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278B1 -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278B1
KR101476278B1 KR1020140084738A KR20140084738A KR101476278B1 KR 101476278 B1 KR101476278 B1 KR 101476278B1 KR 1020140084738 A KR1020140084738 A KR 1020140084738A KR 20140084738 A KR20140084738 A KR 20140084738A KR 101476278 B1 KR101476278 B1 KR 101476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emission
data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우
박하나
손지환
김정화
박준홍
김정수
전상진
이창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40084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5/00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차량의 주행 중 배출되는 배출 물질의 농도와 상기 배출 물질의 배기유량을 포함하는 차량 배출물질 정보를 측정하고 실시간으로 차량의 차속을 포함하는 차량운행 정보를 측정하는 이동식 배출물질 측정장치(PEMS(Portable Emission Measurement System)와,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GPS 장치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들로부터, 상기 이동식 배출물질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배출 물질 각각에 대한 배출량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 각각과 상기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 중 선택된 차량운행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를 데이터화하되, 상기 차량운행 정보와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는 서로 동기화된 것으로 취급하도록 데이터화 하는 자료 통합 모듈;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데이터화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와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를, 상기 차량운행 정보의 측정 시간을 기준으로 동기화한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기화 모듈; 및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변환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측정 시간에 따른 차량운행 정보 전체 구간을 기 설정된 차량의 운행 특성에 따라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한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로 구분하고,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를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 별로 데이터화시킨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측정된 위치 정보의 전 구간을 기 설정된 구역 정보에 따라 구획한 주행 구역 별로 데이터화한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 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주행 구역 별로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배출 물질의 배출량을 산출하여 분석하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차량의 주행 중 차량의 운행 특성에 따른 차량 배출물질의 배출량 정보를 정확하고 쉽게 분석할 수 있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ANALYSING EXHAUST EMMISION FROM MOTOR VEHICLE ACCORDING TO THE EACH TRAVELING SECTION AND THE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주행한 주행 구역 별로 주행 차량의 주행 구간에 대해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같은 종류의 다른 차량의 배출 물질의 배출량을 실제 측정하지 않고서도, 매우 신뢰도가 높은 해당 차량의 동일 주행 구역의 운행 특성에 따른 배출물질에 대한 배출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차량 운행정보에 따른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은 차량에 장착된 배출물질 수집장치에 수집된 총 배출가스만을 이용한 분석방법만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기존의 차량 운행정보에 따른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은 차량의 차속이나 가속도 등과 같은 차량의 운행 특성에 따른 배출물질의 배출량 정보에 대한 분석이 불가능 할 뿐만 아니라, 실제 차량의 주행 조건에 따른 배출물질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8440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으나, 상술한 문제점에 관한 해결책은 전혀 제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차속 또는 가속도 등과 같은 차량운행 정보에 관한 데이터와 차량에서 배출되는 배출 물질들 각각에 대한 데이터 및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를 동기화하고, 차량이 주행한 주행 구역 별로 기 설정된 차량운행 특성 구간으로 구분되도록 구획되고 각 차량운행 특성 구간에 대한 배출 물질의 배출량이 차량의 주행 구간 각각에 대한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로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차량의 주행 중 주행 구역 각각의 차량의 운행 특성에 따른 차량 배출물질의 배출량 정보를 정확하고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차량이 주행한 주행 구역 별로 주행 차량의 주행 구간에 대해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같은 종류의 다른 차량의 배출 물질의 배출량을 실제 측정하지 않고서도, 매우 신뢰도가 높은 해당 차량의 동일 주행 구역의 운행 특성에 따른 배출물질에 대한 배출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차량의 주행 중 배출되는 배출 물질의 농도와 상기 배출 물질의 배기유량을 포함하는 차량 배출물질 정보를 측정하고 실시간으로 차량의 차속을 포함하는 차량운행 정보를 측정하는 이동식 배출물질 측정장치(PEMS(Portable Emission Measurement System)와,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GPS 장치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들로부터, 상기 이동식 배출물질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배출 물질 각각에 대한 배출량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 각각과 상기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 중 선택된 차량운행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를 데이터화하 하는 자료 통합 모듈;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데이터화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와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를, 상기 차량운행 정보의 측정 시간을 기준으로 동기화한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기화 모듈; 및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변환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측정 시간에 따른 차량운행 정보 전체 구간을 기 설정된 차량의 운행 특성에 따라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한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로 구분하고,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를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 별로 데이터화시킨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측정된 위치 정보의 전 구간을 기 설정된 구역 정보에 따라 구획한 주행 구역 별로 데이터화한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 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주행 구역 별로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배출 물질의 배출량을 산출하여 분석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산출되는 배출량 정보는, 상기 선택된 배출 물질에 대한 배출 질량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선택된 차량운행 정보는 상기 차량의 차속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기화 