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887B1 - 지피에스 위치정보가 링크된 영상이미지의 업데이트를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피에스 위치정보가 링크된 영상이미지의 업데이트를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887B1
KR101475887B1 KR20140077106A KR20140077106A KR101475887B1 KR 101475887 B1 KR101475887 B1 KR 101475887B1 KR 20140077106 A KR20140077106 A KR 20140077106A KR 20140077106 A KR20140077106 A KR 20140077106A KR 101475887 B1 KR101475887 B1 KR 101475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oint
module
mobile station
video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7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식
조지현
유연화
Original Assignee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77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4Interpretation of pi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낮은 통신환경에 의한 해당 지역의 잘못된 수치좌표 수집으로 인해서 영상이미지에 링크된 지피에스 위치정보가 부정확해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지피에스 위치정보가 링크된 영상이미지의 업데이트를 위한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영상이미지의 각 지점별로 링크된 지피에스 위치정보와, 일반 RTK 방식과 네트워크 RTK 방식을 모두 활용해서 확인한 해당 지점에 대한 수치좌표를 서로 비교해서 오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한 오차에 따라 영상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보정과 링크 지점을 체크 및 조정하며, 체크한 지점에 대해서는 영상이미지의 자동 검색을 통해서 작업자가 현장에서도 해당 영상이미지를 손쉽게 검색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지피에스 위치정보가 링크된 영상이미지의 업데이트를 위한 영상처리시스템{IMAGE PROCESSING SYSTEM FOR UPDATE THE IMAGE HAVING GPS POSI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낮은 통신환경에 의한 해당 지역의 잘못된 수치좌표 수집으로 인해서 영상이미지에 링크된 지피에스 위치정보가 부정확해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지피에스 위치정보가 링크된 영상이미지의 업데이트를 위한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량이 많은 도심지, 기준국 또는 상시관측소와의 거리가 먼 지점 등과 같이 지피에스 위치정보 등의 수치좌표의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이하 '폐색 지역')에는 인접한 다른 지역의 수치좌표를 참고해서 폐색 지역에 대한 수치좌표를 확인한다.
그런데, 현장에서 직접 확인하는 수치좌표는 수치지도의 배경이 되는 영상이미지에 적용되므로, 부정확한 수치좌표는 곧 부정확한 수치지도 제작에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수치지도를 이용한 실감정사영상 정확도 검사 시스템 및 검사방법(등록번호 10-1130284; 공고일자 2012, 3, 26; 이하 '종래기술')'이 제안되었다.
종래기술은 제작된 실감정사영상에서 실감 처리되지 않은 건물, 또는 처리된 건물이라 할지라도 검수자가 정한 정확도 범위를 벗어나는 건물에 대하여 기존의 수치지도와 비교하여 오류사항을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수치지도의 영상이미지를 감정 및 보정하는 기술일 뿐, 수치좌표에 대한 부정확성을 확인해서 수치좌표 자체를 보정하는 기술이 아니므로, 종래기술 또한 수치지도의 사용자에게 현재 위치에 대한 높은 신뢰도의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130284호(2012.03.26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잘못된 지피에스 위치정보인 수치좌표를 확인해서 이를 수정하고, 수정한 수치좌표를 영상이미지에 적용해서 수치좌표가 링크된 높은 정확도의 영상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게 하는 지피에스 위치정보가 링크된 영상이미지의 업데이트를 위한 영상처리시스템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지점에 설치되고, 3대 이상의 GPS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신호를 수신해서 현위치에 대한 측정수치좌표를 재확인하며, 상기 측정수치좌표를 가상기준점 서버(20)와 이동국(10)으로 각각 발신하는 다수의 상시관측소(10),
