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848B1 - Magnetic contactor - Google Patents

Magnetic cont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848B1
KR101473848B1 KR1020130107976A KR20130107976A KR101473848B1 KR 101473848 B1 KR101473848 B1 KR 101473848B1 KR 1020130107976 A KR1020130107976 A KR 1020130107976A KR 20130107976 A KR20130107976 A KR 20130107976A KR 101473848 B1 KR101473848 B1 KR 101473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frame
coil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9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7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8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8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1Auxiliary contac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2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 H01H47/32Energising current supplied by semiconductor device
    • H01H47/325Energising current supplied by semiconductor device by switching reg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86Means for introducing a predetermined time delay between the initiation of the switching operation and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An electronic contactor divides a coil into a coil for insertion and a coil for maintenance. During insertio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for insertion having low resistance according to a request for relatively large quantity of current. However, after insertion,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for insertion and the coil for maintenance according to a request for relatively small quantity of current. When insertion, the electronic contactor restricts an inrush current according to an AC signal and prevents damage to the coil. When maintenance, the electronic contactor prevents noise while repeatedly turning on and off according to a DC signal.

Description

전자 접촉기{MAGNETIC CONTACTOR}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은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DC 컨버터와 b접점이 구비되는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particularly to a magnetic contactor having a DC converter and a b-contact.

일반적으로 전자 접촉기는 전기회로를 기계적으로 직접 차단하거나 접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전기기기의 일종으로, 과부하계전기 또는 전자개폐기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a type of electric device that mechanically directly disconnects or connects an electric circuit, and is mainly used for an overload relay or an electromagnetic switch.

전자 접촉기의 제어회로부는 교류 신호 혹은 직류 신호로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교류 신호로 제어하게 되면 신호의 특성상 시간에 따라 신호의 크기가 0인 지점에 도달하는 횟수가 주기적으로 생기게 된다. 신호의 크기가 0인 지점에서는 전자 접촉기의 접점부가 순간적으로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 현상이 주기적으로 발생하게 되면서 간헐적인 소음으로 이어질 수 있게 된다. The control circuit part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can be controlled by the AC signal or the DC signal. Especially, when the AC signal is controlled by the AC signal, the number of times the signal reaches the zero point periodically occurs according to the time. The contact por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momentarily dropped at a point where the signal is zero, and this phenomenon occurs periodically, which leads to intermittent noise.

도 1은 종래 전자 접촉기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서 제어회로부를 보인 회로도이다.FIG. 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FIG.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trol circuit portion i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FIG.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 접촉기는, 외함을 이루는 하부프레임(1) 및 상부프레임(2)과, 하부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코어(3)와, 고정코어(3)에 권취되어 그 고정코어(3)를 여자시키는 코일(4)과, 고정코어(3)의 내부에 왕복 가능하게 삽입되어 그 고정코어(3)의 자화(磁化) 여부에 따라 움직이는 가동코어(5)와, 가동코어(5)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가동전극(6)과, 가동전극(6)에 대응하도록 상부프레임(2)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전극(7)을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a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contactor includes a lower frame 1 and an upper frame 2 forming an enclosure, a fixed core 3 fixed to the lower frame, A movable core 5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xed core 3 so as to be reciprocated and moves according to whether the fixed core 3 is magnetized or not, And a fixed electrode 7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frame 2 so as to correspond to the movable electrode 6. The movable electrode 6 and the fixed electrode 7 are fixed to the upper frame 2,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 접촉기는, 제어회로부를 이루는 코일(4)에 전원 투입 단자(8)로부터 전기 신호가 투입되면 가동코어(5)가 자화되어 고정코어(3)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가동접점(6)이 고정접점(7)과 서로 맞닿게 되어 모터 등에 전기가 흐르게 된다. When the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the coil 4 constituting the control circuit portion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8, the movable core 5 is magnetized and moved toward the stationary core 3. Then, the movable contact 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7, and electricity flows to the motor and the like.

