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405B1 -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 - Google Patents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405B1
KR101473405B1 KR1020140128636A KR20140128636A KR101473405B1 KR 101473405 B1 KR101473405 B1 KR 101473405B1 KR 1020140128636 A KR1020140128636 A KR 1020140128636A KR 20140128636 A KR20140128636 A KR 20140128636A KR 101473405 B1 KR101473405 B1 KR 101473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ll
vehicle
tracked vehicle
controll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락교
김백현
강석원
엄주환
변윤섭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28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에 관한 것으로; 소형궤도차량을 이용하는 승객이 이용하는 승강장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은 소형궤도차량이 주행하는 본선과 연결되어 상기 소형궤도차량이 정차하는 정차공간과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소형궤도차량은 차체 하부의 전후측에 제1 및 제2윤축이 구비되며, 상기 소형궤도차량은 상기 제1윤축의 조향각을 조정하는 제1조향장치와, 상기 제1조향장치를 제어하는 제1윤축제어기와, 상기 제2윤축의 조향각을 조정하는 제2조향장치와, 상기 제2조향장치를 제어하는 제2윤축제어기와, 상기 제1 및 제2윤축제어기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차상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차상제어기에 관제센터의 중앙제어기에서 지정된 정차공간으로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제어정보가 수신되면, 차상제어기는 차체 전두부 하측에 구비되는 제1윤축의 조향각을 조정하는 제1조향장치를 작동시켜 제1윤축의 조향각을 조정하여 소형궤도차량이 경사진 정차공간으로 진입하고,
상기 차상제어기에 관제센터의 중앙제어기에서 지정된 정차공간에서 진출하도록 유도하는 제어정보가 수신되면, 차상제어기는 차체 후두부 하측에 구비되는 제2윤축의 조향각을 조정하는 제2조향장치를 작동시켜 제2윤축의 조향각을 조정하여 소형궤도차량이 경사진 정차공간에서 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역내에 승객이 이용하는 승강장과 소형궤도차량이 정차하는 정차공간을 교대로 형성하여 특정 소형궤도차량이 역내 정차시 출발 지연이 발생하거나 또는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다른 소형궤도차량의 역내 진입 및 진출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장과 정차공간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소형궤도차량이 정차공간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고, 정차공간에서 본선으로 합류하는 경우 차량의 후측부가 전두부가 되어 그대로 본선에 진입하여 주행하게 되므로 운행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소형궤도차량이 본선에서 정차공간에 진입하는 경우 곡선 반경을 축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 {Railway platform for personal rapid transit}
본 발명은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소형궤도차량의 역내 정차시에도 다른 소형궤도차량의 승강장 진입 및 진출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고, 역내로의 진입과 진출시 편리해 소형궤도차량의 운행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에 관한 것이다.
현대 도시의 대표적인 대중교통수단으로 지하철과 자동차(버스, 택시)를 들 수 있다. 지하철은 정시성과 수송량에 있어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다한 건설비와 운용비 문제 때문에 국가 및 지자체의 시스템 도입에 경제적으로 많은 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버스나 택시와 같은 자동차 운송 시스템의 경우에는 편리한 접근성 및 시스템 구축에 경제적으로 장점이 있지만, 배출 가스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와 교통 체증으로 인한 정시성에 있어서 철도 시스템에 비해 단점이 되고 있다. 이에 철도 시스템과 타 대중교통수단과의 연계 및 교통약자를 위한 소규모 맞춤형 교통수단의 요구도 최근 증대되고 있다.
