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925B1 -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 - Google Patents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925B1
KR101476925B1 KR20130102822A KR20130102822A KR101476925B1 KR 101476925 B1 KR101476925 B1 KR 101476925B1 KR 20130102822 A KR20130102822 A KR 20130102822A KR 20130102822 A KR20130102822 A KR 20130102822A KR 101476925 B1 KR101476925 B1 KR 101476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blood
unit
sample container
blood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2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호
Original Assignee
김보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곤 filed Critical 김보곤
Priority to KR20130102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63Detail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61B5/150786Optical identification systems, e.g. bar codes, colour c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15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는 복수의 혈액검체용기에 부착된 혈액제공자라벨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인식부가 용이하게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게끔 복수의 혈액검체용기를 정렬하는 혈액검체용기정렬부; 혈액검체용기정렬부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혈액검체용기로부터 혈액을 채취하는 제 1 니들유닛과 약액을 공급하는 제 2 니들유닛이 설치된 니들구동부; 및 제 1 니들유닛에 연결되어, 제 1 니들유닛이 혈액검체용기 내의 혈액을 채취하고, 혈액검체키트로 혈액을 토출토록 작동하는 혈액채취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NEEDL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VISCOSITY OF THE BLOOD}
본 발명은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혈액응고 없이 혈액을 혈액검체용기에서 채취하기 위한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 점도 측정 장치는 혈액의 점도를 측정하는 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유체 점도 측정 장치는 기준 점도를 갖는 기준유체와 혈액 등과 같은 점도 측정 대상 유체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측정 대상 유체의 점성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점도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혈액의 점도는 인체의 질병 등을 판단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사용된다.
그래서, 혈액의 점도를 측정하여 인체의 발병 또는 질병 등을 진단할 수 있는 유체 점도 측정 장치는 어느 장소나 사용될 수 있는 휴대용 방식이 더 유용할 수 있다. 물론, 휴대용 방식의 유체 점도 측정 장치는 그 크기 및 부피의 축소를 위해 최소한의 구동 장치로 마련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혈액 등과 같은 유체는 전단률의 변화에 따라 그 점도가 변화되는 비뉴턴 유체이므로, 다양한 전단률 조건에서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유체 점도 측정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3960호에는 유체 점도 측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니들부재만을 구동하여 혈액을 채취할 수 있고, 혈액을 검체키트에 주입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니들부재를 동시에 시킬 수 있는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혈액채취용 니들부재의 형상을 원추형 형상으로 개선하여, 혈액채취용 니들부재의 혈액검체용기로의 삽입시 혈액채취용 니들부재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는 복수의 혈액검체용기에 부착된 혈액제공자라벨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인식부가 용이하게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게끔 복수의 혈액검체용기를 정렬하는 혈액검체용기정렬부; 혈액검체용기정렬부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혈액검체용기로부터 혈액을 채취하는 제 1 니들유닛과 약액을 공급하는 제 2 니들유닛이 설치된 니들구동부; 및 제 1 니들유닛에 연결되어, 제 1 니들유닛이 혈액검체용기 내의 혈액을 채취하고, 혈액검체키트로 혈액을 토출토록 작동하는 혈액채취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니들구동부는, 혈액검체용기정렬부와 혈액점도측정부 사이에 설치된 제 2 레일유닛; 제 2 레일유닛에 설치되고, 제 1 니들유닛과 제 2 니들유닛이 안착된 구조를 가지며, 제 1 니들유닛 및 제 2 니들유닛이 혈액검체용기를 향하도록 제 1 니들유닛 및 제 2 니들유닛의 위치를 조정하는 니들각도조정유닛; 니들각도조정유닛에 안착되어, 혈액검체용기로 삽입되어 혈액검체용기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혈액점도측정부에 안착된 혈액검체키트로 혈액을 토출하는 구조를 가진 제 1 니들유닛; 및 니들각도조정유닛에 안착되어, 혈액점도측정부에 안착된 혈액검체키트로 약액을 토출하는 구조를 가진 제 2 니들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레일유닛은, 일단이 혈액검체용기정렬부의 하부에서 혈액검체용기정렬부와 직교되도록 바닥면에 설치되고, 타단이 혈액점도측정부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2 레일부재; 제 2 레일부재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2 구동풀리; 제 2 구동풀리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제 2 구동풀리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2 구동모터; 제 2 레일부재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2 공회전풀리; 제 2 레일부재를 둘러싸는 형태로, 제 2 구동풀리와 제 2 공회전풀리에 연결된 제 2 순환벨트; 및 제 2 순환벨트의 순환방향에 따라, 제 2 레일부재에 대해 전후이동가능하게 제 2 레일부재에 설치되어, 혈액검체용기정렬부와 혈액점도측정부 사이에서 움직이는 제 2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니들각도조정유닛은, 제 2 이동부재에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니들유닛과 제 2 니들유닛이 안착된 구조를 가진 니들각도조정판; 및 니들각도조정판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제 2 이동부재에 설치되고, 니들각도회전축에 의해 니들각도조정판에 연결되어, 니들각도조정판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니들각도조정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니들유닛은 니들각도조정판의 일측에 설치된 제 1 니들구동모터; 니들각도조정판의 타측에 설치되고, 제 1 니들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혈액검체용기정렬부에 홀더링된 혈액검체용기를 향해 전후이동가능하게 작동되고, 제 1 니들이탈방지턱이 마련된 제 1 니들구동판; 제 1 