다수의 상시관측소(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이동국(10)으로부터 수신한 1차 수치좌표를 확인해서 이동국(10)에 인접한 3대 이상의 상시관측소(10)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시관측소(10)의 측정수치좌표와 해당하는 기지점의 수치좌표를 비교해서 차이를 기반으로 상기 1차 수치좌표에 대한 위치보정값을 연산하며, 상기 위치보정값을 이동국(10)으로 전송하는 가상기준점 서버(20), 및
3대 이상의 GPS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신호를 받아 상기 1차 수치좌표를 확인하고, 상시관측소(10)와 직접 통신하면서 일반 RTK 방식에 의해 3차 수치좌표를 확인하는 GPS모듈(11)과; 가상기준점 서버(20)와의 통신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통신모듈(12)과; 가상기준점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위치보정값에 따라 GPS모듈(11)이 확인한 상기 1차 수치좌표를 2차 수치좌표로 보정하는 수치좌표 보정모듈(13)과;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 저장모듈(14)과;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입출력부(151)의 화면 배치방향을 동서남북을 기준으로 확인해서 방향값을 생성하는 방위관측부(152)와, 방위관측부(152)의 방향값 변화를 확인해서 방향값 변화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시간값을 생성하는 타이머(153)와, 영상이미지 저장모듈(14)에서 검색된 영상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이미지 내에 이동국(10)의 현재 위치를 상기 2차 수치좌표를 기초로 확인해서 제1지점으로 표시하고 타이머(153)로부터 상기 시간값 수신시 상기 방향값의 방향에 따라 영상이미지의 배치방향을 조정하며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출력부를 갖춘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과; 현장에서 특정 지점을 촬영하고, 촬영이미지를 상기 영상이미지에서 이동국(10)의 현재 위치로 표시된 일 지점에 자동으로 링크하는 디지털 방식의 촬영모듈(17)과;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하는 지형이미지에 수정대상 지점을 표시하고, 상기 수정대상 지점의 이미지형태를 편집하는 보완지점 처리모듈(16)과; 상기 영상이미지 내에 이동국(10)의 현재 위치를 상기 3차 수치좌표를 기초로 확인해서 상기 제1지점과 함께 제2지점으로 표시하고, 상기 영상이미지에 함께 표시되는 제1,2지점 간의 차이가 기준치 이상으로 확인되면 재확인지점으로 자동 분류해서 저장하며, 상기 재확인지점 확인을 위한 조작에 따라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을 제어해서 상기 재확인지점으로 분류된 영상이미지를 출력시키는 수치좌표 비교모듈(18)과; 상기 제1지점들이 모두 출력된 제1이동경로를 영상이미지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2지점들이 모두 출력된 제2이동경로를 상기 제1이동경로가 표시된 영상이미지에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이동경로 표시모듈(19);를 구비한 이동국(10)
을 포함하는 지피에스 위치정보가 링크된 영상이미지의 업데이트를 위한 영상처리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폐색 지역에 대한 높은 정확도의 수치좌표를 측정하기 위해서 VRS를 활용한 네트워크 RTK 기술과 일반 RTK 기술로 각각 수치좌표를 확인하고, 확인한 수치좌표를 기존 영상이미지 내에 동시에 표시하고, 두 방식의 수치좌표들 간의 차이를 파악해서 특정 위치에 대한 영상이미지의 불확실성을 추적할 수 있으므로, 특정 방식의 수치좌표에 한정됨 없이 높은 신뢰도의 영상이미지를 수정 및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에 출력되는 영상이미지의 일 예를 보인 이미지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이 출력한 영상이미지에 촬영이미지가 링크된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완지점 처리모듈이 지상이미지를 보정한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은 현장에서 사용자가 영상처리시스템을 이용하는 평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이 출력하는 영상이미지 내 이동국의 위치를 표시한 이미지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VRS(Virtual Reference Station, 가상기준점) 측량에 대해 설명하면, VRS 측위 방식은 멀리 떨어진 상시관측소의 데이터를 활용해서 이동국 근처에 기준점이 있다고 가정할 때의 가상기준점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생성해 내는 기술이다. 기존 DGPS에서 상기 관측소를 갖는 기준국의 거리가 수백 Km 이상이 되면 전리층 등의 영향으로 정확도가 저하된다. 그러나 가상기준점 방식의 DGPS에서는 상기 관측소로부터 멀어지더라도 수치좌표의 정확도가 유지된다.
