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250B1 - 의류 제작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의류 - Google Patents

의류 제작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250B1
KR101474250B1 KR1020130079414A KR20130079414A KR101474250B1 KR 101474250 B1 KR101474250 B1 KR 101474250B1 KR 1020130079414 A KR1020130079414 A KR 1020130079414A KR 20130079414 A KR20130079414 A KR 20130079414A KR 101474250 B1 KR101474250 B1 KR 101474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
foot
folded portion
folded
t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신미
Original Assignee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79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2/00Multi-step production lines for making clo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감각의 의류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시킬 수 있는 의류 제작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의류에 관한 것으로, 양말 한쪽을 재단하여 다양하게 모듈화하고, 모듈들을 봉제하여 의류를 제작한다.

Description

의류 제작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의류{MODULE FOR MANUFACTURING OF CLOTHES AND PRODUCT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 제작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의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감각의 의류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시킬 수 있는 의류 제작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의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는, 미리 결정된 설계 디자인, 형상, 사이즈에 따라 원단의 재단, 봉제, 끝손질 가공 등의 제조공정을 거쳐 상품화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판매되고 있는 상품(의류) 중에서 선호하는 디자인의 형상과 자신의 사이즈에 적합한 상품을 구입하게 된다.
한편, 최근 인터넷이나 정보통신 등과 같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시시각각 유행이 급변하면서 젊은 계층의 경우 시대의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표출하기 위해 의류선택에 있어 많은 신경을 쓰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전술한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된 종래의 의류들은 획일적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개개인의 개성과 욕구를 전혀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의류들은 대량생산 및 대량판매에 의하여 단일화된 디자인만을 강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자신만의 개성을 추구하는 현대인들, 특히 젊은 계층에 걸맞은 독특한 디자인을 갖는 의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양말 한쪽을 재단하여 다양하게 모듈화하고, 모듈들을 봉제하여 의류를 제작함으로써, 새로운 감각의 의류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시킬 수 있는 의류 제작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의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양말의 한쪽을 재단해서 얻어지는 의류 제작용 모듈에 있어서, 의류 제작용 모듈은, 사람의 발과 발목을 측면에서 봤을 때와 같은 형상이 되도록 양말 한쪽을 납작하게 접은 후, 고르게 펼쳐 준비하는 단계(S10); 양말의 발가락부와 인접하게 연결된 