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214B1 - Ligh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igh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214B1
KR101476214B1 KR1020140015356A KR20140015356A KR101476214B1 KR 101476214 B1 KR101476214 B1 KR 101476214B1 KR 1020140015356 A KR1020140015356 A KR 1020140015356A KR 20140015356 A KR20140015356 A KR 20140015356A KR 101476214 B1 KR101476214 B1 KR 101476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nit
lenses
light emitting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3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준원
조문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5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2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2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8Combination of two or more successive refractors along an op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the lighting apparatus which includes a substrate, a light emitting unit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LED arrays which are mounted on the substrate, a lens array which is mounted o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a power source unit which supplies pow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Wherein, the lens array includes one or more first lens units with a plurality of first lenses with a first light distribution curve and one or more second lens units with a plurality of second lenses with a second light distribution curv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curve.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0001]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아웃도어 조명환경에 최적화된 배광을 구현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ing apparatus capable of realizing light distribution optimized for various outdoor lighting environments.

일반적으로 LED는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로서, 수명이 길고, 소비 전력이 낮으며, 대량 생산에 적합한 전기적, 광학적, 물리적 특성들을 가지며, 백열 전구 및 형광등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또한, LED는 가로등, 보안등, 공원등 또는 방범등과 같은 아웃도어(Ourdoor) 등기구에 빠르게 적용이 되고 있다.In general, an LED is a semiconductor device that emits light when a voltage is applied in a forward direction, has a long lifetime, low power consumption, has electrical, opt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and is rapidly replacing incandescent bulbs and fluorescent lamps. In addition, LEDs are quickly applied to outdoor lighting such as street lamps, security lamps, parks, and security lamps.

특히, 등기구는 기둥 부재에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되며 주변환경에 따라 빛의 각도를 최적의 상태로 조사할 수 있어야 한다.Particularly, the luminaire is installed in the form of hanging on a pillar member, and it should be possible to investigate the angle of light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an optimal state.

한편, LED는 배광각도가 작고, 직진성이 강하다. 따라서, 일정한 배광각(지향각)을 구현하기 위하여, LED조명장치는 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렌즈유닛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LED has a small light distribution angle and a strong directivity. Therefore, in order to realize a constant angle of incidence (directional angle), the LED illumination device includes a lens unit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light emitted from the LED.

특히, 가로등과 같이 차도와 인도로 조명을 제공하는 경우, 다양한 도로 조명 환경에 최적화하도록 렌즈유닛을 개별적으로 설계 및 제작하여야 한다.In particular, when lighting is provided on the roadway and on the road, such as a streetlight, the lens units must be individually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optimize for various road lighting environments.

한편, 가로등이 잘못 설치될 경우, 도로면 또는 설치면에 대한 배광 각도가 바르게 유지되지 않으므로 조명이 불필요한 영역으로 빛이 조사되거나 조명이 필요한 영역의 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reetlight is installed incorrectly, the light distribu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road surface or the installation surface is not maintained properly, so that there arises a problem that light is irradiated to an area where illumination is unnecessary or illuminance of an area where illumination is required is reduced.

본 발명은 다양한 아웃도어 조명환경에 최적화된 배광을 구현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capable of realizing light distribution optimized for various outdoor lighting environments.

또한, 본 발명은 도로 또는 인도의 특정 영역별로 개별 배광을 구현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capable of realizing individual light distribution for each specific area of a road or a certain area of a road.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배광곡선을 갖는 렌즈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배광을 구현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apparatus which can realize various light distribution through combination of lenses having different light distribution curves.

또한, 본 발명은 개별 배광을 갖는 렌즈의 조합을 통해 개별 렌즈의 배광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양한 배광을 구현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ing apparatus which can realize various additional light distribution besides the light distribution of an individual lens through a combination of lenses having individual light distributio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된 복수 개의 LED 어레이를 포함하는 발광유닛; 상기 발광유닛에 장착되는 렌즈 어레이; 및 상기 발광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유닛을 포함하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LED arrays mounted on the substrate; A lens array mounted o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a power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여기서 상기 렌즈 어레이는 제1 배광곡선을 갖는 복수 개의 제1 렌즈가 마련된 하나 이상의 제1 렌즈유닛 및 제1 배광곡선과 다른 제2 배광곡선을 갖는 복수 개의 제2 렌즈가 마련된 하나 이상의 제2 렌즈유닛을 포함한다.Wherein the lens array includes at least one first lens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lenses having a first light distribution curve and at least one second lens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lenses having a second light distribution curve different from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curve, .

이때 상기 제1 렌즈유닛과 상기 제2 렌즈유닛은 서로 다른 LED어레이를 각각 둘러싸도록 마련된다.At this time,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re provided so as to surround different LED arrays,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히트싱크; 상기 히트싱크에 장착되는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에 실장된 복수 개의 LED 어레이를 포함하는 제1 발광유닛; 상기 제1 발광유닛에 장착되는 제1 렌즈 어레이; 상기 히트싱크에 장착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에 실장된 복수 개의 LED 어레이를 포함하는 제2 발광유닛; 상기 제2 발광유닛에 장착되는 제2 렌즈 어레이; 및 상기 제1 및 제2 발광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유닛을 포함하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t sink comprising: a heat sink; A first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 first substrate mounted on the heat sink and a plurality of LED arrays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A first lens array mounted on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 second substrate mounted on the heat sink and a plurality of LED arrays mounted on the second substrate; A second lens array mounted on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And a power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units.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렌즈 어레이는 각각, 제1 배광곡선을 갖는 복수 개의 제1 렌즈가 마련된 제1 렌즈유닛 및 제1 배광곡선과 다른 제2 배광곡선을 갖는 제2 렌즈를 마련된 제2 렌즈유닛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first lens array and the second lens array may include a first lens unit having a plurality of first lenses having a first light distribution curve and a second lens unit having a second light distribution curve different from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curve, And a lens unit.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렌즈 어레이의 배광특성은 각각, 제1 및 제2 렌즈 유닛의 개수와 제1 및 제2 렌즈 유닛의 배열순서 및 제1 또는 제2 렌즈 유닛이 LED 어레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달라진다.At this time, 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arrays are set such that the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and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ngles rotated by the referenc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된 복수 개의 LED 어레이를 포함하는 발광유닛; 상기 발광유닛에 장착되는 렌즈 어레이; 및 상기 발광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유닛을 포함하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LED arrays mounted on the substrate; A lens array mounted o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a power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여기서 상기 렌즈 어레이는, 동일 배광곡선을 갖는 복수 개의 렌즈가 마련되고, 각 LED어레이를 개별적으로 둘러싸기 위한 복수 개의 렌즈 유닛을 포함한다.Here, the lens array includes a plurality of lenses having the same light distribution curv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ens units for individually surrounding each LED array.

이때 적어도 2개 이상의 렌즈 유닛은 해당 LED 어레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 각도가 서로 다르게 장착된다.At least two or more lens units are mounted at different angl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rresponding LED arra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우선,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장치는 다양한 아웃도어 조명환경에 최적화된 배광을 구현할 수 있다.First, the illumination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light distribution optimized for various outdoor illumination environments.

특히, 도로 조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도로 또는 인도의 특정 영역별로 개별 배광을 구현할 수 있다.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individual light distribution by road or specific areas of the roadway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road lighting.

