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887B1 -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 - Google Patents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887B1
KR101477887B1 KR1020130007535A KR20130007535A KR101477887B1 KR 101477887 B1 KR101477887 B1 KR 101477887B1 KR 1020130007535 A KR1020130007535 A KR 1020130007535A KR 20130007535 A KR20130007535 A KR 20130007535A KR 101477887 B1 KR101477887 B1 KR 101477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vix
pressing
pressure
cervical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5149A (ko
Inventor
김광준
김성민
황선영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7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887B1/ko
Publication of KR20140095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61B5/227Measuring muscular strength of constricting muscles, i.e. sphinc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이 자궁경부에 삽입되어, 상기 자궁 경부를 압박하는 압박부; 및타측이 상기압박부에 압력을 가하는 조작부; 를 포함하는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Cervical Consistometer}
본 발명은 자궁경부의 연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센서를 포함한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조산은 주산기 사망의 가장 많은 원인 중 하나이며, 장기적인 후유증을 초래하여 의료비 상승의 주원인이기도 하다. 따라서 주산기 진료에 있어 조산의 예측 및 처치는 주요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조산의 위험성이 있는 산모를 검진하기 위해서는 경질식 초음파로 자궁 경부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이 알려져 있다. 지난 30여년간 이에 관한 수많은 연구와 논문 발표가 있었으나, 자궁 경부의 한계 길이가 연구자 마다 차이가 있고, 낮은 양성 예측률로 인해 실제 임상에 사용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어, 새로운 검진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자궁 경부를 초음파 탐촉자로 압박하여 경부의 전후 직경이 줄어드는 정도를 측정하여 자궁경부의 연성도를 추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었고, 이는 조산예측에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발표되었다. 자궁경부는 짧아지기 전에는 부드러워진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연성도 검사는 경부길이 측정보다 먼저 조산 위험이 있는 산모를 알아낼 수 있고, 필요한 예방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조산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자궁경부의 연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US2010-944580(출원번호)
본 발명은 조산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자궁경부에 압력을 가하여 자궁 경부의 연성도 값을 측정할 수 있는 자궁경부 측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측이 자궁경부에 삽입되어, 상기 자궁 경부를 압박하는 압박부; 및 타측이 상기압박부에 압력을 가하는 조작부; 를 포함하는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궁 경부의 연성도를 측정하여 조산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의적절한 임상적 조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의 조작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자궁경부에 삽입되어, 상기 자궁 경부를 압박하는 압박부; 및 타측이 상기 압박부에 압력을 가하는 조작부; 를 포함한다.
상기 압박부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서로 교차 결합되는 제1압박부재 및 제2 압박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압박부재 및 제2압박부재로부터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시술자가 파지하기 위한 제1조작부재 및 제2조작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압박부재 및 상기 제2압박부재에 설치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조작부재 및 상기 제2조작부재에 설치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압박부재 및 제2압박부재 사이에서 탄성 복원시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조작부재 및 제2조작부재 중 어느 하나는 소정간격을 설정할 수 있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간격은 상기 자궁경부 지름의 실질적으로 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제1조작부재 또는 제2조작부재의 끝단에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확장되고, 복수개의 간격조절공이 형성된 간격조절바; 및 상기 간격조절공에 끼워져서 최소간격을 설정하는 간격조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센서에서 전달된 압력의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압력의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환자의 상태에 대한 압력의 유형이 미리 입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전달된 압력의 신호와 데이터베이스를 비교 연산하여 환자의 병을 진단하는 진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박부는 일측이 링 형상의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에 연결 설치된 복수개의 레그(Leg), 및 상기 레그의 선단부에 형성된 팁부로 구성되며, 상기 조작부는 중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구비된 회전레버,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레버와 스크류 결합하여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내부로 삽입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직선운동에 따라 수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팁부에 설치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레그는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센서에서 전달된 압력의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압력의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환자의 상태에 대한 압력의 유형이 미리 입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전달된 