발등부에서부터 발가락부와 인접하게 연결된 발바닥부까지 연장되는 가상의 제 1 재단선을 따라 양말의 발가락부를 제거하는 단계(S12); 양말의 발바닥부의 접힌부분, 발바닥부의 접힌부분과 연결되는 뒷꿈치부의 접힌부분, 발목부의 접힌부분, 및 밴드부의 접힌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 2 재단선을 따라 양말을 오려내는 단계(S14); 및 양말을 전개한 상태 하에서 제 1 재단선을 따라 재단되어 형성된 제 1 재단면 및 제 2 재단선을 따라 재단되어 형성된 제 2 재단면을 오버록 기계를 이용해 휘갑치거나, 또는 바이어스 테이프로 감싸 마감 처리하는 단계(S16);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양말의 한쪽을 재단해서 얻어지는 의류 제작용 모듈에 있어서, 의류 제작용 모듈은, 사람의 발과 발목을 측면에서 봤을 때와 같은 형상이 되도록 양말 한쪽을 납작하게 접은 후, 고르게 펼쳐 준비하는 단계(S20); 양말의 발가락부와 인접하게 연결된 발등부에서부터 발가락부와 인접하게 연결된 발바닥부까지 양말의 발가락부를 제거하는 단계(S22); 양말의 발등부의 접힌부분, 발등부의 접힌부분과 연결되는 발목부의 접힙부분 및 밴드부의 접힌부분을 오려내는 단계(S24); 및 양말을 전개한 상태 하에서 오버록 기계를 이용해 휘갑치거나, 또는 바이어스 테이프로 감싸 재단면들을 마감 처리하는 단계(S26);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은, 모듈의 이면 측에서 양말의 뒷꿈치부 입구를 수평 또는 수직하게 봉제하는 단계(S28-1), 또는 모듈의 이면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뒷꿈치부를 상기 모듈의 표면 측으로 빼내는 단계(S28-2)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양말의 한쪽을 재단해서 얻어지는 의류 제작용 모듈에 있어서, 의류 제작용 모듈은, 사람의 발과 발목을 측면에서 봤을 때와 같은 형상이 되도록 상기 양말 한쪽을 납작하게 접은 후, 고르게 펼쳐 준비하는 단계(S30); 양말의 발등부에 인접한 발가락부의 접힌부분에서부터 발가락부의 접힌부분, 발가락부의 접힌부분과 연결되는 발바닥부의 접힌부분, 및 발바닥부의 접힌부분과 연결되는 뒷꿈치부의 접힌부분을 오려내는 단계(S32); 및 양말의 재단면을 오버록 기계를 이용해 휘갑치거나, 또는 바이어스 테이프로 감싸 마감 처리하여 단계(S34);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양말의 한쪽을 재단해서 얻어지는 의류 제작용 모듈에 있어서, 의류 제작용 모듈은, 사람의 발과 발목을 측면에서 봤을 때와 같은 형상이 되도록 양말 한쪽을 납작하게 접은 후, 고르게 펼쳐 준비하는 단계(S40); 양말의 발등부에 인접한 발가락부의 접힌부분에서부터 발가락부의 접힌부분, 발가락부의 접힌부분과 연결되는 발바닥부의 접힌부분, 발바닥부의 접힌부분과 연결되는 뒷꿈치부의 접힌부분, 상기 뒷꿈치부의 접힌부분과 연결되는 발목부의 접힌부분, 및 상기 발목부의 접힌부분과 연결되는 밴드부의 접힌부분을 오려내는 단계(S42); 및 양말을 전개한 상태 하에서 재단면을 오버록 기계를 이용해 휘갑치거나, 또는 바이어스 테이프로 감싸 마감 처리하여 단계(S44);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양말의 한쪽을 재단해서 얻어지는 의류 제작용 모듈에 있어서, 의류 제작용 모듈은, 사람의 발과 발목을 측면에서 봤을 때와 같은 형상이 되도록 양말 한쪽을 납작하게 접은 후, 고르게 펼쳐 준비하는 단계(S50); 양말의 발가락부와 인접하게 연결된 발등부에서부터 발가락부와 인접하게 연결된 발바닥부까지 연장되는 가상의 제 1 재단선을 따라 양말의 발가락부를 제거하는 단계(S51); 양말의 발바닥부의 접힌부분, 발바닥부의 접힌부분과 연결되는 뒷꿈치부의 접힌부분, 발목부의 접힌부분, 및 밴드부의 접힌부분을 오려내는 단계(S52); 양말의 발등부의 접힌부분, 발등부의 접힌부분과 연결되는 발목부의 접힙부분 및 밴드부의 접힌부분을 오려내는 단계(S53); 양말의 두 개로 분리되면 재단면의 일부를 접어 다트를 형성하는 단계(S54); 및 양말의 재단면을 오버록 기계를 이용해 휘갑치거나, 또는 바이어스 테이프로 감싸 마감 처리하여 단계(S55);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말(10) 한쪽을 재단하여 다양하게 모듈화하고, 모듈들을 적절하게 편성한 후 봉제하여 의류를 제작함으로써, 새로운 감각의 의류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말을 이용한 독특한 디자인으로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들의 제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들로 제작된 의류들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들은 통상의 양말(10) 한쪽을 재단해 얻어진다.