또한, 서로 다른 배광곡선을 갖는 렌즈의 조합을 통해 특정 구역별로 다양한 형태의 배광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types of light distribution can be realized for each specific reg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lenses having different light distribution curves.

또한, 개별 배광을 갖는 렌즈의 개수, 배열순서, 및 회전을 통하여 각 개별 렌즈의 배광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배광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various additional types of light distribution in addition to the light distribution of each individual lens through the number of lenses having the individual light distribution, the order of arrangement, and rotation.

또한, 배광 특성 조절을 위한 조립이 간편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assemble to adjust 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발광유닛과 렌즈 어레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제1 렌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도시된 제1 렌즈의 배광곡선을 나타낸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제2 렌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의 (b)는 도 6의 (a)에 도시된 제2 렌즈의 배광곡선을 나타낸다.
도 7은 렌즈 어레이의 다양한 실시태양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히트싱크의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llumination device shown i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ens array.
5 (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lens constituting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b) shows the light distribution curve of the first lens shown in Fig. 5 (a).
6 (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lens constituting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b) shows the light distribution curve of the second lens shown in Fig. 6 (a).
7 is a plan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lens array.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 sink constituting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 장치는 가로등과 같은 아웃도어(Outdoor) 조명장치 및 인도어(Indoor) 조명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The illumination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both indoor and indoor lighting devices such as a streetligh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1)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1)의 구성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of a ligh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ighting apparatus 1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조명장치(100)는 발광유닛(100)과 렌즈 어레이(130) 및 전원유닛(300)을 포함한다.The illumination device 100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100, a lens array 130, and a power source unit 300.

상기 발광유닛(100)은 광원으로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어레이(130)는 상기 발광유닛(100)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렌즈 어레이(130)는 상기 발광유닛(100)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소정의 배광을 갖도록 외부로 출사되는 빛의 광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 어레이(130)에 의한 배광 또는 배광 특성은 배광 곡선으로 나타낼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100 may include an LED as a light source. Further, the lens array 130 is mounted on the light emitting unit 100. In addition, the lens array 130 can control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light emitt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00 has predetermined light distribution. Here, the light distribution or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by the lens array 130 can be represented by a light distribution curve.

상기 전원유닛(300)은 상기 발광유닛(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원유닛(300)은 상기 발광유닛(1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unit 100. The power supply unit 300 supplies pow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100.

또한, 상기 전원유닛(300)은 상기 발광유닛(100)의 밝기 및/또는 색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유닛(300)은 외부 상용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300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brightness and / or color temperature of the light emitting unit 100. The power unit 300 may include a converter for converting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into a DC power source.

또한, 상기 조명장치(1)는 상기 발광유닛(100)이 장착되는 히트싱크(200)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유닛(100)은 상기 히트싱크(2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ing apparatus 1 includes a heat sink 200 on which the light emitting unit 100 is mounted. The light emitting unit 10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eat sink 200.

상기 히트싱크(200)는 상기 발광유닛(10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히트싱크(20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싱크(200)는 상기 조명장치(1)의 외관을 형성한다.The heat sink 200 functions to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00 to the outside. The heat sink 2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In addition, the heat sink 20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lighting device 1. [

한편, 상기 조명장치(1)는 상기 전원유닛(300)을 둘러싸는 리어 하우징(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하우징(20)은 상기 히트싱크(200)에 장착될 수 있다.Meanwhile, the lighting device 1 may include a rear housing 20 surrounding the power unit 300. The rear housing 20 may be mounted on the heat sink 200.

또한, 상기 조명장치(1)는 상기 히트싱크(200)에 장착되는 프론트 하우징(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하우징(10)과 히트싱크(200) 및 리어 하우징(20)은 각각 조명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ing apparatus 1 may include a front housing 10 mounted on the heat sink 200. Here, the front housing 10, the heat sink 200, and the rear housing 20 may form the appearance of the lighting apparatus 1, respectively.

이때,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은 상기 히트싱크(200)의 일 종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리어 하우징(20)은 상기 히트싱크(200)의 타 종단부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트싱크(200)는 상기 프론트 하우징(10)과 상기 리어 하우징(20)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ront housing 10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heat sink 200, and the rear housing 20 is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heat sink 200. Specifically, the heat sink 200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front housing 10 and the rear housing 20.

상기 프론트 하우징(10)과 리어 하우징(20) 및 상기 히트싱크(20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히트싱크(200)와 상기 리어 하우징(20)은 동일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히트싱크(2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리어 하우징(20)은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housing 10, the rear housing 20, and the heat sink 20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In one embodiment, the heat sink 200 and the rear housing 20 may be formed of the same metal. Alternatively, the heat sink 2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the rear housing 20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또한, 상기 히트싱크(200)에는 발광유닛(100)이 배치되고, 상기 리어 하우징(20)에는 전원유닛(300)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발광유닛(100)과 상기 전원유닛(300)은 케이블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 light emitting unit 100 is disposed in the heat sink 200 and a power unit 300 is disposed in the rear housing 20. At this time, the light emitting unit 100 and the power unit 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able or the like.

이때, 상기 케이블은 일부 영역이 상기 리어 하우징(20) 내부에 위치되고, 나머지 영역이 상기 히트싱크(2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cable may be located inside the rear housing 20, and the remaining area may be located inside the heat sink 200.

상기 조명장치(1)가 아웃도어 조명장치인 경우, 상기 조명장치(1)는 지지부재(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illuminating device 1 is an outdoor illuminating device, the illuminat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ing member 30.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리어 하우징(20)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리어 하우징(20)에는 삽입홀(2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30)는 일부영역이 상기 삽입홀(21)을 통과하여 상기 리어 하우징(2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30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housing 20. In one embodiment, the rear housing 20 may be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21. At this time, a part of the support member 30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rear housing 20 through the insertion hole 21. [

또한, 상기 지지부재(30)는 "ㄱ"자 형상 또는 "ㅣ"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지지부재(30)는 도로 또는 인도와 같은 설치면에 고정되는 폴(Pole)부와 상기 리어 하우징(20)에 삽입되는 암(Arm)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support member 30 may have a "B" shape or a "B" shape. 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30 may include a pole portion fixed to a mounting surface such as a road or a lead, and an arm portion inserted into the rear housing 20. [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발광유닛과 렌즈 어레이의 분리 사시도이다.FIG.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llumination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ens array.

또한, 상기 발광유닛(100)은 기판(110) 및 상기 기판(110)에 실장된 복수 개의 LED 어레이(12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LED 어레이(120)는, 기판(11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차례로 마련된 제1 LED 어레이(120-1)와 제2 LED어레이(120-2)와 제3 LED어레이(120-3) 및 제4 LED 어레이(120-4)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100 includes a substrate 110 and a plurality of LED arrays 120 mounted on the substrate 110. 4, the plurality of LED arrays 120 includes a first LED array 120-1, a second LED array 120-2, and a second LED array 120-2, which ar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substrate 110, 3 LED array 120-3 and a fourth LED array 120-4.

각 LED 어레이(120: 120-1 내지 120-4)는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LED(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LED어레이(120)는 격자 모양으로 각각 위치된 복수 개의 LED(121)를 포함할 수 있다.Each LED array 120 (120-1 to 120-4)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s 121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one embodiment, the LED array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s 121 each positioned in a lattice.