참고로, 높은 정밀도의 GPS 측량을 하기 위해서는 이미 좌표값을 알고 있는 기준점에 기준국을 설치하고, 이동국은 기준국 및 GPS위성과의 통신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항상 2 대 이상의 GPS 수신기가 필요하다. 그러나, VRS 측위 방식을 활용해서 기존 기준국에 설치된 상시관측소의 관측데이터를 이용하면 기준국에서의 GPS 관측은 불필요해진다. 사용자는 미지점에서만 관측을 하고 상시관측소 관측데이터에서 보정값를 다운로드해 사용하면 1 대의 수신기로도 GPS측량이 가능하다. 또한 여러 대의 기준국을 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향상되어 더욱 능률적이다.
전술한 VRS를 활용한 네트워크 RTK 방식의 수치좌표 확인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은 VRS를 기반으로 수치좌표를 확인해서 영상이미지에 링크된 수치좌표의 오류를 보완하고, 아울러 영상이미지에 대한 오류 또한 보완한다.
이를 위해서 영상처리시스템은 GPS위성과 통신하면서 현재 수치좌표를 확인하는 상시관측소(30)와, 작업자가 휴대하면서 GPS위성과 통신하고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영상이미지를 보정 처리하는 이동국(10)과, 상시관측소(30)가 확인한 현재 수치좌표를 수신해서 위치보정값을 생성하고 이를 이동국(10)으로 전송하는 가상기준점 서버(20)로 구성된다.
상시관측소(30)는 주지된 바와 같이 기지점인 기준국에 설치되며, GPS위성으로부터 확인한 현재 수치좌표의 오차 보정에 기준이 된다. 상시관측소(30)에서 확인한 현재 수치좌표는 지상기준점 서버(20)로 실시간 전송된다. 참고로, 상시관측소(30)는 우리나라에 45개가 설치되었고, 이를 기준점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가상기준점 서버(20)는 VRS에 의한 네트워크 RTK(Real Time Kinematic)를 기반으로 수치좌표를 확인하는 시스템으로서, 상시관측소(30)와 네트워크 통신을 이루면서 상시관측소(30)로부터 현재 확인된 수치좌표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이렇게 수신한 수치좌표는 상시관측소(30)의 기지점 좌표와 비교해서, 해당 상시관측소(30)가 확인한 수치좌표의 오차율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위치보정값을 생성한 후 이동국(10)으로 전송한다.
이동국(10)은 현장에 방문하는 작업자가 휴대하면서 수치좌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수치좌표를 기초로 현장의 영상이미지를 출력해서 작업자가 영상이미지에 대한 오류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확인된 오류를 보완해서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보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이동국(10)은 GPS위성과 실시간으로 통신하면서 현재 수치좌표를 확인하는 GPS모듈(11)과, 가상기준점 서버(20)와의 통신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통신모듈(12)과, 가상기준점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위치보정값을 기초로 GPS모듈(11)이 확인한 수치좌표를 보정하는 수치좌표 보정모듈(13)과,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 저장모듈(14)과, 영상이미지 저장모듈(14)에서 검색된 영상이미지를 출력하고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이 이루어지는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과,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영상이미지의 해당 지점에 대한 보완을 처리하는 보완지점 처리모듈(16)과,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특정 지점을 촬영하는 촬영모듈(17)과, 일반 RTK를 기반으로 확인된 수치좌표와 네트워크 RTK를 기반으로 확인된 수치좌표를 각각 확인하고 이를 비교하는 수치좌표 비교모듈(18)과, 일반 RTK를 기반으로 확인해서 표시되는 이동국(10)의 이동경로와 네트워크 RTK를 기반으로 확인해서 표시되는 이동국(10)의 이동경로를 영상이미지에 함께 표시 및 기록하는 이동경로 표시모듈(19)을 포함한다.
