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737B1 - 휴대전화용 보조폰 - Google Patents

휴대전화용 보조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737B1
KR101476737B1 KR1020120154176A KR20120154176A KR101476737B1 KR 101476737 B1 KR101476737 B1 KR 101476737B1 KR 1020120154176 A KR1020120154176 A KR 1020120154176A KR 20120154176 A KR20120154176 A KR 20120154176A KR 101476737 B1 KR101476737 B1 KR 101476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hoto
unit
circuit boar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4573A (ko
Inventor
최경수
장문석
Original Assignee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4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737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용 보조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버튼과 음량을 제어하는 음량버튼을 갖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휴대전화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면서 연동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휴대전화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휴대전화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 연결된 전화통화 송수신모듈과, 전화번호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이 실장되고, 스피커공이 관통형성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스피커공에 일부분이 관통되고,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회로기판과 적층되는 절연판;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회로기판이나 상기 절연판에 실장되고, 전원이나 별도의 외부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USB포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절연판에 의해 절연성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휴대전화용 보조폰{Subsidiary phone for a cell-phone}
본 발명은 휴대전화용 보조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로 보관된 휴대전화를 노출시키지 않고도 보조폰을 통해 휴대전화 통화 및 휴대전화의 주요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전화 사용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한 휴대전화용 보조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은 소형의 컴퓨터로 표방되는 스마트폰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와 같은 스마트폰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영상 등의 출력 등을 고려하여 상당한 크기로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스마트폰 단말기 중 탭(Tap) 또는 노트(Note) 형태의 단말기 등은 휴대전화의 기능이 있기는 하지만, 그 크기로 인해 통화가 대단히 불편하여 별도의 기기를 구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휴대폰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17934호(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핸즈프리장치, 이하 기출원고안)에는 휴대폰을 사용자가 직접 들지 않고도 무선이어폰 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기출원 고안은 차량 내에 무선 핸즈프리장치를 장착하고, 운전자(사용자)가 무선 이어폰을 통해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개시된 무선 핸즈프리장치는 차량에 국한되지만, 이와 유사한 형태로 휴대폰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무선이어폰 자체에 블루투스 모듈을 내장하여 휴대폰을 가방이나 별도의 공간에 놓아둔 후 무선 이어폰('ear-set' 포함)을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수행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종래 무선 핸즈프리장치 또는 이어폰은 크게 보아, 다음 두 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첫째, 이 장치들은 보관, 소지, 사용 방식이 한정적이거나 매우 불편하다. 즉, 핸즈프리장치는 대체로 본체가 일정 위치에 장착되어야 하는 것이고, 이어폰은 각 구성 부품의 보관 및 처리가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역시 일정 위치에 장착 및 사용되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이 장치들을 아무런 어려움 없이, 옷 주머니에 쉽게 넣다 뺐다 하면서 자유롭게 소지 및 사용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러한 불편함은 일반적으로 누구에게나 느껴지는 것인데, 아직까지 별다른 대책이 없다.
둘째, 이 장치들은 통화시 단지 음성만을 송수신하는 기능에 국한됨에 따라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예로써, 전화 수신시 번호를 확인하여 선별적으로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창을 확인한 후 통화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며, 통화목록 또는 메모리에서 특정의 전화번호를 찾아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휴대폰을 직접 조작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손에 쉽게 잡히는 크기와 형태(이러한 의미에서 '핸즈프리장치'가 아니라 '보조폰'이라 함)로서 휴대폰용 보조폰을 제안하되, 적정 기능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완성된 휴대폰용 보조폰을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2-5268호(명칭: 휴대폰용 보조폰,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로 출원한 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은 청구항1을 살펴보면 『콤팩트한 평면형 형태와 크기로서 자유롭게 소지, 파지 및 사용될 수 있는 케이스(60)와 상기 케이스(60)에 장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휴대폰 본체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10)와,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고, 상기 휴대폰을 이용한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신호처리부(20)와, 상기 신호처리부에 연결된 전화 통화 전화통화 송수신모듈(30)과, 호 발신번호 및 휴대폰 내장 검색번호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보조폰.』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콤팩트한 크기로 구성되어 자유로운 소지 및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종래기술의 보조폰을 예컨대 옷 주머니에 편하게 넣고 다니다가 사용시 휴대폰처럼 사용하고 다시 넣어두면 된다. 물론 가방 등 신변품에 걸어 둘 수도 있다. 따라서 다른 핸즈프리장치 또는 이어셋 등에 비하여 소지, 보관이 훨씬 자유롭고 편리한 장점이 있으며, 제품의 이동성 측면에서도 상당히 유리하다.
