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122B1 - Brazier having structure for recovering waste heat and Cooking utensi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razier having structure for recovering waste heat and Cooking utensi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122B1
KR101480122B1 KR20130014623A KR20130014623A KR101480122B1 KR 101480122 B1 KR101480122 B1 KR 101480122B1 KR 20130014623 A KR20130014623 A KR 20130014623A KR 20130014623 A KR20130014623 A KR 20130014623A KR 101480122 B1 KR101480122 B1 KR 101480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gas
waste heat
inner container
burner
circul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46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01217A (en
Inventor
정무성
Original Assignee
정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무성 filed Critical 정무성
Priority to KR20130014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122B1/en
Publication of KR20140101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2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1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6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conduits through the vessel for circulating heating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3/00Stoves or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리기구가 제공된다. 화덕은, 상부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조리용기가 개구부를 밀폐하고, 개구부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입되어 만입부가 형성되며, 만입부의 중앙에 버너가 삽입되는 버너삽입구가 형성된 내측용기와, 내측용기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측용기와의 사이에 밀폐된 연소가스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외측용기와, 만입부의 상단에 내측용기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만입부와 연소가스 순환공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배기홀, 및 외측용기 일 측에 형성되고, 연소가스 순환공간과 연통되어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한다.An oven having a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and a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he furnace are provided. An inner container having an upper portion formed with an opening and a cooking container sealing the opening portion and recessed inside the opening portion to form a depressed portion and having a burner insertion port into which a burner is inserted at the center of the depressed portion;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formed through the inner container at an upper end of the recessed portion and connecting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And a discharge pipe formed on one side of the vessel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to discharge the combustion gas to the outside.

Description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리기구{Brazier having structure for recovering waste heat and Cooking utensil hav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rnace having a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and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덕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rnace and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rnace having a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and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가스 조리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데 사용되는 조리기구(Cooking utensil)의 일 례로서, 가스연료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것만으로 화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취급이 간편하고,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가능하다. 가스 조리기는 가정용 가스 레인지로부터 업소용 대용량 가스 조리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The gas cooker is one example of a cooking utensil used to cook foods. It can be easily handled by a simple control of the thermal power by adjusting the injection amount of the gas fuel, and can be manufactured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 Various types of gas cookers are widely used ranging from domestic gas ranges to large-capacity gas cookers for business us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4106호에는 이러한 가스 조리기의 일 례가 개시되어 있다. 이 중 특히 업소용으로 사용되는 가스 조리기는 대량의 연료를 유입하여 연소함으로써 용기 하방에 위치하는 화구(Fire pot) 또는 화덕(Brazier) 주위로 강한 화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4106 discloses an example of such a gas cooker. In particular, a gas cooker for use in a business may generate a strong flame around a fire pot or a brazier located under the container by injecting and burning a large amount of fuel.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가스 조리기는 화구 또는 화덕이 조리기 외부로 노출되므로 화염과 함께 생성된 열기가 쉽게 조리기 외부로 누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연소시 발생하는 고온의 연소가스 역시 상당한 열기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 역시 그대로 배기되어 조리기 전체의 열효율이 상당한 수준으로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gas cooker is disadvantageous in that a firebox or an ove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oker, so that the heat generated with the flame leaks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vessel easily. Also, the high-temperature combustion gas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also includes considerable heat, but this is also exhausted as it is, and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entire cooker is reduced to a considerable level.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4106호, (2011.06.15)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4106, (June 15, 201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로 누출되는 폐열을 재사용할 수 있는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리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rnace having a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capable of reusing waste heat leaking to the outside and a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he furnac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which i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한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은, 상부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조리용기가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고, 상기 개구부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입되어 만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만입부의 중앙에 버너가 삽입되는 버너삽입구가 형성된 내측용기; 상기 내측용기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용기와의 사이에 밀폐된 연소가스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외측용기; 상기 만입부의 상단에 상기 내측용기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만입부와 상기 연소가스 순환공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배기홀; 및 상기 외측용기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소가스 순환공간과 연통되어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한다.In the furnace having the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n opening, the cooking container is closed by the opening portion, and the recessed portion is recessed inside the opening portion to form a depressed portion. An inner container having an insertion port formed therein; An outer contain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to form a closed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between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formed through the inner container at the upper end of the depressed portion and connecting the depressed portion and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And a discharge pipe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contain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to discharge the combustion gas to the outside.

상기 화덕은, 상기 내측용기의 하단에 상기 내측용기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만입부와 상기 연소가스 순환공간 사이, 및 상기 버너삽입구와 상기 연소가스 순환공간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상기 연소가스를 상기 연소가스 순환공간으로부터 상기 내측용기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순환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urnace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inner container at a lower end of the inner container and connecting at least one of between the indentation portion and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and between the burner insertion port and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And a plurality of circulation holes for moving the gas from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to the inner container.

상기 복수의 순환홀 중 하나의 면적은 상기 복수의 배기홀 중 하나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The area of one of the plurality of circulation holes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one of the plurality of exhaust holes.

상기 복수의 순환홀의 면적의 합은 상기 복수의 배기홀의 면적은 합보다 작을 수 있다.The sum of the areas of the plurality of circulation holes may be smaller than the sum of the areas of the plurality of exhaust holes.

상기 화덕은, 상기 내측용기의 상기 만입부 또는 상기 연소가스 순환공간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용기의 열용량보다 더 큰 열용량을 갖는 열저장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배기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복수의 순환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열저장 부재와 상기 내측용기를 모두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heat storage member coupled to the indent of the inner vessel or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and having a heat capacity greater than a heat capacity of the inner vessel,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xhaust holes, 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irculation holes may be formed through both the heat storage member and the inner container.

상기 화덕은, 상기 내측용기의 상기 만입부 또는 상기 연소가스 순환공간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용기의 열용량보다 더 큰 열용량을 갖는 열저장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urnace may further include a heat storage member coupled to the indent of the inner vessel or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and having a heat capacity greater than a heat capacity of the inner vessel.

