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271B1 -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271B1
KR101475271B1 KR1020130028223A KR20130028223A KR101475271B1 KR 101475271 B1 KR101475271 B1 KR 101475271B1 KR 1020130028223 A KR1020130028223 A KR 1020130028223A KR 20130028223 A KR20130028223 A KR 20130028223A KR 101475271 B1 KR101475271 B1 KR 101475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control
propeller
propeller blade
angle
at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3167A (ko
Inventor
이진석
정재권
송지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8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271B1/ko
Publication of KR20140113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recesses; with stationary water-guiding elements; Means to prevent fouling of the propeller, e.g. guards, cages 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28Other means for improving propeller effici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는 선박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선박의 후방을 향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끝단에 프로펠러 날개가 회전되게 결합된 추진축 부재와, 상기 선박이 전진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프로펠러 날개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추진축 부재의 둘레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동제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Flow control apparatus of open shaft type ship}
본 발명은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대형화 및 고속화에 따라 근래에는 프로펠러에 의한 캐비테이션(cavitation), 즉, 진동 소음현상이 새로운 문제점으로 대두 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오픈 샤프트 선박의 경우, 선체 외부로 추진축과 상기 추진축을 고정하는 받침지주가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서 일반적으로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추진축이 수평면 대비 기울어져 있어 추진축 및 받침지주의 간섭에 의해 프로펠러면 유입류에 큰 영향을 준다.
특히, 추진축에 프로펠러를 고정하기 위한 프로펠러 허브와 프로펠러 날개의 연결부분 즉, 프로펠러 날개 뿌리 부근에서의 프로펠러 날개 단면 기준 유동 입사각은 프로펠러 회전 동안 큰 변화를 갖게 되어 프로펠러 날개 단면의 피치 각도와 같은 프로펠러 형상 설계로 날개 뿌리 부분에서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제어하기 힘들다. 그리고 이러한 캐비테이션의 발생은 소음, 진동 발생 및 프로펠러 날개의 침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캐비테이션 현상은 선박이 저속으로 운항 시 발생하지 않다가 선박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특정 속도에서 발생하고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는 최초 속도를 캐비테이션 초생 속도(CIS: Cavitation Inception Speed)라 한다. 이러한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억제하고자, 프로펠러 주변의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2003-0044271 (공개일 2003. 06. 09)에는 러더 갭 캐비테이션 발생 억제용 유동제어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선박에 상기와 같은 유동제어장치를 설치하여 캐비테이션을 감소시키려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한편, 다양한 선박들 중에서도 군함은 특성상 피탐 가능성을 낮추는 동시에 기동성을 확보해야 하므로 공동 초생 속도가 중요한 성능 지표가 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캐비테이션 발생에 의해 수중 방사 소음이 급격히 증가하므로 캐비테이션이 발생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빠른 속도로 운항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군함용 프로펠러 설계 시 이러한 사항을 중점적으로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선형과 프로펠러 전방 샤프트 지지 구조물과 같은 부분에 의해 프로펠러 유입 유동 분포가 이미 결정되기 때문에 프로펠러형상 설계 변형 만으로 캐비테이션 발생을 감소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테이션이 발생되기 시작하는 캐비테이션 초생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는 선박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선박의 후방을 향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끝단에 프로펠러 날개가 회전되게 결합된 추진축 부재와, 상기 선박이 전진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프로펠러 날개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추진축 부재의 둘레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동제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제어부재는 수중익형(streamline shape)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추진축 부재로부터 멀어질수록 비틀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제어부재는 상기 프로펠러 날개의 받음각(AOA : Angle of Attack)이 마이너스 값이 되는 상기 추진축 부재의 둘레면의 특정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제어부재는 상기 추진축 부재의 둘레면에서 상기 프로펠러 날개의 받음각(AOA : Angle of Attack)이 최저값이 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제어부재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 유동제어부재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에서는, 프로펠러 날개와 추진축 부재의 경계부분에서 받음각이 최소화되는 각도 위치 부분에 유동제어부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받음각 그래프에서 마이너스 피크 값이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유동제어장치가 없는 경우에 비해 프로펠러 날개 단면의 압력면의 1회전 기준 압력 변화를 볼 때 최소 압력 값이 높아지게 됨으로써, 동일 속도 조건에서 캐비테이션 발생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프로펠러 날개와 추진축 부재의 경계부분의 압력면의 캐비테이션 초생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가 선박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제어장치가 포함된 선박과 포함되지 않은 선박에서의 프로펠러 날개에서 추진축 부재와의 경계 부분의 단면의 받음각을 측정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제어장치가 포함된 선박과 포함되지 않은 선박에서의 프로펠러 날개에서의 유동장 그래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가 선박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는 추진축 부재(110)와, 적어도 하나의 유동제어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추진축 부재(110)는 선박(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선박(10)의 후방을 향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추진축 부재(110)의 끝부분에는 프로펠러 날개(120)가 회전되게 결합될 수 있다. 추진축 부재(110)는 선박(10)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대(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추진축 부재(110)는 선박(10) 내부의 동력원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전달되고, 이러한 동력에 의해 프로펠러 날개(120)가 회전될 수 있다.
