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314B1 - 직물용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 Google Patents

직물용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314B1
KR101474314B1 KR1020130046919A KR20130046919A KR101474314B1 KR 101474314 B1 KR101474314 B1 KR 101474314B1 KR 1020130046919 A KR1020130046919 A KR 1020130046919A KR 20130046919 A KR20130046919 A KR 20130046919A KR 101474314 B1 KR101474314 B1 KR 101474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ight emitting
electrode layer
emitting display
back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8128A (ko
Inventor
최철수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130046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314B1/ko
Publication of KR20140128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08Clothing or clothing accessories, e.g. scarfs, gloves or bel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21/06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personal w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직물용 조명장치는 발광 디스플레이부;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기 위한 전원 공급 및 제어부; 및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원 공급 및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전도성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물용 조명장치는 직물 형태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직물 소재를 함유하는 의류, 신발, 가방, 모자, 벨트 등에 부착 및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직물용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LIGHTING APPARATUS FOR FABRICS AND PRODUCT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직물용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직물 형태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직물 소재를 함유하는 의류, 신발, 가방, 모자, 벨트 등에 적용하여 사용이 용이하고, 세탁할 수 있는 직물용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의류, 신발, 가방, 모자, 벨트 등의 신변 잡화품들은 브랜드 로고 등 장식 또는 광고 수단을 부각시키거나, 야간에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수단으로 반사직물 등을 부착하기도 한다. 그러나, 반사직물 등은 단순히 반사 빛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환경에 따라 그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반사직물 대신 발광수단(조명장치)을 적용하여 브랜드 로고 등 장식 또는 광고 수단을 부각시키고, 야간 안전 수단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를 신변 잡화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비오는 날이나 세탁 등을 감안하여 방수 구조가 필수적이다. 또한, 세탁 시에는 조명(발광)을 위한 전원 및 컨트롤 유닛은 분리가 가능해야 한다.
공개실용신안 20-2009-0004642호에는 의류, 가방, 신발, 모자에 부착하는 전기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조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이엘 조명장치는 방수 처리 및 전원 및 컨트롤 유닛이 분리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이엘 조명장치 등에 사용되는 연결부는 플라스틱 필름, 섬유 등의 형태를 가지므로, 세탁 등 마찰이 심한 환경에서 구겨지거나 끊어져 전원 공급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종래 필름 형태 연결부의 경우, 부드럽지 않고 직물 제품과 다른 이질감이 있어 민감한 피부와 접촉되는 의복 등에 사용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 형태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직물 소재를 함유하는 의류, 신발, 가방, 모자, 벨트 등에 부착되어 사용이 용이하고, 세탁할 수 있는 직물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직물용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직물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직물용 조명장치는 발광 디스플레이부;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기 위한 전원 공급 및 제어부; 및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원 공급 및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전도성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 하부에 적층되는 투명 전극층; 상기 투명 전극층 하부에 적층되는 제1 배면 전극층; 상기 제1 배면 전극층 하부에 적층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하부에 적층되는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하부에 적층되는 제2 배면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배면 전극층 및 상기 제2 배면 전극층에 상기 연결부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전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외부에 상기 연결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밀봉되도록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은, 금, 구리, 니켈, 코발트, 주석, 철, 백금, 팔라듐, 크롬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이 직물에 0.1 내지 20 ㎛의 두께로 도금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물은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올레핀 및 폴리염화비닐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섬유가 직조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물의 두께는 0.1 내지 1,00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직물용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제품은 의류, 신발, 가방, 모자, 또는 벨트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직물용 조명장치는 상기 제품에 우레탄계 접착제 및 핫멜트 방법을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직물 형태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직물 소재를 함유하는 의류, 신발, 가방, 모자, 벨트 등에 부착되어 사용이 용이하고, 세탁할 수 있는 직물용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용 조명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디스플레이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 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하며, “상부”, “하부”의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 또는 “제2 ”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도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용 조명장치의 개념도(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물용 조명장치는 발광 디스플레이부(10),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부(10)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기 