상기 열저장 부재는 세라믹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storage member may include a ceramic material.

상기 배출관은 상기 외측용기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The discharge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outer container.

본 발명에 의한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을 포함하는 조리기구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상기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및 상기 버너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버너를 포함한다.
A cooking apparatus including an oven having a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An oven having the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coupled to the body; And a burner inserted into the burner insertion port to heat the cooking container.

본 발명에 의한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은,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와 조리용기 하방에 위치한 화덕 사이로 열기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종래 그대로 배기되던 고온의 연소가스를 화덕의 내 외부로 순환시켜 연소가스의 폐열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폐열 회수구조와 더불어 열용량을 증대시키는 설계를 통해 화덕의 열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The furnace having the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heat from leaking between the cooking vessel containing the food and the furnace located below the cooking vessel and circulating the high temperature combustion gas, The waste heat of the combustion gas can be effectively recovered. In addition,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furnace can be dramatically improved by designing to increase the heat capacity in addition to the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을 포함하는 조리기구 역시 이러한 화덕을 이용하여 조리기구 전체의 열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Also, the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furnace having the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rastically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entire cooking appliance by using the furn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및 폐열회수구조를 갖는 화덕을 포함하는 조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리기구 및 화덕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덕의 폐열 회수과정을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및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을 포함하는 조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덕의 폐열 회수과정을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n oven having a waste heat recovering structure and an oven having a waste heat recover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oking utensil and furnace of Fig. 1;
3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the waste heat recovery process of the furnace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n oven having a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and an oven having a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a waste heat recovering process of the furnace of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complish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및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을 포함하는 조리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n oven having an oven and a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및 폐열회수구조를 갖는 화덕을 포함하는 조리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리기구 및 화덕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n oven having a waste heat recovering structure and an oven having a waste heat recover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 oven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100)은 크게 내측용기(110), 외측용기(120)로 나누어지며, 내측용기(110)와 외측용기(120)가 결합되어 서로의 사이에 밀폐된 연소가스 순환공간(150)을 형성한다. 내측용기(110)에는 배기홀(111) 및 순환홀(112)이 형성되어 각각이 연소가스 순환공간(150)과 연결되며, 외측용기(120)에는 역시 연소가스 순환공간(150)과 연통되되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140)이 형성된다.1 and 2, an oven 100 having a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divided into an inner vessel 110 and an outer vessel 120, The container 120 is coupled to form a closed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between them. The inner vessel 110 is formed with an exhaust hole 111 and a circulation hole 112 so that the inner vessel 110 is connected to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and the outer vessel 120 is connected to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A discharge pipe 140 for discharging the combustion gas to the outside is formed.

즉,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100)은 배기홀(111) 및 순환홀(112)과 연소가스 순환공간(150) 사이의 유기적인 배치를 통해 종래 외부로 누출되던 연소가스를 자신의 내부에 유지하고, 이로부터 폐열을 효과적으로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화덕의 열효율이 비약적으로 상승한다. 또한, 화덕의 일 측에는 스스로 열을 수용하여 유지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복사열 등을 생성하는 열저장 부재(130)가 형성되어 열적 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다.That is, the furnace 100 having the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has the combustion gas leak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rganic arrangement between the exhaust hole 111 and the circulation hole 112 and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And the waste heat can be effectively recovered and reused. This dramatically increases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furnace. In addition, one side of the furnace is provided with a heat storage member 130 which not only receives and maintains heat itself, but also generates radiant heat and the like, thereby enhancing thermal efficienc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기구(1)는 본체(200)의 상방에 이러한 특징을 갖는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100)을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역시 비약적으로 열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조리기구(1)의 일 측에는 배출관(140)과 연결되어 연소가스의 폐열을 추가적으로 회수하는 열회수부(210)가 마련되어 역시 조리기구(1) 전체의 열적 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특징이 있는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100) 및 조리기구(1)의 각 구성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Meanwhile, the cook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dramatically increase the thermal efficiency by using the furnace 100 having the waste heat recovering structure having the above feature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00 will be. In addition, at one side of the cooking utensil 1, there is provided a heat recovery part 210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140 to further recover the waste heat of the combustion gas, so that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entire cooking utensil 1 can be doubled. Hereinafter,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furnace 100 and the cooking appliance 1 having the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having such featur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100)은 크게 내측용기(110), 및 외측용기(120)로 구분할 수 있다.The furnace 100 having a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an inner vessel 110 and an outer vessel 120.

우선, 내측용기(110)는 상부에 넓게 개방된 개구부(110a)가 형성되고, 개구부(110a)의 내측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하게 만입된 만입부(110b)가 형성된다. 만입부(110b)의 중앙에는 버너(도 2의 300 참조)가 삽입되는 버너삽입구(110c)가 형성된다. First, the inner container 110 is formed with an opening 110a which is wide open at the top, and a depressed portion 110b recessed at the inside of the opening 110a as shown in the figure is formed. A burner insertion port 110c into which a burner (see 300 in FIG. 2)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epressed portion 110b.

내측용기(110)는 만입부(110b)를 따라 전체적으로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넓게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부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버너삽입구(110c)를 형성할 수 있다. 버너(300)에서 생성된 화염은 상대적으로 좁은 버너삽입구(110c)를 통해 빠르게 상승한 후, 다시 넓게 확장된 만입부(110b)를 따라 조리용기의 전체에 접근하여 넓은 영역을 골고루 가열할 수 있다. The inner container 110 may be formed in a shape extending widely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along the recessed portion 110b and the lower end portion may be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relatively narrow width to form the burner insertion port 110c have. The flame generated in the burner 300 may rapidly rise through the relatively narrow burner inlet 110c and then approach the entire cooking vessel along the widely extended indent 110b to evenly heat the large area.

