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2254A - 생체신호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생체신호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254A
KR20180032254A KR1020160120831A KR20160120831A KR20180032254A KR 20180032254 A KR20180032254 A KR 20180032254A KR 1020160120831 A KR1020160120831 A KR 1020160120831A KR 20160120831 A KR20160120831 A KR 20160120831A KR 20180032254 A KR20180032254 A KR 20180032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l
signal
bio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어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어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어롬
Priority to KR1020160120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2254A/ko
Priority to PCT/KR2016/011842 priority patent/WO2018056494A1/ko
Publication of KR20180032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0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 A61B2562/046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in a matrix arr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sychia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의 털을 이용해 동물의 신체에 고정하고 동물의 생체신호정보를 측정할 수 있도록 된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장치는 동물의 신체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성질의 생체 신호를 측정 및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며 동물의 피부에 접촉하여 동물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측정유닛과,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체신호 측정장치{BIO-SIGNAL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물의 털을 이용해 동물의 신체에 고정하고 동물의 생체신호정보를 측정할 수 있도록 된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의 질병 및 이상 징후는 매우 많고, 여러 종류의 질병이 동일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질병에 대하여 사전에 검지하여 조기 예방을 하게 되면 가축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전염병의 조기 진단의 경우 가축의 피해를 비롯하여 사육농가의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물의 건강을 감시하는 중요한 요소로는 체온, 호흡, 맥박, 혈압, 산소포화도 등이 있다. 이러한 생체신호들은 동물의 건강관리는 물론 발정기나 출산기를 인지하는데 있어 중요한 사항이다.
동물들의 건상상태를 측정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육안으로 관찰을 하는 방법이 있는 데, 이는 아주 숙련된 자가 아니면 구분하기가 힘들거나 실수하는 경우가 있어 수정의 적기를 놓치거나 임신증상을 놓치 는 경우도 있으며, 출산이 임박한 줄 몰라 항상 대기하는 수고로움이 있다.
종래에 다양한 동물관리시스템들이 개시되어 있는데.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8-0015882의 경우에는 동물의 RFID태그정보, 체온 및 위치정보를 측정하여 동물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는 동물들의 생체신호를 구체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언급이 되어 있지 않아 그 구체성이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035035호의 경우에도 생체신호측정부에 대하여는 그 구체적인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아울러 종래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들의 경우 동물의 신체 일부에 고정시켜 생체신호를 취득할 필요가 있는데, 동물의 경우 털에 의해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동물의 피부층까지 접촉하기 어려워 정확한 생체신호의 취득을 위해서는 센서장치의 장착부분에 털을 제거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털이 있는 동물의 신체에 용이하게 고정하여 동물의 생체신호를 취득할 수 있는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장치는 동물의 신체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성질의 생체 신호를 측정 및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며 동물의 피부에 접촉하여 동물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측정유닛과,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접촉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본체로 전달할 수 있도록 신호 전달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는 동물의 털에 걸려 동물의 신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가 매트릭스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상기 센서부의 측정신호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송신부가 마련되고, 상기 데이터 처리유닛은 상기 무선송신부를 통해 송신된 측정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와,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수신된 데이터 또는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장치는 동물의 털을 제거하지 않아도 동물의 피부에 접촉해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으며, 동물의 털을 통해 고정시켜 장시간 측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블럭도로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생체신호 측정장치(1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동물의 신체에 장착하여 동물의 신체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생체신호를 감지하고 이 감지정보를 전달하여 저장 및 분석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동물의 신체에 장착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측정유닛(100)과, 측정유닛(100)에서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 및 분석하는 데이터 처리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유닛(100)은 소정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로부터 연장되는 센서부(120)들을 구비한다.
본체(110)는 센서부(120)들에서 측정된 신호 데이터를 수집 및 전달하기 위한 것이며, 본 실시예의 경우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상기 본체(1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센서부(120)들은 다수개가 본체(110)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는데,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각 센서부(120)들은 본체(110)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재(121)와, 연장부재(121)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센서(122)를 포함한다.
접촉센서(122)는 동물의 피부에 접촉하여 생체신호를 감지하며, 연장부재(121)는 상기 접촉센서(122)가 본체(110)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상태로 지지하면서, 접촉센서(122)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본체(1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장부재(121)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금속소재로 형성되거나, 신호를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0)와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빗과 같은 형상을 하게 되며, 털이 있는 동물의 경우 상기 연장부재(121)를 통해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접촉센서(122)가 털을 통과해 피부에 접촉할 수 있다. 아울러 털이 연장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빗질을 하듯 센서부(120)를 끼우면 털과 센서부(120)가 얽히면서 상기 측정유닛(100)이 동물의 신체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송신부(130)가 마련되어 있으며, 무선송신부(130)는 와이파이, 비콘, 블루투스 등 다양한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본체(110)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라인을 통해 유선으로 후술하는 데이터 처리유닛(200)과 연결될 수도 있다.
데이터 처리유닛(200)은 측정유닛(100)에서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는 것이다.
데이터 처리유닛(200)은 무선송신부(130)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230)를 포함하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10)와,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220)를 포함한다.
데이터 저장부(210)는 복수의 측정유닛(100)에서 동시에 측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각 측정유닛(100) 별로 데이터 번호를 부여하고, 개별적으로 수신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 분석부(220)는 측정된 생체신호, 예를 들어, 심박수나 체온과 같은 생체신호 데이터를 통해서 측정대상 동물의 건강상태나 기타 관리를 위한 정보를 취득하도록 분석을 실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빗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털이 있는 동물의 경우에 털을 제거하지 않고도 동물의 신체에 착용 및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생체신호 측정장치
100: 측정유닛
110: 본체
120: 센서부
121: 연장부재
122: 접촉센서
130: 무선송신부
200: 데이터 처리유닛
210: 데이터 저장부
220: 데이터 분석부
230: 무선수신부

