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248B1 - 타이어 클리너 - Google Patents

타이어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248B1
KR101480248B1 KR20130109433A KR20130109433A KR101480248B1 KR 101480248 B1 KR101480248 B1 KR 101480248B1 KR 20130109433 A KR20130109433 A KR 20130109433A KR 20130109433 A KR20130109433 A KR 20130109433A KR 101480248 B1 KR101480248 B1 KR 101480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support
rotating
roll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9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2Wheel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로 오염된 타이어의 내외부를 자동으로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타이어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 클리너는, 타이어를 기립 상태로 지지하는 타이어 지지기구와, 타이어 지지기구에 장착된 타이어의 외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회전 롤과 회전 롤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여 타이어 지지기구에 장착된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타이어 회전기구와, 타이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타이어를 향해 청소용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분사 노즐과 결합되고 유체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청소용 유체를 분사 노즐로 안내하는 유체 안내관과, 유체 안내관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이어 클리너{Cleaner for tire}
본 발명은 타이어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로 오염된 타이어의 내외부를 자동으로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타이어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는 주행 시 노면과 직접 접촉하는 트레드와, 트레드를 중심으로 양 비드 번들을 감싸 턴업하는 카카스층과, 트레드와 카카스층 사이에 위치하여 카카스층을 보호해 주는 벨트층과, 카카스층 안쪽에 위치하면서 타이어 내부의 공기 누설 방지를 목적으로 삽입된 인너라이너와, 타이어의 측면이 되는 사이드 월과, 트레드와 사이드 월 사이에 위치하는 쇼울더와, 차량의 림에 장착되는 비드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제조공장이나 타이어 판매처 등 다수의 타이어를 보관하는 곳에서는 실외에 천막을 치고 천막 아래 타이어를 적재하여 보관한다. 그러나 아무런 보호 장치가 없이 타이어를 실외에 적재하여 보관하는 경우 비나 눈, 먼지 등의 이물질이 타이어 내부에 쉽게 유입될 수 있다. 타이어를 그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된 상태로 오랫동안 방치하게 되면, 타이어 내부가 오염되어 타이어가 변색이 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어, 타이어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제거될 필요가 있다.
한편, 현대인의 생활양식 변화와 더불어, 다양한 목적의 차량이 개발되어 왔으며, 이와 더불어 타이어 또한 차량의 사용 목적에 맞게 발전하여 왔다. 이제는 포장도로뿐만 아니라 오지, 산길, 험로를 누비는 차량 들로 인하여 타이어의 관리 방식에도 개선이 필요하다. 승용차, 상용차 위주의 완성차 판매가 주류였던 과거에 비해, 현대는 레저용 SUV, 캠핑카, 스포츠카, 등 특수 목적의 차량 판매가 늘어나면서, 여러 비포장 도로를 달리기에 적합한 타이어 상품이 개발되어 왔다. 그리고 비포장 도로를 주행한 타이어는 처음 구입한 타이어 본래의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되며, 타이어 외부에 부착되는 이물질은 타이어의 외관상 오염뿐만 아니라, 타이어 고유 성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타이어 외부에 부착되는 오염물은 신속하게 제거해 주는 것이 좋다.
타이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38740호(2011. 12. 28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57015호(2012. 06. 05 공개) 등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38740호에 개시되어 있는 장치는 차량에 작동스위치가 제어반과 전선으로 연결되어 공기압축기에 의해 염화칼슘액 적재통 혹은 세정액 적재통으로부터, 제1 연결관으로는 염화칼슘액이 제2 연결관으로는 세정액이 후륜에 분사되게 되어 있다. 전륜으로는 섀시에 설치된 노즐에 의해 타이어로 분사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차량에 설치되는 이러한 장치는 차량에 장치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하며, 장착된 타이어만 세척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57015호에 개시되어 있는 장치는 차량 앞범퍼에 설치된 가이드부와 이를 구성하는 슬라이딩 지지대를 타고 펄럭이며 움직이는 접촉대에 의해 타이어를 청소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장치는 차량에 설치하기는 용이하나, 펄럭이는 형태의 접촉대는 마모 또는 손상에 취약하며, 점착성 오염물을 세척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타이어의 외면에 부착된 이물질뿐만 아니라, 타이어 내부의 이물질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타이어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 클리너는, 타이어를 기립 상태로 지지하는 타이어 지지기구와, 상기 타이어 지지기구에 장착된 타이어의 외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회전 롤과 상기 회전 롤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타이어 지지기구에 장착된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타이어 회전기구와, 상기 타이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타이어를 향해 청소용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상기 분사 노즐과 