또한, 본체부의 기능을 통하여 휴대폰의 주요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특히 휴대폰의 분실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람기능의 출력 구분화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사전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기술은 본체부의 절연이 다소 미흡하여 케이스를 금속재로 구성할 수 없고, 전화번호나 메세지 수신시 수신된 전화번호나 문자 또는 기호 등의 메세지가 그대로 디스플레이모듈에 현시되므로 비밀이 요구되는 발신자의 정보가 보호되지 않고 노출되며, 통화 이외의 기능이 사실상 없으므로 사용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다.
KR 20-2001-17934 KR 20-2012-5268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의 절연성능이 보강되어 합선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수신되는 전화번호나 메세지로 이루어진 수신정보를 사용자의 버튼이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현시할 수 있으며, 통화 이외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전화용 보조폰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콤팩트한 평면형태 및 크기로 이루어져서 자유롭게 소지하거나 파지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버튼과 음량을 제어하는 음량버튼을 갖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휴대전화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면서 연동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휴대전화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휴대전화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 연결된 전화통화 송수신모듈과, 송수신번호나 휴대전화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이 실장되고, 스피커공이 관통형성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스피커공에 일부분이 관통되고,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회로기판과 적층되는 절연판;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회로기판이나 상기 절연판에 실장되고, 외부의 전원을 입력받아 충전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외부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USB포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휴대전화로 수신되는 전화번호나 메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수신정보를 현시하기 위한 수신정보 현시신호를 상기 신호처리부에 선택적으로 인가하여 수신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선택적으로 현시하는 수신정보 현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정보 현시부는, 상기 케이스에 마련된 상기 전원버튼이나 상기 음량버튼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거나, 상기 케이스에 별도로 마련된 별도버튼이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작동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신정보 현시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USB포트나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고유정보 저장부; 및 상기 고유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고유정보를 송출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USB포트나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도어록의 해제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해제정보를 송출하는 도어록 해제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다수의 음원을 저장하는 음원 저장부; 및 상기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들 중 출력요청된 음원을 독출해서 상기 신호처리부에 인가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원의 음향을 출력하는 음원 전송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비상경보를 출력하는 비상경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경보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전원버튼이나 상기 음량버튼 또는 별개로 마련된 비상버튼이나 비상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작동신호 발생기; 및 상기 작동신호 발생기의 작동신호에 따라 설정된 경보음을 출력시키기 위한 음향출력 데이터를 상기 신호처리부에 인가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설정된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출력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이 현시되는 상기 케이스의 반대편 표면에 마련되고, 사진이 장착되는 사진장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진장착부는, 상기 사진이 끼움식이나 부착식으로 고정되는 사진홀더; 및 상기 사진홀더의 상기 사진을 투시가능하게 차폐하는 사진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진장착부는, 상기 사진커버에 제1 편광필름이 마련됨에 따라 상기 사진을 투시가능하게 차폐하며, 상기 사진장착부는, 상기 사진커버의 상기 제1 편광필름과 적층되면서 제1 편광필름의 패턴과 중첩되어 상기 사진을 은폐시키는 패턴이 형성된 제2 편광필름이 마련되며, 사진커버의 일측에 힌지고정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거나 사진커버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편광필름의 패턴을 상기 제1 편광필름의 패턴과 상이한 방향으로 적층시키는 적층커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케이스나 상기 절연판에 걸려서 고정되는 후크;를 더 포함한다.
