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265B1 -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265B1
KR101480265B1 KR20140056494A KR20140056494A KR101480265B1 KR 101480265 B1 KR101480265 B1 KR 101480265B1 KR 20140056494 A KR20140056494 A KR 20140056494A KR 20140056494 A KR20140056494 A KR 20140056494A KR 101480265 B1 KR101480265 B1 KR 101480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cover
motor
unit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6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메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메이트
Priority to KR20140056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01Cylindrical or annular brush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B08B1/002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08B9/0492Heavy-type cleaning devices, e.g. crawlers with plural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08B9/05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the cleaning devices having internal motors, e.g. turbines for powering clea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륜과 후륜이 축설된 바닥체와, 상기 바닥체의 상부에 결합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측을 커버하여 결합되되 전방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카메라와 조명등 및 배터리가 설치되고 후방에는 브러쉬커버가 구비된 커버체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브러쉬커버의 내측에 설치되고, 회전모터와, 벨트에 의해 상기 회전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복수 개의 브러쉬솔로 구성된 회전브러쉬부; 상기 브러쉬커버의 중간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하부에 흡진구를 구비하며 상기 흡진구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유입되는 흡진통과, 상기 흡진통을 커버하는 흡진커버와, 상기 흡진커버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어 흡입된 이물질을 모아 저장하고 전면에 덮개공을 구비한 덮개와 거름망이 설치된 집진통과, 상기 집진통의 전방에 설치된 흡진모터와, 상기 흡진모터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하여 상기 덮개공을 통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을 포함하는 흡진부; 상기 바닥체에 설치되고, 전륜 또는 후륜을 작동시키거나 조향시키도록 하는 구동부; 상기 본체부와 분리되되,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조작패널과, 상기 카메라와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된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무선조작부; 및 상기 무선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무선 수신하고, 각 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ROBOT CLEANING DEVICE HAVING DUST SUCTION FUNCTION FOR DUCT}
본 발명은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길고 좁은 통로를 갖는 덕트의 내부에 잔존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편리하게 청소하기 위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이나 지하철역 등의 지하 구조물에는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공조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 장치에는 실내의 여러 장소로 공기를 내보내고 이 공기를 다시 공조 장치로 회수하거나, 신선한 외기를 받아들이고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천정에 송풍이나 환기용 덕트가 설치된다.
그런데, 덕트 내부에는 반복되는 공기의 인·출입으로 인하여 먼지나 오물, 유지분, 곰팡이 및 세균 등의 이물질이 공기 중에 함께 포함되어 덕트 내부에 잔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먼지나 오물에 의하여 시간이 경과할수록 덕트 내부에는 먼지가 쌓이게 되고, 곰팡이와 세균이 함께 증식하게 되므로, 건물 내의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더 나아가 천식이나 기관지염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야기하는 원인이 되며, 덕트를 통하여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가 컴퓨터 등 전자기기에 축적되어 고장을 유발할 수도 있고, 덕트 내벽에 많은 이물질이 부착되면 내부 공기의 흐름이 방해되어 냉난방 효율이 저하되며, 유지분은 화재를 확산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덕트 내부를 청소하여 덕트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대부분의 덕트는 천정 내부에 설치되어 어두울 뿐만 아니라, 길고 좁은 통로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람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만큼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덕트 내부로 사람이 직접 들어가 이동하면서 청소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로 인하여, 종래에는 외부에서 덕트의 내부로 강력한 바람을 불어서 이에 날려오는 이물질을 반대편에서 흡입하거나, 긴 막대에 브러쉬를 장착하여 덕트 내부의 이물질을 결착시켜 털어낸 다음 흡입기를 이용하여 흡입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불편하고, 이물질 제거 효율이 떨어지며, 이물질이 견고하게 굳어 있는 경우 제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 덕트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원격으로 조정되는 로봇 청소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 중에 있다. 