 정지시켜 버너의 연소를 안전정지시키는 단계(S18);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송풍팬(3)의 회전수가 최소인 상태에서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최대치인지를 판단한 결과 최대치이면(S14에서 Yes), 제어부(1)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보정 하한치 온도(Tb)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은지를 판단(S17)하여, 만약 보정 상한치 온도(Tb)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거나 같으면(S17에서 No)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가고, 보정 상한치 온도(Tb)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으면(S17에서 Yes) 가스밸브(2)를 닫고 송풍팬(3)의 구동을 정지시켜 버너의 연소를 안전정지시키는 단계(S18);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에서 가스의 공급량을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정해진 값(±α)은 현재 공급되고 있는 가스량 대비 ±5∼10% 범위 내에서 설정하고, 공기의 공급량을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정해진 값(±β)은 현재 공급되고 있는 공기량 대비 ±10∼15% 범위 내에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버너의 주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4)는 불꽃의 온도를 300℃~700℃ 범위 내에서 측정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한 및 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c)(Td)는 연소성을 판단하여 CO농도가 500ppm 이하가 되는 곳으로, 상기 보정 상한치 온도(Ta)와 보정 하한치 온도(Tb)는 연소성을 판단하여 CO농도가 1,000ppm 이하가 되는 곳으로, 상기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 및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는 연소성을 판단하여 CO농도가 1,500ppm 이하가 되는 곳으로 시험을 통해 산정하여 세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 방법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 내 제어부(1)에서는 사용자가 난방 스위치를 "온"시키거나 온수 사용으로 인해 수류 스위치에서 온수사용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스파커에 구동신호를 출력함은 물론 송풍팬(3) 및 가스밸브(2)에 사용자의 난방 또는 온수 설정온도에 대응하는 제어신호 등을 출력하는 연소지시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어부(1)의 연소지시신호에 대응하여 버너에서 점화가 이루어진 후 프레임 로드(5)를 통해 정상연소에 따른 염 검지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가스밸브(2)를 통해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 공급량과 송풍팬(3)의 회전수에 대응하여 버너로 공급되는 공기 공급량에 따른 연소량 제어 값(Qi)을 산출한 다음 상기에서 산출된 연소량 제어 값(Qi)에 따라 불꽃에서 발생되어야 할 기준온도(Ti)를 산출하게 된다(S1).
이어서 버너의 주변에 설치된 온도센서(4)를 통해 실제 버너의 불꽃온도(Tx)를 실시간으로 검출(S2)한 다음, 상기 온도센서(4)를 통해 검출한 현재 불꽃온도(Tx)가 상기에서 산출한 기준온도(Ti)보다 높은지를 판단하게 된다(S3).
이때, 상기 버너의 주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4)는 고온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버너에서 연소중 발생되는 불꽃의 온도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불꽃의 온도를 300℃~700℃ 범위 내에서 측정이 용이한 위치를 설정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온도센서(4)를 통해 검출되는 현재 불꽃온도(Tx)가 상기에서 산출한 기준온도(Ti)보다 높은지를 판단(S3)한 결과, 현재 불꽃온도(Tx)가 기준온도(Ti)보다 높으면(S3에서 Yes), 상기 제어부(1)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은지를 판단하게 된다(S4).
또한, 상기와 같이 온도센서(4)를 통해 검출되는 현재 불꽃온도(Tx)가 상기에서 산출한 기준온도(Ti)보다 높은지를 판단(S3)한 결과, 현재 불꽃온도(Tx)가 기준온도(Ti)보다 낮거나 같으면(S3에서 No), 상기 제어부(1)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은지를 판단하게 된다(S5).
그러나, 상기에서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거나(S4에서 Yes) 또는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으면(S5에서 Yes) 현재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량 또는 공기량에 무관하게 이미 현재 불꽃온도(Tx)가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보다 높거나 또는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보다 낮은 상태이므로 가스밸브(2)를 닫고 송풍팬(3)의 구동을 정지시켜 버너의 연소를 안전정지(S18)시켜 불완전 연소로 인한 유해성 가스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현재 버너의 불꽃온도(Tx)가 기준온도(Ti)보다 높게 되는 이유는, 가스밸브(2)나 노즐 등과 같은 가스공급 관련 부품에 이상이 있거나 가스압 자체가 기준압보다 높은 상태로 공급되는 등의 이유로 가스 공급량이 기준량보다 많은 경우, 또는 송풍팬(3) 등에 이상이 발생되어 공기의 공급량이 기준량보다 적어 발생되는 경우이다.