또한, LED 어레이(120)의 복수 개의 LED(121)의 간격은 기판(110)의 길이방향(L) 및 폭방향(W)을 따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LED(121)는 N행 N열 (N>1)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LEDs 121 of the LED array 120 may be the same along the length direction L and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substrate 110. Further, the plurality of LEDs 121 may be arranged in N rows and N columns (N > 1), respectively.

또한, 각 LED 어레이(120-1 내지 120-4)는 조명공간의 서로 다른 영역의 배광을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LED 어레이(120-1 내지 120-4)는 분할된 조명공간의 배광을 개별적으로 담당할 수 있다.Further, each of the LED arrays 120-1 to 120-4 can take charge of light distribution in different areas of the illumination space. For example, each of the LED arrays 120-1 to 120-4 may individually take on the light distribution of the divided illumination space.

또한, 상기 조명장치(1)는 상기 발광유닛(100)을 둘러싸는 광투과 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부재(40)는 글라스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llumination device 1 may include a light transmitting member 40 surrounding the light emitting unit 100.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40 may be formed of a glass.

또한, 상기 광투과부재(40)의 둘레부에는 가스켓(41)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41)은 수밀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A gasket 41 may be mounted on the periphery of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40. The gasket 41 functions to improve watertightness and airtightness.

또한, 상기 조명장치(1)는 상기 광투과부재(40)의 둘레부를 둘러싸는 전면 브라켓(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브라켓(50)은 히트싱크(20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브라켓(50)에는 상기 광투과부재(40)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51)가 마련될 수 있다.The illuminating device 1 may include a front bracket 50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40. The front bracket 50 may be mounted to the heat sink 200. The front bracket 5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51 for exposing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40 to the outside.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제1 렌즈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도시된 제1 렌즈의 배광곡선을 나타낸다.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lens constituting an illumin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distribution curve of the first lens shown in FIG. .

또한,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제2 렌즈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에 도시된 제2 렌즈의 배광곡선을 나타낸다.6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lens constituting an illumin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lens shown in Fig. 6 Light distribution curve.

상기 렌즈 어레이(130)는 제1 배광곡선을 갖는 복수 개의 제1 렌즈(141)가 마련된 하나 이상의 제1 렌즈유닛(140) 및 제1 배광곡선과 다른 제2 배광곡선을 갖는 복수 개의 제2 렌즈(151)가 마련된 하나 이상의 제2 렌즈유닛(150, 도 7 참조)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 어레이(130)는 서로 다른 배광곡선을 갖는 복수 개의 렌즈유닛(140, 1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lens array 130 includes at least one first lens unit 140 having a plurality of first lenses 141 having a first light distribution curve and a plurality of second lenses 141 having a second light distribution curve different from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curve, (Refer to FIG. 7)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cond lens unit 151 (see FIG. 7). Specifically, the lens array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 units 140 and 150 having different light distribution curves.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유닛(140)이 제1 LED어레이(120-1)을 둘러싸도록 상기 기판(110)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렌즈유닛(150)이 제2 LED어레이(120-2)을 둘러싸도록 상기 기판(11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렌즈유닛(140)과 상기 제2 렌즈유닛(150)은 서로 다른 LED어레이를 각각 둘러싸도록 상기 기판(110)에 장착된다.For example, the first lens unit 140 is mounted on the substrate 110 so as to surround the first LED array 120-1, and the second lens unit 150 is mounted on the second LED array 120- 2 to surround the substrate 110. Specifically, the first lens unit 140 and the second lens unit 150 are mounted on the substrate 110 so as to surround different LED arrays, respectively.

이러한 경우, 제1 LED어레이(120-1)에서 조사된 빛의 배광곡선(또는 배광특성)은 제2 LED어레이(120-2)에서 조사된 빛의 배광곡선과 달라진다. 상기 렌즈 어레이(130)가 서로 다른 배광곡선을 갖는 복수 개의 렌즈유닛(140, 150)을 포함하는 경우, 분할된 조명공간의 배광특성이 개별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ght distribution curve (or 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ED array 120-1 is different from the light distribution curv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ED array 120-2. When the lens array 130 includes a plurality of lens units 140 and 150 having different light distribution curves, 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divided illumination spaces may be individually varied.

상기 렌즈 어레이(130)의 배광특성(또는 배광곡선)은, 제1 및 제2 렌즈 유닛(140, 150)의 개수와 제1 및 제2 렌즈 유닛(140, 150)의 배열순서 및 제1 또는 제2 렌즈 유닛(140, 150)이 LED 어레이(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다.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r the light distribution curve) of the lens array 130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140 and 150,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140 and 150, The second lens unit 140, 150 may be vari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ngles rotated about the center of the LED array 120. [

예를 들어, 상기 렌즈 어레이(130)의 배광특성(또는 배광곡선)은, 제1 및 제2 렌즈 유닛(140, 150)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달라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r the light distribution curve) of the lens array 130 may be vari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140 and 150.

또한, 상기 렌즈 어레이(130)의 배광특성(또는 배광곡선)은, 제1 및 제2 렌즈 유닛(140, 150)의 배열순서를 조절함으로써 달라질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제1 및 제2 렌즈 유닛(140, 150)의 배열순서는 기판(110)이 길이방향(L)을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r the light distribution curve) of the lens array 130 may be changed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140 and 150. In this document, the order of arranging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140 and 150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substrate 110.

한편, 상기 렌즈 어레이(130)의 배광특성(또는 배광곡선)은, 제1 및 제2 렌즈 유닛(140, 150)의 개수와 제1 및 제2 렌즈 유닛(140, 150)의 배열순서를 조정하기 위하여, 제1 렌즈유닛(140)과 제2 렌즈유닛(150)은 동일한 규격(사이즈 또는 스펙)을 가져야 한다.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r the light distribution curve) of the lens array 130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140 and 150 and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140 and 150 The first lens unit 140 and the second lens unit 150 must have the same size (size or specification).

또한, 동일한 LED 어레이(120)에 선택적으로 제1 렌즈유닛(140) 또는 제2 렌즈유닛(150)을 장착시킬 수 있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단일 LED 어레이(120)에 대하여 제1 렌즈유닛(140)과 제2 렌즈유닛(150)은 호환(또는 교체) 가능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lens unit 140 or the second lens unit 150 must be selectively mountable to the same LED array 120. [ Specifically, the first lens unit 140 and the second lens unit 150 may be provided in a compatible (or replaceable) state with respect to the single LED array 120. [

전술한 바와 같이, 각 LED어레이(120-1 내지 120-4)는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LED(121)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LED arrays 120-1 to 120-4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s 121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때, 제1 렌즈유닛(140)의 복수 개의 제1 렌즈(141)는 LED어레이(120)의 각 LED(12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렌즈유닛(150)의 복수 개의 제2 렌즈(151)는 LED어레이(120)의 각 LED(12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first lenses 141 of the first lens unit 140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LEDs 121 of the LED array 120. Similarly, the plurality of second lenses 151 of the second lens unit 150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LEDs 121 of the LED array 120, respectively.

또한, 제1 렌즈유닛(140)의 제1 렌즈(141)의 개수와 제2 렌즈유닛(150)의 제2 렌즈(151)의 개수는 각각 LED어레이(120)의 LED(121)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The number of the first lenses 141 of the first lens unit 140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lenses 151 of the second lens unit 150 are set to be equal to the number of the LEDs 121 of the LED array 120 Can be the same.