내측용기(110)의 일 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기홀(111)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순환홀(112)이 형성된다. 배기홀(111)은 만입부(110b)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순환홀(112)은 버너(300)와 인접한 위치 즉, 내측용기(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홀(111) 및 순환홀(112)은 모두 내측용기(1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특히 배기홀(111)은 만입부(110b) 상단에 형성되어 만입부(110b)와 연소가스 순환공간(150)을 연결하고, 순환홀(112)은 내측용기(110) 하단에 형성되어 버너삽입구(110c)와 연소가스 순환공간(150)사이를 연결하거나 또는 만입부(110b)와 연소가스 순환공간(150)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An exhaust hole 1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container 110 as described above, and a circulation hole 11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exhaust hole 11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dent 110b and the circulation hole 112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burner 300, that is,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container 110. [ The exhaust hole 111 and the circulation hole 112 are all formed through the inner container 110. The exhaust hole 11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ecessed portion 110b so that the recessed portion 110b and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And the circulation hole 11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vessel 110 to connect between the burner inlet 110c and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or to connect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b with the indentation part 110b, The space 150 can be connected.

조리시 조리용기는 내측용기(110)의 상부에 안착되고, 안착된 상태에서 내측용기(110)의 개구부(110a)를 밀폐한다. 이와 같이 밀폐되면, 버너(300) 주위에서 생성된 연소가스는 상승하여 배기홀(111)로 유입되고, 연소가스 순환공간(150)을 경유한 후, 다시 순환홀(112)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연소가스의 순환작용을 통해 폐열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At the time of cooking, the cooking vessel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vessel 110 and seals the opening 110a of the inner vessel 110 in a seated state.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around the burner 300 rises and flows into the exhaust hole 111. After passing through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the exhaust gas can be discharged to the circulation hole 112 again . The waste heat can be easily recovered through the circulation of the combustion gas.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외측용기(120)는 내측용기(1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외측용기(120)는 내측용기(110)와는 달리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용기(110) 보다 용적이 커 내측용기(11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이 때, 내측용기(110)의 상단부와 외측용기(120)의 상단부는 예를 들어, 플랜지와 같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로써 내측용기(110)와 외측용기(120) 사이에 밀폐된 공간, 즉 연소가스 순환공간(150)이 형성된다. 외측용기(120) 하부에는 배출관(140)이 결합되는 배출구(120b)와 버너(300)를 수용할 수 있는 버너수용구(120a)가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container 12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110. Unlike the inner container 110, the outer container 12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the inner container 1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container 110 because the inner container 110 is larger than the inner container 110. At this time,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110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120 may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with a portion protruding along the edge, for example, like a flange. Thus, a closed space, that is, a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ontainer 110 and the outer container 120. A discharge port 120b to which the discharge pipe 140 is coupled and a burner receiving port 120a that can receive the burner 300 may be formed under the outer container 120. [

연소가스 순환공간(150)은 내측용기(110)와 외측용기(120) 사이의 공간으로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연소가스 순환공간(150)의 형태는 내측용기(110) 및 외측용기(120)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으며, 그 너비나 용적 역시 내측용기(110) 및 외측용기(120)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특히, 만입부(110b)의 만입된 정도에 따라 연소가스 순환공간(150)의 크기가 크게 또는 작게 변화할 수 있다.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may be formed relatively wide as a space between the inner container 110 and the outer container 120. The shape of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may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container 110 and the outer container 120 and the width and volume thereof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container 110 and the outer container 120 It can be deformed. Particularly, the size of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may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degree of indentation of the indent 110b.

한편, 내측용기(110)의 일 측에는 열저장 부재(130)가 형성된다. 열저장 부재(130)는 내측용기(110) 또는 외측용기(120)보다 열용량(Heat capacity)이 큰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세라믹 소재(Ceramics)가 그 일부 또는 전부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heat storage member 1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container 110. The heat storage member 1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arger heat capacity than that of the inner container 110 or the outer container 120. Preferably, the ceramic material is formed to be a part or whole of the ceramic material. .

이와 같은 열저장 부재(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만입부(110b)의 표면에 부착되어 연소가스 순환공간(150) 내부에서 순환하는 연소가스의 폐열을 용이하게 흡수/저장할 수 있다. 또한, 열저장 부재(130)는 일정 정도 열을 흡수한 후에 스스로 고온으로 유지되어 조리용기를 향해 복사열을 방출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화덕 내부에 부가적인 열원이 추가된 것과 같은 이른바 '군불 효과'를 내어,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100) 및 조리기구(1)의 열효율이 배가될 수 있는 것이다.The heat storage member 130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indent 110b to easily absorb / store the waste heat of the combustion gas circulating in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heat storage member 130 may be kept at a high temperature by itself after absorbing heat to a certain extent, and may radiate radiant heat toward the cooking container. Thus, the heat efficiency of the furnace 100 and the cooking appliance 1 having the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can be doubled by applying so-called 'gas-fired effect' that an additional heat source is added to the inside of the furnace.

배출관(140)은 외측용기(120)의 일 측, 바람직하게는 외측용기(12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충분히 순환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관(140)은 직접 외부로 연결될 수도 있는 것이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열회수부(21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연소가스의 남은 폐열을 추가적으로 회수하여 열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도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discharge pipe 14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uter container 120, preferably the lower end of the outer container 120, so that the sufficiently circulated combustion ga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pipe 14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side, but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heat recovery unit 210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waste heat remaining in the combustion gas can be additionally recovered, thereby doubling the thermal efficiency.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조리기구(1)는 이와 같이 내측용기(110), 및 외측용기(120)를 포함하는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100)이 결합되어 장착되는 본체(200), 본체(200)에 결합되는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100), 및 버너삽입구(110c)에 삽입되는 버너(300)를 포함한다.The cooking apparatus 1 includes a main body 200 to which the furnace 100 having the waste heat recovering structure including the inner container 110 and the outer container 120 is coupled and installed, An oven 100 having a recovery structure, and a burner 300 inserted into the burner insertion port 110c.

