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572B1 - 등부표 - Google Patents

등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572B1
KR101479572B1 KR20130130905A KR20130130905A KR101479572B1 KR 101479572 B1 KR101479572 B1 KR 101479572B1 KR 20130130905 A KR20130130905 A KR 20130130905A KR 20130130905 A KR20130130905 A KR 20130130905A KR 101479572 B1 KR101479572 B1 KR 101479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small
drive shaft
floating body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0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경환
변용식
성재기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30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B63B22/16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comprising a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8Buoys having means to control attitude or position, e.g. reaction surfaces or t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 F21S9/046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driven by hydropower, e.g. by water powered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등부표가 개시된다. 등부표는 수면에 부유되는 부유체; 구동축을 갖는 발전기 및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기어를 포함하고, 수면에 평행한 상기 부유체의 상면부에 설치된 발전장치; 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게 상기 부유체의 측면부에 설치된 제1 소형 부유체 및 제2 소형 부유체; 일부분이 상기 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구동축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부유체의 측면부 및 상면부를 경유하여 양단이 상기 제1 소형 부유체 및 제2 소형 부유체에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 및 상기 부유체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발전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표시등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에는 상기 기어의 이에 물릴 수 있는 폭을 갖는 홈이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파고에 의해 상기 제1 소형 부유체 및 상기 제2 소형 부유체는 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고, 이때 상기 와이어는 상기 구동축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소형 부유체 및 상기 제2 소형 부유체 사이를 왕복 이동하여 상기 기어 및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등부표{SELF GENERATION LIGHT BUOY}
본 발명은 등부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가 발전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발광될 수 있는 등부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부표는 바다와 외항의 접경 지역에 설치되는 중요한 시설로 해상에서 운행되는 선박들이 안전 운항을 하도록 항로를 유도해 주는 표시장치이다.
이러한 등부표는 램프를 구비하여 램프의 발광에 의해 선박들의 항로를 유도하게 되는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축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축전지는 일정기간 사용한 후에는 전력이 소멸되어 재충전을 시켜주거나 새 전지로 교환해 주는 것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등부표가 위치한 지역까지 배를 타고 직접 가서 축전지를 충전하거나 새 전지로 교환해 주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고, 축전지를 충전 및 교환하는 과정에서 등부표를 수면에서 끌어올린 후 축전지를 충전 및 교환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작업이 번거럽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력을 이용하여 축전지에 충전 가능한 전력을 자가 생산할 수 있는 등부표가 제시되고 있다. 전력의 자가 생산이 가능한 등부표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1-0021299호 "파력을 이용한 자가발전 수단을 구비한 표식수단"이 있다. 이 특허는, 파고의 높고 낮음에 의해 수중에 위치한 이송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운동하고 이와 함께 탄성부재가 이완 및 수축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발전기를 구동시켜서 전력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특허는 수중에 위치한 이송부재에 파력의 저항이 전달되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이에 의해 이송부재와 연동하는 탄성부재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으므로 발전기의 구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끝에, 아래와 같은 구성을 도입하여, 파도의 유동을 에너지로 전환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파고의 크기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동작될 수 있으므로 파손의 위험이 감소될 수 있는 등부표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수면에 부유되는 부유체; 구동축을 갖는 발전기 및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기어를 포함하고, 수면에 평행한 상기 부유체의 상면부에 설치된 발전장치; 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게 상기 부유체의 측면부에 설치된 제1 소형 부유체 및 제2 소형 부유체; 일부분이 상기 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구동축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부유체의 측면부 및 상면부를 경유하여 양단이 상기 제1 소형 부유체 및 제2 소형 부유체에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 및 상기 부유체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발전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표시등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에는 상기 기어의 이에 물릴 수 있는 폭을 갖는 홈이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파고에 의해 상기 제1 소형 부유체 및 상기 제2 소형 부유체는 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고, 이때 상기 와이어는 상기 구동축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소형 부유체 및 상기 제2 소형 부유체 사이를 왕복 이동하여 상기 기어 및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부표를 제공한다.