반면, 코일(4)에 전기 신호가 투입되지 않으면 가동코어(5)가 고정코어(3)에서 멀어지면서 가동접점(6)이 고정접점(7)으로부터 분리되어 전기의 흐름이 차단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electric signal is not inputted to the coil 4, the movable core 5 is separated from the stationary core 3, and the movable contact 6 is disconnected from the fixed contact 7 to interrupt the flow of electricity.

여기서, 종래의 전자 접촉기는 도 2에서와 같이 가동코어(5)와 고정코어(3)를 자화(磁化)시키는 제어회로부가 코일(4)로만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가동접점(6)의 투입시에는 코일(4)의 임피던스가 낮아서 많은 전류가 흘러 접촉기를 동작시키고, 유지시에는 전자석의 영향으로 임피던스가 높아져 적은 전류값으로 전자 접촉기가 온(ON)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Here, in the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contactor, 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circuit portion for magnetizing the movable core 5 and the fixed core 3 consists of only the coil 4. [ Accordingly, when the movable contact 6 is turned on, the impedance of the coil 4 is low and a large amount of current flows to operate the contactor. When the contactor 6 is held, the impedance increase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electromagnet, .

그러나, 종래의 전자 접촉기는, 교류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을 하게 되므로 전류의 크기가 0(zero)이 되는 지점에서 코어의 진동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접촉기 소음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magnetic contactor operates by supplying AC power, the core vibrates inevitably at a point where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becomes zero, thereby causing the contactor noise to be generated.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기의 투입 및 유지시 발생하는 전자석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capable of reducing the noise of an electromagnet generated when a contactor is inserted and held.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함을 이루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접점; 상기 고정접점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가동접점;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코어; 상기 가동접점과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코어에 대해 움직이도록 설치되는 가동코어; 전원 인가시 상기 고정코어를 선택적으로 자화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저항값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코일; 및 상기 가동코어의 움직임에 연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b접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의 투입시에는 복수 개의 코일 중에서 저항값이 가장 작은 쪽 코일로 전류가 흐르고, 투입후에는 전류가 복수 개의 코일을 차례로 흐르도록 상기 복수 개의 코일 사이에 b접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ed contact fixedly coupled to the frame; A movable contact which selectively contacts the fixed contact to open and close the electric circuit; A fixed core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A movable core coupled to the movable contact and installed to move with respect to the fixed core within the frame; A plurality of coils disposed inside the frame to selectively magnetize the fixed core when power is applied thereto, the coils having different resistance values; And a b contact provided inside the frame to be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movable core. When the stationary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are closed, a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having the smallest resistance among the plurality of coils, And the b contact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ils so that the current flows sequentially through the plurality of coils.

여기서, 상기 가동코어에는 상부철판이 결합되고, 상기 b접점은 상기 상부철판에 의해 온/오프 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철판과 프레임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The upper core plate may be coupled to the movable core, and the b contact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core plate and the frame so that the upper core plate can be turned on / off by the upper core plate.

그리고, 상기 상부철판에는 상기 b접점을 가세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teel plate may have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laterally so as to add the b contact.

그리고, 상기 코일은 투입용 제1 코일과 유지용 제2 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입용 제1 코일의 저항값이 상기 유지용 제2 코일의 저항값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coil may include a first coil for charging and a second coil for holding,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harging first coil may be smaller tha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coil for holding.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접점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어 그 접점하우징에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을 포함한 b접점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A contact housing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a contact b including a fixed contact and a movable contact can be inserted into the contact housing.

