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914B1 -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914B1
KR101478914B1 KR1020130079306A KR20130079306A KR101478914B1 KR 101478914 B1 KR101478914 B1 KR 101478914B1 KR 1020130079306 A KR1020130079306 A KR 1020130079306A KR 20130079306 A KR20130079306 A KR 20130079306A KR 101478914 B1 KR101478914 B1 KR 101478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oad surface
reference value
road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옥식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30079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01S19/45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measurements of signals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with a supplementary measurement
    • G01S19/47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measurements of signals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with a supplementary measurement the supplementary measurement being an inertial measurement, e.g. tightly coupled inert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0Denoising; Smoot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로부터 노면의 영상을 획득하고, 관성측정장치로부터 차량의 진동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차량의 진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노면 영상의 오차를 보정하고, 상기 영상의 잡음, 밝기 및 사이즈를 보정한 후, 특징값을 검출하여 노면 상태를 인식함으로써 노면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엔진의 구동토크를 전·후륜으로 적절하게 분배하여 주행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recognize the road of 4WD vehicle correcting image information using inertial measurement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신호의 오차를 관성측정장치를 사용하여 보정함으로써 노면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WD(Wheel-Drive) 차량은 엔진의 구동토크를 주행상황에 따라 전륜 및 후륜으로 적절하게 분배하여 구동시키는 것으로, 눈길이나 빙판길 등의 미끄러운 도로, 모래땅이나 가파른 언덕, 진흙길 등 큰 구동력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노면 상태에 따라 구동 타이어와 도로면의 슬립을 최소화하여 주행 안전성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노면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4WD 차량에는 휠속도 센서 및 조향각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5197호(2010년10월27일)에는 가속도 센서, 회전 각속도 센서 및 속도 센서를 제어하고 센서들로부터 검지되는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여 차량의 위험운전을 판단하는 차량 위험운전 판단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노면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정보와 함께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노면 상태를 인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개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노면인식장치 및 방법은, 불규칙한 노면의 진동에 의하여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오차로 인하여 실제 노면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5197호(2010년10월27일)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신호의 오차를 관성측정장치를 사용하여 보정함으로써 노면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는, 노면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차량의 진동 정보를 획득하는 관성측정장치; 및 상기 관성측정장치에서 획득한 차량의 진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노면 영상의 오차를 보정하고, 상기 영상의 잡음, 밝기 및 사이즈를 보정한 후, 특징값을 검출하여 노면 상태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을 저역통과 필터를 거쳐 잡음을 제거하고, 히스토그램 평활화를 이용해 영상 밝기를 보정하며, 다운 샘플링(down sampling)을 통해 영상의 사이즈를 줄이는 영상신호 처리모듈; 상기 관성측정장치에서 획득한 관성측정정보로부터 차량의 진동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신호 처리모듈; 상기 관성측정장치에서 획득한 차량의 진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신호 처리모듈에서 처리된 노면 영상의 오차를 보정하는 영상신호 보정모듈; 및 상기 영상신호 보정모듈에서 보정된 영상에서 특징값을 검출하여 각각의 주행조건을 판단하는 주행조건 판단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조건 판단모듈에서 검출하는 특징값은; 영상의 휘도비, 영상의 선개수 및 점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조건 판단모듈은;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 미만이고,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 미만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저마찰로로 인식한다.
상기 주행조건 판단모듈은;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 미만이고,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제1종 비포장도로로 인식하고,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 미만일 경우 제2종 비포장도로 인식한다.
상기 주행조건 판단모듈은;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 이상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제2종 포장도로로 인식한다.
상기 주행조건 판단모듈은;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 미만인 상태에서,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 미만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제1종 포장도로로 인식하고,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 이상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제2종 포장도로로 인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방법은, 카메라로부터 노면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관성측정장치로부터 차량의 진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차량의 진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노면 영상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의 잡음, 밝기 및 사이즈를 보정한 후, 특징값을 검출하여 노면 상태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노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을 저역통과 필터를 거쳐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 히스토그램 평활화를 이용해 영상 밝기를 보정하는 단계; 다운 샘플링(down sampling)을 통해 영상의 사이즈를 줄이는 단계; 및 상기 영상에서 특징값을 검출하고, 이전 영상에서 추출한 특징값과 비교하여 노면 상태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값은; 영상의 휘도비, 영상의 선개수 및 점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면 상태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 미만이고,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 미만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저마찰로로 인식한다.
