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374B1 - 내부 압입 연결부를 포함하는 난간 - Google Patents

내부 압입 연결부를 포함하는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374B1
KR101475374B1 KR1020140147308A KR20140147308A KR101475374B1 KR 101475374 B1 KR101475374 B1 KR 101475374B1 KR 1020140147308 A KR1020140147308 A KR 1020140147308A KR 20140147308 A KR20140147308 A KR 20140147308A KR 101475374 B1 KR101475374 B1 KR 101475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 ring
handrail
support
connection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이봉우
윤기식
Original Assignee
(주)행성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행성화학 filed Critical (주)행성화학
Priority to KR1020140147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23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5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andrails
    • E04F2011/1827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andrails between balusters and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핸드레일의 경사의 조절이 자유롭고, 외력을 충분하게 수용하며, 노출된 연결부위가 상대적으로 작고, 피복관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내부 압입 연결부를 이용한 난간을 제시한다. 그 난간은 핸드레일 또는 지주와 연결되는 연결체와 접속하기 위하여 핸드레일 또는 지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스톱링 및 지지대를 포함하는 내부 압입 연결부를 포함하며, 스톱링은 내측에는 지지대가 삽입되는 관통홀 및 외측에는 핸드레일 또는 지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연결체 방향으로 밀착될 때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절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지지대는 스톱링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스톱링의 변위를 차단한다.

Description

내부 압입 연결부를 포함하는 난간{Balustrade having inner pressurized connecting part}
본 발명은 난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압입 연결부를 이용하여 지주와 핸드레일 또는 핸드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난간에 관한 것이다.
난간(balustrade)은 층계나 다리 등의 가장자리에 세워 낙상을 막고 장식을 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예로써, 난간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핸드레일 및 핸드레일을 지탱하는 지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지고,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핸드레일과 지주 또는 핸드레일과 핸드레일의 연결은 나사 방식, 용접 방식, 억지끼움 방식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나사 방식은 인적 및 시간적 소비가 많은 번거로운 작업으로, 생산성이 저하되어 제작 단가가 올라간다. 용접 방식은 용접면이 깨끗하지 않아 미관상으로 문제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마감 캡은 비용 상승의 원인이다. 억지끼움 방식은 마찰로 인하여 스크래치가 발생할 염려가 있어서, 별도의 도장 작업이 필요하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11-0100835호는 연결구 본체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있다가,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연결구 본체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는 탄력고정부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탄력고정부는 핸드레일의 경사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어렵고, 가해지는 외력이 크면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난간은 그 노출된 연결부위가 지나치게 커서, 마감작업이 번거롭고 좋지 않은 외관을 만들 수 있다. 특히, 합성수지로 피복된 핸드레일은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 연결 방식을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핸드레일의 경사의 조절이 자유롭고, 외력을 충분하게 수용하며, 노출된 연결부위가 상대적으로 작고, 피복관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내부 압입 연결부를 이용한 난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내부 압입 연결부를 이용한 난간은 핸드레일 또는 지주와 연결되는 연결체 및 상기 연결체와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핸드레일 또는 상기 지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스톱링 및 지지대를 포함하는 내부 압입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톱링은 내측에는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는 관통홀 및 외측에는 상기 핸드레일 또는 지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연결체 방향으로 밀착될 때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절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스톱링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톱링의 변위를 차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난간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은 연결윙을 통하여 상기 연결체와 접속되며, 상기 연결윙은