모듈은,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데이터화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와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 각각을, 동일한 시간 축 상에 배출량 정보 그래프와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로 그래프화한 후, 상기 배출량 정보 그래프의 피크 값 중 어느 하나를 인접한 직전 시간의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의 피크 값에 동기화하여 상기 배출량 정보 그래프와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를 동기화시킨 동기화 그래프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은, 상기 생성된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로부터,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 각각에 대해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가 막대 그래프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그래프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은, 상기 생성된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량 데이터로부터, 상기 구획된 주행 구역 별로 해당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 각각에 대한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가 막대 그래프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차량 주행 구역별 및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그래프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자료 통합 모듈이, 실시간으로 차량의 주행 중 배출되는 배출 물질의 농도와 상기 배출 물질의 배기유량을 포함하는 차량 배출물질 정보를 측정하고 실시간으로 차량의 차속을 포함하는 차량운행 정보를 측정하는 이동식 배출물질 측정장치(PEMS(Portable Emission Measurement System)와,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GPS 장치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들로부터, 상기 이동식 배출물질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배출 물질 각각에 대한 배출량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 각각과 상기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 중 선택된 차량운행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를 데이터화하 하는 단계; (b) 동기화 모듈이,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데이터화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와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를, 상기 차량운행 정보의 측정 시간을 기준으로 동기화한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이,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변환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측정 시간에 따른 차량운행 정보 전체 구간을 기 설정된 차량의 운행 특성에 따라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한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로 구분하고,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를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 별로 데이터화시킨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측정된 위치 정보의 전 구간을 기 설정된 구역 정보에 따라 구획한 주행 구역 별로 데이터화한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주행 구역 별로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배출 물질의 배출량을 산출하여 분석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산출되는 배출량 정보는, 상기 선택된 배출 물질에 대한 배출 질량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선택된 차량운행 정보는 상기 차량의 차속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의 상기 동기화 모듈은,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데이터화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와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 각각을, 동일한 시간 축 상에 배출량 정보 그래프와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로 그래프화한 후, 상기 배출량 정보 그래프의 피크 값 중 어느 하나를 인접한 직전 시간의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의 피크 값에 동기화하여 상기 배출량 정보 그래프와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를 동기화시킨 동기화 그래프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의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은, 상기 생성된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로부터,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 각각에 대해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가 막대 그래프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그래프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의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은, 상기 생성된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량 데이터로부터, 상기 구획된 주행 구역 별로 해당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 각각에 대한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가 막대 그래프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차량 주행 구역별 및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그래프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차량의 주행 중 주행 구역 각각의 차량의 운행 특성에 따른 차량 배출물질의 배출량 정보를 정확하고 쉽게 분석할 수 있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주행한 주행 구역 별로 주행 차량의 주행 구간에 대해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같은 종류의 다른 차량의 배출 물질의 배출량을 실제 측정하지 않고서도, 매우 신뢰도가 높은 해당 차량의 동일 주행 구역의 운행 특성에 따른 배출물질에 대한 배출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배출물질 분석기와 차량 운행정보 측정장치에서 각각 측정된 데이터들로부터 각 산출된 배출량 정보와 상기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 중 선택된 차량운행 정보 각각을 측정 시간에 따라서 데이터화 하는 자료 통합 모듈의 메인 화면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자료 통합 모듈에서 데이터화된 통합 자료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5 및 도 6은 자료 통합 모듈에서 데이터화된 자료에 의한 예시적으로 선택된 배출 물질인 NOx에 대한 배출량 정보 그래프를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에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모듈의 동기화 방법에 대한 설명도로서, 도 5는 동일한 시간 축 상에 배출량 정보 그래프와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가 나타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출량 정보 그래프의 t2에 대한 피크값을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의 대응되는 피크값인 t1으로 이동시켜 동기화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동기화 모듈에서 배출량 정보 그래프와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가 동기화된 실제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동기화 모듈에서 동기화된 배출량 정보 그래프와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의 확대 전과 확대 후 그래프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배출물질 측정장치에서 시간에 따라 측정되는 차량의 비속도 그래프(상)와 NOx 배출물질에 대한 배출량 그래프(하)이다.