유동제어부재(130)는 캐비테이션 발생확률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한 유동제어부재(130)는 유동제어부재(130)는 상기 선박(10)이 전진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프로펠러 날개(1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제어부재(130)는 상기 추진축 부재(110)의 둘레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유동제어부재(130)에 의해 프로펠러 날개(120)의 받음각(AOA : Angle of Attack)의 편차가 감소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로펠러 날개(120)의 뿌리 부분, 즉, 프로펠러 날개(120)에서 추진축 부재(110)와의 경계 부분의 단면의 받음각의 편차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펠러 날개(120)로 유입되는 유체의 저항이 감소됨으로써, 유동제어부재(130)는 추진축 부재(110)의 측정위치에 설치되어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한, 유동제어부재(130)의 형상 및 바람직한 설치 위치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제어부재(130)의 형상의 일예로 수중익형(streamline shap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중익형이란 물이나 공기의 저항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하여 앞부분을 곡선으로 만들고, 뒤쪽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한 형태이다. 그리고 유동제어부재(130)는 상기추진축 부재(110)로부터 멀어질수록 비틀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동제어부재(130)는 전체 형상이 수중날개(hydrofoil)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추진축 부재(110)의 중심에서부터 유동제어부재(130)의 가장 끝부분까지의 거리(A)는 프로펠러 날개(120)의 반경의 60%를 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추진축 부재(110)의 중심에서부터 유동제어부재(130)의 가장 끝부분까지의 거리(A)가 프로펠러 날개(120)의 반경의 60%를 넘는 경우, 캐비테이션 발생 확률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유동제어부재(130)의 바람직한 설치 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제어장치가 포함된 선박과 포함되지 않은 선박에서의 프로펠러 날개에서 추진축 부재와의 경계 부분의 단면의 받음각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제어장치가 포함된 선박과 포함되지 않은 선박에서의 프로펠러 날개에서의 유동장 그래프이다.