또,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케이스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형태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원버튼이나 상기 음량버튼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케이스의 하우징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전원버튼이나 상기 음량버튼은, 상기 케이스의 하우징의 내주면 및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 끼워져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전류가 통전하는 회로기판에 절연판이 적층되어 회로기판의 절연성능이 보강되므로 합선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를 금속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케이스의 버튼조작에 의해서만 작동하는 수신정보 현시부가 마련되므로 수신된 전화번호나 메세지로 이루어진 수신정보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현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신정보를 필요시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환경(예: 업무적 환경-상담 등)에 적합하게 수신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사용자의 고유정보가 고유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안테나를 통해 송출되므로 신분증과 같은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에 더하여 도어록 해제정보 저장부가 마련될 경우 도어록을 해제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도어록을 해제하기 위한 별도의 카드나 키를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이 음원 전송부에 의하여 신호처리부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되므로 MP3와 같은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비상경보부가 마련됨에 따라 비상시 스피커로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위험상황에서 주변에 도움을 용이하게 요청할 수 있다.
더욱이, 사진장착부가 마련될 경우 사용자를 식별하는 증명사진이나 가족사진 등의 각종 사진을 케이스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제1 및 제2 편광필름이 제각기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첩되는 사진커버 및 적층커버가 마련될 경우 필요시에만 사진을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개인정보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신분증이나 도어록 해제 키 또는 MP3나 경보기 또는휴대용 액자의 기능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통신 이외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용 보조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선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조폰에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선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조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의 장착부품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분해 도시된 보조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조폰에 사진장착부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보조폰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적층커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 및 제2 편광필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및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적층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용 보조폰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용 보조폰(이하 '보조폰')은 부호 100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조폰(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부(10), 신호처리부(20), 전화통화 송수신모듈(30) 및 디스플레이모듈(40)을 포함하는 본체부, 그리고 상기 본체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케이스(60)으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갖는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무선통신부(10)는 휴대전화(1)와 신호를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무선통신부(10)는 블루투스 규격이 적용된다.
상기 신호처리부(20)는 무선통신부(10) 또는 전화통화 송수신모듈(3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신호처리부(20)는 상기 무선통신부(10)를 통해 입력된 휴대전화(1)의 신호를 디스플레이모듈(40)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거나,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모듈(30)을 통해 전화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또한, 신호처리부(20)는 후술되는 고유정보 저장부(24a)나 도어록 해제정보 저장부(24c) 또는 음원제공부(24)나 비상경보부(26) 및 라디오부(27)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모듈(40)이나 후술되는 스피커(5) 또는 진동모터(MT)를 작동시킨다.
상기 신호처리부(20)는 휴대전화의 기능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CPU 등),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원칩 형태로된 소자를 적용하게 되며, 휴대전화(1)와는 별도로 메모리 등의 구성이 추가로 적용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신호처리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포트(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USB포트(50)는 외부의 전원을 입력받아 충전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별도의 외부 데이터를 USB, 메모리카드 등을 통해 입력받아 이를 휴대전화(1) 측으로 전송하거나 자체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충전을 위한 배터리의 구성을 더 갖추게 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1) 간 거리감지센서(21)와 알람모듈(2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이 구성은 보조폰(100)의 분살방지를 위하여 유용하다. 상기 거리감지센서(21)는 휴대전화(1)와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면 이를 감지하여 동작하며, 경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보신호에 의해 신호처리부(20)는 후술될 전화통화 송수신모듈(30)의 스피커, 디스플레이모듈(40)을 통해 시청각적인 표시를 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알람모듈(22)은 휴대전화의 수신시, 휴대전화와 이격시, 문자 수신시 각각 상이한 시청각적 표시, 즉, 벨소리, 진동, 특히 벨소리 중에서도 각각 음색이 상이한 벨소리가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알람기능의 출력 구분화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사전 인식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 알람모듈(22) 역시 상기 신호처리부(20)에서 전화통화 송수신모듈(30)의 스피커, 디스플레이모듈(40) 등과 연동되어 구동될 것이다.