양말(10)로는 다양한 소재로 편직된 양말(10)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양말(10)로는 발가락부(11), 발등부(12), 발바닥부(13), 뒷꿈치부(14), 발목부(15) 및 밴드부(16)로 이루어진 양말(10)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의 제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100a)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우선, 양말(10) 한쪽을 준비한 후(단계 S10), 양말(10)의 발가락부(11)를 제거한다(단계 S12).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100a)의 제작을 위해 준비되는 양말(10)은 사람의 발과 발목을 측면에서 봤을 때와 유사한 형상이 되도록 양말(10)을 납작하게 접은 후, 이를 고르게 펼쳐 제공된다.
즉, 단계(S10)에서의 양말(10)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가락부(11)의 양측이 포개지도록 접고, 발등부(12) 및 발바닥부(13)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접혀 제공된다. 또한 발목부(15) 및 밴드부(16)도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접히면서 발등부(12) 및 발바닥부(13)에 대해 굴곡지지 않게 평평하게 제공된다.
그리고 단계(S12)에서의 발가락부(11)는 통상의 절단수단, 예를 들면 재단가위 등에 의해 제거된다. 즉 발가락부(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단가위를 이용해 발가락부(11)와 인접하게 연결된 발등부(12)에서부터 발가락부(11)와 인접하게 연결되는 발바닥부(13)까지 연장된 가상의 제 1 재단선(CL1)을 따라 재단함으로써 제거된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가락부(11)는 발가락부(11)와 인접하게 연결되는 발바닥부(13)에서부터 발가락부(11)와 인접하게 연결된 발등부(12)까지를 재단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제 1 재단선(CL1)을 따라 재단되어 형성된 제 1 재단면은 후술하는 공정(단계 S14)에 의해 전개된 양말(10)의 밴드부(16) 상단과 평행을 이루도록 재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양말(10)의 발가락부(11)가 제거되면(S12), 다음으로 발바닥부(13), 발바닥부(13)와 연결되는 뒷꿈치부(14), 발목부(15), 및 밴드부(16)의 접힌 부분을 오려낸다(단계 S14).
단계(S14)에서는 단계(S12)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절단수단, 예를 들면 재단가위 등에 의해 오려진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단가위를 이용해 발바닥부(13)의 접힌 부분, 그리고 발바닥부(13)의 접힌 부분과 연결된 뒷꿈치부(14)의 접힌 부분, 뒷꿈치부(140)의 접힌 부분과 연결된 발목부(15)의 접힌 부분 및 발목부(15)의 접힌 부분과 연결된 밴드부(16)의 접힌 부분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제 2 재단선(CL2)을 따라 오려낸다.
바람직하게는 모듈(100a) 제작 시 단계(S12)와 단계(S14)는 역순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발바닥부(13)에서부터 밴드부(16)까지 양말(10)이 오려지면(S14), 양말(10)을 전개한 상태 하에서 재단면들을 마감 처리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110a)의 제작을 완료한다(단계 S16).
여기서 재단면, 즉 제 1 재단선(CL1)을 따라 재단되어 형성된 제 1 재단면 및 제 2 재단선(CL2)에 따라 재단되어 형성된 제 2 재단면들의 마감은 제 1 재단면 및 제 2 재단면의 올이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오버록(overlock) 기계를 이용해 휘갑치거나, 또는 바이어스 테이프(bias tape)로 감싸 마감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듈(110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연장된 사각의 판 형상을 가짐과 동시에 양측면의 중앙부가 양측으로 오려진 뒷꿈치부(14)에 의해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의류 제작 시 양측으로 오려진 어느 하나의 의류 제작용 모듈(100a)의 뒷꿈치부(14)는 또 다른 의류 제작용 모듈(110a)의 오려진 뒷꿈치부(14)와 봉제되어 볼록하게 돌출된 입체적인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의 제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100b))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양말(10) 한쪽을 준비한 후(단계 S20), 양말(10)의 발가락부(11)를 제거한다(단계 S22). 여기서 단계(S20), 및 단계(S2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단계(S10), 및 단계(S12)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양말(10)의 발가락부(11)가 제거되면(S22), 다음으로 발등부(12), 발등부(12)와 연결되는 발목부(15), 및 밴드부(16)의 접힌 부분을 오려낸다(단계 S24).
