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886B1 -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기지국, 사용자 장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기지국, 사용자 장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886B1
KR101479886B1 KR1020137010529A KR20137010529A KR101479886B1 KR 101479886 B1 KR101479886 B1 KR 101479886B1 KR 1020137010529 A KR1020137010529 A KR 1020137010529A KR 20137010529 A KR20137010529 A KR 20137010529A KR 101479886 B1 KR101479886 B1 KR 101479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coexistence
base station
mod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0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6741A (ko
Inventor
레이 장
하이보 수
후아 조우
신 왕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6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2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공존 동작 모드(coexistence work mode)를 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기지국, 이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 장비 및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은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라고 요청하는 활성화 모드 요청을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 상기 공존 동작 모드에서, 상이한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각각,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기지국과 제1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통신 시스템과 상이한 제2 통신 시스템의 장치와 제2 통신을 수행하는 것;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 - 상기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설정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보존되어 있음 -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기지국, 사용자 장비 및 시스템{METHOD AND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SYSTEM FOR ACTIVATING COEXISTENCE WORK MODE}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 장비가 상이한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동시에 2개 이상의 통신 시스템의 장치와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공존 동작 모드(co-existence working mode)를 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하는 기지국, 사용자 장비 및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이동 전화 등의 사용자 장비(일명, 단말 장비)는 사람들의 생활에서 더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그의 통신 기능에 부가하여, 사용자 장비의 다른 기능[예컨대, 사용자 장비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에 액세스하는 것]이 점차적으로 늘어났다. 게다가, 사용자 장비가 다른 장치와 통신 링크 및 데이터 상호교환을 구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해, IR(infrared), 블루투스 및 USE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장비의 표준 구성의 일부가 되고 있다. 특히, 블루투스 헤드폰이 점점 더 널리 사용되고 있다. WLAN 시스템, 블루투스 시스템 등은 모두가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에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세계에서 흔히 사용되는 ISM 대역들 중 하나로서, 2400MHz 내지 2483.5MHz 대역이 또한 가장 흔히 사용되는 ISM 대역들 중 하나이다.
사용자 장비가 그의 대응하는 기지국과 통신하는 주파수 대역에 가깝거나 그의 배수인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자 장비가 다른 장치와 통신할 때, 이들 2가지 유형의 통신은 서로를 방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인 LTE(Long-Term Evolution) 시스템은 3G(IMT-2000) 이후의 시스템들 중 하나이다. LTE 시스템은 많은 주파수에서 LTE 계열 규격 [36.101]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LTE에 의해 사용되는 이들 주파수 대역 중에서, 일부는 ISM 대역, 예컨대, LTE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 배포의 경우 대역 40: 2300MHz 내지 2400MHz; LTE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 배포의 경우 대역 7: 2500MHz 내지 2570MHz(상향링크), 2620MHz 내지 2670MHz(하향링크)에 인접해 있다. LTE에 의해 사용되는 이들 주파수 대역 중에서, 일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배수, 예컨대, LTE FDD 시스템 배포의 경우 대역 13: 777MHz 내지 787MHz(상향링크), 746MHz 내지 756MHz(하향링크); 및 LTE FDD 시스템 배포의 경우 대역 14: 788MHz 내지 798MHz(상향링크), 758MHz 내지 768MHz(하향링크)이다. LTE 사용자 장비가 상기한 주파수 대역들 중 하나에서 동작할 때, 사용자 장비 상의 WLAN 시스템 또는 블루투스 시스템이 활성화되는 경우, 사용자 장비에 있는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LTE 시스템 및 ISM 시스템(WLAN 시스템, 블루투스 시스템 등)은 인접 대역 누설로 인해 서로를 방해할 수 있고, 이는 심지어 비트 에러율이 높을 때 통신 실패를 가져올지도 모른다. 사용자 장비 상의 GPS 시스템이 동시에 기동되는 경우, GPS 시스템은 LTE 시스템으로부터의 고조파 간섭으로 인해 기능하지 못할지도 모른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종래의 방법은, 인접 대역 누설 및/또는 고조파 간섭을 가능한 최대로 감소시키기 위해, 기지국(예컨대, LTE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사용자 장비 상의 전송 단말에서 및/또는 다른 장치(예컨대, ISM 시스템)와의 통신을 위한 사용자 장비 상의 전송 단말에서 고성능 전송 필터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의 단점은 사용자 장비의 단가를 상당히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일부 실시예는 공존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에 의해 2개 이상의 통신 시스템이 동일한 사용자 장비에 공존할 수 있게 해주는(즉, 사용자 장비가 상이한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동시에 2개 이상의 통신 시스템의 장치와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공존 동작 모드가 빠르게 설정될 수 있다. 게다가, 본 개시 내용의 일부 실시예는 이 방법을 사용하는 기지국, 사용자 장비 및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 내용의 한 측면에 따르면,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제1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으로, 사용자 장비가, 상이한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제1 통신을 수행하고 제1 통신 시스템과 상이한 제2 통신 시스템의 장치와 제2 통신을 수행하는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라고 요청하는 활성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구성되어 있고 사용자 장비에 저장되어 있음 - 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가 제공된다. 사용자 장비는 제1 통신 시스템에 구성되어 있고, 사용자 장비가 상이한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과 제1 통신을 수행하고 제1 통신 시스템과 상이한 제2 통신 시스템의 장치와 제2 통신을 수행하는 공존 동작 모드를 가진다.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구성되어 있는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저장 장치;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라고 요청하는 활성화 요청을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송 장치; 및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공존 모드 활성화 장치를 포함하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부터, 사용자 장비가, 상이한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제1 통신을 수행하고 제1 통신 시스템과 상이한 제2 통신 시스템의 장치와 제2 통신을 수행하고 기지국이 제2 통신에서 사용된 것과 상이한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와 통신을 수행하는 공존 동작 모드에 사용자 장비가 들어가도록 허용해주라고 요청하는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기지국은 미리 사용자 장비에 대한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를 사전 구성한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지국이 제공된다. 기지국은 제1 통신 시스템에 구성되어 있고, 사용자 장비로부터,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과 제1 통신을 수행하고 제1 통신 시스템과 상이한 제2 통신 시스템의 장치와 제2 통신을 수행하고 기지국이 제2 통신에서 사용된 것과 상이한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와 통신을 수행하는 공존 동작 모드에 사용자 장비가 들어가도록 허용해주라고 요청하는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장치; 및 미리 사용자 장비에 대한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를 사전 구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사전 구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더욱이,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는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는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형태로 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본 개시 내용의 상기한 목적, 특징 및 이점과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면 내의 구성요소가 축척대로 그려져 있지 않고, 본 개시 내용의 원리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술적 특징 및 구성요소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 1a는 사용자 장비와 기지국 사이의 제1 통신 및 사용자 장비와 다른 장치 사이의 제2 통신이 시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수행되는 시나리오를 나타낸 개략도.
도 1b는 사용자 장비와 기지국 사이의 제1 통신 및 사용자 장비와 다른 장치 사이의 제2 통신이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수행되는 시나리오를 나타낸 개략도.
도 2a는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개략 플로우차트.
도 2b는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개략 플로우차트.
도 3a는 기지국이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도 2a의 방법에 대응하는 방법의 개략 플로우차트.
도 3b는 기지국이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도 2b의 방법에 대응하는 방법의 개략 플로우차트.
도 4는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에 대해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를 사전 구성하는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에 대해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를 사전 구성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존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존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존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장비를 나타낸 개략 블록도.
도 9는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존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장비를 나타낸 개략 블록도.
도 10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존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기지국을 나타낸 개략 블록도.
도 11은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존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기지국을 나타낸 개략 블록도.
도 12는 본 개시 내용의 장비 및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 블록도.