결합되고 유체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청소용 유체를 상기 분사 노즐로 안내하는 유체 안내관과, 상기 유체 안내관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어 지지기구는, 프레임과, 상기 타이어의 외면 일측에 접하여 상기 타이어를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지지 롤과, 상기 타이어의 외면 다른 일측에 접하여 상기 타이어를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지지 롤과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지지 롤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롤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 1 지지 롤과 상기 제 2 지지 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 클리너는 상기 지지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체 안내관은 피봇 핀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에 피봇 결합되어 상기 피봇 핀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 클리너는 타이어를 기립 상태로 타이어 지지기구에 장착하고, 타이어 지지기구에 장착된 타이어를 타이어 회전기구로 회전시키면서 노즐 어셈블리를 통해 타이어에 청소용 유체를 분사함으로써, 타이어에 묻은 이물질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 클리너는 타이어를 향해 청소용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 어셈블리를 지지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타이어의 외면에 묻은 이물질뿐만 아니라, 타이어의 내부의 이물질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타이어 클리너에 타이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타이어 클리너에 의한 타이어 청소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대하여 아래에서와 같이, 실시 가능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타이어 클리너에 타이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타이어 클리너에 의한 타이어 청소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타이어 클리너(10)는, 타이어(T)를 기립 상태로 지지하는 타이어 지지기구(12)와, 타이어 지지기구(12)에 장착된 타이어(T)를 회전시키는 타이어 회전기구(20)와, 타이어(T)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타이어(T)를 향해 청소용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 어셈블리(25)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 클리너(10)는 이물질로 오염된 타이어(T)를 타이어 지지기구(12)에 장착하고 타이어 회전기구(20)로 타이어(T)를 회전시키면서 노즐 어셈블리(25)로 타이어(T)에 압축 공기나 세척액 등의 청소용 유체를 분사함으로써, 타이어(T)의 외부 및 내부에 묻은 이물질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타이어 지지기구(12)는 타이어(T)를 기립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프레임(13)과, 타이어(T)를 회전 가능하게 떠받치는 한 쌍의 지지 롤(15)(16)을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 롤(15)(16)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프레임(13)에 고정된 복수의 브라켓(14)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지지 롤(15)은 타이어(T)의 외면 일측에 접하여 타이어(T)를 회전 가능하게 떠받치고, 제 2 지지 롤(16)은 타이어(T)의 외면 다른 일측에 접하여 타이어(T)를 회전 가능하게 떠받친다.
타이어 회전기구(20)는 타이어 지지기구(12)에 기립되어 장착된 타이어(T)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타이어 지지기구(12)에 장착된 타이어(T)의 외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회전 롤(21)과, 회전 롤(21)을 회전시키는 모터(22)를 구비한다. 회전 롤(21)은 프레임(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터(22)는 프레임(13)에 결합되어 회전 롤(21)을 회전시킨다. 회전 롤(21)은 프레임(13)의 제 1 지지 롤(15)과 제 2 지지 롤(16) 사이에 배치되며, 제 1 지지 롤(15) 및 제 2 지지 롤(16)과 함께 타이어(T)를 떠받친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회전 롤(21)은 기립된 타이어(T)의 최하단부를 떠받치고, 제 1 지지 롤(15)과 제 2 지지 롤(16)은 회전 롤(21)을 가운데 두고 회전 롤(21)의 좌우 양쪽에 회전 롤(21)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기립된 타이어(T)의 최하부보다 위쪽 부분을 각각 떠받친다. 이 상태에서 모터(22)가 작동하여 회전 롤(21)이 회전하면 회전 롤(21)과 타이어(T) 사이의 마찰에 의해 타이어(T)가 회전 롤(21)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타이어(T)가 회전할 때, 타이어(T)의 외면에 각각 접한 제 1 지지 롤(15) 및 제 2 지지 롤(16)도 타이어(T)를 떠받친 상태에서 타이어(T)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기립된 상태의 타이어(T)가 회전 롤(21) 및 한 쌍의 지지 롤(15)(16)에 의해 떠받쳐진 상태로 회전하므로, 타이어(T)는 안정적으로 기립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노즐 어셈블리(25)는 타이어 지지기구(12)에 장착된 타이어(T)를 향해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분사 노즐(26)과, 유체 공급장치(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청소용 유체를 복수의 분사 노즐(26)로 안내하는 유체 안내관(28)을 포함한다. 이러한 노즐 어셈블리(25)는 지지대(38)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36)에 결합되어, 슬라이더(36)와 함께 지지대(38)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대(38)는 타이어 지지기구(12)가 결합된 받침대(18)에 고정되어 타이어(T)의 기립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놓인다.