니들이탈방지턱에 설치되어, 혈액검체용기로 삽입되어 혈액검체용기에 수용된 혈액을 채취하는 제 1 니들부재; 및 제 1 니들부재에 연결된 제 1 니들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니들부재의 타단은 혈액검체용기로의 삽입이 용이한 원추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혈액검체용기의 용기커버와의 접촉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토록 폐쇄된 구조를 가지며, 제 1 니들부재의 외주면에는 제 1 니들부재의 타단에 인접한 부분에 혈액유입개구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니들유닛은, 제 1 니들구동모터와 나란하게 니들각도조정유닛의 일측에 설치된 제 2 니들구동모터; 제 1 니들구동판과 나란하게 니들각도조정판의 타측에 설치되고, 제 2 니들구동모터에 연결되며, 제 2 니들이탈방지턱이 마련된 제 2 니들구동판; 제 2 니들이탈방지턱에 설치된 제 2 니들부재; 및 제 2 니들부재에 연결된 제 2 니들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혈액채취부는 제 2 레일유닛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바닥면에 설치되어 제 1 니들연결관으로 진공압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 진공펌프와 제 1 니들연결관을 연결하는 진공배관을 포함하여, 제 1 니들부재의 혈액검체용기로의 삽입시, 제 1 니들부재로 진공압력을 제공하여, 제 1 니들부재가 검체용기로부터 혈액을 흡입토록 작동되고, 제 1 니들부재로 토출압력을 제공하여 제 1 니들연결관으로 유입된 혈액을 제 1 니들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토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제 1 니들유닛과 제 2 니들유닛 중에 제 1 니들유닛만을 구동하여 혈액을 채취할 수 있고, 혈액을 검체키트에 주입하는 경우에는 제 1 니들유닛과 제 2 니들유닛을 동시에 구동하여, 검체키트로 혈액과 약액을 동시에 주입할 수 있어, 혈액점도측정의 측정시간 및 작업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혈액채취용 니들부재의 형상을 원추형 형상으로 개선하여, 혈액채취용 니들부재의 혈액검체용기로의 삽입시 혈액채취용 니들부재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검체용기정렬부와 니들구동부의 설치구조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검체용기정렬부와 니들구동부의 설치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구동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제 1 니들부재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구동부의 작동시, 제 1 니들부재가 혈액검체용기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구동부의 작동시, 제 1 니들부재와 제 2 니들부재가 검체키트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1)는 혈액검체용기정렬부(100), 니들구동부(200), 혈액채취부(300)와 혈액점도측정부(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검체용기정렬부(100)는 복수의 혈액검체용기(10)에 부착된 혈액제공자라벨(12)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인식유닛(160)이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게끔 복수의 혈액검체용기(10)를 정렬하고, 혈액검체용기(10)의 용기커버(11)가 니들구동부(200)를 향하도록 혈액검체용기(10)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작동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검체용기정렬부(100)는 혈액점도측정부(700)로 혈액이 제공되기 전에 복수의 혈액검체용기(10)에 수용된 혈액제공자의 정보를 인식하기 위해 복수의 혈액검체용기(10)를 정렬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검체용기정렬부(100)는 기초프레임(110), 제 1 레일유닛(120), 검체용기안착유닛(130), 검체용기정렬유닛(140), 혈액침전방지유닛(150) 및 바코드인식유닛(1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초프레임(110)은 바닥면에 안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혈액점도측정부(700)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프레임(110)에는 베이스판(111)과 복수의 지지다리(112)가 설치된다.
여기서, 베이스판(111)은 복수의 지지다리(112)에 의해 기초프레임(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베이스판(111)의 상부에는 제 1 레일유닛(120)과 정렬프레임(141)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지지다리(112)는 베이스판(111)의 하부에 결합되어, 베이스판(111)이 바닥면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제공된 부재이다. 복수의 지지다리(112)의 설치개수는 본 명세서에 의해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에서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레일유닛(120)은 기초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검체용기안착유닛(1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제 1 레일유닛(120)은 제 1 레일지지부재(121), 제 1 레일부재(122), 제 1 공회전풀리(123), 제 1 구동풀리(124), 제 1 순환벨트(125)와 제 1 이동부재(12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레일지지부재(121)는 베이스판(1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 1 레일부재(122)를 지지토록 제공된 부재이다. 제 1 레일부재(122)는 베이스판(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베이스판(111)의 상부에 설치된다. 제 1 레일부재(122)의 일단에는 제 1 구동풀리(124)가 설치되고, 제 1 레일부재(122)의 타단에는 제 1 공회전풀리(123)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구동풀리(124)는 제 1 레일부재(122)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 구동풀리(124)의 회전축에는 제 1 구동모터(미도시)가 설치된다. 제 1 구동모터(미도시)는 제 1 구동풀리(124)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제 1 구동풀리(124)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공회전풀리(123)는 상술했듯이 제 1 레일부재(122)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1 구동풀리(124)에 연결된 제 1 순환벨트(125)의 순환운동시 공회전되는 부재이다. 제 1 공회전풀리(123)에는 제 1 순환벨트(125)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순환벨트(125)는 제 1 레일부재(122)를 둘러싸는 형태로 제 1 구동풀리(124)와 제 1 공회전풀리(123) 사이에서 순환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순환벨트(125)는 제 1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은 제 1 구동풀리(124)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1 레일부재(122)를 순환운동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순환벨트(125)에는 제 1 이동부재(126)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이동부재(126)는 제 1 순환벨트(125)의 순환방향에 따라, 제 1 레일부재(122)에 대해 전후이동가능하게 제 1 레일부재(122)에 연결된다. 