이동국(1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구동 순서에 따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수치좌표 1차 확인
GPS모듈(11)은 GPS위성의 신호를 수신해서 이동국(10)의 현재 위치를 1차 확인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GPS모듈(11)은 최소한 3대 이상의 GPS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의 세기를 확인해서 현재 이동국(10)이 위치한 지점의 1차 수치좌표를 연산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GPS모듈(11)은 일반 GPS 기기와 동일하게 DGPS(Differential GPS)를 기반으로 수치좌표에 대한 보정이 가능한데, 이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2) VRS 통신
네트워크 통신모듈(12)은 GPS모듈(11)의 1차 수치좌표를 가상기준점 서버(20)로 전송한다. 가상기준점 서버(20)는 기준점에 설치된 상시관측소(30)와 실시간으로 통신하면서 상시관측소(30)가 확인한 측정수치좌표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상시관측소(30)는 기지점에 설치되므로, 현재 위치에 대한 정확한 기지좌표가 등록되어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상시관측소(30)는 GPS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해서 현재 측정된 측정수치좌표를 새롭게 확인하고, 새롭게 확인한 측정수치좌표와 기지좌표를 비교해서 오차율을 연산할 수 있다. 가상기준점 서버(20)는 상시관측소(30)가 새롭게 확인한 측정수치좌표를 해당 상시관측소(30)의 기지좌표와 비교해서 오차율을 연산한다.
한편, 가상기준점 서버(20)는 네트워크 통신모듈(12)로부터 수신한 1차 수치좌표를 기초로 해당 이동국(10)의 위치에 대응하는 3개 이상의 상시관측소(30)에 대한 오차율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해서 1차 수치좌표에 대한 위치보정값을 완성한 후 이동국(10)으로 전송한다. 상기 위치보정값은 1차 수치좌표를 보정한 2차 수치좌표일 수도 있고, GPS모듈(11)이 RTK 기술을 기반으로 1차 수치좌표를 2차 수치좌표로 보정할 수 있게 하는 보정값일 수도 있다.
3) 이동국의 현재 위치 확인
네트워크 통신모듈(12)은 가상기준점 서버(20)로부터 위치보정값을 수신하고, 수치좌표 보정모듈(13)은 상기 위치보정값을 전달받아서 1차 수치좌표를 2차 수치좌표로 보정한다. 2차 수치좌표는 이동국(10)의 위치를 높은 신뢰도로 수치화한 것으로서, 상시관측소(30)와 이동국(10) 간의 거리와 통신 환경에 큰 영향 없이 수치좌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4) 이동국의 현재 위치에 대응한 영상이미지 출력
영상이미지 저장모듈(14)은 2차 수치좌표를 기초로 해당 위치의 영상이미지를 검색하고, 검색한 영상이미지를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을 통해 출력시킨다.
도 3(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에 출력되는 영상이미지의 일 예를 보인 이미지)은 2차 수치좌표가 위치한 해당 영상이미지로서, 이동국이 상기 2차 수치좌표에 따라 상기 영상이미지에 위치한 지점을 표시한다. 여기서, '파란색 점'은 2차 수치좌표를 기초로 해서 상기 영상이미지에 이동국(10)이 위치한 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참고로, '파란색 점'은 이동국(10)이 확인하는 2차 수치좌표를 따라 실시간으로 이동 표시되며, 이를 토대로 이동국(10)의 작업자는 영상이미지에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한다.
5) 현장 촬영
이동국(10)의 작업자는 자신이 영상이미지에서 확인한 위치와 현장에서 확인한 위치를 비교해서 그 차이를 판단한다. 작업자가 영상이미지에 표시된 자신의 위치와 주변 환경을 확인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촬영모듈(17)을 이용해서 현장을 촬영하고,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을 이용해서 영상이미지에 수정대상 지점을 표시한다(도 3의 '빨간색 점' 참조).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은 작업자가 영상이미지를 보면서 수정대상 지점에 대한 표시를 곧바로 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방식의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촬영모듈(17)은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과 연동하면서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 입력하는 디지털 방식의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촬영모듈(17)에 의한 촬영이 완료되면, 도 4(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이 출력한 영상이미지에 촬영이미지가 링크된 모습을 보인 이미지)에서 보인 바와 같이, 촬영모듈(17)은 촬영이미지를 이동국(10)의 현재 위치로 표시된 상기 영상이미지의 일 지점에 자동으로 링크한다.