예를 들어, LED 어레이가 4개의 LED가 2행 2열로 배치된 경우, 제1 렌즈유닛(140)의 복수 개의 제1 렌즈(141)는 4개로 마련되고, 2행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렌즈유닛(150)의 복수 개의 제2 렌즈(151)는 4개로 마련되고, 2행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LED array is arranged in two rows and two columns of four LEDs, the plurality of first lenses 141 of the first lens unit 140 are provided in four and can be arranged in two rows and two columns. Similarly, the plurality of second lenses 151 of the second lens unit 150 are provided in four, and may be arranged in two rows and two columns.

한편, 상기 제1 렌즈유닛(140)과 상기 제2 렌즈유닛(150)은 중앙부에 제1 및 제2 체결홀(142, 152)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제1 렌즈(141)는 제1 체결홀(142)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제2 렌즈(151, 도 7 참조)는 제2 체결홀(152)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lens unit 140 and the second lens unit 150 may hav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142 and 152 at the center,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first lenses 141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first fastening hole 142, respectively. Similarly, a plurality of second lenses 151 (see FIG. 7)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second fastening hole 152, respectively.

또한, 제1 체결홀(142)과 제1 렌즈(141) 사이의 거리 및 제2 체결홀(152)과 제2 렌즈(151) 사이의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제1 렌즈(141)들의 사이각도와 인접하는 2개의 제2 렌즈(151)들의 사이각도는 동일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astening hole 142 and the first lens 14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astening hole 152 and the second lens 151 may be the same. The angle between the adjacent two first lenses 141 and the angle between two adjacent second lenses 151 may be the same.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단일 LED 어레이(120)에 대하여 제1 렌즈유닛(140)과 제2 렌즈유닛(150)은 호환(또는 교체) 가능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structure, the first lens unit 140 and the second lens unit 150 can be compatible (or replaceable) with respect to the single LED array 120.

상기 기판(110)에는 제1 렌즈유닛(140) 또는 제2 렌즈유닛(150)을 장착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장착홀(111)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장착홀(111)은 상기 기판(110)의 길이방향(L)을 따라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substrate 1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111 for mounting the first lens unit 140 or the second lens unit 150.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111 may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substrate 110.

또한, 상기 조명장치(1)는 상기 상기 기판(110)과 제1 렌즈유닛(140)을 장착시키거나, 상기 기판(110)과 제2 렌즈유닛(150)을 장착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제2 체결부재(예를 들어,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lluminat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members for mounting the substrate 110 and the first lens unit 140 or for mounting the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lens unit 150, Member (e. G., A screw).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제1 렌즈유닛(140)의 제1 체결홀(142)을 통과하여 상기 기판(110)의 장착홀(111)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제1 렌즈유닛(140)의 제1 체결홀(142)과 상기 기판(110)의 장착홀(111)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히트싱크(200)에 체결될 수도 있다.The second fastening member may be fastened to the mounting hole 111 of the substrate 110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142 of the first lens unit 140. The second fastening member passes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142 of the first lens unit 140 and the mounting hole 111 of the substrate 110 in order to be fastened to the heat sink 200 It is possible.

또한,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제2 렌즈유닛(150)의 제2 체결홀(152)을 통과하여 상기 기판(110)의 장착홀(111)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제2 렌즈유닛(150)의 제2 체결홀(152)과 상기 기판(110)의 장착홀(111)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히트싱크(200)에 체결될 수도 있다.The second fastening member may be fastened to the mounting hole 111 of the substrate 110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152 of the second lens unit 150. The second fastening member passes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152 of the second lens unit 150 and the mounting hole 111 of the substrate 110 in order to be fastened to the heat sink 200 It is possible.

한편, 상기 장착홀(111)은 LED 어레이의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즉, LED어레이(12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LED(121)는 상기 장착홀(111)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unting hole 111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LED array. That is, a plurality of LEDs 121 constituting the LED array 120 may b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mounting hole 111.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 어레이(130)의 배광특성(또는 배광곡선)은, 제1 또는 제2 렌즈 유닛(140, 150)이 LED 어레이(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r the light distribution curve) of the lens array 130 is set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angles of rotation of the first or second lens unit 140, 150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LED array 120 . ≪ / RTI >

상기 제1 렌즈유닛(140)은 상기 제1 체결홀(142)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로 기판(11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렌즈유닛(140)이 2행 2열로 배치된 4개의 제1 렌즈(141)을 포함하는 경우, 제1 렌즈유닛(140)의 회전각도에 따라 4가지의 배광특성(배광곡선)을 갖게 된다.The first lens unit 140 may be mounted on the substrate 110 while being rotated around the first fastening hole 142 by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when the first lens unit 140 includes four first lenses 141 arranged in two rows and two columns, four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light distribution Curve).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렌즈유닛(140)이 상기 제1 체결홀(142)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렌즈유닛(140)의 복수 개의 제1 렌즈(141)는 LED 어레이(120)의 각 LED(121)를 각각 둘러싸는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lenses 141 of the first lens unit 140 are coupled to the LED array 140 through the first coupling holes 142. [ The LEDs 121 of the LEDs 120 may be rotated.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렌즈유닛(150)이 상기 제2 체결홀(152)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렌즈유닛(150)의 복수 개의 제1 렌즈(151)는 LED 어레이(120)의 각 LED(121)를 각각 둘러싸는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Similarly, as the second lens unit 150 is rotated around the second fastening hole 152 by a predetermined angle, a plurality of first lenses 151 of the second lens unit 150 are rotated by the LED array 120 And the LEDs 121 of the LEDs 121, respectively.

정리하면, 제1 렌즈유닛(140) 또는 제2 렌즈유닛(150)은 단일 LED 어레이(120)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교체 또는 호환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LED 어레이(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사로 다른 각도로 각각 회전된 상태의 복수 개의 제1 렌즈유닛(140)은 단일 LED어레이(120)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교체 또는 호환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LED 어레이(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사로 다른 각도로 각각 회전된 상태의 복수 개의 제2 렌즈유닛(150)은 단일 LED어레이(120)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교체 또는 호환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In summary, either the first lens unit 140 or the second lens unit 150 may be selectively replaceable or compatible with respect to the single LED array 120.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rst lens units 140, which are respectively rotated at different angl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ED array 120, may be selectively replaceable or compatible with the single LED array 120. Likewise, the plurality of second lens units 150, each rotated at different angles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LED array 120, may be selectively replaceable or compatible with the single LED array 120.

도 7은 렌즈 어레이의 다양한 실시태양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lens array.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렌즈유닛(140)은 복수 개의 제1 렌즈(141)가 제1 체결홀(142)을 중심으로 기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칭되고, 기판(100)의 폭 방향을 따라 대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5 and 7, the first lens unit 140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first lenses 141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110 about the first coupling hole 142, 100 in the width direction.

이와는 다르게,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렌즈유닛(150)은 복수 개의 제2 렌즈(151)가 제2 체결홀(152)을 중심으로 기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칭되고, 기판(110)의 폭 방향을 따라 대칭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6 and 7, the second lens unit 15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lurality of second lenses 151 are symmetrical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110 about the second fastening hole 152 And may be provided not to be symmetrical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bstrate 110.

