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725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725B1
KR101476725B1 KR1020130029729A KR20130029729A KR101476725B1 KR 101476725 B1 KR101476725 B1 KR 101476725B1 KR 1020130029729 A KR1020130029729 A KR 1020130029729A KR 20130029729 A KR20130029729 A KR 20130029729A KR 101476725 B1 KR101476725 B1 KR 101476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signal
display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5094A (ko
Inventor
고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리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리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리온테크
Priority to KR1020130029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725B1/ko
Publication of KR20140115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방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입력받는 영상수신부;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터치판넬(touch panel)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를 생성하는 터치판넬부; 상기 입력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출력을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과의 사이에 무선통신을 형성하여, 상기 단말제어신호 및 상기 영상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방법 {Apparatus for display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control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방법 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방식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동시에,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와 이동통신단말사이의 양방향 제어를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 및 정보처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은 급속한 기술발전을 통하여 초기의 단순한 음성 통화 및 단문메시지 전송기능에서, 영상통화, 전자수첩기능, 문서기능, 이메일 기능, 인터넷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동통신단말은 휴대성이 중요하므로, 그 크기에 제약이 따르게 되며, 특히 이동통신단말의 디스플레이영역은 상기 제약에 의하여 작게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의 작은 화면을 통하여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를 시청하게 되므로 장시간 시청시에 큰 불편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제공할 수 있는 영상의 화질에 비하여 열악한 화질의 영상을 제공받을 수 밖에 없게 된다.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과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고화질의 영상(예컨데, HD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과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HDMI(High-Definitaion Multimedia Interface) 포트를 연결하여 이동통신단말에서 출력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HD 영상으로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MHL기술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의 작은 화면 대신에 별도의 넓은 화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고화질의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나아가, 국내 공개특허 제10-2013-0006031호에는 MHL의 CBUS 신호 라인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이동통신단말로 입력신호를 전송하는 내용도 제시되어 있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을 인가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상기 CBUS 신호 라인은 단순히 입력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이동통신단말로 일방적으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상기 CBUS 신호라인의 규격상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이동통신단말 사이의 양방향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의 화면모드나 종류가 변경된 경우에도, 그에 대응하는 제어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되지 않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나 설정상태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예를들어, 이동통신단말의 화면모드가 가로보기에서 세로보기로 변경된 경우에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를 반영한 영상을 출력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회전해야하는 등의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3-0006031호
본 발명은, MHL 방식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동시에,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동통신단말 사이의 양방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방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입력받는 영상수신부;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터치판넬(touch panel)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를 생성하는 터치판넬부; 상기 입력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출력을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과의 사이에 무선통신을 형성하여, 상기 단말제어신호 및 상기 영상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을 형성하며, 상기 블루투스의 HID(Human Interface Device) 프로파일로 상기 단말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블루투스의 SPP(Serial Port Profile) 프로파일로 상기 영상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판넬부는, 상기 접촉의 발생 또는 해제가 일어난 접촉지점에 대응하는 좌표, 상기 접촉지점의 이동여부 및 상기 접촉이 유지되는 접촉유지시간을 감지하여 상기 입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제어신호는, 상기 영상데이터의 해상도,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종류 및 화면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영상데이터의 해상도,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종류 및 화면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제어신호에 포함된 업데이트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각각의 이동통신단말의 종류에 따른 영상데이터의 해상도 및 화면 위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가 이동통신단말과의 사이에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무선통신연결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블루투스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영상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영상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출력을 설정하는 영상출력설정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MHL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상기 설정된 영상출력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터치판넬을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접촉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터치입력단계; 및 상기 단말제어신호를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터치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입력단계는, 상기 접촉이 발생한 접촉지점에 대한 좌표정보, 상기 접촉의 발생 또는 해제여부, 상기 접촉지점의 이동여부 및 상기 접촉이 유지되는 접촉유지시간을 상기 터치판넬을 이용하여 감지하여, 상기 입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버전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업데이트 코드를 전달받는 업데이트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방법에 의하면, 특히 MHL 기술을 적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운전자가 직접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입력을 인가하지 않고도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제어가 보다 용이하며 사고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방법은, 별도의 무선통신을 이용하므로 이동통신단말과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양방향제어가 가능하다. 특히, 무선통신을 이용하므로 MHL의 CBUS 신호 라인과 비교할때, 보다 빠르고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방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종류, 해상도, 화면모드 등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영상출력 설정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신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수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터치판넬부(130), 제어부(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설명한다.