도 11은 도 10의 NOx 배출물질에 대한 배출량 그래프(하)가 차량의 비속도 그래프(상)에 동기화된 동기화 그래프이다.
도 12는 배출물질 측정장치에서 시간에 따라 측정되는 차량의 차속 그래프(상)와 NOx 배출물질에 대한 배출량 그래프(하) 및 그에 따른 차량 운행특성 구간에 대한 막대 그래프이다.
도 13은 도 12의 NOx 배출물질에 대한 배출량 그래프(하)가 차량의 차속 그래프(상)에 동기화된 동기화 그래프 및 그에 따른 그에 따른 차량 운행특성 구간에 대한 막대 그래프이다.
도 14는 배출물질 측정장치에서 시간에 따라 측정되는 NOx 배출물질에 대한 차량 운행특성 구간의 그래프이다.
도 15는 배출물질 측정장치에서 기 설정된 기준 시간 주기의 예시로서 1초 단위에 대한 측정되는 NOx 배출물질에 대한 차량 운행특성 구간의 그래프이다.
도 16은 차량 운행 구간별로 측정되는 NOx 배출물질에 대한 차량 운행특성 구간의 그래프이다.
도 17은 차량에서 배출되어 측정되는 배출물질의 농도 및 유량 측정 결과를 이용한 배출량 계산에 관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배출물질 분석기와 차량 운행정보 측정장치에서 각각 측정된 데이터들로부터 각 산출된 배출량 정보와 상기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 중 선택된 차량운행 정보 각각을 측정 시간에 따라서 데이터화 하는 자료 통합 모듈의 메인 화면에 관한 예시도이고, 도 4는 자료 통합 모듈에서 데이터화된 통합 자료에 관한 예시도이며, 도5 및 도 6은 자료 통합 모듈에서 데이터화된 자료에 의한 예시적으로 선택된 배출 물질인 NOx에 대한 배출량 정보 그래프를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에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모듈의 동기화 방법에 대한 설명도로서, 도 5는 동일한 시간 축 상에 배출량 정보 그래프와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가 나타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출량 정보 그래프의 t2에 대한 피크값을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의 대응되는 피크값인 t1 으로 이동시켜 동기화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동기화 모듈에서 배출량 정보 그래프와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가 동기화된 실제 예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동기화 모듈에서 동기화된 배출량 정보 그래프와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의 확대 전과 확대 후 그래프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배출물질 측정장치에서 시간에 따라 측정되는 차량의 비속도 그래프(상)와 NOx 배출물질에 대한 배출량 그래프(하)이고, 도 11은 도 10의 NOx 배출물질에 대한 배출량 그래프(하)가 차량의 비속도 그래프(상)에 동기화된 동기화 그래프이다.
