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219B1 - 트랙터용 비료살포기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비료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219B1
KR101475219B1 KR1020130073447A KR20130073447A KR101475219B1 KR 101475219 B1 KR101475219 B1 KR 101475219B1 KR 1020130073447 A KR1020130073447 A KR 1020130073447A KR 20130073447 A KR20130073447 A KR 20130073447A KR 101475219 B1 KR101475219 B1 KR 101475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bucket
gate
tractor
fertilizer sp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부건
Original Assignee
김부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부건 filed Critical 김부건
Priority to KR1020130073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A01C19/02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7/00Fertilisers or seeders with centrifugal wheels
    • A01C17/006Regulating or dosing devices
    • A01C17/008Devices controlling the quantity or the distribution patter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비료를 수용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단에 형성된 게이트를 통해 유출되는 비료를 원심력에 의해 살포시키는 살포장치; 상기 양측의 프레임 사이에 보조 프레임이 연결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과 농기계 사이를 연결하는 턴버클;로 구성되되, 상기 보조 프레임에 고정된 레버 하우징에 축 결합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의 하단에 힌지축 결합되어 전후로 작동되는 로드에 의해 상기 게이트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트랙터용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레버 하우징의 하단부와 힌지축에 탄성스프링이 결합되되,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게이트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되는 트랙터용 비료살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트랙터의 프론트로더에 장착된 버킷에 비료살포기를 고정한 후 상기 버킷의 상하 이동에 따라 비료살포기의 게이트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능률 향상 그리고 비료살포기의 유지보수가 용이토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트랙터용 비료살포기{Fertilizer Distributor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의 프론트로더에 장착된 버킷에 비료살포기를 고정한 후 상기 버킷의 상하 이동에 따라 비료살포기의 게이트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트랙터용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용 비료살포기는 트랙터 후방에서 상하부 링크에 의해 연결되고 이동되면서 호퍼 내부의 비료를 살포하게 된다.
한편, 상기 트랙터에는 비료살포기, 로터베이터 등의 각종 농기계가 부착되어 사용되는데, 이때 상기 로터베이터에 의해 논 혹은 밭을 갈고 난 후 비료살포기에 의해 비료를 살포하게 된다.
이를 위해 로터베이터의 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상기 로터베이터를 분리시키고 비료살포기를 장착한 뒤 비료를 살포할 수 있게 되는데, 각 기구의 교체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교체를 위해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비료가 수장되는 저장탱크(10)가 구비되고, 아래로 상기 비료의 량을 조절하며 투하시키는 게이트(12)가 설치되며, 상기 게이트에서 투하되는 비료를 원심력에 의해 살포시키는 살포장치(30)를 구비하는 트랙터용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10) 하부로 고정되어 있는 양측의 프레임(16) 전방으로 중앙에 핀(19)이 끼워진 브라켓트(18)와; 통상의 로터베이터의 상부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양측에 형성된 측판(22)에는 요홈(24)이 형성되면서 상기 브라켓트의 핀(19)이 끼워지고 비료살포기 본체(100)가 회동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고정판(20)과; 상기 양측의 프레임(16) 사이에 보조 프레임(50)이 연결되고 상기 보조프레임에 부착된 핀(54)과 통상의 로터베이터에 사이를 연결하는 각도조절장치(60)와; 상기 저장탱크(10)의 하부에 설치된 살포장치(30)는 구동장치(32)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38)과 상기 회전판에 장착된 다수의 날개(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비료살포기"가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트랙터용 비료살포기는, 로터베이터에 장착된 비료살포기의 구조적 한계로 작업자가 일일이 조작레버를 작동하여 게이트를 열고 닫으므로 비료 살포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더러 이로 인해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상기 조작레버를 유압실린더나 전자밸브로 제어하여 게이트의 개폐를 수행하는 비료살포기도 있으나, 이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나 전자밸브는 상당한 고가에 해당하므로 경제적 부담감이 있을뿐더러 상기 유압실린더나 전자밸브의 잦은 고장으로 비료살포기의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739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랙터의 프론트로더에 장착된 버킷에 비료살포기를 고정한 후 상기 버킷의 상하 이동에 따라 비료살포기의 게이트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능률 향상 그리고 비료살포기의 유지보수가 용이토록 하는 트랙터용 비료살포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비료살포기는, 한 쌍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비료를 수용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단에 형성된 게이트를 통해 유출되는 비료를 원심력에 의해 살포시키는 살포장치; 상기 양측의 프레임 사이에 보조 프레임이 연결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과 농기계 사이를 연결하는 턴버클;로 구성되되, 상기 보조 프레임에 고정된 레버 하우징에 축 결합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의 하단에 힌지축 결합되어 전후로 작동되는 로드에 의해 상기 게이트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트랙터용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레버 하우징의 하단부와 힌지축에 탄성스프링이 결합되되,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게이트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농기계로는 프론트로더에 장착된 버킷이 사용되고; 상기 버킷에 비료살포기를 고정하기 위해, 양측 프레임의 전방에는 수직방향의 결합봉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봉에 대응토록 버킷의 바닥면에는 한 쌍의 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버킷의 상단에는 턴버클이 연결되며; 상기 조작레버의 상단과 프론트로더의 지지대에는 구동줄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트랙터의 프론트로더에 장착된 버킷에 비료살포기를 고정한 후 상기 버킷의 상하 이동에 따라 비료살포기의 게이트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능률 향상 그리고 비료살포기의 유지보수가 용이토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종래 트랙터용 비료살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도 1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비료살포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 - 본 발명에 있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조작레버의 작동을 도시한 참고도.