이후부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대해 기술할 것이다. 도면들 또는 실시예들 중 하나에서 기술되는 요소 또는 특징이 다른 도면들 또는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도시된 요소 또는 특징과 결합될 수 있다. 유의할 점은, 명확함을 위해, 본 개시 내용과 관련이 없고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그러한 구성요소 및 프로세스가 도면 및 설명으로부터 생략되어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장비에서 2가지 유형의 통신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하나는 사용자 장비와 기지국 사이의 통신이고(설명의 편의상, 이 유형의 통신은 이후부터 "제1 통신"이라고 하고, 통신 시스템은 이후부터 "주 통신 시스템" 또는 "제1 통신 시스템"이라고 함), 다른 하나는 사용자 장비와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 예컨대, WLAN 시스템 내의 액세스 포인트(AP), 블루투스 또는 GPS 시스템 내의 장치 사이의 통신이다(설명의 편의상, 이 유형의 통신은 이후부터 "제2 통신"이라고 하고, 관련 통신 시스템은 이후부터 "간섭 시스템" 또는 "제2 통신 시스템"이라고 함). 제1 및 제2 통신 시스템이 동작하는 주파수 대역은 서로 인접하거나 가까이 있을 수 있거나, 주파수 대역들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이 다른 주파수 대역의 배수이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시스템 및 제2 통신 시스템은 LTE 시스템 및 ISM 시스템이거나, LTE 시스템 및 GPS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통신 시스템이 인접 채널 누설 및/또는 고조파 간섭으로 인해 서로 간섭할 수 있는 상황이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발명자들은 제1 통신 및 제2 통신이 시분할 다중화(TDM) 방식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방식으로 수행됨으로써 이러한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도 1a는 제1 통신 및 제2 통신이 TDM 방식으로 수행되는 시나리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영역에서, 제1 통신 시스템 및 제2 통신 시스템이 상이한 시간 슬롯에서 동작한다. 즉, TDM 방식에서, 사용자 장비는, 제1 통신 시스템의 장치와 제1 통신을 수행하는 기간 동안, 제2 통신 시스템의 장치와 제2 통신을 수행하도록 허용되어 있지 않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도 1b는 제1 통신 및 제2 통신이 FDM 방식으로 수행되는 시나리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통신의 동작 주파수 대역은 서로 가능한 한 멀리 있고 및/또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이 다른 주파수 대역의 배수가 아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3개 이상의 통신 시스템이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한 사용자 장비에 공존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서, 2개 이상의 통신 시스템이 동일한 사용자 장비에 공존하도록 허용하는 동작 모드, 즉 사용자 장비가 상이한 시간 또는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제1 통신을 수행하고 간섭 시스템 내의 장치와 제2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 모드를 공존 동작 모드라고 한다. 상이한 유형의 주 통신 시스템 및 간섭 시스템에 따라, 다양한 공존 동작 모드가 이들 상이한 유형에 적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TDM-기반 공존 동작 모드가 제공될 수 있고, 이들은 상이한 시간 자원 할당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FDM-기반 공존 동작 모드가 또한 제공될 수 있고, 이들은 상이한 주파수 자원 할당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는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은 공존 동작 모드를 빠르게 설정(활성화)하는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 장비, 기지국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2a는 제1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를 설정(활성화)하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개략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방법에서,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구성된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를 저장하고,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갈 필요가 있을 때(예컨대, 간섭 시스템을 검출할 시에)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라고 요청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단계(205) 및 단계(21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계(205)에서,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갈 필요가 있을 때(예컨대, 제1 통신 시스템이 동작하는 주파수 대역에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제2 통신 시스템을 검출한 후에), 사용자 장비는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라고 요청하는 활성화 요청을 제1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한 예로서,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에 대해 하나의 공존 동작 모드 및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를 사전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에, 공존 동작 모드는 기본 공존 동작 모드이다. 다른 예로서,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에 대해 2개 이상의 공존 동작 모드 및 각각의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를 사전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에, 공존 동작 모드들 중 하나가 기본 공존 동작 모드로서 설정될 수 있다.
한 예로서,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공존 동작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선택된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복수의 사전 구성된 동작 모드에 번호가 부여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정보가 선택된 모드의 일련 번호를 포함할 수 있음)를 활성화 요청에 캡슐화하고 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활성화 요청은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에, 사용자 장비가 들어가라고 요청하는 공존 동작 모드는 기본값으로서 사전 구성된 기본 공존 동작 모드이다.
단계(215)에서,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구성되어 있는 저장된 구성 정보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될 공존 동작 모드는 기본 공존 동작 모드 또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선택된 공존 동작 모드(기지국은 활성화 요청을 통해 이를 통지받음)일 수 있다. 한 예로서,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측으로부터 반환된 정보에 따라 기지국이 활성화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활성화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예컨대, 기지국이 활성화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다는 것을 알려주는, 기지국으로부터 반환된 확인 응답 신호(즉, ACK 신호)의 수신 시에, 단계(215)가 수행된다. 기지국측으로부터 반환된 NACK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는 활성화 요청의 전송의 실패를 나타낸다.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 장비는 활성화 요청을 재전송할 수 있다.
도 3a는 기지국이 공존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도 2a에 도시된 방법에 대응하는 방법의 개략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단계(305) 및 단계(301)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01)는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에 대해 공존 동작 모드 및 구성 정보를 사전 구성하는 단계이다. 한 예로서, 이 단계는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의 설정 동안에 일어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 단계는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RRC 연결의 재구성 동안에 일어날 수 있다. 도 4 및 도 5 각각은 이들 예 중 하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UE)(410)는, RRC_idle 상태로부터 RRC_Connected 상태에 들어갈 때, RRC 연결 요청을 기지국(E_UTRAN)(420)으로 전송한다[단계(401-1)에 나타냄]. 기지국은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를 RRC 연결 설정 메시지에 캡슐화하고 이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한다[단계(401-2)]. 사용자 장비는 RRC 연결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반환하여[단계(401-3)], 구성 정보의 수신을 확인해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510)가 RRC_Connected 상태에 있을 때, 기지국(520)이 간섭 주파수 대역(예컨대, ISM)에서 네트워크의 활성화를 검출하고 따라서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를 필요로 할지도 모른다고 판단하는 경우, 기지국(520)은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를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캡슐화하고, 이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한다[단계(501-4)]. 사용자 장비는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반환하여[단계(501-5)], 구성 정보의 수신을 확인해줄 수 있다.
상기한 공존 동작 모드의 사전 구성 방법이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전수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과 공존 동작 모드에 관계된 정보가 임의의 다른 적당한 타이밍에서 임의의 다른 적당한 방법을 사용하여 사전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단계(305)는 도 2a와 관련하여 기술된 단계(205)에 대응한다. 단계(305)에서,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활성화 요청을 수신한다. 활성화 요청을 수신한 후에,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할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따라서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에서 필요한 그 자원들에 대해 대응하는 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활성화 요청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선택된 공존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가 선택된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게 될 것임을 알게 되고, 저장된 구성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활성화 요청은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에,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가 사전 구성된 기본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게 될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한 예로서, 기지국이 활성화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후에, 활성화 요청이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확인 응답 신호(예컨대, 활성화 요청이 올바르게 수신되는 경우 ACK 신호, 및 그렇지 않은 경우, NACK 신호)가 기지국측으로부터 사용자 장비로 반환될 수 있다.