기능적으로는, 최종 통화한 번호를 기억하고 그 번호로 전화 송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모듈(30)은 신호처리부(20)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의해 휴대전화의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모듈(30)은 가장 일반적인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마이크, 스피커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모듈(30)은 마이크와 유/무선 이어폰에 의한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이어폰이 접속되는 잭(jack)이나 전용의 무선통신모듈을 더 갖추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40)은 신호처리부(20)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휴대전화(1)를 통해 수신된 수신번호 출력 및 휴대전화(1)에 내장된 전화번호 목록을 검색화면의 출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40)은 LCD, LED 디스플레이 패널로 적용되며, 휴대전화가 자체적으로 보유한 기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 및 종류 등이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60)는 위에서 설명된 본체부 요소들을 내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케이스(60)는 휴대전화(1)를 보유한 사용자가 보조폰(100)을 자유롭게 소지하고, 용이하게 파지하며,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형태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케이스(6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목걸이 형태로 걸고 다닐 수 있는 크기 및 무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 자세히 설명한다.
다른 한편, 전술한 본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정보 현시부(23), 사용자정보 저장부(24), 음원제공부(25), 비상경보부(26) 및 라디오부(2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신정보 현시부(23)는 휴대전화(1)로 수신되는 전화번호나 메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수신정보를 현시하도록 하는 수신정보 현시신호를 전술한 신호처리부(20)에 선택적으로 인가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모듈(40)은 신호처리부(20)에서 수신정보 현시신호가 수신될 경우에만 수신정보(수신된 전화번호나 메세지-메세지의 예: 문자나 카카오톡 등의 알림문구)를 현시하고, 수신정보 현시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수신정보를 현시하지 않으므로 수신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수신정보 현시부(23)는 수신된 수신정보를 디스플레이모듈(40)에 선택적으로 현시한다.
수신정보 현시부(23)는 케이스(60)에 마련된 후술되는 전원버튼(4)이나 음량버튼(8)의 조작에 의해 작동한다. 이와 달리, 수신정보 현시부(23)는 케이스(60)에 별도로 마련된 별도버튼(미도시)이나 스위치(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작동할 수도 있다. 수신정보 현시부(23)는 버튼이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서만 작동하므로 선택적으로 수신정보 현시신호를 신호처리부(20)에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신정보 현시부(23)는 예컨대, 후술되는 전원버튼(4)이나 음량버튼(8)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 시간이나 설정된 횟수로 가압(조작)됨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신정보 현시부(23)는 전원버튼(4)이나 음량버튼(8)이 5초 동안 가압될 경우 작동하도록 구성되거나, 3회 연속 가압될 경우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수신정보 현시부(23)는 전원버튼(4)이나 음량버튼(8)이 1회만 가압될 경우 후술되는 스피커(5) 또는 진동모터(MT)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미도시된 수신램프만 점등되도록 구성되고, 2회째 가압될 경우 부재중 전화로 표시되도록 구성되며, 3회째 가압될 경우 또는 2회째 길게 가압(약 5초)될 경우 수신정보 현시신호를 신호처리부(20)에 인가하여 디스플레이모듈(40)에 수신정보가 현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사용자정보 저장부(24)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의 개인정보나 사용자가 사용하는 도어록의 해제정보를 저장 및 송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사용자정보 저장부(24)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유정보 저장부(24a) 및 안테나(24b)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고유정보 저장부(24a)는 전술 USB포트(50)나 무선통신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고유정보를 저장한다. 즉, 고유정보 저장부(24a)는 사용자의 인적사항 등과 같은 고유정보를 저장한다.