제 1 이동부재(126)에는 검체용기안착유닛(130)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검체용기안착유닛(130)은 제 1 레일부재(122)를 따라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혈액검체용기(10)가 안착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용기안착유닛(130)은 검체용기안착부재(131)와 용기이탈방지부재(132)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용기안착부재(131)는 하단면이 제 1 이동부재(126)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복수의 혈액검체용기(10)가 각각 안착되는 복수의 검체용기안착홈(131a)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이탈방지부재(132)는 복수의 혈액검체용기안착홈(131a)의 일측에서 혈액검체용기안착부재(131)에 설치되어, 복수의 혈액검체용기안착홈(131a)에 안착된 복수의 혈액검체용기(10)의 이탈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용기이탈방지부재(132)의 일면에는 복수의 혈액검체용기안착홈(13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이탈방지턱(132a)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혈액검체용기안착홈(131a)과 이탈방지턱(132a)은 혈액검체용기(1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혈액검체용기(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혈액검체용기(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검체용기(10)는 혈액을 수용하는 부재로서, 내부에 혈액이 수용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검체용기(10)는 투명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면, 그 재질에 대해서는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에서 다양하게 가변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혈액검체용기(10)의 외주면에는 혈액제공자라벨(12)이 부착된다. 여기서, 혈액제공자라벨(12)은 혈액검체용기(10)에 수용된 혈액의 제공자의 성명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으로서, 바코드 타입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바코드란 영문자, 숫자 또는 특수글자를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기 위해 굵기가 다른 수직 막대들의 조합으로 나타내어,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코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혈액검체용기(10)의 개방된 상부는 용기커버(11)에 의해 밀폐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커버(11)는 후술할 제 1 니들부재(233)의 삽입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코드인식유닛(160)은 검체용기안착유닛(130)의 이동경로 상에서 기초프레임(110)에 설치되어, 혈액검체용기(10)에 부착된 혈액제공자라벨(12)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부재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렬프레임(141)은 검체용기안착유닛(130)의 이동경로 상에서 기초프레임(110)에 설치된다. 정렬프레임(141)은 검체용기안착유닛(130)의 이동경로 상에서 기초프레임(110)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렬프레임(141)은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검체용기안착유닛(130)이 제 1 레일유닛(120)을 따라 이동될 때 통과되는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렬프레임(141)에는 검체용기정렬유닛(140)이 설치된다. 정렬프레임(141)에는 물체감지센서(미도시)가 부착되어, 정렬프레임(141)을 통과하는 검체용기안착유닛(130)을 감지할 수 있다. 검체용기안착유닛(130)이 정렬프레임(141)을 통과할 때, 검체용기정렬유닛(140)이 작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검체용기정렬유닛(140)은 정렬프레임(14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복수의 혈액검체용기(10)에 부착된 혈액제공자라벨(12)의 바코드가 바코드인식유닛(160)을 향하도록 검체용기안착유닛(130)에 안착된 복수의 혈액검체용기(10)의 위치를 정렬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검체용기정렬유닛(140)은 정렬승강부재(142)와 정렬회전부재(14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렬승강부재(142)는 승강실린더(143)와 승강판(144)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판(144)은 승강실린더(143)의 타단에 설치되어 승강실린더(143)의 승강운동시 정렬프레임(141)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부재이다. 승강판(144)에는 정렬회전부재(145)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회전부재(145)는 승강판(14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렬회전부재(145)에는 정렬회전모터(146)가 연결된다. 정렬회전부재(145)는 정렬승강부재(142)의 승강작동에 의해 혈액검체용기(10)의 용기커버(11)와 접촉되게 위치되면, 상기의 혈액검체용기(10)의 용기커버(11)와 접촉된 상태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혈액검체용기(10)의 혈액제공자라벨(12)이 바코드인식유닛(160)을 향하도록 혈액검체용기(1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혈액침전방지유닛(150)은 검체용기정렬유닛(140)이 혈액검체용기(10)의 혈액제공자라벨(12)이 바코드인식유닛(160)을 향하도록 혈액검체용기(10)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혈액검체용기(10) 내부에 수용된 혈액의 침전과 분리를 방지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침전방지유닛(150)은 바코드인식유닛(160)에 의해 혈액제공자의 정보가 인식된 혈액검체용기(10)를 검체용기안착유닛(130)에서 집어올린 후 혈액검체용기(10)를 흔드는 방식으로 혈액검체용기(10) 내부의 혈액의 혈구가 뭉쳐 침전되어 혈장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혈액침전방지유닛(150)은 홀더지지부재(151), 홀더부재(152) 및 홀더구동부재(153)를 포함한다.
홀더지지부재(151)는 정렬승강부재(142)의 승강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정렬프레임(141)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홀더지지부재(151)에는 홀더부재(152)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홀더지지부재(151)는 홀더부재(152)의 위치를 가변될 수 있도록, 승강가능하게 또는 제 2 레일유닛(21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홀더부재(152)는 홀더지지부재(1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혈액검체용기(10)를 집어올리는 구조를 가진 부재이다. 홀더부재(152)는 혈액검체용기(10)를 잡았다 폈다 할 수 있는 집게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구동부재(153)는 홀더지지부재(151)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홀더구동부재(153)는 홀더부재(152)에 연결되어 홀더부재(152)로 구동력을 제공하여, 홀더부재(152)가 혈액검체용기(10)를 잡도록 작동되는 부재이다.