본체(200)는 예를 들어, 상단부가 평평하게 가공된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버너(300) 및 버너(300)와 연결된 연료공급관(330)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200)의 일 측에는 연료공급관(330)의 연료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레버(331)가 형성되어 버너(300)에서 생성되는 화염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체(200)의 형상은 도시된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는 것이며,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100)을 장착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제한 없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화덕의 장착공간을 복수로 형성하고, 버너(300) 역시 그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복수로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100)을 본체(20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main body 200 may be formed, for example, as a flat-finished housing, and a fuel supply pipe 330 connected to the burner 300 and the burner 300 may be formed therein. A regulating lever 331 for regulating the fuel supply amount of the fuel supply pipe 3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00 to control the size of the flame generated in the burner 300. The shape of the main body 200 may be modified to any shape other than the illustrated shap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 shape of the furnace 100 having a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is easy to mount. If necessary, the furnace 100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dy 200 by forming a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for the furnace and a plurality of burners 300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mounting spaces.

한편, 본체(200)의 일 측에는 열회수부(210)가 형성된다. 열회수부(210)는 본체(200)의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된 블록 형상의 수조(211)와, 수조(211)내부를 가로지르는 열교환관(212), 수조(211)와 연결되어 급수 및 배수작용을 하는 급수밸브(214), 및 배수밸브(215)를 포함한다. 열교환관(212) 내부에는 연소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차단판(213)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heat recovery unit 2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00. The heat recovery unit 210 is connected to a block-shaped water tank 211 formed by extending a part of the main body 200, a heat exchange pipe 212 crossing the water tank 211, and a water tank 211, And a drain valve 215. The drain valve 215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valve 214, A shutoff plate 213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combustion gas may be formed in the heat exchange tube 212.

열교환관(212)은 배출관(140)과 연결된다. 따라서 일차적으로 폐열 회수를 마치고 배출된 배출관(140) 안의 연소가스를 열회수부(210) 내부로 더욱 용이하게 유입할 수 있다. 이로써, 열교환관(212) 및 수조(211)를 포함하는 열회수부(210)가 더욱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The heat exchange tube 212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140. Therefore, the combustion gas in the discharged discharge pipe 140 can be more easily introduced into the heat recovery unit 210 after the waste heat recovery is completed. Thereby, the heat recovery unit 210 including the heat exchange tube 212 and the water tank 211 can operate more effectively.

열교환관(212)은 수조(211) 내부를 수회 이상 가로지르도록 굴절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를 테면, 서펜타인 형상(Serpentine shape: 구불구불한 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관(212)은 수조(211) 내부의 물과 접촉하는 유효 표면적이 증대되어 열교환관(212) 내부를 통과하는 연소가스가 가진 열을 수조(211) 내부로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열교환관(212)은 효과적인 열전달을 위해 구리와 같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 tube 212 may be bent so as to cross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211 more than several times, thereby forming a serpentine shape (serpentine shape). Accordingly, the effective surface area of the heat exchange tube 212 in contact with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11 is increased, and the heat of the combustion gas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heat exchange tube 212 can be more effectively transferred into the water tank 211. The heat exchange tube 212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copper for effective heat transfer.

한편, 열교환관(212) 내부에는 연소가스의 유동량을 제한하는 차단판(213)이 설치될 수 있다. 차단판(213)에는 통기구들이 수 개 이상 형성되어 있어 연소가스를 일정량만 통과시키고, 열교환관(212) 내부에 적절히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연소가스는 수조(211) 내부의 물과 충분한 시간 동안 열교환 할 수 있다. 차단판(213)의 개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차단판(213)의 배치상태 및 개수, 또는 차단판(213)에 형성된 통기구의 개수나 형태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연소가스의 유동 속도 및 배출 속도를 늦추거나 또는 빠르게 할 수 있다.Meanwhile, a shutoff plate 213 may be provided in the heat exchange tube 212 to limit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gas.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blocking plate 213 so that a certain amount of the combustion gas is allowed to pass therethrough and maintained in the heat exchange tube 212 properly. Therefore, the combustion gas can heat-exchange with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11 for a sufficient time. The number of the blocking plates 213 may be one or more than one and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blocking plates 213 or the number and shape of the ventilation holes formed in the blocking plate 213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control the flow of the combustion gas The speed and discharge rate can be slowed down or accelerated.

열교환관(212)은 본체(200)의 일단부에 결합된 배기관(220)과 다시 연결된다. 열교환관(212)을 통과하면서 재차 폐열이 회수된 연소가스는 결국 배기관(220)을 통해 배기된다. 도면상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기관(220)은 옥외나 가스 조리기(1)가 설치된 조리실의 외부로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된 끝단부에 덕트나 송풍팬 등을 설치하여 연소가스가 능동적으로 배기되도록 할 수 있다. 열교환관(212) 내부에 차단판(213)이 다수 형성된 경우, 이러한 구성은 더욱 효과적이 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e pipe 212 is connected again to the exhaust pipe 220 coupl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200. The combustion gas,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 tube 212 and has been recovered from the waste heat again, is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ipe 22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exhaust pipe 220 may be extended outdoors or outside the cooking chamber provided with the gas cooker 1, and a duct or a blower fan may be installed at the extended end thereof to actively exhaust the combustion gas. .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shutoff plates 213 are formed in the heat exchange tube 212, this configuration can be more effective.

수조(211)는 본체(200)의 내부에 본체(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조(211)의 일 측에는 급수밸브(214) 및 배수밸브(215)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용이하게 물을 공급받거나 배출할 수 있다. 이 때, 급수밸브(214)는 수조(211)의 상부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배수밸브(215)는 수조(211)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연소가스에 의해 데워진 온수를 용이하게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The water tank 21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200 in the main body 200. A water supply valve 214 and a drain valve 215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water tank 211 to easily receive or discharge water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valve 214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211, and the water drain valve 215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water tank 211 to easily discharge warm water heated by the combustion gas, .