상기 연결체의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스톱링과 접촉하여 상기 스톱링의 탄성 변형을 지지하며, 상기 몸체와 간격 D1을 이루는 내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윙은 말단이 상기 내측벽과 간격 D1을 이루어 상기 탄성 변형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핸드레일의 내경과 일치하는 직경을 가진 외측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주는 연결관을 통하여 상기 연결체와 접속되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스톱링과 접촉하여 상기 스톱링의 탄성 변형을 지지하고 상기 연결관과의 간격 D2를 이루게 하여 상기 탄성 변형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톱링은 탄성력을 가진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톱링 절편의 개수는 상기 스톱링의 직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부 압입 연결부를 포함하는 난간에 의하면, 탄성력을 가진 내부 압입 연결부를 이용함으로써, 핸드레일의 경사의 조절이 자유롭고, 외력을 충분하게 수용하며, 노출된 연결 부위가 상대적으로 작고 피복관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핸드레일의 내부 압입 연결부는 지주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내부 압입 연결부는 원통형뿐 아니라, 다른 형태의 핸드레일 및 지주에도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내부 압입 연결부를 포함하는 난간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스톱링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탄성력을 가진 내부 압입 연결부를 이용함으로써, 핸드레일의 경사의 조절이 자유롭고, 외력을 충분하게 수용하며, 노출된 연결 부위가 상대적으로 작고 피복관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난간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핸드레일 및 지주를 연결하는 내부 압입 연결부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고, 상기 연결부에 의해 핸드레일 및 지주의 연결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내부 압입 연결부에 의해, 난간의 기능을 확보하는 과정을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 압입 연결부는 핸드레일 및 지주를 연결하기 위하여, 핸드레일 및 지주의 내부에 설치된 구조물을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내부 압입 연결부를 포함하는 난간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난간은 T자 형태의 연결체(20)에 지면방향으로는 지주(70) 및 측면방향으로는 핸드레일(10)이 연결된다. 핸드레일(10)의 일측은 연결체(20)와 결합되는 연결윙(30)에 접속되며, 핸드레일(10)의 타측은 마무리되거나 다른 연결체(20)와 연결된다. 핸드레일(10)은 내부가 뚫려있는 금속 또는 고강도의 고분자로 이루질 수 있고, 합성수지가 피복된 피복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핸드레일(10)은 강관이 좋다. 핸드레일(10)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부분적으로 라운딩된 형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형태에 따라, 난간을 이루는 다른 구성요소의 모양도 이에 부합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는 핸들레일(10)이 원통형인 경우를 예로 들었다.
핸드레일(10)이 연결윙(30)에 밀착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내부 압입 연결부는 핸드레일(10) 내부로 인입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체(20)는 중앙의 연결체 몸체(21) 및 연결체 몸체(21)의 양측으로 돌출된 연결체 돌출부(22)로 구성된다. 연결체(20)의 재질은 금속 또는 고강도의 고분자 등과 같이 강도가 큰 물질이 바람직하다. 연결체 몸체(21)의 상부는 체결수단을 노출시키지 않은 피스 커버(25)가 부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피스 커버(25)가 없는 연결체 몸체(21)를 가질 수 있다. 연결체 돌출부(22)는 와셔(24)가 부가된 체결부(23)에 의해 연결윙(30)과 계합된다. 즉, 연결체 돌출부(22)가 연결윙(30)에 삽입되어, 체결부(23)에 의해 체결된다. 체결부(23)는 굳이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나사가 바람직하다. 연결윙(30)이 연결체(20)에 결합되는 방식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른 방식, 예컨대 리벳을 사용할 수 있다.
연결윙(30)은 몸체(31), 외측벽(32) 및 내측벽(33)로 이루어진다. 연결윙 몸체(31)는 연결체 돌출부(22)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윙 외측벽(32)은 스톱링(60a)의 변형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연결윙 외측벽(32)은 핸드레일(10)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인 것이 좋다. 즉, 연결윙 외측벽(32)과 핸드레일(10)은 밀착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밀착되는 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연결윙 외측벽(32)을 표면에 별도의 처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두어 핸드레일(10)의 압입에 의해 미세한 소성변형을 일으키거나 또는 밀착성을 높이는 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연결윙 내측벽(33)에는 지지대(50a)가 삽입된다. 또한, 연결윙 내측벽(33)은 스톱링(60a)의 일부를 고정시켜 스톱링(60a)의 변형을 용이하게 한다. 연결윙 내측벽(33)으로 삽입되는 지지대(50a)는 와셔(41a)가 부가된 체결부(40a) 및 체결 수용부(42a)로 연결윙(30)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체결부(40a)는 지지대(50a)의 내부를 관통하여, 연결윙 몸체(31)의 홈에서 체결 수용부(42a)에 체결된다. 이때, 체결부(40a)는 수나사이고, 이에 대응하는 체결 수용부(42a)는 암나사일 수 있다. 지지대(50a)를 고정하는 방식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른 방식, 예컨대 고정핀을 사용할 수 있다. 스톱링(60a)은 지지대(50a) 및 연결윙(30) 사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방식을 포함하여, 지지대(50a) 및 스톱링(60a)을 통칭하여 제1 내부 압입 연결부라고 한다.