홀더구동부재(153)의 작동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재(152)는 홀더링된 혈액검체용기(10)를 흔들어, 혈액검체용기(10) 내의 혈액의 침전과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니들구동부(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니들구동부(200)는 혈액검체용기정렬부(100)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혈액검체용기(10)로부터 혈액을 채취하는 제 1 니들유닛(230)과 제 1 약액과 제 2 약액을 검체키트(20)로 배출하는 제 2 니들유닛(240)이 설치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니들구동부(200)는 제 2 레일유닛(210), 니들각도조정유닛(220), 제 1 니들유닛(230) 및 제 2 니들유닛(2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레일유닛(210)은 혈액검체용기정렬부(100)와 직교되도록 혈액검체용기정렬부(100)의 하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레일유닛(210)은 제 2 레일지지부재(211), 제 2 레일부재(212), 제 2 구동풀리(213), 제 2 공회전풀리(214), 제 2 순환벨트(215)와 제 2 이동부재(21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레일지지부재(211)는 베이스판(111)의 하부에서, 기초프레임(110)과 이격되어 바닥면에 설치된 부재이다. 제 2 레일지지부재(211)에는 제 2 레일부재(212)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레일부재(212)는 베이스판(111)의 하부에서, 베이스판(111)과 직교되게 위치되며, 제 2 레일지지부재(211)에 의해 바닥면에 대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레일부재(212)의 일단에는 제 2 구동풀리(213)가 연결되고, 제 2 레일부재(212)의 타단에는 제 2 공회전풀리(214)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구동풀리(213)는 제 2 레일부재(212)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부재이다. 제 2 구동풀리(213)의 회전축에는 제 2 구동모터(213a)가 연결된다. 제 2 구동풀리(213)는 제 2 구동모터(213a)의 회전시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며, 이러한 회전력을 제 2 순환벨트(215)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공회전풀리(214)는 제 2 레일부재(212)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공회전풀리(214)는 제 2 구동풀리(213)와 제 2 공회전풀리(214)를 연결하는 제 2 순환벨트(215)에 의해, 제 2 구동풀리(213)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공회전하는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순환벨트(215)는 제 2 구동풀리(213)와 제 2 공회전풀리(214)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구동풀리(213)와 제 2 공회전풀리(214) 사이에서 순환가능하게 제 2 레일부재(212)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순환벨트(215)는 제 2 구동모터(213a)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은 제 2 구동풀리(213)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2 레일부재(212)를 순환운동하면서 제 2 이동부재(216)로 이동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이동부재(216)는 제 2 순환벨트(215)의 순환방향에 따라, 제 2 레일부재(212)에 대해 전후이동가능하게 제 2 레일부재(21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니들각도조정유닛(220)은 제 2 이동부재(216)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니들유닛(230)과 제 2 니들유닛(240)이 안착된 구조를 가지며, 제 1 니들유닛(230) 및 제 2 니들유닛(240)이 혈액검체용기(10)를 향하도록 제 1 니들유닛(230) 및 제 2 니들유닛(240)의 위치를 조정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니들각도조정유닛(220)은 니들각도조정판(221)과 니들각도조정모터(2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니들각도조정판(221)은 니들각도회전축(222)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 2 이동부재(216)에 설치된다. 여기서, 니들각도회전축(222)에는 니들각도조정모터(223)가 연결된다.
니들각도조정모터(223)는 상기 니들각도조정판(221)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제 2 이동부재(216)에 결합된다. 니들각도조정모터(223)는 니들각도회전축(222)에 의해 니들각도조정판(221)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각도조정판(221)은 니들각도조정모터(223)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니들각도회전축(222)의 회전방향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소정의 범위에서 바닥면에 대한 경사각도가 가변되면서, 제 1 니들유닛(230)의 제 1 니들부재(233)가 혈액검체용기(10)의 용기커버(11)와 동일축상에 놓이도록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니들유닛(230)은 혈액검체용기(10)로 삽입되어 혈액검체용기(10)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혈액점도측정부(700)에 안착된 검체키트(20)로 혈액을 토출하는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니들유닛(230)은 제 1 니들구동모터(231), 제 1 니들구동판(232), 제 1 니들부재(233) 및 제 1 니들연결관(23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니들구동모터(231)는 니들각도조정판(221)의 일측에 설치된다. 제 1 니들구동모터(231)에는 제 1 니들구동판(232)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니들구동판(232)은 니들각도조정판(221)의 타측에 설치되고, 제 1 니들구동모터(231)에 연결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전후이동가능하게 작동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니들구동판(232)의 상부면의 일측에는 제 1 니들부재(233)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1 니들이탈방지턱(232a)이 마련되며, 여기서, 제 1 니들이탈방지턱(232a)에는 제 1 니들관통홀(232b)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제 1 니들관통홀(232b)에는 제 1 니들부재(233)가 관통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니들부재(233)는 제 1 니들구동판(232)의 제 1 니들이탈방지턱(232a)에 설치되어, 검체용기(10)로 삽입되어 검체용기(10)에 수용된 혈액을 채취하는 부재이다.