그리고, 상기 b접점은, 상기 접점 하우징부에 미끄러지게 삽입되는 홀더와, 상기 접점 하우징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접점과, 상기 홀더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접점과 선택적으로 ON/OFF되는 가동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b contact includes a holder slidably inserted into the contact housing part, a fixed contact fixedly coupled to the contact housing part, a movable contact fixedly coupled to the holder and selectively turned on / off with the fixed contact,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movable contact.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접촉기는, 투입시에는 저항값이 낮은 투입용 코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반면 투입 후에는 b접점이 오프되어 전류가 유지용 코일과 투입용 코일을 모두 거쳐 낮은 전류량이 흐르도록 함으로써, 투입시에는 교류신호에 따라 돌입전류를 제한하여 코일의 소손을 방지하는 한편 유지시에는 직류신호에 따라 전류가 On/Off를 반복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the 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 flows to the input coil having a low resistance value at the time of input, while the contact b is turned off after the input, so that the current flows through both the holding coil and the input coil,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il from being burned out by limiting the inrush current according to the AC signal during charging, and to prevent the noise which may be generated while the current is repeatedly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DC signal.

도 1은 종래 전자 접촉기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서 제어회로부를 보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접촉기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가동코어와 연결판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접촉기의 회로제어부를 보인 회로도,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서, 접점하우징이 하부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b접점이 후조립되는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도 3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서 투입시와 투입후에 대한 접촉기 상태와 각각에 대응하는 회로도.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contactor,
Fig.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trol circuit portion i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Fig. 1,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able core and a connection plate according to FIG. 3,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trol s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6 and 7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i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FIG. 3, the contact housing is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frame and the contact b is later assembled,
Figs. 8 and 9 are circuit diagrams corresponding to the contactor states and their respective states at the time of input and after the input at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Fig. 3; Fig.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접촉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접촉기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가동코어와 연결판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접촉기의 회로제어부를 보인 회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서, 접점하우징이 하부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b접점이 후조립되는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able core and a connection plate according to FIG. 3, FIG.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tro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6 and 7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i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FIG. 3, the contact housing is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frame and the contact b is later assembled.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접촉기는,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부(10)와, 프레임부(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기회로를 개로 또는 폐로상태로 전환하는 접점부(20)와, 프레임부(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접점부(20)의 개폐동작을 유도하는 코어부(30)와, 프레임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시는 교류 전원이, 유지시에는 직류 전원이 공급되도록 코어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rame portion 1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contact portion 20 provided inside the frame portion 10 and switching the electric circuit into an open or closed state, A core portion 30 provided inside the frame portion 10 and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ontact portion 20 and an AC power source provided inside the frame portion 10 and kept in the state of being supplied, And a control circuit unit 4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re unit 30 to supply DC power.

프레임부(10)는 제어회로부(40)와 코어부(30) 그리고 b접점(43)이 설치되는 하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1)의 상측 개구면을 복개하며 접점부(20)가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rame portion 10 includes a lower frame 11 on which the control circuit portion 40 and the core portion 30 and the b contact 43 are installed and a contact portion 20 which covers the upper opening face of the lower frame 11, And an upper frame 12 on which the upper frame 12 is mounted.

접점부(20)는 상부프레임(12)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접점(21)과, 고정접점(21)의 상측에 배치되어 후술할 가동코어(32)에 결합되는 가동접점(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tact portion 20 includes a fixed contact 21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frame 12 and a movable contact 22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contact 21 and coupled to the movable core 32 have.

코어부(30)는 하부프레임(1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코어(31)와, 고정코어(31)의 중심에 움직일 수 있도록 삽입되어 고정코어(31)의 자화(磁化) 여부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가동접점(22)이 고정접점(21)에 접촉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원통형의 가동코어(32)와, 가동코어(32)와 하부프레임(11)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코어(32)를 탄력 지지하는 복귀스프링(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re unit 30 includes a fixed core 31 fixedly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11 and a fixed core 31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fixed core 31 to be movable depending on whether the fixed core 31 is magnetized A cylindrical movable core 32 for moving the movable contact 22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ontact or separate the movable contact 22 from the fixed contact 21 and a movable core 32 provided between the movable core 32 and the lower frame 11, And a return spring 33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pring.