물론, 상기 제1 렌즈(141)와 제2 렌즈(151)는 서로 다른 배광곡선을 갖는다.Of course, the first lens 141 and the second lens 151 have different light distribution curves.

도 5를 기준으로, 제1 렌즈(141)는 좌/우 대칭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141)는 상/하 대칭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렌즈(141)의 좌/우측 방향을 차도의 차량 진행방향과 일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5, the first lens 141 may have a left / right symmetrical shape. Further, the first lens 141 may have an upward / downward symmetrical shape. At this time, the left / right direction of the first lens 141 can be used in coincidence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도 6을 기준으로, 제2 렌즈(151)는 좌/우 대칭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151)는 상/하 비대칭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렌즈(151)의 좌/우측 방향을 차도의 차량 진행방향과 일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151)의 상측 방향을 차도(인도의 반대방향) 측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6, the second lens 151 may have a left / right symmetrical shape. Further, the second lens 151 may have an asymmetrical shape in an up / down direction. At this time, the left / right direction of the second lens 151 can be used in coincidence with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adway. Further, the second lens 151 can be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ide thereof is directed to the side (opposite direction of the delivery).

한편,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장치(1)는 히트싱크(200)와 상기 히트싱크(200)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발광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7, the lighting apparatus 1 may include a heat sink 200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mounted on the heat sink 200. [

도 1을 참조하면, 프론트 하우징(10)에서 리어 하우징(20)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4 발광유닛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1)는 각 발광유닛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렌즈 어레이(130-1 내지 130-4)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발광유닛의 개수와 렌즈 어레이의 개수는 조명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증감이 가능하다. 또한, 각 발광유닛의 구조 및 렌즈 어레이의 구조는 도 4를 통해 설명한 그것들과 동일하다. 또한, 각 발광유닛은 조명공간의 분할된 서로 다른 영역의 배광을 담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first to fourth light emitting units may be disposed in order from the front housing 10 toward the rear housing 20. In addition, the illumination device 1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 arrays 130-1 to 130-4 surrounding each light emitting unit. Of course, the number of light emitting units and the number of lens arrays can be variously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environment. The structure of each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tructure of the lens array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urther, each light-emitting unit can take charge of light distribution in different divided areas of the illumination space.

일 실시태양으로, 제1 발광유닛은 상기 히트싱크(200)에 장착되는 제1 기판(110-1) 및 상기 제1 기판(110-1)에 실장된 복수 개의 LED 어레이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발광유닛은 상기 히트싱크(200)에 장착되는 제2 기판(110-2) 및 상기 제2 기판(110-2)에 실장된 복수 개의 LED 어레이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includes a first substrate 110-1 mounted on the heat sink 200 and a plurality of LED arrays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10-1. Similarly,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includes a second substrate 110-2 mounted on the heat sink 200 and a plurality of LED arrays mounted on the second substrate 110-2.

이때, 상기 조명장치(1)는 상기 제1 발광유닛에 장착되는 제1 렌즈 어레이(130-1)와 상기 제2 발광유닛에 장착되는 제2 렌즈 어레이 (103-2)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illumination device 1 includes a first lens array 130-1 mounted on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and a second lens array 103-2 mounted on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한편, 상기 전원유닛(300)은 각각의 발광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전원유닛(300)은 제1 및 제2 발광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300 supplies power to the respective light emitting units. In one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300 supplies power to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units.

이를 위하여, 상기 조명장치(1)는 상기 제1 발광유닛 및 제2 발광유닛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161)가 각각 마련된 사이드 기판(16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161)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한 것일 뿐,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될 수 있고, 단순히 커넥터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161)의 개수는 발광유닛의 개수와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illumination device 1 further includes a side substrate 160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16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respectively .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161 are merely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y have the same structure, they can b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can be simply referred to as a connector.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connectors 161 may be determined to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light emitting units.

상기 사이드 기판(160)과 각 발광유닛의 기판들(110-1 내지 110-4)은 상기 히트싱크(200)의 동일한 면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드 기판(160)과 각 발광유닛의 기판들(110-1 내지 110-4)은 상기 히트싱크(200)의 제1 면(210)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The side substrate 160 and the substrates 110-1 to 110-4 of the respective light emitting units may be mounted on the same surface of the heat sink 200. [ Specifically, the side substrate 16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substrates 110-1 to 110-4 may be mounted on the first surface 210 of the heat sink 200,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렌즈 어레이(130-1, 103-2)는 각각, 제1 배광곡선을 갖는 복수 개의 제1 렌즈(141)가 마련된 제1 렌즈유닛(140) 및 제1 배광곡선과 다른 제2 배광곡선을 갖는 제2 렌즈(151)를 마련된 제2 렌즈유닛(1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arrays 130-1 and 103-2 includes a first lens unit 14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lenses 141 having a first light distribution curve, And a second lens unit 150 provided with a second lens 151 having a second light distribution curv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curve.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렌즈 어레이(130-1)의 배광특성은, 제1 및 제2 렌즈 유닛(140, 150)의 개수와 제1 및 제2 렌즈 유닛(140, 150)의 배열순서 및 제1 또는 제2 렌즈 유닛(140, 150)이 LED 어레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the first lens array 130-1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140 and 150 and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140 and 150 And the angle at which the first or second lens unit 140, 150 is rotated about the center of the LED array.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렌즈 어레이(130-2)의 배광특성은, 제1 및 제2 렌즈 유닛(140, 150)의 개수와 제1 및 제2 렌즈 유닛(140, 150)의 배열순서 및 제1 또는 제2 렌즈 유닛(140, 150)이 LED 어레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다.Similarly, 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lens array 130-2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140 and 150,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140 and 150, Or the angle at which the second lens unit 140, 150 is rotated about the center of the LED array.

한편, 상기 제1 렌즈 어레이(130-1)는 상기 제1 렌즈유닛(14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 어레이(130-2)는 하나 이상의 제1 렌즈유닛(140) 및 하나 이상의 제2 렌즈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ens array 130-1 includes the first lens unit 140 and the second lens array 130-2 includes one or more first lens units 140 and one or more second lens arrays 130-1, And may include a lens unit 150.

구체적으로 ,어느 한 렌즈 어레이는 제1 렌즈유닛(140)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도 7의 (c) 참조), 제2 렌즈유닛(15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도 7의 (a) 참조).Specifically, one lens array may include only the first lens unit 140 (see Fig. 7 (c)) and only the second lens unit 150 (refer to Fig. 7 (a) ).

또한, 어느 한 렌즈 어레이는 하나 이상의 제1 렌즈유닛(140) 및 하나 이상의 제2 렌즈유닛(150)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도 7의 (b) 참조).In addition, any one of the lens arrays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lens unit 140 and at least one second lens unit 150 (see Fig. 7 (b)).

도 7의 (a) 및 도 7의 (c)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 어레이는, 동일 배광곡선을 갖는 복수 개의 렌즈가 마련되고, 각 LED어레이를 개별적으로 둘러싸기 위한 복수 개의 렌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7 (a) and 7 (c), the lens array includes a plurality of lenses having the same light distribution curve, and a plurality of lens units for individually surrounding each LED array .

이때, 적어도 2개 이상의 렌즈 유닛은 해당 LED 어레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 각도가 서로 다르게 장착될 수 있다.At least two or more lens units may be mounted at different angl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rresponding LED array.