일 예로, 상기 부유체는 상기 제1 소형 부유체 및 상기 제2 소형 부유체의 설치지점에서 수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된 가이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소형 부유체 및 상기 제2 소형 부유체는 상기 가이드부들에 맞물려서 상기 가이드부들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 소형 부유체 및 상기 제2 소형 부유체를 상기 부유체와 연결시키는 부유체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부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소형 부유체 및 제2 소형 부유체가 부유체와 연결되는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소형 부유체 및 제2 소형 부유체가 부유체와 연결되는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및 구동축의 연결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소형 부유체 및 제2 소형 부유체가 파고에 의해 높이 차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부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부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부표는 부유체(110); 발전장치(120); 제1 소형 부유체(130); 제2 소형 부유체(140); 와이어(150); 및 표시등(160)을 포함할 수 있다.
부유체(110)는 등부표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수면에 부유된다. 부유체(110)가 수면에 부유되기 위하여, 부유체(110)는 내부공간에 발포우레탄 등의 부력재가 채워진 케이싱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부유체(110)는 예를 들면, 중량이 가벼운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일 수 있다. 일 예로, 부유체(110)는 원통 형상 또는 다면체 형상일 수 있다.
발전장치(120)는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등(16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발전장치(120)는 부유체(110)의 상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발전장치(120)는 구동축(121a)을 갖는 발전기(121), 구동축(121a)에 결합된 기어(122), 발전기(121)의 구동에 의해 생성된 전력이 저장되는 축전지(12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발전장치(120)는 발전기(121), 기어(122), 축전지(123)를 수용하는 케이스(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전장치(120)의 구동축(121a)의 회전을 위하여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 와이어(150)가 이용된다.
발전장치(120)의 구동축(121a)의 회전을 위해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는 와이어(150)를 구동축(121a)의 수직한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는 파고에 의해 수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부유체(110)의 측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는 부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부유체(110)보다 작은 소형으로 제작된다.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의 제작에 이용되는 소재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가 수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승 및 하강되기 위해, 예를 들면, 부유체(110)는 가이드부들(111)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는 부유체연결부(131, 14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들(111) 및 각각의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의 부유체연결부(131, 141)는 서로 연결되어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와 부유체(11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가 수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승 및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이드부들(111)은 부유체(110)의 측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부들(111)은 서로 대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플레이트는 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부유체(110)의 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플레이트는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가 위치한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부유체연결부(131, 141)는 가이드부들(111)에 맞물려서 가이드부들(111)을 따라 이동하고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상기 제2 소형 부유체(140)를 부유체(110)와 연결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소형 부유체 및 제2 소형 부유체가 부유체와 연결되는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예로, 부유체연결부(131, 141)는 플레이트 또는 블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플레이트 또는 블록의 두께는 상기 가이드부들(111)을 구성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부유체연결부(131, 141)는 각각의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의 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부들(111) 내로 삽입되어 가이드부들(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들(111) 및 부유체연결부(131, 141)를 서로 연결함에 있어서, 일 예로, 부유체연결부(131, 141)의 가이드부들(111)의 두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면에는 돌기(131a, 141a)를 마련하고, 가이드부들(111)의 두 플레이트에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111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돌기(131a, 141a)를 슬릿(111a) 내에 체결하여 부유체연결부(131, 141)를 가이드부들(111)과 연결할 수 있고, 돌기(131a, 141a)는 슬릿(111a)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소형 부유체 및 제2 소형 부유체가 부유체와 연결되는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예로, 부유체연결부(131', 141')에는 롤러(131a', 141a')가 설치될 수 있고, 가이드부들(111)의 두 개의 플레이트에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111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롤러(131a', 141a')가 슬릿(111a) 내에 위치하도록 부유체연결부(131', 141')를 가이드부들(111)에 연결하면 부유체연결부(131', 141')가 가이드부들(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롤러(131a', 141a')가 슬릿(111a) 내에서 회전하며 이동되므로 부유체연결부(131', 141')의 이동이 원활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를 부유체(110)에 연결하는 구조는 예시적인 형태일 뿐,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와이어(150)는 구동축(121a)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부유체(110)의 측면부 및 상면부를 경유하여 일부분이 기어(122)의 아래를 지나고 양단이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150)는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가 