이렇게 링크하면, 작업자는 영상이미지에서 보완 대상 및 지점 확인은 물론 촬영이미지와 '빨간색 점'을 참고해서 영상이미지를 어떻게 보완해야 할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6) 보완지점 처리
보완지점 처리모듈(16)은 '빨간색 점'이 표시된 지점에 따라 작업자가 영상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완지점 처리모듈(16)은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제작되고, 작업자는 보완지점 처리모듈(16)이 제시하는 메뉴에 따라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을 조작해서 해당 영상이미지를 보완한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3에서 보인 영상이미지에서와 같이 작업자는 현장 조사를 진행하면서 보완이 필요한 특정 지점인 수정대상 지점에 표시(빨간색 점)를 하고, 도 4에서 보인 영상이미지에서와 같이 링크된 촬영이미지를 참고해서 수정대상 지점에 대한 보완을 진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완지점 처리모듈이 지상이미지를 보정한 모습을 보인 이미지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하면, 작업자는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에 출력된 지상이미지에서 수정대상 지점을 확인한 후 링크한 지상이미지(도 4 참조)와 비교한다. 여기서, 수정대상 지점 중 아래에 위치한 코너는 실제 현장에서 위쪽에 위치한 코너에 비해 다소 완만한 형태를 이루므로, 이를 고려해서 '보완부분'과 같이 보완지점 처리모듈(16)을 통해서 해당 코너의 이미지형태를 편집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전 영상이미지는 도로 사이의 공간이 공터로 표시되는데, 링크된 지상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실제 현장은 해당 공간이 공터가 아닌 다수의 점포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공간은 '가건물'이 점유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보완지점 처리모듈(16)은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해당 공간을 '보완부분'과 같이 해당 지점의 이미지형태를 편집한다.
결국, 보완지점 처리모듈(16)은 전술한 과정에 영상이미지를 보완하고, 이를 통해서 현장에 방문한 사용자는 수정된 영상이미지를 활용해서 정확히 자기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은 현장에서 사용자가 영상처리시스템을 이용하는 평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현장을 방문한 사용자는 영상처리시스템의 일 구성인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의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이미지를 보면서 상기 영상이미지와 현장을 비교하고 영상이미지의 오류 여부를 확인한다. 그런데,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이미지는 사용자의 이동방향과 시선 등에 상관없이 항상 북쪽(N)이 화면의 상측을 향하고, 남쪽(S)이 화면의 하측을 향하도록 출력된다. 즉, 사용자는 동쪽, 남쪽 또는 서쪽을 향해서 이동하더라도, 이를 참고할 수 있는 영상이미지는 항상 화면의 상측을 향하므로, 영상이미지와 현장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결국 사용자는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에 출력되는 영상이미지만으로는 현장과 영상이미지를 매칭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이로 인해서 현장에 대한 영상이미지의 오류 여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없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은 영상이미지를 영상이미지 저장모듈(14)에서 검색해서 출력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확인해서 해당하는 조작 내용을 처리하며 방위관측부(152)에서 확인한 방위값과 타이머(153)에서 확인한 시간값을 확인해서 영상이미지의 배치방향을 조정하는 입출력부(151)와, 동서남북을 기준으로 입출력부(151)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을 감지해서 방향값을 생성하는 방위관측부(152)와, 상기 방향값의 변화가 확인되면 시간 측정을 시작해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시간값을 생성하는 타이머(153)로 구성된다.
도 7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을 자신의 전방에 배치해서, 입출력부(15)의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이미지를 보면서 북쪽으로 이동한다. 방위관측부(152)는 공지의 전자나침반 기능을 갖추고서 사용자를 기준으로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이 향하는 방향이 어디인지를 동서남북 중 하나로 확인하고, 해당하는 방위값을 생성해서 입출력부(151)로 전달한다.