즉,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88515호에는 덕트 청소용 로봇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로봇 청소기의 자체에 흡진수단이 구비된 것이 아니라, 덕트 외부에 구비된 흡입수단과 연결된 흡입관을 별도로 덕트 내부로 유입시켜 브러쉬에 의해 털어진 이물질을 흡입하거나 물을 분출하여 청소하는 것이기 때문에, 청소를 하지 못하고 지나치는 부분이 많고, 작업의 효율성도 떨어지며, 흡입관의 비틀림 등으로 인하여 회전 방향에 한계점이 있고, 일정 범위의 이상을 살피기가 어려워 원격 조정상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체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원거리에서 모니터를 보면서 실시간으로 원격 조정하여 사람이 들어갈 수 없는 덕트 내부의 공간을 청소하여 청결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흡진수단이 자체 내장되어, 손쉬운 조작을 통하여 전·후진, 좌우로 제어하면서 회전브러쉬로 덕트 내부의 이물질을 결착시키는 동시에 흡진수단을 통하여 덕트 내부의 이물질을 곧바로 흡입할 수 있고, 회전 방향과 청소 범위의 제한이 없기 때문에 청소를 하지 못하고 그대로 지나치는 부분이 없어 보다 완벽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청소 작업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흡진커버와 집진통의 분리가 가능하여 흡진된 이물질을 쉽게 처리할 수 있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흡진커버가 회전고리를 통해 견고히 고정되어 있어 작업중 유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바퀴에 논슬립 돌기가 형성되어 미끄럼이 방지되어 용이한 장치 제어가 가능한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륜과 후륜이 축설된 바닥체와, 상기 바닥체의 상부에 결합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측을 커버하여 결합되되 전방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카메라와 조명등 및 배터리가 설치되고 후방에는 브러쉬커버가 구비된 커버체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브러쉬커버의 내측에 설치되고, 회전모터와, 벨트에 의해 상기 회전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복수 개의 브러쉬솔로 구성된 회전브러쉬부; 상기 브러쉬커버의 중간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하부에 흡진구를 구비하며 상기 흡진구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유입되는 흡진통과, 상기 흡진통을 커버하는 흡진커버와, 상기 흡진커버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어 흡입된 이물질을 모아 저장하고 전면에 덮개공을 구비한 덮개와 거름망이 설치된 집진통과, 상기 집진통의 전방에 설치된 흡진모터와, 상기 흡진모터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하여 상기 덮개공을 통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을 포함하는 흡진부; 상기 바닥체에 설치되고, 전륜 또는 후륜을 작동시키거나 조향시키도록 하는 구동부; 상기 본체부와 분리되되,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조작패널과, 상기 카메라와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된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무선조작부; 및 상기 무선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무선 수신하고, 각 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전륜과 후륜은 열과 행을 따라 복수 개의 논슬립 돌기가 형성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상기 지지체는, 후단 양측에 돌출편이 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커버와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양단을 지지하며, 후방 일측에 상기 회전모터가 안착 고정되는 고정편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체는 상기 흡진모터가 설치된 상부에 복수 개의 발열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흡진커버와 집진통은 일체로 연결 형성되되,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흡진통과 흡진커버 사이에는 흡진패킹이 개재되고, 상기 덮개에는 덮개패킹이 설치되어 기밀성이 유지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흡진커버는 양단이 상기 흡진통에 결합된 회전고리가 외주를 따라 감착되고, 상기 흡진커버의 상부에 이탈방지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고리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통은 바닥에 경사면이 전방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배터리는 저전압 경고 부져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는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켜 후륜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조향축과 