단계(S24)에서는 통상의 절단수단, 예를 들면 재단가위 등에 의해 오려진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단가위를 이용해 발등부(12)의 접힌 부분, 그리고 발등부(12)의 접힌 부분과 연결된 발목부(15)의 접힌 부분 및 발목부(15)의 접힌 부분과 연결된 밴드부(16)의 접힌 부분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제 2 재단선(CL2)을 따라 오려낸다.
바람직하게는 모듈(100b) 제작 시 단계(S22)와 단계(S24)는 역순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등부(12)에서부터 밴드부(16)까지 양말(10)이 오려지면(S24), 양말(10)을 전개한 상태 하에서 재단면을 마감 처리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110a)의 제작을 완료한다(단계 S26). 여기서 단계(S26)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단계(S16)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연장된 사각의 판 형상을 가지며 중앙부분에는 뒷꿈치부(14)가 주머니 형상을 가지면서 모듈(100b)의 이면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제공되는데, 이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모듈(100b)의 이면 측에서 뒷꿈치부(14)의 입구를 수평 또는 수직하게 봉제하는 공정(S28-1), 또는 모듈(100b)의 이면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뒷꿈치부(14)를 모듈(100b)의 표면 측으로 빼내는 공정(S28-2)을 추가로 더 실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뒷꿈치부(14)를 가공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시키면 모듈(100b)에는 주머니가 생성되며, 뒷꿈치부(14)의 입구를 봉제하면 모듈(100b)의 표면에는 수평 또는 수직한 선문양이 형성된다. 그리고 뒷꿈치부(14)를 모듈(100b)의 표면 측으로 빼내면 뒷꿈치부(14)는 모듈(100b)의 표면에는 볼록하게 돌출된 입체적인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의 제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100c)은 의류 제작 시 어깨부 및 어깨부와 연결된 소매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100c)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양말(10) 한쪽을 준비한다(단계 S30). 양말(10)의 준비(S3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단계(S1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말(10)이 준비되면(S30), 다음으로 발가락부(11), 발가락부(11)와 연결되는 발바닥부(12) 및 뒷꿈치부(14)의 접힌 부분을 오려낸 후(단계 S32), 재단면을 마감처리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100c)의 제작을 완료한다(단계 S34).
단계(S32)에서는 통상의 절단수단, 예를 들면 재단가위 등에 의해 오려지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단가위를 이용하여 발등부(12)에 인접한 발가락부(11)의 접힌 부분에서부터 발가락부(11)의 접힌 부분, 발가락부(11)의 접힌 부분과 연결된 발바닥부(13)의 접힌 부분, 그리고 발바닥부(13)의 접힌 부분과 연결된 뒷꿈치부(14)의 접힌 부분을 따라 올려낸다.
그리고 재단면에 대한 마감(S34)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단계(S16)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제작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100c)은 의류 제작 시 몸판에 맞추어 발가락부(11) 및 발바닥부(13)를 일부를 재단한 후 몸판에 봉제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의 제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100d))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양말(10) 한쪽을 준비한다(단계 S40). 양말(10)의 준비(S4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단계(S1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말(10)이 준비되면(S40), 다음으로 발가락부(11), 발가락부(11)와 연결된 발바닥부(13), 뒷꿈치부(14), 발목부(15), 및 밴드부(16)의 접힌 부분을 오려낸다(단계 S42). 그리고 양말(10)을 전개한 상태 하에서 재단면을 마감처리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100d)의 제작을 완료한다(단계 S44).