도 7의 (a)를 참조하면, 어느 한 렌즈 어레이는 복수 개의 제2 렌즈유닛(150)만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one lens array may include only a plurality of second lens units 150.

도 7의 (c)를 참조하면, 어느 한 렌즈 어레이는 복수 개의 제1 렌즈유닛(14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렌즈 유닛(140, 140')은 해당 LED 어레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 각도가 서로 다르게 장착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렌즈유닛(140)만을 사용하여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경우에도, LED 어레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 각도를 달리함으로써 분할된 조명영역에 서로 다른 배광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c), one lens array may include only a plurality of first lens units 140. At least two or more first lens units 140 and 140 'may be mounted at different angl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rresponding LED array. In summary, even when the lens array is constructed using only the first lens unit 140, different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can be realized in the divided illumination regions by varying the angle of rotation based on the center of the LED array.

도 7의 (d)를 참조하면, 어느 한 렌즈 어레이는 복수 개의 제2 렌즈유닛(15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2개 이상의 제2 렌즈 유닛(150-1 내지 150-4)은 해당 LED 어레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 각도가 서로 다르게 장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d), one lens array may include only a plurality of second lens units 150. At least two or more second lens units 150-1 to 150-4 may be mounted at different angl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rresponding LED array.

4개의 제2 렌즈유닛(150)이 시계방향(CW)을 따라 90˚씩 회전된 상태로 각각 기판(110)에 장착될 수 있다.Four second lens units 150 may be mounted on the substrate 110 while being rotated by 90 degrees along the clockwise direction CW.

한편, 도 7의 (b)를 참조하면, 렌즈 어레이의 배광특성은 제1 및 제2 렌즈 유닛(140, 150)의 개수와 제1 및 제2 렌즈 유닛(140, 150)의 배열순서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다. 즉, 분할된 조명영역에 서로 다른 배광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7 (b), 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lens array ar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140 and 150 and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140 and 150 . That is, different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can be realized in the divided illumination region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히트싱크(200)의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 sink 200 constituting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장치(1)는 히트싱크(200)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유닛(100)은 상기 히트싱크(200)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8, the lighting apparatus 1 includes a heat sink 200. The light emitting unit 100 is disposed in the heat sink 200.

상기 히트싱크(200)는 발광유닛(100)이 배치되는 제1 면(210) 및 상기 제1 면(210)과 반대방향의 제2 면(220)을 갖는다. 또한, 상기 히트싱크(200)는 상기 제1 면(210)과 제2 면(220) 사이에 소정 체적을 갖도록 형성된 공간부(240)를 갖는다.The heat sink 200 has a first surface 210 on which the light emitting unit 100 is disposed and a second surface 220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210. The heat sink 200 has a space 240 formed between the first surface 210 and the second surface 220 to have a predetermined volume.

여기서 상기 제1 면(210)은 제1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면(220)은 제2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일체로 상기 히트싱크(200)를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first surface 210 may be a first member, and the second surface 220 may be a second member. In additio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ay integrally form the heat sink 200.

또한, 상기 제2 면(220)에는 상기 공간부(240)의 일부 영역을 개방시키기 위한 유동홀(23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동홀(230)은 유동 슬릿(slit)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The second surface 220 may be provided with a flow hole 230 for opening a part of the space 240. The flow holes 230 may be referred to as floating slits.

상기 히트싱크(200)는 상기 히트싱크(200)의 중심축에 대하여 좌우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heat sink 200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heat sink 200.

도 8을 참조하면, x축은 히트싱크(200)의 폭 방향(W)을 나타내고, z축은 히트싱크(200)의 높이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히트싱크(200)의 중심축은 상기 z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따라서, 상기 히트싱크(200)는 상기 히트싱크(200)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8, the x-axis represents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heat sink 200, and the z-axis represent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eat sink 200. As shown in Fig. The central axis of the heat sink 200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z-axis. Therefore, the heat sink 200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eat sink 200.

이때, 상기 유동홀(230)의 중심과 상기 히트싱크(200)의 중심축은 동일 축 상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히트싱크(200)는 상기 유동홀(230)을 기준으로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nter of the flow hole 230 and the central axis of the heat sink 200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axis,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heat sink 200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flow hole 230.

한편, 상기 제2 면(220)에는 상기 히트싱크(2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복수 개의 곡면부(221, 222)가 마련된다. 이때, 복수 개의 곡면부(221, 222)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경우, 제2 면(220)을 따라 유동하는 외부 공기의 유속이 달라질 수 있다. 그 결과, 제2 면(220)을 따라 유동하는 외부 공기의 대류 열교환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The second surface 2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urved surfaces 221 and 222 having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eat sink 200. At this time, when the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221 and 222 have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the flow rates of the external air flowing along the second surface 220 can be changed. As a result, the convective heat ex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outside air flowing along the second surface 220 can be changed.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면(220)에는, 상기 제1 면(210)에서 상기 유동홀(230)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곡면부(221)와 제2 곡면부(222)가 차례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면(220)은 제1 곡면부(221)와 제2 곡면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urved surface 221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221 have curvatures different from each other along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210 toward the flow hole 230, 222 may be provided in order. That is, the second surface 220 may include a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221 and a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222.

여기서, 상기 제1 곡면부(221)의 곡률반경은 제2 곡면부(222)의 곡률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urvature radius of the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221 may be smaller than the curvature radius of the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222.

또한, 상기 제1 곡면부(221)의 곡률 중심과 상기 제2 곡면부(222)의 곡률 중심은 상기 제2 면(220)을 기준으로 구획되는 서로 다른 영역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The center of curvature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21 and the curvature center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222 may be located in different regions defined by the second surface 220.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제1 곡면부(221)는 z축 방향을 따라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곡면부(222)는 z축 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곡면부(221)와 상기 제2 곡면부(222)의 경계부에는 변곡점(P)이 마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221 may have a convex shape along the z-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222 may have a concave shape along the z-axis direction. The inflection point P may be provided at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221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222.

또한, 상기 제1 곡면부(221)의 호 길이는 제2 곡면부(222)의 호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The arc length of the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221 may be shorter than the arc length of the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222.

또한, 상기 제2 곡면부(222)와 유동홀(230) 사이에는, 평면부(22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평면부(223)는 제1 면(210)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A planar portion 22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curved portion 222 and the flow hole 230. At this time, the plane portion 223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surface 210.

또한, 상기 제1 면(210)과 상기 제1 곡면부(221) 사이에는, 상기 제1 면(210)과 직교하도록 연장된 수직부(225)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225)는 제1 곡면부(221)와 제1 면(210)의 경계부로부터 연장된다.A vertical portion 225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surface 210 and the first curved surface 221 so as to exte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210. The vertical portion 225 extends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curved portion 221 and the first surface 210.

이때, 수직부(225)와 상기 제1 면(210)은 발광유닛(100)의 장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직부(225)는 전술한 투명 커버(40)와 전면 브라켓(50)의 장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rtical part 225 and the first surface 210 may form a mounting space for the light emitting unit 100. In particular, the vertical part 225 may form a space for mounting the transparent cover 40 and the front bracket 50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수직부(225)의 자유단부는 상기 제1 면(210) 측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ree end of the vertical part 225 may be bent toward the first surface 210 side.