안테나(24b)는 고유정보 저장부(24a)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케이스(60)의 외부로 송출한다. 이때, 안테나(24b)는 고유정보 저장부(24a)의 고유정보가 신호처리부(20)를 통해 송출신호로 변환됨에 따라 고유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24b)는 후술되는 절연판(80)이나 케이스(60)에 인서트상태로 설치되어 인테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미도시된 리더기에 근접할 경우 고유정보를 외부로 송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유정보 저장부(24a) 및 안테나(24b)로 인하여 신분증이 없어도 고유정보가 등록된 회사와 같은 장소를 출입할 수 있으며, 출퇴근 등이 자동으로 기록될 수 있다. 즉, 사용자정보 저장부(24)는 신분증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전술한 사용자정보 저장부(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 해제정보 저장부(24c)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록 해제정보 저장부(24c)는 전술한 USB포트(50)나 무선통신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도어록의 해제정보를 저장하여 전술한 안테나(24b)를 통해 해제정보를 송출한다. 즉, 도어록 해제정보 저장부(24c)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도어록의 암호키나 암호데이터가 저장되며, 안테나(24b)를 통해 저장된 암호키나 암호데이터가 송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동 잠금되는 사무실이나 가정의 도어록을 필요시 언제든지 해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도어록을 해제하기 위한 별도의 카드나 키를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그 다음, 음원제공부(25)는 다양한 음악을 저장하여 출력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음원제공부(25)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 저장부(25a) 및 음원 전송부(25b)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음원 저장부(25a)는 전술한 USB포트(50)나 무선통신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다수의 음원을 저장한다. 음원 전송부(25b)는 음원 저장부(25a)에 저장된 음원들 중 출력요청된 음원을 독출해서 신호처리부(20)에 인가한다. 따라서, 신호처리부(20)는 독출된 음원을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후술되는 스피커(5)를 통해 음원의 음향을 출력시킨다. 이때, 음원 저장부(25a)에 저장된 다수의 음원은 전술한 디스플레이모듈(40)에 리스트로 현시되며, 후술되는 음량버튼(8)이나 통화버튼(6) 또는 미도시된 별개의 버튼이 조작됨에 따라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이러한 기술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비상경보부(26)는 후술되는 스피커(5)를 통해 비상경보를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비상경보부(26)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신호 발생기(26a) 및 경보출력기(26b)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작동신호 발생기(26a)는 케이스(60)의 후술되는 전원버튼(4)이나 음량버튼(8) 또는 별개로 마련된 비상버튼(미도시)이나 비상스위치(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작동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작동신호 발생기(26a)는 발생된 작동신호를 후술되는 경보출력기(26b)에 인가한다.
경보출력기(26b)는 작동신호 발생기(26a)의 작동신호에 따라 작동하면서 설정된 경보음을 출력시키기 위한 음향출력 데이터를 신호처리부(20)에 인가한다. 따라서, 신호처리부(20)는 음향출력 데이터를 후술되는 스피커(5)에서 출력이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5)에 인가한다. 이로 인하여, 스피커(5)는 설정된 경보음을 음향으로 출력하여 위급상황을 주변에 통보한다.
마지막으로, 라디오부(27)는 라디오신호를 수신하여 후술되는 스피커(5)를 통해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라디오부(27)는 예컨대, 라디오신호를 수신하는 미도시된 수신부 및 수신부의 라디오신호에서 설정된 주파수를 필터링하여 스피커(5)로 전송하거나 전술한 신호처리부(20)에 전송하는 미도시된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라디오부(27)는 수신부로 수신된 라디오신호를 필터부가 스피커(5)에 직접 전송하여 라디오 음향을 출력하거나, 신호처리부(20)에 전송하여 신호처리부(20)를 통해 스피커(5)로 라디오 음향을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시 라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케이스(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2), 그리고 음향공(61a) 및 투시창(61b)이 형성된 커버(61)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60)는 하우징(62) 및 커버(61)의 결합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팩트한 크기로 이루어진 평면형태의 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케이스(60)는 심플한 형태에 의해 콤팩트한 느낌을 용이하게 느낄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태가 원판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케이스(6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버튼(4) 및 음량을 제어하는 음량버튼(8)이 마련된다. 케이스(60)는 음량버튼(8)으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버튼(6)이 마련되어 통화버튼(6)을 통해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회로기판(70)이 내장된다. 회로기판(70)은 전술한 본체부의 무선통신부(10), 신호처리부(20) 및 전화통화 송수신모듈(30)이 실장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모듈(40)이 실장된다. 이러한 회로기판(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스피커공(72)이 관통형성된다.
회로기판(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연판(80)이 적층된다. 절연판(80)은 절연재로 구성되어 회로기판(70)의 하부면을 절연한다. 따라서, 절연판(80)은 회로기판(70)이 케이스(60)의 하우징(62)과 통전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회로기판(70)이 하우징(62)의 바닥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절연판(8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USB포트(50) 및 스피커(5)가 고정될 수 있다.
스피커(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떨림판의 반대편이 절연판(80)에 고정된다. 스피커(5)는 절연판(80) 및 회로기판(70)의 적층시 회로기판(70)의 스피커공(72)에 일부분이 관통된다. 스피커(5)는 스피커공(72)에 일부분이 삽입되므로 외주면이 원주방향을 따라 선접촉되면서 스피커공(72)의 내주면에 지지된다. 스피커(5)는 전술한 신호처리부(2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한다.