제 1 니들부재(233)는 혈액채취부(300)의 작동시 혈액검체용기(10) 내에 수용된 비뉴턴성유체인 혈액을 진공으로 흡입하여 1cc정도의 혈액을 채취할 수 있다.
제 1 니들부재(233)의 일단에는 제 1 니들연결관(234)이 연결된다. 제 1 니들부재(233)의 외주면에는 제 1 니들부재의 타단(233a)에 인접한 부분에 혈액유입개구(233b)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니들부재(233)는 타단이 혈액검체용기(10)로의 삽입이 용이한 원추형 형상을 가진다. 이때, 제 1 니들부재의 타단(233a)은 상기 혈액검체용기(10)의 용기커버(11)와의 접촉시, 즉, 제 1 니들부재(233)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커버(11)를 뚫고 들어가는 과정에서 발생가능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토록 폐쇄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니들부재(233)는 혈액검체용기(10)로 삽입된 후, 혈액채취부(300)의 작동에 의해 비뉴턴성유체인 혈액을 진공으로 흡입하여, 혈액채취부(300)가 1cc정도의 혈액을 채취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니들연결관(234)의 일단에는 진공펌프(311)가 연결되고, 제 1 니들연결관(234)의 타단에는 상술한 제 1 니들부재(233)가 연결된다. 제 1 니들연결관(234)은 관의 직경이 매우 좁아 혈액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니들유닛(240)은, 상기 제 1 니들구동모터와 나란하게 상기 니들각도조정유닛의 일측에 설치된 제 2 니들구동모터(241); 상기 제 1 니들구동판과 나란하게 상기 니들각도조정판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니들구동모터에 연결되며, 제 2 니들이탈방지턱(242a)이 마련된 제 2 니들구동판(242); 상기 제 2 니들이탈방지턱에 설치된 제 2 니들부재(243); 및 상기 제 2 니들부재에 연결된 제 2 니들연결관(244)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혈액채취부(3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혈액채취부(300)는 진공펌프(311), 진공배관(312), 로터리밸브(313) 및 진공게이지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진공펌프(311)는 제 2 레일유닛(210)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기초프레임(110)에 설치된다. 진공펌프(311)는 진공배관(312)에 의해 제 1 니들연결관(234)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진공펌프(311)는 진공배관(312)과 제 1 니들연결관(234)에 의해 제 1 니들부재(233)에 연결되어, 제 1 니들부재(233)로 진공압력을 제공하여 제 1 니들부재(233)의 혈액검체용기(10)로의 삽입시 제 1 니들부재(233)가 검체용기(10)로부터 혈액을 흡입토록 작동되고, 제 1 니들부재(233)로 토출압력을 제공하여 제 1 니들연결관(234)으로 유입된 혈액을 제 1 니들부재(233)를 통해 외부로 배출토록 작동되는 펌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진공펌프(311)에는 진공게이지부재가 설치된다. 여기서, 진공게이지부재는 진공펌프(311)에서 제 1 니들연결관(234)으로 제공되는 진공압력이 어느 정도인지 알려주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진공펌프(311)에는 로터리밸브(313)가 설치된다. 여기서, 로터리밸브(313)는 혈액의 흐름방향을 변환시키는 밸브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밸브(313)는 제 1 니들부재(233)를 통해 혈액검체용기(10)에서 혈액을 흡입토록 또는 검체키트(20)로 혈액을 방출할 수 있도록 압력의 양방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밸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진공펌프(311)에는 진공압력탱크(315)가 연결된다. 여기서, 진공압력탱크(315)는 진공펌프(311)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진공펌프(311)로 진공압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이하에서는 약액제공부(4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약액제공부(400)는 제 2 니들유닛(240)에 연결되어, 제 2 니들유닛(240)으로 약액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제 2 니들부재(243)로 투입되는 약액의 종류에 따라 제 1 약액제공유닛(410)과 제 2 약액제공유닛(4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약액제공유닛(410)은 제 1 약액저장탱크(411), 제 1 약액제공펌프(412), 제 1 약액토출관(413), 제 1 약액제공관(414)과 제 1 약액체크밸브(4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약액저장탱크(411)는 제 1 약액이 저장된 탱크이다. 제 1 약액저장탱크(411)는 제 2 레일유닛(210)과 이격된 위치에서, 기초프레임(110)에 설치된다. 제 1 약액저장탱크(411)에는 제 1 약액토출관(413)에 의해 제 1 약액제공펌프(412)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약액은 에탄올일 수 있으며, 여기서, 에탄올은 검체키트(20)내의 기포를 제거하고 검체키트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바꾸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약액제공펌프(412)는 압력작용에 의하여 액체나 기체의 유체를 관을 통해서 수송하거나, 저압 상태의 제 1 약액저장탱크(411) 속에 있는 제 1 약액을 제 1 약액토출관(413)을 통하여 제 1 약액제공관(414)으로 제공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약액토출관(413)은 제 1 약액저장탱크(411)와 제 1 약액제공펌프(412) 사이에 연결되어, 제 1 약액저장탱크(411)에서 토출된 제 1 약액을 제 1 약액제공펌프(412)로 제공하는 배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약액제공관(414)은 분지관(550)에 연결되어, 제 1 약액제공펌프(412)와 제 2 니들연결관(244)을 연결하여, 제 1 약액제공펌프(412)에서 토출된 제 1 약액을 제 2 니들연결관(244)으로 제공하는 배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약액체크밸브(415)는 제 1 약액제공관(414)에 연결되어, 제 1 약액제공펌프(412)에서 펌핑된 제 1 약액의 분지관(550)으로의 유입여부를 허용하는 체크밸브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약액제공유닛(420)은 제 2 약액저장탱크(421), 제 2 약액제공펌프(422), 제 2 약액토출관(423), 제 2 약액제공관(424)과 제 2 약액체크밸브(42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약액저장탱크(421)는 제 2 약액이 저장된 탱크이다. 제 2 약액저장탱크(421)는 제 2 레일유닛(210)과 이격된 위치에서, 그리고, 제 1 약액저장탱크(411)와 이격된 위치에서, 기초프레임(110)에 설치된다.