또, 현재 버너의 불꽃온도(Tx)가 기준온도(Ti)보다 낮게 되는 이유는, 가스밸브(2)나 노즐 등과 같은 가스공급 관련 부품에 이상이 있거나 가스압 자체가 기준압보다 낮은 상태로 공급되는 등의 이유로 가스 공급량이 전술과 반대로 기준량보다 적은 경우, 또는 송풍팬(3) 등에 이상이 발생되어 공기의 공급량이 기준량보다 많은 경우이다.
이때, 상기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 및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는 많은 시험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의 연소성을 판단하여 CO농도가 1,500ppm 이하가 되는 곳으로 산정/세팅한 온도 값이다.
한편, 상기 단계(S4)에서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와 현재 불꽃온도(Tx)를 상호 비교한 결과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거나 같으면(S4에서 No), 제어부(1)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상한치 보정 개시 온도(Tc)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은지를 판단(S6)하여, 만약 상한치 보정 개시 온도(Tc)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거나 같으면(S6에서 No) 별도의 가스량 및 공기량 변경 제어를 하지 않고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가게 된다.
또, 상기 단계(S5)에서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와 현재 불꽃온도(Tx)를 상호 비교한 결과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거나 같으면(S5에서 No), 제어부(1)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d)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은지를 판단(S7)하여, 만약 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d)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거나 같으면(S7에서 No) 이 역시 별도의 가스량 및 공기량 변경 제어를 하지 않고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때, 상기 상한 및 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c)(Td)는 많은 시험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의 연소성을 판단하여 배기가스의 CO농도가 500ppm 이하가 되는 곳으로 산정/세팅한 온도 값이다.
또한, 상기 단계(S6)에서 상한치 보정 개시 온도(Tc)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은지를 판단한 결과 상한치 보정 개시 온도(Tc)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으면(S6서 Yes), 1차적으로 현재 송풍팬(3)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인지를 판단한다.
또, 상기와 같이 현재 송풍팬(3)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인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송풍팬(3)의 현재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가 아니면(S8에서 No), 먼저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공기의 공급량이 정해진 값(+β)만큼 증가하도록 송풍팬(3)의 회전수를 증대시키고(S9)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상기 단계(S8)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S8에서 Yes)이면 2차적으로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최소치인지를 판단(S10)하여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량이 최소치가 아니면(S10에서 No),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의 공급량이 정해진 값(-α)만큼 감소되도록 가스밸브(2)를 제어하고(S11)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단계(S7)에서 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d)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은지를 판단한 결과 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d)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으면(S7에서 Yes), 1차적으로 현재 송풍팬(3)의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인지를 판단한다(S12).
또, 상기와 같이 현재 송풍팬(3)의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인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송풍팬(3)의 현재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가 아니면(S12에서 No), 먼저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공기의 공급량이 정해진 값(-β)만큼 감소되도록 송풍팬(3)의 회전수를 감소시키고(S13)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상기 단계(S12)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이면(S12에서 Yes), 2차적으로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최대치인지를 판단(S14)하여 최대치가 아니면(S14에서 No),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의 공급량이 정해진 값(+α)만큼 증대되도록 가스밸브(2)를 제어하고(S15)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간다.
이때, 상기에서 공기의 공급량을 1회씩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정해진 값(±β)은 송풍팬(3)의 특성을 감안하여 시험한 결과 현재 공급되고 있는 공기량 대비 ±10∼15%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였고, 가스의 공급량을 1회씩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정해진 값(±α) 역시 사용 가스의 연소량 등을 감안하여 실험을 통해 살펴본 결과 현재 공급되고 있는 가스량 대비 ±5∼10%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한편, 상기 단계(S8)에서 판단한 결과 송풍팬(3)의 회전수가 최대인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최소치인지를 판단(S10)한 결과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량이 최소치이면(S10에서 Yes), 상기 제어부(1)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보정 상한치 온도(Ta)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은지를 판단한다(S16).
그 결과, 만약 보정 상한치 온도(Ta)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거나 같으면(S16에서 No) 가스 및 공기량을 조절하지 않고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가고, 보정 상한치 온도(Ta)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으면(S16에서 Yes) 불완전 연소로 인한 유해성 가스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스밸브(2)를 닫고 송풍팬(3)의 구동을 정지시켜 버너의 연소를 안전정지시키게 된다(S18).
또한, 상기 단계(S12)에서 판단한 결과 송풍팬(3)의 회전수가 최소인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최대치인지를 판단(S14)한 결과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량이 최대치이면(S4에서 Yes), 상기 제어부(1)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보정 하한치 온도(Tb)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은지를 판단한다(S17).