한편, 제1 곡면부(221)는 제1 면(210)으로부터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1 곡면부(221)는 제1 면(210)으로부터 직접 연장된다. 또한, 변곡점(P)은 히트싱크(2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발광유닛(100)과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221 extends from the first surface 210. Specifically, the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221 extends directly from the first surface 210. In addition, the inflection point P may be locat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light emitting unit 100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eat sink 200 '.

한편, 상기 제1 면(210)의 양 측부에는 상기 공간부(240)와 연통되는 유동 슬릿이 형성될 수도 있다.On both sides of the first surface 210, a floating slit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240 may be formed.

또한, 상기 공간부(240)에는 소정 높이를 가는 복수 개의 방열핀(250)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방열핀(250)은 소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열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adiating fins 25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may be provided in the space 240. The plurality of heat-radiating fins 25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때, 복수 개의 방열핀(250, 25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핀(251)에는 전술한 리어 하우징(20)과 결합되기 위한 장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장착부를 갖는 방열핀(251)은 자유 단부가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상기 장착부는 자유 단부가 구부러짐으로써 소정의 장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radiating fin 251 of the plurality of radiating fins 250 and 251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aforementioned rear housing 20. In one embodiment, the radiating fin 251 with the mounting portion can be bent at its free end. That is, the mounting portion can bend the free end to form a predetermined mounting space.

또한, 상기 조명장치(1)는 상기 프론트 하우징(10)과 상기 히트싱크(200)를 결속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S, 도 3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S)는 상기 프론트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상기 방열핀(251)의 장착부에 체결될 수 있다.The lighting apparatus 1 may include at least one fastening member S (see FIG. 3) for fastening the front housing 10 and the heat sink 200 together. The fastening member S may be fastened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radiating fin 251 through the front housing 10. [

한편, 발광유닛(100)이 작동하는 경우, 상기 공간부(240)의 공기가 상기 유동홀(230)을 통해 외부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홀(230)을 통하여 상기 공간부(240)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1차 유동(상승 유동)이라 지칭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100 operates, the air in the space 240 can flow to the outside through the flow hole 230. At this time, the outflow of the air in the space 240 through the flow hole 230 can be referred to as a primary flow (upward flow).

또한, 외부 공기는 상기 제2 면(220)을 따라 상기 유동홀(23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외부 공기가 상기 제2 면(220)을 따라 흐르는 것을 2차 유동이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유동은 1차 유동에 의하여 발생 또는 가속화될 수 있다.In addition, external air may flow toward the flow hole 230 along the second surface 220. At this time, the flow of the external air along the second surface 220 can be referred to as a secondary flow. Further, the secondary flow can be generated or accelerated by the primary flow.

또한, 상기 외부 공기는 제1 곡면부(22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속이 증가하고, 상기 제2 곡면부(2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속이 감소할 수 있다. 특히, 제1 곡면부(22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가 나타난다.Also, the flow rate of the external air may increase during the passage through the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221, and the flow rate may decrease during the passage through the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222. Particularly, a coanda effect appears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first curved portion 221.

코안다 효과라 함은 흐르는 유체에 구부러진 물체를 높으면 상기 유체도 따라 휘면서 유동하는 현상을 나타낸다.The Coanda effect indicates a phenomenon in which the fluid flows while flowing along the fluid if the fluid is bent at a higher level.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유닛(100)이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면과 상기 공간부(24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고온부와 저온부의 온도 차이로 인한 1차 유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1차 유동에 의하여 전술한 2차 유동이 발생 또는 가속화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100 operate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pace 240 increases. At this time, the primary flow is caus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high temperature part and the low temperature part. Also, the secondary flow described above can be generated or accelerated by the primary flow.

또한, 상기 1차 유동은 상기 2차 유동의 구동원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 유동 및 2차 유동에 의하여 발광유닛(110)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발산될 수 있다. Also, the primary flow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driving source of the secondary flow. Thus, the heat generated in the light emitting unit 110 can be easily diverted to the outside by the primary flow and the secondary flow.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외부 공기는 히트싱크(200)의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복수 개의 곡면부를 통과하고, 외부 공기의 유속은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With such a structure, the outside air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having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of the heat sink 200, and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can be continuously changed.

구체적으로, 상기 히트싱크(200)는 특정 구간에서 외부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거나 유속이 감소됨에 따라 외부 공기의 대류 열교환 특성을 연속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heat sink 200 can continuously change the convective heat ex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outside air as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increases or the flow velocity decreases in a specific section.

또한,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를 통해 히트싱크(200)의 방열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lso, the heat radiation characteristic of the heat sink 200 can be improved through the Coanda effect.

1: 조명장치 10: 프론트 하우징
20: 리어 하우징 100: 발광유닛
110: 기판 120: LED 어레이
130: 렌즈 어레이 140: 제1 렌즈유닛
150: 제2 렌즈유닛 160: 사이드 기판
200: 히트싱크 300: 전원유닛
1: Lighting device 10: Front housing
20: rear housing 100: light emitting unit
110: substrate 120: LED array
130: lens array 140: first lens unit
150: second lens unit 160: side substrate
200: heat sink 300: power supply unit