상승 및 하강될 때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 사이를 왕복 이동하여 기어(1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와이어(150)가 기어(122)의 회전을 위해 기어(122)의 이와 맞물리도록 기어(122)의 이에 물릴 수 있는 폭을 갖는 홈(151)이 와이어(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150)의 아래에 위치하는 와이어(150)의 일부분은 기어(122)의 이와 맞물려 왕복 이동시 기어(1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및 구동축의 연결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예로, 와이어(150)가 부유체(110),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에 연결된 상태에서 와이어(150)의 이탈을 방지하고 와이어(15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부유체(110)에는 다수의 풀리가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풀리는 와이어(15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한편 표시등(160)은 발광하여 야간에 해상에서 운행되는 선박 등의 안전한 항로를 유도하게 된다. 이를 위해, 표시등(160)은 발전장치(120)와 연결되고 발전기(121)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발광된다. 이러한 표시등(160)은 부유체(110)의 주변에 설치되는데,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도록 부유체(110)의 상면부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등(160)을 부유체(110)의 상면부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로 설치하기 위해, 부유체(110)에의 상면부에는 탑 형태의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고, 탑 형태의 구조물 상단부에 표시등(16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등(160)은 전기케이블을 통해 발전장치(120)의 축전지(123)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표시등(160)은 엘이디(LED), 백열등, 광광등 등이 사용될 수 이고,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부표는 해상의 수면에 위치하여 파고에 따른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의 높이 변화에 의해 발전장치(120)를 구동시킨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소형 부유체 및 제2 소형 부유체가 파고에 의해 높이 차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파고에 의해 제1 소형 부유체(130)의 위치에서는 수면의 높이가 높아지고 제2 소형 부유체(140)의 위치에서의 수면의 높이가 제1 소형 부유체(130)의 위치에서의 수면의 높이보다 낮아지는 경우, 제1 소형 부유체(130)는 수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승하고 제2 소형 부유체(140)는 제1 소형 부유체(130)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하강한다.
이때, 와이어(150)는 하강하는 제2 소형 부유체(140)에 의해 제2 소형 부유체(140)가 위치한 방향으로 당겨지고, 이에 의해 제1 소형 부유체(130)가 위치한 방향으로부터 제2 소형 부유체(140)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이와 반대로, 파고에 의해 제2 소형 부유체(140)의 위치에서는 수면의 높이가 높아지고 제1 소형 부유체(130)의 위치에서의 수면의 높이가 제2 소형 부유체(140)의 위치에서의 수면의 높이보다 낮아지는 경우, 제2 소형 부유체(140)는 수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승하고 제1 소형 부유체(130)는 제2 소형 부유체(140)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하강한다.
이때, 와이어(150)는 하강하는 제1 소형 부유체(130)에 의해 제1 소형 부유체(130)가 위치한 방향으로 당겨지고, 이에 의해 제2 소형 부유체(140)가 위치한 방향으로부터 제1 소형 부유체(130)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이와 같이 파고에 의한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의 높이 변화에 연계하여 와이어(150)는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 사이를 왕복 이동하게 되며, 이때 와이어(150)의 홈(151) 및 기어(122)의 이가 서로 물려 있으므로 와이어(150)의 왕복 이동에 의해 기어(122) 및 구동축(121a)은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발전기(121)가 구동되어 전력을 생산하게 되고, 생산된 전력은 축전지(123)로 저장된다. 축전지(123)에 저장된 전력은 표시등(160)으로 공급되어 표시등(160)은 발광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부표를 이용하면, 파고에 의해 작동하는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 와이어(150)를 이용하여 파도의 유동을 에너지로 전환하여 발전기(121)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발전기(121)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전기적 및 기계적인 동력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자연 에너지를 이용하게 되어 등부표의 영구적인 이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제1 소형 부유체(130) 및 제2 소형 부유체(140)가 파고의 크기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동작될 수 있으므로 발전기(12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제1 소형 부유체 및 제2 소형 부유체, 와이어)의 파손의 위험이 적고, 결과적으로 등부표 전체의 파손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수면에 부유되는 부유체;
    구동축을 갖는 발전기 및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기어를 포함하고, 수면에 평행한 상기 부유체의 상면부에 설치된 발전장치;
    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게 상기 부유체의 측면부에 설치된 제1 소형 부유체 및 제2 소형 부유체;
    일부분이 상기 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구동축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부유체의 측면부 및 상면부를 경유하여 양단이 상기 제1 소형 부유체 및 제2 소형 부유체에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 및
    상기 부유체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발전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표시등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에는 상기 기어의 이에 물릴 수 있는 폭을 갖는 홈이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파고에 의해 상기 제1 소형 부유체 및 상기 제2 소형 부유체는 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고, 이때 상기 와이어는 상기 구동축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소형 부유체 및 상기 제2 소형 부유체 사이를 왕복 이동하여 상기 기어 및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부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상기 제1 소형 부유체 및 상기 제2 소형 부유체의 설치지점에서 수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된 가이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소형 부유체 및 상기 제2 소형 부유체는 상기 가이드부들에 맞물려서 상기 가이드부들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 소형 부유체 및 상기 제2 소형 부유체를 상기 부유체와 연결시키는 부유체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부표.