압력의 신호와 데이터베이스를 비교 연산하여 환자의 병을 진단하는 진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의 조작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인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는 상기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의 일측에 구비되고 자궁경부에 삽입되어, 상기 자궁 경부를 압박하는 압박부(100); 및 상기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압박부(100)에 압력을 가하는 조작부(200); 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궁경부라 함은 질과 자궁사이에 질 경관을 지나 자궁입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조산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자궁경부에 압력을 가하여 자궁 경부의 연성도 값을 측정하는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압박부(100)는 힌지핀(300)을 중심으로 서로 교차 결합되는 제1압박부재(110) 및 제2압박부재로 구성되며, 조작부(200)는 상기 제1압박부재(110) 및 제2압박부재(120)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시술자가 파지하기 위한 제1조작부재(210) 및 제2조작부재(220)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 측정기는 집게형태일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제1압박부재(110) 및 상기 제2압박부재(120)에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양태로서, 상기 제1조작부재(210) 및 상기 제2조작부재(220)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압력센서라 함은 압전형 압력센서를 의미하며, 이는 압력에 의하여 탄성체에 발생한 변위나 변형을 압전소자에 가하여 응력에 의해서 발생한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전형 압력센서는 압전 필름센서와 압전 세라믹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압전형 센서 외에도 유압 센서 또는 공압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1압박부재(110) 및 제2압박부재(120) 사이에는 탄성 복원시키는 탄성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수단(400)은 상기 제1압박부재(110) 및 제2압박부재(120) 부분을 연결 및 지지해 주며 조작부(200)의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압박부재(110) 및 제2압박부재(120)를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V형 판 스프링, 나선형 스프링, 유압 실린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V형 판 스프링이 사용되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제1조작부재(210) 및 제2조작부재(220) 중 어느 하나는 소정간격을 설정할 수 있는 간격조절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소정간격이라 함은 자궁경부 지름의 실질적으로 ½되는 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1압박부재(110) 및 제2압박부재(120)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자궁경부 지름의 ½이 되도록 상기 간격조절부(500)로 제1압박부재(110) 및 제2압박부재(1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격조절부(500)는 일측이 제1조작부재(210) 또는 제2조작부재(220)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조작부재(210) 및 제2조작부재(220)를 마주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확장되고, 복수개의 간격조절공(520)이 형성된 간격조절바(510); 및 상기 간격조절공(520)에 끼워져서 최소간격을 설정하는 간격조절핀(5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공(520)은 상기 간격조절핀(530)을 가이드해줄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형상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는 자궁경부의 외측에 삽입되어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이로 인해 야기되는 반력을 근거로 자궁경부의 연성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는 압력센서에서 전달된 압력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압력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환자의 상태에 대한 압력의 유형이 미리 입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전달된 압력의 신호와 데이터베이스를 비교 연산하여 환자의 병을 진단하는 진단부; 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처리부는 압력센서에서 전달된 압력신호를 분석하여 처리하는 곳으로 증폭부, 필터부, AD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부를 이용하여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고, 이때 발생한 노이즈를 필터부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필터링된 신호를 다시 증폭부로 증폭시켜, AD변환부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환자의 상태에 따른 압력의 유형 즉 연성도의 유형이 미리 입력된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상기 진단부는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전달된 압력신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파형을 비교 연산하여 환자의 조산을 예측하게 된다. 즉, 상기 진단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압력과 신호처리부에서 전달된 압력신호를 비교하여 조산의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압력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1조작부재(210) 또는 제2조작부재(220)에 설치되어 휴대가 가능하도록 구비할 수 있고, 또는 컴퓨터 모니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오실로스코프, LED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저장부가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진단부의 진단결과가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의 구성 및 기능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는 상기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의 일측에 구비되고 자궁경부에 삽입되어, 상기 자궁 경부를 압박하는 압박부(600); 및 상기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압박부(600)에 압력을 가하는 조작부(700); 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박부(600)는 일측이 링 형상의 삽입부재(610), 상기 삽입부재(610)에 연결 설치된 복수개의 레그(620), 및 상기 레그(620)의 선단부에 형성된 팁부(630)로 구성된다.