상기 노면 상태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 미만이고,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제1종 비포장도로로 인식하고,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 미만일 경우 제2종 비포장도로 인식한다.
상기 노면 상태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 이상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제2종 포장도로로 인식한다.
상기 노면 상태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 미만인 상태에서,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 미만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제1종 포장도로로 인식하고,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 이상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제2종 포장도로로 인식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신호의 오차를 관성측정장치를 사용하여 보정함으로써 노면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엔진의 구동토크를 전·후륜으로 적절하게 분배하여 주행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관성측정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형,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관성측정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는, 카메라(10), 관성측정장치(20), 제어부(30), 영상신호 처리모듈(31), 영상신호 보정모듈(32), 센서신호 처리모듈(33), 주행조건 판단모듈(34) 및 구동부(40)를 포함한다.
카메라(10)는 차량의 일측에 형성되어 주행중 노면의 영상을 획득한다. 이를 위하여, 카메라(10)는 노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성측정장치(20)는 차량의 일측에 형성되어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 정보를 획득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관성측정장치(20)(IMC; Inertial Measurement Unit)는 통상의 6자유도 관성 측정 센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성측정장치(20)는 운반체의 각속도와 가속도를 측정하여 시간에 대한 연속적인 적분을 수행함으로써 이미 알고 있는 출발점에 대한 동체의 위치와 속도,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장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성측정장치(20)는 자이로스코프(21), 가속도계(22) 및 마이크로 컴퓨터(23)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자이로스코프(21)와 가속도계(22)는 3차원 공간정보를 위해 각각 X,Y,Z축 방향으로 3개씩 내장되어 있다.
동작원리는 가속도를 구해 적분하여 속도를 구하고, 속도를 적분하여 이동한 거리를 구함으로써, 처음 있던 위치를 입력하면 이동 후에도 자기의 위치와 속도를 항상 계산하여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악천후나 전파 방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 있다.
제어부(30)는 상기 관성측정장치(20)에서 획득한 차량의 진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노면 영상의 오차를 보정하고, 상기 영상의 잡음, 밝기 및 사이즈를 보정한 후, 특징값을 검출하여 노면 상태를 인식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영상신호 처리모듈(31), 영상신호 보정모듈(32), 센서신호 처리모듈(33), 주행조건 판단모듈(34)을 포함한다.
영상신호 처리모듈(31)은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을 저역통과 필터를 거쳐 잡음을 제거하고, 히스토그램 평활화를 이용해 영상 밝기를 보정하며, 다운 샘플링(down sampling)을 통해 영상의 사이즈를 줄여준다.
센서신호 처리모듈(32)은 상기 관성측정장치(20)에서 획득한 관성측정정보로부터 차량의 진동 정보를 검출한다.
영상신호 보정모듈(33)은 상기 관성측정장치(20)에서 획득한 차량의 진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신호 처리모듈(31)에서 처리된 노면 영상의 오차를 보정한다.
주행조건 판단모듈(34)은 상기 영상신호 보정모듈(33)에서 보정된 영상에서 특징값을 검출하여 각각의 주행조건을 판단한다.
상기 주행조건 판단모듈(34)에서 검출하는 특징값은 영상의 휘도비, 영상의 선개수 및 점개수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주행조건 판단모듈(34)은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A) 미만이고,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B) 미만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저마찰로(예로서, 빗길 또는 빙판길)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조건 판단모듈(34)은;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A) 미만이고,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B)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C) 이상일 경우 제1종 비포장도로(예로서, 거친 자갈길)로 인식하고,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C) 미만일 경우 제2종 비포장도로(예로서, 편평한 흙길)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행조건 판단모듈(34)은;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A) 이상이고,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B) 이상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제2종 포장도로(예로서, 거친 시멘트 포장길)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조건 판단모듈(34)은;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A) 이상이고,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B) 미만인 상태에서,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 미만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제1종 포장도로(예로서, 편평한 아스팔트길)로 인식하고,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 이상일 경우 노면 상태를 상기 제2종 포장도로(거친 시멘트 포장길)로 인식할 수 있다.