고정코어(31)에는 후술할 제어회로부(40)의 코일(42)이 감겨져 설치되고, 코일(42)의 주변에는 후술할 상부철판(36)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좌우 한 쌍의 유(U)자형 지지판체(35)가 설치될 수 있다.A coil 42 of a control circuit 40 to be described later is wound around the fixed core 31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oil U is arranged around the coil 42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upper iron plate 36, Shaped support plate body 35 may be provided.

가동코어(32)의 상부에는 상부철판(36)이 결합되고, 상부철판(36)에는 가동코어(32)를 가동접점(22)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판(37)이 결합되며, 가동접점(22)의 상면에는 크로스바(38)가 결합될 수 있다.An upper plate 36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core 32 and a connection plate 37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36 to connect the movable core 32 to the movable contact 22, 22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rossbar 38. FIG.

상부철판(36)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동코어(32)에 볼트 또는 리벳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철판(36)의 일측면에는 b접점부(43)의 가동접점(43b)을 가세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6a)가 형성될 수 있다.3 and 4, the upper iron plate 36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ovable core 32 by bolts or rivets. A protrusion 36a protruding laterally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iron plate 36 so that the movable contact 43b of the b contact 43 may be attached.

회로제어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투입 단자(41)와, 전원 투입 단자(41)에 연결되고 고정코어(31)에 결합되어 그 고정코어(31)를 선택적으로 자화시키는 코일(42)과, 하부프레임(11)의 내부에 설치되고 가동코어(32)의 동작에 연동되어 작동되면서 투입시 돌입 전류를 공급하는 반면 투입 완료시 과전류를 차단하는 b접점(43)이 포함될 수 있다.5, the circuit control unit 40 includes a power supply input terminal 41 and a coil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input terminal 41 and coupled to the fixed core 31 to selectively magnetize the fixed core 31, A b contact 43 provided inside the lower frame 11 and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core 32 to supply an inrush current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and shut off the overcurrent when the closing operation is completed have.

코일(42)은 저항값이 다른 제1 코일(421)과 제2 코일(422)이 안쪽과 바깥쪽으로 배치되는 2중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제1 코일(421)과 제2 코일(422)은 2중 코일 외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다.The coil 42 may have a double coil shape in which the first coil 421 and the second coil 422 having different resistance values are disposed inside and outside. However, the first coil 421 and the second coil 422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addition to the double coil.

제1 코일(421)은 상대적으로 저항값이 작은 코일로 이루어져 투입시 사용되는 투입코일(inrush coil)시 이용되는 반면, 제2 코일(422)은 상대적으로 저항값이 큰 코일로 이루어져 유지시 사용되는 유지코일(holding coil)로 이용될 수 있다.The first coil 421 is made of a coil having a relatively small resistance value and is used for an inrush coil used for charging, while the second coil 422 is made of a coil having a relatively large resistance value. As a holding coil.

b접점(43)은 그 b접점(43)의 외관을 형성하는 홀더(431)에 b접점용 고정접점(432)과 b접점용 가동접점(433)이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홀더(431)는 그 내부에 b접점용 고정접점(432)과 b접점용 가동접점(433)이 조립된 상태에서 하부프레임(11)에 삽입되어 조립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부프레임(11)에 접점하우징(111)이 일체로 성형되어 b접점용 고정접점(432)과 b접점용 가동접점(433)이 접점하우징(111)에 후조립될 수도 있다.the b contact 43 may be provided with a b contact fixed contact 432 and a b contact movable contact 433 in a holder 431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b contact 43. [ The holder 431 may be inserted and assembled into the lower frame 11 in a state where the fixed contact 432 for the b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433 for the b contact are assembled in the holder 431, The contact housing 11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tact housing 43 and the b contact contact 432 and the b contact contact 433 may be post-assembled to the contact housing 111.