한편, 타이머(153)는 상기 방위값을 확인해서 상기 방위값의 변화가 있으면 변화가 있는 시점부터 시간을 측정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해당하는 시간값을 생성해서 입출력부(151)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도 7의 (a)도면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북쪽을 향해 이동하다가 도 7의 (b)도면에서와 같이 동쪽을 향해 방향을 바꾸면, 방위관측부(152)는 방향이 북쪽에서 동쪽으로 변했음을 인지해서 해당하는 방위값을 생성한 후 입출력부(15)로 전달하고, 타이머(153)는 이때부터 시간을 측정한다. 계속해서, 타이머(153)는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해당 시간값을 입출력부(151)로 전달하고, 입출력부(151)는 도 7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해당하는 영상이미지가 동쪽을 향해 출력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북쪽을 향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영상이미지의 북쪽이 화면 상즉을 향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동쪽을 향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영상이미지의 동쪽이 화면 상측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사용자는 현장 확인을 위해서 수시로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는데, 이때마다 출력되는 영상이미지의 배치를 조정하면 시스템에 무리를 주고, 사용자 또한 혼란이 있으므로, 영상이미지의 안정된 출력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일정시간 이상 방향이 유지될 때만 영상이미지의 배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사용자는 입출력부(151)의 상기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이미지를 보면서 방향을 잡고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영상이미지에 표시된 지형을 현장과 매칭해서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10)의 GPS모듈(11)은 네트워크 RTK를 기반으로 이동국의 수치좌표(2차 수치좌표)를 확인하고, 아울러 일반 RTK를 기반으로 이동국의 수치좌표(3차 수치좌표)를 함께 확인한다. 이렇게 확인한 수치좌표는 이동국(10)이 위치한 장소의 통신환경과, 상시관측소(30)와 이동국(10) 간의 거리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수치좌표 비교모듈(18)은 상기 각 방식에 따라 확인한 수치좌표를 도 8(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이 출력하는 영상이미지 내 이동국의 위치를 표시한 이미지)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표시한다. 여기서, 녹색으로 표시된 제1지점은 네트워크 RTK 기반 수치좌표에 따라 이동국(10)의 위치를 경로로 표시한 것이고, 보라색으로 표시된 제2지점은 일반 RTK 기반 수치좌표에 따라 이동국(10)의 위치를 경로로 표시한 것이다.
결국, 이동국(10)의 작업자는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에 출력되는 영상이미지에서 일반 RTK와 네트워크 RTK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좌표를 함께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영상이미지에 합성된 수치좌표계에 대한 수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치좌표 비교모듈(18)을 통해 확인된 일반 RTK 기반 수치좌표와 네트워크 RTK 기반 수치좌표를 기초로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은 이동국(10)이 위치한 제1지점의 모임과 제2지점의 모임을 하나의 영상이미지에 함께 표시하고, 이동경로 표시모듈(19)은 이렇게 표시되는 이동국(10)의 위치를 이동경로로 해서 도 8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표시한다. 여기서, 녹색으로 표시된 제1이동경로는 네트워크 RTK 기반 수치좌표에 따라 이동국(10)의 위치를 경로로 표시한 것이고, 보라색으로 표시된 제2이동경로는 일반 RTK 기반 수치좌표에 따라 이동국(10)의 위치를 경로로 표시한 것이다.
이동경로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두 경로 모두 이동국(10)의 이동로인 '종로9길'을 따라 오차범위 내에서 정확히 표시된다. 그런데, '종로9길'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일반 RTK 기반 수치좌표(검은색 표시 지점)가 이동로를 이탈하는 오류가 발생한다. 즉, 작업자가 동일한 현장 위치에 있을 때 영상이미지에 표시되는 제1,2지점(검은색 표시 지점)이 지정범위 이상의 차이를 보이며 표시되는 것이다.
수치좌표 비교모듈(18)은 상기 지정범위로 설정된 기준치에 따라 일반 RTK 기반 수치좌표와 네트워크 RTK 기반 수치좌표를 서로 비교해서, 상기 지정범위를 초과하는 수치좌표 지점에 대해서는 해당 수치좌표를 '재확인지점'으로 분류해 저장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재확인지점'을 검색하면 수치좌표 비교모듈(18)은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을 제어하고,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은 도 8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재확인지점'에 대한 수치좌표의 영상이미지를 검색해서 이동경로와 함께 출력한다.