KR20130130905A 2013-10-31 2013-10-31 등부표 KR101479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0905A KR101479572B1 (ko) 2013-10-31 2013-10-31 등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0905A KR101479572B1 (ko) 2013-10-31 2013-10-31 등부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572B1 true KR101479572B1 (ko) 2015-01-06

Family

ID=5258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0905A KR101479572B1 (ko) 2013-10-31 2013-10-31 등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5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262B1 (ko) * 2017-10-19 2019-03-18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파력 발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등부표 장치
KR20190055984A (ko) * 2017-11-16 2019-05-24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파력 발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파력 발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860A (ko) * 2001-04-20 2002-10-30 주식회사 신성기연 파력을 이용한 자가발전 수단을 구비한 표식수단
KR20110098492A (ko) * 2010-02-26 2011-09-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파력을 이용한 전자식 부표
KR20110121075A (ko) * 2010-04-30 2011-11-07 김석민 파고를 이용한 파력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860A (ko) * 2001-04-20 2002-10-30 주식회사 신성기연 파력을 이용한 자가발전 수단을 구비한 표식수단
KR20110098492A (ko) * 2010-02-26 2011-09-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파력을 이용한 전자식 부표
KR20110121075A (ko) * 2010-04-30 2011-11-07 김석민 파고를 이용한 파력발전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262B1 (ko) * 2017-10-19 2019-03-18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파력 발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등부표 장치
KR20190055984A (ko) * 2017-11-16 2019-05-24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파력 발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파력 발전 시스템
KR102011683B1 (ko) * 2017-11-16 2019-08-21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파력 발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파력 발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6923B1 (ko) 파력을 이용한 자가발전 수단을 구비한 표식수단
RU255470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или механ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из движения волн
KR101082076B1 (ko) 파력 발전 모듈, 그 파력 발전 모듈을 포함하는 파력 발전 유닛 및 그 파력 발전 유닛을 포함하는 파력 발전 장치
KR101410052B1 (ko) 진동 압전모듈을 이용한 반영구적인 발광부표
ES2559703T3 (es) Embarcación flotante que convierte la energía undimotriz en el mar en energía eléctrica
KR101479572B1 (ko) 등부표
WO2012172535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verting wave energy into rotational energy
CN101000031A (zh) 一种利用水面波浪发电的设备
EP2708730B1 (en) Wave power converting device
US20090303700A1 (en) Aquatic light emitting device
CN203756429U (zh) 海浪发电装置
JP2014111911A (ja) 発光素子を備えた積層型発電体及びその発電装置
KR101482864B1 (ko) 바지선을 이용한 파력 발전 시스템
KR200468118Y1 (ko) 발광 부표
KR20170076532A (ko) 자가발전 엘이디 발광 표시기
KR20080086148A (ko) 파력 발전시스템
CN203109447U (zh) 一种激光打标机
KR102134304B1 (ko) 동축 가속형 파력발전장치
KR200465553Y1 (ko) 부력을 갖는 조명장치
CN211952394U (zh) 一种侧光led平板式灯具
KR101525435B1 (ko) 파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KR200237431Y1 (ko) 파력을 이용한 자가발전 수단을 구비한 표식수단
CN202545100U (zh) 基于直线发电机的波浪发电装置
TW201425721A (zh) 波浪發電機
CN201041133Y (zh) 浮筒轮轨式海浪驱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