도 6에서 X축의 값은 각도값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상에서 프로펠러의 수직단면의 12시 방향을 0°로 설정한 것이고, 시계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각도값이 증가된다. 그리고 Y축의 값은 받음각을 나타낸 것으로, 프로펠러 날개(120)에서 반경의 30%가 되는 위치, 즉, 프로펠러 날개(120)가 시작되는 부분(root)에서의 받음각을 수치화한 것이다. 받음각 계산은 일반적인 받음각 계산방법이 사용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6의 그래프는 비교예(X)와 실시예(O)의 2개의 받음각이 도시되어 있으며, 비교예(X)는 유동제어부재(130)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에서의 받음각이고, 실시예(O)는 유동제어부재(130)가 형성된 구조에서의 받음각이다. 그리고, 실시예(O)에서는 2개의 유동제어부재(130)가 추진축 부재(110)의 둘레면에 형성된 상태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제어부재(130)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X)에서의 받음각 그래프에서와 같이 마이너스(-) 값이 증가되면 프로펠러 날개(120) 앞단의 압력면에서의 압력이 낮아지고, 캐비테이션 발생확률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받음각이 최소화되는 지점에서 캐비테이션(Pressure-Side Rootcavitation)이 가장 먼저 발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동제어장치에서 유동제어부재(130)는 상기프로펠러 날개의 받음각이 마이너스 값이 되는 상기 추진축 부재(110)의 둘레면의 특정 영역(S)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설계된 프로펠러 날개(120) 형상 및 추진축 부재(110)와 같은 배의 형상이 결정됨에 따라 상기 프로펠러 날개(120)의 뿌리 부분 단면, 즉 상기 프로펠러 날개(120)에서 추진축 부재(120)와의 경계 부분의 단면 기준으로, 프로펠러 날개(120)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1회전 동안 겪게 되는 유동 받음각(AOA : Angle of Attack)이 주로 마이너스 값이 되는 프로펠러 날개(120) 각도 위치 근처 전방이면서 추진축 부재의 둘레면의 특정 영역에 유동제어부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펠러 날개(120)에서 추진축 부재(120)와의 경계 부분의 받음각이 마이너스 값일 때와 플러스 값일 때의 캐비테이션 발생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받음각이 마이너스 값이 된다는 것은 프로펠러 날개의 단면 압력면(pressure side)의 압력이 흡입면(suction side)의 압력보다 낮아지게 되는 것을 의미하고 이렇게 될 경우 압력면에 캐비테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오픈 샤프트 선박의 경우 프로펠러 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추진축 부재가 수평선 기준으로 선박의 후미 부분이 아래를 향하도록 기울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상기 프로펠러 날개로 유입되는 유동은 프로펠러 날개 단면 기준으로 위로 향하는 속도 성분이 많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펠러 날개에서 추진축 부재와의 경계 부분의 단면 기준으로 프로펠러 날개가 1회전하는 동안 겪게 되는 받음각의 변화가 매우 심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펠러 날개의 회전 방향으로 모든 각도 위치에서 압력면에서 흡입면 방향으로 힘이 발생하도록 하여야 한다. 즉, 프로펠러 날개의 단면의 받음각이 모두 플러스(+) 값이 되도록 프로펠러 날개의 형상을 설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받음각 분포가 되도록 날개 단면 피치를 설정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다르게 프로펠러 날개 단면의 받음각이 플러스(+) 값을 가지게 되면, 흡입면의 압력이 낮아지고 받음각이 더욱 큰 양의 값이 될수록 흡입면의 압력이 더 떨어져 압력면에 캐비테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그러나 프로펠러 날개 단면의 받음각이 마이너스(-) 값을 가지게 되면, 날개 단면의 압력면에 압력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받음각이 음의 값으로 그 절대값이 더욱 커지게 되면 압력면에 캐비테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날개 단면의 받음각이 프로펠러 날개의 1회전 동안 양의 최대값과 음의 최대값이 균형을 이루도록 날개 단면의 피치 각도를 설정해야 한다.
일반적인 선박의 경우 프로펠러 날개가 회전하면서 프로펠러 날개 흡입면의 압력이 압력면 보다 낮아져 선박의 전진 방향으로 추력이 발생하게 된다. 즉, 프로펠러 날개 설계 시에 선형에 의해 결정된 프로펠러 날개로 유입되는 선박 후류 유동을 고려하여 프로펠러 날개가 선박 전진 방향으로 추력을 낼 수 있도록 받음각을 제어하기 위해 피치 각도를 설정한다.