도 2b는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를 설정(활성화)하는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개략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에 도시된 방법에서, 활성화 요청을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에, 사용자 장비는 활성화 요청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반환된 응답 신호(일명 활성화 응답)를 기다릴 필요가 있고, 활성화 응답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킨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단계(205', 209' 및 215')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05')는 단계(205)와 유사하고,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갈 필요가 있을 때(예컨대, 제1 통신 시스템이 동작하는 주파수 대역에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제2 통신 시스템을 검출한 후에), 사용자 장비는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라고 요청하는 활성화 요청을 제1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기 실시예와 유사하게, 활성화 요청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선택된 공존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209')에서,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으로부터 활성화 응답을 수신한다. 단계(215')에서,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구성되어 있는 저장된 구성 정보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킨다. 한 예로서, 활성화될 공존 동작 모드는 기본 공존 동작 모드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활성화될 공존 동작 모드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선택된 공존 동작 모드(기지국은 활성화 요청을 통해 이를 통지받음)일 수 있다. 한 예로서, 활성화 응답은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도록 허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 장비는 활성화 응답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허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허용되어 있는 경우, 단계(215')의 프로세스가 수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공존 동작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활성화 응답은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대해 지정된 공존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 장비는, 단계(215')에서, 대응하는 저장된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지정된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킨다.
도 3b는 기지국이 공존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도 2b에 도시된 방법에 대응하는 방법의 개략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단계(305', 309',및 301')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01')는, 단계(301)와 유사한,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에 대해 공존 동작 모드 및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를 사전 구성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단계(305') 및 단계(309')는, 각각, 도 2b와 관련하여 기술된 단계(205') 및 단계(209')에 대응한다. 단계(305')에서,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활성화 요청을 수신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활성화 요청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선택된 공존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309')에서, 기지국은 활성화 응답을 사용자 장비로 반환한다.
한 예로서, 활성화 요청을 수신한 후에, 기지국은 시스템 동작 상태[현재 셀의 상태(예컨대, 현재 자원 사용의 상태)] 및 사용자 장비의 상태(예컨대, 사용자 장비에서의 현재 서비스)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도록 허용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허용해야 하는 경우,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활성화 응답에 캡슐화한다. 다른 예로서,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에 대한 공존 동작 모드를 지정하고, 사용자 장비에 대해 지정된 공존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예컨대, 이 정보를 활성화 응답에 캡슐화하여) 사용자 장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는 사용자 장비에서 사전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갈 필요가 있을 때, 공존 동작 모드를 더 이상 구성할 필요가 없고, 이는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데 필요한 시간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에 빠르게 들어갈 수 있게 해줌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 장비(610) 및 기지국(620)이 공존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 시스템을 검출할 시에[단계(603)], 사용자 장비는 활성화 요청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605)]. 기지국(620)이 활성화 요청을 올바르게 수신한 후에, ACK 신호가 기지국측으로부터 사용자 장비(610)로 반환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구성된 구성 정보가 2개 이상의 공존 동작 모드를 포함할 때, 사용자 장비는, 활성화 요청을 전송하기 전에, 이들 공존 동작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단계(604)]. 사용자 장비는 또한 선택된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예컨대, 모드의 일련 번호)를 활성화 요청에 캡슐화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복수의 공존 동작 모드가 구성될 때, 사용자 장비는 간섭 시스템의 유형 등의 정보에 따라 간섭 시스템에 적합한 공존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공존 동작 모드 하에서의 통신을 향상시킨다. 다른 특정의 예로서, 활성화 요청은 사용자 장비(610)에 의해 선택된 공존 모드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ACK 신호를 수신한 후에, 사용자 장비(610)는 곧바로 기본 공존 동작 모드 또는 단계(604)에서 선택된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갈 수 있다. NACK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활성화 요청의 전송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 장비(610)는 활성화 요청을 재전송한다.
상기 예에서, 기지국은 활성화 요청을 수신한 후에 하나의 확인 응답 신호를 반환하기만 하면 되고,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으로부터 ACK 신호를 수신한 후에 공존 동작 모드를 직접 활성화시킨다. 이 방법은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상호작용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따라서 공존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활성화 요청은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예로서, 활성화 요청이 단지 하나의 비트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비트에 할당된 "1" 또는 "0"은 사용자 장비가 공존 모드에 들어가기를 요청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 비트는 인코딩 또는 변조될 수 있고, 따라서 다중-비트 정보 또는 복잡한 심볼로 변환될 수 있다.. 특정의 예로서, 활성화 요청은 물리 계층을 통해 사용자 장비(610)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시스템이 LTE 시스템일 때, LTE 표준에 기초한 새로운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형식["PUCCH 형식 3(PUCCH Format 3)"이라고 할 수 있음]이 활성화 요청을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시스템은 PUCCH 형식 3에 대한 영역(PUCCH 영역)을 사전 할당할 수 있다. 간섭 시스템을 검출한 후에(즉,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갈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 장비(610)는, 사용자 장비(610)에 할당된 처음으로 나타나는 PUCCH가 무슨 정보를 전달하기로 되어 있는지에 관계없이, PUCCH를 사용하여 상기 정보 대신에 활성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예컨대, 활성화 요청은 하나의 비트를 포함함).
다른 특정의 예로서, 활성화 요청은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을 통해 사용자 장비(610)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시스템이 LTE 시스템일 때, LTE 표준에 기초하여 새로운 MAC 제어 요소가 정의될 수 있다: CoEX MAC CE. 특정의 예로서, CoEX MAC CE에 대해 새로운 LCID 값이 정의될 수 있다(예를 들어, LCID 값이 "01011"일 수 있음). 사용자 장비(610)가 활성화 요청을 전송할 필요가 있을 때, 다음과 같은 MAC 서브헤더가 MAC PDU(packet data unit)에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13036351310-pct00001
여기서,
R은 '0'으로 설정될 수 있는 예약 비트이고;
E는 MAC 헤더에 다른 필드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인 확장 필드이다. E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R/R/E/LCID 필드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E가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은 MAC SDU(service data unit), MAC 제어 요소가 있거나, 그 다음 바이트에서 패딩(padding)이 시작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LCID=01011은 대응하는 MAC 제어 요소(MAC CE)가 CoEX MAC CE라는 것을 나타낸다.
앞서 나타낸 MAC 서브헤더에 대응하는 CoEX MAC CE의 길이는 0(단위: 바이트)이다.
LCID=01011을 갖는 MAC 서브헤더의 수신 시에,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라고 요청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RRC 계층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에 비해, MAC 계층 시그널링을 사용하는 것은 공존 동작 모드를 더 빠르게 활성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MAC 계층 시그널링이 또한 대응하는 HARQ(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프로세스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공존 모드의 활성화 시그널링의 신뢰성이 고도로 보장될 수 있다.
한 예로서, 기지국(620)에 의해 사용자 장비(610)에 대해 사전 구성된 각각의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는 공존 동작 모드의 시작 지연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 장비(610)는 ACK 신호가 수신되는 시간 및 시작 지연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의 시작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612)]. 기지국(620)는 ACK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 및 시작 지연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를 시작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618)].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은 시작 지연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는 시간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공존 동작 모드의 설정 동안의 정보 상호작용이 감소될 수 있도록 시작 지연이 사전 구성된 구성 정보에 포함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공존 동작 모드의 설정이 빨라질 수 있다.