도 12는 배출물질 측정장치에서 시간에 따라 측정되는 차량의 차속 그래프(상)와 NOx 배출물질에 대한 배출량 그래프(하) 및 그에 따른 차량 운행특성 구간에 대한 막대 그래프이고, 도 13은 도 12의 NOx 배출물질에 대한 배출량 그래프(하)가 차량의 차속 그래프(상)에 동기화된 동기화 그래프 및 그에 따른 그에 따른 차량 운행특성 구간에 대한 막대 그래프이다.
도 14는 배출물질 측정장치에서 시간에 따라 측정되는 NOx 배출물질에 대한 차량 운행특성 구간의 그래프이다.
도 15는 배출물질 측정장치에서 기 설정된 기준 시간 주기의 예시로서 1초 단위에 대한 측정되는 NOx 배출물질에 대한 차량 운행특성 구간의 그래프이고, 도 16은 차량 운행 구간별로 측정되는 NOx 배출물질에 대한 차량 운행특성 구간의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는 실시간으로 차량의 주행 중 배출되는 배출 물질의 농도와 상기 배출 물질의 배기유량을 포함하는 차량 배출물질 정보를 측정하고 실시간으로 차량의 차속을 포함하는 차량운행 정보를 측정하는 이동식 배출물질 측정장치(PEMS(Portable Emission Measurement System)와,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GPS 장치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들로부터, 상기 이동식 배출물질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배출 물질 각각에 대한 배출량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 각각과 상기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 중 선택된 차량운행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를 데이터화하되, 상기 차량운행 정보와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는 서로 동기화된 것으로 취급하도록 데이터화 하는 자료 통합 모듈(100)과,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데이터화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와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를, 상기 차량운행 정보의 측정 시간을 기준으로 동기화한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기화 모듈(200), 및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변환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측정 시간에 따른 차량운행 정보 전체 구간을 기 설정된 차량의 운행 특성에 따라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한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로 구분하고,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를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 별로 데이터화시킨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측정된 위치 정보의 전 구간을 기 설정된 구역 정보에 따라 구획한 주행 구역 별로 데이터화한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는 상기 이동식 배출물질 측정장치에서 측정되는 모든 배출 물질 각각에 대해 동기화 데이터 및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등을 생성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상기 배출 물질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NOx 물질만을 예시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출물질 측정장치는 차량에서 배출되는 각종 입자상 물질의 질량과 개수 등의 정보를 더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의 자동차 배출 물질에 대한 평가방법은 기존의 차대동력계 평가 방법에서 실제 도로 주행 시의 주행 조건에 따른 평가 방법으로 전환되고 있고, 실제 도로상의 자동차 배출 물질 측정 방법은 대형차 결함확인검사 등 자동차 배출물질 관리를 위한 규제에도 활용되고 있다.
PEMS(Portable Emission Measurement System, 이동식 배출물질 측정장치)는 자동차에 탑재하여 그 차량이 실제 도로 주행 중에 발생시키는 배출물질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장치를 말하며 가스상 측정장치, 입자상물질 측정장치, OBD 데이터 측정장치, 차량주행데이터 측정장치, 기상정보 측정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PEMS는 자동차의 오염물질 배출량과 더불어 차속, 가속도와 같은 차량의 동역학적 주행 변수를 함께 측정하기 때문에 이 결과를 조합하여 분석함으로서 도로상에서 벌어지는 여러 가지 교통 환경의 영향이 자동차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은 실도로 측정 데이터를 차량의 주행변수에 기초한 배출율 및 활동도 맵으로 구성,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실제 도로에서의 다양한 주행조건에 따른 배출량의 분석 및 예측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400)은,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배출 물질의 배출량을 산출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는 자료 통합 모듈(200), 동기화 모듈(300) 및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400)을 포함한다.
상기 자료 통합 모듈(100)은 차량에 장착된 상기 이동식 배출물질 측정장치로부터 각각 측정된 차량에서 배출되는 배출 물질의 농도와 상기 배출 물질의 배출량 및/또는 배기유량을 포함하는 차량 배출물질 정보와 차량의 차속을 포함하는 차량운행 정보에 관한 데이터들로부터, 상기 이동식 배출물질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배출 물질 중 선택된 배출 물질에 대한 배출량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와 상기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한 차량운행 정보를 측정 시간에 따라서 데이터화 한다.
