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828B1 -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및 플로팅장치 - Google Patents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및 플로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828B1
KR101472828B1 KR1020140084489A KR20140084489A KR101472828B1 KR 101472828 B1 KR101472828 B1 KR 101472828B1 KR 1020140084489 A KR1020140084489 A KR 1020140084489A KR 20140084489 A KR20140084489 A KR 20140084489A KR 101472828 B1 KR101472828 B1 KR 101472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housing
air
submarine
trb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만
구정본
이성오
Original Assignee
(주)지오시스템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시스템리서치 filed Critical (주)지오시스템리서치
Priority to KR1020140084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8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38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specially adapted for water-covered area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ograph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및 플로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저면에 계류시켜 다양한 관측데이터를 수집하는 해저계측장비를 운반, 설치(해저면계류) 및 회수함에 있어, 선박에 선적하여 이동하지 않고 해저계측장비 자체의 부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형의 예인선만으로도 해저계측장비의 운송, 설치 및 회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부력을 이용하여 해저계측장비를 이동시킴은 물론, 해저계측장비의 하강 및 상승이 가능하도록 하고, 수중에서의 롤링(Rolling) 및 피칭(Pitching)은 물론 하강속도 및 상승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해저계측장비의 안정적인 설치 및 회수가 가능하다.
또한, 이 발명은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해저계측장비들에 용이하게 적용하여, 운용 및 회수할 수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해양과학 분야, 특히 해저면에 계류되는 계측장치의 운용 및 회수와 관련된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및 플로팅장치{Floating module and device for TRBM}
이 발명은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및 플로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저면에 계류시켜 다양한 관측데이터를 수집하는 해저계측장비를 운반, 설치(해저면계류) 및 회수함에 있어, 선박에 선적하여 이동하지 않고 해저계측장비 자체의 부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부력을 이용하여 해저계측장비를 이동시킴은 물론, 해저계측장비의 하강 및 상승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해저계측장비의 설치 및 회수가 매우 용이하도록 한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및 플로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양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현상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계측장비를 이용하게 되며, 대부분의 계측장비들은 해저면에 설치 및 계류되어 데이터를 수집하게 된다.
이러한 해저계측장비들은 대부분 중량체로서, 선박(관측선)에 선적되어 계류정점까지 이동된 후, 해저면으로 내렸다가 관측이 종료되면 회수하게 된다.
그러나, 중량체의 해저계측장비를 계류정점까지 운송하고, 설치(계류) 및 회수하기 위해서는, 큰 용량을 갖는 크레인이 탑재된 대형선박을 이용해야 하지만, 이러한 대형선박의 운용에는 시간 및 비용적으로 상당한 제약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한편, 해당 분야에서 현재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기술들은, 해저계측장비의 운송, 설치 및 회수의 과정 중, 하기의 선생기술문헌과 같이 주로 설치된 해저계측장비의 회수 방법에 대한 기술들이 연구되어 왔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47469호 '음향식 회수장비 시스템의 투하중량체'(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는, 투하중량체가 설치된 본체를 해상에서 투하하여 해저면에 계류시키고, 회수시 본체가 투하중량체로부터 분리되어 수면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선행기술은 본체의 회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투하중량체가 결합된 본체를 대형선박에 선적하여 계류정점까지 이동한다는 점에서는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특히 본체가 회수된 후 투하중량체가 해저면에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수중생태계의 이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저인망어선 등의 어업활동에도 지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저면에 설치된 장비 전체를 회수해야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상기에도 설명한 바와 같이, 큰 용량을 갖는 크레인이 탑재된 대형선박을 이용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47469호 '음향식 회수장비 시스템의 투하중량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대형선박을 이용하지 않고, 자유로운 운용이 가능한 소형의 예인선을 이용하여 해저계측장비를 계류정점까지 운송할 수 있는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및 플로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이 발명은 해저계측장비를 운반, 설치 및 회수함에 있어, 선박에 선적하여 이동하지 않고 해저계측장비 자체의 부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및 플로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이 발명은 부력을 이용하여 해저계측장비를 이동시킴은 물론, 해저계측장비의 하강 및 상승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해저계측장비의 해저면계류 및 회수가 매우 용이하도록 한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및 플로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에 따른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은,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도록 내부에 공기저장공간이 형성된 벌룬(Balloon); 상기 벌룬 및 하우징 내부 간의 공간적 연결을 개폐하는 밸브; 상기 벌룬의 내부에 저장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회수하는 압축펌프; 및 하강시 상기 밸브 및 압축펌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벌룬 내부에 저장된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회수하고, 상승시 상기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벌룬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유동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벌룬과 공간적으로 연결된 공기탱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벌룬과 공간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일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밀폐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외부로부터 