한 예로서, 기지국(620)에 의해 사용자 장비(610)에 대해 사전 구성된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는 각각의 공존 모드의 천이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공존 동작 모드의 천이 시간은 공존 동작 모드가 활성화되거나 종료된 후에 이전의 동작 모드가 유지되는 기간을 말한다. 예를 들어, 공존 동작 모드가 TDM-기반 모드인 경우에,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기 전에, 보통의 동작 모드(사용자 장비가 기지국과만 통신하는 동작 모드)에서 전송되는 일부 데이터가 여전히 HARQ 정보 상호작용을 가질 수 있거나, 여전히 재전송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천이 시간이 공존 동작 모드를 실시하기 전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이는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보통의 동작 모드에서 완료될 수 있게 해준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를 종료하라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명령을 수신한 후에, 공존 동작 모드에서 전송된 일부 데이터는 여전히 HARQ 정보 상호작용을 가질 수 있거나 여전히 재전송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천이 시간이 보통의 동작 모드를 복원하기 전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 있고, 이는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공존 동작 모드에서 완료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각각의 공존 동작 모드에 대해 적당한 천이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특정의 예로서, 기지국(620)에 의해 사용자 장비(610)에 대해 사전 구성된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는 천이 시간을 사용할지 여부, 천이 시간의 길이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 장비(610)는, 구성 정보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킨 후에 천이 시간을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613)]. 기지국(620)은 또한, 구성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킨 후에 천이 시간을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619)]. 선택적으로, 사용자 장비는 또한,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를 종료하기 전에 천이 시간을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천이 시간의 길이가 실제의 응용 시나리오에 따라 정의될 수 있고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각각의 공존 동작 모드에 대한 천이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동작 모드들 사이의 천이 동안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 및 시그널링이 보장될 수 있고, 따라서 동작 모드들 사이의 매끄러운 천이를 보장해준다. 각각의 공존 동작 모드의 천이 시간의 정보를 사전 구성된 구성 정보에 포함시킴으로써, 공존 동작 모드의 활성화 동안의 정보 상호작용이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공존 동작 모드의 활성화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 장비(610) 및 기지국(620)이 공존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다른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 시스템을 검출할 시에[단계(703)], 사용자 장비(610)는 활성화 요청을 기지국(620)으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605)]. 도 6에 도시된 예와 유사하게,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구성된 구성 정보가 2개 이상의 공존 동작 모드를 포함할 때, 사용자 장비(610)는, 활성화 요청을 전송하기 전에, 이들 공존 동작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단계(704)]. 사용자 장비는 선택된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활성화 요청에 캡슐화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활성화 요청은 사용자 장비(710)에 의해 선택된 공존 모드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활성화 요청을 수신한 후에, 기지국(620)은 시스템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610)가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도록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706)], 활성화 응답 신호를 반환한다[단계(709)]. 활성화 응답 신호는 사용자 장비(610)가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도록 허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한 예로서, 기지국(620)은 기본 공존 동작 모드 또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선택된 공존 동작 모드를 사용하기로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지국(620)은 시스템 정보에 따라 사전 구성된 공존 동작 모드들 중에서 사용자 장비에 대한 공존 동작 모드를 재선택할 수 있고, 활성화 응답을 통해 상기 공존 동작 모드를 사용자 장비(610)에 통지한다.
사용자 장비(610)가 성공적으로 활성화 응답을 수신한 후에, 사용자 장비가 활성화 응답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다는 것을 사용자가 나타내는 확인 응답 신호(예컨대, ACK 신호)가 사용자 장비측으로부터 기지국으로 반환된다.
이어서, 사용자 장비(610)는 활성화 응답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도록 허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711)], 허용되어 있는 경우,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단계(715)로 나타내어져 있음]가 수행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활성화의 요청이 종료된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활성화 요청을 수신한 후에, 기지국(620)은 현재 셀의 상태(예컨대, 현재 자원 사용의 상태) 및 사용자 장비 상태(예컨대, 사용자 장비 상의 현재 서비스)에 따라 사용자 장비(610)가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도록 허용해야 하는지를 판단한다. 사용자 장비(610)는 활성화 응답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도록 허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방법에서, 기지국은 실제의 시스템 동작 상태에 따라 동작하여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방법은 주 통신 시스템의 보통의 동작을 보장해줄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어떤 구체적인 예에서, 기지국(620)은 주 통신 시스템의 실제의 시스템 동작 상태와 함께 간섭 시스템의 유형에 따라 가장 적합한 공존 동작 모드를 재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만이 자체적으로 공존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선택된 공존 동작 모드는 의심할 여지 없이 전체 시스템 요구사항에 더 적합하다.
특정의 예로서, 사용자 장비(610)는 RRC 계층을 통해 활성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통신 시스템이 LTE 시스템일 때, RRC_CoEX_Activition_Request로 표현되는 RRC 명령이 LTE 표준에 기초하여 새로 부가될 수 있다. 명령의 형식은 다음과 같을 수 있고:
RRC_CoEX_Activition_Request:
Mode:(mode1, mode2, mode3,…, modeN)
여기서 mode1, mode2, mode3,…, modeN 각각은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구성된 N(N≥1)개의 공존 동작 모드 중 하나를 나타내고, Mode:(mode1, mode2, mode3,…, modeN)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선택된 공존 동작 모드의 일련 번호를 나타낸다.
더욱이, 예를 들어, 주 통신 시스템이 LTE 시스템일 때, 기지국은 활성화 응답을 RRC 계층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RRC_CoEX_Activition_Response"로 표현될 수 있는 RRC 명령이 LTE 표준에 기초하여 새로 부가될 수 있다. 명령의 형식은 다음과 같을 수 있고:
State:(accept, reject)
Mode:(mode1, mode2, mode3,…, modeN)
여기서 State:(accept, reject)는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도록 허용되어 있는지 거부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고, Mode:(mode1, mode2, mode3,…, modeN)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대해 선택된 공존 동작 모드의 일련 번호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예와 유사하게,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기지국(620)에 의해 사용자 장비(610)에 대해 사전 구성된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는 또한 공존 동작 모드의 시작 지연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610)는 활성화 응답이 성공적으로 수신된 시간(예컨대, 사용자 장비가 활성화 응답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 응답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 및 시작 지연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의 시작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712)]. 기지국(620)은 사용자 장비가 활성화 응답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시간 및 시작 지연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를 시작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고[단계(718)], 그로써 사용자 장비와의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장비(610)는, 구성 정보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킨 후에 천이 시간을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713)]. 기지국(620)은 또한, 구성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킨 후에 천이 시간을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719)]. 선택적으로, 사용자 장비는 또한,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를 종료하기 전에 천이 시간을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시스템에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장비의 개략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810)는 수신 장치(812), 공존 모드 활성화 장치(814), 전송 장치(816) 및 저장 장치(818)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818)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구성되어 있는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예와 유사하게, 저장 장치(818)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구성된 하나 이상의 공존 동작 모드 및 그의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장치(816)는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갈 필요가 있을 때(예컨대, 간섭 시스템을 검출할 시에)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라고 요청하는 활성화 요청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예와 유사하게, 전송 장치는 MAC 계층 시그널링 또는 RRC 계층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활성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특정의 실시예에서, 수신 장치(812)는 기지국이 활성화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기지국측으로부터 반환되는 확인 응답 신호(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ACK 또는 NACK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 장치(812)가 ACK 신호를 수신한 후에, 공존 모드 활성화 장치(814)는 저장 장치(818)에 저장된 구성 정보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킨다. NACK 신호가 수신될 때, 이는 활성화 요청의 전송의 실패를 나타내고, 공존 모드 활성화 장치(814)는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지 않는다.
다른 특정의 예에서, 수신 장치(812)는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반환되는 활성화 응답 메시지(예컨대, 도 3a 및 도 7과 관련하여 기술된 활성화 응답)를 수신할 수 있다. 공존 모드 활성화 장치(814)는 수신 장치(812)가 활성화 응답을 수신할 때 사전 구성된 구성 정보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킨다.