이때, 상기 선택된 배출 물질에 대한 배출량 정보는 상기 선택된 배출 물질에 대한 농도와 배기유량 등을 이용하여 질량값으로 산출될 것이다.
상기 자료 통합 모듈(100)은 또한,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GPS 장치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 각각과 상기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 중 선택된 차량운행 정보와 함께 데이터화 한다.
이때, 상기 차량운행 정보와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는 서로 동기화된 것으로 취급되도록 데이터화 한다.
또한, 상기 차량운행 정보 중 선택된 차량운행 정보는 주로 차속으로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차속 정보로부터 상기 차량의 추력을 산출하여 데이터화 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모듈(200)은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데이터화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와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를, 상기 차량운행 정보의 측정 시간을 기준으로 동기화한다. 이때, 기 차량운행 정보와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는 미리 서로 동기화된 것으로 취급되므로 함께 동기화된다.
차량의 경우, 차량의 차속 또는 추력 등에 따라 배출되는 배출물질의 양이 변화되나, 상기 차량의 차속 또는 추력의 변화 후 배출물질이 배출되는 차량의 구조적 특성은 물론, 상기 차량의 주행 위치를 함께 고려하여, 실제 차량의 차속 또는 추력의 변화에 따른 배출물질 양의 변화를 차량의 차속 또는 추력 변화 시간에 동기화 시킴으로써, 차량의 차속 또는 추력의 변화에 따른 배출물질 양 변화를 차량의 주행 위치별로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동기화 모듈(200)은,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데이터화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와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 각각을, 동일한 시간 축 상에 배출량 정보 그래프와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로 그래프화한 후, 상기 배출량 정보 그래프의 피크 값 중 어느 하나를 인접한 직전 시간의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의 피크 값에 동기화하여 상기 배출량 정보 그래프와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를 동기화시킨 동기화 그래프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량 정보 그래프의 피크 값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배출량 정보 그래프의 피크 값 중 최대 피크값으로 설정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동기화 모듈(200)에 의해, 같은 시간 축 상에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와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 및 및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 각각을 그래프화한 후, 배출량 정보 그래프를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에 동기화 함으로써, 실제 차량의 차속 또는 추력(예컨대, 차량의 가속도 등)의 변화에 의해 차량에서 배출되는 배출 물질의 양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300)은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변환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측정 시간에 따른 차량운행 정보 전체 구간을 기 설정된 차량의 운행 특성에 따라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한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로 구분하고,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를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 별로 데이터화시킨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측정된 위치 정보의 전 구간을 기 설정된 구역 정보에 따라 구획한 주행 구역 별로 데이터화한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상기 차량의 주행 구역 별로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배출 물질의 배출량을 산출하여 분석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기준 시간 주기는 1초 단위를 갖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차량 배출물질 정보와 차량운행 정보가 상기 기준 시간 주기에 대한 차량 배출물질 정보와 차량운행 정보 데이터로 재 설정된다.