그러나 프로펠러 날개 단면의 받음각이 커지게 되면 프로펠러 날개 단면의 흡입면과 압력면의 압력차가 커져 캐비테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프로펠러 날개의 설계 시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여야 한다. 특히, 군함의 경우와 같이 캐비테이션 초생 속도가 중요한 경우에는 프로펠러 날개의 추진 효율뿐만 아니라 캐비테이션 발생 가능성을 모두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제어부재(130)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X)에 따른 구조와 다르게, 유동제어부재(130)를 포함하는 실시예(O)에 따른 구조에서는, Y축 값 -4.00이하 값들이 -4.00값 이상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비교예(X)에 따른 구조에서는 편차가 T1 이었으나, 실시예(O)에 따른 구조에서는 편차가 T2 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동제어장치에서는, 유동제어부재(130)가 상기추진축 부재(110)의 둘레면에서 상기 프로펠러 날개의 받음각이 마이너스 값이 되는 상기 추진축 부재(110)의 둘레면에 형성됨으로써, 마이너스(-) 값의 절대값이 전체적으로 감소하거나, 플러스(+) 값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프로펠러 날개(120)의 압력면 앞단의 압력이 높아져서 캐비테이션 발생확률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속력이 증가할수록 프로펠러의 회전수가 증가되면서 프로펠러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량(로딩)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유동 압력이 낮아짐으로써, 캐비테이션이 증가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에서는 유동제어부재(130)에 의해 프로펠러 날개(120)에서 추진축 부재(110)와의 경계 부분에 유입되는 유입 각도가 변화한다. 이에 따라, 동일 속도에서 프로펠러 날개(120)에서 추진축 부재(110)와의 경계 부분의 압력면에서의 캐비테이션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동제어장치에 1개의 유동제어부재(130)가 상기추진축 부재(11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경우, 유동제어부재(130)는 상기 추진축 부재(110)의 둘레면에서 상기 프로펠러 날개(120)에서 추진축 부재(110)와의 경계 부분의 받음각이 최저값이 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유동제어부재(130)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받음각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유동제어장치에서 유동제어부재(130)는 복수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유동제어부재(130)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제어부재(130)는 2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유동제어부재(130)가 2개인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3개인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제어장치가 복수개의 유동제어부재(130)로 이루어진 경우, 복수개의 유동제어부재(130)는 추진축 부재(110)의 둘레면에서 프로펠러 날개의 받음각이 최저값이 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Y값이 ±100°가 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복수개의 유동제어부재(130)는 프로펠러 회전 방향으로 ±100°가 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 날개의 받음각이 최저값이 되는 X값은 대략 240°이므로, 복수개의 유동제어부재(130)는 추진축 부재(110)의 둘레면에서 140°내지 340°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2개의 유동제어부재(130)가 추진축 부재(110)의 둘레 상에서 220°및 250°각각에 형성된 상태에서의 받음각이다.
단, 프로펠러 날개(120)의 형상 및 크기, 추진축 부재(110)와 주변부재의 구조에 따라, 측정된 받음각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선박(10)의 세부 구조에 따라 받음각이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동제어부재(130)의 설치위치도 변경될 수 있으므로, 유동제어부재(130)는 상기 추진축 부재(110)의 둘레 상에서 반드시 140°내지 340°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7에서, 좌측의 그래프는 유동제어부재(130)가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X)에서의 유동장 그래프이고, 우측의 그래프는 유동제어부재(130)가 형성된 실시예(O)에서의 유동장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동제어장치는 유동제어부재(130)가 상기프로펠러 날개의 받음각이 마이너스 값이 되는 상기 추진축 부재의 둘레면의 특정 영역에 형성됨에 따라, 비교예(X)의 G영역에서보다 실시예(O)의 G영역의 속도 벡터가 커졌음을 확인할 수 있고, 속도 벡터가 커졌다는 것은 속도가 증가하였다는 것이고, 이는 압력이 증가하였다는 것이다. 즉, 비교예(X)의 G영역에서보다 실시예(O)의 G영역에서 프로펠러 날개 앞단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동제어장치는 유동제어부재(130)에 의해 프로펠러 날개 앞단의 압력이 증가되어 캐비테이션 발생확률이 감소되고, 캐비테이션 초생 속도가 높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유동제어장치를 포함하지 않는 구조에서 프로펠러 날개(120)에서 추진축 부재(110)와의 경계 부분의 압력면의 캐비테이션 초생 속도가 10노트였다면, 유동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오픈 샤프트 선박의 캐비테이션 초생 속도는 15노트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선박
20: 지지대
110: 추진축 부재
120: 프로펠러 날개
130: 유동제어부재

Claims (5)