제 2 약액저장탱크(421)에는 제 2 약액토출관(423)에 의해 제 2 약액제공펌프(422)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약액은 상기 혈액과의 상대적인 점도차에 의해 혈액의 점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유체로 기능한다. 제 2 약액은 점도를 미리 알고 있는 유체로서, 혈액과 혼합되지 않고 전단률에 관계없이 일정한 점도를 가지고 있는 뉴턴성 유체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약액은 인산완충식염수(PBS)인 것을 예로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약액제공펌프(422)는 압력작용에 의하여 액체나 기체의 유체를 관을 통해서 수송하거나, 저압 상태의 제 2 약액저장탱크(421) 속에 있는 제 2 약액을 제 2 약액토출관(423)을 통하여 제 2 약액제공관(424)으로 제공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약액토출관(423)은 제 2 약액저장탱크(421)와 제 2 약액제공펌프(422) 사이에 연결되어, 제 2 약액저장탱크(421)에서 토출된 제 2 약액을 제 2 약액제공펌프(422)로 제공하는 배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약액제공관(424)은 분지관(550)에 연결되어, 제 2 약액제공펌프(422)와 제 2 니들연결관(244)을 연결하여, 제 2 약액제공펌프(422)에서 토출된 제 2 약액을 제 2 니들연결관(244)으로 제공하는 배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약액체크밸브(425)는 제 2 약액제공관(424)에 연결되어, 제 2 약액제공펌프(422)에서 펌핑된 제 2 약액의 분지관(550)으로의 유입여부를 허용하는 체크밸브이다.
이하에서는 혈액점도측정부(7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혈액점도측정부(700)는 니들구동부(200)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어, 제 1 니들유닛(230)에서 검체키트(20)로 제공된 혈액과 제 2 니들유닛(240)에서 검체키트(20)로 제공된 약액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혈액의 점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혈액점도측정부(700)는 키트안착유닛(710), 키트공급유닛(720) 및 키트이미지처리유닛(7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키트안착유닛(710)은 니들구동부(200)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며, 이때, 키트안착유닛(710)은 제 2 레일유닛(210)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키트안착유닛(710)은 검체키트(20)가 안착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키트공급유닛(720)은 키트안착유닛(710)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키트안착유닛(710)으로 검체키트(20)를 제공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트공급유닛(720)은 키트저장부재(721)와 키트공급부재(7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키트저장부재(721)는 키트안착유닛(710)의 타측에 설치되며, 복수의 검체키트(20)가 저장된 부재이다. 키트안착유닛(710)의 일측에는 니들구동부(200)가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키트공급부재(722)는 키트저장부재(721)에 저장된 복수의 검출키트 중 키트안착유닛(710)에 인접하게 위치된 하나의 검출키트를 키트안착유닛(710)으로 제공하는 부재이다.
이하에서는, 키트안착유닛(710)에 안착된 검체키트(20)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키트이미지처리유닛(7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키트이미지처리유닛(730)은 키트안착유닛(710)의 상부에 설치된다. 키트이미지처리유닛(730)은 상기 키트안착유닛(710)에 안착된 검체키트(20)로 제공된 약액과 혈액의 영상을 촬영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혈액의 점도 측정은 혈액과 약액의 상대적인 점도차에 의해 혈액의 점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혈액과 약액은 점도차에 의해 상기 검체키트내에 형성된 미세한 채널을 채우는 채널수가 서로 다르게 되는데, 측정이미지로부터 상기 검체키트내에 형성된 미세한 크기의 마이크로 채널내에 혈액과 약액이 각각 수용된 채널의 갯수를 측정하여, 상기 혈액의 점도를 측정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1)의 작동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검체용기정렬부(100)의 작동에 의해, 검체용기안착부재(131)에 장착된 혈액검체용기(10)가 홀더부재(152)에 의해 홀딩되고, 이때, 홀더구동부재(153)는 홀더부재(152)에 홀딩된 혈액검체용기(10)가 제 1 니들유닛(230)의 제 1 니들부재(233)와 동일축 상에 위치되도록 작동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홀더부재(152)에 홀딩된 혈액검체용기(10)가 바닥면에 대해 일정각도 예를 들면 대략 135도로 경사지게 위치되면, 제 1 니들유닛(230)의 제 1 니들부재(233)가 혈액검체용기(10) 내부로 삽입되도록 작동된다. 이후, 혈액채취부(300)가 제 1 니들부재(233)로 진공압력을 제공하여, 혈액검체용기(10) 내부에 수용된 혈액의 일부를 채취한다.