스피커(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70)의 스피커공(72)에 지지판이 돌출형성될 경우 외주면이 지지판에 면접촉상태로 지지되므로 스피커공(72)의 내주면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스피커(5)는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유동되지 않는다.
한편, 회로기판(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71)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71)는 케이스(60)나 절연판(80)에 걸림상태로 고정되어 회로기판(70) 및 절연판(80)의 적층상태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회로기판(70) 및 절연판(80)은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유동되지 않는다.
회로기판(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공(72)의 외주면에 돌기형태의 스페이서(73)가 마련된다. 스페이서(73)는 회로기판(70)의 상부면이 케이스(60)의 커버(61)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회로기판(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홀(SG)가 마련된다. 스크류홀(SG)은 미도시된 스크류가 관통하여 절연판(80)에 체결된다. 스크류는 절연판(80)을 관통한 후 하우징(62)의 바닥에 체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스크류는 절연판(80) 및 회로기판(70)을 견고하게 케이스(60)의 내부에 고정시킨다.
다른 한편, 케이스(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버튼(4), 통화버튼(6), 음량버튼(8), 진동모터(MT), 마이크(7), 충전식 배터리(BT) 및 배터리(BT)의 하부를 절연하는 절연패드(PD)가 내주면을 따라 이격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전원버튼(4), 통화버튼(6), 음량버튼(8), 진동모터(MT) 및 마이크(7)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2)의 바닥에 돌출형성된 지지돌기(62a, 62b, 62c, 62d)에 지지됨에 따라 유동이 방지된다. 이때, 전원버튼(4), 통화버튼(6), 음량버튼(8) 및 마이크(7)는 하우징(62)의 내주면 및 지지돌기(62b, 62c, 62d) 사이에 끼워져서 지지된다. 그리고, 진동모터(MT)는 양측면이 지지돌기(62a)에 지지됨에 따라 유동이 방지된다.
또 다른 한편, 케이스(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디스플레이모듈(40)이 현시되는 반대편 표면에 마련되고, 사진이 장착되는 사진장착부(9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진장착부(90)는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P)이 끼움식이나 부착식으로 고정되는 사진홀더(91), 사진홀더(91)의 사진(P)을 투시가능하게 차폐하는 사진커버(9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사진홀더(91)는 예컨대, 도 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이 끼워지는 홈을 갖는 찬넬형태의 부재로 구성되어 케이스(60)의 표면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사진커버(9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60)에 다양한 통상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60)에 형성된 나사산(92)에 나사결합되어 결합될 수 있고, 일반적인 투과재로 이루어진 필름이 마련되어 사진(P)을 투시가능하게 차폐할 수 있다. 이러한 사진커버(93)는 설정된 형태로 패턴이 형성된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편광필름(F1)이 마련되어 사진(P)을 투시가능하게 차폐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진커버(9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에 홈형태의 안내레일(93a, 후술됨)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은 사진장착부(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커버(93)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층커버(6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적층커버(61)는 사진커버(93)의 제1 편광필름(F1)과 적층되면서 제1 편광필름(F1)의 패턴과 중첩되어 사진(P)을 은폐시키는 패턴이 형성된 제2 편광필름(F2)이 마련된다.
적층커버(6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사진커버(93)의 안내레일(93a)에 결합되는 안내돌기(94a)가 마련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돌기(94a)가 안내레일(93a)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사진커버(93)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적층커버(6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돌기(94a)가 안내레일(93a)에 의해 대략 90도의 각도로 회전되거나 180도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층커버(61)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돌기(94a)가 가상의 수직선(V)에서 안내레일(93a)을 따라 이동하여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수평선(H)으로 이동할 경우 90도의 각도로 회전된다.