그 결과, 만약 보정 상한치 온도(Tb)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거나 같으면(S17에서 No), 가스 및 공기량을 조절하지 않고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가고, 보정 상한치 온도(Tb)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으면(S17에서 Yes) 불완전 연소로 인한 유해성 가스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스밸브(2)를 닫고 송풍팬(3)의 구동을 정지시켜 버너의 연소를 안전정지시키는 된다(S18).
이때, 상기 보정 상한치 온도(Ta)와 보정 하한치 온도(Tb)는 많은 시험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의 연소성을 판단하여 CO농도가 1,000ppm 이하가 되는 곳으로 산정/세팅한 온도 값이다.
상기에서 연소중인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의 공급량을 정해진 값(±α)만큼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과정, 또는 공기의 공급량을 정해진 값(±β)만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과정은, 상기 온도센서(4)에서 검출되는 불꽃의 실제 온도(즉, Tx)가 기준온도(Ti)를 중심으로 하여 보정 상한치 온도(Ta)와 보정 하한치 온도(Tb) 사이를 유지(즉, 버너의 불꽃온도(Tx)가 기준온도(Ti)를 중심으로 하여 보정 상한치 온도(Ta)보다는 낮고 보정 하한치 온도(Tb)보다는 높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버너에서 연소가 진행되고 있는 동안 계속해서 반복 수행된다.
따라서, 보일러의 버너에서 연소가 진행될 때 불꽃의 온도변화를 통해 불완전 연소상태를 빠른 시간 내에 확인하고 그에 대응하는 필요 조치를 빠른 시간내에 취할 수 있어 유해성 가스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제어부
2 : 가스밸브
3 : 송풍팬
4 : 온도센서
5 : 프레임 로드

Claims (13)

  1. 제어부의 연소지시에 따라 점화가 이루어지면 현재 가스밸브를 통한 가스 공급량과 송풍팬의 회전수 대비 공기 공급량에 대한 연소량 제어 값(Qi)에 따른 불꽃의 기준온도(Ti)를 산출하는 단계와;
    버너의 불꽃부에 설치한 온도센서를 통해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와;
    현재 불꽃온도(Tx)가 기준온도(Ti)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불꽃온도(Tx)가 기준온도(Ti)보다 높으면 제어부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불꽃온도(Tx)가 기준온도(Ti)보다 낮거나 같으면 제어부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거나 또는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으면 가스밸브를 닫고 송풍팬을 정지시켜 버너의 연소를 안전정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 및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는 가스의 연소성을 판단하여 CO농도가 1,500ppm 이하가 되는 곳으로 시험을 통해 산정하여 세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와 현재 불꽃온도(Tx)를 상호 비교한 결과 강제 정지 상한치 온도(Te)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거나 같으면, 제어부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상한치 보정 개시 온도(Tc)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은지를 판단하여, 만약 상한치 보정 개시 온도(Tc)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거나 같으면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와 현재 불꽃온도(Tx)를 상호 비교한 결과 강제 정지 하한치 온도(Tf)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거나 같으면, 제어부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d)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은지를 판단하여, 만약 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d)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거나 같으면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한치 보정 개시 온도(Tc) 및 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d)는 연소성을 판단하여 CO농도가 500ppm 이하가 되는 곳으로 시험을 통해 산정하여 세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한치 보정 개시 온도(Tc)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은지를 판단한 결과 상한치 보정 개시 온도(Tc)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으면,
    현재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인지를 판단한 결과 최대 회전수가 아니면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공기의 공급량이 정해진 값(+β)만큼 증가하도록 송풍팬 회전수를 증대시키고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와;
    현재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인지를 판단한 결과 최대 회전수이면 현재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최소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최소치인지를 판단한 결과 최소치가 아니면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의 공급량이 정해진 값(-α)만큼 감소되도록 가스밸브를 제어하고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d)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은지를 판단한 결과 하한치 보정 개시 온도(Td)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으면, 현재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인지를 판단한 결과 최소 회전수가 아니면,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공기의 공급량이 정해진 값(-β)만큼 감소되도록 송풍팬 회전수를 감소시키고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와;
    현재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인지를 판단한 결과 최소 회전수이면, 현재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최대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최대치인지를 판단한 결과 최대치가 아니면,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의 공급량이 정해진 값(+α)만큼 증대되도록 가스밸브를 제어하고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가스의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정해진 값(+α)은 현재 공급되고 있는 가스량 대비 ±5∼10% 범위 내에서 설정하고,