앞서 기술된 방법 예와 유사하게, 활성화 응답은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도록 허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공존 모드 활성화 장치(814)는 응답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허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활성화 응답은 또한 기지국에 의해 지정된 공존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공존 모드 활성화 장치(814)는 기지국에 의해 지정된 공존 동작 모드를 획득하기 위해 활성화 응답을 파싱하고, 지정된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구조에서, 사용자 장비(810)는 공존 동작 모드에 빠르게 들어갈 수 있다.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가 사전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시간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고, 그로써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시스템에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장비의 개략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장비(810)와 유사하게, 장비(910)는 또한 수신 장치(912), 공존 모드 활성화 장치(914), 전송 장치(916) 및 저장 장치(918)를 포함할 수 있다. 차이점은 장비(910)가 공존 모드 선택 장치(920)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수신 장치(912), 공존 모드 활성화 장치(914), 전송 장치(916), 및 저장 장치(918)가, 각각, 도 8에 도시된 대응하는 장치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공존 모드 선택 장치(920)는, 간섭 시스템의 유형 및 구성에 따라 그리고 저장 장치(918)에 저장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구성된 복수의 공존 동작 모드 중에서 공존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된 공존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전송 장치(916)에 의해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 예로서, 공존 모드 선택 장치(920)는 선택된 공존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활성화 요청에 캡슐화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방법 실시예/예와 유사하게,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810 또는 910)에 대해 사전 구성된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는 공존 동작 모드의 시작 지연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앞서 기술된 방법 실시예/예와 유사하게, 공존 모드 활성화 장치(814 또는 914)는 수신 장치(812)가 기지국이 활성화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 및 시작 지연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의 시작 시간을 결정하거나, 전송 장치(816/916)가 사용자 장비가 활성화 응답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 응답 신호를 기지국으로 반환하는 시간 및 시작 지연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의 시작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앞서 기술된 방법 실시예/예와 유사하게,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810 또는 910)에 대해 사전 구성된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는 또한 각각의 공존 동작 모드가 활성화 또는 종료된 후에 천이 시간을 사용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천이 시간의 길이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공존 모드 활성화 장치(814 또는 914)는,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 또는 종료한 후에 천이 시간을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시스템에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의 개략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020)은 수신 장치(1022), 전송 장치(1024), 및 사전 구성 장치(102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장치(1022)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활성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예와 유사하게, 수신 장치(1022)는 MAC 계층 또는 RRC 계층을 통해 활성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특정의 실시예에서, 전송 장치(1024)는, 수신 장치(1022)가 활성화 요청을 수신할 때, 기지국이 활성화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확인 응답 신호(예컨대, ACK 또는 NACK 신호)를 사용자 장비로 반환할 수 있다. 다른 특정의 실시예로서, 전송 장치(1024)는 또한, 수신 장치(1022)가 활성화 요청을 수신할 때,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 신호(일명 활성화 응답)를 사용자 장비로 반환할 수 있다. 한 예로서, 활성화 응답은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된 정보(예컨대, 도 7과 관련하여 도시된 활성화 응답)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활성화 응답은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대해 지정된 공존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장치(1024)는 RRC 계층을 통해 활성화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사전 구성 장치(1026)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를 사전 구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정의 예로서, 사전 구성 장치(1026)는 도 4 또는 도 5와 관련하여 도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한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를 사전 구성할 수 있다. 더욱이, 사전 구성 장치(1026)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하나 이상의 공존 동작 모드 및 그의 구성 정보를 사전 구성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기지국의 사용은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에 빠르게 들어갈 수 있게 해준다.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가 사전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시간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고, 그로써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시스템에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의 개략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기지국(1020)과 유사하게, 기지국(1120)은 또한 수신 장치(1122), 전송 장치(1124), 및 사전 구성 장치(1126)를 포함할 수 있다. 차이점은 기지국(1120)이 모드 제어 장치(1128)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수신 장치(1122), 전송 장치(1124), 및 사전 구성 장치(1126)가, 각각, 도 10과 관련하여 도시된 대응하는 장치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모드 제어 장치(1128)는 수신 장치(1122)가 활성화 요청을 수신한 후에, 사용자 장비가 시스템 정보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송 장치(1126)는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허용할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반환한다. 한 예로서, 모드 제어 장치(1128)는 또한 사용자 장비가 들어가도록 허용되어 있는 공존 동작 모드를 재선택할 수 있다. 전송 장치(1126)는 선택된 공존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예컨대, 이를 활성화 응답에 캡슐화함으로써) 사용자 장비로 반환한다.
앞서 기술된 방법 실시예/예와 유사하게, 사전 구성 장치(1126)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구성된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는 공존 동작 모드의 시작 지연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드 제어 장치는 사전 구성 장치(1126)가 기지국이 활성화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때 또는 수신 장치(1122)가 사용자 장비가 활성화 응답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 및 시작 지연에 따라 공존 동작 모드의 시작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앞서 기술된 방법 실시예/예와 유사하게, 사전 구성 장치(1126)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구성된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는 또한 각각의 공존 동작 모드가 활성화 또는 종료된 후에 천이 시간을 사용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천이 시간의 길이의 정보 등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드 제어 장치는,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거나 수신한 후에 천이 시간을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지국[예컨대, 사전 구성 장치(1126)]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구성된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의 몇몇 예가 이하에 주어져 있다.
제1 예
이 예에서,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구성된 구성 정보가 하기의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 공존 모드의 시작 지연;
2. 기본 공존 동작 모드의 일련 번호(단지 하나의 기본 공존 동작 모드만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 및
3. 사용자 장비가 사용하도록 허용되어 있는 모든 적용가능한 공존 동작 모드의 일련 번호.
상기 정보에서, 항목 1 및 항목 3은 상호 배타적이다 - 즉, 기지국이 항목 2의 정보를 구성하는 경우, 기지국은 항목 3의 정보를 구성하지 않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
특정의 예로서, 공존 동작 모드의 시작 지연은 서브프레임의 수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통신 시스템이 LTE 시스템일 때,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방법에서,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이 활성화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 응답 신호(예컨대, ACK 신호)를 기지국측으로부터 수신하는 시간으로부터의 지연을 계산할 수 있고, 기지국은 확인 응답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으로부터의 지연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연이 a개의 서브프레임(a≥1)이고 사용자 장비가 제n 서브프레임(n≥1)에서 ACK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제(n+a+1) 서브프레임은 공존 동작 모드가 실시되는 첫번째 서브프레임이다 - 즉, 공존 동작 모드가 제(n+a+1) 서브프레임에서 시작한다 -.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방법에서,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가, 사용자 장비가 활성화 응답 신호를 성공적으로 수신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 응답 신호(예컨대, 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시간으로부터의 지연을 계산할 수 있고, 기지국은 확인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으로부터의 지연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연이 a개의 서브프레임이고 사용자 장비가 제n 서브프레임에서 ACK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제(n+a+1) 서브프레임은 공존 동작 모드가 실시되는 첫번째 서브프레임이다 - 즉, 공존 동작 모드가 제(n+a+1) 서브프레임에서 시작한다 -.
다른 특정의 예로서, 공존 모드의 시작 지연이 일련 번호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순서에 따라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복수의 지연값(즉, 지연된 서브프레임의 수)이 미리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 정보 또는 실제의 전송에서, 대응하는 지연값의 일련 번호만 전송되면 된다.
공존 동작 모드가 TDM-기반이고 시분할 다중화가 기간의 형태로 구현될 때, 각각의 기간이 제1 통신 시스템(예컨대, LTE) 동작 시간 및 제2 통신 시스템(예컨대, ISM) 동작 시간을 포함하도록 기간이 정의될 수 있다(기간에서, 제1 통신 시스템에 대한 동작 시간이 연속적이지 않을 수 있고, 제2 통신 시스템에 대한 동작 시간도 역시 연속적이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공존 동작 모드의 시작 지연은 하나의 비트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존 동작 모드의 시작 지연의 비트가 0인 경우, 이는 공존 동작 모드가 즉각 시작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공존 동작 모드의 시작 지연의 비트가 1인 경우, 이는 공존 모드의 새로운 전체 기간이 시작될 때까지 공존 모드가 시작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방법에서, 공존 모드의 시작 지연의 비트가 0인 경우,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으로부터 ACK 신호를 수신한 후에 공존 모드가 시작된다. 공존 모드의 시작 지연의 비트가 1인 경우,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으로부터 ACK 신호를 수신한 후 첫번째 전체 기간의 시작에서 공존 모드가 시작된다.