적층커버(61)는 도 8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b)에 도시된 상태로 회전될 경우, 도 8의 (a) 및 (b)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편광필름(F2)의 패턴을 선택적으로 제1 편광필름(F1)의 패턴과 상이한 방향으로 적층시킨다. 따라서, 적층커버(61)는 제2 편광필름(F2) 및 제1 편광필름(F1)의 패턴이 (b)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할 경우 사진(P)을 현시하고, 패턴이 (a)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치할 경우 사진(P)을 은폐시킨다. 이때, 서로 중첩되는 제1 편광필름(F1) 및 제2 편광필름(F2)은 각각 편광자 및 검광자의 역할을 하므로 패턴의 회전상태에 따라 사진(P)을 현시하거나 은폐한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1 편광필름(F1)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P)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 편광필름(F2)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편광필름(F1)의 상부에 설치된다.
사진(P)은 도면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편광필름(F2)이 제1 편광필름(F1)과 중첩되지 않을 경우 제1 편광필름(F1)을 통해 투시된다. 하지만, 사진(P)은 도면의 (c)와 같이 제1 편광필름(F1) 및 제2 편광필름(F2)이 중첩될 경우 이들의 패턴이 전술한 도 8의 (b)와 같이 일치함에 따라 은폐된다. 따라서, 사진(P)은 제1 편광필름(F1) 및 제2 편광필름(F2)의 중첩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은폐 및 현시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적층커버(6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커버(93)의 일측에 힌지(HG)고정되어 힌지(HG)를 중심으로 상부를 향해 편축회전되면서 제2 편광필름(F2)을 제1 편광필름(F1)과 선택적으로 적층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2 편광필름(F2)은 적층커버(61)가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60)의 상부로 회전되어 오픈될 경우 제1 편광필름(F1)과 중첩이 해제되어 사진(P)을 현시하고, 적층커버(61)가 다시 회전되어 케이스(60)를 차폐할 경우 제1 편광필름(F1)과 중첩되어 사진(P)을 은폐시킨다.
여기서, 전술한 적층커버(6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G)의 반대편에 통상의 록킹장치(LK)가 설치되어 케이스(60)에 덮여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록킹장치(LK)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질적 특징이 충족될 수 있을 경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형(구조나 구성의 변경이나 부분적 생략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특징의 일부 또는 다수가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구성은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의 변형이나 조합이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휴대전화 4 : 전원버튼
5 : 스피커 6 : 통화버튼
7 : 마이크 8 : 음량버튼
10 : 무선통신부 20 : 신호처리부
21 : 거리감지센서 22 : 알람모듈
23 : 수신정보 현시부 24 : 사용자정보 저장부
25 : 음원 제공부 26 : 비상 경보부
27 : 라디오부 30 : 송수신모듈
40 : 디스플레이모듈 50 : USB포트
60 : 케이스 61 : 커버
62 : 하우징 70 : 회로기판
71 : 후크 72 : 스피커공
80 : 절연판 90 : 사진장착부
91 : 사진홀더 92 : 나사산
93 : 사진커버 94 : 적층커버

Claims (7)

  1. 콤팩트한 평면형태 및 크기로 이루어져서 자유롭게 소지하거나 파지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버튼과 음량을 제어하는 음량버튼을 갖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휴대전화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면서 연동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휴대전화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휴대전화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 연결된 전화통화 송수신모듈과, 송수신번호나 휴대전화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이 실장되고, 스피커공이 관통형성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스피커공에 일부분이 관통되고,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회로기판과 적층되는 절연판;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회로기판이나 상기 절연판에 실장되고, 외부의 전원을 입력받아 충전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외부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USB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USB포트나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고유정보 저장부; 및
    상기 고유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고유정보를 송출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USB포트나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도어록의 해제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해제정보를 송출하는 도어록 해제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이 현시되는 상기 케이스의 반대편 표면에 마련되고, 사진이 장착되는 사진장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진장착부는,
    상기 사진이 끼움식이나 부착식으로 고정되는 사진홀더; 및
    상기 사진홀더의 상기 사진을 투시가능하게 차폐하는 사진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진장착부는,
    상기 사진커버에 제1 편광필름이 마련됨에 따라 상기 사진을 투시가능하게 차폐하며,
    상기 사진장착부는,
    상기 사진커버의 상기 제1 편광필름과 적층되면서 제1 편광필름의 패턴과 중첩되어 상기 사진을 은폐시키는 패턴이 형성된 제2 편광필름이 마련되며, 사진커버의 일측에 힌지고정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거나 사진커버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편광필름의 패턴을 상기 제1 편광필름의 패턴과 상이한 방향으로 적층시키는 적층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케이스나 상기 절연판에 걸려서 고정되는 후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케이스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형태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원버튼이나 상기 음량버튼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케이스의 하우징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전원버튼이나 상기 음량버튼은,