단계(S42)에서는 통상의 절단수단, 예를 들면 재단가위 등에 의해 오려지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단가위를 이용하여 발등부(12)에 인접한 발가락부(11)의 접힌 부분에서부터 발가락부(11)의 접힌 부분, 발가락부(11)의 접힌 부분과 연결된 발바닥부(13)의 접힌 부분, 발바닥부(13)의 접힌 부분과 연결된 뒷꿈치부(14)의 접힌 부분, 뒷꿈치부(14)의 접힌 부분과 연결된 발목부(15)의 접힌 부분, 및 발목부(15)의 접힌 부분과 연결된 밴드부(16)의 접힌 부분을 따라 올려낸다. 그리고 재단된 양말을 전개하여 재단면을 마감하는데, 재단면에 대한 마감(S44)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단계(S16)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모듈(110d)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연장된 사각의 판 형상을 가지면서 양측면의 중앙부가 양측으로 오려진 뒷꿈치부(14)에 의해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하부는 양측으로 오려진 발가락부(11)에 의해 물결 형상을 가지는데, 의류 제작 시 양측으로 오려진 어느 하나의 모듈(100d)의 뒷꿈치부(14)는 또 다른 모듈(110d)의 오려진 뒷꿈치부(14)와 봉제되어 볼록하게 돌출된 입체적인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양측으로 오려진 어느 하나의 모듈(100d)의 발가락부(11)는 또 다른 모듈(110d)의 발가락부(11)와 연결되어 하측으로 볼록한 연속적인 물결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의 제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100e)은 의류 제작 시 의류의 옆부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100e)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양말(10) 한쪽을 준비한 상태 하(단계 S50)에서, 양말(10)의 발가락부(11)를 제거한 후(단계 S51), 발바닥부(13), 발바닥부(13)와 연결되는 뒷꿈치부(14), 발목부(15), 및 밴드부(16)의 접힌부분을 오려낸다(단계 S52). 이렇게 발바닥부(13)에서부터 밴드부(16)까지 양말(10)이 오려지면(S52), 다음으로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발등부(12), 발등부(12)와 연결되는 발목부(15), 및 밴드부(16)의 접힌 부분을 오려낸다(단계 S53).
여기서 단계(S50), 단계(S51), 및 단계(S5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단계(S10), 단계(S12), 및 단계(S14)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단계(S5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단계(S24)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가락부(11)가 제거된(S52) 상태 하에서 발바닥부(13)에서부터 밴드부(16) 측으로(S54), 그리고 발등부(12)에서 밴드부(16) 측으로(S56) 양말(10)이 재단이 완료되면, 두 개로 분리된 양말의 재단면의 일부를 접어 다트(dart)를 형성한 후(단계 S54), 재단면을 마감 처리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작용 모듈(100e)의 제작을 완료한다(단계 S55). 재단면의 마감(단계 S55)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단계(S16)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들을 이용해 다양한 의류를 제작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을 제조하고자 하는 의류의 디자인에 맞추어 편성하고, 이를 서로 봉제하여 의류를 제작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은 전술한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들을 이용하여 제작된 의류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a)들을 편성해 봉제한 스커트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a),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b)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c)들을 편성해 봉제한 재킷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d) 및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e)이 사용되어 제작된 원피스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양말(10) 한쪽을 재단하여 다양하게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화하고, 모듈(100a, 100b, 100c, 100d, 100e)들을 봉제하여 의류를 제작함으로써, 새로운 감각의 의류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말(10)을 이용한 독특한 디자인으로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의류 제작용 모듈 및 의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양말 11 : 발가락부
12 : 발등부 13 : 발바닥부
14 : 뒷꿈치부 15 : 발목부
16 : 밴드부
100a, 100b, 100c, 100d, 100e : 모듈

Claims (9)

  1. 삭제
  2. 양말의 한쪽을 재단해서 얻어지는 의류 제작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의류 제작용 모듈은,
    사람의 발과 발목을 측면에서 봤을 때와 같은 형상이 되도록 상기 양말 한쪽을 납작하게 접은 후, 고르게 펼쳐 준비하는 단계(S10);
    상기 양말의 발가락부와 인접하게 연결된 발등부에서부터 상기 발가락부와 인접하게 연결된 발바닥부까지 연장되는 가상의 제 1 재단선을 따라 상기 양말의 상기 발가락부를 제거하는 단계(S12);
    상기 양말의 상기 발바닥부의 접힌부분, 상기 발바닥부의 접힌부분과 연결되는 뒷꿈치부의 접힌부분, 발목부의 접힌부분, 및 밴드부의 접힌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 2 재단선을 따라 상기 양말을 오려내는 단계(S14); 및
    상기 양말을 전개한 상태 하에서 상기 제 1 재단선을 따라 재단되어 형성된 제 1 재단면 및 상기 제 2 재단선을 따라 재단되어 형성된 제 2 재단면을 오버록 기계를 이용해 휘갑치거나, 또는 바이어스 테이프로 감싸 마감 처리하는 단계(S16);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제작용 모듈.