이후, 제 2 이동부재(216)가 제 2 레일부재를 따라 혈액검체용기정렬부(100)에서 혈액점도측정부(700)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1 니들유닛(230)과 제 2 니들유닛(240)이 혈액점도측정부(700)의 키트안착유닛(710)에 인접하게 위치되면, 제 1 니들부재(233)가 검체키트(20)로 삽입되도록 제 1 니들유닛(230)이 작동되고, 제 2 니들부재(243)가 검체키트(20)로 삽입되도록 제 2 니들유닛(240)이 작동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 100: 혈액검체용기정렬부
110: 기초프레임 111: 베이스판
112: 지지다리 120: 제 1 레일유닛
121: 제 1 레일지지부재 122: 제 1 레일부재
123: 제 1 공회전풀리 124: 제 1 구동풀리
125: 제 1 순환벨트 126: 제 1 이동부재
130: 검체용기안착유닛 131: 검체용기안착부재
132: 용기이탈방지부재 140: 검체용기정렬유닛
141: 정렬프레임 142: 정렬승강부재
143: 승강실린더 144: 승강판
145: 정렬회전부재 146: 정렬회전모터
150: 혈액침전방지유닛 151: 홀더지지부재
152: 홀더부재 153: 홀더구동부재
160: 바코드인식유닛
200: 니들구동부 210: 제 2 레일유닛
211: 제 2 레일지지부재 212: 제 2 레일부재
213: 제 2 구동풀리 214: 제 2 공회전풀리
215: 제 2 순환벨트 216: 제 2 이동부재
220: 니들각도조정유닛 221: 니들각도조정판
222: 니들각도회전축 223: 니들각도조정모터
230: 제 1 니들유닛 231: 제 1 니들구동모터
232: 제 1 니들구동판 233: 제 1 니들부재
234: 제 1 니들연결관 240: 제 2 니들유닛
241: 제 2 니들구동모터 242: 제 2 니들구동판
243: 제 2 니들부재 244: 제 2 니들연결관
300: 혈액채취부 311: 진공펌프
312: 진공배관 313: 로터리밸브
315: 진공압력탱크
400: 약액제공부 410: 제 1 약액제공유닛
411: 제 1 약액저장탱크 412: 제 1 약액제공펌프
413: 제 1 약액토출관 414: 제 1 약액제공관
415: 제 1 약액체크밸브 420: 제 2 약액제공유닛
421: 제 2 약액저장탱크 422: 제 2 약액제공펌프
423: 제 2 약액토출관 424: 제 2 약액제공관
425: 제 2 약액체크밸브
700: 혈액점도측정부 710: 키트안착유닛
720: 키트공급유닛 721: 키트저장부재
722: 키트공급부재 730: 키트이미지처리유닛

Claims (8)

  1. 복수의 혈액검체용기에 부착된 혈액제공자라벨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인식부가 용이하게 상기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게끔 상기 복수의 혈액검체용기를 정렬하는 혈액검체용기정렬부;
    상기 혈액검체용기정렬부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혈액검체용기로부터 혈액을 채취하는 제 1 니들유닛과 약액을 공급하는 제 2 니들유닛이 설치된 니들구동부; 및
    상기 제 1 니들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니들유닛이 상기 혈액검체용기 내의 혈액을 채취하고, 혈액검체키트로 상기 혈액을 토출토록 작동하는 혈액채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구동부는,
    상기 혈액검체용기정렬부와 혈액점도측정부 사이에 설치된 제 2 레일유닛;
    상기 제 2 레일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니들유닛과 상기 제 2 니들유닛이 안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니들유닛 및 상기 제 2 니들유닛이 상기 혈액검체용기를 향하도록 상기 제 1 니들유닛 및 상기 제 2 니들유닛의 위치를 조정하는 니들각도조정유닛;
    상기 니들각도조정유닛에 안착되어, 상기 혈액검체용기로 삽입되어 상기 혈액검체용기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상기 혈액점도측정부에 안착된 혈액검체키트로 혈액을 토출하는 구조를 가진 제 1 니들유닛; 및
    상기 니들각도조정유닛에 안착되어, 상기 혈액점도측정부에 안착된 혈액검체키트로 약액을 토출하는 구조를 가진 제 2 니들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일유닛은,
    일단이 상기 혈액검체용기정렬부의 하부에서 상기 혈액검체용기정렬부와 직교되도록 바닥면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혈액점도측정부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2 레일부재;
    상기 제 2 레일부재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2 구동풀리;
    상기 제 2 구동풀리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구동풀리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2 구동모터;
    상기 제 2 레일부재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2 공회전풀리;
    상기 제 2 레일부재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제 2 구동풀리와 상기 제 2 공회전풀리에 연결된 제 2 순환벨트; 및
    상기 제 2 순환벨트의 순환방향에 따라, 상기 제 2 레일부재에 대해 전후이동가능하게 상기 제 2 레일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혈액검체용기정렬부와 상기 혈액점도측정부 사이에서 움직이는 제 2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각도조정유닛은,
    상기 제 2 이동부재에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니들유닛과 상기 제 2 니들유닛이 안착된 구조를 가진 니들각도조정판; 및
    상기 니들각도조정판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 2 이동부재에 설치되고, 니들각도회전축에 의해 상기 니들각도조정판에 연결되어, 상기 니들각도조정판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니들각도조정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니들유닛은
    상기 니들각도조정판의 일측에 설치된 제 1 니들구동모터;
    상기 니들각도조정판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니들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혈액검체용기정렬부에 홀더링된 상기 혈액검체용기를 향해 전후이동가능하게 작동되고, 제 1 니들이탈방지턱이 마련된 제 1 니들구동판;
    상기 제 1 니들이탈방지턱에 설치되어, 상기 혈액검체용기로 삽입되어 상기 혈액검체용기에 수용된 혈액을 채취하는 제 1 니들부재; 및
    상기 제 1 니들부재의 일단에 연결된 제 1 니들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니들부재의 타단은 상기 혈액검체용기로의 삽입이 용이한 원추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혈액검체용기의 용기커버와의 접촉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토록 폐쇄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니들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니들부재의 타단에 인접한 부분에 혈액유입개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니들유닛은,