이때, 상기 기준 시간 주기의 단위로 재 설정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기준 시간 주기 단위 각각에 기 설정된 차량의 운행 특성에 따라 구분된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 중 대응되는 차량운행 특성 구간에 대한 구간 정보를 할당하고,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를 상기 할당된 차량운행 특성 구간 별로 데이터화시킨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컨대,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이 차속이 1~30 km/h인 경우를 OP1 구간으로, 차속이 31~50 km/h인 경우를 OP2 구간으로, 차속이 51~80인 경우를 OP3 구간으로, 차속이 81~100인 경우를 OP4 구간으로, 101~120인 경우를 OP5 구간 등으로 구분한 경우, 기준 시간 주기가 1초 단위로 설정된 경우, 상기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처음 1초간의 차량운행 정보에 따른 차속이 1~30 km/h인 경우를 OP1 구간으로, 그 다음 1초간의 1초간의 차량운행 정보에 따른 차속이 31~50 km/h인 경우를 OP2 구간으로, 그 다음 1초간의 차량운행 정보에 따른 차속이 51~80인 경우를 OP3 구간으로, 그 다음 1초간의 차량운행 정보에 따른 차속이 81~100인 경우를 OP4 구간으로, 101~120인 경우를 OP5 구간으로, 그 다음 1초간의 차량운행 정보에 따른 차속이 51~80인 경우를 OP3 구간 등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를 상기 차량의 주행 구역 각각에 대한 상기 기준 시간 주기 단위별로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이 각각 할당되도록 데이터화하여 각 기준 시간 주기 단위에 따른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는, 상기 기준 시간 주기 단위 각각에 할당된 상기 차량의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 즉 상기 기준 시간 주기 단위에 대하여 차량의 차속 등과 같이 운행 특성과 함께, 각 기준 시간 주기 단위에 배출되는 배출 물질의 양(예컨대, 질량)을 상기 차량의 주행 구역 별로 정확하게 파악하여, 상기 차량의 차량운행 특성에 따른 배출물질의 정도를 상기 차량의 주행 구역에 대한 기준 시간 주기 단위에 따라 정확하고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300)은, 상기 생성된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로부터,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 각각에 대해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가 막대 그래프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그래프를 더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그래프는, 상기 기준 시가 주기 단위에 따른 차량운행 특성 구간의 변화에 대한 배출 물질의 배출량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즉,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그래프에 의해 차량의 전 운행 구간을 통해 차량의 차량운행 특성 구간의 변화와 각 차량운행 특성 구간에 배출되는 배출 물질의 양을 정확하고 쉽게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300)은, 상기 생성된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량 데이터로부터, 상기 구획된 주행 구역 별로 해당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 각각에 대한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가 막대 그래프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차량 주행 구역별 및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그래프를 더 생성할 수 있다.
즉, 차량 주행 구역별 및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그래프는 상기 차량의 주행 구간들 별로, 해당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 각각에 대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를 정확하고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에 의하면, 차량의 운행정보, 예컨대 차량의 차속에 따른 배출되는 배출 물질의 배출량을 상기 기준 시간 주기 단위에 따라 할당된 차량의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로 정확하게 분석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구획된 주행 구역 각각에 대하여 차량의 차량운행 특성 구간에 대한 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배출 물질의 배출량이 정확하게 분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실제 주행 특성 및/또는 차량이 주행한 도로에 따른 배출물질의 종류 및 각각의 배출량을 정확하고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를 통해, 같은 종류의 다른 차량의 차량 운행정보에 따른 배출 물질의 배출량을 실제 측정하지 않고서도 정확하고 쉽게 예측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은 상술한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의 내용과 공통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은 먼저, 자료 통합 모듈이, 실시간으로 차량의 주행 중 배출되는 배출 물질의 농도와 상기 배출 물질의 배기유량을 포함하는 차량 배출물질 정보를 측정하고 실시간으로 차량의 차속을 포함하는 차량운행 정보를 측정하는 이동식 배출물질 측정장치(PEMS(Portable Emission Measurement System)와,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GPS 장치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들로부터, 상기 이동식 배출물질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배출 물질 각각에 대한 배출량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 각각과 상기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 중 선택된 차량운행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를 데이터화 한다((a) 단계). 다만 이때, 상기 차량운행 정보와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는 서로 동기화된 것으로 취급할 수 있다.
그 다음, 동기화 모듈이,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데이터화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와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를, 상기 차량운행 정보의 측정 시간을 기준으로 동기화한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한다((b) 단계).