열회수부(210)의 열회수 작용은 수조(211)에 수용된 물과 열교환관(212)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따라서, 수조(211)의 크기와 열교환관(212)의 두께 및 길이 등의 변화에 의해 연소가스로부터 재차 회수되는 폐열을 크기는 변동될 수 있다.The heat recovery function of the heat recovery unit 210 is perform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torage tank 211 and the heat exchange pipe 212. Accordingly, the size of the water storage tank 211 and the thickness and length of the heat exchange pipe 212 The size of the waste heat that is recovered from the combustion gas by the change can be varied.

버너(300)는 다수의 염공(311)이 형성된 버너몸체(310)와 버너몸체(310) 내측에 결합된 화염가이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urner 300 may include a burner body 310 in which a plurality of air holes 311 are formed and a flame guide part 320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urner body 310.

버너몸체(310)는 본체(200) 하부에 형성되어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100)의 하단부에 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염공(311)은 버너몸체(310)의 외측이 아닌 내측을 향해 개방되어, 연료공급관(330)을 통해 버너몸체(310)로 공급된 연료를 버너삽입구(110c)를 향해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다. 분사된 연료는 연소되어 화염을 생성하고 생성된 화염은 버너삽입구(110c)를 통해 상승하여 조리용기(A)에 도달하게 된다.The burner body 310 may be formed to face the lower end of the furnace 10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0 and having a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Particularly, the air hole 311 opens toward the inside of the burner body 310, not outside the burner body 310, so that the fuel supplied to the burner body 310 through the fuel supply pipe 330 can be easily injected toward the burner inlet 110c . The injected fuel is burned to generate a flame, and the generated flame rises through the burner inlet 110c to reach the cooking vessel A.

화염가이드부(320)는 버너몸체(310)에 결합되어 버너삽입구(110c) 내부에 수용되며, 외주부에 길게 연장된 가이드홀(321)이 형성되어 있어 화염 및 연소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다. 특히, 화염가이드부(320)는 버너삽입구(110c)의 중앙에 위치함으로써 버너몸체(310)에서 생성된 화염을 조리용기(A)의 주변으로 넓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때, 화염가이드부(320)는 전술한 버너수용구(120a)를 통과하여 버너삽입구(110c) 내부로 수용된다.The flame guide part 320 is coupled to the burner body 310 and is accommodated in the burner insertion port 110c and has a guide hole 321 extending in the outer periphery thereof to allow flame and combustion gas to pass therethrough. Particularly, since the flame guide part 32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urner insertion port 110c, it can disperse the flame generated in the burner body 310 to the periphery of the cooking container A widely. At this time, the flame guide part 320 passes through the burner receiving port 120a and is received in the burner insertion port 110c.

화염가이드부(3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부가 유선형의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부를 향해 확장된 기둥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화염의 분산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화염가이드부(320) 역시 내측용기(110) 또는 외측용기(120)보다 열용량이 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군불 효과'가 배가되어 화덕의 열효율이 더욱 상승할 수 있다. The flame guide part 3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peripheral part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in the form of a streamline, and the flame guide part 3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extending upwardly, . If necessary, the flame guide part 3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eat capacity higher than that of the inner container 110 or the outer container 120. In such a case, the above-mentioned 'military effect' may be doubled to further increase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furnace.

도 3은 도 1의 화덕의 폐열 회수과정을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3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the waste heat recovery process of the furnace of FIG.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100)의 폐열 회수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aste heat recovering process of the furnace 100 having the waste heat recover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A)는 내측용기(110) 상부에 안착되어 개구부(110a)를 밀폐한다. 따라서, 화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연소가스 역시 화덕의 내측에서 유지되어 폐열이 회수과정 없이 소실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ooking container A is seated on the inner container 110 to seal the opening 110a. Therefore, not only the flame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but also the combustion gas is also kept inside the furnace, so that the waste he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without the recovery process.

연소가스는 버너몸체(310)의 염공(311) 주위로부터 생성되어 화염가이드부(320)를 따라 상승한 후, 내측용기(110)의 만입부(110b)까지 도달한다. 연소가스는 고온이며 열에너지가 충만한 상태이므로 만입부(110b)에 도달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배기홀(111)까지 도달할 수 있다. The combustion gas is generated from around the air hole 311 of the burner body 310 and rises along the flame guide portion 320 and then reaches the indent 110b of the inner container 110. [ Since the combustion gas is at a high temperature and filled with thermal energy, it can be continuously raised to reach the exhaust hole 111 even after reaching the recessed portion 110b.

배기홀(111)까지 도달한 연소가스는 배기홀(111)을 통과하여 연소가스 순환공간(150)으로 유입된다. 배기홀(1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만입부(110b)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내측용기(110) 내부에서 상승한 연소가스들을 용이하게 유입할 수 있다.The combustion gas reaching the exhaust hole 111 passes through the exhaust hole 111 and flows into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A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111 may be formed along the indentation 110b, so that the combustion gases rising in the inner container 110 can be easily introduced.

연소가스는 연소가스 순환공간(150) 내부에 유지되면서, 내측용기(110) 및 외측용기(120) 전체에 열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100)의 열효율이 상승한다. 연소가스로부터 전달된 열에너지는 내측용기(110), 특히, 만입부(110b)에 형성된 열저장 부재(130)에 축적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열저장 부재(130)는 스스로 고온으로 유지되면서, 복사열 등을 방출하여 조리용기(A)를 더욱 효과적으로 가열하는 것이다. The combustion gas can be transferred to the entire inner vessel 110 and the outer vessel 120 while being held in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Accordingly,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furnace 100 having the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increases. The thermal energy transferred from the combustion gas can be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inner container 110, particularly, the heat storage member 130 formed in the indent 110b. While the heat storage member 130 is kept at a high temperature by itself, So that the cooking vessel A is heated more effectively.