그래서, 도심지에서 자가용 이용을 대체할 수 있는 소형궤도차량(PRT: Personal Rapit Transit) 시스템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무인자동 소형궤도차량 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는 것으로, 다수의 루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형 주행로를 달리는 기존의 Mass-transit 개념에서 벗어나 Para-transit 개념에 가까운 4 ~ 6명의 승객이 차량에 탑승하여 원하는 목적지까지 정차 없이 갈 수 있는 신 교통시스템이다. PRT 시스템은 특별히 지정된 타임 테이블이 없어 언제든지 승객이 원할 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열차 시스템의 경우는 열차 간의 교차 통과를 허용하는 교차로가 존재하지 않는 직선 트랙 방식이며, 미리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역에 도착해서 승객을 탑승시키고 다음 역으로 이동하지만, 소형궤도차량 시스템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운행노선을 무정차로 운행해야 하기 때문에 운행 노선상에 존재하는 다른 소형궤도차량의 무정차 운전을 방해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통과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일반 철도차량과 달리 소형궤도차량 시스템은 짧은 운전 시격으로 차량이 선로 상에서 운행되며, 운행노선의 경우에도 일반 철도차량의 노선과 같이 직선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고, 메쉬 형태의 네트워크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네트워크 운행 구조를 갖는 소형궤도차량 시스템에 있어서, 선로를 주행하는 각각의 소형궤도차량은 운행 노선상에 존재하는 교차로를 무정차 운전을 방해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통과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와 같은 교차로를 통과하는 소형궤도차량의 교차로 통과 방법은 공개특허 제10-2010-0004694호를 통해 제안된 바 있다.
한편, 기존의 철도 시스템의 역은 열차의 정차 및 출발이 같은 본선에서 이루어지는 line-haul 방식이지만, 소형궤도차량 시스템의 역 구조는 소형궤도차량의 무정차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차량 운행효율을 증가 시킬수 있는 off-line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off-line 형태의 역 구조에서 소형궤도차량의 역 진입과 본선으로의 진출을 통제하는 운영 알고리즘은 차량의 안전운행과 운행효율의 증대라는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와 같은 소형궤도차량이 효율적으로 역에 진입하거나 진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소형궤도차량의 역 진입 및 진출 제어 방법이 등록특허 제10-0961491호를 통해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 제10-0961491호의 경우 승객의 승차 및 하차를 위해 소형궤도차량이 본선에서 역으로 진입하거나 또는 역에서 본선으로 진출하는 경우 간선으로 진입 및 진출하게 되는데, 이때 선행하는 소형궤도차량이 역에 진입하여 정차시간이 길어지거나 고장상태인 경우 후행하는 소형궤도차량은 역에 진입을 하더라도 진출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는 간선을 통과하는 모든 소형궤도차량은 선입선출(先入先出)되는 구조이므로 어느 하나의 소형궤도차량의 고장 또는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 후행 소형궤도차량은 선행 소형궤도차량이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진출이 원천적으로 봉쇄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등록특허 제10-0961491호의 경우 역진입을 위한 별도의 간선을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하므로 역 및 선로의 구조가 복잡한 문제도 있다.
참고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0-0004694호 참고문헌 2: 등록특허 제10-096149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소형궤도차량이 역내에 정차시 출발 지연이 발생하거나 또는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다른 소형궤도차량의 승강장 진입 및 진출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선에서 주행하던 소형궤도차량이 역내로 진입하기 위한 별도의 간선이 필요가 없어 역 및 선로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소형궤도차량의 운행 지연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정차공간으로의 진입과 진출시 편리해 소형궤도차량의 운행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을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형궤도차량을 이용하는 승객이 이용하는 승강장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은 소형궤도차량이 주행하는 본선과 연결되어 상기 소형궤도차량이 정차하는 정차공간과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소형궤도차량은 차체 하부의 전후측에 제1 및 제2윤축이 구비되며, 상기 소형궤도차량은 상기 제1윤축의 조향각을 조정하는 제1조향장치와, 상기 제1조향장치를 제어하는 제1윤축제어기와, 상기 제2윤축의 조향각을 조정하는 제2조향장치와, 상기 제2조향장치를 제어하는 제2윤축제어기와, 상기 제1 및 제2윤축제어기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차상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차상제어기에 관제센터의 중앙제어기에서 지정된 정차공간으로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제어정보가 수신되면, 차상제어기는 차체 전두부 하측에 구비되는 제1윤축의 조향각을 조정하는 제1조향장치를 작동시켜 제1윤축의 조향각을 조정하여 소형궤도차량이 경사진 정차공간으로 진입하고, 상기 차상제어기에 관제센터의 중앙제어기에서 지정된 정차공간에서 진출하도록 유도하는 제어정보가 수신되면, 차상제어기는 차체 후두부 하측에 구비되는 제2윤축의 조향각을 조정하는 제2조향장치를 작동시켜 제2윤축의 조향각을 조정하여 소형궤도차량이 경사진 정차공간에서 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역내에 승객이 이용하는 승강장과 소형궤도차량이 정차하는 정차공간을 교대로 형성하여 특정 소형궤도차량이 역내 정차시 출발 지연이 발생하거나 또는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다른 소형궤도차량의 역내 진입 및 진출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장과 정차공간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소형궤도차량이 정차공간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고, 정차공간에서 본선으로 합류하는 경우 차량의 후측부가 전두부가 되어 그대로 본선에 진입하여 주행하게 되므로 운행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소형궤도차량이 본선에서 정차공간에 진입하는 경우 곡선 반경을 축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의 운영을 위한 시스템 제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의 이용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110)은 소형궤도차량(200)이 역(100)내 정차공간(120)에 정차하면 소형궤도차량(200)에 승객이 승차 또는 하차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역(100)은 승객이 승차 및 하차하는 승강장(110)과, 소형궤도차량(200)이 주행하는 본선인 주행로(1)와 연결되어 소형궤도차량(200)이 정차되는 복수의 정차공간(120)으로 형성된다.