  3. 양말의 한쪽을 재단해서 얻어지는 의류 제작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의류 제작용 모듈은,
    사람의 발과 발목을 측면에서 봤을 때와 같은 형상이 되도록 상기 양말 한쪽을 납작하게 접은 후, 고르게 펼쳐 준비하는 단계(S20);
    상기 양말의 발가락부와 인접하게 연결된 발등부에서부터 상기 발가락부와 인접하게 연결된 발바닥부까지 상기 양말의 상기 발가락부를 제거하는 단계(S22);
    상기 양말의 발등부의 접힌부분, 상기 발등부의 접힌부분과 연결되는 발목부의 접힙부분 및 밴드부의 접힌부분을 오려내는 단계(S24); 및
    상기 양말을 전개한 상태 하에서 오버록 기계를 이용해 휘갑치거나, 또는 바이어스 테이프로 감싸 재단면들을 마감 처리하는 단계(S26);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제작용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의류 제작용 모듈은,
    상기 모듈의 이면 측에서 상기 양말의 뒷꿈치부 입구를 수평 또는 수직하게 봉제하는 단계(S28-1), 또는 상기 모듈의 이면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상기 뒷꿈치부를 상기 모듈의 표면 측으로 빼내는 단계(S28-2)가 추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제작용 모듈.
  5. 양말의 한쪽을 재단해서 얻어지는 의류 제작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의류 제작용 모듈은,
    사람의 발과 발목을 측면에서 봤을 때와 같은 형상이 되도록 상기 양말 한쪽을 납작하게 접은 후, 고르게 펼쳐 준비하는 단계(S30);
    상기 양말의 발등부에 인접한 발가락부의 접힌부분에서부터 상기 발가락부의 접힌부분, 상기 발가락부의 접힌부분과 연결되는 발바닥부의 접힌부분, 및 상기 발바닥부의 접힌부분과 연결되는 뒷꿈치부의 접힌부분을 오려내는 단계(S32); 및
    상기 양말의 재단면을 오버록 기계를 이용해 휘갑치거나, 또는 바이어스 테이프로 감싸 마감 처리하여 단계(S34);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의류 제작용 모듈.
  6. 양말의 한쪽을 재단해서 얻어지는 의류 제작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의류 제작용 모듈은,
    사람의 발과 발목을 측면에서 봤을 때와 같은 형상이 되도록 상기 양말 한쪽을 납작하게 접은 후, 고르게 펼쳐 준비하는 단계(S40);
    상기 양말의 발등부에 인접한 발가락부의 접힌부분에서부터 상기 발가락부의 접힌부분, 상기 발가락부의 접힌부분과 연결되는 발바닥부의 접힌부분, 상기 발바닥부의 접힌부분과 연결되는 뒷꿈치부의 접힌부분, 상기 뒷꿈치부의 접힌부분과 연결되는 발목부의 접힌부분, 및 상기 발목부의 접힌부분과 연결되는 밴드부의 접힌부분을 오려내는 단계(S42); 및
    상기 양말을 전개한 상태 하에서 재단면을 오버록 기계를 이용해 휘갑치거나, 또는 바이어스 테이프로 감싸 마감 처리하여 단계(S44);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제작용 모듈.