    공기의 공급량을 감소시키는 정해진 값(-β)은 현재 공급되고 있는 공기량 대비 ±10∼15% 범위 내에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대인 상태에서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최소치인지를 판단한 결과 최소치이면,
    상기 제어부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보정 상한치 온도(Ta)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은지를 판단하여, 만약 보정 상한치 온도(Ta)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거나 같으면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고,
    보정 상한치 온도(Ta)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으면 가스밸브를 닫고 송풍팬을 정지시켜 버너의 연소를 안전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소인 상태에서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최대치인지를 판단한 결과 최대치이면,
    상기 제어부 내에 기 세팅되어 있는 보정 하한치 온도(Tb)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은지를 판단하여, 만약 보정 상한치 온도(Tb)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높거나 같으면 버너의 불꽃온도(Tx)를 검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고,
    보정 상한치 온도(Tb)보다 현재 불꽃온도(Tx)가 낮으면 가스밸브를 닫고 송풍팬을 정지시켜 버너의 연소를 안전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정 상한치 온도(Ta)는 연소성을 판단하여 CO농도가 1,000ppm 이하가 되는 곳으로 시험을 통해 산정하여 세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너의 주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는 불꽃의 온도를 300℃~700℃ 범위 내에서 측정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보정 하한치 온도(Tb)는 연소성을 판단하여 CO농도가 1,000ppm 이하가 되는 곳으로 시험을 통해 산정하여 세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KR20120119363A 2012-10-26 2012-10-26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KR101480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9363A KR101480912B1 (ko) 2012-10-26 2012-10-26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9363A KR101480912B1 (ko) 2012-10-26 2012-10-26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457A KR20140053457A (ko) 2014-05-08
KR101480912B1 true KR101480912B1 (ko) 2015-01-13

Family

ID=5088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19363A KR101480912B1 (ko) 2012-10-26 2012-10-26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9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42706A1 (en) * 2020-08-06 2022-02-10 Rheem Manufactur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ng an obstructed furnace air filter using a flame sensor
CN112178681B (zh) * 2020-09-22 2021-10-29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检火针调节组件及其燃气热水器
CN115096000A (zh) * 2022-06-30 2022-09-23 芜湖美的智能厨电制造有限公司 热水器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0531A (ja) * 1992-06-04 1993-12-21 Toto Ltd 給湯機の制御装置
KR100194446B1 (ko) 1995-06-02 1999-06-15 야마오카 요지로 쓰레기소각로의 연소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46672A (ko) * 1998-12-31 2000-07-25 김우련 가스보일러의 난방출탕수와 난방환수의 온도를 이용한난방작동시 연소제어방법
JP2000356394A (ja) 1992-05-20 2000-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焼器具の安全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6394A (ja) 1992-05-20 2000-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焼器具の安全制御装置
JPH05340531A (ja) * 1992-06-04 1993-12-21 Toto Ltd 給湯機の制御装置
KR100194446B1 (ko) 1995-06-02 1999-06-15 야마오카 요지로 쓰레기소각로의 연소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46672A (ko) * 1998-12-31 2000-07-25 김우련 가스보일러의 난방출탕수와 난방환수의 온도를 이용한난방작동시 연소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457A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06560B (zh) 一种燃气采暖热水炉基于烟道堵塞检测的工作方法
KR101938572B1 (ko)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KR101480912B1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KR101562241B1 (ko) 연소기기의 배기온도 검출센서 빠짐 검지방법
KR101429896B1 (ko) 보일러의 연소불량 감시방법
JP5838634B2 (ja) 燃焼装置
CN110567160A (zh) 防止壁挂炉爆燃的方法
KR101551258B1 (ko) 1차 가스압력 검출스위치를 이용한 보일러의 안전연소 제어방법
KR101941912B1 (ko) 급기온도와 송풍팬 전류치를 이용한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KR101938569B1 (ko)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KR20140042145A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KR101317162B1 (ko) 보일러의 공기압과 가스압 차를 이용한 안전제어방법
JP2016183807A (ja) 燃焼機器
JP5508300B2 (ja) 複合燃焼装置
KR101731533B1 (ko) 보일러의 온수 과열 방지방법
KR101607119B1 (ko) 보일러의 도중실화 검지방법
KR101322616B1 (ko) 차압센서를 이용한 가스압 저하검출방법
KR101606741B1 (ko) 풍압스위치가 설치된 보일러의 연소중 배기폐쇄 검지방법
JP7165593B2 (ja) 燃焼装置
JP6045108B2 (ja) 一缶二水路燃焼装置
KR20120061253A (ko) 드레인 방지를 위한 보일러의 순환펌프 유량 제어방법
KR101797649B1 (ko) 배기 온도 기반의 난방 제어방법
JP3918550B2 (ja) 燃焼装置
KR101906220B1 (ko) 보일러의 배기가스온도 제어방법
KR101553831B1 (ko) 풍압스위치가 설치된 보일러의 연소중 배기폐쇄 검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