Claims (3)

  1. 동물의 신체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성질의 생체 신호를 측정 및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며 동물의 피부에 접촉하여 동물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측정유닛과;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접촉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본체로 전달할 수 있도록 신호 전달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는 동물의 털에 걸려 동물의 신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가 매트릭스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센서부의 측정신호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송신부가 마련되고,
    상기 데이터 처리유닛은 상기 무선송신부를 통해 송신된 측정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와,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수신된 데이터 또는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

KR1020160120831A 2016-09-21 2016-09-21 생체신호 측정장치 KR20180032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831A KR20180032254A (ko) 2016-09-21 2016-09-21 생체신호 측정장치
PCT/KR2016/011842 WO2018056494A1 (ko) 2016-09-21 2016-10-20 생체신호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831A KR20180032254A (ko) 2016-09-21 2016-09-21 생체신호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254A true KR20180032254A (ko) 2018-03-30

Family

ID=61690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831A KR20180032254A (ko) 2016-09-21 2016-09-21 생체신호 측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32254A (ko)
WO (1) WO201805649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771B1 (ko) * 2019-12-16 2020-07-14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족부 측정 장치
KR20210040653A (ko) * 2019-10-04 2021-04-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비접촉 생체신호 측정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1467A (ja) * 2004-11-16 2006-06-08 Hokkaido Technology Licence Office Co Ltd 動物の生体情報モニタ用固定具および動物の生体情報モニタ方法
KR20140002502U (ko) * 2012-10-19 2014-04-30 양희경 가축 건강 모니터 장치
KR101409844B1 (ko) * 2012-11-26 2014-06-19 전자부품연구원 실험용 동물의 생체 신호 획득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565064B1 (ko) * 2013-12-17 2015-11-0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정보 감지 밴드
KR102361026B1 (ko) * 2014-11-20 2022-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신호 측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0653A (ko) * 2019-10-04 2021-04-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비접촉 생체신호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133771B1 (ko) * 2019-12-16 2020-07-14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족부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6494A1 (ko)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51058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pregnancy or labour
KR101213252B1 (ko) 가축 온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으로 이루어지는 가축의 질병 진단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101243763B1 (ko) 전기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건강지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20150374328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mote fetal and maternal health monitoring
KR101294868B1 (ko) 원격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68037A1 (en) Intelligent headrest and ophthalmic examination and data management system
US10368765B2 (en) Wearable apparatus for ECG signal acquisition
CN103561636A (zh) 发热检测装置
US9723986B1 (en) Physiological parameter measuring system
KR101803291B1 (ko) Eeg 및 emg 신호에 기반한 자궁 수축도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01752A (ko) 센서 감응형 rfid 태그가 적용된 환자용 밴드를 이용한 환자의 실시간 관리 시스템
US10349888B2 (en) Wearable electroencephalography devi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80032254A (ko) 생체신호 측정장치
WO2017164807A1 (en) Tail-mounted sensor device for monitoring animal vital signs
JP2017148220A (ja) 生体情報計測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80147024A1 (en) Wireless sensor and monitored patient association system and method
US117661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 physiological condition of a user
WO2018104970A1 (en) Pulse detection, measurement and analysis based health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20180113744A (ko) 애완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KR20100076136A (ko) 생체정보인식기
JP2022052809A (ja) 牛用鼻輪
US20160183797A1 (en) Multifunction Biotelemetry Support System for Psychophysiology Monitoring
CN205493793U (zh) 兽医用具有体表温度检测功能的皮毛梳理器
CN211409017U (zh) 一种基于云计算的体外诊疗检测装置
KR20170101358A (ko) 동물의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및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