즉, 승객의 목적지 이동을 위해 승차 또는 하차하는 역(100)은 복수의 승강장(110)과 정차공간(120)이 교대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복수의 정차공간(120) 중에 어느 하나의 정차공간(120)에 소형궤도차량(200)이 정차하는 경우 비어있는 나머지 다른 정차공간(120)에 후행하는 소형궤도차량(200)이 진입하여 정차할 수 있다.
이때, 소형궤도차량(200)의 진입 및 진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승강장(110)과 정차공간(120)은 본선(1)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정차공간(120)의 크기 및 상기 승강장(110)의 경사도는 소형궤도차량(200)의 차량 제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소형궤도차량(200)은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지만, 일 예로 크기(size)는 3,800mm(L)Ⅹ1,800mm(W)Ⅹ2,000mm(H), 윤간거리(wheel base)는 2,200 mm, 바퀴의 최대 회전각(steering angle)은 60°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소형궤도차량(200)은 차체의 양측에 출입문(204)이 구비되어 소형궤도차량(200)이 정차공간(120)에 정차하는 경우 그 정차공간(120)의 양측에 위치하는 승강장(110)을 통해 소형궤도차량(200)에 승차 또는 하차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형궤도차량(200)의 길이(L)와 폭(W)에 따라 정차공간(120)과 승강장(110)의 길이와 폭 등이 결정된다. 일 예로 정차공간(120)의 폭은 1,870mm, 승강장(110)의 폭과 길이는 2,500mm와 2,900mm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형궤도차량은 무인운전이 가능하도록 마그네틱 롤러(202)를 구비하여 본선 및 정차공간에 설치되는 자석(10)을 인지하는 구성을 채택한다.
이 경우 상기 정차공간(120)과 승강장(110)의 구분을 위해 상기 정차공간(120)의 높이는 본선(1)의 높이와 동일하게 유지하고, 상기 승강장(110)은 일정높이(예를 들어 10 ~ 30cm)를 유지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승강장(110)을 정차공간(120)에 비해 높게 형성함으로서 승객이 소형궤도차량(200)으로의 승차 및 하차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소형궤도차량(200)에 장착된 바퀴의 최대 회전각(steering angle)은 정차공간(120)과 승강장(110)의 경사도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바퀴의 최대 회전각(steering angle)이 60°인 경우 상기 정차공간(120) 및 승강장(110) 역시 그 본선(1)과 60°로 비스듬하게 형성하게 된다. 즉, 정차공간(120)은 본선(1)과 일정각도(θ)의 경사도를 갖도록 비스듬하게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형궤도차량(200)은 전방 및 후방 차륜의 조향각을 조정 가능한 양방향 조향 기능을 갖는 소형궤도차량(200)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소형궤도차량(200)은 차체 하부의 전후측에 제1 및 제2윤축(210,220)이 구비되는 차량으로, 상기 제1 및 제2윤축(210,220)은 각각 양단에 차륜이 일체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소형궤도차량(200)은 상기 제1윤축(210)의 조향각을 조정하는 제1조향장치(212)와, 상기 제2윤축(220)의 조향각을 조정하는 제2조향장치(222)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조향장치(212)는 제1윤축제어기(2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윤축(210)의 조향각을 제어하게 되고, 상기 제2조향장치(222)는 제2윤축제어기(2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윤축(220)의 조향각을 제어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1 및 제2윤축제어기(230,240)는 소형궤도차량(200)의 운행을 종합적으로 감시 및 제어하는 차상제어기(2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조향장치(212,222)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윤축제어기(230,240)는 상기 제1 및 제2윤축(210,220)의 양단에 구비되는 차륜의 회전속도를 각기 감지하는 속도감지기(미도시됨)로 부터 속도감지신호를 입력받는다.