제2 예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에 대한 하나의 공존 동작 모드를 사전 구성하는 경우에, 그 모드의 구성 정보는 하기의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 공존 동작 모드의 시작 지연;
2. 공존 동작 모드가 TDM-기반인지 FDM-기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3. 공존 동작 모드가 TDM-기반일 때 하기의 항목들 중 하나 이상:
a. 공존 동작 모드의 기간(제1 통신의 동작 시간 및 제2 통신의 동작 시간을 포함함);
b. 하나의 기간에서의 제2 통신 시스템의 동작 시간에 대한 제1 통신 시스템의 동작 시간의 비;
c. 하나의 기간에서의 제1 통신 시스템의 동작 시간;
d. 공존 동작 모드의 일련 번호;
e. 공존 동작 모드가 시작하기 전에 또는 공존 동작 모드가 끝난 후에 천이 시간을 사용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f. 천이 시간의 길이.
4. 공존 동작 모드가 FDM-기반일 때 하기의 항목들 중 하나 이상:
g. 제1 통신 시스템(예컨대, LTE)의 상향링크 PUCCH 전송 모드;
h. FDM 공존 동작 모드의 일련 번호.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용자 장비가 사용하도록 허용되어 있는 복수의 적용가능한 공존 동작 모드를 사전 구성하는 경우에, 각각의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고:
i. 공존 동작 모드의 일련 번호.
여기서 공존 동작 모드의 일련 번호는 복수의 적용가능한 공존 모드 중에서 현재 구성되어 있는 공존 동작 모드의 일련 번호이고, 이 일련 번호가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일시적으로 합의된다.
상기 정보의 구체적인 예가 이하에 기술되어 있다.
시작 지연
제2 예에서의 시작 지연은 제1 예에서의 시작 지연의 형식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는 생략되어 있다.
공존 동작 모드가 TDM-기반인지 FDM-기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공존 동작 모드가 TDM-기반인지 FDM-기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하나의 비트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 0은 TDM 방식의 사용을 나타내는 반면, 비트 1은 FDM 방식의 사용을 나타낸다.
기간
공존 동작 모드가 TDM-기반일 때, 구성 정보는 모드의 기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시스템이 LTE 시스템이고 제2 통신 시스템이 ISM 시스템일 때, 하나의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기간에 관한 정보는 기간의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기간의 길이가 서브프레임의 수이거나 하나의 기간에 포함될 수 있다. 기간의 길이가 프레임의 정수배(즉, 10개의 서브프레임의 정수배)인 경우, 각각의 기간은 기본값으로서 프레임의 첫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시작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간이 프레임의 첫번째 서브프레임으로부터 계산되지 않을 수 있다. 어느 서브프레임에서 시작하는지에 관계없이, 복수의 서브프레임 - 그의 수가 기간의 길이에 대응함 - 이 하나의 기간을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TDM-기반 공존 모드의 기간의 정보는 또한 기간의 길이 및 기간의 시작 오프셋을 포함할 수 있다. 기간의 길이는 하나의 기간에 포함된 서브프레임 또는 프레임의 수를 말한다. 기간의 길이가 프레임의 정수배(즉, 10개의 서브프레임의 정수배)인 경우, 각각의 기간이 프레임 내의 특정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시작하도록 기간의 시작 오프셋이 정의될 수 있다.
구성 정보에서, 기간의 길이 및 공존 모드의 기간의 시작 오프셋이 특정의 서브프레임 수 또는 프레임 수로 표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수의 적용가능한 경우가 미리 정의될 수 있고, 어떤 순서에 따라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즉, 기간의 길이 및 공존 모드의 기간의 시작 오프셋이 일련 번호로 표현될 수 있다.
하나의 기간에서 2개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 시간 사이의 비
하나의 기간에서의 제2 통신 시스템의 동작 시간에 대한 제1 통신 시스템의 동작 시간의 비가 특정의 비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 비는 또한 2개의 서브프레임 수(즉, 각각의 기간에서 2개의 통신 시스템 각각의 동작 시간의 서브프레임의 수)로 표현될 수 있다.
기간의 길이가 사전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제2 통신 시스템의 동작 시간에 대한 제1 통신 시스템의 동작 시간의 비가 각각의 기간에서의 제1 통신 시스템의 동작 시간의 서브프레임 수로서 구현될 수 있다.
2개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 시간 사이의 비가 일련 번호로 표현될 수 있다. 몇몇 적용가능한 비 값이 미리 정의될 수 있고, 어떤 순서에 따라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1 통신 시스템(즉, LTE 표준)에서, LTE 동작 시간 및 ISM 동작 시간의 TDM-기반 할당 방식이 각각의 비에 대해 미리 정의되는 경우, 어느 TDM-기반 할당 방식이 채택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한 비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통신 시스템이 정규의 시간 할당 방식을 사용하고 각각의 기간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제1 통신 시스템의 특정의 동작 시간 및 제2 통신 시스템의 특정의 동작 시간을 표현하는 데 상기 비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소위 정규의 시간 할당 방식은, 하나의 기간에서, 제1 통신 시스템의 동작 시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이 서로 연속적이고 제2 통신 시스템의 동작 시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도 역시 서로 연속적인(즉, 하나의 기간이 2개의 부분으로 규칙적으로 나누어짐) 시간 할당 방식이다.
하나의 기간에서의 제1 통신 시스템의 동작 시간;
예를 들어, 제1 통신 시스템이 LTE 시스템이고 제2 통신 시스템이 ISM 시스템일 때, LTE 시스템이 LTE 동작 시간 및 ISM 동작 시간에 대한 정규의 시간 할당 방식을 사용하고 하나의 기간에서의 ISM 동작 시간에 대한 LTE 동작 시간의 비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기간에서의 LTE의 동작 시간은 LTE가 하나의 기간에서 제1 정규의 동작 시간 또는 제2 정규의 동작 시간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는 하나의 비트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가 0일 때, 이는 하나의 기간에서 LTE가 ISM 이전에 동작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반면, 비트가 1일 때, 이는 하나의 기간에서 ISM이 LTE 이전에 동작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하나의 기간에서의 LTE의 동작 시간은 또한 하나의 기간에서 LTE가 동작하는 특정의 서브프레임으로서 표현될 수 있다. 이 정보는 비트맵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110111000"은 기간의 길이가 10개의 서브프레임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고, LTE의 동작 서브프레임은 제1, 제2, 제4, 제5 및 제6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반면, ISM의 동작 프레임은 기간에서의 나머지 서브프레임이다. 하나의 기간에서의 LTE의 동작 시간이 또한 특정의 서브프레임의 번호로서 표현될 수 있다.
LTE가, LTE 동작 시간과 ISM 동작 시간 사이의 비를 구성하는 일 없이, LTE 시간 및 ISM 시간에 대해 정규의 시간 할당 방식을 사용할 때, 하나의 기간에서의 LTE의 동작 시간이 2개의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1 값은 LTE가 하나의 기간에서 제1 정규의 동작 시간 또는 제2 정규의 동작 시간을 사용해야만 하는지를 나타내는 부울 값일 수 있다(즉, 비트 0 또는 비트 1을 사용함). 제2 값은 제1 정규의 동작 시간의 마지막 서브프레임 또는 제2 정규의 동작 시간의 첫번째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의 일련 번호일 수 있다. LTE가 이 경우에 제1 정규의 동작 시간에서 또는 제2 정규의 동작 시간에서 동작할 것으로 사전 정의하면, 하나의 기간에서의 LTE의 동작 시간도 역시 제1 정규의 동작 시간의 마지막 서브프레임 또는 제2 정규의 동작 시간의 첫번째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의 일련 번호로 표현될 수 있다.