상승신호 또는 하강신호를 음파신호로 수신하는 음파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제어부는, 상기 음파통신부로 수신된 음파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밸브 및 압축펌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강속도 또는 상승속도를 감지하는 자이로스코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제어부는, 상기 자이로스코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하강 또는 상승 속도가, 설정된 하강속도허용범위 또는 상승속도허용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벌룬과 하우징 간의 공기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장치는,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도록 내부에 공기저장공간이 형성된 벌룬(Balloon); 상기 벌룬 및 하우징 내부 간의 공간적 연결을 개폐하는 밸브; 상기 벌룬의 내부에 저장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회수하는 압축펌프; 하강시 상기 밸브 및 압축펌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벌룬 내부에 저장된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회수하고, 상승시 상기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벌룬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유동제어부; 외부와 음파신호로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음파통신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플로팅모듈;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플로팅모듈과 음파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플로팅모듈의 동작을 제어하여 해저계류장비를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승, 하강, 롤링(Rolling) 및 피칭(Pitching)을 감지하는 자이로스코프센서; 및 상기 자이로스코프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플로팅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듈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플로팅모듈 중 어느 하나의 플로팅모듈 및 상기 해저계측장비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장치는, 해저계류장비가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 구성되는 벌룬(Balloon);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벌룬과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공기탱크; 상기 벌룬과 공기탱크 사이에 구성되는 밸브 및 압축펌프; 외부로부터 상승신호 또는 하강신호를 음파신호로 수신하는 음파통신부; 및 상기 음파통신부로 수신된 음파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 및 압축펌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하강시 상기 밸브 및 압축펌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벌룬 내부에 저장된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공기탱크의 내부로 회수하고, 상승시 상기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공기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벌룬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유동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벌룬은, 상기 벌룬 내부의 공간을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막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는, 상기 공기탱크와 상기 복수개의 공간 사이에 각각 구성되며, 상기 유동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공기를 공급하거나 회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이 발명은 대형선박을 이용하지 않고, 자유로운 운용이 가능한 소형의 예인선을 이용하여 해저계측장비를 계류정점까지 운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선박운용에 대한 시간 및 비용적인 자유도를 크게 향상시킴으로써, 해저계측장비를 이용하여 보다 자유롭고 효율적인 데이터 수집 및 운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이 발명은 해저계측장비를 운반, 설치 및 회수함에 있어, 선박에 선적하여 이동하지 않고 해저계측장비 자체의 부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형의 예인선만으로도 해저계측장비의 운송, 설치 및 회수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 발명은 부력을 이용하여 해저계측장비를 이동시킴은 물론, 해저계측장비의 하강 및 상승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해저계측장비의 해저면계류 및 회수가 매우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소형화되어 개별운용이 가능한 플로팅모듈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해저계측장비들에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용이하게 운용 및 회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복수개의 플로팅모듈을 그룹화하여, 하나의 플로팅장치로 운용할 수 있으며, 수중에서 해저계측장비를 하강 및 상승시킴에 있어, 롤링(Rolling) 및 피칭(Pitching)은 물론 하강속도 및 상승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해저계측장비의 안정적인 설치 및 회수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해양과학 분야, 특히 해저면에 계류되는 계측장치의 운용 및 회수와 관련된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플로팅모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난 플로팅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플로팅모듈의 구체적인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플로팅모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에 따른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난 플로팅모듈을 이용한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난 플로팅장치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이 발명에 따른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평면상태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난 플로팅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 발명에 따른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및 플로팅장치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해저계측장비는 ADCP(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 음향 도플러 유속계), OBS(Ocean Bottom Seismometer : 해저지진계) 등의 다양한 계측장치가 탑재된 TRBM(Trawl-Resistant Bottom Mount : 저인망 저항형 해저 계류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로팅모듈(100)은 해저계측장비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해저계측장비를 운송, 설치(계류) 및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 벌룬(Balloon, 110) 및 유동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벌룬(110)은 중공의 하우징(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 일측에 구성되어, 하우징의 내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도록 내부에 공기저장공간이 형성된다.