여기에서, 복수의 분사 노즐(26)을 통해 타이어(T)로 분사되는 청소용 유체로는 압축 공기나, 세척액 등 다양한 유체가 이용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 노즐(26)에 청소용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 공급장치는 청소용 유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 노즐(26)은 그 분사구가 타이어(T)가 놓이는 타이어 지지기구(12)를 향하도록 유체 안내관(28)에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복수의 분사 노즐(26) 중 중앙에 배치되는 것은 타이어 지지기구(12)를 향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분사 노즐(26)은 중앙의 분사 노즐(26) 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렇게 복수의 분사 노즐(26)을 배치하면, 중앙의 분사 노즐(26)은 기립된 타이어(T)의 트레드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고, 양쪽 사이드 쪽으로 배치된 두 개의 분사 노즐(26)은 타이어(T)의 양쪽 사이드 월 쪽으로 유체를 분사할 수 있어, 타이어(T)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분사 노즐(26)의 끝단에는 분사구(미도시)가 마련된 가요성 튜브(27)가 구비된다. 가요성 튜브(27)로는 금속 주름관 등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다양한 소재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분사 노즐(26)의 끝단에 분사구가 마련된 가요성 튜브(27)를 마련해 놓으면, 타이어(T)의 크기나 종류, 이물질 부착 위치 등에 따라 유체가 분사되는 분사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상황에 맞춰 타이어(T)를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유체 안내관(28)은 복수의 연결관(29)(30)(31)으로 구성된다. 각 연결관(29)(30)(31)에 분사 노즐(26)이 각각 설치되고, 각 연결관(29)(30)(31)의 내부에는 분사 노즐(26)에 청소용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유로(미도시)가 마련된다. 제 1 연결관(29)은 지지대(38)에 결합된 슬라이더(36)에 결합되고, 제 2 연결관(30)은 제 1 연결관(29)과 각각의 내부에 마련된 유로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3 연결관(31)은 제 2 연결관(30)과 각각의 내부에 마련된 유로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유체 안내관(28)의 전체 길이는 가변될 수 있고, 각 연결관(29)(30)(31)에 결합된 복수의 분사 노즐(26) 사이의 간격도 변할 수 있다. 이렇게 유체 안내관(28)을 상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관(29)(30)(31)으로 구성하여 복수의 분사 노즐(26)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면, 타이어(T)의 크기나 종류, 이물질 부착 위치 등에 따라 분사 노즐(26)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상황에 맞춰 타이어(T)를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제 1 연결관(29)에는 유체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유체 공급 튜브(32)가 연결된다. 따라서, 유체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청소용 유체는 유체 공급 튜브(32)를 통해 제 1 연결관(29), 제 2 연결관(30) 및 제 3 연결관(31)으로 차례로 공급된다. 제 1 연결관(29)은 피봇 핀(35)에 의해 슬라이더(36)에 피봇 결합된다. 따라서, 유체 안내관(28)은 피봇 핀(3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타이어(T)를 청소할 때, 작업자는 타이어(T)의 크기나 종류, 이물질 부착 위치 등에 따라 유체 안내관(28)을 피봇 핀(35)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유체 안내관(28)의 기울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상황에 맞춰 타이어(T)를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 클리너(10)는 타이어(T)를 기립 상태로 타이어 지지기구(12)에 장착하고, 타이어 지지기구(12)에 장착된 타이어(T)를 타이어 회전기구(20)로 회전시키면서 노즐 어셈블리(25)를 통해 타이어(T)에 청소용 유체를 분사함으로써, 타이어(T)에 묻은 이물질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 클리너(10)는 타이어(T)를 향해 청소용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 어셈블리(25)를 지지대(38)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타이어(T)의 외면에 묻은 이물질뿐만 아니라, 타이어(T)의 내부의 이물질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노즐 어셈블리(25)를 타이어 지지기구(12)에 기립 상태로 장착된 타이어(T)의 위쪽에 배치한 상태에서 타이어(T)를 회전시키면서 노즐 어셈블리(25)로 청소용 유체를 분사하면, 타이어(T)의 외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노즐 어셈블리(25)를 아래 쪽으로 이동시켜 타이어 지지기구(12)에 기립 상태로 장착된 타이어(T)의 비드 안쪽에 배치한 상태에서 타이어(T)를 회전시키면서 노즐 어셈블리(25)로 청소용 유체를 분사하면, 타이어(T)의 내면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타이어(T)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타이어(T)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타이어 지지기구(12)나, 타이어 지지기구(12)에 장착된 타이어(T)를 회전시키는 타이어 회전기구(20)나, 타이어(T)를 향해 청소용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 어셈블리(25)나, 노즐 어셈블리(25)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38)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 지지기구(12)와 타이어 회전기구(20)의 결합 구조, 노즐 어셈블리(25)와 지지대(38)의 결합 구조 등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10 : 타이어 클리너 12 : 타이어 지지기구
13 : 프레임 15, 16 : 제 1, 2 지지 롤
18 : 받침대 20 : 타이어 회전기구
21 : 회전 롤 22 : 모터
25 : 노즐 어셈블리 26 : 분사 노즐
27 : 가요성 튜브 28 : 유체 안내관