이동통신단말(200)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연결가능한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방송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디지털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와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이 연결이 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별도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양방향 제어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200)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이 제공하는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TV(Television), LFD(Large Format Display), 모니터(Monitor), 내비게이션(navigatioin),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인가받는 구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이 제공하는 영상데이터는 마이크로 USB 커텍터 기반의 통신방법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MHL(Mobile High-Definitaion Link)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MHL 기술은 이동통신단말(200)이 제공하는 HD(High Density video)급의 영상데이터 등을 제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고화질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통신방식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MHL 연결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200)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일방적인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이 출력하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그대로 출력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 MHL 연결 이외에, 상기 이동통신단말(200)과의 무선통신연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200)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 사이의 양방향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시청하는 영상의 채널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200)에 직접 입력을 인가하여 채널변경을 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하여 채널 변경 입력을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하여 채널 변경 입력을 인가하면, 상기 채널 변경 입력은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은 상기 채널 변경 입력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영상의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200)도 상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의 종류, 출력하는 영상데이터의 해상도 등에 대한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의 종류 및 해상도에 맞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영상수신부(110)는,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방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200)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영상수신부(110)는, 상기 MHL 방식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마이크로 USB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USB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200)과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영상수신부(110)에서 전송받은 영상데이터는 이후, 상기 제어부(140)로 전송되어 고화질의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영상데이터로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영상데이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의 종류, 해상도 및 화면모드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영상데이터에 따라 영상출력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영상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영상출력을 설정하여, 서로 다른 이동통신단말(200)이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적합하게 영상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구체적인 영상출력 설정은 제어부(14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능동형 OLED(AM OLED: Active Matrix OLED), CRT(Cathode-Ray Tube) 등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터치판넬부(130)는, 터치판넬(touch panel)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판넬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인가받는 입력장치의 일종으로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대응하는 입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판넬은 압전방식 또는 정전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판넬부(130)는 터치판넬에 사용자의 접촉이 발생하는 접촉발생지점과 사용자의 접촉이 해제되는 접촉해제지점에 대하여, 상기 터치판넬 상의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판넬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진 경우, 상기 터치판넬의 가로를 x축, 세로를 y축으로 설정한 후, 상기 접촉지점을 직교좌표계로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상기 x축 및 y축 상의 거리는 디스플레이부(120)의 크기 및 해상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터치판넬부(130)는, 상기 접촉이 발생한 지점 및 접촉이 해제된 지점의 좌표정보뿐만아니라, 상기 접촉의 상태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접촉발생시점과 접촉해제시점사이의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여 상기 접촉유지시간을 계산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발생지점과 접촉해제지점 사이의 좌표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접촉지점의 위치변경여부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터치판넬부(130)는, 사용자가 접촉을 하는 접촉지점의 위치에 따라 입력을 구별할 수 있으며, 동일한 접촉지점에 접촉이 발생한 경우에도 상기 접촉유지시간에 따라 입력을 구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접촉 이후 사용자가 접촉지점을 어디로 변경하였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입력으로 구별하여 입력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만,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터치판넬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인가받는 입력장치의 일종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터치판넬부(130)의 구성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터치판넬부(130) 대신에 키보드나 마우스, 조이스틱, 라이트 펜(light pen) 등의 입력장치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40)는, 상기 입력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20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영상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40)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이동통신단말(200) 사이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터치판넬부(130)로부터 입력받은 입력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입력데이터는 상기 접촉지점의 좌표정보, 접촉유지시간 및 접촉지점의 이동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상기 입력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식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단말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STT(Start message)는 단말제어신호의 시작을 나타내는 비트(bit)이고, Flag-0는 상기 단말제어신호가 나타내는 사용자의 접촉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접촉상태는 접촉발생, 접촉해제, 접촉지점의 이동, 접촉유지시간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예를들어, 00은 접촉발생, 01은 접촉해제, 02은 접촉지점의 이동, 03은 접촉유지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Flag-1은 이동통신단말의 기종별, 종류별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식별자를 나타내는 부분이고, X-MSB, X-LSB는 x축 좌표, Y-MSB, Y-LSB는 y축 좌표를 나타낸다. 즉, X-MSB는 x축 좌표를 나타내는 최상위 비트(bit), X-LSB는 x축 좌표를 나타내는 최하위 비트(bit)이고, Y-MSB는 y축 좌표의 최상위 비트, Y-LSB는 y축 좌표의 최하위 비트를 의미한다. Flag-2는 리저브(reserve)된 비트로서, 예를들어 상기 터치판넬부(130)가 정전방식으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에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END는 단말제어신호의 종료를 나타내는 비트이다.