유동제어부(130)는 하우징의 내부에 구성되며, 하우징의 내부에서 벌룬으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벌룬 내부의 공기를 하우징으로 회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벌룬(110) 및 하우징은 서로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와 밀폐되도록 구성되며, 유동제어부(130)는 벌룬(110)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회수함으로써,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벌룬(110)에 대한 공기의 공급 및 회수에 따라, 하우징 내부의 공기밀도가 달라지기는 하나, 이는 부력조절과는 무관한 정도의 변화이다.
한편,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벌룬(110)으로 공급하고, 벌룬(110) 내부의 공기를 하우징으로 회수하는 구성이나 방법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이 발명의 기술분야, 적용대상, 목적 및 효과를 고려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하기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이 발명에 따른 플로팅모듈(100)의 벌룬(110)은, 하우징의 내부에 구성된 공기탱크(120)와 연결관(150)에 의해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관(150)에는 유동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131) 및 압축펌프(312)를 구성할 수 있다.
밸브(131)는 벌룬(110) 및 하우징의 내부 간의 공간적 연결을 개폐하는 것으로, 해저계측장비를 하강 또는 상승시키기 위하여, 벌룬(110)과 하우징 간의 공기이동이 발생하면 개방되도록 동작될 수 있고, 해저계측장비를 운송하거나 해저면에 계류시키는 경우에는 닫히도록 동작될 수 있다.
압축펌프(312)는 벌룬(110) 내부의 공기를 상대적으로 고압의 상태인 공기탱크(120)로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 해저계측장비를 하강시키는 경우에 동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동제어부(130)는 해저계측장비의 하강시, 밸브(131) 및 압축펌프(132)의 동작을 제어하여, 벌룬(110) 내부에 저장된 공기를 압축하여 하우징의 내부(예를 들어, 하우징 내부에 구성된 공기탱크)로 회수할 수 있고, 해저계측장비의 상승시, 밸브(131)의 동작을 제어하여, 하우징의 내부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벌룬(110)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플로팅모듈(10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부력을 이용하여 해저계측장비를 이동시킴은 물론, 해저계측장비의 하강 및 상승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해저계측장비의 해저면계류 및 회수가 매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플로팅모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난 플로팅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나타난 공기탱크(120), 유동제어부(130), 밸브(131) 및 압축펌프(132)는, 브래킷(Bracket, 181)에 의해 해저계측장치에 결합되는 하우징(180)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나의 연결관(150)에 밸브(131)와 압축펌프(132)를 구성하여 공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경우,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에 설명될 해저계측장비의 하강속도 또는 상승속도의 제어시, 일정 범위 내에서 공기의 공급 및 회수를 반복하여 제어해야 하지만,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연결관(150) 내부에서 와류 등이 발생하여 공기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으며, 이에 원활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기탱크(120)의 압축공기를 벌룬(110)으로 공급하는 연결관(150)과, 벌룬(110)의 공기를 압축하여 공기탱크(120)로 회수하는 연결관(150)을 각각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공급용 연결관(150)에는 밸브(131)를 구성할 수 있고, 회수용 연결관(150)에는 압축펌프(132)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기의 공급 및 회수를 제어하여 벌룬(110)의 부력을 조절함으로써, 하우징(180)이 결합된 해저계측장비(TRBM)를 하강 및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플로팅모듈(100)이 결합될 해저계측장비의 크기 등에 의해, 하우징(180)의 크기를 보다 소형화해야 할 경우,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공기탱크(120)를 구성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공기탱크(120)가 구성될 수 없는 경우, 벌룬(110)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플로팅모듈의 구체적인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80)의 내부에는, 벌룬(110)과 공간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일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밀폐격벽(182)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밀폐격벽(182)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일부의 공간(도 4에서 좌측하부 영역)이 도 1 및 도 2의 공기탱크(120)를 대신함으로써, 벌룬(110)에 대한 공기의 공급 및 회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밀폐격벽(182)을 