연결되어 상기 조향축을 회전시켜 전륜을 구동시키거나 상기 전륜을 좌우로 회전시켜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향시키는 조향모터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모터, 흡진모터, 카메라 및 조명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 컨트롤러 및 상기 조향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조향축과 연결된 전륜을 좌우로 조향시키는 조향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원거리에서 모니터를 보면서 실시간으로 원격 조정하여 사람이 들어갈 수 없는 덕트 내부의 공간을 청소하여 청결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진수단이 자체 내장되어, 손쉬운 조작을 통하여 전·후진, 좌우로 제어하면서 회전브러쉬로 덕트 내부의 이물질을 결착시키는 동시에 흡진수단을 통하여 덕트 내부의 이물질을 곧바로 흡입할 수 있고, 회전 방향과 청소 범위의 제한이 없기 때문에 청소를 하지 못하고 그대로 지나치는 부분이 없어 보다 완벽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청소 작업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흡진커버와 집진통의 분리가 가능하여 흡진된 이물질을 쉽게 처리할 수 있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흡진커버가 회전고리를 통해 견고히 고정되어 있어 작업중 유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바퀴에 논슬립 돌기가 형성되어 미끄럼이 방지되어 용이한 장치 제어가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의 제1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의 제2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의 흡진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의 구동부 및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의 무선조작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의 사용 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1)는, 길고 좁은 통로를 갖는 덕트의 내부에 잔존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편리하게 청소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본체부(100), 회전브러쉬부(200), 흡진부(300), 구동부(400), 무선조작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00)는 전방은 높고 후방은 낮은 차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체(110), 지지체(120) 및 커버체(130)가 적층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바닥체(110)는 전륜(F)과 후륜(R)이 각각 구동축(410)과 조향축(430)에 결합되어 주행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축(410)과 조향축(430)을 구동시키거나 제어하는 구동부(400)와 제어부(600)가 배치되어 설치된다.
상기 지지체(120)는 상기 바닥체(110)의 상부에 결합되되, 전방에는 배터리(160)가 안착되고, 중간에는 흡진모터(350)와 흡입팬(360)이 설치되며, 후단 양측에는 돌출편(121)이 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브러쉬커버(132)와 결합되고 회전브러쉬부(200)의 회전축(230)의 양단을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160)는 충전식 배터리인 것이 바람직하고, 외부에 충전용 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160)에 저전압 경고 부져가 설치되어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저하되었을 경우 알람을 발생시켜 충전을 유도한다.
또한, 지지체(120)의 후방 일측에 회전브러쉬부(200)의 회전모터(210)가 안착 고정되는 고정편(122)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커버체(130)는 상기 지지체(120)의 상측을 커버하여 결합되되, 전방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설치공간(131)이 형성되고, 중간부는 전방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평평하게 이루어져 상부에 복수 개의 발열공(133)이 형성되며, 후방은 중간부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이루어져 브러쉬커버(13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설치공간(131)에는 덕트(D) 내부의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140)와 어두은 덕트 내부를 조명하는 LED로 이루어진 조명등(150)이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140)는 커버체(130)의 외부에 결합된 무선안테나(180)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무선조작부(500)로 실시간으로 무선 전송하며, 사용자는 원거리에서 모니터(520)의 화면을 보면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의 현 위치, 덕트 내부의 상태, 청소 구역으로의 진행 방향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이로써 외부에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를 원격으로 조정하여 사람이 들어갈 수 없는 덕트 내부의 공간을 청소하여 청결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브러쉬부(200)는 상기 브러쉬커버(132)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편(122) 상에 안착되어 설치된 회전모터(210)와, 상기 회전모터(210)와 벨트(220)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터(210)의 구동력을 전달받고 양단의 상기 돌출편(121)의 지지를 받아 회전하는 