한편, 열에너지를 소모한 연소가스는 그 일부가 순환홀(112)을 통해 배출되어 다시 순환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이 때 순환홀(112) 역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순환홀(112)는 버너(300) 특히, 화염가이드부(32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combustion gas consuming heat energy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circulation hole 112 and can participate in the circulation process again. At this time, a plurality of circulation holes 112 may be formed, and the circulation holes 112 may b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burner 300, particularly, the flame guide portion 320.

따라서, 순환홀(112)로 배출된 연소가스는 버너삽입구(110c)를 통해 빠르게 상승하는 화염 및 연소가스와 합류하여, 용이하게 재상승할 수 있는 것이다. 상승한 연소가스는 다시 배기홀(111)을 통해 다시 연소가스 순환공간(150)으로 유입된다.Therefore,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into the circulation hole 112 joins with the flame and the combustion gas rapidly rising through the burner insertion port 110c, so that the combustion gas can easily rise again. The increased combustion gas flows into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through the exhaust hole 111 again.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면, 고온의 연소가스가 가진 열에너지를 상당부분 회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미처 회수되지 못한 열에너지가 있다 하더라도, 배출관(140)과 연결된 열회수부(210)에서 재차 회수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100) 및 이러한 화덕을 포함하는 조리기구(1)의 열적 효율이 큰 폭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If such a process is repeatedly performed, a considerable part of the heat energy of the high temperature combustion gas can be recovered. The heat recovery unit 210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140 recovers the waste heat recovered from the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oking appliance 1 ) Is greatly increased.

상기 배기홀(111)은 상대적으로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연소가스의 최초 유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순환홀(112)은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연소가스의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결국, 연소가스 순환공간(150) 내부에 유지되는 연소가스의 양이 증가하고, 연소가스 순환공간(150) 내부에 연소가스가 체류하는 시간이 증가하여, 화덕과 연소가스 사이에 열교환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xhaust hole 111 may have a relatively large area to increase the initial inflow amount of the combustion gas. The circulation hole 112 may have a relatively small area to reduce the amount of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Therefore, eventually, the amount of combustion gas retained in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increases, and the time during which the combustion gas stays in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increases, and heat exchange occurs between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combustion gas Can be sufficiently achieved.

순환홀(112)은 복수로 형성된 각각의 면적이 역시 복수로 형성된 배기홀(111) 각각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으며, 순환홀(112) 전체의 면적을 합한 면적이 배기홀(111) 전체의 면적을 합한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열교환이 충분히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Each of the plurality of circular holes 112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xhaust holes 111. The total area of the circular holes 112 may be larger than the total area of the exhaust holes 111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sum of the areas. In any case, the heat exchange can be performed sufficiently effectively.

이와 같이 열교환하여 열에너지를 소모한 연소가스는 외측용기(120)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관(140)을 따라 배기되어 순환과정에서 제외되며, 배기된 연소가스는 배출관(140)을 따라 열회수부(210)에 도달한다. 남은 열에너지는 열회수부(210)에서 회수된다.The combustion gas that has been heat-exchanged and consumed thermal energy is exhausted along the exhaust pipe 14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container 120 and is excluded from the circulation process. The exhausted combustion gas flows along the exhaust pipe 140 to the heat recovery unit 210 . The remaining heat energy is recovered in the heat recovery unit 210.

이러한 폐열 회수과정을 통해 연소가스의 폐열을 효과적으로,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Through this waste heat recovery process, the waste heat of the combustion gas can be effectively and easily recovered.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100-1) 및 이러한 화덕을 포함하는 조리기구(1-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4 and 5, an oven 100-1 having a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oking appliance 1-1 including such an ove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하,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한 것이 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로 언급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사항으로 설명을 대신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that the description will be concise and clear.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및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을 포함하는 조리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화덕의 폐열 회수과정을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aratus including an oven having an oven having a waste heat recovering structure and a waste heat recover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a waste heat recovering process of the oven of FIG. to be.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100-1)은 복수의 배기홀(111-1)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순환홀(112-1) 중 적어도 하나가 열저장 부재(130-1)와 내측용기(110)를 모두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소가스가 배기홀(111-1) 또는 순환홀(112-1)을 통과하면서 열저장 부재(130-1)와 직접 접촉하므로 연소가스의 폐열이 더욱 용이하게 회수될 수 있다. 또한, 열저장 부재(130-1)의 설치위치가 배기홀(111-1) 또는 순환홀(112-1)의 위치에 구애되지 않아 열저장 부재(130-1)의 크기가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할 수 있으며, 열저장 부재(130-1)가 만입부(110b) 표면뿐만 아니라 연소가스 순환공간(150) 내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4, an oven 100-1 having a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111-1, a plurality of circulation holes 112-1 May be formed through both the heat storage member 130-1 and the inner container 110. [ In this case, since the combustion gas directly contacts the heat storage member 130-1 while passing through the exhaust hole 111-1 or the circulation hole 112-1, the waste heat of the combustion gas can be more easily recovered. In addition, sinc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eat storage member 130-1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of the exhaust hole 111-1 or the circulation hole 112-1, the size of the heat storage member 130-1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heat storage member 130-1 is formed not only on the surface of the depressed portion 110b but also inside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

따라서, 열저장 부재(130-1)에 축적되는 폐열의 크기가 큰 폭으로 증가하여 화덕의 열효율이 더욱 상승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배기홀(111-1) 또는 순환홀(112-1)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연소가스의 순환효과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size of the waste heat accumulated in the heat storage member 130-1 increases greatly, so that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furnace can be further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exhaust hole 111-1 or the circulation hole 112-1 can be additionally formed, the circulation effect of the combustion gas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s needed.

