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001B1 - 전자파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파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001B1
KR101477001B1 KR1020130135006A KR20130135006A KR101477001B1 KR 101477001 B1 KR101477001 B1 KR 101477001B1 KR 1020130135006 A KR1020130135006 A KR 1020130135006A KR 20130135006 A KR20130135006 A KR 20130135006A KR 101477001 B1 KR101477001 B1 KR 101477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amount
position sensor
electromagnetic wave
crankshaft
measu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30135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01R29/0821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rooms and test sites therefor, e.g. anechoic chambers, open field sites or TEM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8Sensors; antennas; probes;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파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체의 위치센서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를 시험하는 전자파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파 시험장치에 따르면, 전자파 노이즈가 없는 실차와 유사한 환경을 구성하여 전자파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정밀한 전자파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파 시험장치{Test device of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EMC)}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파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체의 위치센서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를 시험하는 전자파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오늘날 자동차에는 컴퓨터와 각종센서를 통하여 운전조건에 적합한 최적의 연료분사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가 탑재된다.
전자제어장치는 내연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혼합기가 공급되도록, 엔진의 회전속도, 흡기공기량, 냉각수 온도 및 흡입 공기 온도 등, 엔진의 상태를 각종 센서를 통하여 검지하고 연산하여 현재 내연기관의 운전 조건에 가장 적합한 혼합기의 공급을 정밀하게 제어한다.
이러한 자동차의 전자제어장치는 내연기관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각종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센서 중 크랭크축 위치센서(CKP 센서)는 엔진 회전수(RPM)를 측정하고, 크랭크축의 각도를 파악하여 엔진 피스톤의 위치 정보를 전자제어장치에 전달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크랭크축 위치센서는 크랭크축의 일단에 부착된 타겟휠(Target wheel)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엔진의 회전에 따라 타겟휠의 잇날이 변화하게 됨으로써 내부 자석에서 자속(Magnetic Flux)의 밀도가 변화하게 되고, 이에 내부 코일 상에서 타겟휠의 회전 속도에 따른 기전력이 발생한다.
전자제어장치는 크랭크축 위치센서의 기전력 신호를 통하여 엔진 회전수 정보 또는 크랭크축 각도 정보를 얻게 되며,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점화시기 또는 연료분사 시기 등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크랭크축 위치센서는 보통 홀IC 센서 등 전자파 노이즈가 방출되는 전자회로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전자회로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노이즈는 차량의 각종 전자장치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악영향은 차량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각한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자파 방출의 허용한도를 정하는 규제치가 정해지며, 크랭크축 위치센서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 노이즈가 이러한 규제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각종 시험이 존재한다. 이러한 시험의 일례로 EMI, EMC, EMS 등의 시험이 있다. 이러한 전자파 시험은 유용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 실차와 유사한 환경 하에서 실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차와 유사한 환경 하에서 크랭크축 위치센서의 전자파 시험을 수행함에 있어서 크랭크축 위치센서뿐만 아니라 전자파 시험을 수행하는 시험장치 자체에서도 전자파가 방출되므로 전자파의 중첩으로 인하여 시험의 정확성 및 정밀성을 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험장치 자체에서 방출하는 전자파와 피시험체에서 방출하는 전자파가 중첩되지 않도록 시험장치 자체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구조를 가지는 전자파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시험장치는 전자파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차폐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실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회전과 관련한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센서를 고정하는 센서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위치센서가 방출하는 전자파를 측정하는 전자파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회전량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량측정부가 측정한 측정값을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값을 상기 구동부로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외주연에 복수의 잇날이 형성된 타겟휠과 상기 구동부가 발생시킨 회전력을 상기 타겟휠에 전달하는 크랭크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랭크축은 일단이 상기 타겟휠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위치센서는 상기 타겟휠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위치센서는 CKP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량측정부는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회전량측정부는 홀IC와 상기 홀IC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홀IC가 생성한 아날로그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광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량측정부는 외부로 전자파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막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회전량측정부는 상기 차폐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폐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량측정부와 상기 제어기는 광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공압모터와 상기 공압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공압모터로 제어된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압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결과값을 상기 공압조절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공압모터는 상기 차폐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압조절부는 상기 차폐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압조절부는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축 위치센서의 전자파 시험장치는 내부에 크랭크축 위치센서가 배치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자파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차폐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크랭크축 위치센서가 방출하는 전자파를 측정하는 전자파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랭크축 위치센서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외주연에 복수의 잇날이 형성된 타겟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겟휠과 연결되어, 상기 타겟휠을 회전시키는 크랭크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회전량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량측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차폐실 내부에 설치되는 공압모터와 상기 차폐실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압모터로 제어된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압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량측정부는 전자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폐막으로 둘러싸여, 상기 차폐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폐실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량측정부는 홀IC와 상기 홀IC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홀IC가 생성한 아날로그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광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전송부와 상기 제어기는 광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파 시험장치에 따르면, 전자파 노이즈가 없는 실차와 유사한 환경을 구성하여 전자파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정밀한 전자파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시험장치를 나타내다.