이와 같은 양방향 조향 기능을 갖는 소형궤도차량(200)은 승강장(110)에 인접한 정차공간(120)에 정차한 후, 출발할 때 후진 주행 없이 바로 본선(1)으로 진입 및 주행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양방향 조향 기능을 갖는 소형궤도차량(200)이 본선(1)에서 정차공간(120)에 진입하여 정차한 후, 승객이 승차 또는 하차하고 이동시에는 그대로 소형궤도차량(200)의 후측부가 전두부가 되어 그대로 본선에 진입하여 주행하게 되므로 운행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소형궤도차량(200)이 본선(1)에서 정차공간(120)에 진입하는 경우 곡선 반경을 축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형궤도차량(200)이 정차공간(120)으로 진입 또는 진출시에 소형궤도차량(200)의 차륜이 승강장(110) 단부에 접촉 및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승강장(110) 단부에는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곡선안내부(112)가 형성된다.
이 경우 곡선안내부(112)는 정차공간(120)으로 소형궤도차량(200)이 진입하는 경우와 본선(1)으로 합류하는 경우의 조향각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곡선안내부(112) 역시 한쪽으로 치우쳐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소형궤도차량(200)의 역(100) 진입 및 진출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관제센터(300)의 중앙제어기(310)와, 역에 마련되는 역제어기(400) 및 소형궤도차량(200)의 운행을 제어하는 차상제어기(250)를 이용함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중앙제어기(310)는 역제어기(400)와 통신하면서 역(100)에 진입 또는 진출하기 위한 허가요청을 하는 소형궤도차량(200)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역제어기(400)에 역 내 정차공간(120)으로의 진입 및 진출에 관한 승인 또는 불가 여부를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역제어기(400)는 역(100) 내에 복수의 정차공간(120)의 점유 여부를 감시하여 그 정보를 중앙제어기(310)로 전송하여 정차공간(120)의 관리를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소형궤도차량(200)이 상기 정차공간(120)을 점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리미트스위치,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은 소형궤도차량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감지수단을 정차공간(120)에 설치한다.
따라서, 그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되는 감지정보를 역제어기(400)에서 수신하여 중앙제어기(310)로 전송해 주어 통합적인 정차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역제어기(400)는 소형궤도차량(200)과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역(100) 진입 및 진출에 대한 허가요청정보는 소형 궤도차량(200)의 차상제어기(250)에서 생성되어 역제어기(400)에 전송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으로의 소형궤도차량의 진입 및 진출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승객의 탑승 하차를 위해 역 내 정차공간(120)에 소형궤도차량(200)를 정차시키는 경우 관제센터(300)의 중앙제어기(310)는 역제어기(4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비어 있는 정차공간(120)을 검색하여 소형궤도차량(200)의 차상제어기(250)에 지정된 정차공간(120)으로 진입하도록 제어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상기 차상제어기(250)는 소형궤도차량(200)이 지정된 정차공간(120)으로 진입하여 정차하도록 제1 및 제2윤축제어기(230,24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 및 제2조향장치(212,222)를 작동시켜 제1 및 제2윤축(210,220)의 조향각을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 정차공간(120)으로 소형궤도차량(200)이 진입시 승강장(110) 단부는 곡선안내부(112)가 형성되어 소형궤도차량(200)이 승강장(110) 단부에 접촉되어 정차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한편, 탑승한 승객의 목적지 이송 또는 다른 역에서의 호출에 따라 특정의 정차공간(120)에 정차된 소형궤도차량(200)를 이동시키는 경우 관제센터(300)의 중앙제어기(310)는 소형궤도차량(200)의 차상제어기(250)에 정차공간(120)에서의 진출하도록 제어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상기 차상제어기(250)는 소형궤도차량(200)이 지정된 정차공간(120)에서 진출하여 본선(1)에 합류하도록 제1 및 제2윤축제어기(230,24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 및 제2조향장치(212,222)를 작동시켜 제1 및 제2윤축(210,220)의 조향각을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 정차공간(120)에서 소형궤도차량(200)이 진출시 승강장(110) 단부는 곡선안내부(112)가 형성되어 소형궤도차량(200)이 승강장(110) 단부와의 간섭없이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소형궤도차량(200)이 정차공간(120)으로 진입시에 정차공간(120)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정차공간(120)으로의 진입이 용이하고, 정차공간(120)에서 본선(1)으로 합류하는 경우 차량의 후측부가 전두부가 되어 그대로 본선(1)에 진입하여 주행하게 되므로 운행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소형궤도차량(200)이 본선(1)에서 정차공간(120)에 진입하는 경우 곡선 반경을 축소할 수 있다.