위한 전원 공급 및 제어부(30), 및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부(10)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원 공급 및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20)는 전도성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기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디스플레이 패널(10)으로는 통상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부, 무기 발광 디스플레이부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플렉서블(flexible) 유기 또는 무기 발광 디스플레이부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디스플레이부(10) 의 단면도(측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부(10)은 투명 기판(11), 상기 투명 기판(11) 하부에 적층되는 투명 전극층(12), 상기 투명 전극층(12) 하부에 적층되는 제1 배면 전극층(13), 상기 제1 배면 전극층(13) 하부에 적층되는 절연층(14), 상기 절연층(14) 하부에 적층되는 발광층(15), 및 상기 발광층(15) 하부에 적층되는 제2 배면 전극층(16)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배면 전극층(13) 및 상기 제2 배면 전극층(16)에 상기 연결부(20)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부(10)의 구성 요소는 통상적인 발광 디스플레이부의 구성 요소와 동일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투명 전극층(12)은 도전성을 가진 투명한 필름 형태이거나, 도전성 폴리머, ITO 잉크 등의 도막 형태일 수 있고, 상기 발광층(형광층: Luminance Layer, 15)은 발광이 이루어지는 층으로서, 유기 또는 무기 형광체와 결합제를 혼합하여 인쇄한 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유전층: Dielectric Layer, 14)은 투명 전극층(12)과 제1 및 제2 배면 전극층(13, 16)에 전원을 인가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절연 파괴를 방지하고, 발광층(15)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배면 전극층(13, 16)은 금속 전극이라고도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전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외부에 상기 연결부(2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밀봉되도록 (방수)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전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방수 처리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실리콘 등의 도막 또는 필름 융착 등에 의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전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투명 기판(11) 상부에는 문자, 도형, 캐릭터, 로고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음각 형태의 필름, 인쇄층 등이 더욱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결부(20)는 상기 전기 디스플레이 패널(10)와 상기 전원 공급 및 제어부(30)를 연결하고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도성 직물이 사용된다. 상기 전도성 직물은 전도성 금속을 직물에 도금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금속으로는 은, 금, 구리, 니켈, 코발트, 주석, 철, 백금, 팔라듐, 크롬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금 두께는 0.1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 ㎛ 일 수 있다. 상기 도금의 두께 범위에서 연결부의 역할 및 세탁 등의 마찰에 의해 구겨지거나 끊어지지 않고 직물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직물은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올레핀 및 폴리염화비닐 등의 고분자 섬유가 직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1종 이상 혼합하여 직조될 수 있다. 상기 직물의 두께는 0.1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연결부의 역할 및 세탁 등의 마찰에 의해 구겨지거나 끊어지지 않고 직물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전도성 직물은 등록특허공보 10-0222338호 및 10-0655727호의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특허들을 참조로서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직물을 가성소다 또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가열한 후; 온탕에서 충분히 수세하고; 산성 용액에서 실온으로 에칭 처리한 후; 처리된 직물을 수세하고, 염화피라듐, 염화주석 등의 용액에 같은 비율의 염산을 첨가한 용액에 침적시켜 수세한 다음; 주석을 제거하고, 잔류한 주석은 가성소다 용액에서 실온에서 침적시켜 완전히 제거한 다음; 예를 들어, 황산동, 가성소다 및 롯셀염을 포함하는 포르말린의 혼합액에 침적시키고, 수세한 후; 예를 들어, 황산니켈, 구연산, 및 치아인산소다를 포함하는 도금 용액에서 침적하여, 니켈 금속이 약 0.2 ㎛ 두께로 형성된 전도성 직물을 얻을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직물을 가성소다 또는 계면활성제로 에칭 처리하고; 이를 수세 처리한 다음; 염산 용액으로 산세 처리한 후; 이를 수세 처리하고; 염산 용액으로 예비촉매 처리한 후; 염화파라듐과 염화주석이 포함된 혼합용액에 동일한 비율의 상온의 3N 염산을 첨가한 용액으로 침적시켜 촉매처리를 한 다음; 이를 수세 처리하고; 무전해 도금 석출의 활성화를 위해 황산용액으로 활성화 처리한 후; 다시 수세 처리하고, 상기의 활성화된 표면에 균일한 니켈도금을 얻기 위해 황산니켈, 차아인산소다, 및 구연산소다를 포함하는 pH 8.0 내지 9.5의 용액에서 무전해 니켈 도금액 처리한 다음; 이를 다시 수세 처리하고; 염화동, 가성소다, 포르말린, 킬레이트의 pH 11.5 내지 13.0 용액에서 무전해 염화동 도금액 처리한 다음; 잔류 약품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이를 수도수로 수세 처리한 후; 물기를 제거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전도성 직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원 공급 및 제어부(30)는 통상의 전기발광 조명장치에 사용되는 전원 공급 및 제어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원 공급 및 제어부(30)는, 소형 배터리(리튬 배터리 등) 등의 전원;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는 전원 스위치; 전원 온(on)/오프(off)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부(10)에서 발광되는 빛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 직류를 사인파형 교류로 변형시키는 인버터; 상기 연결부(20)와 연결되며, 연결부(20)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도선 및 연결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부(10)에서 발광되는 빛이 일정 시간마다 점등되거나, 발광 디스플레이부(10) 소자별로 각각 시간 차이를 두고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상기 직물용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광고 수단 등을 부각시키거나, 야간에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품은 의류, 신발, 가방, 모자, 벨트 등의 신변 잡화품일 수 있으나, 조명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제품이면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에서, 상기 직물용 조명장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품의 표면 또는 내부에 부착 또는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장치, 예를 들면,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부(10)의 하부(제2 배면 전극층(16) 하부) 또는 코팅층 하부를 제품에 우레탄계 접착제로 1차 접착시키고, 접착 부위를 핫멜트 방법을 사용하여 최종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품은 