도 2는 도 1의 위치센서와 타겟휠의 측면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시험장치(1)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시험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위치센서와 타겟휠의 측면 모습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시험장치(1)의 일 실시예는 전자파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차폐실(10); 상기 차폐실(10)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체(20,21); 상기 회전체(20,21)의 회전과 관련한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센서(41)를 고정하는 센서고정부(40); 상기 차폐실(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위치센서(41)가 방출하는 전자파를 측정하는 전자파측정부(70); 상기 회전체(20,21)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20,21)를 회전시키는 구동부(30,31); 상기 차폐실(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20,21)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회전량측정부(50); 및 상기 회전량측정부(50)가 측정한 측정값을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값을 상기 구동부(30,31)로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30,31)를 구동시키는 제어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폐실(10)은 외부로부터 전자파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차폐실(10) 내부에는 센서고정부(4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센서고정부(40)에 위치센서(41)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위치센서(41)는 회전체(20,21)의 회전과 관련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체(20,21)의 회전과 관련한 정보는 실시예에 따라서 내연기관의 크랭크 각속도(RPM)일 수 있다. 위치센서(41)의 일례는 홀IC를 포함하는 CKP센서일 수 있다.
회전체(20,21)는 외주연에 복수의 잇날(22)이 형성된 타겟휠(21)과 구동부(30,31)가 발생시킨 회전력을 상기 타겟휠(21)에 전달하는 크랭크축(20)을 포함할 수 있다. 크랭크축(20)은 일단이 타겟휠(21)과 연결되고 타단이 구동부(30,31)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체(20,21)는 실제 차량용 엔진의 일부분인 크랭크축과 타겟휠을 모사한 부분이다. 따라서 회전체(20,21)는 실제 크랭크축 및 타겟휠과 유사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실제 크랭크축 및 타겟휠과 유사하게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위치센서(41)는 타겟휠(2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센서고정부(40)는 위치센서(41)가 타겟휠(21)과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도록 회전체(20,21)로부터 적당한 간격에 설치될 수 있다. 위치센서(41)는 타겟휠(21)이 회전할 때 타겟휠(21)의 외주연에 형성된 복수의 잇날(22)이 함께 회전하면서 발생시키는 자기장을 센싱하여 타겟휠(21)의 회전과 관련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회전량측정부(50)는 회전체(20,21)의 크랭크축(20)의 회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크랭크축(20)의 회전량은 크랭크축(20)의 회전수(RPM)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센서(41)의 일례는 홀IC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로서 작동할 때 전자파를 방출할 수 있다. 즉, 위치센서(41)는 회전체(20,21)를 센싱하여 회전체(20,21)의 회전과 관련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안 전자파를 방출할 수 있다.
이 전자파는 회전체(20,21)의 회전수에 따라서 방출되는 양이 달라진다. 따라서 회전체(20,21)가 어떤 속도로 회전할 때 위치센서(41)로부터 어느 정도의 전자파가 방출되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회전체(20,21)의 속도를 달리하여 위치센서(41)를 작동시킬 필요가 있다.