이상의 소형궤도차량(200)의 진입 및 진출은 다음과 같이 운영할 수 있다.
소형궤도차량(200)의 진입시에는 상기 차상제어기(250)는 소형궤도차량(200)이 지정된 정차공간(120)으로 진입하여 정차하도록 소형궤도차량(200)의 전두부에 위치하는 제1윤축제어기(230)에만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조향장치(212)를 작동시켜 제1윤축(210)의 조향각만 제어하게 하여 경사진 정차공간(120)으로 그대로 진입한다.
아울러 소형궤도차량(200)의 진출시에는 상기 차상제어기(250)는 소형궤도차량(200)이 정차된 상태에서 소형궤도차량(200)의 후두부에 위치하는 제2윤축제어기(240)에만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2조향장치(222)를 작동시켜 제2윤축(220)의 조향각만 제어하게 하여 경사진 정차공간(120)에서 진출하여 그대로 본선에 합류하게 된다.
따라서,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을 이용한 소형궤도차량의 진입 및 진출 제어 방법은 소형궤도차량(200)을 이용하는 승객이 이용하는 승강장(110)과, 소형궤도차량(200)이 주행하는 본선과 연결되어 상기 소형궤도차량(200)이 정차하는 정차공간이 교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을 이용한 소형궤도차량의 진입 및 진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형궤도차량(200)의 운행을 제어하는 차상제어기(250)는 관제센터의 중앙제어기(310)에서 지정된 정차공간(120)으로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제어정보가 수신되면, 차체 전두부 하측에 구비되는 제1윤축(210)의 조향각을 조정하는 제1조향장치(212)를 작동시켜 제1윤축(210)의 조향각을 조정하여 경사진 정차공간(120)으로 진입하는 제1단계와, 상기 차상제어기(250)는 관제센터의 중앙제어기에서 지정된 정차공간(120)에서 진출하도록 유도하는 제어정보가 수신되면, 차체 후두부 하측에 구비되는 제2윤축(220)의 조향각을 조정하는 제2조향장치(222)를 작동시켜 제2윤축(220)의 조향각을 조정하여 경사진 정차공간(120)에서 진출하는 제2단계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차상제어기(250)는 상기 제1윤축(210)의 조향각을 조정하는 제1조향장치(212)를 제어하는 제1윤축제어기(23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제1조향장치(212)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차상제어기(250)는 상기 제2윤축(220)의 조향각을 조정하는 제2조향장치(222)를 제어하는 제2윤축제어기(24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제2조향장치(222)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 본선 100: 역
110: 승강장 112: 곡선안내부
120: 정차공간 200: 소형궤도차량
210: 제1윤축 212: 제1조향장치
220: 제2윤축 222: 제2조향장치
230: 제1윤축제어기 240: 제2윤축제어기
250: 차상제어기 300: 관제센터
310: 중앙제어기 400: 역제어기

Claims (1)

  1. 소형궤도차량을 이용하는 승객이 이용하는 승강장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은 소형궤도차량이 주행하는 본선과 연결되어 상기 소형궤도차량이 정차하는 정차공간과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소형궤도차량은 차체 하부의 전후측에 제1 및 제2윤축이 구비되며,
    상기 소형궤도차량은 상기 제1윤축의 조향각을 조정하는 제1조향장치와, 상기 제1조향장치를 제어하는 제1윤축제어기와, 상기 제2윤축의 조향각을 조정하는 제2조향장치와, 상기 제2조향장치를 제어하는 제2윤축제어기와, 상기 제1 및 제2윤축제어기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차상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차상제어기에 관제센터의 중앙제어기에서 지정된 정차공간으로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제어정보가 수신되면, 차상제어기는 차체 전두부 하측에 구비되는 제1윤축의 조향각을 조정하는 제1조향장치를 작동시켜 제1윤축의 조향각을 조정하여 소형궤도차량이 경사진 정차공간으로 진입하고,
    상기 차상제어기에 관제센터의 중앙제어기에서 지정된 정차공간에서 진출하도록 유도하는 제어정보가 수신되면, 차상제어기는 차체 후두부 하측에 구비되는 제2윤축의 조향각을 조정하는 제2조향장치를 작동시켜 제2윤축의 조향각을 조정하여 소형궤도차량이 경사진 정차공간에서 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