29, 30, 31 : 제 1, 2, 3 연결관 32 : 유체 공급 튜브
35 : 피봇 핀 36 : 슬라이더
38 : 지지대

Claims (3)

  1. 삭제
  2. 타이어를 기립 상태로 지지하는 타이어 지지기구;
    상기 타이어 지지기구에 장착된 타이어의 외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회전 롤과, 상기 회전 롤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타이어 지지기구에 장착된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타이어 회전기구;
    상기 타이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타이어를 향해 청소용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
    상기 분사 노즐과 결합되고, 유체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청소용 유체를 상기 분사 노즐로 안내하는 유체 안내관; 및
    상기 유체 안내관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타이어 지지기구는, 프레임과, 상기 타이어의 외면 일측에 접하여 상기 타이어를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지지 롤과, 상기 타이어의 외면 다른 일측에 접하여 상기 타이어를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지지 롤과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지지 롤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롤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 1 지지 롤과 상기 제 2 지지 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클리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체 안내관은 피봇 핀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에 피봇 결합되어 상기 피봇 핀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클리너.
KR20130109433A 2013-09-12 2013-09-12 타이어 클리너 KR101480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433A KR101480248B1 (ko) 2013-09-12 2013-09-12 타이어 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433A KR101480248B1 (ko) 2013-09-12 2013-09-12 타이어 클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248B1 true KR101480248B1 (ko) 2015-01-09

Family

ID=52588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9433A KR101480248B1 (ko) 2013-09-12 2013-09-12 타이어 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2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5010A (zh) * 2017-04-26 2017-07-04 浙江风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轮胎回收处理前的清洗设备
KR20200091569A (ko) 2019-01-23 2020-07-31 신한곤도라주식회사 타이어 외륜의 부착물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319U (ja) * 1993-12-28 1995-07-18 株式会社ヒラマツ 車両洗浄機
KR19980020546A (ko) * 1996-09-10 1998-06-25 박철순 세륜기
JP2003212097A (ja) 2002-01-22 2003-07-30 Kisoo Kk タイヤ洗浄装置及びホイール磨き装置
JP2012020638A (ja) 2010-07-14 2012-02-02 Tohoku Tsushin Kogyo Kk 車両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319U (ja) * 1993-12-28 1995-07-18 株式会社ヒラマツ 車両洗浄機
KR19980020546A (ko) * 1996-09-10 1998-06-25 박철순 세륜기
JP2003212097A (ja) 2002-01-22 2003-07-30 Kisoo Kk タイヤ洗浄装置及びホイール磨き装置
JP2012020638A (ja) 2010-07-14 2012-02-02 Tohoku Tsushin Kogyo Kk 車両洗浄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5010A (zh) * 2017-04-26 2017-07-04 浙江风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轮胎回收处理前的清洗设备
KR20200091569A (ko) 2019-01-23 2020-07-31 신한곤도라주식회사 타이어 외륜의 부착물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361B1 (ko) 파이프 청소 로봇
US10059280B2 (en) Obstruction-removal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camera lens
US20150273531A1 (en) Touchless vehicle wash with conveyer system
US5076304A (en) Rotary-tiltable car wash system
US6453500B1 (en) Vehicle roof snow removal system
KR101480248B1 (ko) 타이어 클리너
US11203328B2 (en) Vehicle drying assembly
US7582164B1 (en) Tire dressing system
US2018028175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 tractor-trailer
CN109515391A (zh) 一种轨道车辆用移动式清洗系统
US20030164183A1 (en) Rotary car wash cell
CN109552257A (zh) 车辆表面的无接触清洁
US20100281638A1 (en) Wheel washer
US4327666A (en) Vehicle with spray means
JP2009173175A (ja) 洗車機
KR20150036995A (ko) 차량 장착용 자동 세척장비
CN209126703U (zh) 一种防爆网柜
US8789545B2 (en) Tire applicator for applying a tire solution to a vehicle passing through a vehicle washing system
KR100766315B1 (ko) 보도 물청소장비
CN201745552U (zh) 立式行走洗车机
JP2012081952A (ja) 移動洗車機
KR102371279B1 (ko)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
KR102287349B1 (ko) 대형차량용 하부 세차 장치
JP5340326B2 (ja) 車両のタイヤハウス用噴霧装置
CN111231903A (zh) 一种智能洗车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