따라서, 상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의 형태로 상기 입력데이터를 변환하는 방식으로 상기 단말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에는 단말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제어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말제어신호에 따른 이동통신단말(200)의 제어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20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영상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제어신호는 상기 영상데이터의 해상도,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의 종류 및 화면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영상제어신호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200)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영상제어신호는, 상기 단말제어신호와 마찬가지로 도2의 통신 프로토콜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TT는 영상제어신호의 시작을 나타내는 비트이고, Flag-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의 종류를 나타내는 비트일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영상신호는 이동통신단말(200)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의 종류를 알려줌으로써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의 종류에 따른 영상출력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Flag-1은 이동통신단말(200)의 화면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X-MSB 및 X-LSB는 해상도의 가로 픽셀수, Y-MSB 및 Y-LSB 해상도의 새로 픽셀수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면모드는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의 가로보기 또는 세로보기를 의미한다. 상기 가로보기는 이동통신단말(200)의 화면구성을 가로가 길고 세로가 짧은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동영상 시청 등에서 많이 활용한다. 반면에, 세로보기는 이동통신단말(200)의 화면구성을 세로가 길고 가로가 짧은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세로보기 및 가로보기의 화면구성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의 종류와 마찬가지로,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의 화면모드 및 해상도에 따라서 상기 영상데이터는 상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영상제어신호를 통하여 미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영상출력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Flag-2 및 END는 앞서와 마찬가지로 리저브 비트 및 영상제어신호의 종료를 나타내는 비트에 해당한다.
상기 영상제어신호는 앞서 설명한 통신 프로토콜의 형식에 따라 입력되므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영상제어신호를 해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영상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영상데이터의 해상도,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의 종류 및 화면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영상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영상제어신호에는 업데이트 파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상기 업데이트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140)에 저장된 각각의 이동통신단말의 종류에 따른 상기 영상데이터의 해상도 및 화면위치 등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40) 상기 저장된 업데이트 파일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영상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200)과의 사이에 무선통신을 형성하여, 상기 단말제어신호 및 상기 영상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기법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근거리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이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활용도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50)는, 특히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부(150)는 상기 블루투스의 HID(Human Interface Device)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블루투스의 SPP(Serial Port Profile)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 방법은, 무선통신연결단계(S10), 업데이트단계(S20), 영상출력설정단계(S30), 영상출력단계(S40), 터치입력단계(S50) 및 터치제어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무선통신연결단계(S10)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이동통신단말과의 사이에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이동통신단말 사이의 MHL에 따른 유선연결은 포함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이동통신단말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은 일반적인 블루투스 연결방법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블루투스 대신에, 와이파이, 지그비 등의 무선통신 방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동통신단말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업데이트단계(S2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버전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업데이트 코드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가 연결되면, 먼저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하여 버전(version)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펌웨어에 대한 업데이트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하여 업데이트가 필요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업데이트 코드 또는 파일을 전송하여 상기 펌웨어에 대한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가 완료되거나 상기 업데이트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영상출력설정단계(S30)로 진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업데이트단계(S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영상출력설정단계(S3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블루투스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영상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영상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업데이트가 완료되면(S20), 상기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영상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영상데이터는 상기 화면모드, 해상도, 이동통신단말의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영상출력을 위해서는 상기 영상제어신호에 따른 영상출력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출력설정단계(S30)에서는, 화면모드, 해상도 및 이동통신단말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기 영상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출력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단말은 MHL 포트를 통하여 영상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설정된 영상출력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터치입력단계(S4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터치판넬을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접촉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입력단계(S40)는, 상기 접촉이 발생한 접촉지점에 대한 좌표정보, 상기 접촉의 발생 또는 해제여부, 상기 접촉지점의 이동여부 및 상기 접촉이 유지되는 접촉유지시간을 상기 터치판넬을 이용하여 감지하여, 상기 입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데이터 생성 및 단말제어신호의 생성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후, 터치제어단계(S50)에서 상기 단말제어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제어신호는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특히 SPP 프로파일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장치 110: 영상수신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터치판넬부