회전량측정부(50)는 크랭크축(20)의 회전수를 측정함으로써 회전체(20,21)의 회전수를 측정하게 되며, 사용자는 회전량측정부(50)가 측정한 회전체(20,21)의 회전수를 파악함으로써 회전체(20,21)가 어떤 속도로 회전할 때 위치센서(41)가 얼마의 전자파를 방출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회전량측정부(50)는 홀IC(51)와 홀IC(5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2)와 홀IC(51)가 생성한 아날로그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광전송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홀IC(51)는 배터리(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회전량측정부(50)는 외부로 전자파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막(55)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회전량측정부(50)는 위치센서(41)와 마찬가지로 홀IC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이므로 작동시 전자파가 방출된다. 회전량측정부(50)가 방출하는 전자파가 위치센서(41)가 방출하는 전자파와 중첩되는 경우 위치센서(41)가 방출하는 전자파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회전량측정부(50)가 방출하는 전자파가 위치센서(41)가 방출하는 전자파를 측정하는 전자파측정부(70)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량측정부(50)를 둘러싸 밀폐하는 차단막을 설치할 수 있다. 홀IC(51)는 마그네트(54)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 관련한 정보를 받아서 크랭크축의 위치와 관련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홀IC(51)와 상호작용하는 마그네트(54)은 실시예에 따라서 크랭크축(20)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차폐막(55)은 마그네트(54)와 크랭크축(20)까지 둘러싸 밀폐할 수 있다.
회전량측정부(50)는 별도의 배터리(52)를 사용하여 홀IC(51)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회전량측정부(50)에 별도의 전원공급선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서, 차폐막(55)으로 회전량측정부(50)를 밀폐하는 것이 용이하며, 전자파의 차폐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폐막(55)의 구조 또는 재질은 종래에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광전송부(53)는 회전량측정부(50)의 홀IC(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량측정부(50)의 홀IC(51)가 발생시키는 크랭크축(20)의 회전수 정보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이 아날로그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광전송부(53)는 제어기(60)와 광케이블(56)로 연결될 수 있다. 광전송부(53)는 이렇게 변환된 광 신호를 광케이블(56)을 통하여 제어기(60)로 전달할 수 있다.
회전량측정부(50)와 제어기(60)를 전선케이블로 연결하는 구조는 전선케이블로부터 전자파가 방출되며, 전선케이블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와 위치센서(41)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가 중첩되어 위치센서(41)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의 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량측정부(50)와 제어기(60)를 광케이블(56)로 연결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전자파의 방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위치센서(41)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제어기(60)는 광 신호를 광전송부(53)로부터 전송받아 회전체(20,21)의 회전량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회전체(20,21)의 속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어기(60)는 사용자가 설정한 속도로 회전체(20,21)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부(30,3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체(20,21) 회전속도를 제어기(60)에 입력하여 기준값을 설정하면, 제어기(60)는 광전송부(53)로부터 전송받은 회전량측정부(50)가 측정한 측정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결과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결과값을 구동부(30,31)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측정값이 기준값에 미달되면 제어기(60)는 구동부(30,31)가 더 큰 회전력을 회전체(20,21)에 전달하도록 결과값을 구동부(30,31)로 출력할 수 있고, 측정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제어기(60)는 구동부(30,31)가 더욱 작은 회전력을 회전체(20,21)에 전달하도록 결과값을 구동부(30,31)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기(60)는 구동부(30,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결과값의 출력은 제어신호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대로 위치센서(41)가 작동하여 회전체(20,21)의 회전과 관계된 정보를 획득할 때 전자파가 방출되며, 회전체(20,21)의 회전수에 따라서 전자파가 방출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고, 회전체(20,21)의 회전량 변화에 따라서 전자파가 방출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실차 환경에서는 이렇게 타겟휠(21)의 회전수에 따라서 CKP센서의 전자파 방출량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갖는 이러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실차 환경에 유사한 상태에서 회전체(20,21)의 회전량을 달리하여 위치센서(41)의 전자파 방출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동부(30,31)는 공압모터(30)와 공압모터(30)와 연결되어 상기 공압모터(30)로 제어된 압력의 공기(A)를 공급하는 공압조절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압조절부(31)는 제어기(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기(60)로부터 전술한 결과값을 출력받을 수 있다.
공압모터(30)의 출력축은 회전체(20,21)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크랭크축(20)과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대로 크랭크축(20)의 일단은 타겟휠(21)과 연결되고, 타단은 공압모터(30)의 출력축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런 구조를 취함으로써 공압모터(30)는 회전력을 크랭크축(20)에 전달할 수 있으며, 크랭크축(20)은 전달받은 회전력을 타겟휠(21)에 전달하여 타겟휠(21)을 회전시킬 수 있다.