작업자는 이렇게 확인된 '재확인지점'에 대해서는 현장방문 및 수치좌표 확인을 진행하고, 보완한 수치좌표를 기초로 영상이미지의 지형이미지를 보완해서, 이후 수치좌표 확인에 따른 작업자 또는 일반 사용자 등의 이동경로가 해당 이동로 내에 정확히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기지점에 설치되고, 3대 이상의 GPS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신호를 수신해서 현위치에 대한 측정수치좌표를 재확인하며, 상기 측정수치좌표를 가상기준점 서버(20)와 이동국(10)으로 각각 발신하는 다수의 상시관측소(10),
    다수의 상시관측소(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이동국(10)으로부터 수신한 1차 수치좌표를 확인해서 이동국(10)에 인접한 3대 이상의 상시관측소(10)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시관측소(10)의 측정수치좌표와 해당하는 기지점의 수치좌표를 비교해서 차이를 기반으로 상기 1차 수치좌표에 대한 위치보정값을 연산하며, 상기 위치보정값을 이동국(10)으로 전송하는 가상기준점 서버(20), 및
    3대 이상의 GPS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신호를 받아 상기 1차 수치좌표를 확인하고, 상시관측소(10)와 직접 통신하면서 일반 RTK 방식에 의해 3차 수치좌표를 확인하는 GPS모듈(11)과; 가상기준점 서버(20)와의 통신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통신모듈(12)과; 가상기준점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위치보정값에 따라 GPS모듈(11)이 확인한 상기 1차 수치좌표를 2차 수치좌표로 보정하는 수치좌표 보정모듈(13)과;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 저장모듈(14)과;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입출력부(151)의 화면 배치방향을 동서남북을 기준으로 확인해서 방향값을 생성하는 방위관측부(152)와, 방위관측부(152)의 방향값 변화를 확인해서 방향값 변화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시간값을 생성하는 타이머(153)와, 영상이미지 저장모듈(14)에서 검색된 영상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이미지 내에 이동국(10)의 현재 위치를 상기 2차 수치좌표를 기초로 확인해서 제1지점으로 표시하고 타이머(153)로부터 상기 시간값 수신시 상기 방향값의 방향에 따라 영상이미지의 배치방향을 조정하며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출력부를 갖춘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과; 현장에서 특정 지점을 촬영하고, 촬영이미지를 상기 영상이미지에서 이동국(10)의 현재 위치로 표시된 일 지점에 자동으로 링크하는 디지털 방식의 촬영모듈(17)과;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하는 지형이미지에 수정대상 지점을 표시하고, 상기 수정대상 지점의 이미지형태를 편집하는 보완지점 처리모듈(16)과; 상기 영상이미지 내에 이동국(10)의 현재 위치를 상기 3차 수치좌표를 기초로 확인해서 상기 제1지점과 함께 제2지점으로 표시하고, 상기 영상이미지에 함께 표시되는 제1,2지점 간의 차이가 기준치 이상으로 확인되면 재확인지점으로 자동 분류해서 저장하며, 상기 재확인지점 확인을 위한 조작에 따라 영상이미지 입출력모듈(15)을 제어해서 상기 재확인지점으로 분류된 영상이미지를 출력시키는 수치좌표 비교모듈(18)과; 상기 제1지점들이 모두 출력된 제1이동경로를 영상이미지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2지점들이 모두 출력된 제2이동경로를 상기 제1이동경로가 표시된 영상이미지에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이동경로 표시모듈(19);를 구비한 이동국(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위치정보가 링크된 영상이미지의 업데이트를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KR20140077106A 2014-06-24 2014-06-24 지피에스 위치정보가 링크된 영상이미지의 업데이트를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1475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7106A KR101475887B1 (ko) 2014-06-24 2014-06-24 지피에스 위치정보가 링크된 영상이미지의 업데이트를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7106A KR101475887B1 (ko) 2014-06-24 2014-06-24 지피에스 위치정보가 링크된 영상이미지의 업데이트를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887B1 true KR101475887B1 (ko) 2014-12-31

Family

ID=52679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7106A KR101475887B1 (ko) 2014-06-24 2014-06-24 지피에스 위치정보가 링크된 영상이미지의 업데이트를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8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912A (ko) * 2016-05-13 2017-11-22 아이엘디바이스 주식회사 서버기반 gnss 위치결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029334B1 (ko) * 2019-07-16 2019-11-08 (주)해양정보기술 지피에스 정보의 해당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한 영상처리 시스템
KR20200072836A (ko) * 2018-12-13 2020-06-23 디케이 주식회사 컴팩션 그라우팅 원격 시공관리 시스템