KR1020140128636A 2014-09-25 2014-09-25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 KR101473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636A KR101473405B1 (ko) 2014-09-25 2014-09-25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636A KR101473405B1 (ko) 2014-09-25 2014-09-25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4941A Division KR101473408B1 (ko) 2013-07-18 2013-07-18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을 이용한 소형궤도차량의 진입 및 진출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405B1 true KR101473405B1 (ko) 2014-12-17

Family

ID=5267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636A KR101473405B1 (ko) 2014-09-25 2014-09-25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89427A (zh) * 2023-01-12 2023-05-30 东风悦享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prt的可移动式站点换乘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3509A (ja) 2007-07-19 2009-02-05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の操舵制御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3509A (ja) 2007-07-19 2009-02-05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の操舵制御方法及び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무인이동캡슐 관한 인터넷 검색 자료(2011.05.11.09:40 게재., [2014.12.01. 검색],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89427A (zh) * 2023-01-12 2023-05-30 东风悦享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prt的可移动式站点换乘方法及系统
CN116189427B (zh) * 2023-01-12 2024-05-28 东风悦享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prt的可移动式站点换乘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173202U (zh) 一种路轨两用车
CN106205172B (zh) 无信号交叉口冲突消解方法及系统
US8146506B2 (en) Active rail transport system
JP6719389B2 (ja) 大運送力直通軌道交通システム
US7286934B2 (en) Individual transport control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9074072B (zh) 自动运输系统
CN104200681B (zh) 一种信号交叉口车路协同避免公交车冲突方法
CN101992782A (zh) 城市无人驾驶电动有轨出租车交通系统
WO2004068438A1 (fr) Systeme de circulation de mini-vehicules sur des rails
CN107730883A (zh) 一种车联网环境下交叉口区域车辆调度方法
CN101279604A (zh) 悬挂式磁动力微型无人驾驶车及其轨道
US20210294352A1 (en) Vehicle control schemes for autonomous vehicle system
JP2004203258A (ja) 信号保安方法,信号保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信号保安システム
CN206231467U (zh) 一种地铁模式的无人驾驶公交车
CN107083728A (zh) 一种汽车与轨道相配合的高速公路智能运行系统及使用方法
WO2019052416A1 (zh) 一种智能轨道交通系统
CN103465912A (zh) 恒速环绕传输系统
KR101473405B1 (ko)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
KR101473408B1 (ko) 소형궤도차량용 승강장을 이용한 소형궤도차량의 진입 및 진출 제어 방법
CN100478536C (zh) 用于导轨运输系统的平面终点站
JP3882146B2 (ja) 自動車の自動走行の方法
CN112373524B (zh) 一种六向式的轨道交通控制方法及系统
JP4436073B2 (ja) 鉄道車両の運行方法及び運行システム
CN103481894A (zh) 恒速环绕传输系统的列车
CN107599765A (zh) 一种路轨两用交通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