도 5,6,7 - 본 발명이 프론트로더에 장착된 버킷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8 - 본 발명이 트랙터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참고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비료살포기(100)는,
한 쌍의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비료를 수용하는 호퍼(120); 상기 호퍼(120)의 하단에 형성된 게이트(121)를 통해 유출되는 비료를 원심력에 의해 살포시키는 살포장치(130); 상기 양측의 프레임(110) 사이에 보조 프레임(111)이 연결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111)과 농기계 사이를 연결하는 턴버클(140);로 구성되되, 상기 보조 프레임(111)에 고정된 레버 하우징(150)에 축(151a) 결합되는 조작레버(151)와, 상기 조작레버(151)의 하단에 힌지축(152a) 결합되어 전후로 작동되는 로드(152)에 의해 상기 게이트(121)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트랙터용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레버 하우징(150)의 하단부와 힌지축(152a)에 탄성스프링(153)이 결합되되, 상기 탄성스프링(153)의 탄성에 의해 게이트(121)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10); 호퍼(120); 회전판(131)과, 상기 회전판(131)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32) 및 모터 축(132a)으로 이루어진 살포장치(130); 턴버클(140); 조작레버(151);는 비료살포기(100)를 구성하는 통상의 공지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하우징(150)의 하단부와 힌지축(152a)에는 탄성스프링(153)이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153)은 조작레버(151)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탄성에 의해 비료살포기(100)의 게이트(121)는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물론 상기 탄성스프링(153)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상기 레버 하우징(150)의 하단부에는 통공(150a)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50a)과 힌지축(152a)에 탄성스프링(153)의 양단에 형성된 고리가 끼워져 고정될 수도 있다.
[도 4]는 상기 탄성스프링(153)에 의한 조작레버(151)의 작동을 도시한 것으로, 구동줄(154)에 농기계에 의한 외부의 힘, 즉 상기 외부의 힘에 의해 구동줄(154)이 당겨지게 되면, 조작레버(151)는 하방향으로 작동되고 상기 조작레버에 힌지축 결합된 로드(152)는 전진(F 방향)하면서 게이트(121)를 열고; 상기 외부의 힘이 해제되면, 탄성스프링(153)의 탄성에 의해 로드(152)는 후퇴(R 방향)되면서 게이트(121)를 닫게 된다.
물론 상기 탄성스프링(153)의 탄성에 의해 조작레버(151) 또한 상방향으로 작동됨은 당연하다.
상기 구동줄(154)에 농기계에 의한 외부의 힘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은 하기와 같다.
상기 농기계로는 프론트로더(A)에 장착된 버킷(B)이 사용되고; 상기 버킷(B)에 비료살포기(100)를 고정하기 위해, 양측 프레임(110)의 전방에는 수직방향의 결합봉(1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봉(112)에 대응토록 버킷(B)의 바닥면에는 한 쌍의 통공(b)이 형성되되, 상기 버킷(B)의 상단에는 턴버클(140)이 연결되며; 상기 조작레버(151)의 상단과 프론트로더(A)의 지지대(a)에는 구동줄(154)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버킷(B)의 바닥면에 형성된 한 쌍의 통공(b)에 프레임(110)의 전방에 형성된 결합봉(112)이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110)의 사이에 연결된 보조 프레임(111)과 버킷(B)의 상단에 턴버클(140)이 연결됨으로써 비료살포기(100)는 상기 버킷(B)에 안착·고정된다.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111)과 버킷(B)의 상단에는 턴버클(140)의 연결, 즉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핀 결합구조의 'ㄷ'자 형의 브래킷(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비료살포기(100)는 상기한 방법과 함께 원터치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버킷(B)에 고정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트랙터용 비료살포기(1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로더(A)의 구동에 의해 버킷(B)이 하방향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되면 구동줄(154)이 팽팽하게 되면서 조작레버(151)를 당겨 [도 4]의 F 방향으로 로드(152)를 움직여 게이트(121)를 열고, 다시 버킷(B)이 원상태로 복귀(상방향으로 소정각도 움직임)하면 구동줄(154)이 느슨해 짐과 동시에 탄성스프링(153)의 탄성에 의해 조작레버(151)가 당겨져 [도 4]의 R 방향으로 로드(152)를 움직여 게이트(121)를 닫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존의 로터베이터가 아닌 버킷(B)에 비료살포기(100)를 고정하고, 상기 비료살포기(100)의 게이트(121)는 탄성스프링(153)과 구동줄(154)에 의해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수동으로 일일이 조작레버(151)를 조작하여 게이트(121)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버킷(B)의 상하 움직임 하나로 게이트(121)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탄성스프링(153)은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할 뿐더러 상기 탄성스프링(153)의 고장시 게이트(121)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유압실린더나 전자밸브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상기 탄성스프링(153)만 교체하면 되므로 비용절감과 함께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할 것입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비료살포기