도면상으로는 배기홀(111-1)이 추가적으로 형성된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순환홀(112-1)역시 열저장 부재(130-1)의 위치에 구애되지 않고 열저장 부재(130-1)와 내측용기(110)를 모두 관통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열저장 부재(130-1)의 크기 및 형상, 배기홀(111-1)의 위치, 및 순환홀(112-1)의 위치는 연소가스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배기홀(111-1)만을 내측용기(110)와 열저장 부재(130-1) 모두 관통하도록 형성하고, 순환홀(112-1)은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연소가스 순환공간(150)에 축적된 연소가스는 열교환 후 곧장 배출관(140)으로 배출되게 된다.Although the exhaust hole 111-1 is additionally formed in the drawing, the circulation hole 112-1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of the heat storage member 130-1, And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as to pass through both the storage member 130-1 and the inner container 110. [ At this time, the size and shape of the heat storage member 130-1, the position of the exhaust hole 111-1, and the position of the circulation hole 112-1 are set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irculation of the combustion gas can be facilitated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On the other hand, if necessary, only the exhaust hole 111-1 may be formed to penetrate both the inner container 110 and the heat storage member 130-1, and the circulation hole 112-1 may not be formed. In this case, The combustion gas accumulated in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140 immediately after the heat exchange.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연소가 시작됨에 따라 연소가스가 상승하여 조리용기(A) 주변에 도달하고, 배기홀(111-1)로 유입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 때, 만입부(110b) 측에 추가적으로 형성된 배기홀(111-1)에 의해 연소가스 순환공간(150) 내부로 공급되는 연소가스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5, as the combustion starts, the combustion gas rises and reaches the periphery of the cooking vessel A and flows into the exhaust hole 111-1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amount of the combustion gas supplied into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can be increased by the exhaust hole 111-1 formed at the side of the indent 110b.

공급량이 증가된 연소가스는 연소가스 순환공간(150) 내부에 유지되면서 더욱 많은 양을 폐열을 화덕에 전달하게 된다. 이 때, 연소가스는 내측용기(110) 및 열저장 부재(130-1)를 모두 관통하는 배기홀(111-1)들의 사이를 유동하면서 열저장 부재(130-1)와 접촉하는 시간 및 열저장 부재(130-1)와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연소가스의 폐열이 더욱 용이하게 회수된다. 아울러, 연소가스 순환공간(150) 내측에 배치된 열저장 부재(130-1)는 이러한 열을 추가적으로 회수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100-1)의 열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The combustion gas having an increased supply amount is kept in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so that a larger amount of waste heat is transferred to the furnace. At this time, the combustion gas flows between the exhaust holes 111-1 passing through both the inner container 110 and the heat storage member 130-1, and the time and temperature of contact with the heat storage member 130-1 The contact area in contact with the storage member 130-1 is increased. Therefore, the waste heat of the combustion gas is recovered more easily. In addition, the heat storage member 130-1 disposed inside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can further recover and store such heat. Therefore,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furnace 100-1 having the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can be increased.

이 때, 연소가스 순환공간(150) 내측에 배치된 열저장 부재(130-1)는 만입부(110b) 표면에 부착된 열저장 부재(130-1)와는 그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버너(300)의 연소가스 발생량이 많은 경우, 열저장 부재(130-1)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그 크기를 증가시키고 더욱 많은 폐열을 수집하도록 하거나, 반대로 순환홀(112-1)의 개수를 증가시켜 연소가스의 순환속도를 상승시키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heat storage member 130-1 disposed inside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150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heat storage member 130-1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depressed portion 110b. Further, when the amount of combustion gas generated by the burner 300 is large, the size of the heat storage member 130-1 is changed to increase the size thereof and to collect more heat, or conversely, the number of the circulation holes 112-1 So as to increase the circulation speed of the combustion gas.

이와 같은 폐열 회수과정을 통해 연소가스의 폐열을 효과적으로,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The waste heat of the combustion gas can be effectively and easily recovered through the waste heat recovery proces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1-1: 조리기구
100, 100-1: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110: 내측용기 110a: 개구부
110b: 만입부 110c: 버너삽입구
111, 111-1: 배기홀 112, 112-1: 순환홀
120: 외측용기 120a: 버너수용구
120b: 배출구 130, 130-1: 열저장 부재
140: 배출관 150: 연소가스 순환공간
200: 본체 210: 열회수부
211: 수조 212: 열교환관
213: 차단판 214: 급수밸브
215: 배수밸브 220: 배기관
300: 버너 310: 버너몸체
311: 염공 320: 화염가이드부
321: 가이드홀 330: 연료공급관
331: 조절레버 A: 조리용기
1, 1-1: Cookware
100, 100-1: Oven with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110: inner container 110a: opening
110b: indentation portion 110c: burner inlet port
111, 111-1: exhaust hole 112, 112-1: circulation hole
120: outer container 120a: burner receiving port
120b: Outlet 130, 130-1: Heat storage member
140: exhaust pipe 150: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200: main body 210: heat recovery unit
211: water tank 212: heat exchanger tube
213: blocking plate 214: water valve
215: drain valve 220: exhaust pipe
300: burner 310: burner body
311: Blaze hole 320: Flame guide part
321: guide hole 330: fuel supply pipe
331: Control lever A: Cooking container

Claims (10)