    상기 케이스의 하우징의 내주면 및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 끼워져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보조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휴대전화로 수신되는 전화번호나 메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수신정보를 현시하기 위한 수신정보 현시신호를 상기 신호처리부에 선택적으로 인가하여 수신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선택적으로 현시하는 수신정보 현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정보 현시부는,
    상기 케이스에 마련된 상기 전원버튼이나 상기 음량버튼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거나, 상기 케이스에 별도로 마련된 별도버튼이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작동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신정보 현시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보조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다수의 음원을 저장하는 음원 저장부; 및
    상기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들 중 출력요청된 음원을 독출해서 상기 신호처리부에 인가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원의 음향을 출력하는 음원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전화용 보조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를 통해 비상경보를 출력하는 비상경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경보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전원버튼이나 상기 음량버튼 또는 별개로 마련된 비상버튼이나 비상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작동신호 발생기; 및
    상기 작동신호 발생기의 작동신호에 따라 설정된 경보음을 출력시키기 위한 음향출력 데이터를 상기 신호처리부에 인가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설정된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출력기;를 포함하는 휴대전화용 보조폰.
  7. 삭제
KR1020120154176A 2012-12-27 2012-12-27 휴대전화용 보조폰 KR101476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176A KR101476737B1 (ko) 2012-12-27 2012-12-27 휴대전화용 보조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176A KR101476737B1 (ko) 2012-12-27 2012-12-27 휴대전화용 보조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573A KR20140084573A (ko) 2014-07-07
KR101476737B1 true KR101476737B1 (ko) 2014-12-26

Family

ID=51734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176A KR101476737B1 (ko) 2012-12-27 2012-12-27 휴대전화용 보조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7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623B1 (ko) * 2022-09-01 2023-04-17 주식회사 플레이바이웰 Lcd 디스플레이와 편광필름을 활용한 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3695A (zh) * 2016-08-16 2017-02-22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724A (ko) * 2005-03-24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와 그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
KR20080002202U (ko) * 2006-12-22 2008-06-26 모본주식회사 손쉬운 전원스위치 구조를 갖는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핸즈프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724A (ko) * 2005-03-24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와 그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
KR20080002202U (ko) * 2006-12-22 2008-06-26 모본주식회사 손쉬운 전원스위치 구조를 갖는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핸즈프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623B1 (ko) * 2022-09-01 2023-04-17 주식회사 플레이바이웰 Lcd 디스플레이와 편광필름을 활용한 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573A (ko)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3568B2 (en) Maintaining privacy with mobile computing devices
KR101587092B1 (ko) 이동 단말기
CN101938538A (zh) 可折叠移动终端
CN102572027A (zh) 移动终端
JP2005142729A (ja) 腕時計型通信装置
KR101476737B1 (ko) 휴대전화용 보조폰
KR101517801B1 (ko) 스피커 기능을 가지는 플립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폰
JP2014023096A (ja) 電子機器
JPWO2014068807A1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の製造方法
KR20110066741A (ko) 와치형 휴대 단말기
CN113949751B (zh) 一种可折叠的电子设备
JP4393750B2 (ja) 開閉式携帯端末装置
US9699567B2 (en)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US20080108387A1 (en) Carrying case with integrated input-output device
JP4440289B2 (ja) 開閉式携帯端末装置
KR100834640B1 (ko) 공명 공간을 제공하는 슬림형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20090102240A (ko) 터치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JPH10190794A (ja) 収納ケース
KR20140004978U (ko) 스피커가 형성된 휴대 단말기 케이스
CN215010322U (zh) 扬声器模组和终端设备
KR20110089013A (ko) 리시버 모듈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US20060276232A1 (en) Cell phone for the young, elderly and disabled
KR100631707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194935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JP2004328047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