회전축(230)과, 상기 회전축(230)에 연결되어 이물질을 결착시켜 제거하는 복수 개의 브러쉬솔(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진부(300)는 상기 브러쉬커버(132)의 중간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흡진통(310)을 구비하고, 상기 흡진통(310)은 하부에 흡진구가 구비되어 흡진구로부터 흡입된 먼지나 오물 등의 이물질이 상측으로 빨려들어가 상기 흡진통(3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흡진통(310)의 상부에는 이를 커버하는 흡진커버(320)가 결합되고, 상기 흡진커버(320)의 상부에는 전·후측에 각각 1개 이상의 이탈방지편(322)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흡진통(310)과 흡진커버(320)의 사이에는 흡진패킹(312)이 개재되어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진커버(320)의 전방에는 집진통(330)이 상기 흡진커버(320)와 일체로 연결 형성된 채 설치되고, 상기 집진통(330)은 하측의 흡진구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모아서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집진통(330)은 바닥에 경사면(333)이 전방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하측의 흡진구로부터 흡입되어 흡진통(310)을 거쳐 집진통(330)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입구쪽에만 축적되거나 고착되지 않고 집진통(330)의 깊숙한 구석에까지 고루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흡진커버(320)는 회전고리(321)가 그 외주를 따라 감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회전고리(321)는 상기 흡진커버(320)에 돌출 형성된 전·후측의 이탈방지편(3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 및 흡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과 충격에 의한 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집진통(330)의 전면에는 덮개공(331a)을 구비한 덮개(331)가 연결되고, 상기 덮개공(331a)에는 미세먼지를 거를 수 있는 거름망(332)이 연결 설치되어, 흡진모터(350)와 흡입팬(360) 쪽으로 미세한 먼지나 오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덮개(331)의 덮개공(331a)의 조변에는 덮개패킹(331b)이 설치되어 결합되므로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일체로 연결 형성된 흡진커버(320)와 집진통(330)은 함께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양단이 상기 흡진통(3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회전고리(321)를 외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흡진커버(320)의 고정을 해제한 후, 흡진커버(320)와 집진통(330)을 함께 본체부(100)로부터 분리시키고, 덮개(331)를 개방하여 집진통(330)에 저장된 이물질을 처리할 수 있으며, 흡진커버(320)에 부착된 이물질 제거 등의 유지 및 보수 작업이 쉽게 가능하다.
상기 집진통(330)의 전방에는 흡입팬(360)과 흡진모터(350)가 설치되고, 상기 흡진모터(350)에는 흡진모터(350)와 연결되어 그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그 회전에 의하여 상기 덮개공(331a)을 통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36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덕트용 청소 로봇 장치(1)는 흡진부(300)가 자체 내장되어, 손쉬운 조작을 통하여 전·후진, 좌우로 제어하면서 회전브러쉬부(200)로 덕트(D) 내부의 이물질을 결착시키는 동시에 흡진부(300)를 통하여 덕트(D) 내부의 이물질을 곧바로 흡입할 수 있고, 회전 방향과 청소 범위의 제한이 없기 때문에 청소를 하지 못하고 그대로 지나치는 부분이 없어, 보다 완벽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청소 작업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바닥체(110)에 설치되고, 전륜(F) 또는 후륜(R)을 작동시키거나 조향시키도록 한다.
즉, 상기 구동부(400)는 구동축(410)과 연결된 구동모터(420)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모터(420)를 작동시켜 상기 구동축(410)을 회전시켜 후륜(R)을 구동시킴으로써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1)의 전·후진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조향축(430)과 연결된 조향모터를 구비하여 조향모터(440)를 작동시켜 조향축(430)을 회전시킴으로써 전륜(F)를 구동시키거나, 전륜(F)을 좌우로 회전시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1)의 주행 방향을 원활하게 조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륜(F)과 후륜(R)의 바퀴에는 외주면을 따라 논슬립 돌기가 형성되어 덕트 내부에 고착된 유지분에 의한 미끄럼이 방지되어 용이한 장치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무선조작부(500)는 상기 본체부(100)와 분리되어 무선에 의하여 원격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조작패널(510)과, 카메라(140)로부터 무선 수신된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모니터(520)와, 상기 조작패널(510)과 모니터(5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조작패널(510)은 조이스틱, 토글, 스위치, 키보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무선조작부(5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무선 수신하여 각 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들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회전모터(210), 