    상기 제 1 니들구동모터와 나란하게 상기 니들각도조정유닛의 일측에 설치된 제 2 니들구동모터;
    상기 제 1 니들구동판과 나란하게 상기 니들각도조정판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니들구동모터에 연결되며, 제 2 니들이탈방지턱이 마련된 제 2 니들구동판;
    상기 제 2 니들이탈방지턱에 설치된 제 2 니들부재; 및
    상기 제 2 니들부재에 연결된 제 2 니들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채취부는
    상기 제 2 레일유닛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니들연결관으로 진공압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제 1 니들연결관을 연결하는 진공배관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니들부재의 상기 혈액검체용기로의 삽입시, 상기 제 1 니들부재로 진공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 1 니들부재가 검체용기로부터 혈액을 흡입토록 작동되고, 상기 제 1 니들부재로 토출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 1 니들연결관으로 유입된 혈액을 상기 제 1 니들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토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
KR20130102822A 2013-08-29 2013-08-29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 KR101476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822A KR101476925B1 (ko) 2013-08-29 2013-08-29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822A KR101476925B1 (ko) 2013-08-29 2013-08-29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925B1 true KR101476925B1 (ko) 2014-12-24

Family

ID=5268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2822A KR101476925B1 (ko) 2013-08-29 2013-08-29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9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576B1 (ko) * 2015-06-25 2017-05-08 나노비즈 주식회사 듀얼시린지 타입 일회용 혈액점도측정키트 어셈블리
KR102151189B1 (ko) 2020-05-27 2020-09-02 (주)유바이오시스 자동 멀티 혈액 점도 측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7648A (ja) * 2007-12-31 2011-03-10 パーシルタ、カトヤ 針位置を検出する装置と方法
KR20110042903A (ko) * 2009-10-20 2011-04-27 (주)바이오비스코 점도측정용 자동 이송장치
KR20130057242A (ko) * 2011-11-23 2013-05-31 이동환 혈액의 산소공급능력지수 자동측정장치
KR101277802B1 (ko) * 2012-11-22 2013-06-27 대한민국 어류용 자동화 백신접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7648A (ja) * 2007-12-31 2011-03-10 パーシルタ、カトヤ 針位置を検出する装置と方法
KR20110042903A (ko) * 2009-10-20 2011-04-27 (주)바이오비스코 점도측정용 자동 이송장치
KR20130057242A (ko) * 2011-11-23 2013-05-31 이동환 혈액의 산소공급능력지수 자동측정장치
KR101277802B1 (ko) * 2012-11-22 2013-06-27 대한민국 어류용 자동화 백신접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576B1 (ko) * 2015-06-25 2017-05-08 나노비즈 주식회사 듀얼시린지 타입 일회용 혈액점도측정키트 어셈블리
KR102151189B1 (ko) 2020-05-27 2020-09-02 (주)유바이오시스 자동 멀티 혈액 점도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923B1 (ko) 혈액점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액점도측정방법
KR100649789B1 (ko) 혈액 검체 검출장치
US67402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ly sampling a fluid for microfiltration
EP1883473B1 (en) Apparatus for aspirating liquids from sealed containers
US8182767B2 (en) Needle-septum interface for a fluidic analyzer
US20070148039A1 (en) Fluid sensing and control in a fluidic analyzer
WO2013173524A2 (en) Clinical diagnostic system including instrument and cartridge
EP0314448A2 (en) Injection systems for sample testing for luminometers
EP1855115B1 (en) Liquid aspirator and analyzer provided with same
WO2004055522A1 (en) Analyzer and analysing method and a fluid cartridge
US20070104615A1 (en) Microchip processing apparatus
KR101476925B1 (ko) 혈액점도측정용 니들장치
JP3295014B2 (ja) 液体試料中の成分物質の自動抽出装置および液体試料中の成分物質の自動濃度測定装置
KR20150056479A (ko) 일체화된 반응 및 검출 수단을 구비한 시험 장치에 사용되는 스테이션
KR102448886B1 (ko) 시료 희석 및 분주 장치
EP3446773A1 (en) Automated ultra-filtration system
JP2015064313A (ja) 試験片ピックアップ機構及び試験片移動装置
CN108220152B (zh) 循环肿瘤细胞捕获系统
EP2075586A1 (en) Dispenser
US7931789B2 (en) Device for charging separation buffer liquid to microchip, and microchip processing device equipped with the charging device, electrophoresis method in capillary channel and its microchip processing device
KR101476926B1 (ko) 항온유지가능한 혈액점도측정장치
CN102866083B (zh) 一种血压积测量方法
US8974750B2 (en) Nozzle device and liquid sample analyzer
EP3290065A1 (en) Extractor apparatus for blood components
EP10921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liquid samples from a closed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