그 다음,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이,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변환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측정 시간에 따른 차량운행 정보 전체 구간을 기 설정된 차량의 운행 특성에 따라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한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로 구분하고,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를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 별로 데이터화시킨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측정된 위치 정보의 전 구간을 기 설정된 구역 정보에 따라 구획한 주행 구역 별로 데이터화한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c)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주행 구역 별로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배출 물질의 배출량을 산출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산출되는 배출량 정보는, 상기 선택된 배출 물질에 대한 배출 질량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선택된 차량운행 정보는 상기 차량의 차속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b) 단계의 상기 동기화 모듈은,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데이터화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와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 각각을, 동일한 시간 축 상에 배출량 정보 그래프와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로 그래프화한 후, 상기 배출량 정보 그래프의 피크 값 중 어느 하나를 인접한 직전 시간의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의 피크 값에 동기화하여 상기 배출량 정보 그래프와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를 동기화시킨 동기화 그래프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의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은, 상기 생성된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로부터,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 각각에 대해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가 막대 그래프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그래프를 더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의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은, 상기 생성된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량 데이터로부터, 상기 구획된 주행 구역 별로 해당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 각각에 대한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가 막대 그래프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차량 주행 구역별 및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그래프를 더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자료 통합 모듈 200: 동기화 모듈
300: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

Claims (12)

  1. 실시간으로 차량의 주행 중 배출되는 배출 물질의 농도와 상기 배출 물질의 배기유량을 포함하는 차량 배출물질 정보를 측정하고 실시간으로 차량의 차속을 포함하는 차량운행 정보를 측정하는 이동식 배출물질 측정장치(PEMS(Portable Emission Measurement System)와,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GPS 장치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들로부터, 상기 이동식 배출물질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배출 물질 각각에 대한 배출량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 각각과 상기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 중 선택된 차량운행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를 데이터화 하는 자료 통합 모듈;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데이터화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와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를, 상기 차량운행 정보의 측정 시간을 기준으로 동기화한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기화 모듈; 및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변환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측정 시간에 따른 차량운행 정보 전체 구간을 기 설정된 차량의 운행 특성에 따라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한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로 구분하고,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를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 별로 데이터화시킨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측정된 위치 정보의 전 구간을 기 설정된 구역 정보에 따라 구획한 주행 구역 별로 데이터화한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 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주행 구역 별로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배출 물질의 배출량을 산출하여 분석하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산출되는 배출량 정보는, 상기 선택된 배출 물질에 대한 배출 질량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선택된 차량운행 정보는 상기 차량의 차속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모듈은,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데이터화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와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 각각을, 동일한 시간 축 상에 배출량 정보 그래프와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로 그래프화한 후, 상기 배출량 정보 그래프의 피크 값 중 어느 하나를 인접한 직전 시간의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의 피크 값에 동기화하여 상기 배출량 정보 그래프와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를 동기화시킨 동기화 그래프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은,
    상기 생성된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로부터,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 각각에 대해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가 막대 그래프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그래프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은,
    상기 생성된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량 데이터로부터, 상기 구획된 주행 구역 별로 해당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 각각에 대한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가 막대 그래프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차량 주행 구역별 및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그래프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7. (a) 자료 통합 모듈이, 실시간으로 차량의 주행 중 배출되는 배출 물질의 농도와 상기 배출 물질의 배기유량을 포함하는 차량 배출물질 정보를 측정하고 실시간으로 차량의 차속을 포함하는 차량운행 정보를 측정하는 이동식 배출물질 측정장치(PEMS(Portable Emission Measurement System)와,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GPS 장치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들로부터, 상기 이동식 배출물질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배출 물질 각각에 대한 배출량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 각각과 상기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 중 선택된 차량운행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위치 정보를 데이터화 하는 단계;