  7. 양말의 한쪽을 재단해서 얻어지는 의류 제작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의류 제작용 모듈은,
    사람의 발과 발목을 측면에서 봤을 때와 같은 형상이 되도록 상기 양말 한쪽을 납작하게 접은 후, 고르게 펼쳐 준비하는 단계(S50);
    상기 양말의 발가락부와 인접하게 연결된 발등부에서부터 상기 발가락부와 인접하게 연결된 발바닥부까지 연장되는 가상의 제 1 재단선을 따라 상기 양말의 상기 발가락부를 제거하는 단계(S51);
    상기 양말의 상기 발바닥부의 접힌부분, 상기 발바닥부의 접힌부분과 연결되는 뒷꿈치부의 접힌부분, 발목부의 접힌부분, 및 밴드부의 접힌부분을 오려내는 단계(S52);
    상기 양말의 발등부의 접힌부분, 상기 발등부의 접힌부분과 연결되는 발목부의 접힙부분 및 밴드부의 접힌부분을 오려내는 단계(S53);
    상기 양말의 두 개로 분리되면 재단면의 일부를 접어 다트를 형성하는 단계(S54); 및
    상기 양말의 재단면을 오버록 기계를 이용해 휘갑치거나, 또는 바이어스 테이프로 감싸 마감 처리하여 단계(S55);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제작용 모듈.
  8. 삭제
  9. 삭제
KR1020130079414A 2013-07-08 2013-07-08 의류 제작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의류 KR101474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414A KR101474250B1 (ko) 2013-07-08 2013-07-08 의류 제작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414A KR101474250B1 (ko) 2013-07-08 2013-07-08 의류 제작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250B1 true KR101474250B1 (ko) 2014-12-24

Family

ID=52679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414A KR101474250B1 (ko) 2013-07-08 2013-07-08 의류 제작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2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457B1 (ko) 2015-04-28 2016-07-26 최기락 상의 제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MUBLOG,200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457B1 (ko) 2015-04-28 2016-07-26 최기락 상의 제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1642458B1 (ko) 2015-04-28 2016-07-26 최기락 하의 제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61722B (zh) 一种惠安女上衣的裁制方法
RU188997U1 (ru) Вертикальный поясной ремень
KR101474250B1 (ko) 의류 제작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의류
KR100832080B1 (ko) 하의와 허리고정밴드의 봉재 방법
KR101443338B1 (ko) 착용감이 개선된 한복 저고리
CN103767207B (zh) 一种服装袖子结构及其成型方法
CN107853783A (zh) 一种利用纸桶高温压褶的服装造型方法
KR20100004820A (ko) 삼각뿔모형을 이용하여 한복바지를 쉽게 제작하는 기술
KR100585313B1 (ko) 인조 또는 천연모피로 이루어진 모피 레이스를 이용한 모피 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모피 제품
KR101909385B1 (ko) 긴 한복저고리 제작방법과 그 방법에 의한 한복 긴저고리
CN212994455U (zh) 一种调节开叉高度的西装式连衣裙
KR100393346B1 (ko) 장식용 털 코사지의 제작 방법
KR101724908B1 (ko) 패턴 패브릭 및 이를 이용한 의복 제조방법
KR20110010605U (ko) 양말
KR101875272B1 (ko) 유니폼
KR102342439B1 (ko) 양면착용이 가능한 한복 치마의 제조방법
CN107747167A (zh) 一种利用纸膜进行人工压褶的服装造型制作方法
KR20100087836A (ko) 환편소재 의류 제작용 패턴 및 그 제작 방법
KR101890728B1 (ko) 피케셔츠
TWM521358U (zh) 可更換鞋面之鞋子
KR20080083381A (ko) 여성용 하의를 치마로 리폼하는 방법
CN106072999B (zh) 一种可防水可互换可防臭保健多功能鞋的制作工艺
CN205456488U (zh) 一种3d成型鞋帮面
TWM468177U (zh) 可替換鞋面之鞋體結構
KR20060100781A (ko) 모피조각 및 모피원단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피조각및 그 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