도 6 및 도 7은 접점하우징이 하부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b접점이 후조립되는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b접점(43)은 하부하우징(11)에 일체로 형성되는 접점하우징(111)에 미끄러지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홀더(431)와, 접점하우징(111)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b접점용 고정접점(432)과, 홀더(431)에 결합되어 그 홀더(431)와 함께 상하로 움직이면서 b접점용 고정접점(432)에 선택적으로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b접점용 가동접점(433)과, 홀더(431)를 탄력 지지하는 b접점용 복귀스프링(43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더(431)의 내부에는 b접점용 가동접점(433)을 상향 지지하는 b접점용 지지스프링(435)이 후술할 홀더(431)의 접점 미끄럼구멍(431a)의 저면과 b접점용 가동접점(433)의 저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6 and 7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ntact housing is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frame and the contact b is later assembled. The b contact 43 includes a holder 431 slidably inserted into a contact housing 111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housing 11 and a holder 431 inserted into the contact housing 111, Contact movable contact 433 for b contact which is selectively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432 for b contact while moving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holder 431. [ And a b-contact return spring 434 for holding the holder 431 elastically. A b-contact support spring 435 for upwardly supporting the b-contact movable contact 433 is provided in the holder 431 so that the bottom of the contact sliding hole 431a of the holder 431 and the b- 433, respectively.

홀더(431)는 사각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431)는 양측면, 즉 b접점용 고정접점(432)과 대향하는 양측면에는 b접점용 가동접점(433)이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삽입되는 접점 미끄럼구멍(431a)이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holder 43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tube shape or in any other shape. The holder 431 has a contact sliding hole 431a through which the movable contact 433 for b contact is slidably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fixed contact 432 for b contact, It can be formed long.

b접점용 고정접점(432)은 외부도선과 연결되도록 단자부가 구비되어 접점하우징(11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점하우징(111)의 양쪽 측면에는 b접점용 고정접점(4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접점장착구멍(111c)이 형성되고, 접점장착구멍(111c)의 주변에는 b접점용 고정접점(432)의 상면을 눌러 고정시키도록 접점고정돌기(111d)가 형성될 수 있다.The b contact fixed contact 432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contact housing 111 by having a terminal portion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conductor. A contact mounting hole 111c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ontact housing 111 so that the b contact fixed contact 432 can be inserted into the contact mounting hole 111c. The contact fixing projections 111d may be formed so as to press and fix the upper surfaces of the contact fixing projections 111a and 113b.

접점고정돌기(111d)는 b접점용 고정접점(432)의 상면을 눌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기역(ㄱ)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점고정돌기(111d)는 b접점용 고정접점(432)의 양측에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ct fixing protrusion 111d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base contact fixed contact 432 so as to press the top face of the b contact fixed contact 432. The contact fixing projections 111d may be formed so as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b contact fixed contact 432.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11a는 접점안내구멍, 111b는 가동접점안내홈, 44는 DC 컨버터를 포함한 PCB, 45는 다이오드이다. Reference numerals 111a and 111b denote contact guide holes, a movable contact guide groove 111b, a PCB 44 including a DC converter, and a diode 45, respectively.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접촉기의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즉, 코일(42)에 전류가 인가되면, 고정코어(31)가 여자됨과 동시에 가동코어(32)가 복귀스프링(33)의 탄성력을 이기고 고정코어(31)쪽으로 흡인된다. 그러면, 가동코어(32)에 결합된 가동접점(32)이 가동코어(32)와 함께 하향 이동하면서 고정접점(21)에 접속되어 모터 등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That is,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42, the movable core 32 overcomes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33 and is attracted toward the fixed core 31 at the same time as the fixed core 31 is excited. Then, the movable contact 32 coupled to the movable core 32 is moved downward together with the movable core 32, and is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21 to supply power to the motor or the like.

반면, 고정코어(31)의 자기력이 상실되면 복귀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코어(32)가 고정코어(31)로부터 떨어져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면 가동접점(22)도 고정접점(21)으로부터 이격되어 모터 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gnetic force of the fixed core 31 is lost, the movable core 32 returns from the fixed core 31 to the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33. Then, the movable contact 22 is also separated from the stationary contact 21 and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or the like is cut off.