공존 동작 모드가 시작하기 전에 또는 공존 동작 모드가 끝난 후에 천이 시간을 사용할지 여부를 나타냄
공존 동작 모드가 시작하기 전에 또는 공존 동작 모드가 끝난 후에 천이 시간을 사용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하나 이상의 비트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가 하나의 비트로 표현될 때, 비트 0는 천이 시간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 - 즉, 공존 모드에 들어간 후에, 모든 불완전한 데이터 전송이 바로 종료되고 공존 모드에 들어간 후에 재분배 또는 재전송되기를 기다린다 -, 비트 1은 천이 시간이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정보가 2개의 비트로 표현될 때, 하나의 비트는 공존 모드에 들어가기 전에 천이 시간을 사용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다른 비트는 공존 모드를 종료시키는 명령이 수신된 후에 천이 시간을 사용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천이 시간의 길이
예를 들어, 제1 통신 시스템이 LTE일 때, LTE가 천이 시간의 길이를 사전 정의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에 대한 공존 모드의 천이 시간의 길이를 사전 구성할 수 있다.
특정의 예로서, 천이 시간의 길이가 서브프레임의 수로 표현될 수 있다. 이 예에서, 공존 모드가 시작된 후의 천이 시간의 길이가 공존 모드가 끝난 후의 천이 시간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다른 특정의 예로서, 천이 시간의 길이가 또한 2개의 서브프레임 수로 표현될 수 있다. 즉, 공존 모드가 시작된 후의 천이 시간의 길이가 공존 모드가 끝난 후의 천이 시간의 길이와 같지 않을 수 있고, 이들이, 각각, 2개의 서브프레임 수로 표현된다.
다른 특정의 예에서, 천이 시간의 길이가 일련 번호의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이 시간의 길이의 몇몇 적용가능한 또는 통상의 값이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미리 합의될 수 있고, 어떤 순서에 따라 번호를 부여받을 수 있다.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 및/또는 예가 예시적인 것이고 배타적인 것이 아님을 잘 알 것이다. 그리고 본 개시 내용이 이들 실시예 및/또는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예에서, 제1 통신 시스템 및 제2 통신 시스템이 사용자 장비 상에 공존하는 상이한 통신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LTE 시스템, LTE-A 시스템, 다른 통신 시스템 등일 수 있고, 제2 통신 시스템(또는 간섭 시스템)은 하나하나 열거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 장비 상에 구성되어 있는 블루투스 시스템, WLAN 시스템, GPS 시스템 등일 수 있다.
유의할 점은, 본 설명에서, 본 개시 내용을 명확히 기술하기 위해,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이 기술된 특징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표현들이 결코 제한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서는 안된다.
한 예로서, 앞서 기술된 방법의 각각의 단계 및 앞서 기술된 장비의 각자의 구성 모듈 및/또는 유닛이 제1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예컨대, eNodeB) 또는 단말 노드(예컨대, 사용자 장비)에서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기지국 또는 단말 노드의 대응하는 장치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장치에서의 각자의 구성 모듈 및 유닛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성될 때, 사용될 수 있는 특정의 대책 또는 방식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생략되어 있다.
상기 장비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본 개시 내용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한 예로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때,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저장 매체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전용 하드웨어 구조를 갖는 컴퓨터[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범용 컴퓨터(1200)]에 설치될 수 있고, 컴퓨터가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설치될 때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에서, 중앙 처리 장치(CPU)(1201)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1202)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저장 섹션(1208)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203)에 로드되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RAM(1203)에는, CPU(1201)가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등도 역시 필요에 따라 저장된다. CPU(1201), ROM(1202) 및 RAM(1203)은 버스(1204)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205)가 또한 버스(1204)에 연결되어 있다.
입력 섹션(1206)(키보드, 마우스 등을 포함함); 출력 섹션(1207)[음극선관(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등을 포함함]; 저장 섹션(1208)(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함); 및 통신 섹션(1209)(LAN 카드, 모뎀 등과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포함함)이 입/출력 인터페이스(1205)에 연결되어 있다. 통신 섹션(1209)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드라이브(1210)도 역시 필요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1205)에 연결될 수 있다.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과 같은 이동식 매체(1211)가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1210) 상에 설치되고, 따라서 그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 저장 섹션(1208)에 설치된다.
앞서 기술된 일련의 프로세스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에,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또는 이동식 매체(1211) 등의 저장 매체로부터 설치된다.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저장 매체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이동식 매체(1211) -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장치와 별도로 배달됨 - 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이동식 매체(1211)의 예는 자기 디스크[플로피 디스크(등록 상표)를 포함함], 광 디스크[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및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함], 광자기 디스크[MD(Mini-Disk)(등록 상표)를 포함함], 및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다른 대안으로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이를 포함하는 장치와 함께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ROM(1202), 저장 섹션(1208)에 포함된 하드 디스크 등일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은 또한 기계 판독가능 명령어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기계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될 때, 명령어 코드는 앞서 기술한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개시 내용은 기계 판독가능 명령어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상기한 프로그램 제품을 전달하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메모리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 내용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상기 설명에서, 다른 실시예에서의 특징과 결합되거나 이를 대체하기 위해,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되고 및/또는 도시된 특징이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의할 점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포함한다" 및 "구비한다"라는 용어가 특징, 요소,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말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요소,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에 부가하여, 본 개시 내용의 방법이 본 설명에 기술된 시간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병렬로 또는 독립적으로 또는 어떤 다른 시간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설명에 기술된 방법의 실행 순서가 본 개시 내용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개시 내용이 본 개시 내용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개시되어 있지만, 유의할 점은, 다양한 수정, 개선 또는 등가물이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 수정, 개선 또는 등가물도 역시 본 개시 내용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47)

  1.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제1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으로,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이한 전송 자원들을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제1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통신 시스템과 상이한 제2 통신 시스템의 장치와 제2 통신을 수행하는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라고 요청하는 활성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를 위해 선택된 상기 공존 동작 모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선택된 상기 공존 동작 모드는 시분할 다중화 방식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 중의 하나임 -;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공존 동작 모드의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구성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저장되어 있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매체 접근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활성화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공존 동작 모드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전 구성된 공존 동작 모드 중에서 공존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공존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활성화 요청에 캡슐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활성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반환되는 활성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활성화 응답을 수신한 후에 상기 공존 동작 모드가 활성화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응답은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허용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활성화 응답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기지국에 의해 허용되어 있는지를 판정하고, 허용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 사용자 장비로서,
    제1 통신 시스템에 구성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장비가 시분할 다중화 방식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과 제1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통신 시스템과 상이한 제2 통신 시스템의 장치와 제2 통신을 수행하는 공존 동작 모드를 갖고,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구성되어 있는 상기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간섭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검출된 후에 상기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라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 장치; 및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해 선택된 상기 공존 동작 모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선택된 상기 공존 동작 모드는 시분할 다중화 방식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 중의 하나인,
    사용자 장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장치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전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전 구성된 공존 동작 모드 중에서 공존 동작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공존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에 캡슐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공존 모드 선택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에 응답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반환되는 활성화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 상기 활성화 응답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해 선택된 상기 공존 동작 모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활성화 응답을 수신한 후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해 선택된 상기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공존 모드 활성화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응답은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도록 허용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공존 모드 활성화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활성화 응답에 따라 상기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도록 상기 기지국에 의해 허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허용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해 선택된 상기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사용자 장비.