CN117092678A (zh) * 2023-10-18 2023-11-21 深圳市硕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LoRa的高精度RTK定位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1757A (ja) * 2001-05-17 2002-11-29 Jekku:Kk 地図作成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KR100469801B1 (ko) * 2004-07-28 2005-02-07 (주)지앤제이 실시간 항측 기준점 측량시스템 및 방법
KR101223252B1 (ko) * 2012-07-12 2013-01-17 태양정보시스템(주) 측량 속성 정보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측량 시스템
KR20140042345A (ko) * 2012-09-28 2014-04-07 주식회사 두시텍 중파 신호를 이용한 이동 측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1757A (ja) * 2001-05-17 2002-11-29 Jekku:Kk 地図作成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KR100469801B1 (ko) * 2004-07-28 2005-02-07 (주)지앤제이 실시간 항측 기준점 측량시스템 및 방법
KR101223252B1 (ko) * 2012-07-12 2013-01-17 태양정보시스템(주) 측량 속성 정보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측량 시스템
KR20140042345A (ko) * 2012-09-28 2014-04-07 주식회사 두시텍 중파 신호를 이용한 이동 측위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912A (ko) * 2016-05-13 2017-11-22 아이엘디바이스 주식회사 서버기반 gnss 위치결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2836A (ko) * 2018-12-13 2020-06-23 디케이 주식회사 컴팩션 그라우팅 원격 시공관리 시스템
KR102183068B1 (ko) * 2018-12-13 2020-11-25 디케이 주식회사 컴팩션 그라우팅 원격 시공관리 시스템
KR102029334B1 (ko) * 2019-07-16 2019-11-08 (주)해양정보기술 지피에스 정보의 해당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한 영상처리 시스템
CN117092678A (zh) * 2023-10-18 2023-11-21 深圳市硕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LoRa的高精度RTK定位系统
CN117092678B (zh) * 2023-10-18 2024-01-26 深圳市硕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LoRa的高精度RTK定位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59596B1 (en) Enhanced remote surveying systems and methods
US9772185B2 (en) Measur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new points
US10338228B2 (en) Portable GNSS survey system
US8717432B2 (en) Geographical data collecting device
US97498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and position of a smartphone based on image matching
CN102645221B (zh) 定位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475887B1 (ko) 지피에스 위치정보가 링크된 영상이미지의 업데이트를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2260072B1 (ko) 현지조사자료를 통해 높은 신뢰도의 수치지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WO2002084322A1 (en) Satellite position measurement system
KR20170094030A (ko) 실내 내비게이션 및 파노라마 사진 맵핑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795365B2 (en) Movable body photogrammetry survey system
KR20120069510A (ko) 무인 장치 및 그의 주행 방법
CN110388939A (zh) 一种基于航拍图像匹配的车载惯导定位误差修正方法
KR101840429B1 (ko) 현지조사자료를 이용한 수치지도 정밀도 향상 시스템
KR101273416B1 (ko)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RU2584368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контрольных значений параметров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угловой ориентации самолёта на трассах и приаэродромных зонах при лётных испытаниях пилотажно-навигацио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469077B1 (ko) 현지조사자료를 활용한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KR101436102B1 (ko) Vrs를 이용한 폐색 지역 수치지도 보완시스템
KR100963680B1 (ko) 원격 표적의 좌표 측정 장치 및 방법
EP3132279B1 (en) A target determining method and system
Batzdorfer et al. Multisensor equipped UAV/UGV for automated exploration
CN105592294A (zh) 一种vsp激发炮群的监控系统
CN111247789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相关设备
KR101275042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gps 측량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갱신 방법
KR101214084B1 (ko) 지리정보 좌표를 적용한 수치데이터와 지형데이터의 합성용 지형지물 정밀 측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