여기서, 코일(42)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40)가 교류신호에 의해 조작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의 세기가 0(zero)인 지점이 주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신호의 세기가 0인 지점에서는 가동코어(32)가 순간적으로 오프(Off)되었다가 다시 온(On)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교류신호의 특성으로 인해 제품이 온 동작시에도 가동코어(32)가 떨리는 진동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심하게는 소음으로 이어져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가동코어(32)의 진동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직류신호로 가동코어(32)를 동작시켜야 한다. 하지만, 직류신호로 가동코어(32)를 동작시키게 되면 코어의 임피던스에 영향을 받지 않아 코일(42)에 항상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는 코일(42)의 소손을 야기할 수 있어 직류신호로 가동코어(32)를 동작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Here, when the control circuit 40 for controlling the power applied to the coil 42 is operated by the AC signal, a point at which the intensity of the signal is zero is periodically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movable core 32 is momentarily turned off and then turned on at a point where the intensity is zero.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 signal, the movable core 32 vibrates even when the product is turned on, and the noise can be seriously disturbed to the user. In order to prevent such a vibration phenomenon of the movable core 32, the movable core 32 must be operated with a DC signal. However, when the movable core 32 is operated by the DC signal, a large amount of current always flows through the coil 42 because it is not affected by the impedance of the core. This causes the coil 42 to be damaged, It is not desirable to operate the core 32.

이를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42)을 투입용 제1 코일(421)과 유지용 제2 코일(422)로 나눠 형성하고, 투입시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전류량을 요구함에 따라 저항값이 낮은 투입용 제1 코일(421)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반면 투입 후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전류량을 요구함에 따라 저항값이 합산되어 전류가 제2 코일(422)과 제1 코일(421)을 모두 거쳐 낮은 전류량이 흐르도록 함으로써 코일의 소손과 접촉기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In view of th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il 42 is divided into a first coil for charging 421 and a second coil for holding 422, and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urrent is required at the time of charging, The first coil 421 and the second coil 4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coil 421 and the second coil 422.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first coil 421 for charging, By making the amount of current flow,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il from burning and the contactor noise.

즉, 제1 코일(421)과 제2 코일(422) 사이에 b접점(43)이 배치됨에 따라, 투입시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상부철판(36)이 가동코어(32)와 함께 상향 이동하면서 그 상부철판(36)의 돌출부(36a)가 b접점(43)의 가동접점(433)으로부터 분리되어 b접점(43)을 온(On)시키게 된다. 그러면 교류신호에 따라 전류가 b접점(43)을 통과하여 상대적으로 저항값이 낮은 투입용 제1 코일(421)쪽으로 많은 양의 전류가 흘러 투입 동작이 원활하게 실행된다. That is, since the b contact 43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il 421 and the second coil 422, the upper iron plate 36 is moved upward together with the movable core 32 as shown in FIG. The projecting portion 36a of the upper steel plate 36 is separated from the movable contact 433 of the b contact 43 and the b contact 43 is turned on. Then, according to the AC signal, the current passes through the b contact 43 and a large amount of current flows toward the first coil for input 421 having a relatively low resistance value, so that the charging operation is performed smoothly.

반면, 투입 후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상부철판(36)이 가동코어(32)와 함께 하향 이동하면서 그 상부철판(36)의 돌출부(36a)가 b접점(43)을 눌러 b접점(43)을 오프(Off)시키게 된다. 그러면 직류신호에 따라 전류는 b접점 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유지용 제2 코일(422)과 투입용 제1 코일(421)을 모두 거치면서 적은 양의 전류만 흐르게 된다.9, the upper iron plate 36 moves downward together with the movable core 32, and the protrusion 36a of the upper iron plate 36 presses the b contact 43 to push the b contact 43, (Off). The current does not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b contact according to the direct current signal but flows through only the second coil for holding 422 and the first coil for charging 421 while flowing only a small amount of current.