또한 조작부(700)는 중공이 형성된 몸체(710), 상기 몸체(710) 일측에 구비된 회전레버(720), 상기 몸체(71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레버(720)와 스크류 결합하여 상기 회전레버(720)의 회전에 의하여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딩부재(730)로 구성된다. 특히, 삽입부재(610)는 상기 슬라이딩부재(730)의 내부로 삽입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730)의 직선운동에 따라 수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팁부(630)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팁부(630)는 자궁경부를 압박하기 알맞은 형태로 도 5와 같이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700)는 상기 슬라이딩부재(73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레그(620)는 상기 삽입부재(610)의 외경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는 압력센서에서 전달된 압력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압력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환자의 상태에 대한 압력의 유형이 미리 입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전달된 압력의 신호와 데이터베이스를 비교 연산하여 환자의 병을 진단하는 진단부; 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처리부, 디스플레이부 및 진단부에 대하여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따른 봉형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작부(700)의 회전레버(720)를 회전하면 상기 회전레버(720)의 상기 몸체(710)의 내경을 따라 슬라이딩부재(730)가 전진한다. 그로 인해 슬라이딩부재(730)가 상기 삽입부재(610)의 외부를 감싸게 된다. 그러면, 슬라이딩부재(730)의 전진운동에 의해 복수개의 레그(620)가 오므려지게 되어 팁부(630)가 오므려지게 된다.
즉, 회전레버(720)에 의해서 팁부(630)의 소정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간격이라 함은 자궁경부 지름의 실질적으로되는 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팁부(630)의 지름이 상기 자궁경부 지름의 실질적으로이 되도록 상기 회전레버(720)로 팁부(63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710)에는 탄성부재(740)를 포함하고 있어, 회전레버(72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슬라이딩부재(730)를 후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슬라이딩부재(730) 내부로 삽입되었던 삽입부재(610)가 탈거되어 오므려진 팁부(630)가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는 자궁경부의 외측에 삽입되어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이로 인해 야기되는 반력을 근거로 자궁경부의 연성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압박부
110: 제1압박부재 120: 제2압박부재
200: 조작부
210: 제1조작부재 220: 제2조작부재
300: 힌지핀 400: 탄성수단
500: 간격조절부
510: 간격조절바 520: 간격조절공
530: 간격조절핀
600: 압박부
610: 삽입부재 620: 레그
630: 팁부
700: 조작부
710: 몸체 720: 회전레버
730: 슬라이딩부재 740: 탄성부재

Claims (14)

  1. 힌지핀을 중심으로 서로 교차 결합되는 제1압박부재 및 제2압박부재로 구성되며, 일측이 자궁 경부에 삽입되어, 상기 자궁 경부를 압박하는 압박부;
    상기 제1압박부재 및 제2압박부재로부터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시술자가 파지하기 위한 제1조작부재 및 제2조작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압박부에 압력을 가하는 조작부; 및
    일측이 상기 제1조작부재 또는 제2조작부재의 끝단에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확장되고, 복수개의 간격조절공이 형성된 간격조절바와 상기 간격조절공에 끼워져서 소정간격을 설정하는 간격조절핀을 포함하는 간격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부는 제1압박부재 및 제2압박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박부재 및 상기 제2압박부재에 설치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작부재 및 상기 제2조작부재에 설치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박부재 및 제2압박부재 사이에서 탄성 복원시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간격은 상기 자궁경부 지름의 실질적으로 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
  8. 삭제
  9. 삭제
  10. 일측이 자궁경부에 삽입되어, 상기 자궁경부를 압박하는 압박부 및 타측이 상기 압박부에 압력을 가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박부는 일측이 링 형상의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에 연결 설치된 복수개의 레그, 및 상기 레그의 선단부에 형성된 팁부로 구성되며,