  10. 기지국으로서,
    제1 통신 시스템에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장비가 시분할 다중화 방식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상기 기지국과 제1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통신 시스템과 상이한 제2 통신 시스템의 장치와 제2 통신을 수행하는 공존 동작 모드에, 상기 사용자 장비가 들어가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기 위해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장치; 및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상태에 따라 들어가도록 허용되는 공존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제어 장치 -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공존 동작 모드는 시분할 다중화 방식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 중 하나임 -
    를 포함하는,
    기지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에 응답하여 활성화 응답을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는 전송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지국.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및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상태에 따라 들어가도록 허용된 공존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전에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상태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도록 허용할지를 또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공존 동작 모드에 들어가도록 허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활성화 응답에 캡슐화하는 상기 모드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장치는 상기 선택된 공존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반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미리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상기 공존 동작 모드의 구성 정보를 사전 구성하는 사전 구성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공존 동작 모드의 시작 지연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 제어 장치는 또한,
    상기 시작 지연에 따른 상기 공존 동작 모드의 시작 시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다는 것을 확인 응답해주는 확인 응답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반환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KR1020137010529A 2010-09-28 2010-09-28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기지국, 사용자 장비 및 시스템 KR101479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0/077405 WO2012040904A1 (zh) 2010-09-28 2010-09-28 激活共存工作模式的方法及基站、用户设备和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741A KR20130096741A (ko) 2013-08-30
KR101479886B1 true KR101479886B1 (ko) 2015-01-06

Family

ID=4589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529A KR101479886B1 (ko) 2010-09-28 2010-09-28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기지국, 사용자 장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9037144B2 (ko)
EP (1) EP2624613B1 (ko)
JP (1) JP5871003B2 (ko)
KR (1) KR101479886B1 (ko)
CN (1) CN103081523B (ko)
BR (1) BR112013007320A2 (ko)
CA (2) CA2931739A1 (ko)
ES (1) ES2813299T3 (ko)
MX (2) MX2013003632A (ko)
RU (1) RU2551456C2 (ko)
WO (1) WO20120409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8676B2 (en) * 2013-08-27 2017-02-21 Marvell World Trad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in-device coexistence (IDC) interference
CN104754095A (zh) * 2013-12-30 2015-07-0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移动通信装置、通讯录管理系统及方法
EP3226622B1 (en) * 2014-01-31 2018-06-13 Fujitsu Limited Access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0044478B2 (en) * 2014-07-14 2018-08-07 Qualcomm Incorporated Pseudo randomization of unused resources at a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
US10548019B2 (en) * 2014-12-12 2020-01-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optimization of a time-domain frame structure
US9954668B2 (en) 2015-03-23 2018-04-24 Qualcomm Incorporated Co-existence system synchronization o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KR20180071290A (ko) 2015-11-16 2018-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ac pdu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EA202091898A1 (ru) 2015-12-15 2021-06-22 Джилид Сайэнс, Инк. Антитела, нейтрализующие вирус иммунодефицита человека
US10834782B2 (en) * 2017-11-07 2020-11-1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low-band anchored high-band connec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1372A1 (en) * 2000-01-10 2006-09-21 Symbol Technologies, Inc. Coexistence techniques in wirel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83921B2 (en) * 2000-11-16 2005-12-22 Symbol Technologies, Inc. Coexistence techniques in wireless networks
US7698184B2 (en) * 2004-01-16 2010-04-13 Bgc Partner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a financial instrument indexed to entertainment revenue
US7653037B2 (en) 2005-09-28 2010-01-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wireless network access parameters
JP2009543404A (ja) * 2006-06-27 2009-12-03 エヌエックスピー ビー ヴィ スケジューリングされた共存環境
WO2008076063A2 (en) * 2006-12-19 2008-06-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ling of idle gap commands in a telecommunication sysytem
JP4533413B2 (ja) * 2007-08-30 2010-09-0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周波数割当方法
US8699487B2 (en) * 2008-02-04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delay budget feedback
JP5050907B2 (ja) * 2008-02-19 2012-10-17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移動体通信装置、制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8619732B2 (en) 2008-02-28 2013-12-3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coexistence of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on communication device
US8072896B2 (en) * 2008-04-18 2011-12-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daptive coexistence between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085737B2 (en) 2008-05-06 2011-12-27 Intel Corporation Multi-transceive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for negative scheduling
KR20100004766A (ko) * 2008-07-04 201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레임 할당을 이용한 공존 통신 수행방법
EP2154921A1 (en) * 2008-08-11 2010-02-17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for transferring a base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rom a standby mode to a fully activated mode
US8059622B2 (en) * 2008-09-04 2011-11-15 Intel Corporation Multi-radio platfor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activities betwee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network transceiver and co-located transceiver
KR101481586B1 (ko) * 2008-09-04 201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무선 통신 구간 할당 방법
US8730853B2 (en) * 2008-09-05 2014-05-20 Mediatek Inc. Methods for responding to co-located coexistence (CLC) request from a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s apparatuses capable of controlling multi-radio coexistence
GB2465650B (en) * 2009-07-27 2010-10-13 Cambridge Silicon Radio Ltd Wireless network protocol coexistence
US8724545B2 (en) * 2010-03-31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upport for multi-radio coexistence
JP5883877B2 (ja) * 2010-09-28 2016-03-15 富士通株式会社 共存ワーキングモード確立方法及びユーザ装置、基地局、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1372A1 (en) * 2000-01-10 2006-09-21 Symbol Technologies, Inc. Coexistence techniques in wireless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3113757A (ru) 2014-11-10
US20150110063A1 (en) 2015-04-23
BR112013007320A2 (pt) 2019-09-24
JP2013539305A (ja) 2013-10-17
US9037144B2 (en) 2015-05-19
US20170105244A1 (en) 2017-04-13
ES2813299T3 (es) 2021-03-23
MX350971B (es) 2017-09-26
EP2624613B1 (en) 2020-06-10
KR20130096741A (ko) 2013-08-30
JP5871003B2 (ja) 2016-03-01
EP2624613A1 (en) 2013-08-07
CN103081523B (zh) 2016-06-08
CA2812826A1 (en) 2012-04-05
US20130217400A1 (en) 2013-08-22
CN103081523A (zh) 2013-05-01
CA2812826C (en) 2016-07-19
WO2012040904A1 (zh) 2012-04-05
US9560665B2 (en) 2017-01-31
MX2013003632A (es) 2013-05-20
EP2624613A4 (en) 2015-08-12
CA2931739A1 (en) 2012-04-05
RU2551456C2 (ru) 2015-05-27
US9872331B2 (en)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886B1 (ko) 공존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기지국, 사용자 장비 및 시스템
JP6423087B2 (ja) アンライセンス共有媒体のチャネルを用いるハイブリッド自動再送要求送信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11678401B2 (en) Transmission timing information sending method, transmission timing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TWI629913B (zh) 處理雙蜂巢系統集成的裝置及方法
CN102934389B (zh) 用于分量载波配置的方法和设备
EP3211813B1 (e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transmission
CN110621075B (zh) 一种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CN113228544B (zh) 用于预配置的上行链路资源的重传方案和优化
JP6425890B2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05191468A (zh) 用于反馈报告的系统和方法
EP3621394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EP3442157A1 (e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flexible duplexing
KR20190113830A (ko) 저 레이턴시 통신 시스템들을 위한 제어 오버헤드 감소
WO2017171899A1 (en) Handover enhancements to reduce interruption and latency
TWI640184B (zh) 處理非執照頻帶中的資料傳輸的裝置及方法
KR102627046B1 (ko)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충돌을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RU2608559C2 (ru) Способ 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активации режима совместной работы
WO2022083495A1 (zh) 上行信道的传输方法及设备
JPWO2017126518A1 (ja) 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