구동부(40)는 상기 제어부(30)에서 판단된 주행모드에 따라 2WD 저속, 고속모드 또는 4WD 저속, 고속모드 등으로 변경하여 노면 상태에 따라 최적의 구동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는, 카메라(10)로부터 노면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10); 관성측정장치(20)로부터 차량의 진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60); 획득한 차량의 진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노면 영상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S170); 및 상기 영상의 잡음, 밝기 및 사이즈를 보정한 후, 특징값을 검출하여 노면 상태를 인식하는 단계(S180~S190)를 포함한다.
상기 노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10)는;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을 저역통과 필터를 거쳐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S120); 히스토그램 평활화를 이용해 영상 밝기를 보정하는 단계(S130); 다운 샘플링(down sampling)을 통해 영상의 사이즈를 줄이는 단계(S140); 및 상기 영상에서 특징값을 검출하고, 이전 영상에서 추출한 특징값과 비교하여 노면 상태를 인식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특징값은 영상의 휘도비, 영상의 선개수 및 점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면 상태를 인식하는 단계(S190)는;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A) 미만이고(S191),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B) 미만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저마찰로(예로서, 빗길 또는 빙판길)로 인식할 수 있다(S192,S193).
상기 노면 상태를 인식하는 단계(S190)는;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A) 미만이고(S191),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B) 이상인 상태에서(S192),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C) 이상일 경우 제1종 비포장도로(예로서, 거친 자갈길)로 인식하고(S194,S195),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C) 미만일 경우 제2종 비포장도로(예로서, 편평한 흙길) 인식할 수 있다(S194,S196).
한편, 상기 노면 상태를 인식하는 단계(S190)는;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A) 이상이고(S191),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B) 이상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제2종 포장도로(예로서, 거친 시멘트 포장길)로 인식 인식할 수 있다(S197,S200).
또한, 상기 노면 상태를 인식하는 단계(S190)는;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A) 이상이고(S191),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B) 미만인 상태에서(S198),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C) 미만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제1종 포장도로(예로서, 편평한 아스팔트길)로 인식하고(S199),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C) 이상일 경우 노면 상태를 상기 제2종 포장도로(예로서, 거친 시멘트 포장길)로 인식 인식할 수 있다(S200).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신호의 오차를 관성측정장치를 사용하여 보정함으로써 노면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엔진의 구동토크를 전·후륜으로 적절하게 분배하여 주행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카메라 20 : 관성측정장치
30 : 제어부 31 : 영상신호 처리모듈
32 : 영상신호 보정모듈 33 : 센서신호 처리모듈
34 : 주행조건 판단모듈 40 : 구동부

Claims (8)

  1. 노면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차량의 진동 정보를 획득하는 관성측정장치; 및 상기 관성측정장치에서 획득한 차량의 진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노면 영상의 오차를 보정하고, 상기 영상의 잡음, 밝기 및 사이즈를 보정한 후, 특징값을 검출하여 노면 상태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특징값은 영상의 휘도비, 영상의 선개수 및 점개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 미만이고,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 미만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저마찰로로 인식하고;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 미만이고,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제1종 비포장도로로 인식하고,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 미만일 경우 제2종 비포장도로 인식하고;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 이상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제2종 포장도로로 인식하고;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 미만인 상태에서,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 미만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제1종 포장도로로 인식하고,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 이상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제2종 포장도로로 인식하는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을 저역통과 필터를 거쳐 잡음을 제거하고, 히스토그램 평활화를 이용해 영상 밝기를 보정하며, 다운 샘플링(down sampling)을 통해 영상의 사이즈를 줄이는 영상신호 처리모듈;
    상기 관성측정장치에서 획득한 관성측정정보로부터 차량의 진동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신호 처리모듈;
    상기 관성측정장치에서 획득한 차량의 진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신호 처리모듈에서 처리된 노면 영상의 오차를 보정하는 영상신호 보정모듈; 및
    상기 영상신호 보정모듈에서 보정된 영상에서 특징값을 검출하여 각각의 주행조건을 판단하는 주행조건 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
  3. 삭제
  4. 삭제
  5. 카메라로부터 노면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관성측정장치로부터 차량의 진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차량의 진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노면 영상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의 잡음, 밝기 및 사이즈를 보정한 후, 특징값을 검출하여 노면 상태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징값은 영상의 휘도비, 영상의 선개수 및 점개수를 포함하고,