    상기 조작부는 중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구비된 회전레버,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레버와 스크류 결합하여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내부로 삽입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직선운동에 따라 수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팁부에 설치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레그는 서로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
  14. 삭제
KR1020130007535A 2013-01-23 2013-01-23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 KR101477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535A KR101477887B1 (ko) 2013-01-23 2013-01-23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535A KR101477887B1 (ko) 2013-01-23 2013-01-23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149A KR20140095149A (ko) 2014-08-01
KR101477887B1 true KR101477887B1 (ko) 2014-12-31

Family

ID=51743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535A KR101477887B1 (ko) 2013-01-23 2013-01-23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997B1 (ko) * 2015-04-28 2016-10-28 이승현 가슴 성형 수술용 다이섹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520Y1 (ko) * 1992-06-29 1995-09-13 김서곤 자궁(子宮)거상용 겸자
KR20010032150A (ko) * 1997-11-20 2001-04-16 프리드만 마크 엠 자궁경부확장, 소실, 및 경도 감시 시스템
JP2005522233A (ja) * 2001-03-28 2005-07-28 ヴァスキュラー・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子宮動脈を検知及び結紮する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520Y1 (ko) * 1992-06-29 1995-09-13 김서곤 자궁(子宮)거상용 겸자
KR20010032150A (ko) * 1997-11-20 2001-04-16 프리드만 마크 엠 자궁경부확장, 소실, 및 경도 감시 시스템
JP2005522233A (ja) * 2001-03-28 2005-07-28 ヴァスキュラー・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子宮動脈を検知及び結紮する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149A (ko) 201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8297B2 (en) Device and a method for evaluating a mechanical property of a material
ITTO940014A1 (it) Sistema di misura ad ultrasuoni per la rilevazione della densita' e struttura ossea.
JP7002144B2 (ja) 生体組織及び合成材料の粘弾性特性を測定するための吸引装置及び方法
RU2012121174A (ru) Интервенционные инструменты с поддержкой оптического зондирования для быстрых распределенных измерений биофизических параметров
US20130046205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measuring pain
CN100450433C (zh) 一种脉象检测装置
KR0177489B1 (ko) 임상기구 및 핸들
KR101803291B1 (ko) Eeg 및 emg 신호에 기반한 자궁 수축도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US11324414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spring force exerted on a sensor for obtaining bio-conductance readings using a linear actuator
Shaikh et al. Portable pen-like device with miniaturized tactile sensor for quantitative tissue palpation in oral cancer screening
KR101477887B1 (ko) 자궁경부 연성도 측정기
Miller et al. The AsTex®: clinimetric properties of a new tool for evaluating hand sensation following stroke
Hampson et al. Elasticity measurement of soft tissues using hybrid tactile and MARG-based displacement sensor systems
US1166004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force applied to the tip of a probe
KR100745034B1 (ko) 근육기능의 통합 진단분석장치
CN104970771A (zh) 一种高精度的人体痛觉压力检测装置
KR20180032254A (ko) 생체신호 측정장치
KR101023702B1 (ko) 맥파 측정 센서 및 측정 장치
KR102183407B1 (ko) 관절염 부종 및 압통 측정장치
KR101557786B1 (ko) 압력에 따른 통증 측정 장치
Bianchi et al. Endoscopic tactile instrument for remote tissue palpation in colonoscopic procedures
KR102204194B1 (ko) 휴대형 피부분석 장치 및 피부 분석 방법
CN205493793U (zh) 兽医用具有体表温度检测功能的皮毛梳理器
CN204863103U (zh) 一种高精度的人体痛觉压力检测装置
KR101510534B1 (ko) 자궁강 내 검사기기 안내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