Claims (13)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된 복수 개의 LED 어레이를 포함하는 발광유닛;
상기 발광유닛에 장착되는 렌즈 어레이; 및
상기 발광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어레이는 제1 배광곡선을 갖는 복수 개의 제1 렌즈가 마련된 하나 이상의 제1 렌즈유닛 및 제1 배광곡선과 다른 제2 배광곡선을 갖는 복수 개의 제2 렌즈가 마련된 하나 이상의 제2 렌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유닛과 상기 제2 렌즈유닛은 서로 다른 LED어레이를 각각 둘러싸고,
각 LED어레이는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LED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유닛과 상기 제2 렌즈유닛은 중앙부에 제1 및 제2 체결홀이 각각 마련되고,
복수 개의 제1 렌즈는 LED어레이의 각 LED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1 체결홀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마련되며,
복수 개의 제2 렌즈는 LED어레이의 각 LED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2 체결홀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A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LED arrays mounted on the substrate;
A lens array mounted o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And a power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Wherein the lens array includes at least one first lens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lenses having a first light distribution curve and at least one second lens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lenses having a second light distribution curve different from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curve Including,
Wherein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surround different LED arrays, respectively,
Each LED array includes a plurality of LEDs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respectively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The plurality of first lenses ar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first fastening hole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LEDs of the LED array,
And the plurality of second lenses ar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second fastening hole so as to correspond to positions of the LEDs of the LED arr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배광특성은 제1 및 제2 렌즈 유닛의 개수와 제1 및 제2 렌즈 유닛의 배열순서 및 제1 또는 제2 렌즈 유닛이 LED 어레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lens array include at least one of a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an arrangement order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and an angle of rotation of the first or second lens uni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ED array Of the illumination devi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렌즈유닛의 제1 렌즈의 개수와 제2 렌즈유닛의 제2 렌즈의 개수는 각각 LED어레이의 LED의 개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umber of the first lenses of the first lens unit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lenses of the second lens unit are equal to the number of LEDs of the LED array, respectively.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체결홀과 제1 렌즈 사이의 거리 및 제2 체결홀과 제2 렌즈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고,
인접하는 2개의 제1 렌즈들의 사이각도와 인접하는 2개의 제2 렌즈들의 사이각도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first len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lens are the same,
Wherein an angle between the two adjacent first lenses and an angle between two adjacent second lenses are the s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유닛이 상기 제1 체결홀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렌즈유닛의 복수 개의 제1 렌즈는 LED 어레이의 각 LED를 각각 둘러싸는 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first lenses of the first lens unit are rotated to surround the respective LEDs of the LED array as the first lens unit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first fastening hol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렌즈유닛은 복수 개의 제1 렌즈가 제1 체결홀을 중심으로 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칭되고, 기판의 폭 방향을 따라 대칭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lens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first lenses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around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are symmetrical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bstrate.
제 1 항에 있어서,
제2 렌즈유닛은 복수 개의 제2 렌즈가 제2 체결홀을 중심으로 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칭되고, 기판의 폭 방향을 따라 대칭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lens unit is provided such that the plurality of second lenses are symmetrical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about the second fastening hole and are not symmetrical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bstrate.
히트싱크;
상기 히트싱크에 장착되는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에 실장된 복수 개의 LED 어레이를 포함하는 제1 발광유닛;
상기 제1 발광유닛에 장착되는 제1 렌즈 어레이;
상기 히트싱크에 장착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에 실장된 복수 개의 LED 어레이를 포함하는 제2 발광유닛;
상기 제2 발광유닛에 장착되는 제2 렌즈 어레이; 및
상기 제1 및 제2 발광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렌즈 어레이는 각각, 제1 배광곡선을 갖는 복수 개의 제1 렌즈가 마련된 제1 렌즈유닛 및 제1 배광곡선과 다른 제2 배광곡선을 갖는 제2 렌즈를 마련된 제2 렌즈유닛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렌즈 어레이의 배광특성은 각각, 제1 및 제2 렌즈 유닛의 개수와 제1 및 제2 렌즈 유닛의 배열순서 및 제1 또는 제2 렌즈 유닛이 LED 어레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달라지며,
각 LED어레이는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LED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유닛과 상기 제2 렌즈유닛은 중앙부에 제1 및 제2 체결홀이 각각 마련되고,
복수 개의 제1 렌즈는 LED어레이의 각 LED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1 체결홀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마련되며,
복수 개의 제2 렌즈는 LED어레이의 각 LED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2 체결홀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Heat sink;
A first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 first substrate mounted on the heat sink and a plurality of LED arrays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A first lens array mounted on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 second substrate mounted on the heat sink and a plurality of LED arrays mounted on the second substrate;
A second lens array mounted on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And
And a power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units,
The first lens array and the second lens array each include a first lens unit having a plurality of first lenses having a first light distribution curve and a second lens unit having a second lens having a second light distribution curve different from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curve, At least one of < RTI ID = 0.0 >
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arrays are set such that the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and the order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units, The angle of rotation is chang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ngles,
Each LED array includes a plurality of LEDs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respectively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The plurality of first lenses ar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first fastening hole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LEDs of the LED array,
And the plurality of second lenses ar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second fastening hole so as to correspond to positions of the LEDs of the LED arra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유닛 및 제2 발광유닛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가 각각 마련된 사이드 기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side substrate having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respective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어레이는 상기 제1 렌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 어레이는 하나 이상의 제1 렌즈유닛 및 하나 이상의 제2 렌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lens array includes the first lens unit,
Wherein the second lens array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lens unit and at least one second lens unit.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된 복수 개의 LED 어레이를 포함하는 발광유닛;
상기 발광유닛에 장착되는 렌즈 어레이; 및
상기 발광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어레이는, 동일 배광곡선을 갖는 복수 개의 렌즈가 마련되고, 각 LED어레이를 개별적으로 둘러싸기 위한 복수 개의 렌즈 유닛을 포함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렌즈 유닛은 해당 LED 어레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 각도가 서로 다르게 장착되고,
각 LED어레이는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LED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렌즈유닛은 중앙부에 체결홀이 각각 마련되고,
복수 개의 렌즈는 LED어레이의 각 LED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체결홀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A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LED arrays mounted on the substrate;
A lens array mounted o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And a power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Wherein the lens array includes a plurality of lenses each having the same light distribution curve and each of which surrounds each LED array individually,
At least two or more lens units are mounted at different angl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ED array,
Each LED array includes a plurality of LEDs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lens units are each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the plurality of lenses ar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fastening hole so as to correspond to positions of the LEDs of the LED array.
KR1020140015356A 2014-02-11 2014-02-11 Lighting apparatus KR1014762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356A KR101476214B1 (en) 2014-02-11 2014-02-11 Ligh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356A KR101476214B1 (en) 2014-02-11 2014-02-11 Ligh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214B1 true KR101476214B1 (en) 2014-12-24

Family

ID=52679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356A KR101476214B1 (en) 2014-02-11 2014-02-11 Ligh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2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999B1 (en) * 2016-03-07 2016-07-04 박성식 LED work lam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061B1 (en) * 2007-02-07 2008-03-06 주식회사 다원전기에너지사업부 Illuminator using high output led with high brightness
KR20110063425A (en) * 2008-06-13 2011-06-10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Orientable lens for a led fixture
JP2013157258A (en) * 2012-01-31 2013-08-15 Canon Inc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1324732B1 (en) * 2012-04-17 2013-11-05 김철암 A search light for long distance foc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061B1 (en) * 2007-02-07 2008-03-06 주식회사 다원전기에너지사업부 Illuminator using high output led with high brightness
KR20110063425A (en) * 2008-06-13 2011-06-10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Orientable lens for a led fixture
JP2013157258A (en) * 2012-01-31 2013-08-15 Canon Inc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1324732B1 (en) * 2012-04-17 2013-11-05 김철암 A search light for long distance foc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999B1 (en) * 2016-03-07 2016-07-04 박성식 LED work lam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8314B2 (en) Lighting apparatus using light emitting diodes
US8858028B2 (en) LED lighting apparatus
US9353927B2 (en) Lighting apparatus
KR101123077B1 (en) LED Lighting Apparatus Having Block Assembly Structure
US8540397B2 (en) Lighting apparatus using light emitting diode
EP2711616B1 (en) Led lighting apparatus having an adjustable light distribution
US8545065B2 (en) Lighting apparatus
WO2016058286A1 (en) Omnidirectional light emission led lamp
US8476813B2 (en) Lamp device
EP2644978B1 (en) Led lighting apparatus
JP2016058330A (en) Lighting apparatus
KR101118965B1 (en) Led lighting fixture that contain a complex lens system
KR101476214B1 (en) Lighting apparatus
CN103383078A (en) LED lamp
KR100576682B1 (en) Floodlight
JP2015079744A (en) Lamp
KR101714441B1 (en) Lighting apparatus
KR101419125B1 (en) Lighting lamp with flat reflector at both of both surface radiation type LED module
KR101219020B1 (en) Led fluorescent lamp with cylindrical lens
US9523492B2 (en) Lighting apparatus
KR20180111128A (en) Tube type led lamp
KR101714440B1 (en) Lighting apparatus
WO2016088123A1 (en) Led illumination device
KR101766358B1 (en) A Semiconductor Element Type of a Lighting Module Having a Structure of a Lighting Regulating Lens and a Radiating Hole
KR20130028313A (en) Ligh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