이렇게 하여, 투입시에는 돌입전류를 제한하여 코일의 소손을 방지하는 한편 유지시에는 전류가 On/Off를 반복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inrush current is limited to prevent the burn-in of the coil at the time of charging, and at the time of holding, the noise that can be generated by repeating the current on / off can be prevented in advance.

10 : 프레임부 20 : 접점부
21 : 고정접점 22 : 가동접점
30 : 코어부 31 : 고정코어
32 : 가동코어 33 : 복귀스프링
40 : 회로제어부 41 : 외부 투입 단자
42 : 코일 421 : 투입용 제1 코일
422 : 유지용 제2 코일 43 : b접점
431 : 홀더 432 : b접점용 고정접점
433 : b접점용 가동접점 44 : PCB
10: frame part 20: contact part
21: fixed contact point 22: movable contact point
30: core part 31: fixed core
32: movable core 33: return spring
40: Circuit control unit 41: External input terminal
42: coil 421: first coil for input
422: second coil for maintenance 43: b contact
431: Holder 432: Fixed contact for b contact
433: Movable contact for b contact 44: PCB

Claims (8)

외함을 이루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접점;
상기 고정접점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가동접점;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코어;
상기 가동접점과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코어에 대해 움직이도록 설치되는 가동코어;
전원 인가시 상기 고정코어를 선택적으로 자화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저항값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코일; 및
상기 가동코어의 움직임에 연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b접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의 투입시에는 복수 개의 코일 중에서 저항값이 가장 작은 쪽 코일로 전류가 흐르고, 투입후에는 전류가 복수 개의 코일을 차례로 흐르도록 상기 복수 개의 코일 사이에 b접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n enclosure frame;
A fixed contact fixedly coupled to the frame;
A movable contact which selectively contacts the fixed contact to open and close the electric circuit;
A fixed core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A movable core coupled to the movable contact and installed to move with respect to the fixed core within the frame;
A plurality of coils disposed inside the frame to selectively magnetize the fixed core when power is applied thereto and having different resistance values; And
And a contact (b) provided inside the frame to be interlocked with movement of the movable core,
When the stationary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are charged, a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having the smallest resistance value among the plurality of coils, and after the charging, the b contact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ils so that the current flows sequentially through the plurality of coils Characterized by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코어에는 상부철판이 결합되고, 상기 b접점은 상기 상부철판에 의해 온/오프 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철판과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core plate is coupled to the movable core and the b contact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core plate and the frame so that the upper core plate can be turned on and off by the upper core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철판에는 상기 b접점을 가세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pper iron plate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projecting laterally so as to add the b conta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코일은 투입용 제1 코일과 유지용 제2 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입용 제1 코일의 저항값이 상기 유지용 제2 코일의 저항값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coils comprise a first coil for charging and a second coil for holding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harging first coil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coil for holding. .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접점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어 그 접점하우징에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을 포함한 b접점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 contact housing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a contact b including a stationary contact and a movable contac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ntact hou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접점은,
상기 접점 하우징부에 미끄러지게 삽입되는 홀더와,
상기 접점 하우징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접점과,
상기 홀더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접점과 선택적으로 ON/OFF되는 가동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6. The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b-
A holder slidably inserted into the contact housing portion,
A fixed contact fixedly coupled to the contact housing part,
A movable contact fixedly coupled to the holder and selectively turned on / off with the fixed contact,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movable contact.
외함을 이루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접점;
상기 고정접점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가동접점;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코어;
상기 가동접점과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코어에 대해 움직이도록 설치되는 가동코어;
전원 인가시 상기 고정코어를 선택적으로 자화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저항값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코일; 및
상기 복수 개의 코일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코어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상기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의 투입시에는 복수 개의 코일 중에서 저항값이 가장 작은 쪽 코일로 전류가 흐르고, 투입후에는 전류가 복수 개의 코일을 차례로 흐르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b접점;를 포함하고,
상기 b접점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접점하우징;
상기 접점 하우징부에 미끄러지게 삽입되는 홀더;
상기 접점 하우징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접점;
상기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접점과 선택적으로 ON/OFF되는 가동접점; 및
상기 가동접점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n enclosure frame;
A fixed contact fixedly coupled to the frame;
A movable contact which selectively contacts the fixed contact to open and close the electric circuit;
A fixed core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A movable core coupled to the movable contact and installed to move with respect to the fixed core within the frame;
A plurality of coils disposed inside the frame to selectively magnetize the fixed core when power is applied thereto, the coils having different resistance values; And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one of the plurality of coils having the smallest resistance value when the stationary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are interlocked with the motion of the movable core, And a b contact disposed inside the frame to sequentially flow the coil,
The b-
A contact housing provided in the frame;
A holder slidably inserted into the contact housing part;
A fixed contact fixedly coupled to the contact housing part;
A movable contact coupled to the holder and selectively turned on / off with the fixed contact; And
And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movable contac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하우징에는 상기 홀더가 삽입되는 접점안내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접점안내구멍의 양쪽 측면에는 상기 가동접점이 통과하는 가동접점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에는 상기 가동접점이 미끄러지게 삽입되는 미끄럼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8. The method of claim 7,
A contact guide hole into which the holde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ontact housing, a movable contact guide groove through which the movable contact passes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tact guide hole,
Wherein the holder is provided with a sliding hole into which the movable contact is slidably inserted.
KR1020130107976A 2013-09-09 2013-09-09 Magnetic contactor KR1014738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976A KR101473848B1 (en) 2013-09-09 2013-09-09 Magnetic cont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976A KR101473848B1 (en) 2013-09-09 2013-09-09 Magnetic conta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848B1 true KR101473848B1 (en) 2014-12-17