지주(70)는 관 형태로써, 일측은 지면에 고정되는 지면고정부(72)가 체결부(71)에 의해 결합된다. 지주(70)의 타측은 연결관(45)이 삽입되어 연결체(20)에 고정된다. 지주(70)는 내부가 뚫려있는 금속 또는 고강도의 고분자로 이루질 수 있고, 합성수지가 피복된 피복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주(70)는 강관이 좋다. 지주(70)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부분적으로 라운딩된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형태에 따라, 난간을 이루는 다른 구성요소의 형태도 부합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는 지주(70)가 원통형인 경우를 예로 들었다. 연결관(45)은 연결윙 내측벽(33)과 동일한 역할을 하며, 연결체(2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합체될 수 있다. 지주(70)가 연결체(20)에 연결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지대(50b), 스톱링(60b)은 지주(70) 내부로 삽입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관(45)으로 삽입되는 지지대(50b)는 와셔(41b)가 부가된 체결부(40b) 및 체결 수용부(42b)에 의해 연결관(45)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체결부(40b)는 지지대(50b)의 내부를 관통하여, 연결관(45) 내부의 체결 수용부(42b)에 체결된다. 이때, 체결부(40b)는 수나사이고, 체결 수용부(42b)는 이에 대응하는 암나사일 수 있다. 지지대(50b)를 고정하는 방식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른 방식, 예컨대 고정핀을 사용할 수 있다. 스톱링(60b)은 지지대(50b) 및 연결관(45) 사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방식을 포함하여, 지지대(50b) 및 스톱링(60b)을 제2 내부 압입 연결부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레일(10)은 연결윙(30)에 결합되어, 연결윙(3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드레일(10)의 경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연결체(20) 및 연결윙(30)의 일부만 외부로 노출되므로, 종래의 난간에 비해 연결부위의 노출이 작다. 핸드레일(10) 및 지주(70)는 나사 등으로 외측으로부터 결합되지 않고, 제1 및 제2 내부 압입 연결부에 의해 내측에서 결합된다. 이에 따라, 나사 등이 외부로 노출되는 종래의 난간에 비해 미관이 수려하고, 나사 등의 부식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스톱링(60a)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실질적으로, 제1 내부 압입 연결부를 이루는 체결부(40a), 와셔(41a), 지지대(50a), 스톱링(60a) 및 체결 수용부(42a)는 제2 내부 압입 연결부를 이루는 체결부(40b), 와셔(41b), 지지대(50b), 스톱링(60b) 및 체결 수용부(42b)와 기능 및 역할이 동일하다. 다만, 핸드레일(10) 및 지주(70)의 크기나 형상의 변화에 따라, 제1 및 제2 내부 압입 연결부의 크기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내부 압입 연결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따르면, 지지대(50a) 및 스톱링(60a)은 와셔(41a)가 끼워진 체결부(40a) 및 체결 수용부(42a)로 연결윙 몸체(31)에 고정된다. 지지대(50a)는 스톱링(60a)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61)에 삽입되는 삽입부(51a)를 가진다. 지지대(50a)가 연결윙 몸체(31)에 고정되면, 바람직하게는, 연결윙 내측벽(33)은 스톱링(60a)과 접촉된다. 내측벽(33)의 두께 및 길이는 접촉된 스톱링(60a)이 외력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이와 동일하게, 지지대(50b)가 연결관(45)에 고정되면, 바람직하게는, 연결관(45)은 스톱링(60b)에 접촉된다. 연결관(45)의 두께 및 길이는 접촉된 스톱링(60b)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스톱링(60a, 60b)과 접촉하는 연결윙 내측벽(33) 및 연결관(45)을 통칭하여 스톱링 고정부라고 말할 수 있다.