공압모터(30)는 공압조절부(31)와 공압공급통로(35)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공압조절부(31)의 일 실시예는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공기유입구(33)와 제어된 압력의 공기(A)를 공압모터(3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토출구(34)와 상기 공기토출구(34)의 개도를 조절하는 솔레노이드밸브(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밸브(32)는 제어기(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기(60)를 통하여 전술한 결과값을 입력받아 공기토출구(34)의 개폐량을 결정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34)는 공압공급통로(35)와 연결되며, 제어기(60)는 공압토출파이프로부터 제어된 압력의 공기(A)를 토출시켜 공압모터(30)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기(60)는 솔레노이드밸브(32)의 개도량을 제어하여 공압모터(30)를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30,31)로서 전기식 모터를 사용하면 전기식 모터로부터 전자파가 방출되며, 모터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와 위치센서(41)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가 중첩되어 위치센서(41)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의 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30,31)의 실시예로서 공압모터(30)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전자파의 방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위치센서(41)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량측정부(50)는 전술한 차폐실(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제어기(60)는 차폐실(1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압모터(30)는 차폐실(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공압조절부(31)는 차폐실(1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기(60)는 전자기기이므로 작동시 전자파가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압조절부(31) 역시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압조절부(31)에서 전자파가 방출될 수 있다. 제어기(60)와 공압조절부(31)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위치센서(41)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와 중첩되면, 위치센서(41)의 전자파 측정의 정확성이 낮아진다.
본 실시예는 제어기(60)와 공압조절부(31)가 차폐실(10) 외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차폐실(10)이 제어기(60)와 공압조절부(31)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가 위치센서(41)로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여 위치센서(41)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차폐실(10)은 제어기(60)와 공압조절부(31)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뿐만 아니라 차폐실(10) 외부에서 발생하는 어떠한 전자파도 차단하므로 위치센서(41)의 전자파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전자파를 차단하는 차폐실(10)의 구조 또는 재질 자체는 종래에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파측정부(70)는 위치센서(41)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파측정부(70)는 위치센서(41)가 회전하는 회전체(20,21)의 회전과 관련한 정보를 획득하는 도중에 방출되는 전자파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전자파측정부(70)는 위치센서(41)와 함께 차폐실(10) 내부에 설치되고, 회전량측정부(50)는 차폐막(55)으로 둘러싸이며, 회전량측정부(50)와 차폐실(10) 외부에 배치되는 제어기(60)는 광케이블(56)로 연결되고, 구동부(30,31)는 전자파가 방출되지 않는 공압모터(30)를 포함하므로 전자파측정부(70)는 다른 기기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위치센서(41)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만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전자파측정부(70)는 실시예에 따라서 로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자파측정부(70)는 로드 안테나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파가 방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다른 구조를 취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축 위치센서의 전자파 시험장치는 내부에 크랭크축 위치센서가 배치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자파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차폐실; 상기 차폐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크랭크축 위치센서가 방출하는 전자파를 측정하는 전자파측정부; 상기 크랭크축 위치센서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외주연에 복수의 잇날이 형성된 타겟휠; 상기 타겟휠과 연결되어, 상기 타겟휠을 회전시키는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회전량측정부; 및 상기 회전량측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폐실, 전자파측정부, 타겟휠, 크랭크축, 구동부, 회전량측정부 및 제어기는 각각 전술한 실시예의 차폐실(10), 전자파측정부(70), 타겟휠(21), 크랭크축(20), 구동부(30,31), 회전량측정부(50) 및 제어기(60)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는 공압모터와 공압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압모터는 차폐실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공압공급부는 차폐실 외부에 설치되어 공압모터로 제어된 압력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압모터와 공압공급부는 각각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공압모터(30)와 공압조절부(31)와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회전량측정부는 전자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폐막으로 둘러싸여, 차폐실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기는 차폐실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량측정부는 홀IC와 상기 홀IC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홀IC가 생성한 아날로그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광전송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광전송부(53)와 제어기(60)는 광케이블(56)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폐막, 홀IC, 배터리 또는 광전송부는 각각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차폐막(55), 홀IC(51), 배터리(52), 광전송부(53)와 대응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전자파 시험장치 10: 차폐실
20, 21: 회전체 30, 31: 구동부
40: 센서고정부 50: 회전량측정부
60: 제어기 70: 전자파측정부

Claims (17)

  1. 전자파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차폐실;
    상기 차폐실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회전과 관련한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센서를 고정하는 센서고정부;
    상기 차폐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위치센서가 방출하는 전자파를 측정하는 전자파측정부;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차폐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회전량측정부; 및
    상기 회전량측정부가 측정한 측정값을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값을 상기 구동부로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전자파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외주연에 복수의 잇날이 형성된 타겟휠과 상기 구동부가 발생시킨 회전력을 상기 타겟휠에 전달하는 크랭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시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은 일단이 상기 타겟휠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시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서는 상기 타겟휠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시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서는 CKP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시험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량측정부는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시험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량측정부는 홀IC와 상기 홀IC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홀IC가 생성한 아날로그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광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시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량측정부는 외부로 전자파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막으로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시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량측정부는 상기 차폐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폐실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시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량측정부와 상기 제어기는 광케이블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시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공압모터와 상기 공압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공압모터로 제어된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압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결과값을 상기 공압조절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시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모터는 상기 차폐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압조절부는 상기 차폐실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시험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조절부는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시험장치.