상부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조리용기가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고, 상기 개구부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입되어 만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만입부의 중앙에 버너가 삽입되는 버너삽입구가 형성된 내측용기;
상기 내측용기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용기와의 사이에 밀폐된 연소가스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외측용기;
상기 만입부의 상단에 상기 내측용기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만입부와 상기 연소가스 순환공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배기홀;
상기 외측용기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연소가스 순환공간과 연통되어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내측용기의 하단에 상기 내측용기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만입부와 상기 연소가스 순환공간 사이, 및 상기 버너삽입구와 상기 연소가스 순환공간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상기 연소가스를 상기 연소가스 순환공간으로부터 상기 내측용기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순환홀을 포함하는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An inner container having an upper portion formed with an opening, a cooking container hermetically sealing the opening portion, recessed inside the opening portion to form a depressed portion, and a burner insertion port into which a burner is inserted at the center of the depressed portion;
An outer contain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to form a closed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between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formed through the inner container at the upper end of the depressed portion and connecting the depressed portion and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outer contain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to discharge the combustion gas to the outside; And
Wherein the inner container is form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inner container,
Connecting at least one of between the indentation and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and between the burner insertion port and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And a plurality of circulation holes for moving the combustion gas from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to the inner vesse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순환홀 중 하나의 면적은 상기 복수의 배기홀 중 하나의 면적보다 작은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rea of one of the plurality of circulation holes is smaller than the area of one of the plurality of exhaust ho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순환홀의 면적의 합은 상기 복수의 배기홀의 면적은 합보다 작은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m of the areas of the plurality of circulation holes has a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in which the area of the plurality of exhaust holes is less than the s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용기의 상기 만입부 또는 상기 연소가스 순환공간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용기의 열용량보다 더 큰 열용량을 갖는 열저장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배기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복수의 순환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열저장 부재와 상기 내측용기를 모두 관통하여 형성된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eat storage member coupled to the indent of the inner vessel or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and having a heat capacity greater than a heat capacity of the inner vessel,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xhaust holes 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irculation holes has a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formed through both the heat storage member and the inner contain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용기의 상기 만입부 또는 상기 연소가스 순환공간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용기의 열용량보다 더 큰 열용량을 갖는 열저장 부재를 더 포함하는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eat storage member coupled to the indentation of the inner vessel or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space and having a heat capacity greater than a heat capacity of the inner vessel,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홀은 상기 내측용기 및 상기 열저장 부재를 모두 관통하여 형성되는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exhaust hole has a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formed through both the inner container and the heat storage memb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열저장 부재는 세라믹 소재를 포함하는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heat storage member has a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including a ceramic material.
삭제delete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및
상기 버너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버너를 포함하는 조리기구.
main body;
An oven having a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coupled to the body; And
And a burner that is inserted into the burner insertion port to heat the cooking container.
KR20130014623A 2013-02-08 2013-02-08 Brazier having structure for recovering waste heat and Cooking utensil having the same KR1014801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4623A KR101480122B1 (en) 2013-02-08 2013-02-08 Brazier having structure for recovering waste heat and Cooking utensi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4623A KR101480122B1 (en) 2013-02-08 2013-02-08 Brazier having structure for recovering waste heat and Cooking utensil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217A KR20140101217A (en) 2014-08-19
KR101480122B1 true KR101480122B1 (en) 2015-01-06

Family

ID=5174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4623A KR101480122B1 (en) 2013-02-08 2013-02-08 Brazier having structure for recovering waste heat and Cooking utensil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12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316A (en) 2015-03-11 2016-09-21 김준종 Waste heat recovery type gas cooking device and heating and hot water supplying system using the same
CN108488851B (en) * 2018-02-07 2020-03-13 温州冲亚电子科技有限公司 Energy-saving environment-friendly gas furnace
CN110454816B (en) * 2019-08-29 2020-08-04 上海朗申电子科技有限公司 Waste heat recovery device for gas furn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8064A (en) * 1994-05-23 1995-12-08 Tokyo Gas Co Ltd Small gas kitchen range
JPH08327030A (en) * 1995-05-29 1996-12-10 Nakai:Kk Gas direct fired cooking stove
JP2005069546A (en) * 2003-08-22 2005-03-17 Paloma Ind Ltd Gas cooking stove
KR100936389B1 (en) 2009-02-13 2010-01-14 주식회사3차버너 Apparatus recovering heat of waste gas of rotary type soup ov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8064A (en) * 1994-05-23 1995-12-08 Tokyo Gas Co Ltd Small gas kitchen range
JPH08327030A (en) * 1995-05-29 1996-12-10 Nakai:Kk Gas direct fired cooking stove
JP2005069546A (en) * 2003-08-22 2005-03-17 Paloma Ind Ltd Gas cooking stove
KR100936389B1 (en) 2009-02-13 2010-01-14 주식회사3차버너 Apparatus recovering heat of waste gas of rotary type soup ov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217A (en) 201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80228A (en) Protable Burner
KR101480122B1 (en) Brazier having structure for recovering waste heat and Cooking utensil having the same
CN104033928B (en) Multifunctional cooking stove
KR101292519B1 (en) Cooking pot
CN105078279A (en) Energy-saving gas barbecue stove
CN201412953Y (en) Boiler
US20150253012A1 (en) Gas flow directing device for burners of cooking appliances
CN203258703U (en) Furnace basin and stove applying same
KR101782594B1 (en) stove
KR200477049Y1 (en) Gas fired cooking apparatus
US5090369A (en) Heat-absorbing/heating device with high efficiency and a supporting device therefor
KR200427243Y1 (en) Briquette boiler
JP5858555B1 (en) Wood stove and hot water supply device
KR20160109316A (en) Waste heat recovery type gas cooking device and heating and hot water supply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370062B1 (en) Cooking utensils for sealing of combustion gas
CN205535793U (en) High efficiency is gathered can stove
KR101554638B1 (en) Stove
KR101723400B1 (en) Boiler unit having a waste heat recycilng structure
US20100236421A1 (en) Fuel saving food cooker and water heater arrangement
JP2013127342A (en) Heat supply kiln
CN106016389A (en) Energy-conservatio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stove
CN217685151U (en) Waste heat circulation hot water boiler basin
CN212673206U (en) Stove burner and stove
KR100753812B1 (en) Briquette boiler
CN210568583U (en) Fire overflowing recovery device for ground soup st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