    (b) 동기화 모듈이,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데이터화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와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를, 상기 차량운행 정보의 측정 시간을 기준으로 동기화한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이,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변환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측정 시간에 따른 차량운행 정보 전체 구간을 기 설정된 차량의 운행 특성에 따라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한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로 구분하고,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를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 별로 데이터화시킨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를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측정된 위치 정보의 전 구간을 기 설정된 구역 정보에 따라 구획한 주행 구역 별로 데이터화한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주행 구역 별로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배출 물질의 배출량을 산출하여 분석하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산출되는 배출량 정보는, 상기 선택된 배출 물질에 대한 배출 질량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선택된 차량운행 정보는 상기 차량의 차속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상기 동기화 모듈은,
    상기 자료 통합 모듈에서 데이터화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와 측정된 차량운행 정보 각각을, 동일한 시간 축 상에 배출량 정보 그래프와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로 그래프화한 후, 상기 배출량 정보 그래프의 피크 값 중 어느 하나를 인접한 직전 시간의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의 피크 값에 동기화하여 상기 배출량 정보 그래프와 차량운행 정보 그래프를 동기화시킨 동기화 그래프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의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은,
    상기 생성된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로부터,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 각각에 대해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가 막대 그래프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그래프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의 상기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데이터 생성모듈은,
    상기 생성된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량 데이터로부터, 상기 구획된 주행 구역 별로 해당 차량운행 특성 구간들 각각에 대한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산출된 배출량 정보가 막대 그래프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차량 주행 구역별 및 차량운행 특성 구간별 배출량 그래프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
KR1020140084738A 2014-07-07 2014-07-07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 KR101476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738A KR101476278B1 (ko) 2014-07-07 2014-07-07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738A KR101476278B1 (ko) 2014-07-07 2014-07-07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278B1 true KR101476278B1 (ko) 2014-12-24

Family

ID=52679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738A KR101476278B1 (ko) 2014-07-07 2014-07-07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2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3080A (ja) * 2000-12-28 2002-07-19 Horiba Ltd 環境負荷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3080A (ja) * 2000-12-28 2002-07-19 Horiba Ltd 環境負荷制御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410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economy improvement
Sentoff et al. Implications of driving style and road grade for accurate vehicle activity data and emissions estimates
Li et al. Link travel time estimation using single GPS equipped probe vehicle
US20180286224A1 (en) System and method of traffic survey, traffic signal retiming and traffic control
CN102779415B (zh) 实时分析交通信号相位的方法与装置
CN103632540A (zh) 基于浮动车数据的城市主干道交通运行信息处理方法
CN108091137A (zh) 一种信号灯控制方案的评价方法及装置
Ryu et al. Development of a corrected average speed model for calculating carbon dioxide emissions per link unit on urban roads
CN102980589A (zh) 一种通过gps速度自动计算车辆脉冲系数的方法及装置
CN105788295A (zh) 一种交通流量的检测方法及装置
Axer et al. Estimation of traffic signal timing data and total delay for urban intersections based on low-frequency floating car data
Qian et al. Algorithm for queue estimation with loop detector of time occupancy in off-ramps on signalized motorways
Zhang et al. Emissions characteristics for heavy-duty diesel trucks under different loads based on vehicle-specific power
Goodall et al. Microscopic estimation of freeway vehicle positions using mobile sensors
Li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data segregation for mesoscopic energy modeling
KR101476272B1 (ko)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기준 시간 주기에 대한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기준 시간 주기에 대한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
Faghri et al. Application of GPS in traffic management systems
KR101476278B1 (ko)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차량 주행 구역별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
Oswald et al. Evaluating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connected and automated vehicles: Potential shortcomings of a binned-based emissions model
KR101476275B1 (ko)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매체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배출 물질 배출량 분석 방법
Hellinga et al. Estimating Signalized Intersection Delays to Transit Vehicles: Using Archived Data from Automatic Vehicle Location and Passenger Counting Systems
Boulter et al. Driving cycles for measuring passenger car emissions on roads with traffic calming measures
Jackson et al. Evaluating the ability of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s to measure a real-world operating mode for emissions research
COVACIU et al. Development of a driving cycle for Brasov city
Öttl et al. Simulation of traffic induced NOx-concentrations near the A 12 highway in Aust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