  14. 내부에 크랭크축 위치센서가 배치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자파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차폐실;
    상기 차폐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크랭크축 위치센서가 방출하는 전자파를 측정하는 전자파측정부;
    상기 크랭크축 위치센서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외주연에 복수의 잇날이 형성된 타겟휠;
    상기 타겟휠과 연결되어, 상기 타겟휠을 회전시키는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회전량측정부; 및
    상기 회전량측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크랭크축 위치센서의 전자파 시험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차폐실 내부에 설치되는 공압모터와 상기 차폐실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압모터로 제어된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압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축 위치센서의 전자파 시험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량측정부는 전자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폐막으로 둘러싸여, 상기 차폐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폐실 외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축 위치센서의 전자파 시험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량측정부는 홀IC와 상기 홀IC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홀IC가 생성한 아날로그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광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전송부와 상기 제어기는 광케이블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축 위치센서의 전자파 시험장치.
KR1020130135006A 2013-11-07 2013-11-07 전자파 시험장치 KR101477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006A KR101477001B1 (ko) 2013-11-07 2013-11-07 전자파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006A KR101477001B1 (ko) 2013-11-07 2013-11-07 전자파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001B1 true KR101477001B1 (ko) 2014-12-29

Family

ID=5268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006A KR101477001B1 (ko) 2013-11-07 2013-11-07 전자파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0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4573A (zh) * 2018-10-09 2019-03-08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一种终端用电磁兼容测试设备、测试方法及系统
CN111537815A (zh) * 2020-04-03 2020-08-14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兼容性测试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4727A (ko) * 2007-12-17 2009-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파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4727A (ko) * 2007-12-17 2009-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파 시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4573A (zh) * 2018-10-09 2019-03-08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一种终端用电磁兼容测试设备、测试方法及系统
CN111537815A (zh) * 2020-04-03 2020-08-14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兼容性测试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0554B2 (en) Position detector
JP4494368B2 (ja) 電子制御スロットル装置
KR101477001B1 (ko) 전자파 시험장치
KR20090057054A (ko) 배기 가스 터보차저용 웨이스트 게이트 액츄에이터
KR20050098947A (ko) 센서 모듈유닛 및 센서 모듈유닛을 구비하는 스로틀장치
US20160061637A1 (en) Integrated angle sensing device
ES1180289U (es) Un dispositivo de monitorización de estado para monitorizar una máquina eléctrica
KR101655215B1 (ko) 보기류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 시스템
CN104126055A (zh) 用于无接触地检测可转动对象的旋转特性的传感器装置
KR100903426B1 (ko) 밸런스샤프트 테스트장치
KR20090125070A (ko) 엔진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지시장치
CN110307860A (zh) 一种差分式霍尔多圈位置绝对位置传感器及其检测方法
CN107167732A (zh) 新型汽车发电机效率自动测试装置
Cardone et al. Development of a flexible test bench for a Hybrid Electric Propulsion System
US9566862B2 (en) Indicating instrument for vehicle
CN102445563A (zh) 挖掘机回转速度和回转制动角度的测试装置及使用方法
US6265866B1 (en) Measuring device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control element with temperature related measurement errors correction
US20220364908A1 (en) Device for measuring a parameter indicative of the rotational speed of a component
CN209131828U (zh) 发动机转子、静子径向振动测量装置
KR20170022493A (ko) Cvvt 시스템 작동 내구성 시험장치
CN208567808U (zh) 一种可检测调整安装位置的曲轴位置传感器
KR100748887B1 (ko) 자동변속기의 토오크 측정장치
JPS6281502A (ja) 回転角検出装置
RU63927U1 (ru) Датчик положения дроссельной заслонки
JP7018045B2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排気バルブ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