    상기 노면 상태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 미만이고,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 미만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저마찰로로 인식하고;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 미만이고,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제1종 비포장도로로 인식하고,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 미만일 경우 제2종 비포장도로 인식하고;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 이상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제2종 포장도로로 인식하고;
    상기 휘도비가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점개수가 제2 기준값 미만인 상태에서,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 미만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제1종 포장도로로 인식하고, 상기 선개수가 제3 기준값 이상일 경우 노면 상태를 제2종 포장도로로 인식하는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을 저역통과 필터를 거쳐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
    히스토그램 평활화를 이용해 영상 밝기를 보정하는 단계;
    다운 샘플링(down sampling)을 통해 영상의 사이즈를 줄이는 단계; 및
    상기 다운 샘플링을 통해 사이즈가 줄어든 상기 영상에서 특징값을 검출하고, 이전 영상에서 추출한 특징값과 비교하여 노면 상태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30079306A 2013-07-05 2013-07-05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 및 방법 KR101478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306A KR101478914B1 (ko) 2013-07-05 2013-07-05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306A KR101478914B1 (ko) 2013-07-05 2013-07-05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914B1 true KR101478914B1 (ko) 2015-01-06

Family

ID=5258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306A KR101478914B1 (ko) 2013-07-05 2013-07-05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9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944B1 (ko) * 2016-05-09 2018-04-11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도로 균열 탐지 장치 및 방법
CN111399076A (zh) * 2020-03-30 2020-07-10 中科蓝卓(北京)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线扫描相机探测机场道面异物的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8951A (ja) * 2006-04-10 2007-10-25 Alpine Electronics Inc 車体挙動測定装置
KR20120137874A (ko) * 2011-06-13 2012-12-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대조비 개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8951A (ja) * 2006-04-10 2007-10-25 Alpine Electronics Inc 車体挙動測定装置
KR20120137874A (ko) * 2011-06-13 2012-12-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대조비 개선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944B1 (ko) * 2016-05-09 2018-04-11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도로 균열 탐지 장치 및 방법
CN111399076A (zh) * 2020-03-30 2020-07-10 中科蓝卓(北京)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线扫描相机探测机场道面异物的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2916B2 (ja) タイヤ摩耗を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278964B1 (ko) 지상 차량의 실제 슬립각 및 실제 요우각의 결정
US68168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velocity using reliability indexed sensor fusion
JP4076740B2 (ja) 路面勾配判定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勾配判定のプログラム
JP4895132B2 (ja) 車両の横滑り防止ブレーキ制御システムと制御方法
US8326480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the state of tires
CN102414576B (zh) 用于车辆电子稳定程序的基于激光二极管的自混合传感器
US9037376B2 (en) Road-surface condition estimating device
US9409573B2 (en) Vehicle speed determination system, stability control system, and saddled vehicle having the same
US201400815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vehicle from rolling over in curved lane
ES2763450T3 (es) Dispositivo de estimación del ángulo de balanceo de un vehículo
US11505015B2 (en) Determining a tire pressure status in a vehicle
US6644105B2 (en) Process for improved determination of the ratio among the radii of the wheels of a vehicle
US7620504B2 (en) Road-surface condition estimating device
KR102042288B1 (ko) 노면마찰계수 측정 장치 및 방법
CN108791276B (zh) 一种轮胎侧向力线性/非线性工作状态快速判断方法
JP2006199242A (ja) 車両の挙動制御装置
KR101478914B1 (ko) 관성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보정하는 4wd 차량의 노면인식장치 및 방법
CN111132878B (zh) 摩擦估计
KR20150005388A (ko) 영상정보를 이용한 4wd 차량의 주행제어장치 및 방법
US20050065700A1 (en) Road surface condition determination apparatus
JP4668571B2 (ja) 路面状態判定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路面状態判定プログラム
KR20080088052A (ko) 차량 안정성 제어 시스템의 이종타이어 감지 장치 및 이에적합한 감지 방법
JP3582570B2 (ja) 路面状態判別装置
JPH11194087A (ja) 路面摩擦係数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