  1. 선박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선박의 후방을 향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끝단에 프로펠러 날개가 회전되게 결합된 추진축 부재, 및
    상기 선박이 전진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프로펠러 날개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추진축 부재의 둘레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동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제어부재는 상기 프로펠러 날개의 받음각(AOA : Angle of Attack)이 마이너스 값이 되는 상기 추진축 부재의 둘레면의 특정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제어부재는 상기 추진축 부재의 둘레면에서 상기 프로펠러 날개의 받음각(AOA : Angle of Attack)이 최저값이 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유동제어부재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유동제어부재는 프로펠러 회전 방향으로 ±100°가 되는 부분에 형성된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어부재는 수중익형(streamline shape)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추진축 부재로부터 멀어질수록 비틀어지게 형성된,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어부재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 유동제어부재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
KR1020130028223A 2013-03-15 2013-03-15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 KR101475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223A KR101475271B1 (ko) 2013-03-15 2013-03-15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223A KR101475271B1 (ko) 2013-03-15 2013-03-15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167A KR20140113167A (ko) 2014-09-24
KR101475271B1 true KR101475271B1 (ko) 2014-12-22

Family

ID=51757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223A KR101475271B1 (ko) 2013-03-15 2013-03-15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2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7379A1 (en) * 2022-03-16 2023-09-21 Yildiz Teknik Universitesi A cavitation controlled rudderless propuls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0957A (ja) * 2006-01-17 2007-08-02 Ryutai Techno Kk 船舶の推力増強シャフトブラケット
JP2010221974A (ja) * 2009-03-25 2010-10-07 Ihi Corp ポッド推進器
KR20110134191A (ko) * 2010-06-08 2011-1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오픈 샤프트형 선박
KR20130021052A (ko) * 2011-08-22 2013-03-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비대칭 비틀림 유동제어 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0957A (ja) * 2006-01-17 2007-08-02 Ryutai Techno Kk 船舶の推力増強シャフトブラケット
JP2010221974A (ja) * 2009-03-25 2010-10-07 Ihi Corp ポッド推進器
KR20110134191A (ko) * 2010-06-08 2011-1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오픈 샤프트형 선박
KR20130021052A (ko) * 2011-08-22 2013-03-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비대칭 비틀림 유동제어 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167A (ko)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3982A (ko) 선박의 전류고정날개
KR102037018B1 (ko) 소형 덕트가 달린 프로펠러 및 선박
JP2006306304A (ja) 推進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25369B1 (ko) 핀 구조물을 갖는 덕트형 선체 부가물
CN105035289A (zh) 全回转串联涵道式船用螺旋桨
JP2016193625A (ja) 船舶
KR102024176B1 (ko) 트위스트 러더의 제조방법
US20150203181A1 (en) Marine propellers
KR101475271B1 (ko)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
EP2143631B1 (en) Asymmetric preswirl stator of ship
US20140057506A1 (en) Marine tunnel thruster
KR20130125628A (ko) 선박 선미 유동 개선용 부채꼴 형상 덕트 부가물
KR101525791B1 (ko) 오픈 샤프트 선박의 유동제어장치
KR20080097658A (ko) 선박용 추력날개
KR20120068250A (ko) 선박용 덕트 구조체
KR20170062752A (ko) 선박의 비대칭 전류고정날개
KR102647301B1 (ko) 이동식 전류고정날개
KR102260455B1 (ko) 추진효율향상장치
CN112329128B (zh) 一种叶片载荷精细控制的船用高速泵喷水力模型及其设计方法
CN115071932B (zh) 一种节能定子构件以及船
Han et al. Marine Propeller Optimization Design
KR101589124B1 (ko) 선박의 추진장치
JP6621911B2 (ja) 揚力発生体
JP6827034B2 (ja) 船舶の推進装置
KR101238669B1 (ko) 선박용 프로펠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