연결윙 내측벽(33) 및 연결윙 외측벽(32)의 말단은 간격(D1)을 이룬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결체(20) 및 연결관(45)의 말단도 동일한 기능을 가진 간격(D2)이 확보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간격(D1)은 스톱링(60a) 및 지지대(50a)의 직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지지대(50a)의 직경은 핸드레일(10)의 내경과 일치한다. 스톱링(60a)의 직경이 지지대(50a)의 직경보다 큰 정도에 따라, 간격(D1)은 달라진다. 즉, 스톱링(60a)의 직경이 A이고 지지대(50a)의 직경이 B이라면, A와 B의 차이가 클수록 간격(D1)은 커진다. 이와 동일하게, 지주(70)의 스톱링(60b) 및 지지대(50b)에도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지지대(60a)는 외력에 의해 스톱링(69a)이 변위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스톱링(60a)은 내측에는 관통홀(61)이 형성된 몸체(62)가 있고, 외측에는 일정한 크기로 형성된 절편(63)들이 있다. 스톱링 절편(63)은 폭(a) 및 길이(b)의 크기를 가지며, 서로 일정한 거리(c)만큼 이격되어 있다. 스톱링 절편(63)의 크기 및 이격거리(c)는 스톱링(60a)의 개수를 결정한다. 스톱링(60a)의 개수는 스톱링(60a)의 직경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스톱링(60a)이 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라면, 그 형태에 따라 스톱링 절편(63)의 크기와 개수를 적절하게 조합할 수 있다. 스톱링(60a)은 금속 탄성체로서, 부식에 강한 금속, 예컨대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탄성체는 외력에 변형되면, 다시 원상태로 회복되려는 성질을 가진 것을 말한다.
스톱링(60a)이 연결윙 내측벽(33)에 고정된 상태에서, 핸드레일(10)을 연결윙 몸체(31)에 밀착시키면, 스톱링 절편(63)은 연결윙(30)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앞에서 설명한 간격(D1)은 스톱링 절편(63)이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스톱링 절편(63)이 변형되면, 스톱링 절편(63)은 다시 원래대로 회복되려는 탄성력을 가진다. 이러한 탄성력은 핸드레일(10)이 연결윙 몸체(3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스톱링 절편(63)은 핸드레일(10) 내부면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접촉하므로, 상기 탄성력은 핸드레일(10)의 둘레에 대하여 일정한 힘을 가하게 된다. 상기 탄성력은 핸드레일(10)에 가해지는 외력을 충분하게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지주(70)의 경우, 연결관(45)은 내측벽(46) 및 외측벽(47)을 포함한다. 내측벽(46)은 상기 스톱링과 접촉하여 스톱링(60b)의 탄성 변형을 지지하고, 외측벽(47)은 연결관(45)과 간격(D2)을 이루어 스톱링(60b)의 탄성 변형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지지대(50b)는 스톱링(60b)에 삽입되는 삽입부(51b)를 가진다. 한편, 연결윙(30) 및 연결관(45)은 외측벽을 두지 않을 수 있다. 외측벽의 존재 여부는 본 발명의 난간에 가해지는 외력 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왜냐하면, 외측벽이 있으면, 핸드레일(10) 또는 지주(70)와의 밀착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주는 연결관을 통하여 연결체에 접속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연결윙을 이용하여 연결체에 접속될 수 있다.