흡진모터(350), 카메라(140) 및 조명등(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610), 상기 구동모터(42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 컨트롤러(620), 조향모터(440)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조향축(430)과 연결된 전륜(F)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조향 컨트롤러(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1)는 본체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원거리에서 모니터를 보면서 실시간으로 원격 조정하여 사람이 들어갈 수 없는 덕트 내부의 공간을 청소하여 청결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흡진수단이 자체 내장되어, 손쉬운 조작을 통하여 전·후진, 좌우로 제어하면서 회전브러쉬로 덕트 내부의 이물질을 결착시키는 동시에 흡진수단을 통하여 덕트 내부의 이물질을 곧바로 흡입할 수 있고, 회전 방향과 청소 범위의 제한이 없기 때문에 청소를 하지 못하고 그대로 지나치는 부분이 없어 보다 완벽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청소 작업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며, 아울러 흡진커버와 집진통의 분리가 가능하여 흡진된 이물질을 쉽게 처리할 수 있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흡진커버가 회전고리를 통해 견고히 고정되어 있어 작업중 유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바퀴에 논슬립 돌기가 형성되어 미끄럼이 방지되어 용이한 장치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 100. 본체부
110. 바닥체 120. 지지체
121. 돌출편 122. 고정편
130. 커버체 131. 설치공간
132. 브러쉬커버 133. 발열공
140. 카메라 150. 조명등
160. 배터리 165. 충전용 단자
170. 배터리커버 180. 무선안테나
200. 회전브러쉬부 210. 회전모터
220. 벨트 230. 회전축
240. 브러쉬솔 300. 흡진부
310. 흡진통 312. 흡진패킹
320. 흡진커버 321. 회전고리
322. 이탈방지편 330. 집진통
331. 덮개 331a. 덮개공
331b. 덮개패킹 332. 거름망
333. 경사면 350. 흡진모터
360. 흡입팬 400. 구동부
410. 구동축 420. 구동모터
430. 조향축 500. 무선조작부
510. 조작패널 520. 모니터
530. 연결부재 600. 제어부
610. 메인 컨트롤러 620. 구동 컨트롤러
630. 조향 컨트롤러 D. 덕트
F. 전륜 R. 후륜

Claims (11)

  1. 전방에 카메라가 설치되고, 하부에 전륜과 후륜이 결합되며, 상부에 브러쉬커버를 포함하는 커버체가 구비된 본체부;
    상기 브러쉬커버의 내측에 설치되고, 회전모터에 의하여 회전 작동되는 회전축에 연결된 복수 개의 브러쉬솔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는 회전브러쉬부;
    상기 브러쉬커버의 중간에 연결되고 하부의 흡진구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흡진통과, 상기 흡진통을 커버하는 흡진커버와, 상기 흡진커버와 연결되어 흡입된 이물질을 저장하는 집진통과, 상기 집진통의 전방에 설치된 흡진모터와, 상기 흡진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흡입팬을 포함하는 흡진부;
    전륜과 후륜이 축설된 바닥체에 설치되고 전륜 또는 후륜을 작동 또는 조향시키는 구동부;
    상기 본체부와 분리되되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조작패널과, 상기 카메라와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된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무선조작부; 및
    상기 무선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무선 수신하고, 각 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흡진커버는 양단이 상기 흡진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고리가 외주를 따라 감착되고, 상기 흡진커버에 돌출 형성되되 전·후측에 구비된 이탈방지편의 사이에 상기 회전고리가 배치되어 이동이나 흡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한 부재들의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흡진커버와 집진통은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함께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고리를 외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흡진커버의 고정을 해제한 후, 상기 흡진커버와 집진통을 함께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시키고, 전면에 덮개공을 구비한 덮개를 개방하여 상기 집진통에 저장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바닥체의 상부에 결합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측을 커버하여 결합되되 전방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카메라와 조명등 및 배터리가 설치되고 후방에는 브러쉬커버가 구비된 커버체를 포함하는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상기 흡진모터가 설치된 상부에 복수 개의 발열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과 후륜은 열과 행을 따라 복수 개의 논슬립 돌기가 형성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후단 양측에 돌출편이 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커버와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양단을 지지하며,