Family

ID=52679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976A KR101473848B1 (en) 2013-09-09 2013-09-09 Magnetic cont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8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895A (en) * 2015-03-23 2016-10-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Electromagnetic conta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95Y1 (en) 2010-06-07 2012-05-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uxiliary contact unit for auxiliary relay
JP2012089484A (en) 2010-10-15 2012-05-10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Electromagnetic swit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95Y1 (en) 2010-06-07 2012-05-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uxiliary contact unit for auxiliary relay
JP2012089484A (en) 2010-10-15 2012-05-10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Electromagnetic swit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895A (en) * 2015-03-23 2016-10-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Electromagnetic contactor
KR101704177B1 (en) * 2015-03-23 2017-02-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Electromagnetic conta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0961B2 (en) Electromagnetic relay and coil terminal
CN104246952B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switch using same
KR101068155B1 (en) Magnetic contactor with a driving device for controlling an actuator
KR20140022054A (en) Contact mechanism and electromagnetic contactor using the same
CN104303251A (en) Line protection switch
KR20160020804A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KR101473848B1 (en) Magnetic contactor
CN108550503A (en) A kind of D.C. contactor
CN112074924B (en) Electromagnetic re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854926A (en) Electromagnetic contractor
KR101221353B1 (en) Stationary contact arm for magnetic contactor
KR20160085412A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CN104037021A (en) Mutual inductor current on-off control device
CN210692444U (en) Relay with stable structure
US8508321B2 (en) Relay with multiple coils
KR101202674B1 (en) A direct alternating magnetic contactor embedded operation-switch
CN102754176B (en) For the device of electromagnetic switchgear
CN103871787B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US8824117B2 (en) Re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lay
CN107527772B (en) Low-voltage three-phase bistable permanent-magnet air switch
JP2020077472A (en) Micro relay
US20120044030A1 (en) Relay with multiple coils
KR20140005985U (en) Structure for fixing contact-b of magnetic contactor
CN220041728U (en) Contact structure and have its piezoelectricity ware
KR102114236B1 (en) Power saving magnetic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