10; 핸드레일 20; 연결체
21; 연결체 몸체 22; 연결체 돌출부
23, 40a, 40b, 71; 체결부
25; 피스 커버 30; 연결윙
31; 연결윙 몸체 32; 연결윙 외측벽
33; 연결윙 내측벽
42a, 42b; 체결 수용부
45; 연결관 46; 연결관 내측벽
47; 연결관 외측벽
50a, 50b; 지지대
51a, 51b; 지지대 삽입부
60a, 60b; 스톱링
61; 스톱링 관통홀 62; 스톱링 몸체
63; 스톱링 절편 70; 지주

Claims (6)

  1. 핸드레일 또는 지주와 연결되는 연결체; 및
    상기 연결체와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핸드레일 또는 상기 지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스톱링 및 지지대를 포함하는 내부 압입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톱링은 내측에는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는 관통홀 및 외측에는 상기 핸드레일 또는 상기 지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연결체 방향으로 밀착될 때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절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스톱링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톱링의 변위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압입 연결부를 포함하는 난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은 연결윙을 통하여 상기 연결체와 접속되며,
    상기 연결윙은,
    상기 연결체의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스톱링과 접촉하여, 상기 스톱링의 탄성 변형을 지지하는 내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압입 연결부를 포함하는 난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윙은 말단이 상기 내측벽과 간격 D1을 이루어 상기 탄성 변형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핸드레일의 내경과 일치하는 직경을 가진 외측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압입 연결부를 포함하는 난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연결관을 통하여 상기 연결체와 접속되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스톱링과 접촉하여 상기 스톱링의 탄성 변형을 지지하고, 상기 연결관과의 간격 D2를 이루게 하여 상기 탄성 변형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압입 연결부를 포함하는 난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링은 탄성력을 가진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압입 연결부를 포함하는 난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링 절편의 개수는 상기 스톱링의 직경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압입 연결부를 포함하는 난간.


KR1020140147308A 2014-10-28 2014-10-28 내부 압입 연결부를 포함하는 난간 KR101475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308A KR101475374B1 (ko) 2014-10-28 2014-10-28 내부 압입 연결부를 포함하는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308A KR101475374B1 (ko) 2014-10-28 2014-10-28 내부 압입 연결부를 포함하는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374B1 true KR101475374B1 (ko) 2014-12-22

Family

ID=52679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308A KR101475374B1 (ko) 2014-10-28 2014-10-28 내부 압입 연결부를 포함하는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3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5798B1 (en) 2016-11-03 2022-01-18 David W Moeller Decorative shoe for balust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263A (ja) * 1994-05-24 1995-12-05 Naka Tech Lab 手摺材の接続構造
JP2000314223A (ja) * 1999-04-30 2000-11-14 Atom Livin Tech Co Ltd 長尺材用接続具
KR200224338Y1 (ko) * 2000-11-15 2001-05-15 손복순 난간파이프의 연결부용 보호캡
KR200296636Y1 (ko) * 2002-08-31 2002-11-29 주식회사 세너그린 난간의 난간지주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263A (ja) * 1994-05-24 1995-12-05 Naka Tech Lab 手摺材の接続構造
JP2000314223A (ja) * 1999-04-30 2000-11-14 Atom Livin Tech Co Ltd 長尺材用接続具
KR200224338Y1 (ko) * 2000-11-15 2001-05-15 손복순 난간파이프의 연결부용 보호캡
KR200296636Y1 (ko) * 2002-08-31 2002-11-29 주식회사 세너그린 난간의 난간지주 체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5798B1 (en) 2016-11-03 2022-01-18 David W Moeller Decorative shoe for balust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11043A1 (en) Pipe Conntector
US9797158B2 (en) Friction picket system
US10060463B2 (en) Clip and fastening structure
US9482028B2 (en) Friction picket system
CN104603476A (zh) 用于互相连接的两个家具部件的连接装置,及应用这种连接装置的家具
RU2700729C2 (ru)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US10480195B2 (en) Tubular structure connecting assembly
KR20160029938A (ko)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
US10139015B2 (en) Holder with liner for a rod
US20170051905A1 (en) Connector assembly for mounting lighting fixture
KR101475374B1 (ko) 내부 압입 연결부를 포함하는 난간
EP3162447A1 (en) Automatic adjustable showerhead
US20160333917A1 (en) Fixing device for lower level member and fluid control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GB2563328A (en) Baluster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KR20180085543A (ko) 파이프 고정 클램프
KR102160226B1 (ko) 마감용 패널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널 고정 방법
JP4697531B2 (ja) 手摺用連結具
KR20150020890A (ko) 배관 고정장치
JP2008259969A (ja) マスキング治具
US3300192A (en) Ornamental railing structure
US20050205855A1 (en) Baluster
WO2018169431A1 (ru) Элемент поворота поручня и поручень
JP2013001337A (ja) キャスター取付構造
KR200294369Y1 (ko) 난간용 지주의 결합장치
JP2006198841A (ja) 擬似丸竹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