구성하지 않고, 하우징(180) 자체를 공기탱크(120)로 대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플로팅모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 발명의 플로팅모듈(100)은 하우징(180)의 상면(도 5에서 상부) 및 배면(도 5에서 우측)에 구성된 브래킷(181)에 의해 해저계측장비(TRBM)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로팅모듈(100)을 해저계측장비(TRBM)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 결합하게 되면, 해저계측장비(TRBM)의 운송시 해저계측장비(TRBM)가 수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이격되도록 하여 해수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적은 힘으로도 해저계측장비(TRBM)를 계류정점이나 육상까지 운송할 수 있으므로, 해저계측장비(TRBM)를 예인하는 예인선을 보다 더 소형선으로 대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소형선일수록 운용시간이 자유롭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을 감안하면, 도 5와 같은 결합관계는 이 발명의 플로팅모듈에 대한 경쟁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5와 같이 해저계측장비(TRBM)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 플로팅모듈(100)을 결합할 경우, 하나의 플로팅모듈(100) 만으로는 해저계측장비(TRBM)의 안정성을 보장하기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플로팅모듈(100)을 해저계측장비(TRBM)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이 발명에 따른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로팅모듈(100)은 외부로부터 상승신호 또는 하강신호를 음파신호로 수신하는 음파통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파통신부(160)는 해저면에 계류중인 해저계측장비(TRBM)를 회수함에 있어, 다이버가 해저계측장비(TRBM)가 계류하고 있는 해저면까지 진입하지 않고, 예인선의 선원에 의해 원격제어로 해저계측장비(TRBM)를 회수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에, 유동제어부(130)는 음파통신부(160)로 수신된 음파신호에 대응하여, 해저계측장비(TRBM)가 상승되도록 벌룬(11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밸브(131) 및 압축펌프(13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동일 내지 유사한 방법으로 계류정점까지 운송된 해저계측장비(TRBM)를 해저면으로 하강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해저계측장비(TRBM)가 과도하게 빠른 속도로 하강하거나 상승하는 경우, 해저면에 충돌하거나 수면위로 튀어오르면서, 해저계측장비(TRBM) 자체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수면에 정박중인 예인선과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 발명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로팅모듈(100)은 하강속도 또는 상승속도(구체적으로는, 해저계측장비의 하강 및 상승 속도)를 감지하는 자이로스코프센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유동제어부(130)는 자이로스코프센서(170)를 통해 감지되는 하강 또는 상승 속도가, 설정된 하강속도허용범위 또는 상승속도허용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벌룬(110)과 하우징(구체적으로는, 하우징 내부에 구성된 공기탱크 또는 하우징 내부의 밀폐공간) 간의 공기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하강속도허용범위 또는 상승속도허용범위는 설치될 해저계측장비(TRBM)의 하중 및 해저계측장비(TRBM)가 설치될 해역의 환경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해저계측장비(TRBM)에 복수개의 플로팅모듈(100)이 구성된 경우, 각각의 플로팅모듈(100)이 독립적으로 동작되면, 해저계측장비(TRBM)의 하강 또는 상승시 해저계측장비(TRBM)에 롤링(Rolling)이나 피칭(Pitching)이 발생하여 해저계측장비(TRBM)에 과도한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심한경우 해저계측장비(TRBM)가 뒤집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해저계측장비(TRBM)에 구성된 복수개의 플로팅모듈(100)을 연동하여 해저계측장비(TRBM)의 승하강시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난 플로팅모듈을 이용한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플로팅모듈(100)을 포함하는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장치는, 복수개(적어도 두 개)의 플로팅모듈(100)에 구성된 각각의 음파통신부(160)와 음파통신을 수행하며, 해당 플로팅모듈(100)의 동작을 제어하여 해저계류장비(TRBM)를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 제어모듈(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모듈(200)은 복수개의 플로팅모듈(100) 중 어느 하나의 플로팅모듈(100)에 구성되거나, 해저계측장비(TRBM)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서, 제어모듈(200)은 자이로스코프센서(210), 모듈제어부(220) 및 음파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센서(210)는 해저계측장비(TRBM)의 상승, 하강, 롤링(Rolling) 및 피칭(Pitching)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어모듈(200)에 자이로스코프센서(210)가 구성된 경우, 도 6에 나타난 플로팅모듈(100)의 자이로스코프센서(170)는 제외할 수 있다.