상기 전원 공급 및 제어부(30) 분리 후, 제품을 세탁할 수 있으며, 직물 형태의 연결부(20)를 포함함으로써, 세탁 시 마찰에 의해 연결부가 구겨지거나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발광 디스플레이부;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기 위한 전원 공급 및 제어부; 및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원 공급 및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전도성 직물이고,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 하부에 적층되는 투명 전극층; 상기 투명 전극층 하부에 적층되는 제1 배면 전극층; 상기 제1 배면 전극층 하부에 적층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하부에 적층되는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하부에 적층되는 제2 배면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배면 전극층 및 상기 제2 배면 전극층에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용 조명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외부에 상기 연결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밀봉되도록 코팅층이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용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은, 금, 구리, 니켈, 코발트, 주석, 철, 백금, 팔라듐 및 크롬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이 직물에 0.1 내지 20 ㎛의 두께로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용 조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올레핀 및 폴리염화비닐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섬유가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용 조명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두께는 0.1 내지 1,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용 조명장치.
  8.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직물용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제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의류, 신발, 가방, 모자, 또는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용 조명장치는 상기 제품에 우레탄계 접착제 및 핫멜트 방법을 사용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KR1020130046919A 2013-04-26 2013-04-26 직물용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1474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919A KR101474314B1 (ko) 2013-04-26 2013-04-26 직물용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919A KR101474314B1 (ko) 2013-04-26 2013-04-26 직물용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128A KR20140128128A (ko) 2014-11-05
KR101474314B1 true KR101474314B1 (ko) 2014-12-18

Family

ID=5245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919A KR101474314B1 (ko) 2013-04-26 2013-04-26 직물용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3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920A (ko) * 2021-05-12 2022-11-21 주식회사 엘티전자 직물 조명장치의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727B1 (ko) * 2006-06-29 2006-12-08 최철수 전자파 차폐를 위한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
KR100982091B1 (ko) * 2008-04-07 2010-09-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기 이엘이 부착된 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소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727B1 (ko) * 2006-06-29 2006-12-08 최철수 전자파 차폐를 위한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
KR100982091B1 (ko) * 2008-04-07 2010-09-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기 이엘이 부착된 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소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920A (ko) * 2021-05-12 2022-11-21 주식회사 엘티전자 직물 조명장치의 고정장치
KR102570599B1 (ko) 2021-05-12 2023-08-28 주식회사 엘티전자 직물 조명장치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128A (ko)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2610B2 (en) Electroluminescent textil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4354185B2 (ja) 照明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およびプロセス
CN1322837C (zh) 编织电子纺织品、纱和物品
ES2623052T3 (es) Aparato electrodoméstico con panel de mando capacitivo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ón
US8384288B2 (en) Electroluminescent fabric embedding illuminated fabric display
US9557049B1 (en) Washable lighted garment with light effect material
JP6143670B2 (ja) 照明機能を持つ布地製品及びその製造のための方法
KR101474314B1 (ko) 직물용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US9506643B1 (en) LED lighting module with light effect material
US9706803B2 (en) Wearable light unit with multiple LEDs and light effect material
WO2015174135A1 (ja) Led実装テープ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衣服
WO2018166966A1 (en) Luminescent fiber, luminescent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a luminescent fiber
TW200916699A (en) Fabric display with diffuser
CN203290256U (zh) 具led闪灯的反光带以及运用该反光带的安全背心
US10813391B2 (en) Electroluminescent compact laminar element
US9705262B2 (en) Electronic subassembly for apparel
KR20090004642U (ko) 의류,가방,신발,모자에 부착하는 이엘(el) 조명장치.
KR100982091B1 (ko) 무기 이엘이 부착된 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소재
US9863615B2 (en) Insertable lighting module with light effect material
JP3193436U (ja) Led実装テープ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衣服
US9724211B1 (en) Prosthetic devices having electronic display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JP3192015U (ja) Led実装テープ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衣服
KR102486207B1 (ko) 광원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11957607B1 (en) Prosthetic devices having electronic display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JP2000133438A (ja) 照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