140: 제어부 150: 통신부
200: 이동통신단말
S10: 무선통신연결단계 S20: 업데이트단계
S30: 영상출력설정단계 S40: 영상출력단계
S50: 터치입력단계

Claims (9)

  1.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방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입력받는 영상수신부;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터치판넬(touch panel)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를 생성하는 터치판넬부;
    상기 입력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출력을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과의 사이에 무선통신을 형성하여, 상기 단말제어신호 및 상기 영상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을 형성하며, 상기 블루투스의 HID(Human Interface Device) 프로파일로 상기 단말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블루투스의 SPP(Serial Port Profile) 프로파일로 상기 영상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판넬부는
    상기 접촉의 발생 또는 해제가 일어난 접촉지점에 대응하는 좌표, 상기 접촉지점의 이동여부 및 상기 접촉이 유지되는 접촉유지시간을 감지하여 상기 입력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어신호는
    상기 영상데이터의 해상도,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종류 및 화면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영상데이터의 해상도,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종류 및 화면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출력을 설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제어신호에 포함된 업데이트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각각의 이동통신단말의 종류에 따른 상기 영상데이터의 해상도 및 화면 위치를 업데이트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디스플레이장치가 이동통신단말과의 사이에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무선통신연결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블루투스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영상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영상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출력을 설정하는 영상출력설정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MHL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상기 설정된 영상출력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터치판넬을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접촉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터치입력단계; 및
    상기 단말제어신호를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터치제어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단계는
    상기 접촉이 발생한 접촉지점에 대한 좌표정보, 상기 접촉의 발생 또는 해제여부, 상기 접촉지점의 이동여부 및 상기 접촉이 유지되는 접촉유지시간을 상기 터치판넬을 이용하여 감지하여, 상기 입력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버전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업데이트 코드를 전달받는 업데이트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 방법.
KR1020130029729A 2013-03-20 2013-03-20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방법 KR101476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729A KR101476725B1 (ko) 2013-03-20 2013-03-20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729A KR101476725B1 (ko) 2013-03-20 2013-03-20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094A KR20140115094A (ko) 2014-09-30
KR101476725B1 true KR101476725B1 (ko) 2014-12-29

Family

ID=5175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729A KR101476725B1 (ko) 2013-03-20 2013-03-20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7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994B1 (ko) * 2012-04-25 2012-11-15 김태준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을 이용한 스마트폰과 차량 디스플레이의 연동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994B1 (ko) * 2012-04-25 2012-11-15 김태준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을 이용한 스마트폰과 차량 디스플레이의 연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094A (ko) 201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994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quickly updating a display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for changing a display appear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426476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1445689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displaying first image data and for transmitting higher resolution second data to portable projector and image data transmittion method used in the apparatus
KR1016603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3428489A (zh) 分享屏幕截图的发送装置以及方法
US10156917B2 (en) Inpu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6540367B2 (ja) 表示制御装置、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064022A (zh) 遥控方法和系统
KR101515986B1 (ko) 적외선 광원을 이용한 모바일 장치에서의 가상 좌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US9392045B2 (en) Remote graphics corresponding to region
KR201800806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7672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방법
JP6349886B2 (ja) 画像投射装置、画像投射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投射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4090282A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90012767A1 (en) Terminal device,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erminal device
JP6409312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6034709B2 (ja) 端末装置、外部表示装置及び端末装置と外部表示装置とからなる情報システム
CN106406784A (zh) 影像输出装置
JP6471414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EP3032492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2203505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een display
US20160241809A1 (en) Content output apparatus, content outpu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8189782A (ja) 電子機器、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10128972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16042154A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システム、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