모듈제어부(220)는 자이로스코프센서(210)에 의해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분석하여, 해저계측장비(TRBM)에 결합된 복수개의 플로팅모듈(10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음파통신부(230)를 통해 플로팅모듈(100)의 유동제어부(13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을 다시 살펴보면, 수심이 낮은 지역에 설치되는 해저계측장비(TRBM)의 경우, 각 플로팅모듈(100)을 독립적으로 동작시키더라도 해저계측장비(TRBM)가 안정적으로 해저면에 설치 및 계류될 수 있다.
만약, 수심이 깊은 지역에 설치되는 해저계측장비(TRBM)의 경우, 도 7 및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해저계측장비(TRBM)에 결합된 복수개의 플로팅모듈(100)을 연동하여 제어함으로써, 해저계측장비(TRBM)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소형화되어 개별운용이 가능한 플로팅모듈(100)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해저계측장비들에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운용 및 회수할 수 있다.
도 9는 이 발명에 따른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평면상태 구성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나타난 플로팅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장치(100')는, 해저계류장비(TRBM)가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90) 및 베이스프레임(190)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 구성되는 벌룬(1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90)은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해저계류장비(TRBM)가 안착되는 안착부(191)와, 벌룬(110')과 베이스프레임(190) 간의 공기이동을 제어하는 구성들이 탑재되는 실장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예인선에 의해 예인되는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장치(100')가 적은 힘으로도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프레임(190) 및 벌룬(110')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트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안착부(191)를 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실장부(192)를 안착부(191)의 선두부분에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장부(192)에는 도 6에 나타난, 공기탱크(120), 유동제어부(130), 밸브(131), 압축펌프(132), 음파통신부(160) 및 자이로스코프센서(170) 중 적어도 하나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보트형상으로 형성된 벌룬(110')을 하나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공기탱크(120)로부터 공기를 공급하거나 회수하는 경우,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평면상의 두 축(X, Y)에 대한 롤링이나 피칭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이 발명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벌룬(110')의 내부에 복수개의 차단막(111')을 구성하여, 벌룬(110')의 내부 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고, 구획된 각 공간에 대하여 공기의 공급 및 회수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장치(100')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기탱크(120)와 구획된 벌룬(110') 내부의 각 공간들을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관(미부호)마다 밸브(131)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동제어부(130)는 복수 개의 밸브(131)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벌룬(110') 내부의 공간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공기를 공급하거나 회수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장치(100')의 롤링이나 피칭에 의한 유동을 보상하여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장치(100')가 안정적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1에서, 미설명 부호 'W'는 해저계류장비(TRBM)를 계류정점까지 운송하기 위하여, 해저계류장비(TRBM)가 설치된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장치(100')와 예인선을 연결하는 와이어이다.
이상에서 이 발명에 의한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및 플로팅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이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플로팅모듈
110 : 벌룬(Balloon) 111' : 차단막
120 : 공기탱크 130 : 유동제어부
131 : 밸브 132 : 압축펌프
160 : 음파통신부 170 : 자이로스코프센서
180 : 하우징 190 : 베이스프레임
200 : 제어모듈
210 : 자이로스코프센서 220 : 모듈제어부

Claims (11)

  1.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도록 내부에 공기저장공간이 형성된 벌룬(Balloon);
    상기 벌룬 및 하우징 내부 간의 공간적 연결을 개폐하는 밸브;
    상기 벌룬의 내부에 저장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회수하는 압축펌프; 및
    하강시 상기 밸브 및 압축펌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벌룬 내부에 저장된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회수하고, 상승시 상기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벌룬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유동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벌룬과 공간적으로 연결된 공기탱크;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벌룬과 공간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일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밀폐격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승신호 또는 하강신호를 음파신호로 수신하는 음파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제어부는,
    상기 음파통신부로 수신된 음파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밸브 및 압축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하강속도 또는 상승속도를 감지하는 자이로스코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제어부는,
    상기 자이로스코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하강 또는 상승 속도가, 설정된 하강속도허용범위 또는 상승속도허용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벌룬과 하우징 간의 공기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7.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도록 내부에 공기저장공간이 형성된 벌룬(Balloon); 상기 벌룬 및 하우징 내부 간의 공간적 연결을 개폐하는 밸브; 상기 벌룬의 내부에 저장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회수하는 압축펌프; 하강시 상기 밸브 및 압축펌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벌룬 내부에 저장된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회수하고, 상승시 상기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벌룬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유동제어부; 및 외부와 음파신호로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음파통신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플로팅모듈;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플로팅모듈과 음파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플로팅모듈의 동작을 제어하여 해저계류장비를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승, 하강, 롤링(Rolling) 및 피칭(Pitching)을 감지하는 자이로스코프센서; 및
    상기 자이로스코프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플로팅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듈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플로팅모듈 중 어느 하나의 플로팅모듈 및 상기 해저계측장비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장치.