    후방 일측에 상기 회전모터가 안착 고정되는 고정편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공에는 미세먼지를 거를 수 있는 거름망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진통과 흡진커버 사이에는 흡진패킹이 개재되고, 상기 덮개에는 덮개패킹이 설치되어 기밀성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은 바닥에 경사면이 전방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저전압 경고 부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켜 후륜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조향축과 연결되어 상기 조향축을 회전시켜 전륜을 구동시키거나 상기 전륜을 좌우로 회전시켜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향시키는 조향모터를 포함하는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모터, 흡진모터, 카메라 및 조명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 컨트롤러 및 상기 조향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조향축과 연결된 전륜을 좌우로 조향시키는 조향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
KR20140056494A 2014-05-12 2014-05-12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 KR101480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6494A KR101480265B1 (ko) 2014-05-12 2014-05-12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6494A KR101480265B1 (ko) 2014-05-12 2014-05-12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265B1 true KR101480265B1 (ko) 2015-01-08

Family

ID=52588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6494A KR101480265B1 (ko) 2014-05-12 2014-05-12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2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529B1 (ko) 2015-07-16 2017-08-09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 후드 분진 퇴적 방지 장치
KR20170131971A (ko) * 2016-05-23 2017-12-0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검사 및 제거 장치
CN109877070A (zh) * 2019-02-16 2019-06-14 郭志猛 一种船用船舱及其管道清污机器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0686A (ja) * 1982-10-14 1984-05-25 財団法人電気通信共済会 ダクトの清掃装置
KR19980083588A (ko) * 1997-05-16 1998-12-05 이세원 덕트청소용 로봇 청소기
KR100676689B1 (ko) 2005-11-25 2007-02-01 차희천 덕트용 흡출식 청소로봇
KR100993004B1 (ko) * 2008-07-29 2010-11-08 박병욱 덕트 청소용 원격 제어 로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0686A (ja) * 1982-10-14 1984-05-25 財団法人電気通信共済会 ダクトの清掃装置
KR19980083588A (ko) * 1997-05-16 1998-12-05 이세원 덕트청소용 로봇 청소기
KR100676689B1 (ko) 2005-11-25 2007-02-01 차희천 덕트용 흡출식 청소로봇
KR100993004B1 (ko) * 2008-07-29 2010-11-08 박병욱 덕트 청소용 원격 제어 로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529B1 (ko) 2015-07-16 2017-08-09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 후드 분진 퇴적 방지 장치
KR20170131971A (ko) * 2016-05-23 2017-12-0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검사 및 제거 장치
CN109877070A (zh) * 2019-02-16 2019-06-14 郭志猛 一种船用船舱及其管道清污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5519B1 (ko) 로봇 청소기
KR101167890B1 (ko) 덕트용 청소 기구
US10703589B2 (en) Dry docking station
US20190040641A1 (en) Autonomous pool cleaning robot with an external docking station
CN106196325B (zh) 一种移动式室内环境洁净机器人
CN111720915B (zh) 空气净化系统及空气净化系统的控制方法
TW201633985A (zh) 用於吸塵器之基站
KR101480265B1 (ko) 흡진 기능이 내장된 덕트용 로봇 청소 장치
US20070028574A1 (en) Dust collector for autonomous floor-cleaning device
US20160302637A1 (en) Autononmous cleaner
US20160198913A1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CN105517473B (zh) 自走式吸尘器
WO2008096536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2012245344A (ja) ロボット掃除機、塵埃排出ステーション及び多段サイクロン掃除機
CN106182039A (zh) 一种多功能清洁机器人
US8332991B2 (en) Robotic vacuum cleaner having a disposable debris bag
US6834412B2 (en) Mobile air duct vacuum
KR101974459B1 (ko) 분리형 공기청정기
CN115040029A (zh) 清扫装置
CN211437313U (zh) 风管吸扫清理一体机
KR101052182B1 (ko) 구석 청소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청소기
KR101012943B1 (ko) 실내 구석 청소가 가능한 흡입 장치
KR20150025497A (ko) 덕트 청소기
KR200458981Y1 (ko)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
KR20050013867A (ko) 방향기능을 구비한 로봇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