110: 프레임 111: 보조 프레임
112: 결합봉 120: 호퍼
130: 살포장치 131: 회전판
132: 모터 140: 턴버클
150: 레버 하우징 151: 조작레버
152: 로드 153: 탄성스프링
154: 구동줄 A: 프론트로더
a: 지지대 B: 버킷

Claims (2)

  1. 한 쌍의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비료를 수용하는 호퍼(120); 상기 호퍼(120)의 하단에 형성된 게이트(121)를 통해 유출되는 비료를 원심력에 의해 살포시키는 살포장치(130); 상기 양측의 프레임(110) 사이에 보조 프레임(111)이 연결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111)과 농기계 사이를 연결하는 턴버클(140);로 구성되되, 상기 보조 프레임(111)에 고정된 레버 하우징(150)에 축(151a) 결합되는 조작레버(151)와, 상기 조작레버(151)의 하단에 힌지축(152a) 결합되어 전후로 작동되는 로드(152)에 의해 상기 게이트(121)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고, 상기 레버 하우징(150)의 하단부와 힌지축(152a)에 탄성스프링(153)이 결합되되, 상기 탄성스프링(153)의 탄성에 의해 게이트(121)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되는 트랙터용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농기계로는 프론트로더(A)에 장착된 버킷(B)이 사용되고;
    상기 버킷(B)에 비료살포기(100)를 고정하기 위해, 양측 프레임(110)의 전방에는 수직방향의 결합봉(1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봉(112)에 대응토록 버킷(B)의 바닥면에는 한 쌍의 통공(b)이 형성되되, 상기 버킷(B)의 상단에는 턴버클(140)이 연결되며;
    상기 조작레버(151)의 상단과 프론트로더(A)의 지지대(a)에는 구동줄(154)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비료살포기.
  2. 삭제
KR1020130073447A 2013-06-26 2013-06-26 트랙터용 비료살포기 KR101475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447A KR101475219B1 (ko) 2013-06-26 2013-06-26 트랙터용 비료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447A KR101475219B1 (ko) 2013-06-26 2013-06-26 트랙터용 비료살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219B1 true KR101475219B1 (ko) 2014-12-22

Family

ID=5267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447A KR101475219B1 (ko) 2013-06-26 2013-06-26 트랙터용 비료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2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9385A (zh) * 2020-07-16 2020-11-03 江西省棉花研究所 一种提高番茄产量和品质的施肥技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223Y1 (ko) * 1998-03-13 2000-05-01 고경하 경운기를이용한비료살포장치의살표량조절장치
KR200237398Y1 (ko) * 2001-04-04 2001-10-10 이재용 트랙터용 비료살포기
KR200312838Y1 (ko) * 2003-02-20 2003-05-16 남영석 비료살포기
KR200339886Y1 (ko) * 2003-10-14 2004-01-28 박종문 자주식 비료살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223Y1 (ko) * 1998-03-13 2000-05-01 고경하 경운기를이용한비료살포장치의살표량조절장치
KR200237398Y1 (ko) * 2001-04-04 2001-10-10 이재용 트랙터용 비료살포기
KR200312838Y1 (ko) * 2003-02-20 2003-05-16 남영석 비료살포기
KR200339886Y1 (ko) * 2003-10-14 2004-01-28 박종문 자주식 비료살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9385A (zh) * 2020-07-16 2020-11-03 江西省棉花研究所 一种提高番茄产量和品质的施肥技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22066A (en) Bulldozing attachment for tractors
CN108142037A (zh) 一种多功能植树装置
CN105386769A (zh) 多功能巷道修复机
CN104823560A (zh) 一种果园挖坑施肥同步作业装置
KR101475219B1 (ko) 트랙터용 비료살포기
KR20150007373A (ko) 트랙터 후방에 작업기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장치
CN102696336B (zh) 可旋转移出粮箱装置的联合收割机
US2717704A (en) Material handling device
CN210782857U (zh) 一种用于银耳烘干用的干燥装置
CN204810894U (zh) 一种果园挖坑施肥同步作业装置
KR101461113B1 (ko) 버켓 각도 조절을 위한 로우더 구조
CN205475226U (zh) 一种60o双排自动打桩装置
CN105780833B (zh) 一种智能化多功能工程机械
CN109577405A (zh) 一种属具用液压快换机构
CN208965552U (zh) 一种用于预应力管桩安装的新型打桩机
US11208784B2 (en) Quick change coupl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253974B1 (ko) 로터베이터의 덮개 개폐장치
CN205277426U (zh) 多功能巷道修复机
KR101720956B1 (ko) 트랙터 후방에 장착되는 버켓 장치
KR102496021B1 (ko)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
CN205681848U (zh) 一种施肥装置
CN201919312U (zh) 手爪式播种机
CN204505545U (zh) 桥梁支座锚固料搅拌装置
CN220476299U (zh) 一种蔬菜苗移栽工具
KR20200064311A (ko) 로터베이터용 흙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