  10. 해저계류장비가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 구성되는 벌룬(Balloon);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벌룬과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공기탱크;
    상기 벌룬과 공기탱크 사이에 구성되는 밸브 및 압축펌프;
    외부로부터 상승신호 또는 하강신호를 음파신호로 수신하는 음파통신부; 및
    상기 음파통신부로 수신된 음파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 및 압축펌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하강시 상기 밸브 및 압축펌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벌룬 내부에 저장된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공기탱크의 내부로 회수하고, 상승시 상기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공기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벌룬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유동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은,
    상기 벌룬 내부의 공간을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막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는,
    상기 공기탱크와 상기 복수개의 공간 사이에 각각 구성되며,
    상기 유동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공기를 공급하거나 회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장치.
KR1020140084489A 2014-07-07 2014-07-07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및 플로팅장치 KR101472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489A KR101472828B1 (ko) 2014-07-07 2014-07-07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및 플로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489A KR101472828B1 (ko) 2014-07-07 2014-07-07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및 플로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828B1 true KR101472828B1 (ko) 2014-12-17

Family

ID=52678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489A KR101472828B1 (ko) 2014-07-07 2014-07-07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및 플로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8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612B1 (ko) * 2016-10-28 2017-03-02 김기준 수중장비 부상 회수장치
CN108016584A (zh) * 2016-10-28 2018-05-11 金起俊 水下装置用漂浮回收装置
KR101880690B1 (ko) * 2018-05-02 2018-08-16 (주)미래해양 선속 보정유닛을 이용한 저유속 측정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612B1 (ko) * 2016-10-28 2017-03-02 김기준 수중장비 부상 회수장치
CN108016584A (zh) * 2016-10-28 2018-05-11 金起俊 水下装置用漂浮回收装置
US10029771B2 (en) 2016-10-28 2018-07-24 Ki Joon Kim Floating recovery device for underwater equipment
KR101880690B1 (ko) * 2018-05-02 2018-08-16 (주)미래해양 선속 보정유닛을 이용한 저유속 측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68403B2 (en) Marine structure
ES2781983T3 (es) Métodos y dispositivos de despliegue de paquetes submarinos grandes
AU2009294382B2 (en) Method of locating a subsea structure for deployment
KR101472828B1 (ko) 해저계측장비용 플로팅모듈 및 플로팅장치
CA2900477C (en) Apparatus for mooring floater using submerged pontoon
CN101304916B (zh) 浮筒型浮动结构
CN107187549A (zh) 一种全底质坐底式海底潜标及其测量系统
US20160090160A1 (en) Underwater mobile body
US10322782B1 (en) Combined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and buoy device
JP2013103678A (ja) 海洋情報収集システム
AU752713B2 (en) Drone vessel for an ROV
JP2009280960A (ja) 揚水機構および水底資源回収装置
US8220406B2 (en) Off-shore structure, a buoyancy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n off-shore structure
CN205168859U (zh) 一种深水无人潜水器
JP6640421B1 (ja) 自体浮力型弾性波探査モジュールを含む弾性波探査装置及びその方法
RU2381530C1 (ru) Мор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донная станция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геофизических и геологоразведочных работ
CN102267549B (zh) 海难事故救生舱
RU2603340C1 (ru) Морска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едостойкая платформа
HRP20031082A2 (en) Installation for the recovery of polluting fluid contained in at least one transverse section in tanks of a sunken vessel
KR101524816B1 (ko) 선박 접안 장치
JP7245145B2 (ja) 海底地殻変動観測装置
CN220820232U (zh) 一种湖泊水深测量装置
CN108071096A (zh) 能调节浮力的护舷
CN109653182A (zh) 一种坐底式海洋平台
JP2019163014A (ja) 資源回収用海中昇降船の浮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